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407B1 -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407B1
KR101024407B1 KR1020030098188A KR20030098188A KR101024407B1 KR 101024407 B1 KR101024407 B1 KR 101024407B1 KR 1020030098188 A KR1020030098188 A KR 1020030098188A KR 20030098188 A KR20030098188 A KR 20030098188A KR 101024407 B1 KR101024407 B1 KR 101024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command
home serv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7307A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4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67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집안의 가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홈 자동화 시스템은 이동통신 무선망을 통해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어 명령어를 수신하여 이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망 연동 장치와,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명령어를 수신하는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명령어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는 가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HOME AUTOMATION SYSTEM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홈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홈 자동화 제어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이동통신 단말기 2 : 기지국 제어기(BSC)
3 : 망 연동 장치(IWF) 4 : 공중 교환 전화망(PSTN)
5 : 홈 서버 6 : 가전장치
7 : 이동통신 시스템
본 발명은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집안의 가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자동화 시스템이란 원격에서 집안에 있는 가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홈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면 예를 들어, 외출했다가 집에 들어오기 전에 미리 보일러나 에어컨을 켠다거나, 집에서 나올 적에 가스밸브를 미 처 확인하지 못한 경우 가스밸브의 개폐여부를 확인하여 가스밸브를 잠글 수 있다.
홈 자동화 시스템이 유선망(전화선)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에서 전화를 걸어 자동응답에 따라 가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 편, 홈 자동화 시스템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외부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가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전화선을 이용한 홈 자동화 시스템의 경우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가전장치를 제어하므로 데이터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홈 자동화 시스템의 경우 집안에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홈 자동화 시스템이 불가능하고 외부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모든 가정에 들어와 있는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언제나 간편하고 편리하게 집안의 가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홈 자동화 시스템은 이동통신 무선망을 통해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어 명령어를 수신하여 이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망 연동 장치와,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명령어를 수신하는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명령어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는 가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홈 자동화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무선망을 통해 홈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한 홈 서버로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어에 따라 상기 홈 서버에 연결된 가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홈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자동화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 이동통신 시스템(7)에 설치되어 있는 기지국 제어기(BSC)(2) 및 망 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 : IWF), 공중 교환 전화망(PSTN)(4), 홈 서버(5), 가전장치(6)를 포함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는 집안에 있는 가전장치(6)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에는 가전장치(6)의 동작을 예약하고 조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홈 자동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홈 자동화 프로그램은 인터넷을 통해 쉽게 다운로드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에 설치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와 홈 서버(5)가 상호 연결되어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홈 자동화 프로그램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1)의 화면에는 홈 서버(5)에 연결되어 있는 가전장치(6)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가전장치(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기지국 제어기(2)는 이동통신 시스템(7)을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6)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이를 망 연동 장치(3)에 전달한다.
망 연동 장치(3) 역시 이동통신 시스템(7)을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서, 이동통신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장치이다. 망 연동 장치(3)는 이동통신 무선망의 디지털 트래픽과 유선망의 트래픽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각 망에 적합한 형태로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공중 교환 전화망(4)은 유선전화의 교환기로서, 유선전화간의 전화통화를 위한 유선망이다. 홈 서버(5)은 공중 교환 전화망(4)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로부터 제어 명령어를 수신하고, 이 제어 명령어에 따라 가전장치(6)의 동작을 제어한다. 홈 서버(5)에는 제어 명령어에 따라 가전장치(6)의 동작을 실제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홈 서버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가전장치(6)는 홈 서버(5)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콘, 전기밥솥, 보일러 등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를 의미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홈 자동화 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이동통신 단말기(1)가 집안에 있는 가전장치(6)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와 가전장치(6)가 연결되어 있는 홈 서버(5)가 상호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1)는 이동통신 무선망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7)의 망 연동 장치(3)에 접속해야 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가 모뎀 데이터 호(modem data call)를 송출하면 이 모뎀 데이터 호는 기지국 제어기(2)에 수신되고, 기지국 제어기(2)는 이 모뎀 데이터 호를 망 연동 장치(3)에 전달한다. 모뎀 데이터 호가 기지국 제어기(2)를 거쳐 망 연동 장치(3)로 라우팅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와 망 연동 장치(3)가 상호 접속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가 이동통신 무선망을 통해 망 연동 장치(3)에 접속되면 망 연동 장치(3)가 공중 교환 전화망(4)에 연결되어 있는 홈 서버(5)와의 접속을 시도한다. 즉, 망 연동 장치(3)가 모뎀 데이터 호를 처리하여 공중 교환 전화망(4)에 연결되어 있는 홈 서버(5)에 전송하면 홈 서버(5)가 이를 수신함으로써, 망 연동 장치(3)와 홈 서버(5)간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망 연동 장치(3)가 모뎀 데이터 호를 수신하면 내부에 있는 모뎀이 할당되는데, 이 할당된 모뎀과 홈 서버(5)의 모뎀이 상호 연결되어 망 연동 장치(3)와 홈 서버(5)간의 접속이 이루어진다.
