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329B1 -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에서의 에스엘에이 기반의 동적대역폭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에서의 에스엘에이 기반의 동적대역폭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329B1
KR101021329B1 KR1020040043502A KR20040043502A KR101021329B1 KR 101021329 B1 KR101021329 B1 KR 101021329B1 KR 1020040043502 A KR1020040043502 A KR 1020040043502A KR 20040043502 A KR20040043502 A KR 20040043502A KR 101021329 B1 KR101021329 B1 KR 10102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uplink
granti
max
o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390A (ko
Inventor
강대경
김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43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32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6Provisions for optical burst or packe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64Arbitration, scheduling or medium access control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86Network resource allocation, dimensioning or optim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2011/0088Signalling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EPON : Ethernet PON)에서 ONU(광 네트워크 유닛, Optical Network Unit)의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DBA : Dynamic Bandwidth Allocation)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향 대역 사용 희망 시간 길이가 최대 사용 가능 시간 길이보다 크면, 모든 ONU들에게 최소한 한번 상향 전송을 할 수 있는 최대 시간 길이 및 상기 특정 ONU 이전의 ONU들이 이미 사용한 시간을 이용하여 잉여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잉여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ONU의 버스트 트래픽 처리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SLA에 의하여 결정되는 잉여 대역의 분배에 관한 파라미터 및 상기 특정 ONU의 버스트 트래픽 처리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시간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상향 대역 사용 가능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동적 대역폭 할당, TDMA, EPON, 이더넷, 상향 전송

Description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에서의 에스엘에이 기반의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 {Method for SLA-based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도 1은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의 일반적 구성을 도식화시켜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에 대한 변형 계산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4는 GUARANTEED_CYCLE_TIME과 EXTENDED_CYCLE_TIME을 예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pre CYCLE_TIME 조건에 의한 REMNANT_TIME 계산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post CYCLE_TIME 조건에 의한 ADD_TIME 계산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수동형 광가입자망(PON : Passive Optical Network)의 대역폭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EPON : Ethernet PON)에서 ONU(광 네트워크 유닛, Optical Network Unit)의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DBA : Dynamic Bandwidth Allocation)에 관한 것이다.
전화국부터 빌딩 또는 일반 가정까지의 가입자망 구성을 위하여, xDSL(x-Digital Subscriber Line), HFC(Hybrid Fiber Coax), FTTB(Fiber To The Building),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다양한 망구조와 진화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다양한 망구조 중 FTTx 구조는 옥외형 능동형 장비의 유무에 따라서 능동형 FTTx와 수동형 FTTx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 중 PON은 수동형 FTTx 방식으로서, 수동 소자에 의한 점-대-다점(Point-To-Multipoint)의 토폴로지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광섬유를 여러 ONU가 공유하여 광섬유 포설 비용을 줄이고, 옥외 능동형 소자를 제거함으로써 운용 관리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줄여 향후 경제성이 있는 광가입자망 구현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상술한 PON은 하나의 광선로 종단 장치(OLT : Optical Line Termination)와 다수의 광가입자망 장치인 ONU들을 1:N의 수동형 광분배기(ODN : Optical Distribution Network)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트리 구조의 분산 토폴로지를 형성하는 광가입자망 구조이다.
도 1은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의 일반적 구성을 도식화시켜 보여주는 개념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ON은 하나의 OLT가 다수의 ONU와 수동 소자를 통하여 1:N으로 대응되는 트리 구조(Tree Structure)를 가진다. OLT에서 ONU로의 하향 전송에 있어서는, OLT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모든 ONU로 브로드캐스트되며,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이더넷에서와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EPON으로 인한 매체 공유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ONU에서 OLT로의 상향 전송에 있어서는, 다수의 ONU가 수동 소자로부터 하나의 광섬유를 통하여 OLT까지 연결되므로, ONU간 충돌없이 상향 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시간상의 중복을 피하면서 매체를 억세스하는 TDMA MAC(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된다.
