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166B1 - 고유 식별 번호를 이용한 무선 단말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유 식별 번호를 이용한 무선 단말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166B1
KR101026166B1 KR1020090072284A KR20090072284A KR101026166B1 KR 101026166 B1 KR101026166 B1 KR 101026166B1 KR 1020090072284 A KR1020090072284 A KR 1020090072284A KR 20090072284 A KR20090072284 A KR 20090072284A KR 101026166 B1 KR101026166 B1 KR 101026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information
unique identification
service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8475A (ko
Inventor
정규석
Original Assignee
정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석 filed Critical 정규석
Publication of KR2010001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인터넷 서비스 방법은 무선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제공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번호를 입력받고, 고유 식별 번호 및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이 MSC(mobile switching center) 또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을 통하여, 고유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서비스 제공자가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에 따라, 무선 단말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통신 사업자가 지정한 포털 사이트에 종속되지 않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방식을 채택할 경우 고유 식별 번호의 URL 전환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과 상호 호환적이면서 독립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유 식별 번호를 이용한 무선 단말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Internet service method and system using identification number for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우저 또는 플랫폼이 탑재된 휴대폰이나 PDA 등을 이용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거나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무선 인터넷 전용으로 개발된 콘텐츠를 이용하거나 필요한 상거래 행위 등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은 유선 인터넷에 비해 접근 방법이나 휴대성이 뛰어난 반면, 전송 속도, 안정성 및 확장성 등에서는 미흡한 점이 있다. 하지만 3세대 이동 통신의 출현, WiMAX, WiBRO 등 고속 무선 접속 방식의 도입 및 스마트 폰 등의 출현으로 인해 이러한 부분은 상당히 개선되고 있다.
그런데 휴대폰 등의 입력 자판은 음성 통화를 위주로 구현된 관계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기에는 불편하고, 특히 URL 을 입력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각 이동통신사업자는 자신이 구축해 놓은 무선 포털 사이트에 우선 접속되도록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동통신사업자는 자신의 콘텐츠나 자신에게 등록된 CP(Content Provider)가 제공하는 콘텐츠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ISP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유선 대비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활성화가 느려지고 있으며, 특히 통신사업자가 네트워크와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하거나 관여하는 비개방적이며 독점적 상태는 사용자의 선택의 자유까지 제한하고 있다.
TCP-IP가 광범위하게 음성(Voice) 및 데이터(Data) 통신 프로토콜로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넷과 기존 음성 네트워크가 연동됨에 따라, ITU_T 에서 정의한 PSTN과 인터넷 네트워크의 구분이 불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음성 네트워크와 ITU_T에서 정의한 번호 체계를 활용하여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과 상호 호환적이며 독립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업과 대중에게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1 세기의 진정한 유비쿼터스 서비스(ubiquitous service)의 실현은 anytime, anyone, anyplace 뿐만 이니라, 상호 호환적이며 기능적으로 통합이 가능한 any network, any number의 수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에 ITU-T 에서 정의한 전화번호 등 ISP의 고유 식별 번호를 입력하면 고유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ISP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사업자가 지정한 포털 사이트 등에 종속되지 않고 원하는 ISP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인터넷 서비스 방법은 무선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제공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MSC(mobile switching center) 또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을 통하여, 상기 고유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 단말이 ISP의 고유 식별 번호를 사용하여 ISP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통신 사업자가 지정한 포털 사이트 등에 종속되지 않고 원하는 ISP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ISP의 고유 식별 번호로 X.121, E.164, E.168, E.212,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또는 부가 서비스 번호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번호 체계에 상응하는 번호를 사용하여 ISP에 직접 접속함으로써 중간에 번호를 URL 등으로 바꾸는 서버가 필요하지 않아 관리가 쉽고 비용이 절감되며, 기존 방식과 달리 고유 식별 번호는 사전에 ISP 번호로 등록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유선 인터넷 수준의 자유로운 ISP 제공이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무선 단말은 ISP로부터 무선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수신하여, 웹 페이지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지정된 포털 사이트 등을 거치지 않고 필요한 ISP에 직접 접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신속하게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휴대 전화의 종량제 요금제 하에서 인터넷 접속 비용이 절감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을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무선 단말(110), RAN(120), CN(130), PSTN(140), IP망(150), 및 ISP(160)로 구성되며, RAN(120)은 BTS(122) 및 BSC(124)를 포함하고, CN(130)은 MSC(132) 및 PDSN(134)을 포함한다. RAN(Radio Access Network:120)은 무선 단말(110)을 CN(Core Network:130)과 연결하고, CN(Core Network:130)은 RAN(120)을 PSTN(140)이나 IP망(150)에 연결한다.
