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722B1 - 저녹스 버너 - Google Patents

저녹스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722B1
KR101022722B1 KR1020100080239A KR20100080239A KR101022722B1 KR 101022722 B1 KR101022722 B1 KR 101022722B1 KR 1020100080239 A KR1020100080239 A KR 1020100080239A KR 20100080239 A KR20100080239 A KR 20100080239A KR 101022722 B1 KR101022722 B1 KR 101022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supply pipe
head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우식
장동현
Original Assignee
(주) 청우지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청우지엔티 filed Critical (주) 청우지엔티
Priority to KR1020100080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4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eans for pressurising the gaseous fuel or the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241Post-mixing with swir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절과 화염분할 및 배기가스자기재순환연소기술을 통해 녹스를 저감하는 저녹스 버너에 관한 것으로

Description

저녹스 버너{Low NOx Burner}
본 발명은 공기조절과 화염분할 및 배기가스자기재순환연소기술을 통해 녹스를 저감하는 저녹스 버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공급관에 공기조절관을 부착하여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희박연소가 잘 될 수 있는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복수개의 연료노즐을 각도를 달리하여 연소시킴으로써 분할화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또 2단 연소방식과 연소실 내부에서의 배기가스 재순환연소기술을 통해 Thermal NOx와 Prompt 녹스의 생성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저녹스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소산화물은 NO와 NO2를 뜻하며 통상 NOx 라고 표기하는데, 화석 연료를 연소시킬 때 다량 발생된다. 질소산화물(NOx)의 생성은 화염온도, 산소농도 및 연료중의 질소성분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들 조건을 운전조건 및 연소방법 변경에 의하여 변화시켜 녹스저감법을 찾을 수 있다.
녹스는 연료에 존재하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질소성분이 연소과정에서 산화되어 생성되는 Fuel 녹스(연료중의 NOx)와 또한 연소용 공기 중의 질소가 고온에서 산화하여 연소용 공기 중의 질소 분자를 산화 생성하는 Thermal 녹스(온도의 NOx) 및 탄화수소계열의 화석연료가 고농도상태로 고온에서 산화되어 연소용 공기 중의 질소 분자를 생성하하거나 탄화수소계열의 화석연료가 고농도상태로 고온 영역에 노출되었을 때 급속히 생성되는 Prompt 녹스로 구분된다.
이러한 질소산화물 중에서 Fuel 녹스는 연소기술로는 제어할 수 없으므로 업계에서는 Thermal 녹스와 Prompt 녹스를 제어할 수 있는 버너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질소산화물은 공기 중의 산소와 질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데, 산소와 질소는 상온에서 서로 반응성이 매우 낮으나 고온(1500℃ 이상)에서는 반응을 해서 NO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대부분의 버너 연소실의 최고 온도지역인 화염 표면지역은 통상 1200 ~ 1750℃의 온도에 도달하므로, 이 반응은 NO 생성의 중요한 생성원이 되고 있는 바, 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2 + O2= 2NO
이와 같이 NO가 생성되면 분해반응속도가 느려 N2와 O2로 다시 분해되지 않고, 산소와 다시 반응하여 NO2를 생성한다. 즉, 2NO + O2 = 2NO2가 된다. 이 반응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반응속도가 느려지는 반응이다. 따라서 고온에서는 NO생성이 활발하며, 기체의 온도가 서서히 내려가면, 고온의 NO는 N2와 O2로 분해된다. 따라서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연소실 전역에 걸쳐 연소공기를 보다 균일하게 공급함과 동시에 버너의 화염온도를 최대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51984호는 다단 급기 및 연료의 다단 공급에 의한 분할 화염방식을 통해 화염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복사 열전달을 촉진함으로써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51985호는 송풍기에서 강제 송풍되는 연소공기를 통 형상의 프레임판넬측으로 안내하는 윈드박스를 개선하여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윈드박스를 갖춘 저녹스 가스버스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48947호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84880호는 고속화염의 생성, 연료 및 공기의 급속한 혼합작용, 연소가스의 자기재순환 등을 구현함으로써 Thermal NOx와 Prompt NOx의 생성을 동시에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55719호는 연료공급관의 선단에 탈착 가능하며 연료공급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연료확산부를 설치하여 