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497B1 -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497B1
KR101019497B1 KR1020080092186A KR20080092186A KR101019497B1 KR 101019497 B1 KR101019497 B1 KR 101019497B1 KR 1020080092186 A KR1020080092186 A KR 1020080092186A KR 20080092186 A KR20080092186 A KR 20080092186A KR 101019497 B1 KR101019497 B1 KR 101019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magnetic material
hall sensor
rotation
water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159A (ko
Inventor
신강욱
이광호
김한일
홍성택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08009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4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 소모가 적고, 디지털 수도미터를 기준으로 산출된 유량과, 유량의 산출 시간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를 외부지시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에 따라 정지된 유량부의 자성체가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제1 홀센서를 통하여 검출하고, 상기 제1 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성체의 회전이 검출되면, 상기 제1 홀센서와 함께 제2 홀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자성체의 회전주파수가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주파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성체의 회전수를 산출하여 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는 정지시키고 제3 홀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자성체의 회전수를 산출하여 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량과, 타이머에서 출력되는 상기 유량의 산출 시간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유비쿼터스, 디지털, 수도미터, 홀센서, 시간 동기

Description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Digital watermater based on ubiquitous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thereof}
본 발명은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돗물의 사용량(유량)을 측정하여 무선통신으로 외부지시장치로 전송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각종 건물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종 에너지(예를 들어, 전기, 수도, 가스, 온수, 열량, 냉방 등)의 사용량을 검침원이 직접 방문하여 검침하였지만, 최근에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거리의 관리회사에서 검침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반의 원격 검침 시스템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과 사용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 각 세대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사용량을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의 외부지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수도미터로서 디지털 수도미터가 사용된다. 디지털 수도미터는 주기적으로 외부지시장치로부터 수돗물 사용량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까지 계측된 수돗물 사용량 정보를 외부지시장치로 전송한 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수도미터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디지털 수도미터의 사용기한(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1호 제1항의 별표 13에 따른, 수도미터의 구경이 50mm이하인 경우의 검정유효기간)인 8년동안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비되는 전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수자원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수돗물 사용량 정보와 더불어 수돗물 사용한 시간에 대한 시간 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디지털 수도미터는 외부지시장치의 요청에 따라 수돗물 사용량 정보를 제공하고, 시간 정보는 외부지시장치가 제공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수돗물 사용량 정보와 시간 정보 사이에는 오차가 존재하여 정확한 수자원관리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전력 소모가 작은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시간 동기를 수행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디지털 수도미터를 기준으로 시간 정보와 연계된 유량 정보를 외부지시장치로 전송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디지털 수도미터에서 출력되는 시간 정보와 연계된 유량 정보를 기반으로 수자원관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에 따라 정지된 유량부의 자성체가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제1 홀센서를 통하여 검출하는 회전검출과정과, 상기 제1 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성체의 회전이 검출되면, 상기 제1 홀센서와 함께 제2 홀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자성체의 초당 회전수(회전주파수)가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주파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성체의 회전수를 산출하여 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 2 홀센서는 정지시키고 제3 홀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자성체의 회전수를 산출하여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산출과정과, 상기 산출된 유량과, 타이머에서 출력되는 상기 유량의 산출 시간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과정을 포함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유량부, 제1 내지 제3 홀센서, 회전 판단부, 홀센서 구동부, 회전수 산출부, 유량 산출부, 타이머, 기능 제어부 및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를 제공한다. 상기 유량부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상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의 흐름을 따라 회전하는 자성체를 갖는다. 상기 제1 홀센서는 상기 자성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정지된 상기 자성체가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상기 제2 홀센서는 상기 제1 홀센서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홀센서와 함께 동작하여 저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자성체의 회전을 검출한다. 