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108B1 -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108B1
KR101021108B1 KR1020090036880A KR20090036880A KR101021108B1 KR 101021108 B1 KR101021108 B1 KR 101021108B1 KR 1020090036880 A KR1020090036880 A KR 1020090036880A KR 20090036880 A KR20090036880 A KR 20090036880A KR 101021108 B1 KR101021108 B1 KR 101021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riving
duty
control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183A (ko
Inventor
권신형
최정령
김해진
김정대
Original Assignee
(주)모토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토닉 filed Critical (주)모토닉
Priority to KR1020090036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10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4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82Control of electrical fuel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펌프용 모터의 현재 제어단수, RPM, 듀티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구동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료펌프용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단수, 듀티,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된 제어단수, 듀티, 운전모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제어단수, 듀티, 운전모드 상태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모터 드라이버로 PWM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전모드는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제어단수 및 듀티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매뉴얼 모드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미리 저장된 패턴으로 제어하는 오토 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모터의 제어단수, RPM 및 듀티를 표시하는 제 1표시부와 상기 모터의 운전모드를 표시하는 제 2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표시부는 에프엔디로 구비되고, 상기 제 2표시부는 전원 상태와 상기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온/오프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에프엔디를 이용하여 현재 제어단수, 듀티, RPM, 운전모드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므로 모터를 구동하는 작동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제어단수별로 지정된 키로 제어단수를 변경하고 듀티를 선형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모터의 구동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36880
연료펌프 구동장치, 제어단수, FND, LED, 운전모드

Description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PEED CONTROL OF FULE PUMP DRIVER}
본 발명은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펌프용 모터의 현재 제어단수, 분당 회전수(Revolution Per Minute, 이하 'RPM'이라 함), 듀티(duty)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구동속도를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이하 '엘피지'라 함)는 냉각이나 가압에 의해 쉽게 액화하고 반대로 가열이나 감압에 의해 기화하는 특성이 있으며, 보통 엘피지는 가압(액화)된 상태로 고압 용기에 저장되어 기타 가스에 비해 취급이 쉬우며 발열량이 높다.
상기 엘피지를 연료로 하는 차량에서 종래에는 액화되어 있는 가스를 엔진에 기체 상태로 공기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여 엔진의 연소실에서 착화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은 기동성이 떨어지고 압력조절에 의한 분사방식으로 출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기에 액화 저장되어 있는 가스를 엔진에 기체 상태로 공기와 같이 유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가솔린 엔진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료탱크에서 공급되는 액화 가스를 그대로 인젝터까지 분사하도록 구성한 엘피아이(LIQUFIELD PETROLEUM INJECTION) 엔진을 사용하여 기동성을 높이고 출력부분을 개선하게 되었다.
이러한, 엘피아이 엔진에서는 액체 연료를 인젝터에 그대로 분사하기 때문에 연료를 인젝터까지 액체 상태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연료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블러시리스 직류 모터 드라이버(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Driver, 이하 '모터 드라이버'라 함)를 연료탱크 내부에 장착한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는 ECU에서 PWM신호를 받아 모터 속도와 비교하여 모터의 현재 RPM을 체크하고, 내부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모터 RPM을 5단계(1단:500RPM, 2단:1000RPM, 3단:1500RPM, 4단:2000RPM, 5단:2800RPM)로 조절하여 연료유량을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종래의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의 구성이 블록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1)는 전원부(2), 표시 LED(3), 제어스위치(4), PWM 출력회로(5) 및 제어부(6)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2)는 승용차량의 배터리 전압인 12V의 배터리전압을 인가받아 5V의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6)와 표시 LED(3)에 공급한다.
