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165B1 -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165B1
KR101022165B1 KR1020080111295A KR20080111295A KR101022165B1 KR 101022165 B1 KR101022165 B1 KR 101022165B1 KR 1020080111295 A KR1020080111295 A KR 1020080111295A KR 20080111295 A KR20080111295 A KR 20080111295A KR 101022165 B1 KR101022165 B1 KR 101022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terminal
information
use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332A (ko
Inventor
김래영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1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1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을 소유하는 사용자와의 세션을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을 소유하는 특정 사용자와 특정 세션을 수행하길 희망하는 외부 엔티티로부터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사용자의 단말들 중 상기 특정 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단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조회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로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SESSION MANAGEMENT METHOD BASED capability information}
본 발명은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단말과 단말 간에 세션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능력(또는, 설정)에 맞추어 수행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애플리케이션 서버 간, 혹은 단말과 단말 간에는 능력 정보를 상호 교환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능력 정보 교환 과정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A(10)가 소유한 단말들, 즉 UE-A1, UE-A2, UE-A3와, 사용자 B(20)가 소유한 단말들, 즉 UE-B1, UE-B2, UE-B3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도 1에는 홈 네트워크(5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홈 네트워크(50)는 상기 사용자 A(10)와 상기 사용자 B(20)가 가입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특정 엔티티가 상기 사 용자 A(1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상기 사용자 A(10)의 ID로 등록한 모든 단말, 즉 UE-A1, UE-A2, UE-A3에 대한 능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각기 능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단말로부터 능력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아울러,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특정 엔티티가 사용자 B(2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상기 사용자 B(20)의 ID로 등록한 모든 단말, 즉 UE-B1, UE-B2, UE-B3에 대한 능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각기 능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단말로부터 능력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능력 정보 교환 후 세션을 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A(10)가 소유한 단말들, 즉 UE-A1, UE-A2, UE-A3가 나타나 있고, 원격 단말(Remote End)(30)가 상기 사용자 A(10)와 세션을 수행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사용자 A(10)의 단말들, 즉 UE-A1, UE-A2, UE-A3는 상기 사용자 A의 ID로 상기 홈 네트워크(50)에 이미 등록하였다고 가정한다.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상기 원격 단말(30)이 상기 사용자 A(10)와 음성과 영상으로 이루어진 미디어에 대한 세션을 수행하기 위해 전송한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A(10)의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이하, ‘AS’라 함)가 수신한다.
(2)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는 상기 사용자 A(10)의 ID로 등록된 단말들, 즉 UE-A1, UE-A2, UE-A3 중 어떤 단말과, 상기 세션을 연결시킬지 결정하기 위해, 즉 상기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지 결정하기 위해, 상기 UE-A1, UE-A2, UE-A3 각각의 능력 정보를 확인한다.
먼저,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는 상기 UE-A1에게 능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능력 정보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3) 상기 UE-A1은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에게 자신의 능력 정보를 능력 정보 응답 메시지에 담아 보낸다.
(4) 이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는 UE-A2의 능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능력 정보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5) 상기 UE-A2는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에게 자신의 능력 정보를 능력 정보 응답 메시지에 담아 보낸다.
(6) 한편,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는 UE-A3의 능력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능력 정보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7) 그러면 상기 UE-A3는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에게 자신의 능력 정보를 능력 정보 응답 메시지에 담아 보낸다.
(8)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는 각 단말로부터 받은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단말을 선택한다.
(9)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가 상기 음성과 영상으로 이루어진미디어에 대한 세션을 연결하기 위한 단말로서 상기 UE-A1을 선택하였다면,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는 상기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상기 UE-A1에게 보낸다.
(10) 상기 UE-A1은 상기 AS가 보낸 세션 개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로 보낸다.
(11) 상기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홈 네트워크(50) 내의 상기 AS는 상기 원격 단말(30)에게 세션 개시 수락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상기 UE-A1과 상기 원격 단말 간에 음성 및 영상으로 이루어진 미디어에 대한 세션이 설정된다.
전술한 도 2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사용자가 여러 단말들을 소유하고, 각 단말이 상기 사용자의 ID로 홈 네트워크에 등록한 경우, 상기 홈 네트워크의 AS는 상기 사용자의 ID로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여러 단말들 중 특정 단말을 선택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홈 네트워크 내의 AS는 상기 사용자의 여러 단말들 중 어느 단말이 상기 요청된 세션을 지원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자, 각 단말의 능력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이때, 상기 능력 정보의 확인을 위해 상기 홈 네트워크의 AS는 각각의 단말에게 능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야 한다.
