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189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189B1
KR101028189B1 KR1020030065199A KR20030065199A KR101028189B1 KR 101028189 B1 KR101028189 B1 KR 101028189B1 KR 1020030065199 A KR1020030065199 A KR 1020030065199A KR 20030065199 A KR20030065199 A KR 20030065199A KR 101028189 B1 KR101028189 B1 KR 101028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rget terminal
data
persona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689A (ko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18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18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들을 별도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메세지 전송의 형태로 소정의 정보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과, 유무선 접속을 통해 내장 정보들을 인접한 이동통신 단말기나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모두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 한정되므로 분실 또는 유실등의 경우로 정보가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저장된 데이터를 소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대상 단말기의 저장 데이터를 강제 전송시키기 위해 저장 데이터를 가진 대상 단말기에 전송 대상인 전달대상 단말기 전화번호를 비롯한 지시정보를 문자 메세지 형태로 제공하는 지시 단말기와, 상기 전송 지시 메세지를 수신 및 해석하여 지시된 전달대상 단말기에 개인 정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문자 메세지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대상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개인 정보 데이터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이용하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해당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정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하고 단말기 유실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INFORMATION DATA TRANSFER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전송 지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 과정을 보인 화면 수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대상 단말기 20: LMSC/MMSC
30: 전달대상 단말기 40: 지시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이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 데이터를 특정 전달대상 단말기에 강제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정보 이용 및 보존의 효율을 높이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실생활 전반에 혁신전인 변화가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휴대성에 의해 점차 이동통신 단말기를 항상 휴대 하는 사용자가 많아지면서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실 생활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에는 전화번호부나 일정을 관리해 주는 기능을 비롯하여 음성 정보, 음악 정보, 사진 및 동영상 정보와 같은 멀티미디어 개인 정보를 관리해주는 기능까지 포함된다. 이를 위해서 높은 성능의 제어기, 보다 화려한 표시부, 그리고 방대한 용량의 메모리가 적용된 모델이 속속 출시되고 있으며, 최신 모델의 경우 메모리 용량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 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90분 분량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크기의 메모리를 장착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점차 방대하고 다양한 개인 정보들이 저장되어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그에 따라 기존에 여러곳에 분산하여 관리하던 개인 정보들이 모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고 있으며, 개인적인 관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자체의 가치보다도 저장된 정보들의 가치가 더욱 중요한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하지만, 항상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기 때문에 이를 분실하는 경우가 대단히 많으며, 지리적으로 먼 거리에 두고 오거나 물리적으로 회수가 불가능한 지형 지물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유실할 수 밖에 없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별도로 보관하지 않은 경우라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중요한 정보가 메모장에 기록되어 있거나, 거래처나 관련자 전화번호등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라면 사회생활 전반에 큰 타격을 입을 수도 있게 된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를 별도로 백업하는 방법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여 소정의 정보를 메세지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법과, 데이터 케이블이나 근거리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인접한 이동통신 단말기나 개인용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뿐이므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이나 방법으로는 정보를 얻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라면 개인 정보의 소실이 불가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 정보들을 별도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메세지 전송의 형태로 소정의 정보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방법과, 유무선 접속을 통해 내장 정보들을 인접한 이동통신 단말기나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모두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 한정되므로 분실 또는 유실등의 경우로 정보가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저장된 데이터를 소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대상 단말기의 저장 데이터를 강제 전송시키기 위해 저장 데이터를 가진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데이터가 전달될 전달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전송할 저장 데이터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된 문자 메세지를 송신하는 지시 단말기와, 상기 메세지를 수신 및 해석하여 지시된 전달대상 단말기에 지시된 저장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문자 메세지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대상 단말기를 이용하도록 하여, 저장 데이터를 가진 대상 단말기를 직접 이용하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해당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개인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상기 대상 단말기의 데이터가 전송될 전달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전송 지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를 생성한 후 상기 대상 단말기에 전송하는 지시 단말기와; 상기 지시 단말기로부터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를 수신한 후 전송 지시 정보를 추출하여 그에 따라 소정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장문 혹은 멀티미디어 메세지 형태로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포함된 전달대상 단말기에 송출하는 대상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시 단말기에서 설정되는 전송 지시 정보에는 비밀번호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대상 단말기는 수신된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에서 획득한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여 인증된 경우에만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상 단말기와 지시 단말기는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를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를 해석하여 개인정보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는 기능을 모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실시예들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을 원하는 사용자 개인 정보가 저장되며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로 수신한 지시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장문 혹은 멀티미디어 메세지 형태로 지시된 전화번호에 전송하는 대상 단말기(10)와, 상기 대상 단말기(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단말기로 전송하기위해 필요한 지시 사항들을 문자 메세지 서비스(SMS)에 따른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로 제공하는 지시 단말기(40)와, 상기 대상 단말기(10)가 전송하는 장문 혹은 멀티미디어 형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달대상 단말기(3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멀티미디어 메세지 서비스 센터(MMSC)/장문 메세지 서비스 센터(LMSC)(20)는 상기 대상 단말기(10)가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보관하면서 상기 전달대상 단말기(30)가 접속하여 해당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시 단말기(40)는 상기 대상 단말기(10)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 정보를 강제적으로 전송시키도록 하는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를 생성하는 기능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상기 대상 단말기(10)의 전화번호, 상기 대상 단말기(10)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를 통해 인증을 실시하기위한 비밀번호, 하나 이상의 전달대상 단말기(30)의 전화번호, 그리고 전달대상 단말기(30)에 전송할 데이터의 종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이를 소정의 구별 인덱스를 포함한 단문 메세지로 생성하여 입력된 대상 단말기(10)의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메뉴를 새롭게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정보들 외에도 다른 부가적인 정보들을 더 설정하도록 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범위를 지정 하는 등의 세부 설정을 추가할 수 있으며, 전송 데이터 종류 정보등을 생략하여 기 지정된 개인 정보 데이터가 자동으로 추출되어 전송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전송 지시 정보의 모든 구성원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데 주의한다.