홈 서버(5)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이동통신 단말기(1)가 홈 서버(5)에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고, 이 제어 명령어에 따라 홈 서버(5)에 연결된 가전장치(6)의 동작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홈 자동화 시스템에서 제어 명령어에 대해 프로토콜 처리를 하지 않아도 원격 제어가 가능하지만 그러한 경우 데이터의 신뢰성 및 보안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는 제어 명령어를 보낼 때 TCP/IP/PPP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제어 명령어를 패킷으로 변환하고, 이 패킷을 홈 서버(5)에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패킷화된 제어 명령어가 홈 서버(5)에 수신되면 홈 서버(5)는 반대로 PPP/IP/TCP 순서로 패킷을 풀어서 제어 명령어를 추출해 낸다. 이렇게 TCP/IP/PPP 프로토콜 순으로 제어 명령어를 처리하면, 데이터에 에러가 있는 경우 재전송할 수 있는 신뢰성을 확보하고 도중에 도청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집안의 가전장치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홈 자동화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여 가전장치의 동작 제어에 사용하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모뎀 데이터 호를 이용하므로 인프라 구축에 별다른 추가나 변경이 필요 없으며, 홈 서버의 경우에도 유선망에 모뎀을 접속하여 사용하므로 별도의 인터넷 망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TCP/IP/PPP와 같은 기존의 안정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홈 서버간의 데이터 신뢰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 무선망을 통해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어 명령어를 수신하여 이를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망 연동 장치와,
    상기 공중 교환 전화망에 접속되어 상기 제어 명령어를 수신하는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명령어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되는 가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가전장치의 동작을 예약하고 조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홈 자동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자동화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자동화 프로그램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자동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에는 상기 제어 명령어에 따라 상기 가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 기 위한 홈 서버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자동화 시스템.
  5.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무선망을 통해 홈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접속한 홈 서버로 제어 명령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 서버가 상기 전송된 제어 명령어에 따라 상기 홈 서버에 연결된 가전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가전장치의 동작을 예약하고 조종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한 홈 자동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자동화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 접속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모뎀 데이터 호를 망 연동 장치로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망 연동 장치가 상기 모뎀 데이터 호를 처리하여 공중 교환 전화망을 통해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홈 서버가 상기 모뎀 데이터 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자동화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망 연동 장치가 상기 모뎀 데이터 호를 수신하면 상기 망 연동 장치의 내부에 있는 모뎀이 할당되어 상기 할당된 모뎀과 상기 홈 서버의 모뎀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자동화 제어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어는,
    TCP/IP/PP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패킷으로 변환되어 상기 홈 서버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자동화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는,
    상기 패킷을 수신하여 이를 PPP/IP/TCP 순서로 풀어서 상기 제어 명령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자동화 제어방법.
KR1020030098188A 2003-12-27 2003-12-27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024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188A KR101024407B1 (ko) 2003-12-27 2003-12-27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188A KR101024407B1 (ko) 2003-12-27 2003-12-27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307A KR20050067307A (ko) 2005-07-01
KR101024407B1 true KR101024407B1 (ko) 2011-03-23

Family

ID=3725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188A KR101024407B1 (ko) 2003-12-27 2003-12-27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622B1 (ko) 2006-02-24 2007-06-12 (주) 엘지텔레콤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416A (ko) * 1999-12-15 2001-07-04 서평원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30070303A (ko) * 2002-02-23 200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KR20030083837A (ko) * 2002-04-22 2003-11-0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홈 네트웍 시스템
KR20040054213A (ko) * 2002-12-18 2004-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416A (ko) * 1999-12-15 2001-07-04 서평원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30070303A (ko) * 2002-02-23 2003-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KR20030083837A (ko) * 2002-04-22 2003-11-0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모바일을 이용한 홈 네트웍 시스템
KR20040054213A (ko) * 2002-12-18 2004-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307A (ko) 200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330B1 (ko) 홈 오토메이션 기기의 제어 기능을 구비한 홈 게이트웨이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US85491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expensiv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remotely distributed appliances
US7889852B2 (en) Remote communications with a vending machine using call back
KR10035704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댁내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AU2008318260B2 (en)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 links
KR100777811B1 (ko)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 컴퓨터 전원제어와 홈 네트워크의 제어 시스템
KR100383749B1 (ko) 공기조화기의 원격음성제어시스템
KR101024407B1 (ko) 홈 자동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6324270B1 (en) System for coordination of electronic devices
KR100672013B1 (ko) 서버와 클라이언트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통신장치 및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0466361B1 (ko) 홈 게이트웨이 전화기
KR100559043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50025550A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838694B1 (ko) Hnxml 기반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KR100645285B1 (ko) 가전기기의 원격제어용 펄스 패턴을 홈로봇에 송신하는서비스 서버 시스템
KR100664062B1 (ko) 이동로봇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연결시스템 및 방법
KR100437045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462409B2 (en) Mobile unit for controlling the comfort and/or security conditions in a building
KR102553422B1 (ko) 단지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 기반의 로비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1175043A1 (en) Method of getting access to a home network from remote
KR20080058925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홈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8463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598581B1 (ko) 원격제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550775B1 (ko) 모바일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모바일 에이전트 모듈
KR20060053589A (ko) 인터넷과 공중전화 통신망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