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117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117B1
KR101027117B1 KR1020080119835A KR20080119835A KR101027117B1 KR 101027117 B1 KR101027117 B1 KR 101027117B1 KR 1020080119835 A KR1020080119835 A KR 1020080119835A KR 20080119835 A KR20080119835 A KR 20080119835A KR 101027117 B1 KR101027117 B1 KR 10102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streaming data
content
mobile commun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989A (ko
Inventor
이재한
김민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1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1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녹화 방법은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생 과정에서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요청되면 기 설정된 서버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녹화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가 종료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녹화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 적절 여부를 판단하여 동시 수행이 부적절한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녹화를 요청할 수 있다.
VOD(Video on Demand), 동영상, 녹화, 스트리밍(streaming)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RECORDING CONTENTS IN MOBILE COMMUNICATION STATIONS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녹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문형 비디오(VOD) 등과 같은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영상 재생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기 설정된 서버로 동영상 녹화를 요청하여 녹화된 동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통신 단말기는 장거리 의사 소통 수단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들에게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이동 중에도 편리하게 의사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필수품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의 성능이 향상되고, 메모리의 리소스가 증대됨에 따라 종래의 이동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방면에서 여러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와 같은 동영상 컨텐츠 서비스로 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받거나 해당 동영상을 일정 금액을 과금한 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화면에 재생하고 재생되는 동영상을 녹화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고품질의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중앙 처리 장치(CPU) 사용률이 거의 80[%] 이상이 될 수 있고, 따라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녹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것이 힘든 실정이다. 예컨대, 동영상의 재생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중앙 처리 장치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여 프레임이 깨지거나 화면이 일그러지는 등의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중앙 처리 장치의 사용률을 줄여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함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동시 수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컨텐츠 녹화 방법은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생 과정에서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요청되면 기 설정된 서버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녹화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가 종료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녹화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 적절 여부를 판단하여 동시 수행이 부적절한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녹화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컨텐츠 녹화 시스템은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데 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요청되면 기 설정된 서버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녹화를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녹화가 종료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녹화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나아가, 기 설정된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 적절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청부는 상기 판단부에 의해 동시 수행이 부적절하다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녹화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녹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기(110), 웹서버(120), 제1 데이 터베이스(DB)(130), 스트리밍 서버(140) 및 제2 DB(150)를 포함한다.
웹서버(12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1 DB(130)의 검색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이때, 웹서버(120)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가 요청되면 제1 DB(130)로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인증키를 요청하여 제1 DB(130)에 의해 생성된 인증키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DB(130)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웹서버(120)에 의해 특정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인증키가 요청되면 특정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인증키 정보(Session ID)를 생성한 후 생성된 인증키 정보와 특정 동영상 컨텐츠 정보를 맵핑하며, 생성된 인증키 정보(Session ID)를 웹서버(120)로 전달한다.
이때, 생성된 인증키 정보(Session ID)는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아이디(ID), 유알엘(URL), IP, 포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DB(130)는 스트리밍 서버(140)로부터 인증키 정보에 대한 확인이 요청되면 요청된 인증키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요청받은 인증키 정보에 대한 인증 결과를 스트리밍 서버(140)로 제공한다.
일 예로, 제1 DB(130)는 생성되어 기 저장된 Session ID와 스트리밍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Session ID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Session ID가 존재하는 경우 요청받은 인증키 정보에 대해 인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 의해 요청된 동영상 컨텐츠 를 제2 DB(150)로부터 수신하여 이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이때, 스트리밍 서버(1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요청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인증키 정보인 Session ID를 수신하고, 제1 DB(130)를 통해 요청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며, 인증이 성공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10)의 화면에 동영상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제2 DB(150)로부터 동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서버(140)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중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부터 녹화가 요청되는 경우 전송 중인 스트리밍 데이터를 녹화하고, 녹화가 종료되면 녹화된 동영상 컨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110)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DB(150)는 실제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스트리밍 서버(140)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가 요청되면 요청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버(140)로 제공한다.
