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127B1 - 전기자극판 - Google Patents

전기자극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127B1
KR101031127B1 KR1020090060766A KR20090060766A KR101031127B1 KR 101031127 B1 KR101031127 B1 KR 101031127B1 KR 1020090060766 A KR1020090060766 A KR 1020090060766A KR 20090060766 A KR20090060766 A KR 20090060766A KR 101031127 B1 KR101031127 B1 KR 101031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ody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contact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141A (ko
Inventor
전쟌수길
Original Assignee
전쟌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쟌수길 filed Critical 전쟌수길
Priority to KR102009006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1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3Interference currents, i.e. treatment by several currents summed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부위에 미약한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극판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저주파 치료기는 전압이 통제가 잘 되지 않아서 위험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회로구성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인체와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치료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서로 성질이 다른 금속재질의 플러스 전극체와 마이너스 전극체를 특정 신체부위에서 동시 접촉시킴으로써 전기를 발생시켜 콘트롤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콘트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전기를 다시 한 쌍의 자극체를 통해 다시 신체부위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은 금속과 금속 그리고 인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전기를 이용하여 신체부위를 미세 전류로 자극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인체와 친화적이며, 그에 따라 좋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적은 비용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전자침을 비롯한 저주파 치료기와 같은 미세전류를 이용한 모든 치료기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전기자극판, 플러스 전극체, 개구부, 마이너스 전극체, 회로기판, 자극체

Description

전기자극판 { an electric stimulus plate }
본 발명은 신체부위에 일정한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극판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서로 성질이 다른 금속재질의 플러스 전극체와 마이너스 전극체를 특정 신체부위에서 동시 접촉시킴으로써 전기를 발생시켜 콘트롤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콘트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전기를 다시 한 쌍의 자극체를 통해 다시 신체부위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마이너스(Minus) 극성을 가진 금속과 플러스(Plus) 극성을 가진 금속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금속의 성질을 잘 이용하면 부작용이 많은 일반 전기를 쓰지 않고서도 우리 몸에서 필요로 하는 치료용 전기 에너지를 금속과 피부의 반응을 통해 자체적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여러 금속 중에서 은이나 백동과 같은 금속은 플러스 극성을 띠고, 놋쇠나 붉은 색의 구리, 그리고 스테인레스,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은 마이너스 극성을 띠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상기 금속들은 평상시에는 아무런 전기적 흐름이 없게 되지만 특별한 조건이 주어지면 전기가 흐르게 된다.
예를 들어 팔이나 무릎 등의 피부에 물기를 묻혀서 전기가 잘 흐를 수 있도록 조건을 맞춘 다음 물에 적신 은과 구리를 그 위에 올려놓고 1~2cm 정도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전압을 측정해보면 약 1V 정도의 전압과 2uA 정도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방연구소와 같은 전문기관에서 연구한 자료를 살펴보면 우리 몸의 경혈 부위에서 측정되는 전류의 양은 3~9uA 정도이며, 치료용 전기가 인체의 전기회로에 주입되는 상황은 직렬상태이기 때문에 치료를 위하여 우리 몸에 가해지는 전류의 양은 이보다 작은 1~2uA가 적당하다.
잘못된 몸의 균형을 바로 잡아 항상성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모든 치료의 근본인 만큼 인체의 전류보다 높은 양의 전기가 흐르게 되면 또 다른 부작용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각종 연구자료를 살펴보아도 미세전류를 이용한 치료법은 생명활동의 기본요소인 "ATP"를 500배나 증가시킨다고 하지만 높은 전류를 쓰면 오히려 정상보다 떨어진다고 한다.
실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 저주파 치료기(TENS-2002)의 경우도 1uA 이내의 전류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압 = 저항 × 전류"에서 알 수 있듯이 금속에서 발생하는 전기는 전류에 비해 전압이 높기 때문에 기기에 따라서는 오히려 저항을 넣어서 전류를 낮 추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저주파 치료기는 제품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개 1uA 내외의 작은 전류를 사용하고 있어서 전류 측면에서만 보면 별다른 문제가 없다.