상기 제어스위치(4)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모터의 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단수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표시 LED(3)는 전체 제어단수에 대응되는 개수, 예컨대 5개의 LED로 구비되어 상기 5V의 구동전압을 공급받아 현재 모터 드라이버가 제어되고 있는 제어단수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6)는 상기 제어스위치(4)를 통해 입력된 제어단수를 상기 표시 LED(3)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단수에 해당하는 듀티를 갖는 PWM 신호를 상기 PWM 출력회로 쪽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PWM 출력회로(5)는 상기 12V의 배터리전압을 인가받아 5V의 전압레벨을 갖는 상기 PWM 신호를 12V의 전압레벨을 갖는 신호로 변환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1)는 모터의 구동속도 제어를 위한 PWM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되는 제어단수의 해당 표시 LED(3)를 온 시켜 현재 제어단수를 표시하는 단순 표시 기능만을 가진다. 따라서, 현재 연료펌프용 모터의 RPM을 표시하거나 출력 듀티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모터의 속도 제어시 일정 RPM으로만 구동시키는 각 제어단수로 제어하므로, 모터의 속도를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펌프용 모터의 속도를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의 정확한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단수별로 미리 설정된 패턴에 따라 제어하는 오토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연료펌프용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단수, 듀티,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된 제어단수, 듀티, 운전모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제어단수, 듀티, 운전모드 상태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모터 드라이버로 PWM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운전모드는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제어단수 및 듀티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매뉴얼 모드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미리 저장된 패턴으로 제어하는 오토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입력키, 상기 제어단수를 선택하는 단수 입력키 및 상기 듀티를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변경하도록 선택하는 듀티 변경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모터의 제어단수, RPM 및 듀티를 표시하는 제 1표시부와 상기 모터의 운전모드를 표시하는 제 2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표시부는 에프엔디(Flexible Numeric Display)로 구비되고, 상기 제 2표시부는 전원 상태와 상기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온/오프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수단을 초기화하는 리셋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제어수단 및 입력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PWM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PWM 출력회로, 상기 모터의 RPM을 측정하는 RPM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RPM을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RPM 입력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운전모드와 제어단수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선택된 운전모드가 매뉴얼 모드인가 오토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판단된 운전모드가 매뉴얼 모드인 경우, 상기 선택된 제어단수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b)에서 판단된 운전모드가 오토 모드인 경우, 상기 모터의 제어 단수별로 미리 저장된 패턴으로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e) 상기 제어단수를 에프엔디에 숫자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f) 상기 모터의 RPM을 검출하는 단계와 (g) 상기 검출된 RPM을 에프엔디에 숫자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h) 상기 연료펌프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이상 발생으로 인해 리셋키가 조작되면, 상기 제어수단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i) 듀티 변경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i)에서 듀티 변경이 선택되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듀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FND를 이용하여 현재 제어단수, 듀티, RPM, 운전모드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므로, 모터를 구동하는 작동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수별로 지정된 스위치로 제어단수를 변경하고, 듀티를 선형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모터의 구동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오토 모드를 선택하여 별도의 조작없이 미리 저장된 일정한 패턴으로 계속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모터 및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내구 및 성능시험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의 구성이 블록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10)는 입력부(11), 제 1 및 제 2표시부(12, 13), 전원부(14), 리셋키(15), PWM 출력회로(16), RPM 측정부(17), RPM 입력회로(18) 및 제어부(1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11)는 미도시된 연료펌프용 모터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변경키(11a),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PWM 신호의 듀티 변경명령을 선택하는 듀티 변경키(11b, 11c) 및 모터의 제어단수를 선택하는 단수 입력키(11d 내지 11h)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듀티 변경키는 듀티업 10%키(11b)와 듀티업 1%키(11c)를 마련한 구조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표시부(12)는 상기 모터의 제어단수, 듀티 및 RPM을 표시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어단수, 듀티 및 RPM을 7-세그먼트(7-segment)를 이용해 숫자로 표시할 수 있는 현재 단수/현재 듀티/현재 RPM 에프엔디(Flexible Numeric Display, 이하 'FND'라 함)(12a, 12b, 12c)를 구비한다.
상기 제 2표시부(13)는 전원공급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 발광다이오 드(Lignt Emitting Diode, 이하 'LED'라 함)(13a)와 모터의 운전모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매뉴얼/오토 모드 표시 LED(13b, 13c)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4)는 미도시된 과전압 보호회로와 전압 레귤레이터 등을 구비하고, 12V의 배터리전압을 5V의 구동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5V의 구동전압을 상기 제어부(19)와 제 1 및 제 2표시부(12, 13)에 공급한다.
