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189B1 - A display method of search result by category type - Google Patents

A display method of search result by category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189B1
KR101030189B1 KR1020080121712A KR20080121712A KR101030189B1 KR 101030189 B1 KR101030189 B1 KR 101030189B1 KR 1020080121712 A KR1020080121712 A KR 1020080121712A KR 20080121712 A KR20080121712 A KR 20080121712A KR 101030189 B1 KR101030189 B1 KR 10103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tree structure
outputting
classific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63265A (en
Inventor
박경복
Original Assignee
(주) 팝스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팝스포유 filed Critical (주) 팝스포유
Priority to KR1020080121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189B1/en
Publication of KR2010006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2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1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스트업시 사용자가 선택한 분류기준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분하여 출력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for each category, which enables various user interfaces by variably outputting according to a classification criteria selected by a use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해당 상품에 관한 카테고리별 분류 항목들이 구비된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a)단계; 상기 카테고리별 선택 화면에서 검색을 원하는 분류 항목을 선택하는 (b)단계; 및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하위 순서가 가변되어 출력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providing a selection screen with a category for each category related to the product; (B) selecting a category to search for in the category selection screen; And (c) outputting an upper and lower order of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classification item.

가변, 검색, 카테고리, 리스트업 Variable, Search, Category, List Up

Description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A display method of search result by category type}A display method of search result by category type}

본 발명은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상품 리스트를 가변적으로 출력하여 원하는 상품 을 신속,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rch result list outpu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rch result list output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a user to variably output a list of items to be searched and select a desired product quickly and conveniently. .

일반적으로 쇼핑과 관련된 웹사이트에서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구매자에게 상품 검색창을 제공하는데, 이때 해당 상품에 관한 제조사명, 상품 종류, 세부 사양 등의 카테고리별 분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In general, a shopping-related website provides a product search box to a buyer through a web page. In this case, a screen for selecting a category of a category such as a manufacturer name, a product type, and a detailed specification about the product is provided.

구매자는 이러한 카테고리별 분류 항목 중에서 선별된 항목만 체킹하게 되고, 해당 웹페이지는 화면상에서 구매자가 원하는 상품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로서 일목요연하게 표시해서 구매자가 유사상품들을 편리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The buyer checks only the items selected from the categories classified by category, and the web page displays the products desired by the buyer in a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on the screen so that the buyer can conveniently compare similar products.

그런데, 기존에 검색결과 리스트를 출력하는 카테고리별 트리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분류(노트북)-2차분류(제조사)-3차분류(화면크기) 형식으로 상위분류가 하위분류를 지배하는 트리구조이므로, 분류표현시 상하위의 고정된 순 서로만 표현이 가능하고 동일한 분류형태의 단순 나열에 의해 상품 비교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that outputs a list of search results in the prior art has a lower classification in the form of primary classification (notebook) -secondary classification (manufacturer) -3rd classification (screen size) as shown in FIG. Since the tree structure dominates the classification, it is possible to express only the fixed order of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when expressing the classifica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arison of products is complicated by the simple arrangement of the same classification.

또한, 검색결과 리스트 표현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들이 구매자가 선택한 분류별로 재정렬되지 않고 단순히 특정한 순서에 의해서만 정렬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품 비교가 어렵고, 제1분류-제2분류-제3분류,...제n분류와 같은 형식으로 각 분류 항목 상호간에 가변적인 연관구조나 상하위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8 and 9, when the search result list is represented, commodities may not b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category selected by the buyer, and may be sorted only by a specific order,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compare produc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variable association structure or parent structure between each classification items in the form of 3rd classification, ... nth classification.