이때, 제2 DB(150)는 라이브 방송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인 경우 라이브 방송을 실시간으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주는 실시간 인코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스트리밍 서버(140)로 요청하여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화면에 재생하고,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녹화가 요청되면 중앙 처리 장치 사용률을 확인하여 사용률이 기 설정된 기준률(예를 들어, 80%) 이상인 경우 스트리밍 서버(140)로 녹화를 요청하며, 녹화가 종료되면 스트리밍 서버(140)에 의해 녹화된 동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HTTP 접속을 통해 웹서버(120)에 접속하고, 웹서버(120)에서 제공되는 웹페이지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가 선택되면, 예를 들어, 동영상 보기 등이 선택되면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인증키 정보인 Session ID를 수신하며, 동영상 플레이어의 구동을 통해 스트리밍 서버(140)로 Session ID에 해당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요청함으로써, 스트리밍 서버(140)로부터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재생할 수 있다.
물론,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에 의해 녹화 요청된 시점에서 중앙 처리 장치 사용률이 기준률 미만인 경우 직접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110)에서의 녹화 또는 스트리밍 서버(140)에서의 녹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되는 기준률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하나의 값이 아닌 복수의 값이 될 수도 있고, 일정 범위를 갖는 값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중앙 처리 장치 사용률에 대한 조건 이외의 별도 조건을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일 예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되고 있는 시점에 녹화 요청되는 경우 스트리밍 서버(140)로 녹화를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일 예로,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푸쉬(push), 알람(alarm)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어플리케이션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녹화 요청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재생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메모리의 저장 가능 용량,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 상태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영상 컨텐츠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메모리의 저장 가능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 저장 용량 이하인 경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이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수신감도가 기 설정된 기준 수신감도 이하인 경우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 상태가 불안정한 것으로 판단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및 녹화가 단말기에서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부적절하다 판단할 수도 있다.
물론, 도 1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및 녹화가 부적절하다 판단되는 경우 스트리밍 서버(140)로 동영상 컨텐츠 녹화를 요청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별도의 서버(미도시)로 녹화를 요청하여 녹화를 수행하고 녹화가 종료되면 해당 서버로부터 녹화된 동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트리밍 서버(140)로 녹화를 요청하고 스트리밍 서버(140)로부터 녹화된 동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녹화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동영상 뿐만 아니라 재생과 녹화를 동시에 수행하기 부적절한 컨텐츠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기 바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 녹화 시스템은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 중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녹화를 단말기에서 직접 수행하거나 스트리밍 서버에서 수행하게 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및 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의 녹화를 스트리밍 서버에서 수행하게 함으로써, 단말기에서의 중앙 처리 장치 사용률을 줄여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함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동시 수행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10)는 수신부(210), 재생부(220), 판단부(230), 요청부(240) 및 녹화부(25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한다.
물론, 수신부(210)는 웹서버로 요청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인증키 정보 즉, Session ID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동영상 녹화가 종료되면 스트리밍 서버로 요청되어 녹화된 동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재생부(220)는 수신된 스트리밍 데이터를 구동된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화 면에 재생시킨다.
판단부(230)는 동영상 컨텐츠 재생 중 사용자에 의해 녹화가 요청되면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과 녹화가 동시에 수행이 적절한지 그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동영상 녹화 요청 시 중앙 처리 장치 사용률과 기 설정된 기준률 예를 들어, 80[%]을 비교하여 사용률이 기준률 이상인 경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녹화의 동시 수행이 부적절하다 판단할 수 있고, 동영상 컨텐츠 재생과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동시 수행되는 경우 녹화 수행이 부적절하다 판단할 수 있으며, 메모리의 저장 가능 용량 또는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 상태에 따라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 적절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요청부(240)는 판단부(230)에 의한 판단 결과, 단말기에서 직접 녹화가 부적절하다 판단되는 경우 스트리밍 서버로 녹화를 요청한다.
이때, 요청부(240)는 웹서버로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으며, 수신부(210)로 수신된 인증키 정보를 스트리밍 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를 요청할 수도 있다.
