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140B1 -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 Google Patents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140B1
KR101021140B1 KR1020090011755A KR20090011755A KR101021140B1 KR 101021140 B1 KR101021140 B1 KR 101021140B1 KR 1020090011755 A KR1020090011755 A KR 1020090011755A KR 20090011755 A KR20090011755 A KR 20090011755A KR 101021140 B1 KR101021140 B1 KR 101021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thickness
coupling portion
liquid crystal
top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579A (ko
Inventor
허영
이종석
Original Assignee
대화메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화메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화메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1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2Front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Abstract

본 발명은 LCD 또는 PDP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한 액정표시장치의 안정적인 설치와 함께 최소한의 두께로 제작이 가능한 탑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탑 케이스, 가로부재, 세로부재

Description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Top Case for LCD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설치시 사용되는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들어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반도체 기술 개발로 인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소형 경량화되면서 성능은 더욱 강력해진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T(Cathode Ray Tube)가 성능이나 가격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소형화 또는 휴대성의 측면에서는 많은 단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소비화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서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정보 처리 기기에 장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의 특정한 분자배열에 전압을 인가하여 다른 분자배열로 변환시키고 이러한 분자배열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 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색성 및 광산란 특성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 변화로 변환하 는 것으로 액정 셀에 의한 빛의 변조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패널(2)과, 상기 액정패널(2)의 전면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탑 케이스(4)와, 상기 액정패널(2)의 하부에 구비되어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6)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6)을 수납하는 케이스(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탑 케이스(4)는 금속으로서 프레스 가공 등으로 생산되는데, 액정패널이 대형화되면서 탑 케이스의 뒤틀림, 휘어짐, 이송 및 프레스기기의 대형화를 요구하는 등의 문제로 케이스의 제작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탑 케이스(4)를 성형하기 위해 불필요한 재료 소모가 유발되고, 조립 이후에도 연결 부위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갖게 됨으로서 액정패널의 안정적인 안착 또는 가은 구성품의 슬림화가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표시 장치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 케이스 성형시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탑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 영역에서 균일한 두께로 성형되는 탑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안전한 탑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에 설치되는 탑 케이스(Top Case)는 상, 하로 각각 이격되어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고 양단부에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가 구비된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고 제1 결합부와 고정 결합되도록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가 구비된 세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연결부위는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에 의해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부재의 제1 결합부에는 단조 성형에 의해 가압되는 제1 단조편과, 상기 제1 단조편과 이웃하여 위치하는 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조편과 고정편은 가로부재의 폭 방향상에 교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편에는 제2 결합부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결합부는 고정편의 두께를 t1이라고 가정하고, 제1 단조편의 두께를 t2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1 단조편의 두께(t2)는 1/2*t1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로부재에는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한 제2 결합부를 기준으로 세로부재의 중앙을 향해 각각 이격 거리(L)를 갖는 위치에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로부재의 제2 결합부에는 제1 결합부에 구비된 제1 단조편과 고정편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단조 성형에 의해 가압되는 제2 단조편과, 상기 고정편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단조편 두께는 세로부재 두께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상기 제1,2 결합부가 연결된 연결부위의 두께(Tm)는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의 두께(T)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는 재료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인해 비용적인 손실을 방지하고 탑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는 액정 표시장치 주변에 설치되는 구성품과의 레이아웃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여 원활한 조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는 자체적인 구조적 강성이 향상되어 보다 견고한 상태로 이루어진 탑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에 설치되는 탑 케이스(Top Case)(1)는 상, 하로 각각 이격되어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고 양단부에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110)가 구비된 가로부재(100); 및 상기 가로부재(100)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고 제1 결합부(110)와 고정 결합되도록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210)가 구비된 세로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10)의 연결부위는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에 의해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프로젝션 용접을 실시하는 이유는 용접 부위가 많은 조건에서 신속하고 빠르게 여러 부분을 동시에 작업 할 수 있으며, 접합이 이루어지는 두 부재 간의 거리가 작 을 때 용이한 용접법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로부재(100)의 제1 결합부(110)에는 단조 성형에 의해 가압되는 제1 단조편(112)과, 상기 제1 단조편(112)과 이웃하여 위치하는 고정편(1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단조편(112)과 고정편(114)은 가로부재(100)의 폭 방향상에 교대로 위치 한다. 