따라서, 상하위 분류로 복잡한 트리구조의 리스트 표현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2~3가지의 분류기준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고, 선택한 분류기준과 해당 분류 상위의 분류기준에 포함된 값들만 리스트업이 가능하므로 출력 리스트에 하위 내지 다른 분류기준을 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only two or three sorting criteria can be used because only a complicated tree structure can be represented by the top and bottom classification, and only the values included in the selecte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bove the classification can be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express lower or other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e li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분류 항목 상호간에 가변적인 상하위구조를 가짐으로써 구매자가 선택한 분류별로 상품의 상하위 구분이 가변적인 순서로 출력이 가능하여 여러 가지의 분류기준을 사용할 수 있고, 선택한 분류기준과 해당 분류 하위 내지 다른 분류기준을 출력 리스트에 표현할 수 있는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having a variable upper and lower structure between each of the classification items, it is possible to output in the order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division of the product for each category selected by the buyer variab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rch result list output system and method that can us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and can express the selecte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corresponding classification sub-or other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e output lis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은 해당 상품에 관한 카테고리별 분류 항목들이 구비된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a)단계; 상기 카테고리별 선택 화면에서 검색을 원하는 분류 항목을 선택하는 (b)단계; 및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하위 순서가 가변되어 출력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the method including: (a) providing a selection screen having classification items for each category related to a corresponding product; (B) selecting a category to search for in the category selection screen; And (c) outputting a variable upper and lower order of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selected category.

여기서,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tep (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ssification items selected in the step (b) is output below the category tree structure, and the category items not selected are output above the category tree structure.

바람직하게는,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동일 카테고리 내의 분류 항목이 복수개가 선택되는 경우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복수개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단수개가 선택 된 분류 항목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step (c), whe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in the same category are selected in step (b),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selected in the same category are output under a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and the same category is outpu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ssification items selected in the singular number in the upper part of the tree structur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동일 카테고리 내의 분류 항목이 복수개가 선택되는 경우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더 많은 개수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더 적은 개수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in the step (c), whe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in the same category are selected in the step (b), the number of classification items in which the larger number is selected in the same category is output below the category tree structur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outputting a classification item having a smaller number within the same category to the upper part of the tree structure.

이때,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 내에서 임의의 상하위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tep (c),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category selected in the step (b) in any upper and lower order in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대안적으로,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 내에서 임의의 상하위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step (c)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category item not selected in the step (b) in any upper and lower order in the category-specific tree structure.

한편,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 내에서 기 설정된 상하위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c),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classification item selected in the step (b) in a predetermined top and bottom order within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대안적으로,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 내에서 기 설정된 상하위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step (c)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category items not selected in the step (b) in a predetermined top and bottom order in the category-specific tre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은 상품에 관한 카테고리별 분류 항목 및 상품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해당 상품에 대해 검색을 원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분류 항목을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분류 항목에 부합하는 상품을 검색하는 검색부; 및 검색된 상품을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하위 순서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tegory-specific search result list out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the category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for each category related to the product; A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a classification item selected by a user who wants to search for a corresponding product; A search unit searching for a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ategory; And an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searched products by varying the upper and lower order of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selected category.

여기서, 상기 출력부는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selected classification item under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and output the non-selected classification item above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부는 동일 카테고리 내의 분류 항목이 복수개가 선택되는 경우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더 많은 개수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더 적은 개수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in the same category are selected, the output unit outputs the category items in which a larger number is selected in the same category under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and in which a smaller number is selected in the same category. The item is outputted above the tree structur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 및 방법은 첫째, 검색조건을 설정할 때에 분류기준을 확장할 수 있어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고, 둘째 검색결과 리스트업시 분류기준을 고려한 형식으로 표현이 가능하므로 다수의 상품을 구분기준에 의한 특징별로 가변 출력하여 사용자가 최적의 제품을 신속, 간편하게 검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The search result list output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irst,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hen setting the search conditions, various user interfaces are possible, and secondly in the form of consider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hen listing the search results As it can be expressed, the variable products are outputted by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search for the optimal product.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by categ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by categ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00), 수신부(200), 검색부(300) 및 출력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arch result list output system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database 100, a receiver 200, a search unit 300, and an output unit 400 as illustrated in FIG. 1.