그러나 전압이 통제가 잘 되지 않아서 낮게는 수 밀리볼트(mV)에서 높게는 수천 밀리볼트까지 나오는 것이 현실이며, 피부에서 측정되는 전압은 30mV 내외이고 인체를 흐르는 최고 전압이 120 mV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이는 매우 우려할 만 한 수준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류회로를 설치하고 그 속에 있는 볼륨을 통하여 전기의 양을 조절해주어야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위험성과 기술적 어려움이다.
저주파 치료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의료기는 수십 밀리볼트와 수 마이크로볼트 정도의 미세한 전류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는데, 이는 매우 작은 양의 전기이기 때문에 필요한 양의 전류와 전압을 조절하기가 기술적으로 쉽지 않고 조절이 되어도 고정이 잘 되지 않아서 애를 먹게 된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문제는 전압이 움직여서 높거나 낮아질 수 있으며, 이럴 경우에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거나 인체에 위해를 가할 소지가 많다는 점이다.
그리고 드문 경우지만 구성부품 중의 일부가 고장날 경우에는 수천 밀리볼트의 전압이 그대로 인체에 흐르게 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생명을 다루는 의료기의 특성상 매우 큰 위험요소이다.
둘째, 상기의 어려움 때문에 회로구성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셋째, 일반 전기를 사용한 기존의 치료기는 인체와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치료효과가 떨어진다.
인체의 전기는 이온의 흐름이지만 일반 전기는 전자의 흐름이므로 인체와 잘 맞지 않게 되어 자연히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ATP를 500배나 향상시킨다는 미세전류 치료기들이 이론과는 달리 단순한 통증감소기 역할에 머물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치료에 적합한 미세전류를 보다 손쉽게 생성하여 보다 안전하게 신체부위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자극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은 서로 성질이 다른 금속재질의 플러스 전극체와 마이너스 전극체를 특정 신체부위에서 동시 접촉시킴으로써 전기를 발생시켜 콘트롤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콘트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전기를 다시 한 쌍의 자극체를 통해 다시 신체부위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은 신체부위에 마이너스 전극체와 동시 접촉시켰을 때에 플러스(Plus)극이 되어 전류를 흐르게 하는 금속재질의 플러스 전극체와; 신체부위에 플러스 전극체와 동시 접촉시켰을 때에 마이너스(Minus)극이 되어 전류를 흐르게 하는 금속재질의 마이너스 전극체와; 상기 플러스 전극체와 마이너스 전극체가 접속되고, 플러스 전극체와 마이너스 전극체의 동시 신체접촉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콘트롤러로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되고, 플러스 전극체와 마이너스 전극체의 동시 신체접촉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다시 콘트롤러를 통해 공급받아 신체부위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금속재질의 자극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스 전극체는 후방 중앙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중앙에 굴곡연결부가 마련된 링형의 접촉체와; 접촉체의 굴곡연결부 하단 중앙에 설치된 막대형의 회로기판 연결체와; 접촉체의 굴곡연결부의 하단 양측과 회로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체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은 상기 플러스 전극체의 양측에 한 쌍의 막대형 마이너스 전극체가 설치되고, 4 개 이상의 막대형 자극체가 플러스 전극체의 후방과 전방, 그리고 좌측방과 우측방향에 십자형으로 배열 설치되며, 회로기판의 상단 전방에 콘트롤러 접속소켓이 마련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은 금속과 금속 그리고 인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자연스 러운 전기를 이용하여 신체부위를 미세 전류로 자극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인체와 친화적이며, 그에 따라 치료효과가 좋아진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은 첫째, 변화가 적은 금속과 인체 사이에 발생하는 전기를 사용하므로 안전하며, 구성이 간단하여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없고 전류회로보다 간단하고 단순하므로 비용이 적게 들 뿐 아니라 전자침을 비롯한 저주파 치료기와 같은 미세전류를 이용한 모든 치료기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인체 친화적이어서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100)은 신체부위에 마이너스 전극체(20)와 동시 접촉시켰을 때에 플러스(Plus)극이 되어 전류를 흐르게 하는 금속재질의 플러스 전극체(10)와; 신체부위에 플러스 전극체(10)와 동시 접촉시켰을 때에 마이너스(Minus)극이 되어 전류를 흐르게 하는 금속재질의 마이너스 전극체(20)와; 상기 플러스 전극체(10)와 마이너스 전극체(20)가 접속되고, 플러스 전극체(10)와 마이너스 전극체()의 동시 신체접촉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콘트롤러(200)로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회로기판(30)과; 