무선 단말(110)은 휴대 전화(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및 기타 무선 통신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인터넷 전화 등을 포함하며, BTS(122)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ISP(160)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하거나, ISP(160)와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무선 단말(110)은 서비스 제공자의 고유 식별 번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고유 식별 번호 및 무선 단말 정보가 포함된 호(call)을 BTS(122)를 경유하여 BSC(124)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 정보는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 정보, 무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무선 단말이 지원하는 해상도 정보 및 무선 단말의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에서 부여한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호는 패킷 데이터 호(packet data call) 또는 서킷 교환 호(circuit-switched call) 중 어느 하나이다. 일 예로서 고유 식별 번호는 X.121, E.164, E.168, 212 등 ITU- T 에서 정의한 번호 체계에 상응한다. 다른 일 예로서 고유 식별 번호는 가상 사설망(VPN:Virtual Private Network)의 번호 체계에 상응한다. 또 다른 일 예로서, 고유 식별 번호는 부가 서비스를 나타내는 부가 서비스 번호이다. 무선 단말(110)은 ISP(160)로부터 웹 페이지를 수신하거나, ISP(160)로부터 정보 검색이나 상거래 등에 필요한 검색창을 수신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BTS(Base Transceiver System:122)는 지역적 담당범위(coverage area) 내에 위치한 무선 단말(11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단말(110)과 BSC(124)를 연결한다.
BSC(Base Station Controller:124)는 BTS(122)를 제어하고, 무선 단말(110)을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MSC(132)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PDSN(134)에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BSC(124)는 무선 단말(110)로부터 호를 전송받아, 전송받은 호가 패킷 데이터 호이면 MSC(132)에 패킷 데이터 호를 전송하고, 전송받은 호가 서킷 교환 호이면 PDSN(134)에 서킷 교환 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서킷 교환 호 및 패킷 데이터 호는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BTS(122)와 BSC(124)를 합하여 기지국(미도시)이라 칭하기로 한다.
MSC(Mobile Switching Center:132)는 RAN(120)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BSC(124)를 PSTN(140)에 연결하며, 서킷 교환 서비스(circuit-switched service)를 지원한다. 특히 MSC(132)는 무선 단말(110)로부터 BSC(124)를 경유하여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서킷 교환 호(circuit-switched call)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킷 교환 호를 PSTN(140)을 통해 고유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ISP(160)에 전송한다.
PDSN(Packet Data Switching Node:134)은 RAN(120)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BSC(124)를 IP망(150)에 연결하며, 패킷 교환 서비스(packet-switched service)를 지원한다. 특히 PDSN(134)은 무선 단말(110)로부터 BSC(124)를 경유하여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패킷 데이터 호(packet data call)를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 데이터 호를 IP망(150)을 통해 고유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ISP(160)에 전송한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160)는 MSC(132)와 PSTN(1140)을 통해 무선 단말 정보가 포함된 서킷 교환 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PDSN(134), BSC(124) 및 BTS(122)를 거쳐 무선 단말(11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무선 단말(110), BTS(122), BSC(124), PDSN(134), IP망(150) 및 ISP(160)로 구성된 경로(path)가 설정된다. 그리고 ISP(160)는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Web-page)를 무선 단말(110)에 전송함으로써, 무선 단말(110)이 전송된 웹 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ISP(160)는 정보 검색이나 상거래 등에 필요한 검색창을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ISP(Internet Service Provider:160)는 PDSN(134)과 IP망(150)을 통해 무선 단말 정보가 포함된 패킷 데이터 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PDSN(134), BSC(124) 및 BTS(122)를 거쳐 무선 단말(11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무선 단말(110), BTS(122), BSC(124), PDSN(134), IP망(150) 및 ISP(160)로 구성된 경로(path)가 설정된다. ISP(160)는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웹 페이 지(Web-page)를 무선 단말(110)에 전송함으로써, 무선 단말(110)이 전송된 웹 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ISP(160)는 정보 검색이나 상거래 등에 필요한 검색창을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무선 단말(110)은 접속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부가 서비스 번호를 입력받고, 무선 단말 정보 및 부가 서비스 번호가 포함된 호(call)를 BTS(122)와 BSC(124)를 경유하여 MSC(132)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부가 서비스는 700, 800, 060, 1588, 1566, 1544 의 국번을 가지는 정보 전화나 기타 유료 전화번호 등을 가지는 각종 부가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 정보는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 정보, 무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무선 단말이 지원하는 해상도 정보 및 무선 단말의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에서 부여한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 MSC(132)는 무선 단말 정보 및 부가 서비스 번호가 포함된 호를 수신하고, 무선 단말 정보가 포함된 서킷 교환 호(circuit-switched call)를 PSTN(140)을 통하여 부가 서비스 번호에 상응하는 ISP(160)에 라우팅한다.