데이터베이스(100)는 시스템 내에 다양한 상품에 관한 카테고리별 상하위 분류 항목과 구체적인 상품정보가 저장되며, 수신부(200)는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해 검색을 원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분류 항목을 수신한다.The database 100 stores the upper and lower classification items and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for each category of the various products in the system, and the receiver 200 allows a user who wants to search for a corresponding product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from a user terminal such as a PC. Receive the selected category.

검색부(300)는 상기 수신부(200)를 통해 수신된 분류 항목에 부합하는 구체적인 상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DB)(100) 조회를 통해 검색하며, 출력부(400)는 상기 검색부(300)에 의해 검색된 상품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하위 순서를 가변하여 출력한다.The search unit 300 searches for a specific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classification item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200 through the database (DB) 100 inquiry, and the output unit 400 sends the search unit 300 to the search unit 300. The searched products are outputted by varying the top and bottom order of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item selected by the user.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a)단계(S150), 분류 항목을 선택하는 (b)단계(S250), 트리구조의 상하위 순서가 가변되어 출력하는 (c)단계(S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method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for each category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ystem, as shown in FIG. 2, step (a) of providing a selection screen (S150), step (b) of selecting a classification item (S250), and a tree The upper and lower order of the structure is configured to include a variable (c) step (S350) for outputting.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출력된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to 6 are diagrams showing a list of search results for each category output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a)단계(S150)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해당 상품에 관한 카 테고리별 분류 항목들이 구비된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이다.First, step (a) (S150) is a step of providing a selection screen with category items for each category related to a product to be searched by a user.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도면을 통하여 여러 상품 중에서 '노트북'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겠으나, 카테고리를 구분하여 정렬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군이 본 발명의 시스템 내지 방법에 의해 검색 및 출력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하겠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y using a 'notebook' among various products through specific drawing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products that can be sorted by category can be searched and output by the system or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say.

도면에서는 상품을 노트북으로 구분하고, 카테고리(category)를 제조사, 화면크기, 가격대로 구분하며, 해당 카테고리 내에서 각각의 분류 항목을 삼성(센스), LG(엑스노트), HP(컴팩)..., 10인치이하(넷북), 11인치, 12인치..., 40~50만원대, 60~70만원대, 80~90만원대, ...로 예시하여 검색결과 리스트를 출력하였다.In the drawing, products are divided into notebooks, categories are categorized by manufacturer, screen size, and price range, and each category is classified as Samsung (Sense), LG (Ex-Note), HP (Compact) .. 10, less than 10 inches (netbook), 11 inches, 12 inches ..., 40-500,000 won, 60-700,000 won, 80-900,000 won, ... the results of the list of results were printed.

상기 (a)단계(S150)는 노트북에 관하여 사용자가 검색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카테고리별(제조사, 화면크기, 가격대)로 구분되는 분류 항목(삼성(센스), LG(엑스노트), HP(컴팩)..., 10인치이하(넷북), 11인치, 12인치..., 40~50만원대, 60~70만원대, 80~90만원대, ...)을 화면상에 제공한다.Step (a) (S150) is a category (Samsung (Sense), LG (Exnote), HP (Compact) divided into categories (manufacturer, screen size, price range)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search conditions for the notebook ), 10 inches or less (netbook), 11 inches, 12 inches ..., 40-500,000 won, 60-700,000 won, 80-900,000 won, ...) on the screen.

다음으로, (b)단계(S250)는 상기 (a)단계(S150)를 통해 검색화면이 제공되면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노트북 제품 중에서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노트북을 찾기 위해 검색을 원하는 분류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이다.Next, step (b) (S250) is a search to provide a search screen through the step (a) (S150) the user searches for a notebook that meets the corresponding conditions from among various notebook products u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The step of selecting the desired category.