연료확산부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녹스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장치가 복잡하여 번잡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분할화염의 형성과 2단 연소방식 및 배기가스의 자기재순환을 구현함으로써 Thermal 녹스와 Prompt 녹스의 생성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저녹스 버너를 창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는 공기희박연소와 공기과잉연소의 2단 연소방식을 채택하는 한편, 분할화염을 형성함으로써 화염 표면적이 극대화되면서 이들이 복사열 전달을 촉진하고 이에 따라 화염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녹스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연소실 내에서 화염의 와류를 일으켜 배기가스 재순환을 가져옴으로써 전체적으로 연소실 내의 온도를 낮추어 녹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너는 공기공급관 내부에 공기조절턱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조절관을 설치하여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희박연소가 잘 될 수 있는 양의 공기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복수개의 연료노즐을 각기 각도를 달리하여 연소시킴으로써 분할화염을 형성하여 화염 표면적을 극대화시키면서 복사열 전달을 촉진하여 화염 온도를 낮추어 녹스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공기희박연소와 공기과잉연소의 2단 연소방식과 연소실 내부에서의 배기가스 재순환연소기술을 통해 Thermal Nox와 Prompt 녹스의 생성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저녹스 버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공기조절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저녹스 버너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녹스 버너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공기희박연소영역에서의 화염분할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연소실 내에서 화염수렴과 배기가스의 자기재순환을 보여주는 도면
본 발명은 공기공급관과 연료공급관 사이에 공기조절관을 설치하여 공기희박연소가 잘 될 수 있게 소량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복수개의 연료노즐을 각기 각도를 달리하여 연소시킴으로써 분할화염을 형성하여 화염 표면적을 극대화시키면서 복사열 전달을 촉진하여 화염 온도를 낮추어 녹스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공기희박연소와 공기과잉연소의 2단 연소방식과 연소실 내부에서의 배기가스 재순환연소기술을 통해 Thermal Nox와 Prompt 녹스의 생성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저녹스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저녹스 버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공기조절관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저녹스 버너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저녹스 버너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공기희박연소영역에서의 화염분할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연소실 내에서 화염의 수렴과 배기가스의 자기재순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저녹스 버너는 버너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00);과 상기 공기공급관(100) 정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그 선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연료공급관(300); 상기 공기공급관(100)과 상기 연료공급관(300)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관(200); 상기 연료공급관(300)이 정류기(600) 외부로 돌출된 폐쇄된 선단부로서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1차 연료분출공(410)이 형성되어 있고 화염을 수렴하는 보염부(400); 상기 연료공급관(300) 선단부 외주면에 위치하고 연소실(900)에 인입되어 있는 원통형의 헤드(500); 상기 헤드(50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료공급관(300)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공급받는 복수개의 연료노즐(700); 및 상기 헤드(500)의 수직 선단부로서 복수개의 공기분출공(610)이 형성되어 있는 정류기(60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기공급관(100)의 선단부에는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단면(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조절관(200)이 경사단면(100) 부위에 위치하는 선단부에는 공기조절턱(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연료공급관(300)의 상기 폐쇄된 선단부는 화염을 수렴하는 보염부(400)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염부(40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1차 연료분출공(4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1차 연료분출공(410)의 수는 정류기(60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분출공(610) 수의 10~20%에 불과하다.
