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803B1 -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 촬영을 위한 소 동물용 이중영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 촬영을 위한 소 동물용 이중영상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803B1
KR101022803B1 KR1020090016283A KR20090016283A KR101022803B1 KR 101022803 B1 KR101022803 B1 KR 101022803B1 KR 1020090016283 A KR1020090016283 A KR 1020090016283A KR 20090016283 A KR20090016283 A KR 20090016283A KR 101022803 B1 KR101022803 B1 KR 10102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escent
image
gamma ray
subjec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373A (ko
Inventor
이병일
민정준
정운성
정현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80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8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non-human pati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1Applications in the field of nuclear medicine, e.g. in vivo coun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살아있는 소 동물의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 촬영을 위한 소 동물용 이중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체영상, 형광영상, 감마선영상, 분자영상, 리포터 유전자

Description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 촬영을 위한 소 동물용 이중영상 촬영장치{Dual-functional image device for fluoresence imaging and gamma ray imaging in small animal}
본 발명은 이중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살아있는 소 동물의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소 동물의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 촬영을 위한 이중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자영상은 피검체 내의 세포 수준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나 생체의 조절 기전 등을 피검체를 희생시키지 않고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영상이다.
이러한, 분자영상은 생체 내 유전자의 이입, 내인성 유전자의 발현, 체내로 투여된 세포의 경로추적, 세포 간 신호전달, 세포 사멸, 종양의 진행, 혈관의 신생 및 세포 내 단백질간의 상호작용 등을 관찰하는 데 있어 최근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분자영상은 크게 광학영상과 분자 핵의학 영상으로 구분할 수 있 는데, 상기 광학영상은 세포 수준에서 유전자 발현을 연구하는데 사용되며, 형광 단백질을 사용하여 획득하는 형광영상과 특정 효소를 사용하여 획득하는 발광영상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광학영상은 주로 광학 리포터 유전자를 사용하여 획득된다.
또한, 상기 광학영상은 주로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빠르게 분자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고 영상화가 가능하여 실험쥐와 같은 소 동물의 분자영상을 획득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상기 광학영상은 피검체의 세포에서 형광작용을 통해 방출되는 빛의 파장이 다르므로 필터링을 통해 특정 부위의 영상을 선택적으로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광학영상은 피검체 내의 조직 투과성이 낮으므로 소 동물의 제내검사 수준의 영상으로 영상화되며, 심층부의 기관들을 분자 수준으로 영상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광학영상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감마선 영상을 통해 피검체의 심층부의 분자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분자 핵의학 영상의 연구가 활발한데, 상기 분자 핵의학 영상은 피검체 내의 특정 분자나 유전자에 작용하는 방사성 추적자를 사용하여 획득되는 영상으로서 크게 리포터 유전자 영상과 안티센스(antisense) 영상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분자 핵의학 영상 획득에 사용되는 리포터 유전자는 Herpes simplx virus 1 guddml thymidine kinase(HSV1-tk)나 변형 도파민 D2수용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방사성 표지 기질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상기 분자 핵의학 영상은 상기 광학 영상에 비해 공간 분해능이 우수하고, 예민도(약10-10~10-12mol/L)가 높으며 단층영상까지 획득할 수 있어 피검체의 심층부 기관의 분자 수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어 임상연구의 전단계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분자 핵의학 영상의 경우 고사의 방사선 장비가 필요하고 영상화에 필요한 방사성 의약품의 합성이 복잡하며, 방사능 사용에 법적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 광학영상과 상기 분자 핵의학 영상의 단점을 서로 보완할 수 있는 복합분자 영상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특히, 상기 복합분자 영상은 피검체 내에서 핵의학 리포터 유전자(HSV1-tk,NIS 등)와 광학 리포터 유전자(luciferase, GFP 등)를 동시에 발현시켜, 피검체 내의 세포 수준을 관찰하는 연구와 종양의 진행이나 치료 효과를 추적하는 연구 등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하며, 소 동물뿐만 아니라 대 동물의 분자영상획득도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광학영상 및 분자 핵의학 영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이중영상 촬영장치의 요구가 있어왔다.