이 단계(S250)에서는 사용자가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여러 개의 분류 항목을 선택할 수도 있고, 반대로 원하지 않는 카테고리가 있는 경우 그 카테고리 내의 분류 항목을 전혀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is step (S250), the user may select several classification items in the same category, or conversely, if there is a category that is not desired, the user may not select any category items in the category at all.

마지막으로, (c)단계(S350)는 상기 (b)단계(S25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검색조건이 설정되면 상기 선택된 분류 항목에 따라 상위분류와 하위분류로 구분되는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하위 순서를 가변하여 출력한다(이하에서는 가변하여 출력된 리스트를 "가변형 리스트"라 약칭함).Finally, step (c) (S350), if the search condition is set by the user through step (b) (S250), the upper and lower order of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elected classification item Is output in a variable manner (hereinafter, the variable output list is abbreviated as "variable list").

이 단계(S350)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b)단계(S250)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을 상위분류와 하위분류로 구분되는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을 상위분류와 하위분류로 구분되는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할 수 있다.In this step (S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egory item selected in step (b) (S250) is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divided into a higher classification and a lower classification, and the unselected classification item is output. Can be displayed above the tree structure of each categor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categories.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b)단계(S250)에서 카테고리 중에 '제조사(삼성(센스))' 및 '화면크기(14인치)'를 선택한 경우에,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카테고리인 '가격대'를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하고, 선택된 카테고리인 '제조사'와 '화면크기'를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selects 'manufacturer (Samsung)' and 'screen size (14 inches)' among the categories in step (b) (S250), the remaining category that is not selected is 'Price List'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category tree structure, and the selected categories 'Manufacturer' and 'Screen size' are output at the bottom of the category tree structure.

이것은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조건에 일치하는 상품 중에서 그 외 선택되지 않은 다른 조건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출력해서 상품을 고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최종 제품에 보다 신속, 편리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allows the user to reach the final product he / she wants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by outputting the product by first considering the other conditions that are not selected among the products matching the search conditions selected by the user. For sake.

상기 "가변형 리스트"는 도 4(선택되지 않은 카테고리인 제조사를 트리구조의상위에 출력), 도 5(선택되지 않은 카테고리인 가격대를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 및 도 6(선택되지 않은 카테고리인 화면크기를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The " variable list " is shown in Figs. 4 (output of a non-selected category at the top of the tree structure), Fig. 5 (output of a non-selected category price range at the top of the tree structure) and Fig. 6 (unselected category) You can also check the screen size by printing it above the tree structure.

이때, 상기 (c)단계(S350)는 (b)단계(S250)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들 사이의 출력 우선순위를 정할 때에 카테고리별 트리구조 내에서 임의의(random) 상하위 순 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b)단계(S250)에서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들 사이의 출력 우선순위를 정할 때에도 동일(임의의 상하위 순서)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step (c) (S350) may be output in a random (upper and lower order) within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when determining the output priority between the classification items selected in (b) (S250). . This method may be equally applied (arbitrarily up and down order) even when determining output priorities between the classification items not selected in step (b) (S250).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c)단계(S350)가 (b)단계(S250)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들 사이의 출력 우선순위를 정하거나,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들 사이의 출력 우선순위를 정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 기 설정(default)된 상하위 순서대로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the step (c) (S350) is to determine the output priority between the classification items selected in step (b) (S250), or to determine the output priority between the classification items that are not selected. In this case, it can be configured to be output in the order of defaults set up and down as needed.

