KR101031300B1 -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300B1
KR101031300B1 KR1020100139603A KR20100139603A KR101031300B1 KR 101031300 B1 KR101031300 B1 KR 101031300B1 KR 1020100139603 A KR1020100139603 A KR 1020100139603A KR 20100139603 A KR20100139603 A KR 20100139603A KR 101031300 B1 KR101031300 B1 KR 101031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virtual
communication topology
virtual transmission
top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홍구
최준성
추증호
고정호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139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에 있어서 전달 성공률을 향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 요청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 결과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 토폴로지를 검사하고, 목적 주소가 상기 통신 토폴로지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주소가 상기 통신 토폴로지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실제 데이터의 전송 대신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 전송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전송하지 아니하고, 전송한 상태를 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VIRTUAL TRANSMISSION FOR DYNAMIC TOPOLOGY CHARACTERISTICS IN Ad-Hoc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을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Ad-Hoc 통신망에서 전달 성공률 향상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Ad-Hoc 네트워크는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Mobile Host)로만 이루어져 통신되는 망이다. 따라서 유선망을 구성하기 어렵거나 망을 구성한 후 단기간 사용되는 경우에 적합하며 Ad-Hoc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의 이동에 제약이 없고 유선망과 기지국(Base Station)이 필요 없으므로 빠른 망 구성과 저렴한 비용의 장점이 있다.
핸드폰처럼 기지국과 단말이 통신하는 형태가 아니라, 각 단말 끼리 연결이 되는 형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단말 끼리는 중간에 있는 단말 들이 중계기 역할을 해 주어서 통신을 하게 된다. 통신 기기 간 특별한 무선 통신을 'Ad-Hoc 네트워킹'이라고 부른다. Ad-Hoc 네트워킹은 중앙 시스템의 도움 없이 언제, 어디서나 기기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즉, 중앙 집중화된 관리가 지원되지 않는 환경에서 이동 호스트 간의 네트워크가 가능하다.
최근 기동전투차량 통신망의 목표는 효율적인 전투를 위하여 아군의 병력 분포 사항, 적 병력 분포 사항, 타격 명령 전파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무선 Ad-Hoc 통신망 환경 하에서 신속/정확하게 공유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적절한 데이터 전송 방법이 필요한데, 종래의 전송 방법으로는 순간적인 토폴로지 이탈로 인한 전달성공률 저하 문제점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토폴로지 변화에 따른 전달성공률 저하를 보상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기회를 부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에서 순간적인 토폴로지 이탈로 인한 전달성공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최소화 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 위한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 요청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 결과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 토폴로지를 검사하고, 목적 주소가 상기 통신 토폴로지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주소가 상기 통신 토폴로지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실제 데이터의 전송 대신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전송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전송하지 아니하고, 전송한 상태를 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전송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전송하지 아니하고 전송한 상태를 가장하기 위해서 타이머의 구동과 가상전송 횟수 관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타이머가 종료되면, 재전송 과정에서 다시 통신 토폴로지를 검사하고, 통신 토폴로지에 존재하지 않았던 목적 주소가 존재하면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독립된 타이머의 구동과 가상전송 횟수 관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상기 독립된 타이머 구동과 가상전송 횟수 관리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전송 확인 시간 내에 전송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독립된 타이머 구동과 가상전송 횟수 관리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전송 확인 시간 내에서 가상 전송횟수를 증가 시키는 방식으로 타이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전송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동적 토폴로지 특성을 갖는 Ad-Hoc 통신망에서 종래의 전송 방법보다 높은 전달성공률을 제공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종래의 전송 방법과 동일한 최대 사용자 전송확인시간 내에 전송 결과 확인을 가능케 함으로서, 통신망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전송 방법의 기본 동작을 나타내는 기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d-Hoc 통신망에서 순간적인 통신 토폴로지 이탈로 인한 전송 불가가 발생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d-Hoc 