본 발명자들은 복합분자 영상의 획득을 위한 이중영상 촬영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살아있는 피검체의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이중영상 촬영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살아있는 피검체의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을 동시에 획득하여 복합영상 리포터를 관찰할 수 있는 이중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공간, 중앙 공간 및 하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공간과 상기 중앙 공간을 구분하는 형광영상 칸막이 및 상기 중앙 공간과 상기 하부 공간을 구분하는 감마선영상 칸막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중앙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공간에 놓이는 피검체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체 내부의 형광 리포터를 발현시키는 광원, 상기 상부 공간에 설치되 고, 상기 피검체의 형광영상을 촬영하는 형광영상 촬영카메라 및 상기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피검체의 감마선영상을 촬영하는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형광영상 칸막이에는 상기 형광영상 촬영을 위한 제1 형광 투과창이 천공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광 투과창에 인접하여, 상기 상부 공간에 세워지며,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가 슬라이딩하여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형광영상의 촬영초점을 조절하게 하는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는 전면에 상기 형광영상의 촬영초점을 조절하는 초점조절 렌즈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형광 투과창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전면방향으로 입출되며. 상기 제1 형광 투과창과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한 파장 대의 빛을 투과하는 제1 형광필터가 구비된 제1 필터 미닫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광필터는 상기 제1 필터 미닫이에서 탈착되어 다른 파장 대의 빛을 투과하는 형광필터로 교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광필터는 GFP(Green Fluorescene Protein) 필터 또는 RFP(Red Fluorescene Protein) 필터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녹색 LED 또는 적색 LED로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광원 의 광 조사량을 조절하는 광원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마선영상 칸막이에는 상기 감마선촬영 카메라가 상기 피검체의 형광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2 형광 투과창이 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형광 투과창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전면방향으로 입출되며. 상기 제2 형광 투과창과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한 파장 대의 빛을 투과하는 제2 형광필터가 구비된 제2 필터 미닫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공간, 중앙 공간 및 하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공간과 상기 중앙 공간을 구분하는 감마선영상 칸막이 및 상기 중앙 공간과 상기 하부 공간을 구분하는 형광영상 칸막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중앙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공간에 놓이는 피검체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체 내부의 형광리포터를 발현시키는 광원, 상기 상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피검체의 감마선영상을 촬영하는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 및 상기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피검체의 형광영상을 촬영하는 형광영상 촬영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형광영상 칸막이에는 형광영상 촬영을 위한 제1 형광 투과창이 천공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를 더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광 투과창에 인접하여, 상기 하부 공간에 세워지며,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가 슬라이딩하여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형광영상의 촬영초점을 조절하게 하는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는 전면에 상기 형광영 상의 촬영초점을 조절하는 초점조절 렌즈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이중영상 촬영장치에 따르면, 형광영상 촬영카메라 및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피검체의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으므로 실험자로 하여금 복합영상 리포터를 관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영상 촬영장치에 따르면, 서로 구분된 공간에서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이 촬영되므로 외부 광의 간섭이 최소화된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영상 촬영장치에 따르면, 초점조절렌즈 및 가이드 봉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촬영초점이 조절된 선명한 형광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영상 촬영장치에 따르면, 피검체 내부의 형광 리포터의 종류에 따라 형광필터를 교체하며 피검체의 형광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영상 촬영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영상 촬영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영상 촬영장치(100)는 케이스(110), 광원(120),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 및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중영상 촬영장치(100)는 촬영되는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을 영상처리장치(20)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20)는 상기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을 디지털화하며, 실험자는 실험자단말(20)을 이용하여 상기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을 관찰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영상 촬영장치(100)의 외부를 규정하며,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차례로 상부 공간(a), 중앙 공간(b) 및 하부 공간(c)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상부 공간(a) 및 상기 중앙 공간(b)을 구분 