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553B1 -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 Google Patents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553B1
KR101025553B1 KR1020090118699A KR20090118699A KR101025553B1 KR 101025553 B1 KR101025553 B1 KR 101025553B1 KR 1020090118699 A KR1020090118699 A KR 1020090118699A KR 20090118699 A KR20090118699 A KR 20090118699A KR 101025553 B1 KR101025553 B1 KR 101025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transparent
traffic light
traf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최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철 filed Critical 최광철
Priority to KR1020090118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 광원과 다수의 광섬유 및 투명구슬을 이용한 눈부심이 전혀 없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LED 광원을 이용한 교통신호등에 있어서, LED 교통신호등 형틀 내부에 주입되는 고투명 에폭시 수지에 의해 고정되며 면발광체를 생성시키는 다수개의 투명구슬과;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과 연결되어 상기 LED의 광원을 전달하는 고순도 석영으로 만든 다수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 내부에 주입된 상기 고투명 에폭시 수지 상부에 위치하여 렌즈의 기능을 갖는 투명 평면판 및;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 입수된 빛을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와 연결된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에 전달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굴절 및 확산시켜 상기 교통신호등 형틀 전면에 부착된 상기 투명 평면판 전체에 고르게 면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LED가 갖는 빛의 직진성과 눈부심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이며, 또한 10개미만의 LED를 사용하여도 하나의 교통신호등을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기존의 LED 교통신호등에 비해 소비전력을 1/10로 줄일 수가 있고, 그리고 다수의 광섬유 중에서 일부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에 의해 면발광이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LED 교통신호등의 점 발광 장애처 럼 미관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는 독특한 효과를 갖는다.
LED, 교통신호등, 투명구슬, 광섬유, 면발광, 투명 평면판

Description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A traffic light with LED surface luminous device}
본 발명은 LED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LED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ED 광원과 다수의 광섬유 및 투명구슬을 이용한 눈부심이 전혀 없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CO2),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의 사용감소가 절실히 요구되는 가운데 조명분야에서도 소비전력과 자원낭비를 현저하게 줄이고 광원효율을 극대화하는 새로운 조명등의 개발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새로운 조명방식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으로 환경과 경제적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전압이 흐르면 스스로 빛으로 전환하는 화합물 반 도체이다.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LED가 개발됐던 초기에는 에너지 효율이 낮은 적색 LED가 주류를 이뤘다. 그러나 1990년대 일본의 니치아(Nichia)사가 질화갈륨(GaN)을 이용해 청색 LED를 개발했었고, 여기에 노란색 형광체를 가미해 백색을 구현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LED의 적용 범위가 휴대전화 등으로 확대됐다. 요즘엔 자동차 부품, 디스플레이, 교통신호등으로도 많이 쓰이고 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는 남아 있다.
특히 LED를 이용한 기존의 교통신호등은 평탄한 평면판 위에 LED 램프를 100 ~ 150여 개를 돌출시켜 교통신호등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LED를 사용하면서도 여전히 전력 소모가 높고 LED가 갖는 빛의 직진성과 눈부심이 심하여 운전자에게 피로감을 안겨다 주고 있다. 또한 교통신호등에 사용된 LED의 개수만큼 점등시 하나의 점으로 발광되는데 LED의 전원부에 습기나 부품의 하자로 몇 개 정도가 고장 날 경우엔 점등되지 않는 LED로 인해 미관상 보기도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교통신호등 형틀 내부에 투명 에폭시로 고정된 다수개의 투명구슬과 연결된 다수개의 광섬유에 소수의 LED 광원을 직접 조사시킴으로써,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및 확산시켜 교통신호등 형틀의 투명평면판 전체에 고르게 발광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한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ED 광원을 이용한 교통신호등에 있어서, LED 교통신호등 형틀 내부에 주입되는 고투명 에폭시 수지에 의해 고정되며 면발광체를 생성시키는 다수개의 투명구슬과: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과 연결되어 상기 LED의 광원을 전달하는 고순도 석영으로 만든 다수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 내부에 주입된 상기 고투명 에폭시 수지 상부에 위치하여 렌즈의 기능을 갖는 투명 평면판 및;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 입수된 빛을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와 연결된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에 전달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굴절 및 확산시켜 상기 교통신호등 형틀 전면에 부착된 상기 투명 평면판 전체에 고르게 면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은,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 내부에서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다층구조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은, 아크릴, 유리, 투명 플라스틱, 석영, 고투명 에폭시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는, 하나의 교통신호등에 1~10개를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는, 적색, 녹색, 황색 광원으로 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는,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다층구조를 갖는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 중에서 일부에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는,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다층구조를 갖는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 전체에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교통신호등 형틀 내부에 에폭시로 고정된 다수개의 투명 구슬과 연결된 다수개의 광섬유에 소수의 LED 광원을 직접 조사시킴으로써,
(1)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및 확산시켜 교통신호등 형틀의 투명 평면판 전체에 고르게 발광이 이루어지므로 눈부심을 줄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보다 더 높일 수가 있다.