가장 단순한 상향 대역폭 할당 방법은 각 ONU에게 고정된 타임 슬롯을 할당하여 ONU 간의 충돌을 피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상향 데이터가 없는 ONU도 대역을 계속 점유하게 되고, 그에 따라 불필요한 대역 낭비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E-PON에서 상향 전송을 위하여 하나의 광섬유를 여러 ONU들이 TDMA 방식으로 공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ONU들 간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면서, 각각의 ONU에 동적으로 상향 대역폭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포함하는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E-PON :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의 ONU(Optical Network Unit)의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DBA :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방법에 있어서, 특정 ONU로부터 상향 대역 사용 희망 시간 길이 정보(REQi)를 포함하는 대역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이를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의하여 보장된 최대 사용 가능 시간 길이(MAX_GRANTi)와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상향 대역 사용 희망 시간 길이가 최대 사용 가능 시간 길이보다 크면, 모든 ONU들에게 최소한 한번 상향 전송을 할 수 있는 최대 시간 길이(MAX_CYCLE_TIME) 및 상기 특정 ONU 이전의 ONU들이 이미 사용한 시간을 이용하여 잉여 시간(REMNANT_TIME)을 결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계산한 잉여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ONU의 버스트 트래픽(Burst Traffic) 처리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시간(ADD_TIME)을 결정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SLA에 의하여 결정되는 잉여 대역의 분배에 관한 파라미터(WFi)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결정된 특정 ONU의 버스트 트래픽(Burst Traffic) 처리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시간(ADD_TIME)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상향 대역 사용 가능 시간을 결정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ONU들이 보내고자 하는 트래픽의 양은 시간에 따라 가변적이고, 버스트한 특성이 있으므로, 그에 맞게 상향 대역을 동적으로 할당하여 상향 대역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고, 전송 지연 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향 대역폭의 동적 할당 방법을 제공하며, 이로 인하여, 상향 TDMA의 사용(Utilization)을 극대화하고, 상향 트래픽의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며, ONU 간의 공평성(Fairness)를 보장한다. 또한, TDM 전용 회선급의 고정 대역폭 서비스, QoS(Quality of Service) 제공이 가능한 보장 대역폭 서비스, 버스트가 심한 베스트 에포트(Best Effort) 서비스를 위한 비보장 확장 대역폭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상향 대역폭 동적 할당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핵심은 각 ONU 당 할당하는 상향 타임 슬롯의 크기를 데이터 전송량에 맞게 가변시키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AX_CYCLE_TIME 내에 GUARANTEED_TIME과 EXTENDED_TIME을 설정하여, 전용 회선급의 TDM 서비스 및 영상 등의 보장형 서비스 등은 GUARANTEED_TIME을 사용하고, 그 이외의 베스트 에포트 트래픽은 GUARANTEED_TIME과 EXTENDED_TIME을 모두 활용하여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버스트 트래픽까지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DBA를 구현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FIXED_CYCLE_TIME을 사용하지 않고 VARIABLE_CYCLE_TIME을 사용함으로써, 각 ONU에 할당된 시간에 따라 MAX_CYCLE_TIME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CYCLE_TIME이 가변되어, 상향 전송의 지연이 FIXED_CYCLE_TIME 때보다 작게되 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또한, FIXED_CYCLE_TIME에서는 DBA의 구현에 있어서, 다른 ONU들이 사용하지 않는 대역을 조사하기 위하여 모든 ONU로부터 REQ를 수신한 후에 잉여 대역을 계산하여 GRANT를 보냄으로써, REQ와 GRANT 사이의 지연 시간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그러한 과정없이 해당 ONU의 REQ만 수신하여도 다른 ONU들이 사용하지 않고 남긴 대역을 계산하여 GRANT를 보낼 수 있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OLT와 여러 ONU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REQi : ONUi가 OLT에 요청하는 상향 대역 전송 희망 시간
* GRANTi : OLT가 ONUi에게 허가하는 상향 대역 전송 가능 시간이며, 전송 시작 시간과 그때부터 사용 가능한 시간의 길이를 ONUi에게 알려준다. 한편, REQi와 GRANTi의 교환은 IEEE 802.3ah에 정의된 멀티 포인트 컨트롤 프로토콜(MPCP : Multi Point Control Protocol)을 사용하고, 한번의 CYCLE_TIME 동안 라운드 로빈에 의하여 각 ONU들이 한번씩 REQi를 상향 송신하며, 그에 해당하는 GRANTi를 수신한다. REQi의 전송은 상향 데이터 전송 끝에 MPCP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고, GRANTi의 전송은 하향 데이터 전송 끝에 MPCP 이더넷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 MAX_GRANTi : REQi와 무관하게 ONUi에게 사이클 한 주기 동안 고정적으로 할당하는 시간으로서, 최초에 맺은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의하여 결정된다.