또 헤드(500)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각 연료노즐(700)의 측면에는 긴 타원형의 2차 연료분출공(710)이 각기 각도를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과 상기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을 향하여 45도 방향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이 2개 1조로 복수개가 교대 형성되어 있어 상기 2개의 2차 연료분출공(710)에서 분출되는 연료가 점화되어 발생한 2개의 화염이 합쳐져 하나의 분할화염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또 다른 구성으로는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과 상기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의 좌우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을 향하여 각기 45도 방향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이 3개 1조로 복수개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3개의 2차 연료분출공별로 하나의 분할화염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정류기(600)는 연료공급관(300)의 선단부 외주면과는 밀착되어 있고 헤드(500)의 내주면과는 3~10mm의 틈새(620)를 유지하고 있어 공기분출공(610) 외에 상기 틈새(620)로도 공기가 분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헤드(500)의 선단부 일부는 정류기(600) 앞으로 신장되어 있어 상기 틈새(620)로 분출되는 공기가 직선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공기 유도관(800)을 형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 저녹스 버너를 실시예 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예로서 본 발명 저녹스 버너는 공기를 연소실 내로 공급하며 그 선단부에 경사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 내부에 설치되고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 상기 연료공급관의 선단부에 위치한 헤드, 상기 헤드의 외주에 설치된 복수개의 연료 노즐 및 상기 공기공급관의 경사단면과 상기 헤드 사이에 연소실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저녹스 버너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100)과 상기 연료공급관(300) 사이에 공기조절관(200)을 설치하여 급기통로(120)의 폭을 좁게 조절함으로써 공기희박연가 일어날 수 있도록 소량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기존의 버너에도 공기공급관에 경사단면이 형성되어 있어 디퓨저와 공기통로 사이에 자연적으로 급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 급기통로만으로도 공기가 급속으로 분출될 수 있었지만 이 구조에서는 분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는 없었으므로 최소의 연료로 최대 연소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공기조절관(200)의 공기조절턱(210)이 공기공급관(200)의 경사단면(110)에 근접될 수 있도록 로드(220)를 이용하여 공기조절관(200)을 앞뒤로 움직여 조정함으로써 가장 적은 양의 연료를 사용하면서도 공기희박연소를 잘 할 수 있는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절된 급기통로(120)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공기희박연소를 잘 할 수 있는 양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절된 급기통로(120)를 가질 수 있는 위치에 공기조절턱(210)을 고정시킴으로써 적은 양의 연료로 효율적으로 공기희박연소를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공기희박연소된 화염을 상기 급기통로(120)를 통해 빠른 속도로 연소실(9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급기통로(120)를 통해 연소실(900)로 공급된 공기희박연소의 화염은 급기통로(120)를 통과하는 순간 좁은 급기통로(120)로부터 넓은 공간으로 분출되어 나왔으므로 속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주위의 압력이 떨어지므로 공기희박연소 화염 일부는 와류를 일으키면서 보염부(400)쪽으로 회류되고 나머지 화염은 2차 연소구역(B)에서 연소되면서 1200℃이하의 온도로 되어 보염부(400)쪽으로 회류(回流)하게 된다. 따라서 적은 양의 연료를 사용하면서도 최대의 연소효과를 냄으로써 저비용으로 최대한 Thermal 녹스와 Prompt 녹스를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저녹스 버너를 대량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버너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00);과 상기 공기공급관(100) 정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그 선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연료공급관(300); 상기 연료공급관(300) 선단부 외주면에 위치하고 연소실(900)에 인입되어 있는 원통형의 헤드(500); 상기 헤드(500)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료노즐(700); 및 상기 헤드(500)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공기분출공(610)이 형성되어 있는 정류기(600); 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공급관(100)의 선단부에는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단면(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연료공급관(300)의 상기 폐쇄된 선단부는 화염을 수렴하는 보염부(400)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보염부(40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1차 연료분출공(4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1차 연료분출공(410)의 수는 상기 정류기(60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분출공(610) 수의 10~20%에 불과하다.