(2) 다수의 광섬유와 투명구슬을 통해 LED의 빛을 전송하는 면발광체 방식이므로 10개미만의 LED를 사용하여도 하나의 교통신호등을 제작할 수가 있어 소비전력을 기존의 LED 교통신호등에 비해 1/10로 줄일 수 있다
(3) 다수의 광섬유 중에서 일부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투명구슬에 의해 면발광이 여전히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점 발광 장애처럼 미관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의 (가),(나)는 종래의 LED를 이용한 교통신호등에 대한 LED 교통신호등 및 LED 교통신호등의 점 발광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 시예에 따른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에 대한 적색 점등시 투명구슬과 광섬유에 의한 빛의 굴절 및 확산을 통해 면발광체를 생성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에 대한 녹색 점등시 투명구슬과 광섬유에 의한 빛의 굴절 및 확산을 통해 면발광체를 생성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에 대한 녹색 점등시 투명구슬과 광섬유에 의한 빛의 굴절 및 확산을 통해 면발광체를 생성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은, LED(Light Emitting Diode)(100), LED 교통신호등 형틀(200), 고투명 에폭시(Epoxy) 수지(300), 다수개의 투명구슬(400), 다수개의 광섬유(Optical Fiber)(500) 및 투명 평면판(600)으로 구성된다.
상기 LED(100)는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환경과 경제적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는 발광다이오드로서, 전압이 흐르면 스스로 빛을 발생시키는 일종의 화합물 반도체이다.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LED는 개발 초기에는 에너지 효율이 낮은 적색 LED가 주류를 이뤘지만, 1990년대 일본의 니치아(Nichia)사가 질화갈륨(GaN)을 이용해 청색 LED를 개발했었고, 여기에 노란색 형광체를 가미해 백색을 구현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교통신호등과 같은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므 로 여기서는 별도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여기서, 본원발명의 실시에 따르면 상기 LED(100)는, 하나의 교통신호등에 1~10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ED(100)는, 적색(Red), 녹색(Green), 황색(Yellow) 광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200)은, 경찰청 LED교통신호등 규격, 즉, LED 모듈(Module)의 크기는 Ø 300mm, 신호등 전체 규격은 1면3색인 경우 1,065× 355× 220mm, 1면4색은 1,420× 355× 220mm로 한다. 또한, 전력소모는 10 ∼ 15 Watt/색등, 사용전원은 220VAC, 60Hz, 광도 : 340 cd 이상, 역율(PF)은 0.9 이상, 내구수명은 약100,000시간, 사용온도는 -30°∼ +70℃로 규정에 따라 제작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은 고투명에폭시 수지(300), 다수개의 투명구슬(400) 및 광섬유(500)를 사용하여도 상기 규격 내에 충분히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LED 교통신호등 보다 중량을 줄이고 소비전력은 1/10로 줄일 수가 있다.