* MAX_CYCLE_TIME : 모든 ONU가 최소한 한번 상향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시간 주기로서, 음성, 영상 또는 전용 회선과 같은 최소 지연 시간 보장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POTS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MAX_CYCLE_TIME을 2 msec 이내로 하여 지연 조건을 만족시킨다.
* REMNANT_TIME : MAX_CYCLE_TIME - 이전 N-1 개 ONU들의 총 사용 시간 = MAX_CYCLE_TIME - Sum{j = i-(N-1) to i-1}(GRANTj). 여기에서 i-(N-1)은 i-(N-1) mod N을 편의상 줄여서 쓴 것이며, 이후에도 마찬가지로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반복되는 사이클로 인하여 mod N 연산이 사용되는 것으로 정한다.
* GUARANTEED_TIME : Sum of all MAX_GRANTi로서, 도 4를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 EXTENDED_TIME : MAX_CYCLE_TIME - GUARANTEED_TIME으로서, 도 4를 설명할 때,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 ADD_TIME : ONUi에게 MAX_GRANTi 이외에 추가 할당 가능한 시간을 의미한다.
*WFi : ADD_TIME의 Weighted Fairness 사용 계수로서, 이 값은 0과 1 사이의 범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에 대한 변형 계산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도 4는 GUARANTEED_CYCLE_TIME과 EXTENDED_CYCLE_TIME을 예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pre CYCLE_TIME 조건에 의한 REMNANT_TIME 계산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post CLCLE_TIME 조건에 의한 ADD_TIME 계산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텝 S201에서, 상향 전송을 위하여 ONUi는 REQi를 통하여 OLT에게 상향 전송을 허가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 이때, REQi에는 ONUi의 버퍼 상태에 따른 데이터 전송 소요 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이어서, 스텝 S203에서, OLT는 ONUi의 REQi가 SLA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부합 여부 판단은 REQi와 MAX_GRANTi의 값을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스텝 S203에서의 판단 결과, REQi가 SLA를 만족하고 MAX_GRANTi보다 작으면, 스텝 S205에서, OLT는 ONUi에게 요청한 시간만큼의 GRANT(GRANTi = REQi)를 할당한 후, 스텝 S213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S203에서의 판단 결과, REQi가 MAX_GRANTi 이상이면, ONUi에게 MAX_GRANTi까지만 허락해 주어도 SLA를 위배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다른 ONU들이 사용하고 남은 잉여 대역이 있으면 베스트 에포트(Best Effort)에 잉여 대역을 추가로 할당할 수 있다. 즉, REQi가 MAX_GRANTi보다 크면, 추가 대역 할당이 가능하지 여부를 잉여 시간(REMNANT_TIME)을 통하여 판단하는 바, 이는 아래의 과정을 통하여 상세하게 구현된다. 한편, REMNANT_TIME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X_CYCLE_TIME에서 ONUi 이전의 N-1 개 ONU들이 사용한 총 GRANT 시간을 차감한 시간으로서, MAX_CYCLE_TIME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ONUi가 사용할 수 있는 최 대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스텝 S207에서, ONUi의 REMNANT_TIME을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한다.
REMNANT_TIME = MAX_CYCLE_TIME - Sum{j = i - (N-1) to i-1}(GRANTj)
여기에서, N은 총 ONU의 갯수이고, i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이며, i-(N-1)은 i-(N-1) mod N을 편의상 줄여 쓴 것이다.