상기 회로기판(30)에 접속되고, 플러스 전극체(10)와 마이너스 전극체()의 동시 신체접촉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다시 콘트롤러(200)를 통해 공급받아 신체부위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금속재질의 자극체(4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기판(3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플러스 전극체(10)는 후방 중앙에 개구부(11)가 마련되고 중앙에 굴곡연결부(12)가 마련된 링형의 접촉체(10a)와; 접촉체(10a)의 굴곡연결부(12) 하단 중앙에 설치된 막대형의 회로기판 연결체(10b)와; 접촉체(10a)의 굴곡연결부(12)의 하단 양측과 회로기판(30)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체(10c)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플러스 전극체(10)의 양측에 한 쌍의 막대형 마이너스 전극체(20)가 설치되고, 모두 4 개의 막대형 자극체(40)가 플러스 전극체(10)의 후방과 전방, 그리고 좌측방과 우측방향에 십자형으로 배열 설치되며, 회로기판(30)의 상단 전방에 콘트롤러 접속소켓(31)이 마련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100)에 있어서 플러스 전극체(10)의 재질은 은(Ag), 마이너스 전극체(2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Stainless) 또는 적동(Cu)으로 할 수 있으며,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32는 착용끈을 접속하여 전기자극판(100)을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끈 접속구멍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100)은 금속의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여 인체의 배꼽 주변부위에서 전기를 생성한 후 생성된 전기를 다시 신체부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플러스 전극체(10)와 마이너스 전극체(20)를 신 체부위에 동시 접촉시키면 치료에 필요한 전기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꼽 주변에 물을 충분히 묻혀서 피부의 저항을 줄이고, 은으로 만들어진 링형의 플러스 전극체(10)와 스테인레스 재질의 마이너스 전극체(20)를 동시 접촉시키게 되면 플러스 전극체(10)는 플러스 전극이 되고, 마이너스 전극체(20)는 마이너스 전극이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 전류는 회로기판(30)을 통해 콘트롤러(2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콘트롤러(200)에서는 그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플러스 전극체(10)와 마이너스 전극체(20)의 동시 신체접촉으로 생성된 전기를 각 전극체(4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되고, 각 전극체(40)의 전기는 다시 신체부위에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100)의 플러스 전극체(10)와 마이너스 전극체(20)의 동시 신체접촉으로 발생되는 전기는 일반 전기와는 달리 전기의 양이 치료에 적당한 크기이며, 일반 저항을 연결하여 간단하게 전압을 낮추고 노이즈를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치료에 필요한 전력을 안전하게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100)에서 생성되는 전기는 곧바로 치료 에너지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전기침이나 저주파 치료기 등에 연결하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하는 내용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플러스 전극체(10)의 접촉체(10a)가 둥근 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둥근 구조는 배꼽을 중심점으로 해서 피부에 닿았을 때에 안정된 전압을 얻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스 전극체(10)의 접촉체(10a)가 둥근 링이 아닌 나사못의 머리와 같은 구조라면 하나의 점만이 피부에 닿게 되고 신체접촉 후에 1~2분 정도 경과하게 되면 전압이 낮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지속적으로 안정된 전력을 얻어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플러스 전극체(10)의 접촉체(10a)를 둥근 링처럼 구성하게 되면 동그라미처럼 넓고 고르게 피부 닿게 되어 신체접촉 후에 시간이 지날수록 전압이 낮아지기는 하지만 치료에 필요한 10~30mV 정도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플러스 전극체(10)의 접촉체(10a)에 개구부(11)를 형성하게 되면 일정범위 내에서 전압의 불안정을 유도할 수 있게 되어 몸의 균형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즉, 플러스 전극체(10)와 마이너스 전극체(20)가 접속되어 전기가 흐르게 되면 이들과 연결된 전선부위에 전기장과 같은 에너지장이 형성되는데, 이는 인체의 항상성을 깨뜨려서 치료의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마이너스 전극체(20)를 연결하는 전선의 반대쪽인 플러스 전극체(10)의 접촉체(10a)의 후방에 개구부(11)를 형성하게 되면 접촉제(10a)의 개구부(11)는 피부에 닿지 않게 되므로 피부 접촉부위와 피부 비접촉부위의 저항이 달라지게 되고, 그 차이로 인하여 한 쌍의 마이너스 전극체(20)를 연결한 전선부위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에너지 비율이 같아지면서 안정을 찾게 된다.