상기 제1 단조편(112)과 고정편(114)을 교대로 배치하는 이유는 프로젝션 용접 이후에 가로 부재(100)와 세로 부재(200) 상호 간에 발생될 수 있는 비틀림 또는 변형을 최소화 하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정편(114)에는 제2 결합부(210)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편(114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결합부(110)는 고정편(114)의 두께를 t1이라고 가정하고, 제1 단조편(112)의 두께를 t2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1 단조편(112)의 두께(t2)는 1/2*t1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고정편(114)의 두께가 제1 결합부(110)의 두께이므로 후술할 제2 단조편(212)과 제1 단조편(112)이 각각 면접촉된 상태애서 제1 결합부(110) 또는 제2 결합부(120)의 두께와 단차 없이 동일한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이와 같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세로부재(200)에는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한 제2 결합부(210)를 기준으로 세로부재(200)의 중앙을 향해 각각 이격 거리(L)를 갖는 위치 에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2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로부재(200)의 제2 결합부(210)에는 제1 결합부(110)에 구비된 제1 단조편(112)과 고정편(11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단조 성형에 의해 가압되는 제2 단조편(212)과, 상기 고정편(114)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홀(2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단조편(212) 두께는 세로부재(200) 두께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제1 단조편(112)과 밀착된 상태에서 가로 부재(100) 또는 세로 부재(200)와 동일한 두께를 이루기 위해서 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1,2 결합부(110,210)가 연결된 연결부위의 두께(Tm)는 가로부재(100) 또는 세로부재(200)의 두께(T)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왜냐하면, 가로 부재(100)와 세로 부재(200)가 각각 용접되어 고정되는 접합 부위의 두께가 다른 부위에 비해 두꺼운 두께를 갖을 경우에는 LCD패널 또는 기타 부품 설치에 따른 레이 아웃을 방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 장치용 탑케이스의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세로부재(200)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세로부재(200)로 사용되는 원 재료를 특정 길이로 절단한다. 절단되는 세로부재(200)는 액정패널의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세로부재(200)가 특정 길이로 절단된 이후에는 제2 결합부(210)가 성형될 위 치에 맞추어 상기 제2 결합부(210)의 형상대로 절단을 실시하고 이와 동시에 삽입홀(214)도 함께 성형한다.
세로부재(200)는 제2 단조편(212)을 성형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된 프레스기기(미도시)에 의해 상기 세로부재(200)의 양 단부에 제2 단조편(212)이 형성될 위치를 가압하여 제2 단조편(212)이 성형된다. 이때 제2 단조편(212)이 형성되는 곳의 두께는 세로부재(200)의 두께의 절반에 해당되는 두께를 갖도록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세로부재(200)의 두께가 1mm라고 할 때, 제2 단조편(212)은 0.5mm의 두께를 갖도록 성형한다.
이와 같이 제2 결합부(210)가 성형된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의 위치로 세로부재(200)의 양단을 절곡한다.
가로부재(100)는 세로부재(200)와 마찬가지로 액정패널의 크기에 맞추어 절단한 후에 제1 단조편(112)과 고정편(114)을 각각 성형한다.
첨부된 도 6b를 참조하면, 가로부재(100)와 세로부재(200)가 각각 준비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10)의 제1 단조편(112)은 제2 결합부(210)의 제2 단조편(212)과 면접촉되고, 고정편(114)의 연장편(114a)은 삽입홀(214)의 내부로 위치하게 된다.
첨부된 도 6c를 참조하면, 가로부재(100)와 세로부재(200)가 각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10)가 결합된 위치에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을 실시한다.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접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용접이 완료되면 탑 케이스(1)에 대한 결합은 완료되며 완료된 상태에서 탑 케이스에서 비틀림이 발생될 경우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6c를 참조하면, 탑 케이스(1)가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탑 케이스(1)의 길이 방향에서 발생된 비틀림과 폭 방향에서 발생된 비틀림 응력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탑 케이스(1)가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면서 제1,2 결합부(110,210)가 용접된 길이 방향과 폭방향에서 비틀림 응력(Stress)이 발생된다.
제1,2 결합부(110,210)의 길이 방향에서 응력이 발생되면서 제1 단조편(112)과 제2 단조편(212)이 용접된 길이 방향은 제1,2 단조편(112,212)이 완전 밀착 고정된 상태이고, 제1,2 단조편(112,212)이 각각 면접촉된 면적이 충분하여 길이 방향에서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제1,2 결합부(110,210)의 폭방향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2 단조편(112,212)이 각각 고정된 상태이므로 폭 방향에서의 변화를 방지하고, 삽입홀(214)에 위치한 연장편(114a)에 의해 폭 방향으로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연장편(114a)이 삽입홀(214)에서 벗어나지 않고 간섭이 이루어지면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제1,2 결합부(110,21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 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 장치용 탑케이스를 도시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 장치용 탑케이스에 구비된 가로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 장치용 탑케이스에 구비된 세로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6a는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 장치의 결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탑 케이스 100 : 가로부재
110 : 제1 결합부 112 : 제1 단조편
114 : 고정편 114a : 연장편
200 : 세로부재 210 : 제2 결합부
212 : 제2 단조편 214 : 삽입홀