통신망에서 동적 특성을 고려한 가상전송 방법의 기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사용자 전송확인시간 내에서 가상전송 기회를 증가시키는 타이머 종료시간 및 가상전송 횟수 설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 통신 노드가 통신 토폴로지 내에 존재할 확률 변화에 따른 제안된 가상전송 방법과 종래의 전송 방법의 전달성공률 비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전송 횟수 변화에 따른 제안된 가상전송 방법과 종래의 전송 방법의 전달성공률 비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복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 토폴로지가 동적으로 변하는 Ad-Hoc 통신망에서 전달성공률을 향상시키는 전송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통신 토폴로지에서 이탈된 통신 노드에 대하여 전송을 포기하는 일반 전송 방법과는 다르게, 트래픽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추가적인 전송 기회를 부여하여 전달성공률을 향상시키는 가상전송과 제한된 최대 사용자 전송확인시간 내에서 가상전송 시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토폴로지에서 이탈된 통신 노드에 가상전송 방법을 적용하여 추가적인 전송 기회를 부여함으로서 통신망의 전달성공률을 향상 시키고, 전송 기회를 제한된 최대 사용자 전송확인시간 내에서 효과적으로 증가시킴으로 전달성공률 향상은 물론 종래의 전송 방법과 동일한 사용자 전송확인시간 지원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Ad-Hoc 통신망에서 순간적으로 통신 토폴로지에서 이탈되는 통신 노드에 대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전송 방법의 기본 동작을 나타내는 기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 또는 재전송이 발생되면(100), 전송 패킷의 목적 주소가 현 통신망 토폴로지 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S110), 목적 주소가 존재하면 전송 및 전송 횟수 관리(S130), 패킷 관리(S140), 타이머 구동(S150) 및 수신확인(S160)을 수행한다.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확인이 완료되면 전송을 성공적으로 종료하지만(S180), 수신확인이 실패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정해진 판단 기준에 의해서(S170) 재전송(S100) 또는 전송 실패를 통보하게 하고(S190) 패킷을 삭제한다(S200). 하지만, 통신 토폴로지 내에 목적 주소가 존재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트래픽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즉각적인 전송 실패로 전송을 종료하게 된다(S120).
이러한 종래의 전송 방법은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지 않는 경우에는 높은 신뢰성을 갖는 전송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지만, 통신 노드 이동으로 인하여 통신 토폴로지가 동적으로 변하는 Ad-Hoc 통신망에서는 신뢰성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Ad-Hoc 통신망에서 종래의 전송 방법이 전송 실패를 발생시키는 상황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d-Hoc 통신망에서 순간적인 통신 토폴로지 이탈로 인한 전송 불가가 발생하는 예시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통신 노드가 주어진 경로를 따라 이동 중이라 가정하자. 그러면 T1 시간부터 T2 시간까지는 통신 노드 1, 2, 3이 모두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T2 시간에 이르면 통신 노드 3이 통신 음영지역으로 이동되어 통신이 불가하고, 이러한 통신 불가는 모든 통신 노드 간 통신이 재개되는 T3 시간까지 유지된다. 종래의 전송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T1~T2, T3 이후에는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지만, T2~T3 시간에서 통신 토폴로지에서 이탈된 노드에 대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면 즉각적인 전송실패로 인한 전달성공률 저하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순간적인 이탈 현상은 채널 환경이 페이딩에 의하여 급격하게 변하는 무선통신 환경 하에서는 그 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송 방법은 통신 장애물이 다수 존재하는 환경에서 운용되는 전투차량 통신망이나 급격한 채널변화의 환경에서 운용되는 Ad-Hoc 통신망에서 순간적인 토폴로지 이탈로 인한 전달성공률 저하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d-Hoc 통신망에서 동적 특성을 고려한 가상전송 방법의 기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 동작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목적 주소가 현재 통신 토폴로지 상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전송 방법과 동일하게 데이터 전송(S300 ~ S340), 타이머 구동(S350) 및 수신확인 동작(S360) 등을 실행한다.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확인이 완료되면 전송을 성공적으로 종료하지만(S380), 수신확인이 실패하게 되면, 필요에 따라 정해진 판단 기준에 의해서(S370) 재전송(S200) 또는 전송 실패를 통보하게 하고(S390) 패킷을 삭제한다(S400). 하지만, 목적 주소가 통신 토폴로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종래의 전송 방법에서는 해당 패킷을 즉시 삭제하고 전송 실패처리를 하는 반면에, 제안된 방식은 가상전송을 수행하게 된다(S320).
상기 가상전송 방법(S320)은 종래의 패킷전송과는 다르게 실제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데이터를 전송했다고 가상적으로 처리하고, 이외의 일련과정은 종래의 전송 방식과 동일하게 처리한다. 이때, 실제 전송이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신확인은 수행될 수가 없지만, 타이머가 종료되면 재전송 과정에서 추가로 통신 토폴로지를 검사하고, 이때 순간적으로 통신 토폴로지에서 이탈된 통신 노드가 재 합류하게 되면 실제 전송이 이루어져 전달성공률 저하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상전송 방법(S320)은 추가적인 전송 기회를 부여하면서도, 실제 전송은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통신 부하는 증가시키지 않는다. 이처럼 제안된 가상전송 방법은 순간적으로 통신 토폴로지에서 이탈된 통신 노드에 대하여 통신 부하 증가 없이 추가적으로 토폴로지 확인 및 전송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의 전송 방법에 비하여 향상된 전달성공률을 보장한다.