또 상기 헤드(500)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각 연료노즐(700)의 측면에는 긴 타원형의 2차 연료분출공(710)이 각기 각도를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과 상기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을 향하여 45도 방향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이 2개 1조씩 복수 개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2개의 2차 연료분출공(710)에서 분출되는 연료가 점화되어 발생한 2개의 화염이 합쳐져 하나의 분할화염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분할화염은 반드시 2개의 2차 연료분출공(710)을 1조로 하여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3개의 2차 연료분출공(710)을 1조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과 상기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의 좌우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을 향하여 각기 45도 방향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이 3개 1조씩 복수 개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3개의 2차 연료분출공별로 하나의 분할화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정류기(600)는 연료공급관(300)의 외주면과는 밀착되어 있고 헤드(500)의 내주면과는 3~10mm의 틈새(620)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공기분출공(610) 외에 상기 틈새(620)로도 공기가 분출되도록 되어 있어 공기과잉연소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헤드(500)의 선단부 일부는 정류기(600) 앞으로 신장되어 공기가 직선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공기 유도관(800)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송풍기(미 도시)를 이용하여 공기공급관(100)에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연료공급관(300)에 연료를 공급하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1차 연소영역(A)과 2차 연소영역(B) 및 배기가스 재순환영역(C)에서 연소가 진행된다.
즉, 정류기(60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분출공(610)과 정류기(600)와 헤드(500) 내주면 사이의 틈새(620)로부터는 공기가 공급되고 또한 보염부(400)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1차 연료분출공(410)에서는 연료가 분출되어 공기와 연료가 직교하게 되므로 공기와 연료의 혼합이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진다. 그러나 1차 연료분출공(410)의 수는 상기 정류기(600)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분출공(610) 수의 10~20%에 불과하므로 1차 연료분출공(410)으로부터 분출되는 연료에 비하여 공기분출공(610)과 정류기(600)와 공기공급관(100) 내주면 사이의 틈새(6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훨씬 많으므로 이 연소구역(A)에서는 공기과잉연소를 하여 강선회류를 형성하므로 화염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염부(400)쪽으로 당겨지는 흐름을 보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헤드(50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료노즐(700)의 2차 연료분출공(710) 중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에서는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고 상기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을 향하여 45도 방향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710)에서는 45도 방향으로 연료를 분출함으로써 상기 2개 1조의 2차 연료분출공(710)에서 분출되는 연료가 점화되어 발생한 2개의 화염이 합쳐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분할화염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한편, 3개 1조의 2차 연료분출공(710)에서 분출되는 연료가 점화되어 발생한 3개의 화염이 합쳐져 하나의 분할화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2차 연료분출공(710) 2개 또는 3개가 한 조를 이루어 각 조별로 분할화염을 형성함으로써 복사열 전달을 촉진하고 이에 따라 화염의 온도가 저하된다. 또 좁은 급기통로(12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에 비하여 복수개의 제2 연료분출공(710)으로부터 분출되는 연료의 양이 많으므로 공기희박연소가 이루어진다. 공기희박연소가 되면 연소가스의 성분이 공기에 보다 가깝게 되고 연소가스의 온도도 저하되므로 녹스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희박 연소된 화염은 급기통로(120)를 통과하는 순간 속도가 빨라짐과 동시에 주위의 압력이 떨어지므로 공기희박연소 화염 일부는 와류를 일으키면서 보염부(400)쪽으로 회류되어 배기가스 자기재순환구역(C)에서 상기 공기과잉연소를 함으로써 강선회류를 형성하여 보염부(400)쪽으로 당겨지는 화염과 교반, 혼합되면서 와류를 형성하여 배기가스 자기재순환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류되지 않고 남은 나머지 화염은 2차 연소구역(B)에서 연소되면서 1200℃이하의 온도로 되어 보염부(400)쪽으로 회류(回流)하여 역시 배기가스 자기재순환구역(C)에서 상기 공기과잉연소를 함으로써 강선회류를 형성하여 보염부(400)쪽으로 당겨지는 화염과 교반, 혼합하여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기가스 자기재순환을 하게 된다.