그러나, 한 사용자가 n개의 단말을 소유한 경우, 상기 홈 네트워크 내의 AS는 n개 단말에게 각기 능력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고, 그리고 n개의 능력 정보 응답 메시지를 수신해야 하므로, 무선 자원의 낭비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초래한다.
또한, 상기 홈 네트워크 내의 AS가 많은 사용자를 담당한다면, 상기 AS의 부하는 매우 가중된다. 또한, 세션의 요청이 빈번하게 발생된다면, 상기 홈 네트워크의 AS의 부하는 매우 심각할 정도로 가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단말의 능력 정보를 홈 네트워크에서 중앙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능력 정보의 중앙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관리되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세션의 개시 또는 업데이트의 관리 방안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을 소유하는 사용자와의 세션을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을 소유하는 특정 사용자와 특정 세션을 수행하길 희망하는 외부 엔티티로부터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사용자의 단말들 중 상기 특정 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단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조회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로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을 소유하는 사용자와의 세션을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은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들 각각의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능력 정보를 저장하고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사용자와 외부 엔티티 간의 세션에 대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능력 정보 중 상기 세션에 대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능력을 가진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회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내에 사용자의 가입 정보 및 사용자가 등록한 모든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인 CUDR(Converged User Data Repository) 및 이를 관리하는 CUDM(Converged User Data Manager)을 둔다. 이에, 다수개의 등록된 단말을 갖는 사용자 ID에 대한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종착 단말을 선택하기 위하여 해당하는 모든 단말의 능력 정보를 알고자 각 단말에게 능력 정보를 요청했던 기존 기술과는 달리, 설정할 세션을 구성하게 될 미디어를 서비스하기 위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단말을 CUDM에게 한번에 조회함으로써 무선 자원 낭비 및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동일한 사용자의 ID로 등록한 단말의 수가 많을수록 효과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UE(User Equipment)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상기 UE는 단말(Terminal), ME(Mobile Equipment), 등의 용어로 언급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UE는 노트북,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멀티미디어 기기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일 수 있거나, PC, 차량 탑재 장치와 같이 휴대 불가능한 기기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관련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1) IMS(IP Multimedia Subsystem)는 유선 단말(Wired Terminal)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에까지도 IP(Internet Protocol)를 근간으로 한 패킷 교환(PS: Packet Switching)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기술로서, 유/무선 단말 모두를 IP(All-IP))를 통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이러한, IMS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HSS(홈 가입자 서버: Home Subscriber Server), HLR(홈 위치 등록: Home Location Register), VLR(방문자 위치 등록: Visitor Location Register), 그리고 그 밖에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IMS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는 제어 시그널링, 등록(Registration), 세션을 위한 절차를 처리하기 위한 CSCF(호 세션 제어 기능: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를 포함한다. 상기 CSCF는 P-CSCF(Proxy-CSCF), S-CSCF(Serving-CSCF), 그리고 I-CSCF(Interrogating-CSC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SCF는 IMS 기반의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를 위한 첫 번째 접속 지점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S-CSCF는 상기 IMS 네트워크 내에서 세션을 처리한다. 즉, 상기 S-SCSF는 시그널링을 라우팅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엔티티(Entity)로서, IMS 네트워크에서 세션을 라우팅한다. 그리고, 상기 I-CSCF는 IMS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엔티티와의 접속 지점으로서 동작한다.
2) 위와 같은 IMS 하에서 IP 기반의 세션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세션 개시 프로토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SIP 는 세션(Session)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상기 SIP는 통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 간에 멀티미디어 서비스 세션을 생성하거나, 생성된 세션을 삭제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한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말한다. 이러한 SIP는 각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비슷한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사용함으로써 IP(Internet Protocol) 주소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3)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이하 ‘AS’라 함) 로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상기 AS는 IMS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예를 들어, CDMA, GSM, 기타 등등)내에 위치할 수 있다.