상기 가상전송 방법(S320)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타이머와 가상전송 횟수 관리 기능은 종래의 전송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되지만, 별도의 타이머와 가상전송 횟수 관리 (또는 제어)를 통하여 통신망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전송 방식의 타이머 종료시간은 데이터 송수신 시간, 데이터 처리 시간 및 통신망 상황 등을 고려하여 수초에서 수십 초 이상의 긴 시간으로 설정되고, 전송 횟수도 수회로 제한적으로 운용이 된다.
하지만, 상기 가상전송 방법(S320)은 실제 통신 트래픽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수초 이내의 빠른 타이머 설정과 더 많은 가상전송 횟수 부여로 순간적인 통신 토폴로지 이탈 노드에게 더 많은 전송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타이머가 종료되면 재전송 과정에서 추가로 통신 토폴로지를 검사하고, 이때 순간적으로 통신 토폴로지에서 이탈된 통신 노드가 재 합류하게 되면 실제 전송이 이루어지는 가상전송의 주기를 빠른 타이머의 설정으로 짧게 설정하여 순간적인 통신 토폴로지 이탈 노드에 대해서 더 많은 전송 기회의 부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제한된 최대 사용자 전송확인시간 내에서 타이머 종료 시간과 가상전송 횟수의 설정 방법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대 사용자 전송확인시간 내에서 가상전송 기회를 증가시키는 타이머 종료시간 및 가상전송 횟수 설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4와 같은 설정 방법을 통하여 더 많은 전송 기회를 부여하면서도, 사용자에게는 종래의 전송 방법과 동일한 최대 사용자 전송확인시간 내에 데이터의 전송 성공/실패 확인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안된 방식의 성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간단한 가정을 사용한다. 통신 노드 1, 2는 각각 무작위로 움직이며, 통신 노드 간 링크가 일단 형성되면 무선 채널에서의 오류는 발생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통신 노드 1과 2사이에 링크가 형성되어 토폴로지 내에 목적 통신 노드가 존재할 확률을 p, 가상전송 횟수를 n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간단한 조건하에서 종래의 전송 방식의 데이터 전달성공률, Pr N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0087841193-pat00001
종래의 전송 방법은 최초 1회 전송에서 링크가 존재하면 전송성공이 되지만, 링크가 없는 경우에는 전송실패가 된다. 하지만, 제안된 가상전송 방법의 전달성공률, Pr P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0087841193-pat0000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 통신 노드가 통신 토폴로지 내에 존재할 확률 변화에 따른 제안된 가상전송 방법과 종래의 전송 방법의 전달성공률 비교도이다.
도 5는 가상전송 횟수, n이 3회인 경우에 대하여 목적 통신 노드가 토폴로지 내에 존재할 확률, p의 변화에 따른 전달성공률을 보여준다. p가 0 또는 1인 경우, 즉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있는 경우에는 종래의 전송 방법과 제안된 가상전송 방법이 같은 동작을 수행하므로 동일한 전달성공률 성능을 보이지만, 동적으로 변하는 통신망의 경우에는 제안된 가상전송 방법이 전달성공률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전송 횟수 변화에 따른 제안된 가상전송 방법과 종래의 전송 방법의 전달성공률 비교도이다. 도 6은 목적 통신 노드가 토폴로지 내에 존재할 확률, p가 0.5인 경우에 대하여 가상전송 횟수, n의 변화에 따른 전달성공률을 보여준다. 가상전송 횟수가 0으로 가상전송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두 가지 전송 방법이 동일한 전달성공률을 보이지만, 가상전송 횟수가 증가할수록 제안된 가상전송 방식의 전달성공률은 크게 향상된다.
이처럼, 제안된 가상전송 방법은 통신 토폴로지가 동적으로 변하는 통신망에서 통신 부하 증가 없이 향상된 전달성공률을 제공해주면서도, 기존 전송 방법과 동일한 최대 사용자 전송확인시간 내에 전송 확인을 가능케 해준다.