하는 형광영상 칸막이(111) 및 상기 중앙 공간(b) 및 상기 하부 공간(c)를 구분하는 감마선영상 칸막이(1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케이스(110)의 공간들(a,b,c)은 서로 이격되어 구분되는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 공간(a)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중앙 공간(b)에는 촬영될 피검체(10)가 놓이며,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 공간(c)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130)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 공간(a)에 상기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130)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 공간(c)에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형광영상 칸막이(111)에는 상기 피검체(10)의 형광영상 촬영을 위한 제1 형광 투과창(111a)이 천공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형광 투과창(111a)은 상기 피검체(10)에서 나오는 빛이 상기 형광영상 칸막이(111)를 투과하여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가 상기 피검체(10)의 형광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와 상기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140)는 서로 구분된 공간에서 외부 광의 간섭없이 상기 피검체(10)의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상기 각 공간들(a,b,c)을 개폐하며, 일 측이 힌지되어 열고 닫히는 상부 여닫이문(114), 중앙 여닫이문(115) 및 하부 여닫이문(116)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여닫이문들(114,115,116)은 미닫이문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130)의 경우 별도의 촬영초점 조절 등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하부 여닫이문(116)은 상기 케이스(110)에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120)은 상기 중앙 공간(b)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공간(b)에 놓이는 피검체(10)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체(10) 내부의 형광 리포터를 발현시킨다.
즉, 상기 광원(120)은 상기 피검체(10)의 조직 내부로 주입되는 녹색 형광 단백질(GFP:Green Fluorescence Protein)이나 적색 형광 단백질(RFP:Green Fluorescence Protein)을 자극하여 빛을 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광원(120)은 LED로 구비되며, 상기 LED는 녹색 LED(122) 및 적색 LED(12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120)은 상기 피검체(10) 내부의 형광 리포터가 녹색 형광 단백질일 경우 상기 녹색 LED(122)를 '온'하여 상기 녹색 형광 단백질을 발현하고, 상기 상기 피검체(10) 내부의 형광 리포터가 적색 형광 단백질일 경우 상기 적색 LED(122)를 '온'하여 상기 적색 형광 단백질을 발현한다.
그러나, 상기 광원(120)은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녹색광 및 적색광을 발하는 멀티컬러 LED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LED들(121,122) 중 어느 하나의 LED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일정부분에는 상기 광원(120)의 광 조사량을 조절하는 광원제어기(113)가 더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광원제어기(113)는 상기 케이스(110)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광원(120)의 광 조사량을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제어기(113)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에 구비하여, 실험자가 상기 피검체(10)의 형광영상을 촬영하면서 상기 형광 리포터의 발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는 상기 중앙 공간(b)을 향해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 공간(a)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형광투과창(111a)을 통해 상기 피검체(10)의 형광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를 CCD카메라로 구비하였다. 그러나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는 CMOS카메라 등 형광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라면 어떠한 카메라라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 공간(a)에는 상기 제1 형광투과창(111a)과 인접하여 세워지는 가이드 봉(150)이 구비되고,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는 상기 가이드 봉(150)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상하방향으로 움직인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가이드 봉(150)은 상기 제1 형광투과창(111a)에 인접하여 상기 형광영상 칸막이(111)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즉,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는 상기 가이드 봉(150)을 따라 상하로 움직여 상기 피검체(10)와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피검체(10)의 형광영상 촬 영초점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는 전면에 상기 피검체(10)의 형광영상의 촬영초점을 조절하는 초점조절 렌즈(131)이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는 이중으로 촬영초점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상기 피검체(10)의 선명한 형광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형광영상 칸막이(1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방향으로 입출되는 제1 필터 미닫이(16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필터 미닫이(160)는 상기 제1 형광투과창(11a)과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한 파장 대의 빛을 투과하는 제1 형광필터(161)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필터 미닫이(160)는 상기 피검체(10) 내부의 형광 리포터가 발하는 빛만을 투과하여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가 상기 형광 리포터의 형광영상을 촬영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 형광필터(161)는 상기 피사체(10)의 형광 리포터의 종류에 따라 GFP(Green Fluorescene Protein) 필터 또는 RFP(Red Fluorescene Protein) 필터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형광필터(161)는 상기 제1 필터 미닫이(160)에서 탈착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GFP 필터 또는 RFP 필터로 교체되어 구비된다.