4) 등록(Registration): 단말이 자신의 현재 위치와 관련한 정보를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 알리는 과정
5) Remote End: 단말과 통신하는 상대 단말 또는 상대 애플리케이션 서버
6) 단말의 능력 정보: 단말의 기능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i) 단말이 지원하는 미디어의 종류, 코덱 등과 같은 능력(capability) 관련 정보, ii) 스크린 크기 등과 같은 설정(configuration) 관련 정보, iii) 단말이 현재 접속한 접속망(access network) 관련 정보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력 정보 관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능력 정보 등의 정보 저장을 위한 통합 사용자 데이터 저장소(CUDR: Converged User Data Repository)(530) 및 이 저장소를 관리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 서버, 예컨대 통합 사용자 데이터 관리자(CUDM: Converged User Data Manager)(520)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기 CUDM(520)은 사용자의 ID로 등록한 모든 단말의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 상기 CUDR(530)은 사용자와 관련한 정보를 사용자 ID 단위로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CUDM(520)이 사용자 ID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100)의 여러 단말들, 즉 UE-A1, UE-A2, 및 UE-A3는 각기 홈 네트워크(500) 내의 AS(510)에 등록을 하면서, 자신의 능력 정보도 함께 등록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1a) 먼저, UE-A1이 상기 사용자 A(100)의 ID로 자신의 홈 네트워크(500)에 위치한 AS(510)에게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2a) 상기 AS(510)는 상기 UE-A1의 능력 정보를 포함한 등록 정보를 담은 등록 메시지를 상기 CUDM(520)에게 전송한다.
3a) 그러면 상기 CUDM(520)은 상기 UE-A1의 등록 관련 정보를 상기 CUDR(530)에 저장한다.
4a) 상기 CUDM(520)은 상기 AS(510)에게 등록에 대한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 송한다.
5a) 상기 AS(510)는 상기 UE-A1에게 등록에 대한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위의 과정과 마찬가지로, 상기 UE-A2와 상기 UE-A3도 동일한 등록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CUDR(530)은 상기 UE-A2와 UE-A3에 대한 등록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엔티티, 예컨대 원격 단말(300)이 상기 사용자 A(100)와 음성 및 영상으로 이루어진 미디어에 대한 세션의 개시를 요청하면, 상기 AS(510)가 상기 CUDM(520)에게 상기 사용자 A(100)가 소유한 여러 단말들 중, 상기 세션의 요구 사항(Target Requirement)을 만족하는 단말을 조회 요청한다.
이때, 상기 AS(510)가 상기 CUDM(520)에게 상기 요구 사항을 조회하기 위하여,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CUDM(520)에게 전송한다. 상기 조회 요청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포함한다.
1) User ID: 사용자의 identification
2) Target Requirement: 찾고자 하는 단말의 요구사항에 대한 조합으로 구성된다. 다음의 표는 의사코드(pseudo code)로 나타낸 요구 사항(Target Requirement)의 예를 보여준다.
요구 사항 의사 코드
voice 미디어를 지원하는 단말 Target Requirement={voice}
voice와 video 미디어를 모두 지원하는 단말 Target Requirement={voice, video}
voice 미디어를 지원하는 단말과 video 미디어를 지원하는 단말 Target Requirement={voice}, {video}
MPEG-4 코덱의 video 미디어를 지원하는 단말 Target Requirement={video+MPEG-4}
상기 CUDM(520)은 상기 조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CUDR(530)에서 해당 상기 사용자 A(100)의 모든 단말에 대한 정보를 가져와, 상기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단말을 검색한 후,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AS(510)에게 보낸다.
상기 조회 응답 메시지는 다음의 표와 같은 의사코드로 나타낸 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말 정보는 단순히 단말의 ID 뿐만 아니라 구현에 따라 단말의 다양한 능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의사코드 설명
voice={UE-A1, UE-A2} 단말 UE-A1, UE-A2가 voice 미디어를 지원
voice={UE-A1, UE-A2}, video={UE-A3} 단말 UE-A1, UE-A2가 voice 미디어를 지원, UE-A3가 video 미디어를 지원
{voice, video}={UE-A2, UE-A3} 단말 UE-A2, UE-A3가 voice 및 video 미디어를 지원
{video+MPEG-4}={UE-A1} 단말 UE-A1이 MPEG-4 코덱의 video 미디어를 지원
상기 AS(510)는 상기 CUDM(520)으로부터 정보가 응답되면,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단말을 선택한다.
이하, 도시된 각 과정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 원격 단말(Remote End)(300)이 상기 사용자 A(100)와 음성 및 영상으로 이루어진 미디어에 대한 세션을 개시하기 위해서 전송한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INVITE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A(100)에 대한 홈 네트워크(500) 내의 상기 AS(510)가 수신한다.
(2)~(4) 그러면 상기 AS(510)는 상기 CUDM(520)에게 상기 사용자 A(100)가 소유한 여러 단말들 중, 상기 세션의 요구 사항(Target Requirement)을 만족하는 단말을 조회 요청하기 위해,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CUDM(520)에게 전송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의 옵션이 가능하다.
첫째 옵션으로, 상기 AS(510)는 요구 사항으로서 음성을 지원하는 단말과, 영상을 지원하는 단말을 각기 따로 요청하는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CUDM(5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CUDM(520)은 상기 CUDR(530)로부터 상기 사용자 A(100)가 소유한 단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단말을 검색한다.