한편, 구현의 편의 및 REQ와 GRANT 사이의 시간 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REMNANT_TIME은 매번 새로 계산할 필요없이 기존에 계산한 REMNANT_TIME을 활용하여 계산할 수 있는 바, 이를 보여 주는 것이 도 3의 스텝 S311이며, 이는 아래의 [수학식 2]에 따른다.
REMNANT_TIME = REMNANT_TIME - GRANTi + GRANTi+1
여기서, GRANTi+1은 이전 사이클에서의 ONUi+1의 GRANT 값을 나타낸다.
이어서, 스텝 S209에서, REMNANT_TIME과 EXTENDED_TIME으로부터 실제로 ONUi가 MAX_GRANTi 이외에 사용 가능한 ADD_TIME을 계산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Ui가 사용할 수 있는 총 시간은 REMNANT_TIME보다 작아야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MAX_GRANTi + EXTENDED_TIME보다 작아야 한다. 왜냐하면, ONUi가 이 값을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최악의 경우 ONUi 이후의 N-1개 ONU들이 모두 자신의 MAX_GRANTi만큼의 시간을 사용하게 될 때, ONUi부터 ONUi+N-1까지의 CYCLE_TIME이 MAX_CYCLE_TIME을 초과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ADD_TIME은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DD_TIME = MIN(REMNANT_TIME - MAX_GRANTi, EXTENDED_TIME)
EXTENDED_TIME = MAX_CYCLE_TIME - Sum{i = 1 to N}(MAX_GRANTi)
이어서, 스텝 S211에서, GRANTi를 계산한다. 한편, WFi는 잉여 대역의 분배에 관한 SLA 파라미터이며,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만약, WFi가 0이면 ADD_TIME을 전혀 사용할 수 없게 하는 것이고, 1이면 그 순간의 잉여 대역을 모두 ONUi가 GREEDY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WFi를 적절히 정하면 버스트 트래픽에 대한 공평 분배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Fi = 1/N으로 설정하면, 잉여 대역을 모든 ONU가 균등하게 나누어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WFi = 0.3으로 설정하면, 잉여 대역의 30 %까지 ONUi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WFi는 SLA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에 따라, ONUi에 할당되는 GRANTi는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결정된다.
GRANTi = MAX_GRANTi + WFi * ADD_TIME
한편, WFi가 1보다 작아서 ADD_TIME을 ONUi가 다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ONUi까지의 CYCLE_TIME이 (REMNANT_TIME - GRANTi)만큼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그에 따라 CYCLE_TIME이 MAX_CYCLE_TIME보다 작게 되어 결과적으로 지연 시간이 줄 어들게 된다.
그리고, 스텝 S213에서, 다음 ONU로의 진행을 위하여 i에 1을 더한 후, 상기 스텝 S201로 복귀한다.
한편, 종래 기술과 같이 고정 사이클 타임을 사용하면 전송하여야 할 상향 데이터가 적을 때에도 사이클 타임이 줄어들지 않는 반면, 본 발명과 같이 가변 사이클 타임을 사용하면 상향 데이터량이 적을 때 사이클 타임을 줄임으로써 결과적으로 상향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GRANTi를 항상 MIN_GRANTi 이상으로 할당하여 ONU의 상향 타임 슬롯의 최소값을 설정하여 항상 일정 속도 이상을 보장하는 전용회선 개념의 TDM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이때, MIN_GRANTi 시간은 ONUi가 사용하지 않더라도 다른 ONU에게 할당되지 않는 시간이다. 따라서, ONUi에게만 독점적으로 고정되는 시간이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이 고정 대역폭(Fixed Bandwidth)를 제공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한 사이클 타임동안 GRANTi를 MAX_GRANTi 범위 내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게 하여 QoS 전송이 가능하다. 이때, MAX_GRANTi까지의 시간은 ONUi가 요청하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라는 점에서 상기 고정 대역폭 제공 효과와 동일한 서비스에 해당한다. 그러나, ONUi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 해당하면, 다른 ONU가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결과는 보장 대역폭(Guaranteed Bandwidth)를 제공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은 EXTENDED_TIME 및 REMNANT_TIME을 도입하여 이전의 ONU들이 한 사이클 타임 이내에서 사용하지 아니한 잉여 시간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REMNANT_TIME의 계산에 있어서 하나의 사이클 타임의 시작과 끝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매 순간 ONUi를 기준으로 하여 ONUi까지의 사이클 타임(pre CYCLE_TIME)과 ONUi부터의 사이클 타임(post CYCLE_TIME)이 MAX_CYCLE_TIME을 넘지 않아야 하는 조건을 이용하여 ONUi가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ADD_TIME을 계산하여 이 시간동안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트래픽을 보낼 수 있게 함으로써 비보장 확장 대역(Extended Bandwidth)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이용하여 SLA 계약에 따른 대역폭 설정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각 ONU 당 상향 대역폭을 설정하며, 하향 대역폭 설정은 이더넷 고유 특성에 의하여 대역폭 설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내용과는 상관이 없다.