상기 제3 홀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의 맞은편의 상기 자성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자성체의 회전을 검출한다. 상기 회전 판단부는 상기 제1 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성체의 회전이 검출되면, 상기 제1 홀센서와 상기 제2 홀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자성체의 초당 회전수(회전주파수)가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홀센서 구동부는 상기 임계주파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성체의 회전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는 정지시키고 상기 제3 홀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자성체의 회전을 검출하게 한다. 상기 회전수 산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와, 상기 제3 홀센서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로부터 상기 자성체의 회전수를 산출한다. 상기 유량 산출부는 상기 산출된 회전수로부터 유량을 산출한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유량의 산출 시간을 출력한다.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유량과, 상기 유량의 산출 시간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출력된 유량 정보를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도미터는 유량부의 속도에 따라 제1 내지 제 3 홀센서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유량부(자성체)의 회전수를 측정하기 때문에, 유량부의 회전수 측정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유량부가 저속으로 회전할 때는 전력 소모가 작은 제1 및 제2 홀센서를 사용하여 유량부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유량부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만 전력 소모가 큰 제3 홀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제3 홀센서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도미터는 계측된 수돗물 사용량 즉, 유량 또는 회전수를 전력 소모가 작은 지그비(Zigbee) 통신을 통하여 외부지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수도미터는 외부지시장치와의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시간 동기를 수행하고, 시간 동기에 따라 일정 시각에 유량 정보를 외부지시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수자원관리가 더욱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수자원관리 서버는 외부지시장치의 데이터보다 원시데이터인 디지털 수도미터에서 출력되는 시간정보와 수돗물 사용량(산출된 유량)을 포함하는 유량정보를 이용하여 수자원을 관리하기 때문에, 수자원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디지털 수도미터
본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수자원 관리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수도미터(20), 제1 외부지시장치(30), 중계기(40) 및 수자원 관리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지털 수도미터(20)와 외부지시장치(30)는 쌍으로 각 세대에 설치된다. 디지털 수도미터(20)는 각 세대에서 사용한 수돗물 사용량(이하 "유량")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를 외부지시장치(30)로 전송한다. 외부지시기장치(30)는 수신된 유량 정보를 중계기(40)로 전송한다. 중계기(40)는 관할 외부지시장치(30)들로부터 수집된 유량 정보를 수자원 관리서버(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수자원 관리서버(50)는 수신된 유량 정보를 토대로 수자원 관리를 수행한다. 이때 유량 정보는 디지털 수도미터(20)에서 제공하는 산출된 유량과, 유량의 산출 시간을 포함한다.
디지털 수도미터(20)와 외부지시장치(30)는 지그비(Zigbee) 통신모듈(18,38)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외부지시장치(30)는 주기적으로 현재시간정보를 디지털 수도미터(20)에 전송하고, 디지털 수도미터(20)는 수신된 현재시간정보를 토대로 타이머(도 2의 19)의 시간을 보정하여 시간 동기를 수행한다. 이때 외부지시장치(30)가 디지털 수도미터(20)로 전송하는 현재시간정보는 중계기(40)를 통하여 현재시간정보를 수신하거나, GPS 모듈부를 통하여 직접 산출한 정보일 수 있다.
외부지시장치(30), 중계기(40) 및 수자원 관리서버(5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유무선 통신망으로는 이동 통신망, 일반 전화선, 동축 케이블, 광섬유로 연결된 통신망, 무선 통신망, 패킷 교환망(PSN; Packet Switched Network), 통합 서비스 디지털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 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등을 포함한다.
특히 디지털 수도미터(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 저장부(12), 유량부(13), 제1 내지 제3 홀센서(15,16,17), 지그비 통신모듈(18), 타이머(19), 배터리(21) 및 표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1)는 디지털 수도미터(2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특히 제어부(11)는 유량을 산출하고, 외부지시장치(30)로 수신된 현재시간정보를 토대로 시간동기를 수행하며, 산출된 유량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의 외부지시장치(30)로의 전송을 제어한다.
저장부(12)는 디지털 수도미터(2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특히 저장부(12)는 유량 산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산출된 유량을 저장한다. 저장부(12)는 시간동기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타이머(19)의 시간 동기를 수행한다. 저장부(12)는 산출된 유량과, 유량이 산출된 시간이 연계된 유량 정보를 저장한다.
유량부(13)는 수돗물(유체)이 흐르는 배관상에 설치되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는 자성체(14)를 포함한다. 이때 자성체(14)는 유량부(13)의 회전 방향으 로 함께 회전하며, 막대형태의 영구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홀센서(15,16,17)는 극성(N극,S극)을 갖는 자성체(14)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자기센서이다. 제1 내지 제3 홀센서(15,16,17)는 반도체의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센서로서, 제1 내지 제3 홀센서(15,16,17)와 자성체(14) 사이의 거리에 따른 자성체(14)의 자기장 세기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제1 내지 제3 홀센서(15,16,17)는 유량부(13)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유량부(13)의 회전에 따른 자성체(14)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제1 내지 제3 홀센서(15,16,17)는 제1 홀센서(15)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제2 홀센서(16), 제3 홀센서(17) 순으로 설치된다.