이러한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를 생성하는 메뉴는 완전히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가지도록 할 수 있지만, 이미 구현되어 있는 단문 메세지 전송 기능의 인터페이스를 약간 변경하는 것 만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체적인 인터페이스의 구현예는 이후 도 2를 설명하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시 단말기(40)로부터 생성된 데이터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를 수신하는 대상 단말기(10)는 내부적으로 단문 메세지를 수신하여 포함된 소정의 인덱스 정보에 의해 일반적인 단문 메세지와 데이터 전송 지시를 위한 단문 메세지를 구별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지시를 위한 단문 메세지를 분석하여 포함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인덱스 및 단문 메세지의 구성 포멧은 지시 단말기(40)와 대상 단말기(10) 사이에 약속된 포멧에 따르며 이는 개발 단계에서 결정될 수 있으므로 수신된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의 파싱(parsing) 및 정보 추출은 약속된 포멧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상 단말기(10)는 수신된 메세지에 포함된 비밀번호를 기 설정된 자신의 비밀번호와 비교하는 것으로 지시 단말기(40) 사용자를 인증하게 되며,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에만 개인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실시된다. 만일 인증이 성공한다면, 전송할 데이터 종류를 확인하여 해당 데이터를 장문 메세지나 멀티 미디어 메세지로 생성하여 이를 포함된 전달대상 단말기(30)의 전화번호로 전송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달대상 단말기(30) 뿐만 아니라 지시 단말기(40)에도 개인 정보 데이터가 전송되는데, 이는 지시 단말기(40)에서 자신의 전화번호도 전달대상 단말기들 중 하나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지시 단말기(40)가 아닌 다른 전달대상 단말기(30)에만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전송할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의 정보, 문서들의 정보, 음성이나 사진을 비롯한 멀티미디어 정보들을 선택적으로 지시하는 정보이다. 이를 통해 꼭 필요한 개인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빠르게 전송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나, 설계 단계에서 이러한 데이터 종류의 지시 없이 기 설정된 개인 정보들만 전송하도록 결정될 수도 있다는데 주의한다.
상기 대상 단말기(10)와 지시 단말기(40)는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를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를 해석하여 개인정보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는 기능을 모두 구비하도록 하여, 이러한 기능을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지시 단문 메세지를 해석하여 개인정보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는 기능만을 일반 단말기에 포함시키고 지시 단말기(40)의 기능은 서비스 센터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정보 무단 획득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대상 단말기(10)가 개인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전달대상 단말기(30)는 수신되는 장문 메세지 혹은 멀티미디어 메세지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는 일반적인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신되는 메세지를 문서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받아들여 사용자가 이를 참조하여 개인정보 설정을 다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혹은, 수신된 개인정보 데이터를 구분하여 종류별 저장 영역에 자동적으로 저장한 후 관리 기능과의 연동 설정을 실시하도록 하는 별도의 기능을 부가하는 것으로 개인 정보 데이터를 대상 단말기(10)의 설정 상태와 유사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전달대상 단말기(30)에 이미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그에 따른 처리로서 후속 영역에 데이터를 저장한다거나 이전 데이터를 덮어쓴다거나하는 작업을 선택적 혹은 일괄적으로 실시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구체적인 적용예들은 당 업자라면 용이하게 첨삭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못한다. 기존의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새로운 단말기에 이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라면 첨차 메모리가 확대되는 추세에 비추어 용량면에서 무리가 없을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데이터 전송 지시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 과정을 보인 화면 수순도로서, 지시 단말기에서 전송 지시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단문 메세지 생성 인터페이스를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부적인 소프트웨어 변경의 부담이 작아지게 된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송 지시 정보를 입력하는 메뉴에 진입하면 일반적인 단문 메세지 생성 및 동보전송을 위한 메뉴구조와 유사한 메뉴가 나타나는데, 소정의 포멧에 따라 입력해야 할 정보의 종류를 선언하고 있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문장으로 해당 입력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고 사용자가 해당 정 보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문장이 사라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고, 이러한 설명 없이 빈 공간들만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 2b와 같이 상기 받는이 입력란에 차례로 개인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 인증을 위한 비밀번호, 다수의 전달번호들을 입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지시 정보의 구성원들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그리고, 도 2c와 같이 문장 입력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메뉴 기능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내용들을 선택하여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이렇게 입력된 내용은 대상 단말기에서 해석할 수 있는 포멧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문장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할 데이터의 종류를 지시하도록 하였지만, 체크 표시가 가능한 별도의 선택 메뉴를 부가하는 등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개인 정보가 저장된 대상 단말기를 원격 조작하여 원하는 정보를 지시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대상 단말기를 직접 이용하지 않고서도 개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어 개인 정보 손실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은 대상 단말기의 저장 데이터를 강제 전송시키기 위해 저장 데이터를 가진 대상 단말기에 전송 대상인 전달대상 단말기 전화번호를 비롯한 지시정보를 문자 메세지 형태 로 제공하는 지시 단말기와, 상기 전송 지시 메세지를 수신 및 해석하여 지시된 전달대상 단말기에 개인 정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문자 메세지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대상 단말기를 구비함으로써, 개인 정보 데이터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직접 이용하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해당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정보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하고 단말기 유실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대상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에 대한 전송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전송 지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송 지시 단문 메시지를 상기 대상 단말기에 전송하는 지시 단말기; 및