또한 전기는 물과 성질이 같아서 안정되어 있을 때에는 잘 흐르지 않고 한 쪽으로 기울어야 잘 흐르기 때문에 플러스 전극체(10)의 접촉체(10a)에 개구부(11)를 형성하게 되면 전기가 잘 흐르게 된다.
따라서 플러스 전극체(10)의 접촉체(10a)에 개구부(11)가 형성된 경우 접촉체(10a)가 신체부위(예를 들면 배꼽)에 닿았을 때 금속에 닿은 피부에는 금속과 인체의 전기가 반응하여 높은 전압이 형성되지만 금속이 닿지 않는 개구부(11) 쪽은 상대적으로 전압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결국 전기의 쏠림 현상을 가져오게 되어 원활한 전류의 흐름을 유도하고 지속적이면서 안정된 전압의 발생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100)은 인체를 바탕으로 하고, 생명의 근본인 배꼽 주변 등의 신체부위에서 금속의 물리적 반응에 의하여 발생한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인체가 잘 받아들일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며, 그에 따라 자연적으로 치료효과가 높아진다.
예를 들어 주부들이 반지를 여러개 손가락에 낀 상태로 설거지나 빨래 등의 물 일을 하여도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점에서 은과 같은 금속이 인체와 친화적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100)을 팔이나 다리가 아닌 배꼽 주변에 접촉시켜 전기를 얻으면 좋은 이유는 다른 곳에 배해서 배꼽 주변이 전기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실험결과에 의한 것이며, 예를 들어 전기자극판의 플러스 전극체와 마이너스 전극체를 팔에 올려놓고 여러번에 걸쳐서 전기의 변화를 살펴보면 불과 몇 분만에 금속의 성질에 관계없이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이 서로 뒤바뀌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한방침구학의 이론처럼 허(虛)와 실(實)이 바뀔 때 나타나는 현상인데, 실제로는 전기의 흐름이 바뀌는 현상이며, 내면의 변화가 아닌 피부 표면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반응으로 인체에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므로 피해야 하는 현상이다.
본 발명의 전기자극판(100)은 플러스 전극체(10)와 마이너스 전극체(20), 그리고 자극체(40) 모두를 신체부위에 접촉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자극체(40)를 열십자 형태로 배열하게 되면 그와 같은 변화를 막아서 전극을 안정시킬 수 있게 되며, 콘트롤러(200)를 통해 각 전극체(40)에 대한 전기 공급을 제어하거나 공급 전기의 극성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치료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전기자극판
10 : 플러스 전극체
11 : 개구부
20 : 마이너스 전극체
30 : 회로기판
40 : 자극체

Claims (3)

  1. 신체부위에 마이너스 전극체와 동시 접촉시켰을 때에 플러스(Plus)극이 되어 전류를 흐르게 하는 금속재질의 플러스 전극체와; 신체부위에 플러스 전극체와 동시 접촉시켰을 때에 마이너스(Minus)극이 되어 전류를 흐르게 하는 금속재질의 마이너스 전극체와; 상기 플러스 전극체와 마이너스 전극체가 접속되고, 플러스 전극체와 마이너스 전극체의 동시 신체접촉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콘트롤러로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되고, 플러스 전극체와 마이너스 전극체의 동시 신체접촉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다시 콘트롤러를 통해 공급받아 신체부위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금속재질의 자극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극판.
  2. 제1항에 있어서, 플러스 전극체는 후방 중앙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중앙에 굴곡연결부가 마련된 링형의 접촉체와; 접촉체의 굴곡연결부 하단 중앙에 설치된 막대형의 회로기판 연결체와; 접촉체의 굴곡연결부의 하단 양측과 회로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받침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극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 전극체의 양측에 한 쌍의 막대형 마이너스 전극체가 설치되고, 4 개 이상의 막대형 자극체가 플러스 전극체의 후방과 전방, 그리고 좌측방과 우측방향에 십자형으로 배열 설치되며, 회로기판의 상단 전방에 콘트롤러 접속소켓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극판.