Claims (12)

  1. 단말들 간에 연결되고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Ad-Hoc 통신망에서, 데이터를 가상으로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이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 요청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 결과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이 통신 토폴로지를 검사하고, 목적 주소가 상기 통신 토폴로지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목적 주소가 상기 통신 토폴로지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실제 데이터의 전송 대신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 전송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전송하지 아니하고, 전송한 상태를 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전송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전송하지 아니하고 전송한 상태를 가장하기 위해서 타이머의 구동과 가상전송 횟수 관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재전송 과정에서 다시 통신 토폴로지를 검사하고, 통신 토폴로지에 존재하지 않았던 목적 주소가 존재하면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구동과 가상전송 횟수 관리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전송 확인 시간 내에 전송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구동과 가상전송 횟수 관리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전송 확인 시간 내에서 가상 전송횟수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타이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7.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 요청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 데이터 전송 또는 재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 토폴로지를 검사하여, 목적 주소가 상기 통신 토폴로지 내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목적 주소가 상기 통신 토폴로지 내에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실제 데이터의 전송 대신 가상 전송을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전송은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전송하지 아니하고, 전송 상태를 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재전송하지 아니하고 전송한 상태를 가장하기 위해서 타이머의 구동과 가상전송 횟수 관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면, 재전송 과정에서 다시 통신 토폴로지를 검사하고, 통신 토폴로지에 존재하지 않았던 목적 주소가 존재하면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장치.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타이머 구동과 가상전송 횟수 관리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전송 확인 시간 내에 전송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타이머 구동과 가상전송 횟수 관리는 미리 정해진 사용자 전송 확인 시간 내에서 가상 전송횟수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타이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으로 통신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장치.
KR1020100139603A 2010-12-30 2010-12-30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031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03A KR101031300B1 (ko) 2010-12-30 2010-12-30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603A KR101031300B1 (ko) 2010-12-30 2010-12-30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1300B1 true KR101031300B1 (ko) 2011-04-29

Family

ID=4405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603A KR101031300B1 (ko) 2010-12-30 2010-12-30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57B1 (ko) * 2013-04-23 2014-12-05 국방과학연구소 3차원 객체의 교차를 이용한 통신 가능 영역 연산 방법 및 이의 저장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9846A1 (en) 2001-04-20 2002-11-14 Chen Priscilla L.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nodes capable of selective cluster head operation
KR20060132113A (ko) * 2005-06-17 2006-1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상 싱크와 로테이션을 사용한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KR100895621B1 (ko) 2008-03-27 2009-05-06 국방과학연구소 무선 이동 Ad-Hoc 네트워크에서의 토폴로지 관리방법
KR20090088113A (ko) * 2008-02-14 2009-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가상 싱크 노드를 이용한 통신 방법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9846A1 (en) 2001-04-20 2002-11-14 Chen Priscilla L.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nodes capable of selective cluster head operation
KR20060132113A (ko) * 2005-06-17 2006-12-2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상 싱크와 로테이션을 사용한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KR20090088113A (ko) * 2008-02-14 2009-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가상 싱크 노드를 이용한 통신 방법및 장치
KR100895621B1 (ko) 2008-03-27 2009-05-06 국방과학연구소 무선 이동 Ad-Hoc 네트워크에서의 토폴로지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57B1 (ko) * 2013-04-23 2014-12-05 국방과학연구소 3차원 객체의 교차를 이용한 통신 가능 영역 연산 방법 및 이의 저장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2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multi-point transceivers
US11678247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routing protocols in wireless mesh networks
JP3853326B2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環境で確実にブロードキャスト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285400A (zh) 通信中的混合自动重传请求
US11356206B2 (en) Data transmission and measurement techniques
JP2022505424A (ja) パケット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680726B1 (ko) 목적지 노드로의 메시지 전달 횟수를 이용하는 PRoPHET 프로토콜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시스템 및 장치
CN102106105B (zh) 用于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
KR101806143B1 (ko) 메시지 복사 제한을 이용하는 PRoPHET 라우팅 프로토콜 제공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시스템 및 장치
US111020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US9432145B2 (en) Multi-cast optimized medium access method for wireless network
KR101031300B1 (ko) 동적으로 토폴로지가 변하는 통신망을 위한 가상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2013236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adaptive entity and rlc entity, and communication device
US8817693B2 (en) Intelligent Wi-Fi packet relay protocol
KR101008978B1 (ko)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신뢰성 있게 브로드캐스팅하는시스템 및 방법
CN110313142A (zh) 上行链路免授权传输中检测不良信道条件的方法及其装置
US10310931B2 (en) Communications state estimation device, communications state estim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that stores communications state estimation program
KR102537332B1 (ko) Lpwan에서 메시지 중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584428A (zh)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设备
WO20180147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transmission
KR20130084858A (ko) 기회주의적 라우팅 기법을 이용한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2000108B1 (ko)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Seth Contention based resource allocation in 6G
EP33279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ulticast latency and reliability of multicast transmissions in a wireless building automation network
CN115053568A (zh) 无线通信装置、无线通信方法及无线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