제1 홀센서(15)는 유량부(13)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정지된 자성체(14)가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제2 홀센서(16)는 제1 홀센서(15)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제1 홀센서(15)와 함께 동작하여 저속으로 회전하는 자성체(14)의 회전을 검출한다. 또한 제2 홀센서(16)는 제1 홀센서(15)와 함께 자성체(1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이때 제1 및 제2 홀센서(15,16)로는 최대허용 주파수(초당 자성체의 최대회전수)가 10 Hz 이하인 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홀센서(15,16)로는 최대허용 주파수가 10 Hz 인 Allegro사의 A1171이나 ROHM사의 Bu52012HFV을 사용할 수 있다. A1171의 전력소모량은 8 uA이고, Bu52012HFV은 6u A이다. 즉 홀센서의 최대허용 주파수가 10 Hz 라는 것은 1초에 10번 이상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할 수 없으며, 유량부(13)의 자성체(14)가 초당 10바퀴 이상 회전하면, 회전을 놓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3 홀센서(17)는 제1 및 제2 홀센서(15,16)의 맞은편의 유량부(13)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자성체(14)의 회전을 검출한다. 이때 제3 홀센서(17)는 최대허용 주파수가 10 Hz 이상인 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홀센서(17)로는 1,000 Hz인 Allegro상의 A1174가 사용될 수 있다. A1174의 전력소모량은 65 uA이다.
한편 유량부(13)가 설치되는 배관의 직경이 13 mm인 경우, 유량부(13)의 최대 회전수는 20.834 Hz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수도미터(2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유량부(13)가 저속으로 회전할 때는 제1 및 제2 홀센서(15,16)를 사용하여 회전을 검출하고, 유량부(13)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는 제 3 홀센서(17)를 사용하여 회전을 검출한다.
지그비 통신모듈(18)은 외부지시장치(30)의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지그비 통신모듈(18)은 외부지시장치(30)로서 주기적으로 현재시간정보를 수신하고, 외부지시장치(30)로부터 유량 정보의 출력 요청을 수신한다. 지그비 통신모듈(18)은 외부지시장치(30)가 요청한 유량 정보를 외부지시장치(30)로 전송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지그비를 이용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루비(Rubee)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지그비는 IEEE 802.15.4 표준 중의 하나로, 듀열 물질층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 GHz, 868/915 MHz를 사용한다. 루비의 통신거리는 반경 10 내지 20 m 내외이다. 지그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20 내지 250 kbps이다. 루비는 IEEE 1902.1 표준 중의 하나로 450 k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을 사용한다. 루비의 통신거 리는 반경 15 m에 달하며, 수중과 땅속에서도 양방향이 통신이 가능하다. 루비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약 100 kbps이다.
타이머(19)는 유량의 산출 시간을 출력한다. 여기서 산출 시간은 유량이 산출되는 시점의 시각을 의미한다. 타이머(19)는 외부지시장치(30)로부터 수신한 현재시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시간을 보정한다.
배터리(21)는 디지털 수도미터(20)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전원을 각 부분에 공급하며, 제1 및 제2 배터리(21a,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배터리(21a)는 주전원을 사용되고, 제2 배터리(21b)는 보조전원으로 사용된다. 제1 배터리(21a)로는 적어도 디지털 수도미터(20)의 사용기한(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1호제1항의 별표 13에 따른, 수도미터의 구경이 50mm이하인 경우의 검정유효기간)인 8년동안을 구동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배터리를 사용한다. 한편 제1 배터리(21a)는 디지털 수도미터(20)의 사용환경에 따라 8년이 되기 전에 디지털 수도미터(20)의 구동에 필요한 최소동작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제2 배터리(21b)를 더 구비한다. 제2 배터리(21b)는 평상시에는 단자로 처리되고 이상 발생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22)는 디지털 수도미터(20)에서 출력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부(20)에는 산출된 유량을 표시하며, 그 외 현재시간, 잔량 배터리 정보 또는 지그비 통신의 감도 중에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1)는 회전 판단부(24), 홀센서 구동부(25), 회전수 산출부(26), 유량 산출부(27) 및 기능 제어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능 제어 부(28)는 회전 판단부(24), 홀센서 구동부(25), 회전수 산출부(26) 및 유량 산출부(27)의 구동을 제어한다.