상기 리셋키(15)는 상기 제어부(19)의 이상 동작 발생시, 상기 제어부(19)를 초기화하도록 리셋명령을 출력한다.
상기 PWM 출력회로(16)는 상기 제어부(19)로부터 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5V PWM 신호를 12V PWM 신호로 변환하여 미도시된 모터 드라이버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PWM 출력회로(16)는 배터리로부터 12V 전압을 인가받는다.
상기 RPM 측정부(17)는 예를 들어 홀 센서 등을 구비하여 모터의 RPM을 측정하고, 측정된 RPM 값을 상기 RPM 입력회로(18)로 출력하며, 상기 RPM 입력회로(18)는 미리 저장된 회로로직에 의해서 상기 RPM 측정부(17)에서 측정된 RPM을 주파수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9)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PWM 신호를 상기 PWM 출력회로(16)로 출력하고, 상기 입력부(11)의 단수 선택키(11d 내지 11h) 조작에 따른 모터의 현재 제어단수, 상기 PWM 신호의 듀티 및 상기 RPM 입력회로(18)를 통해 전달되는 주파수 값에 의한 현재 RPM을 상기 제 1표시부(1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는 상기 입력부(11)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단수 및 듀티 변경명령에 따른 현재 제어단수 및 변경된 제어단수를 제 1표시부(12)의 현재 단수 FND(12a)에 표시하며, 운전모드를 제 2표시부(13)의 매뉴얼/오토 모드 표시 FND(13b, 13c)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9)는 최초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이상 동작 발생시 상기 리셋키(15)가 조작되어 리셋명령이 입력되면, 정상동작을 수행하도록 초기화 상태로 진입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속도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이그니션 키 입력이 발생되어 배터리로부터 12V의 배터리전압이 공급되면(S10), 전원부(15)는 상기 배터리전압의 전압레벨을 5V의 구동전압으로 변환한다(S11). 이때, 제어부(19)는 제 2표시부(13)의 전원 표시 LED(13a)를 온 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전압을 인가받은 제어부(19)는 초기화 상태로 진입하여 제어단수와 PWM 신호의 듀티 및 RPM의 초기값을 제 1표시부(12)에 각각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2).
제어부(19)는 입력부(11)의 모드 변경키(11a)를 통해 현재 설정된 운전모드가 매뉴얼 모드인가를 검사한다(S13). 만약, 오토 모드로 설정된 상태이면, 제어부(19)는 저장된 일정한 제어패턴에 의해서 상기 PWM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PWM 출력회로(16)는 상기 12V의 배터리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PWM 신호의 전압레벨을 5V에서 12V로 변환하여 모터 드라이버로 전달한다(S14). 이때, 제어부(19)는 제 2표시부(13)의 오토 모드 표시 LED(13c)를 온 시키도록 제어한다.
반면, 상기 단계(S13)에서 매뉴얼 모드로 설정된 경우, 입력부(11)의 단수 입력키(11d 내지 11h)를 통해 모터를 구동하고자 하는 제어단수가 제어부(19)로 전달된다(S15). 그러면, 제어부(19)는 입력된 제어단수를 제 1표시부(12)의 현재 단수 FND(12a)에 숫자로 표시하고, 제 2표시부(13)의 매뉴얼 모드 표시 LED(13b)를 온 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9)는 상기 제어단수에 대응되는 듀티를 산출하고, 산출된 듀티를 제 1표시부(12)에 표시함과 동시에, 산출된 듀티를 갖는 PWM 신호를 상기 모터 드라이버로 출력하여 연료펌프용 모터를 구동한다(S16).
상기 모터의 구동 중에 제어부(19)는 입력부(11)의 듀티 변경키(11b, 11c)가 조작되어 듀티 변경명령이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S17). 상기 듀티 변경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9)는 산출된 듀티를 입력된 듀티 변경키(11b, 11c)의 변경값 만큼 변경하여 변경된 PWM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S18). 예를 들어, 듀티 업 10% 키(11b)가 조작된 경우, 제어부(19)는 상기 산출된 듀티를 10%만큼 증가시킨 PWM 신호를 상기 모터 드라이버로 출력하고, 제 1표시부(12)의 현재듀티 표시 FND(12b)에 숫자로 표시한다. 또, 듀티 업 1% 키(11c)가 조작된 경우, 제어부(19)는 상기 산출된 듀티를 1%만큼 증가시킨 PWM 신호를 상기 모터 드라이버로 출력하고, 제 1표시부(12)의 현재 듀티 표시 FND(12b)에 숫자로 표시한다.