Claims (10)

  1. 액정표시장치에 설치되는 탑 케이스(Top Case)는,
    상, 하로 각각 이격되어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고 양단부에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가 구비된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고 제1 결합부와 고정 결합되도록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가 구비된 세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로부재의 제1 결합부에는 단조 성형에 의해 가압되는 제1 단조편과, 상기 제1 단조편과 이웃하여 위치하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조편과 고정편은 가로부재의 폭 방향상에 복수로 마련되되, 교대로 위치하며,
    상기 세로부재의 제2 결합부에는 제1 결합부에 구비된 제1 단조편과 고정편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단조 성형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제1단조편과 면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 단조편과, 상기 고정편이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연결부위는 용접에 의하여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연결부위는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에 의해 접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에는 제2 결합부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장편은 상기 삽입홀 내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삽입홀과 상호 간섭되어 상기 제1,2결합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고정편의 두께를 t1이라고 가정하고, 제1 단조편의 두께를 t2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1 단조편의 두께(t2)는 1/2*t1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에는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위치한 제2 결합부를 기준으로 세로부재의 중앙을 향해 각각 이격 거리(L)를 갖는 위치에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조편 두께는 세로부재 두께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결합부가 연결된 연결부위의 두께(Tm)는 가로부재 또는 세로부재의 두께(T)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장치용 탑케이스.
KR1020090011755A 2009-02-13 2009-02-13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KR101021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755A KR101021140B1 (ko) 2009-02-13 2009-02-13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755A KR101021140B1 (ko) 2009-02-13 2009-02-13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579A KR20100092579A (ko) 2010-08-23
KR101021140B1 true KR101021140B1 (ko) 2011-03-14

Family

ID=4275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755A KR101021140B1 (ko) 2009-02-13 2009-02-13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1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743A (ko) * 1999-04-30 2000-11-25 누마자와 히로오 액정 디스플레이의 실드용 프레임
KR20050072557A (ko) * 2004-01-07 2005-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샤시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19171A (ko) * 2004-08-2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070075821A (ko) * 2006-01-16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743A (ko) * 1999-04-30 2000-11-25 누마자와 히로오 액정 디스플레이의 실드용 프레임
KR20050072557A (ko) * 2004-01-07 2005-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샤시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19171A (ko) * 2004-08-2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070075821A (ko) * 2006-01-16 200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579A (ko)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876B1 (ko) 전기 광학 장치용 실장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기기
CN104062782A (zh) 显示模组
CN110636154B (zh) 无线通信终端
US8820953B2 (en) Backlight system
US9519172B2 (en) Backplate assembly,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03162247A (zh) 一种背光模组的led灯条卡扣结构及其液晶显示器
KR101021140B1 (ko) 액정표시 장치용 탑 케이스
KR100459218B1 (ko) 액정표시장치용 프레임
US8678604B2 (en) Mold for back frame and bracing piece, method for manufacturing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WO2019223619A1 (zh) 背光源结构以及显示装置
CN105807490A (zh) 背光模组及其组装方法、显示装置
US20130128146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210982970U (zh) 一种边框组件及显示装置
US8733958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638987B1 (ko)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용 몰드프레임
US8888307B2 (en) Reflector plate and backlight system
US8864363B2 (en) Back frame, mold for back frame, method for manufacturing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US8836884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30128143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872995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US8905616B2 (en)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8866987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8879017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8960986B2 (en) Reflector plate and backlight system
CN100368891C (zh) 侧光式背光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