녹화부(250)는 판단부(230)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과 녹화의 동시 수행이 적절하다 판단되면 동영상 플레이어에 의해 재생중인 동영상 컨텐츠를 단말기에 직접 녹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녹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 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웹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예를 들어,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여 HTTP 접속을 통해 웹서버에 연결하고, 웹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웹서버로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웹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1 DB로 요청하고, 제1 DB는 요청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인증키 정보 즉, Session ID를 생성하여 해당 동영상 컨텐츠 정보와 맵핑하고 웹서버로 인증키 정보를 전송하며, 웹서버는 인증키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제공한다(S310)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인증키 정보를 기초로 선택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동영상 플레이어를 구동시킨 후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서버로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접속 요청하고, 스트리밍 서버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인증키 정보인 Session ID를 제1 DB에서 검색하여 인증키 정보를 확인하며, 인증키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즉, 인증이 성공되면 제1 DB를 통해 수신된 동영상 컨텐츠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달한다(S320).
이동 통신 단말기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셋업 과정(setup request와 setup response 과정) 후, 스트리밍 서버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재생을 요청받으면, 제2 DB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트리밍 데이터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는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동영상 플레이어를 통해 화면에 재생한다(S330, S340).
이동 통신 단말기는 동영상 컨텐츠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화면에 재생 중 사용자에 의해 녹화 버튼이 입력되면 즉, 녹화가 요청되면 스트리밍 서버로 동영상 컨텐츠의 녹화를 요청한다(S350).
스트리밍 서버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녹화하고,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녹화 종료가 수신되면 녹화를 종료한 후 녹화된 동영상 컨텐츠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360).
물론,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녹화 요청된 경우 단말기에서의 녹화 적절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단말기에서 직접 녹화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스트리밍 서버로 녹화를 요청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일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단계 S351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리밍 서버로 녹화를 요청하는 단계(S351)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재생 중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녹화 요청되면 즉, 재생 중인 동영상 컨텐츠 중에서 녹화하고자 하는 부분에서 녹화 버튼이 입력되면 중앙 처리 장치(CPU) 사용률을 확인하고, CPU 사용률과 기 설정된 CPU 기준률을 비교한다(S410, S420).
단계 S420 판단 결과, 사용률이 기준률 이상인 경우 단말기에서 녹화가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 3에 도시된 단계 S351 즉, 스트리밍 서버로 녹화를 요청 하고, 단계 S360 과정을 수행한다(S450).
반면, 단계 S420 판단 결과, 사용률이 기준률 미만인 경우 단말기에서의 직접 녹화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여 단말기에서 직접 녹화를 수행하고, 사용자에 의해 녹화 종료가 선택되면 녹화된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한다(S430, S440).
물론, 본 발명에서 재생 중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단말기에서의 직접 녹화 적절 여부를 CPU 사용률이 아닌 다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다른 일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단계 S351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리밍 서버로 녹화를 요청하는 단계(S351)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재생 중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녹화 요청되면 사용 가능한 메모리 저장 가능 용량을 확인하고, 저장 가능 용량과 단말기에서의 직접 녹화 적절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 설정된 기준 용량을 비교한다(S510, S520).
단계 S520 판단 결과, 저장 가능 용량이 기준 용량 미만인 경우, 상황에 따라 이하인 경우, 녹화가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여 도 3에 도시된 단계 S351을 수행하고, 단계 S360 과정을 수행한다(S550).
반면, 단계 S520 판단 결과, 저장 가능 용량이 기준 용량 이상인 경우, 상황에 따라 초과하는 경우, 단말기에서 직접 녹화를 수행하고, 사용자에 의해 녹화 종료가 선택되면 녹화된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한다(S530, S540).