상기 CUDM(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을 지원하는 UE-A1, UE-A2, UE-A3와, 비디오 지원하는 UE-A1, UE-A3를 조회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AS(510)로 전송한다.
둘째 옵션으로, 상기 AS(510)는 요구 사항으로서 음성과 영상을 모두 지원하는 단말을 요청하는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CUDM(5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CUDM(520)은 상기 CUDR(530)로부터 상기 사용자 A(100)가 소유한 단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CUDM(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과 영상을 모두 지원하는 UE-A1, UE-A3를 조 회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AS(510)로 전송한다.
(5) 상기 AS(510)는 상기 CUDM(510)으로부터 상기 조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조회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들 중 적절한 단말, 예컨대 UE-A1을 선택한다. 이때, 상기 AS(510)는 상기 선택시에 네트워크의 정책(network policy), 사업자의 정책(operator policy), 사용자의 선호도(user preference)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시적으로 음성과 영상을 모두 지원하는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였으나, 상기 AS(510)는 상기 음성을 지원하는 단말과 영상을 지원하는 단말을 따로 선택할 수도 있다.
(6) 상기 AS(510)는 상기 선택에 기반하여,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INVITE 메시지를 상기 UE-A1에게 전송한다.
(7) 상기 UE-A1은 상기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AS(510)로 세션 개시 수락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200 OK 메시지를 전송한다.
(8) 그러면, 상기 AS(510)는 상기 외부 엔티티, 예컨대 원격 단말(300)에게 세션 개시 수락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200 OK 메시지를 전송한다.
(9) 그러면, 상기 UE-A1과 상기 외부 엔티티, 예컨대 원격 단말(300)간에 음성 및 영상으로 이루어진 미디어에 대한 세션이 설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단말과 홈 네트워크 간의 무선 시그널링이 감소되고, 그로 인해 사용자의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무선 시그널링의 감소를 통하여, AS(510)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세션 관리 방법은 도 4와 달리 조회 요청 메시지에 FlagSelectEachUE 파라미터가 추가되어 있다.
상기 AS(510)가 상기 FlagSelectEachUE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상기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면, 상기 CUDM(520)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는 단말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단말을 조회 응답 메시지에 포함시켜 상기 AS(5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CUDM(520)이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는 기준은 네트워크의 정책, 사업자의 정책, 사용자의 선호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상기 CUDR(53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5의 각 과정은 도 4와 유사하므로, 도 4와 다른 과정만을 중심으로 이하 설명하도록 한다.
(1) 도 4의 과정과 동일하다.
(2)~(5) 상기 AS(510)는 상기 CUDM(520)에게 상기 사용자 A(100)가 소유한 여러 단말들 중, 상기 세션의 요구 사항(Target Requirement)을 만족하는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여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FlagSelectEachUE 파라미터를 설정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CUDM(520)에게 전송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2가지의 옵션이 가능하다.
첫째 옵션으로, 상기 AS(510)는 요구 사항으로서 음성을 지원하는 단말과, 영상을 지원하는 단말을 각기 하나씩 따로 선택하여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FlagSelectEachUE 파라미터와, Target Requirement={voice},{video} 파라미터를 설 정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CUDM(5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CUDM(520)은 상기 CUDR(530)로부터 상기 사용자 A(100)가 소유한 단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단말을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CUDM(520)은 상기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단말을 선택, 예컨대 음성에 대해서 UE-A1를 선택하고, 비디오에 대해서 UE-A3을 선택한다.
이어서, 상기 CUDM(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Voice={UE-A1}, Video={UE-A1}을 포함하는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AS(510)로 전송한다.
둘째 옵션으로, 상기 AS(510)는 요구 사항으로서 음성과 영상을 모두 지원하는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여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FlagSelectEachUE 파라미터와, Target Requirement={voice, video} 파라미터를 설정한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CUDM(5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CUDM(520)은 상기 CUDR(530)로부터 상기 사용자 A(100)가 소유한 단말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단말을 검색한 후, 상기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단말로서 UE-A1을 선택하고, {Voice, Video}={UE-A1}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AS(510)로 전송한다.
(6) 그러면, 상기 AS(510)는 상기 조회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예컨대 UE-A1으로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기반의 INVITE 메시지를 전송한다.
(7)~(9) 각 과정은 도 4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단말과 홈 네트워크 간의 무선 시그널링이 감소되고, 그로 인해 사용자의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무선 시그널링의 감소를 통하여, AS(510)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여기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기타 등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능력 정보 교환 과정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능력 정보 교환 후 세션을 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능력 정보 관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관리 방법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이다.