제어부(19)로부터 출력되는 PWM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RPM 측정부(17)는 상기 모터의 RPM을 측정하여 RPM 입력회로(18)로 전달하고, RPM 입력회로(18)는 현재 RPM을 주파수 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9)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9)는 전달된 주파수 값을 이용해 현재 RPM을 제 1표시부(12)의 현재 RPM 표시 FND(12c)에 숫자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9).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서, 제어부(19)는 입력부(11)의 모드 변경키(11a)가 조작되어 운전모드 변경명령이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S20). 만약 운전모드 변경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9)는 상기 단계(S13)로 진행하여 변경된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9)의 이상 동작 발생시 제어부(19)를 초기화 상태로 진입시키기 위해 리셋키(15)가 조작되어 리셋명령이 입력되면(S21), 제어부(19)는 상기 단계(S12)로 진행하여 초기화 상태로 진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속도를 제어단수별로 지정된 키와 듀티 변경키를 조작하거나, 미리 저장된 일정한 제어패턴으로 계속적으로 구동하는 오토 모드를 제공하여 모터의 속도를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제어단수, RPM, 듀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작동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동속도 제어장치 11: 입력부
11a: 모드 변경키 11b,11c: 듀티 변경키
11d 내지 11h: 단수 입력키 12: 제 1표시부
12a,12b, 12c: FND 13: 제 2표시부
13a,13b,13c: LED 14: 전원부
15: 리셋키 16: PWM 출력회로
17: RPM 측정부 18: RPM 입력회로
19: 제어부

Claims (12)

  1. 연료펌프용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단수, 듀티,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된 제어단수, 듀티, 운전모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제어단수, 듀티, 운전모드 상태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모터 드라이버로 PWM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모드는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제어단수 및 듀티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매뉴얼 모드와
    상기 모터의 구동을 미리 저장된 패턴으로 제어하는 오토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입력키,
    상기 제어단수를 선택하는 단수 입력키 및
    상기 듀티를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변경하도록 선택하는 듀티 변경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모터의 제어단수, RPM 및 듀티를 표시하는 제 1표시부와
    상기 모터의 운전모드를 표시하는 제 2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표시부는 에프엔디(Flexible Numeric Display)로 구비되고,
    상기 제 2표시부는 전원 상태와 상기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온/오프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을 초기화하는 리셋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배터리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제어수단 및 입력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PWM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터리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PWM 출력회로,
    상기 모터의 RPM을 측정하는 RPM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RPM을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RPM 입력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8. (a)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운전모드와 제어단수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선택된 운전모드가 매뉴얼 모드인가 오토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판단된 운전모드가 매뉴얼 모드인 경우, 상기 선택된 제어단수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b)에서 판단된 운전모드가 오토 모드인 경우, 상기 모터의 제어단수별로 미리 저장된 패턴으로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e) 상기 제어단수를 에프엔디에 숫자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f) 상기 모터의 RPM을 검출하는 단계와
    (g) 상기 검출된 RPM을 에프엔디에 숫자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h) 상기 연료펌프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이상 발생으로 인해 리셋키가 조작되면, 상기 제어수단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i) 듀티 변경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i)에서 듀티 변경이 선택되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듀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방법.