상기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140)는 상기 케이스(110)의 하부 공간(c)에 상기 중앙 공간(b)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피검체(10)의 감마선 영상을 촬영하며, 일반적으로 조준기, 섬광결정체, 광전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140)를 광전자증배관(PMT:Photomultiplier Tube)으로 구비하였다. 그러나 상기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140)는 상기 피검체(10)에서 발생하는 감마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여 감마선영상을 획득하는 반도체 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감마선영상 칸막이(112)에는 형광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2 형광 투과창(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고 상기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140)는 상기 피검체(10)의 형광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감마선영상 칸막이(112)의 하부에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방향으로 입출되며, 상기 제2 형광 투과창(도시하지 않음)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형광필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 제2 필터 미닫이(도시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140)가 설치되는 하부 공간(c)에는 상기 피검체(10)의 형광영상을 촬영하는 제1 형광영상 촬영카메라(도시하지 않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검체(10)의 형광영상을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와 상기 제1 형광영상 촬영카메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하에서 동시에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광필터(161)와 상기 제2 형광필터(도시하지 않음)는 서로 다른 파장 대의 빛을 투과하는 필터들로 구비되고,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와 상기 제1 형광영상 촬영카메라(도시하지 않음)는 서로 다른 파장 대의 형광영상 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형광필터(161)는 GFP필터로 구비되고, 상기 제2 형광필터(도시하지 않음)는 RFP필터로 구비되어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130)와 상기 제1 형광영상 촬영카메라(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서로 다른 파장 대의 형광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영상 촬영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영상 촬영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이중영상 촬영장치 110:케이스
110:형광영상 칸막이 112:감마선영상 칸막이
113:광원제어기 114:상부 여닫이문
115:중앙 여닫이문 116:하부 여닫이문
120:광원 121:적색 LED
122:녹색 LED 130:형광영상 촬영카메라
131:초점조절 렌즈 140: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
150:가이드 봉 160:제1 필터 미닫이
161:제1 형광필터

Claims (13)

  1. 상부 공간, 중앙 공간 및 하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공간과 상기 중앙 공간을 구분하는 형광영상 칸막이 및 상기 중앙 공간과 상기 하부 공간을 구분하는 감마선영상 칸막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중앙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공간에 놓이는 피검체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체 내부의 형광리포터를 발현시키는 광원;
    상기 상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피검체의 형광영상을 촬영하는 형광영상 촬영카메라; 및
    상기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피검체의 감마선영상을 촬영하는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형광영상 칸막이에는 상기 형광영상 촬영을 위한 제1 형광 투과창이 천공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광 투과창에 인접하여, 상기 상부 공간에 세워지며,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가 슬라이딩하여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형광영상의 촬영초점을 조절하게 하는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는 전면에 상기 형광영상의 촬영초점을 조절하는 초점조절 렌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4. 상부 공간, 중앙 공간 및 하부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공간과 상기 중앙 공간을 구분하는 감마선영상 칸막이 및 상기 중앙 공간과 상기 하부 공간을 구분하는 형광영상 칸막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중앙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공간에 놓이는 피검체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체 내부의 형광리포터를 발현시키는 광원;
    상기 상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피검체의 감마선영상을 촬영하는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 및
    상기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피검체의 형광영상을 촬영하는 형광영상 촬영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형광영상 칸막이에는 형광영상 촬영을 위한 제1 형광 투과창이 천공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광 투과창에 인접하여, 상기 하부 공간에 세워지며,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가 슬라이딩하여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형광영상의 촬영초점을 조절하게 하는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영상 촬영카메라는 전면에 상기 형광영상의 촬영초점을 조절하는 초점조절 렌즈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형광 투과창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전면방향으로 입출되며. 상기 제1 형광 투과창과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한 파장 대의 빛을 투과하는 제1 형광필터가 구비된 제1 필터 미닫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광필터는 상기 제1 필터 미닫이에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광필터는 GFP(Green Fluorescene Protein) 필터 또는 RFP(Red Fluorescene Protein)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녹색 LED 또는 적색 LE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광원의 광 조사량을 조절하는 광원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선영상 칸막이에는 상기 감마선영상 촬영카메라가 상기 피검체의 형광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2 형광 투과창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2 형광 투과창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전면방향으로 입출되며. 상기 제2 형광 투과창과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한 파장 대의 빛을 투과하는 제2 형광필터가 구비된 제2 필터 미닫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영상 촬영장치.