이것은 도 3(선택된 카테고리인 '제조사'와 '화면크기' 중에서 '제조사'를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 도 4(선택된 카테고리인 '화면크기'와 '가격대' 중에서 '가격대'를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 내지 도 5(선택된 카테고리인 '제조사'와 '화면크기' 중에서 '제조사'를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This is shown in FIG. 3 (outputting 'manufacturer' from the selected category 'Manufacturer' and 'screen size' to the top of the tree structure) and FIG. 4 (the 'price band' among the selected categories 'screen size' and 'price range' of the tree structure). Output to the top) through FIG. 5 ('manufacturer' among the selected categories 'manufacturer' and 'screen size' can be checked through the tree structur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c)단계(S350)에서는 상기 (b)단계(S250)에서 동일 카테고리 내의 분류 항목이 복수개가 선택되는 경우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복수개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단수개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c) (S350) whe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in the same category is selected in step (b) (S250)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selected in the same category by category The item may be output below the tree structure, and the category items selected by the singular number within the same category may be output above the tree structure.

이것은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조건에 일치하는 상품 중에서 선택된 분류항목이 적은 카테고리를 우선시하여 보다 일목요연하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최종 제품에 도달하는 루트를 간소화하여 최적 제품을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for the user to find the optimal product by simplifying the route to reach the final product desired by giving priority to the category having fewer selected categories among the products matching the search condition selected by the user.

도 6을 통하여 동일 카테고리 내의 분류 항목이 복수개가 선택된 '제조사' 카테고리가 동일 카테고리 내의 분류 항목이 단수개가 선택된 '가격대' 카테고리 보다 하위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상품을 편리하게 비교하도록 도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rough FIG. 6,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anufacturer' category in which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in the same category are selected is output below the 'price range' category in which a single category item in the same category is selected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ompare the products. .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은 상기 출력부(400)가 검색부(300)를 거쳐 가변 리스트를 출력할 때에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category search result list outpu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selected category item under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when the output unit 400 outputs the variable list through the search unit 300, Unselected category items can be displayed above the tree structure by category.

이에 더하여, 상기 출력부(400)는 동일 카테고리 내의 분류 항목이 복수개가 선택되는 경우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더 많은 개수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더 적은 개수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in the same category are selected, the output unit 400 outputs the number of classification items in which the more number is selected in the same category under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and in the same category, the smaller number. Will display the selected category at the top of the tre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가변형 리스트) 출력 시스템 및 방법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variable list)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로서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의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등의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등의 자기-광 매체(magnetic-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할 수 있는 특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Of course, special hardware devices may be includ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ic-optical media,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서(CPU),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대용량 기억장치, 입출력 인터페이스 외 기타 램(RAM), 롬(ROM), 씨디롬(CD-ROM) 등은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장치들이라 할 것이다.In addition, a processor (CPU), a network interface, a mass storage device, an input / output interface and other RAM, a ROM, a CD-ROM, etc., for implementing a category-based search result list outpu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Obvious device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art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it.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for each categ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출력된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3 to 6 are views showing a category-specific search results output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카테고리별 검색화면을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 category-specific search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8 및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에 의해 출력된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and 9 are diagrams showing a list of search results for each category output b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데이터베이스 200: 수신부100: database 200: receiving unit

300: 검색부 400: 출력부300: search unit 400: output unit

Claims (11)