KR1020090036880A 2009-04-28 2009-04-28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21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880A KR101021108B1 (ko) 2009-04-28 2009-04-28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880A KR101021108B1 (ko) 2009-04-28 2009-04-28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183A KR20100118183A (ko) 2010-11-05
KR101021108B1 true KR101021108B1 (ko) 2011-03-14

Family

ID=43404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880A KR101021108B1 (ko) 2009-04-28 2009-04-28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10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495A (ko) 2017-12-22 2019-07-02 (주)모토닉 연료펌프 모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87460B1 (ko) 2018-02-21 2019-09-30 (주)모토닉 연료펌프 모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141901B1 (ko) 2019-03-07 2020-08-07 (주)모토닉 연료펌프 모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141899B1 (ko) 2019-03-07 2020-08-07 (주)모토닉 연료펌프 모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220071750A (ko) 2020-11-24 2022-05-31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71781A (ko) 2020-11-24 2022-05-31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71751A (ko) 2020-11-24 2022-05-31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87109A (ko) 2020-12-17 2022-06-24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87800A (ko) 2020-12-18 2022-06-27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87799A (ko) 2020-12-18 2022-06-27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89059A (ko) 2020-12-21 2022-06-28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89060A (ko) 2020-12-21 2022-06-28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6029A (ja) * 1995-11-01 1997-05-13 Kokusan Denki Co Ltd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の燃料ポンプ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649355B1 (ko) 2005-11-09 2006-11-27 (주)모토닉 연료 펌프 모터 구동 장치
KR20070028677A (ko) * 2005-08-30 2007-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및 드라이버 진단장치 및 그것의제어방법
KR20070028666A (ko) * 2005-08-30 2007-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연료펌프 속도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6029A (ja) * 1995-11-01 1997-05-13 Kokusan Denki Co Ltd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の燃料ポンプ制御方法及び装置
KR20070028677A (ko) * 2005-08-30 2007-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및 드라이버 진단장치 및 그것의제어방법
KR20070028666A (ko) * 2005-08-30 2007-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연료펌프 속도 제어 시스템
KR100649355B1 (ko) 2005-11-09 2006-11-27 (주)모토닉 연료 펌프 모터 구동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495A (ko) 2017-12-22 2019-07-02 (주)모토닉 연료펌프 모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87460B1 (ko) 2018-02-21 2019-09-30 (주)모토닉 연료펌프 모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141901B1 (ko) 2019-03-07 2020-08-07 (주)모토닉 연료펌프 모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2141899B1 (ko) 2019-03-07 2020-08-07 (주)모토닉 연료펌프 모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220071750A (ko) 2020-11-24 2022-05-31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71781A (ko) 2020-11-24 2022-05-31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71751A (ko) 2020-11-24 2022-05-31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87109A (ko) 2020-12-17 2022-06-24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87800A (ko) 2020-12-18 2022-06-27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87799A (ko) 2020-12-18 2022-06-27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89059A (ko) 2020-12-21 2022-06-28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KR20220089060A (ko) 2020-12-21 2022-06-28 (주)모토닉 터빈형 연료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183A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108B1 (ko) 연료펌프 구동장치의 구동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
US6845313B2 (en) Engine start control method and device
US9758097B2 (en) Remaining fuel amount display device
US7652563B2 (en) Optical input device
US20160160768A1 (en) Method for preventing engine stall using virtual crank signal
KR20060032819A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공급라인의 연료누설 진단 장치 및방법
JP5737558B2 (ja) 車両用計器
JP2009167923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方法及びガソリン代替lpg噴射制御装置
US20210207552A1 (en) Fuel pump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dication of abnormality in fuel pump
KR20090101087A (ko) 가스 차량용 연료펌프모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021834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펌프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475675B1 (ko) 엘피지 연료 분사 장치의 연료 탱크의 연료압 산출 방법
US20130284788A1 (en) Hand-held 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hand-held work apparatus
KR100367950B1 (ko) 제어기가 구비된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
KR20110101300A (ko) 커먼레일 디젤엔진의 연료분사계통 간이 진단기
KR100579647B1 (ko) 자동차의 연비측정표시장치 및 연비측정표시방법
KR100650923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90116448A (ko) 바이 퓨얼 차량의 가스 연료 누설 판정 장치 및 방법
JP2024511511A (ja) タイヤ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タイヤメンテナンスキット
KR100759205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제어 방법
KR20100128759A (ko) 가솔린 및 lpg 겸용 차량의 연료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00096731A (ko) 엘피지 차량의 압력 센서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JP2010032279A (ja) 燃料残量警告装置
KR19980050216U (ko) 차량의 주행연비자동표시장치
KR100779845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 소비량 연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