상기 고투명 에폭시 수지(300)는, 투명성· 내열성· 내광성이 뛰어난 접착제 및 경화제 수단으로,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을 상기 LED 교통신호등의 형틀(200) 내부에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층구조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최근 새롭게 개발된 고기능화 에폭시 수지는 고투명 에폭시 수지, 열가소 에폭시 수지, Tg레스에포키시 수지가 있다. 먼저 고투명 에폭시 수지는, 시르세스키오키산을 골격으로 하는 수지로 초기 투명성뿐만이 아니라, 열이나 빛의 폭로를 받아도 그 투명성을 유지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LED등의 광소자의 봉지에 검토되고 있다. 또한 열가소 에폭시 수지는, 액상 조성물로 종래의 에폭시 수지와 같은 작업성을 가지고 있지만, 경화 후 열가소성 수지가 되어 질긴 성질을 발휘하는 특징이 있으며, 리사이클· 리유스도 가능하고 연속 섬유를 고충전한 고성능인 열가소 FRP의 매트릭스 재료로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Tg레스에포키시 수지는, 가교 형성 과정의 제어에 의해 Tg가 존재하지 않는 고내열인 에폭시 수지 경화물을 형성시키는 기술이며, 내열용도, 특히 내열 복합재료에 검토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50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LED(100)의 광원을 굴절 및 확산시키는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을 봉지(혹은 고정)시키기 위해 고투명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은, 상기 LED(100)의 광원으로부터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500)가 입수한 적색, 녹색, 황색의 각각의 빛을 전달받아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및 확산시켜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200) 전면에 부착된 상기 투명 평면판(600)에서 면발광체(700)를 생성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200) 내부에 주입된 고투명 에폭시 수지(300)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은,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200) 내부에서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다층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은, 아크릴, 유리, 투명 플라스틱, 석영, 에폭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500)는, 상기 LED(100)의 광원을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500)는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과 연결되며 고순도 석영으로 만든 유리섬유의 일종이다. 광섬유는 보통 0.1 밀리미터보다 얇게 이루어져 있고, 유리나 플라스틱을 이용해 만들고 있다. 광섬유는 좁은 공간에서 많은 선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광섬유의 원리를 설명하면, 광섬유는 코어와 클래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둥근 코어를 클래딩으로 균일하게 감싼 형태로 만들어진다. 코어는 굴절율이 큰 물질로 이뤄지며, 클래딩은 굴절율이 작은 물질로 이뤄진다. 코어와 클래딩을 만드는 형식은 두 가지가 있는데, 그 중 첫 번째는 코어와 클래딩을 명백히 구분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명백히 구분할 수 있는 광섬유는 코어와 클래딩의 반사부에서 일어나는 전반사를 사용하며, 두 번째는 코어와 클래딩을 구분할 수 없는 방식으로 큰 굴절율을 갖는 물질로 균일한 코어를 만든 뒤에 이물질을 침투시켜 표면에 가까운 부위의 굴절율을 작게 만드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중심에서 표면에 이르기까지 굴절율이 연속적으로 변하기에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고, 중심부에서 벗어나는 빛은 서서히 중심으로 휘어지도록 굴절되어 거시적으로 전반사가 일어난 것처럼 보이도록 만든 광섬유다. 또한 광섬유 내부에서 움직이는 빛은 솔리톤의 성질을 띠기 때문에 일반적인 광학적 빛의 성질과는 다르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500)는,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200) 내부에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다층구조를 갖고 고정되는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 중에서 일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500)는,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200) 내부에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다층구조를 갖고 고정되는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의 전부(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투명 평면판(600)은,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200) 전방에 부착되는 일종의 투명 플라스틱 렌즈의 기능을 갖고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200) 내부에 주입된 고투명 에폭시 수지(300) 층의 상부를 덮는 수단으로, 상기 LED(100)의 광원으로부터 전달된 적색, 녹색, 황색의 각각의 빛을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및 확산시켜 상기 투명 평면판(600)상에 생성된 면발광체(700)를 스크린 시킨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시에 따르면 상기 LED(100) 광원으로부터 입수된 적색, 녹색, 황색으로 하는 각각의 빛을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500)가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에 전달하고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500)에서 전달된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및 확산시켜 상기 고투명 에폭시 수지(300) 층을 통해 상기 교통신호등 형틀(200) 전면에 부착된 투명 평면판(600) 전체에 고르게 면발광체(700)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LED가 갖는 빛의 직진성과 눈부심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이며, 또한 10개미만의 LED를 사용하여도 하나의 교통신호등을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기존의 LED 교통신호등에 비해 소비전력을 1/10로 줄일 수가 있고, 그리고 다수의 광섬유 중에서 일부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수개의 투명구슬(400)에 의해 면발광체(700)가 생성되므로 기존 의 LED 교통신호등의 점 발광 장애처럼 미관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의 (가),(나)는 종래의 LED를 이용한 교통신호등에 대한 LED 교통신호등 및 LED 교통신호등의 점 발광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면발광 LED 교통신호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면발광 LED 교통신호등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면발광 LED 교통신호등에 대한 적색 점등시 투명구슬과 광섬유에 의한 빛의 굴절 및 확산을 통해 면발광체가 생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면발광 LED 교통신호등에 대한 녹색 점등시 투명구슬과 광섬유에 의한 빛의 굴절 및 확산을 통해 면발광체가 생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이용한 면발광 LED 교통신호등에 대한 황색 점등시 투명구슬과 광섬유에 의한 빛의 굴절 및 확산을 통해 면발광체가 생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LED 200 : LED 교통신호등 형틀
300 : 고투명 에폭시 수지 400 : 다수개의 투명구슬
500 : 다수개의 광섬유 600 : 투명 평면판
700 : 면발광체

Claims (7)