(1) 예시 1
* 고정 대역폭 : 4 Mbps(E1급 전용회선 + BcN 영상 전화)
* 보장 대역폭 : 12 Mbps(DTV용 양방향 영상 서비스 + 초고속 인터넷)
* 비보장 확장 대역폭 : 400 Mbps(개인 서버 등을 운영하는 유저의 P2P, FTP 등 버스트 트래픽의 효과적 수용)
* MAX_CYCLE_TIME = 2 msec
* ONU의 총 갯수 = 32
* GUARD_TIME = 1 usec
* 고정 대역폭 제공을 위하여 MIN_GRANTi = 2 msec * 4 Mbps / 1 Gbps = 8 usec
* 보장 대역폭 제공을 위하여 MAX_GRANTi = 2 msec * 12 Mbps / 1 Gbps = 24 usec
* GUARANTEED_TIME = 32 * (1 + 8 + 24) = 1056 usec
* EXTENDED_TIME = 2000 - 1056 = 944 usec
* 최대 잉여 대역폭 = 944 / 2000 * 1 Gbps = 472 Mbps
* 따라서, WFi = 0.85로 설정하면, 비보장 확장 대역폭으로 400 Mbps의 사용이 가능하다.
(2) 예시 2
* 고정 대역폭 : 4 Mbps(E1급 전용회선 + BcN 영상 전화)
* 보장 대역폭 : 20 Mbps(DTV용 양방향 영상 서비스 + 초고속 인터넷)
* 비보장 확장 대역폭 : 100 Mbps(개인 서버 등을 운영하는 유저의 P2P, FTP 등 버스트 트래픽의 효과적 수용)
* MAX_CYCLE_TIME = 2 msec
* ONU의 총 갯수 = 32
* GUARD_TIME = 1 usec
* 고정 대역폭 제공을 위하여 MIN_GRANTi = 2 msec * 4 Mbps / 1 Gbps = 8 usec
* 보장 대역폭 제공을 위하여 MAX_GRANTi = 2 msec * 20 Mbps / 1 Gbps = 40 usec
* GUARANTEED_TIME = 32 * (1 + 8 + 40) = 1568 usec
* EXTENDED_TIME = 2000 - 1568 = 432 usec
* 최대 잉여 대역폭 = 432 / 2000 * 1 Gbps = 216 Mbps
* 따라서, WFi = 0.47로 설정하면, 비보장 확장 대역폭으로 100 Mbps의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ONU 간의 전송시 레이저 다이오드의 Turn on/off, MPCP 메시지 등의 시간으로 인하여 ONU 간의 전송 사이에 일정한 GUARD_TIME이 존재하게 되며, 한번의 CYCLE_TIME 동안 총 N 개의 GUARD_TIME이 존재하게 된다. 그에 따라서 상향 전송 대역의 Utilization은 (CYCLE_TIME - n * GUARD_TIME) / CYCLE_TIME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CYCLE_TIME이 줄어들게 되면, 전송 지연은 줄지만, Utilization은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ONU 갯수가 많은 경우 문제된다. 일례로 MAX_CYCLE_TIME이 2 msec이고, GUARD_TIME이 1 usec이며, ONU 갯수가 32 개의 경우, EXTENDED_TIME을 설정하지 아니하면, MAX_GRANT = 2000 / 32 usec - 1 usec = 61.5 usec가 된다. 만일, 32 개의 ONU 중에서 특정 시간에 31 개의 ONU가 보낼 데이터가 없는 idle 상태라면, 하나의 ONU가 낼 수 있는 최대 효율은 61.5 / (61.5 + 32 * 1) = 0.66으로서, 660 Mbps 정도이다. 만약, 물리적 구현상의 이유로 GUARD_TIME이 늘어나게 되면, 효율은 더욱 저하된다. 이러한 저효율은 CYCLE_TIME이 작아질 경우, GUARD_TIME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각 ONU 당 MAX_GRANT를 40 usec로 하고, EXTENDED_TIME = 2000 - 40 * 32 -1 * 32 = 688 usec로 설정하며, WFi = 1 이라고 가정하면, ONU의 상향 utilization은 (40 + 688) / (728 + 32 * 1) = 0.957로서, 950 Mbps에 육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사용하지 아니하는 미대역폭의 효율적인 분배를 통하여 상향 Utilization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 사이클 타임, 확장 시간 및 잉여 시간을 활용함으로써, 상향 전송 지연을 최소화시키고, 고정 대역폭뿐만 아니라 보장 대역폭까지 제공할 수 있으며, 버스트 트래픽의 효율적 수용을 위한 비보장 확장 대역폭 서비스까지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를 포함하는 이더넷 수동형 광가입자망(E-PON :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의 ONU(Optical Network Unit)의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DBA :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방법에 있어서,