해당 상품에 관한 카테고리별 분류 항목들이 구비된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a)단계;(A) providing a selection screen including category items for each of the corresponding products; 상기 카테고리별 선택 화면에서 검색을 원하는 분류 항목을 선택하는 (b)단계; 및(B) selecting a category to search for in the category selection screen; And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을 상위분류와 하위분류로 구분되는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b)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을 상위분류와 하위분류로 구분되는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해서, 상위분류와 하위분류로 구분되는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상하위 순서가 가변되도록 출력하는 (c)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The category items selected in step (b) are output under the category tree structu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categories, and the category items not selected in step (b) are classified into upper and lower categories. And outputting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e so that the upper and lower order of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categories is vari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c)단계는,Step (c) is, 상기 (b)단계에서 동일 카테고리 내의 분류 항목이 복수개가 선택되는 경우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복수개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단수개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Whe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in the same category are selected in step (b),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selected in the same category are output under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and the classification items in which a single number is selected within the same category are included in the tree structure. Method for outputting a list of search results for each category,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to the upp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c)단계는,Step (c) is, 상기 (b)단계에서 동일 카테고리 내의 분류 항목이 복수개가 선택되는 경우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더 많은 개수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의 하위에 출력하고, 동일 카테고리 내에서 더 적은 개수가 선택된 분류 항목을 트리구조의 상위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When a plurality of classification items in the same category are selected in the step (b), the classification items in which more numbers are selected in the same category are output to the lower part of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and the number of classification items in which a smaller number is selected in the same category.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for each category, which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tree structure.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상기 (c)단계는,Step (c) is,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 내에서 임의의 상하위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Method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for each category,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sorted item selected in the step (b) in any upper and lower order in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상기 (c)단계는,Step (c) is,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 내에서 임의의 상하위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Method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for each category,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sorted item not selected in the step (b) in any order in the category tree structure.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상기 (c)단계는,Step (c) is,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 내에서 기 설정된 상하위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Method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for each category,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sorting item selected in the step (b) in a predetermined top and bottom order within the tree structure for each category.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상기 (c)단계는,Step (c) is,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분류 항목을 카테고리별 트리구조 내에서 기 설정된 상하위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고리별 검색결과 리스트 출력 방법.Method for outputting a search result list for each category,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category item not selected in the step (b) in a predetermined top and bottom order within the category tree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121712A 2008-12-03 2008-12-03 A display method of search result by category type KR101030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712A KR101030189B1 (en) 2008-12-03 2008-12-03 A display method of search result by category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712A KR101030189B1 (en) 2008-12-03 2008-12-03 A display method of search result by category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265A KR20100063265A (en) 2010-06-11
KR101030189B1 true KR101030189B1 (en) 2011-04-20

Family

ID=4236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712A KR101030189B1 (en) 2008-12-03 2008-12-03 A display method of search result by category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1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79B1 (en) * 2014-04-25 2016-01-29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offering result of search, and file distribution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577A (en) * 2003-06-11 2003-06-25 진영수 Display method for research result in internet site
KR20040082275A (en) * 2004-01-15 2004-09-24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arranging a search result list using internet
KR20050041851A (en) * 2003-10-31 2005-05-04 김향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using search eng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577A (en) * 2003-06-11 2003-06-25 진영수 Display method for research result in internet site
KR20050041851A (en) * 2003-10-31 2005-05-04 김향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using search engine
KR20040082275A (en) * 2004-01-15 2004-09-24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arranging a search result list using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265A (en)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0394B2 (en) Intelligent product search method and system based on customer purchase behavior analysis
JP578533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8452806B2 (en) Automatic catalog search preview
US20130212089A1 (en) Search Result Categorization
US20170357698A1 (en) Navigating an electronic item database via user intention
US105285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JP6185379B2 (en) RECOMMENDATION DEVICE AND RECOMMENDATION METHOD
US201602031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alytics relating to entities
US9740747B2 (en) Similar design case example search apparatus
JP6696568B2 (en) Item recommendation method, item recommendation program and item recommendation device
JP5564622B1 (en) Sales system, sales apparatus, sales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les program, and sales method
JP2022523634A (en) Encoding text data for personal inventory management
KR101030189B1 (en) A display method of search result by category type
US201202905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US200900634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and relevance tuning search engine ranking functions
JP2007257142A (en) Interior guidance system
JP2007334706A (en)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10134788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levance site using chracteristic word of site
US11093517B2 (en) Evaluation result display method, evaluation result display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evaluation result display program
KR1009521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local informa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initial, medial and final sounds of hangul
JP2018195076A (en)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method, and determination program
US10255326B1 (en) Stopword inclusion for searches
Jabaily et al. Adding haystacks to our needles? Assessing changes in collection Composi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uncurated Packages
US10162907B2 (en) Ordering items within a list component of an application card based on bias parameters
JP6059595B2 (en) Content search result providing apparatus, content search result providing method, and content search result provid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