  1. LED(100) 광원을 이용한 교통신호등에 있어서.
    LED 교통신호등 형틀(200) 내부에 주입되는 고투명 에폭시 수지(300)에 의해 고정되며 면발광체를 생성시키는 다수개의 투명구슬(400)과: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에 연결되어 상기 LED의 광원을 전달하는 고순도 석영으로 만든 다수개의 광섬유(500)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 내부에 주입된 상기 고투명 에폭시 수지 상부에 위치하여 렌즈의 기능을 갖는 투명 평면판(600) 및;
    상기 LED 광원으로부터 입수된 빛을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와 연결된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에 전달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굴절 및 확산시켜 상기 교통신호등 형틀 전면에 부착된 상기 투명 평면판 전체에 고르게 면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은, 상기 LED 교통신호등 형틀 내부에서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다층구조를 갖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은, 아크릴, 유리, 투명 플라스틱, 석영, 고투명 에폭시 수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하나의 교통신호등에 1~10개를 사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적색, 녹색, 황색 광원으로 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는,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다층구조를 갖는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 중에서 일부에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광섬유는, 규칙적 혹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다층구조를 갖는 상기 다수개의 투명구슬의 전체에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 여 특징으로 하는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KR1020090118699A 2009-12-02 2009-12-02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KR101025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99A KR101025553B1 (ko) 2009-12-02 2009-12-02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699A KR101025553B1 (ko) 2009-12-02 2009-12-02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553B1 true KR101025553B1 (ko) 2011-03-31

Family

ID=4393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699A KR101025553B1 (ko) 2009-12-02 2009-12-02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5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2991A (zh) * 2012-06-19 2012-10-10 李淑声 一种led导光纤维的信号灯
ES2525961A1 (es) * 2014-02-10 2015-01-02 Universidad De Granada Señal luminosa modificad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456B1 (ko) 2007-11-21 2008-07-21 백석만 운전자용 보조 신호등
KR20090006961A (ko) * 2007-07-13 2009-01-16 조한진 일체형 탄성받침 거동량 보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961A (ko) * 2007-07-13 2009-01-16 조한진 일체형 탄성받침 거동량 보정장치
KR100847456B1 (ko) 2007-11-21 2008-07-21 백석만 운전자용 보조 신호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2991A (zh) * 2012-06-19 2012-10-10 李淑声 一种led导光纤维的信号灯
ES2525961A1 (es) * 2014-02-10 2015-01-02 Universidad De Granada Señal luminosa modificad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8683A1 (en) High-voltage linear led lighting with diffusing additive in covering
CN102378928B (zh) 发光装置及照明设备
CN104246360B (zh) 照明装置
CN101451682B (zh) 环形照明装置
US20180017227A1 (en) Fiber optic light panel with homogeneous light output
US20140218919A1 (en) Led lens and led module for two-sided lighting, and led two-sided lighting apparatus using same
CN102042516A (zh) 照明装置
CN105627191A (zh) 发光模块
KR101025553B1 (ko) Led 면발광체를 갖는 교통신호등
KR20110088130A (ko) 양면 조명용 led 렌즈와 led 모듈 및 이를 이용한 led 양면 조명장치
CN102529802A (zh) 一种汽车仪表指针表盘的照明系统
CN101532642B (zh) 发光单元
CN102330950A (zh) 光学系统
KR20220139275A (ko) 차량용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CN203273679U (zh) 带状自由曲面led灯具光学面罩
KR102334846B1 (ko) 광 전달을 이용하는 신호 알림 장치
CN210568135U (zh) 一种用于替代卤素灯泡的led发光装置
CN202747068U (zh) 330°发光的led球泡灯
CN202834837U (zh) Led日光灯
CN2879217Y (zh) 受照发光光学透镜
CN205261363U (zh) 一种灯具
CN202429118U (zh) 一种仪表指针表盘的照明系统
KR101053548B1 (ko) Led 면발광체를 이용한 부분보수 도로표지판
CN103712164A (zh) 导光棒结构
CN210572833U (zh) 一种用于显示模组的背光透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