회전 판단부(24)는 제1 홀센서(15)를 통하여 자성체(14)의 회전이 검출되면, 제1 홀센서(15)와 제2 홀센서(16)를 동작시켜 자성체(14)의 초당 회전수(이하, '회전주파수'라 한다)가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홀센서 구동부(25)는 임계주파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제1 및 제2 홀센서(15,16)를 통하여 자성체(14)의 회전을 검출하게 하고,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면 제1 및 제2 홀센서(15,16)를 정지시키고 제3 홀센서(17)를 동작시켜 자성체(14)의 회전을 검출하도록 제1 내지 제3 홀센서(15,16,17)의 구동을 제어한다. 회전수 산출부(26)는 제1 및 제2 홀센서(15,16)와, 제3 홀센서(17)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로부터 자성체(14)의 회전수를 산출한다. 유량 산출부(27)는 회전수 산출부(26)에서 산출된 회전수로부터 유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기능 제어부(28)는 산출된 유량과, 타이머(19)에서 출력되는 유량의 산출 시간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를 저장부(12)에 저장한다.
특히 회전 판단부(24)는 자성체(14)가 정지된 상태에서 움직임을 시작할 때, 자성체(1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 홀센서(15)를 통하여 자성체(14)의 회전이 검출되면, 회전 판단부(24)는 제1 및 제2 홀센서(15,16)를 동작시켜 자성체(1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자성체(1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 판단부(24)는 자성체(14)의 회전주파수가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지 않는다. 자성체(1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성체(14)가 임계주파수를 초과 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회전 판단부(24)는, 자성체(1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성체(1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자성체(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성체(1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수돗물이 유량부(13)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 유량부(1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반대로 수돗물이 역류하는 경우 유량부(1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역류되는 유량까지 사용한 유량으로 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 판단부(24)는 유량부(13) 즉 자성체(14)의 회전방향을 판단하는 것이다.
기능 제어부(28)는 지그비 통신모듈(18)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외부지시장치(30)로부터 현재시간정보를 수신하여 타이머(19)의 현재시간을 수신된 현재시간으로 보정하는 시간동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타이머(19)의 시간동기를 수행하는 이유는, 수자원관리에서 있어서 원시데이터에 해당하는 디지털 수도미터(20)에서 출력되는 유량 정보를 토대로 수자원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기능 제어부(28)는 지그비 통신모듈(18)을 통하여 외부지시장치(30)로부터 유량 정보의 출력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부(12)에 저장된 유량 정보를 지그비 통신모듈(18)을 통하여 외부지시장치(30)로 전송한다. 이때 유량 정보는 산출된 유량과, 유량의 산출 시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지시장치(30)가 요구하는 기간에 사용된 누적 유량을 정확하게 외부지시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기능 제어부(28)는 디지털 수도미터(20)의 초기 가동시 제1 배터리(21a)를 연결하여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전원이 각 부분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 능 제어부(28)는 제1 배터리(21a)의 전압이 최소동작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지의 여부를 감시하며, 최소동작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2 배터리(21b)로 전원 연결을 전환한다.
그 외 디지털 수도미터(20)는 외부단말기(예컨대 검침원의 단말기)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유선통신 포트와, 침수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침수인식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디지털 수도미터의 기능 수행 방법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도미터(20)의 기능 수행 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20)의 기능 수행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본 기능 수행 방법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유량부(13)가 정지된 상태에서 설명을 시작하도록 하겠다.
먼저 S61과정에서 제1 홀센서(15)만 동작하는 대기 상태에서 출발한다. 즉 유량부(13)의 자성체(14)가 정지된 경우, 홀센서 구동부(25)는 제1 홀센서(15)만 동작시킨다.
다음으로 S63과정에서 회전 판단부(24)는 제1 홀센서(15)를 통하여 정지된 자성체(14)가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회전 판단부(24)는 배관을 통하여 유체의 흐름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63과정의 판단 결과 자성체(14)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S61과정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즉 회전 판단부(24)는 자성체(14)가 제1 홀센서(15)를 통과하지 않은 경우, 자성체(14)가 정지한 것으로 판단한다.