도 4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이동 통신 단말기가 CPU 사용률 또는 메모리 저장 가능 용량을 통해 단말기에서의 직접 녹화 적절 여부를 판단하였지만, 이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재생과 녹화의 동시 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 예를 들어, 재생과 함께 기 설정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MMS Push, 알람 기능 등)이 수행되거나 이동 통신망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예컨대,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가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경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비록, 도 4와 도 5에서 상기 다양한 경우 중 하나만을 적용하여 단말기에서의 녹화 적절 여부를 판단하였지만,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우를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녹화 방법은 단말기에서 재생 중인 동영상 컨텐츠의 녹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녹화가 가능한 경우 단말기에서 직접 녹화를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스트리밍 서버로 요청하여 스트리밍 서버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녹화하도록 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재생 및 녹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녹화를 스트리밍 서버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단말기에서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등과 같은 동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영상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 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녹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녹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단계 S351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단계 S351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이동 통신 단말기
120: 웹서버
130: 제1 데이터베이스(DB)
140: 스트리밍 서버
150: 제2 데이터베이스(DB)

Claims (13)

  1.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의 재생 과정에서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요청되면 기 설정된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 적절 여부를 판단하여 동시 수행이 부적절한 경우 기 설정된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가 녹화되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녹화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가 종료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녹화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녹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중앙 처리 장치(CPU)의 사용률을 확인하여 상기 사용률이 기 설정된 기준률 이상인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녹화를 요청하는 컨텐츠 녹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요청된 시점에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녹화를 요청하는 컨텐츠 녹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MMS 푸쉬 및 알람 기능 중 어느 하나인 컨텐츠 녹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이 적절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녹화를 수행하는 컨텐츠 녹화 방법.
  7.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
    기 설정된 기준에 의거하여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 적절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재생되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녹화가 요청되면 상기 판단부에 의해 동시 수행이 부적절하다 판단되는 경우 기 설정된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가 녹화되도록 상기 서버로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녹화를 요청하는 요청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녹화가 종료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녹화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컨텐츠 녹화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 동시 수행이 적절한 경우 상기 녹화를 수행하는 녹화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녹화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중앙 처리 장치(CPU)의 사용률과 기 설정된 기준률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률이 상기 기준률 이상인 경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이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하는 컨텐츠 녹화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메모리의 저장 가능 용량이 기 설정된 기준 저장 용량 이하인 경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이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하는 컨텐츠 녹화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및 녹화의 동시 수행이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하는 컨텐츠 녹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수신감도가 기 설정된 기준 수신감도 이하인 경우 상기 이동 통신망과의 연결 상태가 불안정한 것으로 판단하는 컨텐츠 녹화 시스템.
KR1020080119835A 2008-11-28 2008-11-28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27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835A KR101027117B1 (ko) 2008-11-28 2008-11-28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835A KR101027117B1 (ko) 2008-11-28 2008-11-28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989A KR20100060989A (ko) 2010-06-07
KR101027117B1 true KR101027117B1 (ko) 2011-04-05

Family

ID=4236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835A KR101027117B1 (ko) 2008-11-28 2008-11-28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1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464A (ko) * 2005-08-24 2007-0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상 pvr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464A (ko) * 2005-08-24 2007-02-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상 pvr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989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99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a adaption
US105547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media renderers during streaming playback of content
US71070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on of media
US79965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and event information to a client
CN102036058B (zh) 视频监控系统中视频切换的方法、服务器、终端及系统
CN102014301A (zh) 一种视频播放方法、系统及服务器
CN110636339B (zh) 基于码率的调度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09049478A1 (fr) Procédé, système et dispositif pour lire un média diffusé en continu
US201202599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a network condition-based adaptive data streaming service
US8621576B2 (en) System and method of multimedia access
KR100739172B1 (ko) 의사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동영상 전송방법
KR20060123317A (ko) 콘텐츠 재생방법 및 콘텐츠 재생장치
CN101459976B (zh) 一种流媒体播放控制方法、设备及系统
CN1835506B (zh) 移动通信终端流媒体服务的提供方法及其流媒体服务系统
TWI431994B (zh) 多媒體檔案的播放方法、系統及其使用之電腦程式產品
WO2012041039A1 (zh) 数字电视终端访问互联网视频的方法及相关设备和系统
CN109587517B (zh) 一种多媒体文件的播放方法及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019594B1 (ko) 스트리밍 서비스의 버퍼링 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그 방법
KR1010271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녹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66385A (ko) 홈네트워크에서의 미디어 포맷 및 전송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 방법
KR100666125B1 (ko)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단말을 구비하는 홈 네트워크상에서의 ip 스트리밍 관리 시스템
KR100582353B1 (ko) 콘텐츠 제공서버와 단말기에서의 연속 재생 서비스제공방법
KR101819193B1 (ko) 실시간 파일 포맷 변환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WO2007137500A1 (fr) Système vidéo public et son procédé de mise en oeuvre
KR101858247B1 (ko) 통합 아이디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