그러나 재순환된 배기가스에는 탄산가스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더 이상 연소 작용을 할 수 없으므로 배기가스 자기재순환과정에서 더욱 연소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녹스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희박연소에 의하여 발생된 화염과 공기과잉연소에 의하여 발생된 화염이 교반, 혼합되면서 와류를 형성하여 자기재순환연소를 하면서 녹스의 분해반응이 진행되고 동시에 중간생성물 I(NHi, HCN 등)도 감소하여 녹스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희박연소와 공기과잉연소의 2단 연소방식과 자기재순환연소방식을 복합적으로 채택함으로써 연비가 높아지고 배기가스도 적게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합친 것이다. 즉, 버너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00); 상기 공기공급관(100) 정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그 선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연료공급관(300); 상기 공기공급관(100)과 상기 연료공급관(300)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관(200); 상기 연료공급관(300) 선단부에 위치하고 연소실(900)에 인입되어 있는 헤드(500); 상기 헤드(50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료노즐(700); 및 상기 헤드(500)의 선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공기분출공(610)이 형성되어 있는 정류기(600); 및 상기 헤드(500)의 선단부 일부가 정류기(600) 앞으로 신장되어 공기가 직선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 유도관(8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저녹스 버너는 공기희박연소를 잘 할 수 있는 양의 공기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기희박연소와 공기과잉연소의 2단 연소방식과 자기재순환연소방식도 채택함으로써 보다 연비가 높음은 물론 Thermal 녹스와 Prompt녹스의 발생을 대폭 저감할 수 있게 되었다.
100 : 공기공급관 110 : 경사단면
120 : 급기통로 200 : 공기조절관
210 : 공기조절턱 220 : 로드
300 : 연료공급관
400 : 보염부 410 : 1차 연료분출공
500 : 헤드 600 : 정류기
610 : 공기분출공 620 : 틈새
700 : 연료노즐 710 : 2차 연료분출공
800 : 공기유도관 900 : 연소실

Claims (7)

  1. 공기를 연소실내로 공급하며 그 선단부에 경사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공기공급관 내부에 설치되고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 상기 연료공급관의 선단부 외주면에 위치한 헤드, 상기 헤드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연료 노즐 및 상기 공기공급관의 경사단면과 헤드 사이에 연소실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통상의 저녹스 버너에 있어서,
    상기 급기통로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공기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연료공급관 사이에는 공기조절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녹스 버너
  2. 연소실내에 공기를 공급하며, 선단부에는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공급관;
    상기 공기공급관 정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그 선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연료공급관;
    상기 연료공급관의 폐쇄된 선단부로서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1차 연료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염부;
    상기 연료공급관 선단부 외주면에 위치하고 있고 연소실에 인입되어 있는 원통형의 헤드;
    상기 헤드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측면에는 긴 타원형의 2차 연료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료노즐; 및
    상기 연료공급관의 외주면과는 밀착되어 있고 상기 헤드의 내주면과는 3~10mm의 틈새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틈새로도 공기가 분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공기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정류기;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녹스 버너
  3. 연소실내에 공기를 공급하며, 선단부에는 안쪽으로 경사진 경사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공급관;
    상기 공기공급관 정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그 선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연료공급관;
    공기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공급관과 상기 연료공급관 사이에 설치된 공기조절관;
    상기 연료공급관이 정류기 외부로 돌출된 폐쇄된 선단부로서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1차 연료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보염부;
    상기 연료공급관 선단부 외주면에 위치하고 연소실에 인입되어 있는 원통형의 헤드;
    상기 헤드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측면에는 긴 타원형의 2차 연료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료노즐; 및
    상기 헤드의 수직 선단부로서 상기 연료공급관의 외주면과는 밀착되어 있고 상기 헤드의 내주면과는 3~10mm의 틈새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틈새로도 공기가 분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단부에는 복수개의 공기분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정류기;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녹스 버너