KR1020090060766A 2009-07-03 2009-07-03 전기자극판 KR101031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766A KR101031127B1 (ko) 2009-07-03 2009-07-03 전기자극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766A KR101031127B1 (ko) 2009-07-03 2009-07-03 전기자극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41A KR20110003141A (ko) 2011-01-11
KR101031127B1 true KR101031127B1 (ko) 2011-04-27

Family

ID=4361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766A KR101031127B1 (ko) 2009-07-03 2009-07-03 전기자극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11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54B1 (ko) * 2012-02-01 2014-01-24 전쟌수길 전기자극판
KR101356235B1 (ko) * 2012-04-03 2014-01-28 전쟌수길 전기자극판 자극체에 주어지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항 회로
KR101369409B1 (ko) * 2013-07-09 2014-03-03 김춘기 전기 및 미세전류 생성기
KR20150117955A (ko) 2014-04-11 2015-10-21 김춘기 미세전류 침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277U (ko) * 1989-07-13 1991-03-01
JPH0331179U (ko) * 1989-08-07 1991-03-26
JPH0717252U (ja) * 1993-09-07 1995-03-28 株式会社セリストン研究所 微電流治療具
JP3021277U (ja) 1995-08-03 1996-02-20 株式会社井上メイジェント 電位発生具
JP3031179U (ja) 1996-05-14 1996-11-22 豊忠 渋谷 人体用装着帯
JP2002126103A (ja) * 2000-10-20 2002-05-08 Junji Mori 健康身装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277U (ko) * 1989-07-13 1991-03-01
JPH0331179U (ko) * 1989-08-07 1991-03-26
JPH0717252U (ja) * 1993-09-07 1995-03-28 株式会社セリストン研究所 微電流治療具
JP3021277U (ja) 1995-08-03 1996-02-20 株式会社井上メイジェント 電位発生具
JP3031179U (ja) 1996-05-14 1996-11-22 豊忠 渋谷 人体用装着帯
JP2002126103A (ja) * 2000-10-20 2002-05-08 Junji Mori 健康身装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554B1 (ko) * 2012-02-01 2014-01-24 전쟌수길 전기자극판
KR101356235B1 (ko) * 2012-04-03 2014-01-28 전쟌수길 전기자극판 자극체에 주어지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항 회로
KR101369409B1 (ko) * 2013-07-09 2014-03-03 김춘기 전기 및 미세전류 생성기
WO2015005575A1 (ko) * 2013-07-09 2015-01-15 Kim Chun Gi 전기 및 미세전류 생성기
US9775993B2 (en) 2013-07-09 2017-10-03 Chun Gi Kim Electricity and microcurrent generator
KR20150117955A (ko) 2014-04-11 2015-10-21 김춘기 미세전류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141A (ko) 201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7270B2 (en) Electronic stimulation textile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rapy
US20120259390A1 (en) Wearable Photvoltaic Ultra-Low frequency Acupoint Stimulator
KR101031127B1 (ko) 전기자극판
KR101777338B1 (ko) 생체 임피던스를 고려한 미세 전류 치료 장치
US20130110150A1 (en) Electroacupuncture needle and electroacupuncture platform
KR102103052B1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
US20190030336A1 (en) Portable Composite Waveform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WO2021026606A1 (en) Vagus nerve stimulation system
KR200485010Y1 (ko) 생체전기발생용 목걸이
KR20160073105A (ko) 한방 치료용 경혈 저주파 자극기
CN101926730A (zh) 电解针灸针
KR20120109705A (ko) 전기침 플랫폼 및 전기침 플랫폼을 이용한 전기 자극 발생 방법
KR20130073387A (ko) 인체 미세전류의 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101272904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컴퓨터의 마우스
CN207562223U (zh) 一种智能偏头痛治疗仪
KR100843249B1 (ko) 마이크로커런트 펄스 자극장치
KR101033287B1 (ko) 피부저항을 고려한 전류자극장치
KR101355554B1 (ko) 전기자극판
US8457765B2 (en) Ear clip with pole
KR101299151B1 (ko) 전원공급으로 미세전류를 생성하는 마스크
KR200281926Y1 (ko) 휴대용 전기자극기
KR20120010532A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침구 바늘
CN211273147U (zh) 一种美容电极及美容仪
KR101356235B1 (ko) 전기자극판 자극체에 주어지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항 회로
KR20120126140A (ko) 한방 국소마취방법 및 한방 국소마취용 기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