단계 S230에서 ISP(160)는 라우팅된 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PDSN(134), BSC(124) 및 BTS(122)를 거쳐 무선 단말(11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무선 단 말(110), BTS(122), BSC(124), PDSN(134), IP망(150) 및 ISP(160)로 구성된 경로(path)가 설정된다.
단계 S240에서 ISP(160)는 수신된 호에 따른 무선 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Web-page)를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110)에 전송한다. 또한, ISP(160)는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이나 상거래 등에 필요한 검색창을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P(160)는 무선 단말(110)의 제조 회사에서 무선 단말(110)에 부여한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ISP(160)는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 정보, 무선 단말의 식별 번호(MIN) 및 무선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무선 단말(110)은 접속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제공자의 고유 식별 번호를 입력받고,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번호가 포함된 호(call)를 BTS(122)와 BSC(124)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110)은 유선 전화의 팩스 호(fax call) 처리와 같이 무선 단말 정보와 고유 식별 번호를 포함하는 호가 패킷 데이터 호(packet data call)임을 표시(mark)하여 BTS(122)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 정보는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 정보, 무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무선 단말이 지원하는 해상도 정보 및 무선 단말의 식별 번 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에서 부여한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BTS(122) 및 BSC(124)는 전송받은 호가 패킷 데이터 호임을 인식하여,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번호가 포함된 패킷 데이터 호를 PDSN(134)에 전송한다.
단계 S330에서 PDSN(134)은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번호가 포함된 호를 수신하고, 무선 단말 정보가 포함된 패킷 데이터 호를 IP망(150)을 통하여 고유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ISP(160)에 라우팅한다.
단계 S340에서 ISP(160)는 라우팅된 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PDSN(134), BSC(124) 및 BTS(122)를 거쳐 무선 단말(11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무선 단말(110), BTS(122), BSC(124), PDSN(134), IP 망(150) 및 ISP(160)로 구성된 경로(path)가 설정된다.
단계 S350에서 ISP(160)는 수신된 호에 따른 무선 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Web-page)를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110)에 전송한다. 또한, ISP(160)는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이나 상거래 등에 필요한 검색창을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P(160)는 무선 단말(110)의 제조 회사에서 무선 단말(110)에 부여한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ISP(160)는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 정보, 무선 단말의 식별 번호(MIN) 및 무선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5에서 무선 단말(110)은 접속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제공자의 고유 식별 번호를 입력받고,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번호가 포함된 호(call)를 BTS(122)를 경유하여 BSC(124)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 정보는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 정보, 무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무선 단말이 지원하는 해상도 정보 및 무선 단말의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에서 부여한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BSC(124)는 호(call)에 포함된 고유 식별 번호가 패킷 데이터 호(packet data call)로 지정된 번호인지를 검사한다.
단계 S415에서 BSC(124)는 단계 S410에서의 검사 결과 고유 식별 번호가 패킷 데이터 호로 지정된 번호이면,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번호가 포함된 패킷 데이터 호를 PDSN(134)에 전송한다.
단계 S420에서 PDSN(134)은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번호가 포함된 패킷 데이터 호를 수신하고, 무선 단말 정보가 포함된 패킷 데이터 호를 IP망(150)을 통하여 고유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ISP(160)에 라우팅한다.
단계 S425에서 ISP(160)는 라우팅된 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PDSN(134), BSC(124) 및 BTS(122)를 거쳐 무선 단말(11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무선 단 말(110), BTS(122), BSC(124), PDSN(134), IP망(150) 및 ISP(160)로 구성된 경로(path)가 설정된다.
단계 S430에서 BSC(124)는 단계 S410에서의 검사 결과 고유 식별 번호가 패킷 데이터 호로 지정된 번호가 아니면,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번호가 포함된 서킷 교환 호를 MSC(132)에 전송한다.
단계 S435에서 MSC(132)는 무선 단말 정보 및 고유 식별 번호가 포함된 서킷 교환 호를 수신하고, 무선 단말 정보가 포함된 서킷 교환 호를 PSTN(140)을 통하여 고유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ISP(160)에 라우팅한다.
단계 S440에서 ISP(160)는 단계 S435에서 라우팅된 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PDNS(134), BSC(124) 및 BTS(122)를 거쳐 무선 단말(11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무선 단말(110), BTS(122), BSC(124), PDSN(134), IP망(150) 및 ISP(160)로 구성된 경로(path)가 설정된다.