Claims (11)

  1. 복수의 단말을 소유하는 사용자와의 세션을 관리하는 서버에서 상기 세션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단말을 소유하는 특정 사용자와 특정 세션을 수행하길 희망하는 원격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가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사용자의 단말들 중 상기 특정 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단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가 조회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정보 저장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조회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복수의 단말들 중 음성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복수의 단말들 중 영상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와; 그리고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복수의 단말들 중 음성 및 영상을 지원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한 조회 응답 메시지 내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특정 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로 세션 개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조회 응답 메시지의 수신하면, 상기 조회 응답 메시지 내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복수의 단말들 중 상기 특정 세션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단계에서는 상기 서버가 상기 선택된 단말로 상기 세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서버에 의해 선택된 단말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은
    음성과 영상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요청 메시지는
    상기 세션의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의 요구 사항은 음성 및 영상에 대한 요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요청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서버가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복수의 단말들 중에서 상기 세션을 진행할 수 있는 단말을 선택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9. 복수의 단말의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세션이 생성되도록, 상기 능력 정보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에서의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서버가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복수의 단말들 각각의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서버가 상기 능력 정보를 저장하고 응답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들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복수의 단말과 원격 단말 간의 세션에 대한 요구 사항을 포함하는 조회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서버가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된 능력 정보 중 상기 세션에 대한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능력을 가진 단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조회 응답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정보 저장 서버가 상기 원격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의 요구 사항은 음성 및 영상에 대한 요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요청 메시지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복수의 단말들 중에서 상기 세션의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단말을 선택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KR1020080111295A 2008-11-10 2008-11-10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KR101022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295A KR101022165B1 (ko) 2008-11-10 2008-11-10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295A KR101022165B1 (ko) 2008-11-10 2008-11-10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332A KR20100052332A (ko) 2010-05-19
KR101022165B1 true KR101022165B1 (ko) 2011-03-17

Family

ID=4227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295A KR101022165B1 (ko) 2008-11-10 2008-11-10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1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567B1 (ko) * 2014-01-09 2020-04-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mt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701A (ko) * 2001-08-16 2004-02-19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사용자 장비 자원 예약 설정 프로토콜 기능들을 확인하기위하여 세션 시작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KR20060002972A (ko) * 2003-04-11 2006-01-0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20080065209A (ko) * 2007-01-08 200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능력 관리를 통한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단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701A (ko) * 2001-08-16 2004-02-19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사용자 장비 자원 예약 설정 프로토콜 기능들을 확인하기위하여 세션 시작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KR20060002972A (ko) * 2003-04-11 2006-01-09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20080065209A (ko) * 2007-01-08 200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능력 관리를 통한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332A (ko)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0442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능력 관리를 통한 세션 업데이트 방법 및단말
US7502837B2 (en) Service provision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09533B1 (ko) 사용자 아이덴티티들
CN107070849B (zh) 用于使用sip协议来实现协作会话的控制转移的系统和方法
CN101345748B (zh) 将用户状态通知应用服务器的方法、系统及装置
EP1611764B1 (en) Multiple registration of a subscri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021014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home subscriber server (HSS) proxy
US8422405B2 (en) Mobile switching center platform having interfaces with functionalities defined by an architecture that provides packet-switched multimedia subscriber services
US8935374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realizing registration mechanism of IP multimedia subsystem
CN106717041A (zh) 用于在外地网络中漫游的移动装置的增强的互联网协议多媒体子系统的服务限制和选择控制
MX2008008901A (es) Sistema y metodo de seleccion de dominios que se pueden operar en un ambiente de red que incluye ims.
JP2006522501A5 (ko)
US8265622B2 (en) Method and saving entity for setting service
US8078180B2 (en) Subscriber server system for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EP1988662A1 (en) A method for realizing called service and a system thereof
CN101043526A (zh) 在ims网络中处理消息的方法、装置及系统
RU2454031C2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ассоциативно-управляющих связей
US11418635B2 (en) Method of dynamic selection, by a caller,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of a callee
KR101022165B1 (ko)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관리 방법
KR20110001696A (ko) 단말 간 이동 방법
KR101075614B1 (ko) 아이피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가입자 정보유실시 착신호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KR101013717B1 (ko) 능력 정보에 기반한 세션 이동 방법
KR101360151B1 (ko) Gruu 사용 가입자 간의 ims망에서의 sip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EP3337118B1 (en) Method for an enhanced control function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home subscriber serv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210314372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rest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