    특정 ONU로부터 상향 대역 사용 희망 시간 길이 정보(REQi)를 포함하는 대역 할당 요구 메시지를 전송받으면, 이를 SLA(Service Level Agreement)에 의하여 보장된 최대 사용 가능 시간 길이(MAX_GRANTi)와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상향 대역 사용 희망 시간 길이가 최대 사용 가능 시간 길이보다 크면, 모든 ONU들에게 최소한 한번 상향 전송을 할 수 있는 최대 시간 길이(MAX_CYCLE_TIME) 및 상기 특정 ONU를 제외한 다른 ONU들이 이미 사용하고 남은 시간을 이용하여 잉여 시간(REMNANT_TIME)을 결정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계산한 잉여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ONU의 버스트 트래픽(Burst Traffic) 처리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시간(ADD_TIME)을 결정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SLA에 의하여 결정되는 잉여 대역의 분배에 관한 파라미터(WFi)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결정된 특정 ONU의 버스트 트래픽(Burst Traffic) 처리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시간(ADD_TIME)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상향 대역 사용 가능 시간을 결정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상기 상향 대역 사용 희망 시간 길이가 최대 사용 가능 시간 길이보다 작으면, 상기 특정 ONU에게 요청한 시간만큼의 상향 대역 사용 가능 시간을 할당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 시간(REMNANT_TIME)은 아래의 [식 1]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
    [식 1]
    REMNANT_TIME = MAX_CYCLE_TIME - Sum{j = i - (N-1) to i-1}(GRANTj)
    여기에서, N은 총 ONU의 갯수이고, i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이며, i-(N-1)은 i-(N-1) mod N을 편의상 줄여 쓴 것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여 시간(REMNANT_TIME)은 아래의 [식 2]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
    [식 2]
    REMNANT_TIME = REMNANT_TIME - GRANTi + GRANTi+1
    여기서, GRANTi+1은 이전 사이클에서의 ONUi+1의 GRANT 값을 나타낸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특정 ONU의 버스트 트래픽(Burst Traffic) 처리를 위하여 사용 가능한 시간(ADD_TIME)은 아래의 [식 3]에 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
    [식 3]
    ADD_TIME = MIN(REMNANT_TIME - MAX_GRANTi, EXTENDED_TIME)
    EXTENDED_TIME = MAX_CYCLE_TIME - Sum{i = 1 to N}(MAX_GRANTi)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최종 상향 대역 사용 가능 시간을 아래의 [식 4]에 의 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방법.