단계 S445에서 ISP(160)는 단계 S425 또는 단계 S440에서 설정된 경로(path)를 이용하여 수신된 호의 무선 단말 정보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Web-page)를 무선 단말(110)에 전송한다. 또한, ISP(160)는 단계 S425 또는 단계 S440에서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정보 검색이나 상거래 등에 필요한 검색창을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SP(160)는 무선 단말(110)의 제조 회사에서 무선 단말(110)에 부여한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ISP(160)는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 정보, 무선 단말의 식별 번호(MIN) 및 무선 단말의 가입자 정보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무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5)

  1. 무선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제공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MSC(mobile switching center) 또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을 통하여, 상기 고유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를 상기 무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이 MSC 또는 PDSN을 통하여, 상기 고유 식별 번호에 상응하는 서비스 제공자로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 식별 번호가 패킷 데이터 호로 지정된 번호이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PDSN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고유 식별 번호가 패킷 데이터 호로 지정된 번호가 아니면, 상기 기지국이 상기 MSC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넷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제공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고유 식별 번호 및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고유 식별 번호를 IP 주소의 연장으로 취급하여 중간 서버를 두어 URL로 전환하지 않고, 상기 고유 식별 번호를 그대로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 번호는
    IP 주소의 연장으로 ITU-T 가 권고한 X.121, E.164, E.168, E.212,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및 부가 서비스 번호와 같은 네트워크가 인식할 수 있는 번호 체계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 정보, 상기 무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상기 무선 단말이 지원하는 해상도 정보, 상기 무선 단말의 식별 번호(MIN,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및 상기 무선 단말의 제조 회사에서 부여한 전자 일련 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서비스 방법.
  5. 삭제
KR1020090072284A 2008-08-06 2009-08-06 고유 식별 번호를 이용한 무선 단말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26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7091 2008-08-06
KR1020080077091 2008-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475A KR20100018475A (ko) 2010-02-17
KR101026166B1 true KR101026166B1 (ko) 2011-04-05

Family

ID=4208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284A KR101026166B1 (ko) 2008-08-06 2009-08-06 고유 식별 번호를 이용한 무선 단말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1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877A (ko) * 2000-10-25 2001-01-05 이상철 숫자 기반 도메인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및시스템
KR20010097333A (ko) * 2000-04-21 2001-11-08 이군상 인터넷폰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장치 및 방법
KR20020058763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철 무선인터넷번호도메인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직접 접속방법
KR20040040321A (ko) * 2002-11-01 2004-05-12 송동일 숫자로 구성된 최상위도메인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33A (ko) * 2000-04-21 2001-11-08 이군상 인터넷폰의 인터넷 사이트 접속장치 및 방법
KR20010000877A (ko) * 2000-10-25 2001-01-05 이상철 숫자 기반 도메인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및시스템
KR20020058763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철 무선인터넷번호도메인을 이용한 무선인터넷 직접 접속방법
KR20040040321A (ko) * 2002-11-01 2004-05-12 송동일 숫자로 구성된 최상위도메인 시스템 및 그 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475A (ko)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8299B1 (en) Emergency call routing using an end node
US20060099931A1 (en) Automatic phone number to website linking system and method
JP4593303B2 (ja)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ローミング接続方法
KR100757757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US20030074412A1 (en)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for the same
KR10055653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101026166B1 (ko) 고유 식별 번호를 이용한 무선 단말 인터넷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70008919A1 (en) Value added services system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WO2005004448A1 (en) Caller id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KR101006484B1 (ko)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KR100757658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북마크 사이트 대기화면 배치방법
JP2013042455A (ja) 発信者番号通知プログラム、ゲートウェイサーバ、発信者番号通知システム及び発信者番号の通知方法
KR20090106122A (ko) 이동통신망에서 웹 사이트의 즐겨찾기 등록, 접속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단말장치
JP4790483B2 (ja) 移動通信端末
KR100727096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콜 발신/수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459048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접속 방법
KR1016582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ip 통신 방법 및 그 기능을 갖춘 서버
KR100840710B1 (ko) 국제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30705B1 (ko) 개방형서비스 기술을 이용한 자동전화걸기 포털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자동전화걸기서비스방법
KR10081479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전송 완료율 향상 방법 및 시스템
JP2001290839A (ja) 携帯電話機
KR100687660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100862514B1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및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장치
US20090213836A1 (en) Web page telephone system
KR20060020105A (ko) 웹브라우저에서 인터넷 전화의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