    상기 지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송 지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전송 지시 단문 메시지로부터 상기 전송 지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송 지시 정보에 따라 개인정보 데이터를 장문 혹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태로 상기 전송 지시 정보에 포함된 전달대상 단말기에 전송하는 대상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지시 단말기에서 설정되는 상기 전송 지시 정보는 상기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 상기 전달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전송될 개인정보 데이터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될 개인정보 데이터의 종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 지시 단문 메시지 내용에 입력된 문장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전송 지시 단문 메시지 내용에 입력된 문장을 해석하여 상기 전송될 개인정보 데이터의 종류를 추출하고, 개인정보 데이터 중 해당 종류의 데이터만을 상기 전달대상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대상 단말기는 상기 대상 단말기로부터 장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장문 메시지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로부터 개인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개인정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전달대상 단말기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
  8. 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 전달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전송될 개인정보 데이터의 종류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단말기의 개인정보 데이터 중 해당 종류의 데이터만을 상기 전달대상 단말기로 전송할 것을 지시하는 전송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대상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말기 데이터 전송 방법.
  9. 지시 단말기로부터 전달대상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전송될 개인정보 데이터의 종류를 지정하는 전송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상기 전송 지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전송 지시 정보에 따라 개인정보 데이터 중 해당 종류의 데이터만을 상기 전달대상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단말기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30065199A 2003-09-19 2003-09-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 KR101028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199A KR101028189B1 (ko) 2003-09-19 2003-09-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199A KR101028189B1 (ko) 2003-09-19 2003-09-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689A KR20050028689A (ko) 2005-03-23
KR101028189B1 true KR101028189B1 (ko) 2011-04-11

Family

ID=37385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199A KR101028189B1 (ko) 2003-09-19 2003-09-19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1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387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분실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KR20010044083A (ko) * 2000-08-18 2001-06-05 강민구 분실된 휴대단말의 개인 정보보호 방법
JP2002111858A (ja) 2000-09-28 2002-04-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置き忘れ対策機能内蔵携帯電話機
KR20020090455A (ko) * 2001-05-25 200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387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분실된 이동 단말기에 내장된 데이터 보호 방법 및 이에 관한 기록매체
KR20010044083A (ko) * 2000-08-18 2001-06-05 강민구 분실된 휴대단말의 개인 정보보호 방법
JP2002111858A (ja) 2000-09-28 2002-04-12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置き忘れ対策機能内蔵携帯電話機
KR20020090455A (ko) * 2001-05-25 200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689A (ko)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3337B1 (en) Electronic mail creating apparatus and method, portab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he same
EP1453639B1 (en) Selective media capture via a communication device
EP1811760A1 (en) Mobile telephone and file sharing method thereof
CN101461175A (zh) 使用视觉口令方案的系统和方法
CN101110853A (zh) 具有遗失保护功能的可携式通讯装置及其遗失保护方法
CN114827914B (zh) 短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1815128A (zh) 一种销毁终端数据的方法及装置
KR2012006825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및 장치
CN1925685B (zh) 电子设备、数据处理系统、数据处理方法和记录介质
KR2013007264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첨부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100449B (zh) 一种图片分享方法及移动终端
CN102970401A (zh) 一种记录联系人信息的方法及装置
US8452262B2 (en) Terminal device
CN100477689C (zh) 限制移动通信终端中的数据存储功能的方法
KR1010281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데이터 전달 시스템
KR101034461B1 (ko) 전화통화를 이용한 통화자 정보의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094366A (zh) 在移动终端中设置内容文件的播放列表的方法和设备
KR100641661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0455081C (zh) 一种扩展用户卡中记录信息的方法
CN101621577B (zh) 一种短信处理方法及其终端
JP2006254014A (ja) 辞書検索システム
KR100924119B1 (ko) Scws 멀티미디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N101772204B (zh) 一种访问ngms卡的方法及设备
CN101887411B (zh) 一种编码方法和编码装置
KR100661561B1 (ko) 등급을 이용한 데이터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