    [식 4]
    GRANTi = MAX_GRANTi + WFi * ADD_TIME
KR1020040043502A 2004-06-14 2004-06-14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에서의 에스엘에이 기반의 동적대역폭 할당 방법 KR10102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502A KR101021329B1 (ko) 2004-06-14 2004-06-14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에서의 에스엘에이 기반의 동적대역폭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502A KR101021329B1 (ko) 2004-06-14 2004-06-14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에서의 에스엘에이 기반의 동적대역폭 할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390A KR20050118390A (ko) 2005-12-19
KR101021329B1 true KR101021329B1 (ko) 2011-03-14

Family

ID=3729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502A KR101021329B1 (ko) 2004-06-14 2004-06-14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에서의 에스엘에이 기반의 동적대역폭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3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62B1 (ko) * 2005-11-15 2007-02-26 주식회사 케이티 이더넷 수동광가입자망의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대역폭 할당방법
KR100738559B1 (ko) * 2006-02-13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Epon 시스템의 대역폭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744279B1 (ko) * 2006-08-17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Epon 기반의 ftth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을이용한 동적 sla 할당 방법
KR100809424B1 (ko) 2006-09-29 2008-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가입자망을 위한 동적 대역폭 할당 장치 및 그 방법
US7688775B2 (en) * 2006-09-29 2010-03-30 Intel Corporation Management of guaranteed timeslot usage in wireless networks
KR100950337B1 (ko) 2007-11-27 2010-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dma 기반 수동 광가입자망을 위한 효율적인 동적대역폭 할당 장치 및 방법
KR101310906B1 (ko) 2009-11-30 2013-09-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적 대역폭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20914B1 (ko) * 2009-12-14 2012-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기간의 가변 할당 기능을 갖는 무선 네트워크 장치 및 이의 데이터 전송 기간 할당 방법
CN102685610B (zh) * 2011-03-14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动态分配操作管理控制接口带宽的装置和方法
CN108809851B (zh) * 2017-04-28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gpon系统的业务带宽分配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342A (ko) * 2002-09-24 2004-03-31 주식회사 케이티 미디어 접근 제어 프로토콜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더넷 광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342A (ko) * 2002-09-24 2004-03-31 주식회사 케이티 미디어 접근 제어 프로토콜 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더넷 광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390A (ko) 2005-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9211B2 (en)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method considering multiple services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CA229556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US7362975B2 (en) Bandwidth allocation device and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method based on class of service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US8548327B2 (en) Dynamic management of polling rates in a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EPON)
US9331812B2 (en) Round trip time aware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over coaxial network
US7437076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in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547705B1 (ko) 기가비트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의 음성서비스를 위한대역폭 할당방법
KR100775427B1 (ko) Gpon 시스템 및 gpon 시스템에서의 대역 할당 방법
JP2007159093A (ja) イーサネット(登録商標)受動光加入者網においてQoSを保障するための帯域割当装置及び方法
US20100208747A1 (en) Output demultiplexing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in passive optical networks
KR20070060368A (ko) Gpon 시스템 및 gpon 시스템에서의 대역 할당 방법
US20070133596A1 (en) EPON system and method for traffic scheduling in EPON system
JP2014508463A (ja) 最適化された動的帯域幅スケジューラ
JP2008270898A (ja) 光加入者線端局装置
KR100526551B1 (ko) 이더넷 기반 수동형 광 가입자망의 하향 트래픽 제어 방법및 그 장치
KR101021329B1 (ko) 이더넷 수동 광가입자망에서의 에스엘에이 기반의 동적대역폭 할당 방법
KR20050024089A (ko) 이더넷 기반 수동형 광 가입자망의 상향 트래픽 제어 방법및 그 장치
KR100584420B1 (ko) 기가비트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 동적 대역폭할당방법
KR100657122B1 (ko) 이더넷 수동광가입자망의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대역폭 할당방법
Zhu et al. A novel multiple access scheme for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Radzi et al. Recent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 methods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686862B1 (ko) 이더넷 수동광가입자망의 상향 데이터 전송을 위한 동적대역폭 할당방법
Park et al. Enhanced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 in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s
KR100719896B1 (ko) Epon 시스템에서 적응적 리미티드 동적 대역 할당방법
KR100986224B1 (ko) 이더넷 수동광가입자망에서의 동적 대역할당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