  4. 제1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관의 선단부로서 상기 공기공급관의 경사단면 부위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공기조절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녹스 버너
  5. 제2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연료분출공은 수직로 연료를 분출하는 연료분출공과 상기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을 향하여 45도 방향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이 2개 1조씩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2개의 2차 연료분출공별로 하나의 분할화염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녹스 버너
  6. 제2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연료분출공은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과 상기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의 좌우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을 향하여 45도 방향으로 연료를 분출하는 2차 연료분출공이 3개 1조씩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3개의 2차 연료분출공별로 하나의 분할화염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녹스 버너
  7. 제2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선단부 일부는 정류기 앞으로 신장되어 있어 상기 정류기와 상기 헤드 내주면 사이의 틈새로 분출되는 공기가 직선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공기 유도관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녹스 버너
KR1020100080239A 2010-08-19 2010-08-19 저녹스 버너 KR101022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239A KR101022722B1 (ko) 2010-08-19 2010-08-19 저녹스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239A KR101022722B1 (ko) 2010-08-19 2010-08-19 저녹스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722B1 true KR101022722B1 (ko) 2011-03-22

Family

ID=4393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239A KR101022722B1 (ko) 2010-08-19 2010-08-19 저녹스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7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38B1 (ko) 2012-06-05 2013-02-21 (주) 청우지엔티 저녹스 버너
KR200491190Y1 (ko) * 2018-08-23 2020-05-15 하용구 저녹스 버너
KR102489514B1 (ko) 2022-08-22 2023-01-18 (주)에사코리아 저녹스 버너를 이용한 열풍로 시스템
KR102509551B1 (ko) 2022-08-22 2023-03-16 (주)에사코리아 산업용 저녹스 버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984B1 (ko) 2003-02-11 2006-02-20 주식회사 부-스타 산업용 저녹스 버너
KR100551985B1 (ko) 2003-04-22 2006-02-20 주식회사 부-스타 윈드박스를 갖춘 저녹스 가스버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984B1 (ko) 2003-02-11 2006-02-20 주식회사 부-스타 산업용 저녹스 버너
KR100551985B1 (ko) 2003-04-22 2006-02-20 주식회사 부-스타 윈드박스를 갖춘 저녹스 가스버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38B1 (ko) 2012-06-05 2013-02-21 (주) 청우지엔티 저녹스 버너
KR200491190Y1 (ko) * 2018-08-23 2020-05-15 하용구 저녹스 버너
KR102489514B1 (ko) 2022-08-22 2023-01-18 (주)에사코리아 저녹스 버너를 이용한 열풍로 시스템
KR102509551B1 (ko) 2022-08-22 2023-03-16 (주)에사코리아 산업용 저녹스 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638B1 (ko) 저녹스 버너
KR101512352B1 (ko) 연소가스의 내부 재순환을 통한 초저질소산화물 연소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KR100883796B1 (ko) 린-리치 연소방식을 이용한 분젠버너
KR100784881B1 (ko) 저녹스형 버너
JPH0526410A (ja) 隔離された領域での燃焼
PL212230B1 (pl) Sposób spalania paliw węglowodorowych
CN104235849A (zh) 分级富氧无焰燃烧燃气烧嘴及其控制方法
KR101254928B1 (ko) 저녹스형 버너
KR101022722B1 (ko) 저녹스 버너
CN107477579B (zh) 低氮氧化物燃烧器
US20170336068A1 (en) LOW NOx BURNER FOR ETHYLENE CRACKING FURNACES AND OTHER HEATING APPLICATIONS
JP2004190981A (ja) 燃焼装置ならびにウインドボックス
US6394792B1 (en) Low NoX burner apparatus
KR200448947Y1 (ko) 저녹스형 버너
EP1729062A2 (en) Dynamic burner reconfiguration and combustion system for process heaters and boilers
US568115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low NOx staged-air combustion
CN112204307B (zh) 配备冲孔板型燃烧头的低氮氧化物燃烧器
US6071115A (en) Apparatus for low NOx, rapid mix combustion
US20230014871A1 (en) Radiant wall burner
KR101204457B1 (ko) 저녹스형 버너
US10352556B2 (en) Method and burner for reducing nitrogen oxide emissions during the combustion of a gaseous fuel
CN105953219B (zh) 无焰燃烧装置
KR20160122210A (ko) 인-스트림 버너 모듈
KR100784880B1 (ko) 저녹스형 버너
KR102339292B1 (ko) 저녹스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