KR1020090016283A 2009-02-26 2009-02-26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 촬영을 위한 소 동물용 이중영상 촬영장치 KR10102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283A KR101022803B1 (ko) 2009-02-26 2009-02-26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 촬영을 위한 소 동물용 이중영상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283A KR101022803B1 (ko) 2009-02-26 2009-02-26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 촬영을 위한 소 동물용 이중영상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373A KR20100097373A (ko) 2010-09-03
KR101022803B1 true KR101022803B1 (ko) 2011-03-17

Family

ID=4300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283A KR101022803B1 (ko) 2009-02-26 2009-02-26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 촬영을 위한 소 동물용 이중영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474B1 (ko) * 2012-03-21 2019-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엑스선 검출 장치
KR101709398B1 (ko) * 2015-05-29 2017-02-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복합 이미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944A (ko) * 2001-12-07 2003-06-18 한국원자력연구소 Ccd 영상 소자만을 이용한 감마/x선원 탐지장치 및그 방법
KR20060038336A (ko) * 2003-08-29 2006-05-03 아츠시 고소쿠보 의료용 디지털 x선촬영 장치, x선촬영 시스템 및x선형광상을 디지털·데이터로서 촬영하는 방법
KR100878881B1 (ko) * 2008-06-17 2009-01-15 (주) 뉴캐어메디컬시스템 일체형 pet/ct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944A (ko) * 2001-12-07 2003-06-18 한국원자력연구소 Ccd 영상 소자만을 이용한 감마/x선원 탐지장치 및그 방법
KR20060038336A (ko) * 2003-08-29 2006-05-03 아츠시 고소쿠보 의료용 디지털 x선촬영 장치, x선촬영 시스템 및x선형광상을 디지털·데이터로서 촬영하는 방법
KR100878881B1 (ko) * 2008-06-17 2009-01-15 (주) 뉴캐어메디컬시스템 일체형 pet/ct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373A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1853B2 (ja) 異常組織を識別する機器の作動方法
US11823403B2 (en) Fluorescence imaging in a light deficient environment
CA2789051C (en) Method and device for multi-spectral photonic imaging
Al-Rawhani et al. Wireless fluorescence capsule for endoscopy using single photon-based detection
US11432705B2 (en) System for endoscopic imaging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JP2011200367A (ja) 画像撮像方法および装置
CN103300812A (zh) 基于内窥镜的多光谱视频导航系统和方法
KR101180384B1 (ko) 생체 내 ucnp 광학 이미징용 이중 영상장치
JP2014115151A (ja) 光イメージング装置
DE102011006435A1 (de) Bildaufnahmeeinrichtung zur simultanen Aufnahme von Magnetresonanzbilddaten und nuklearmedizinischen Bilddaten
KR101022803B1 (ko) 형광영상 및 감마선영상 촬영을 위한 소 동물용 이중영상 촬영장치
KR20140101930A (ko) 중-대동물 수술가이드용 근적외선 형광 영상장비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화 및 수술가이드 방법
Roncali et al. New device for real-time bioluminescence imaging in moving rodents
KR101106633B1 (ko) 소동물 형광영상 동시관찰 광학분자영상장치
KR100869782B1 (ko) 생체광학 영상장치
McKinnon et al. Fluorescence and Bioluminescence Imaging of Orthotopic Brain Tumors in Mice
JP2017138329A (ja) 光イメージング装置
Hennig Red chlorophyll: the new bar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