S63과정의 판단 결과 자성체(14)가 회전한 경우, 즉 배관을 통하여 유체의 흐름이 발생되면, S65과정에서 홀센서 구동부(25)는 제1 및 제2 홀센서(15,16)를 동작시키고, 회전 판단부(24)는 회전방향을 검출한다.
S67과정의 판단 결과 검출된 회전방향이 역방향인 경우, 기능 제어부(28)는 S61과정의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즉 유량부(13)를 중심으로 배관에서 역류가 발생되면, 기능 제어부(28)는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S67과정의 판단 결과 검출된 회전방향이 정방향인 경우, S69과정에서 회전수 산출부(26)는 제1 및 제2 홀센서(15,16)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로부터 자성체(14)의 회전주파수를 산출한다. 즉 회전수 산출부(26)는 정상적으로 유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자성체(14)의 회전주파수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S71과정에서 회전 판단부(24)는 산출된 회전주파수가 임계주파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71과정의 판단 결과 임계주파수 이하인 경우, S73과정에서 제1 및 제2 홀센서(15,16)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로부터 유량을 산출한다. 즉 유량부(13)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수 산출부(26)는 제1 및 제2 홀센서(15,16)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로부터 회전수를 산출한다. 이어서 유량 산출부(27)는 산출된 회전수로부터 유량을 산출한다.
S71과정의 판단 결과 임계주파수 이상인 경우, S75과정에서 홀센서 구동부(25)는 제1 및 제2 홀센서(15,16)를 정지시킨다. 이어서 S79과정에서 홀센서 구 동부(25)는 제3 홀센서(18)를 구동시키고, 제3 홀센서(18)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로부터 유량을 산출한다. 즉 유량부(13)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수 산출부(26)는 제3 홀센서(17)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로부터 회전수를 산출한다. 이어서 유량 산출부(27)는 산출된 회전수로부터 유량을 산출한다.
S73과정 또는 S77과정 이후에, S79과정에서 기능 제어부(28)는 산출된 유량과, 타이머(19)에서 출력되는 유량의 산출 시간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를 저장부(12)에 저장한다. 이때 기능 제어부(28)는 일정 시간 단위로 누적된 유량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를 저장부(12)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에는 일정 시간대별로 누적된 유량과, 일정 기간에 누적된 총유량을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S81과정에서 회전 판단부(24)는 자성체(14)가 정지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회전 판단부(24)는 유체의 사용을 중지하는 시점을 판단한다.
S81과정의 판단 결과 자성체(14)가 계속 회전하는 경우, 기능 제어부(28)는 S71과정으로 복귀하여 유량을 산출하여 유량 정보를 저장부(12)에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S81과정의 판단 결과 자성체(14)가 정지한 경우, S83과정에서 기능 제어부(28)는 제1 홀센서(15)만 동작하는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즉 유량부(13)의 자성체(14)가 정지된 경우, 홀센서 구동부(25)는 제1 홀센서(15)만 동작시킨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수도미터(20)의 전력 소모량을 아래와 같은 조건에서 분석해보면 아래와 같다.
1. 환경부훈령 제486조(상수도 유도율 제고업무관리규정)에서 제시한 수도관 구경이 φ13(mm)일 때, 월수돗물 사용량은 최소 20 ㎥에서 최대 550 ㎥이내이다.
2. 기술표준원 고시 수도미터 기술기준에 따라 수도미터의 최대유량을 2.5 ㎥/h로 설정하고, 이에 따른 최대유속이 0.695 m/s로서 유량부의 최대 회전수는 20.834회/초(Hz)이다.
3. 일반 가정에서는 역방향의 물흐름은 없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1달 동안 최대 550 ㎥을 사용하는 디지털 수도미터의 전력소모량을 분석하였다.
전력소모량은 각 상태의 전력소모량에 각 상태의 지속시간을 곱한 것이다. 저속상태의 경우, 물의 흐름이 매우 느릴 경우 1달 내에 550 ㎥의 물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저속상태의 지속시간은 한계를 갖는다.
저속상태의 최대지속시간은
Figure 112008066068862-pat00001
시간이며, 이때 회전수 r값은 9.1666이다.
최대유속 0.695 m/s인 경우의 유량부의 회전주파수는 20.834 Hz이다.
예컨대 A1174 홀센서 한 개만 사용하는 경우(비교예1), A1174 및 A1171(Bu52012HFV) 홀센서를 각각 한 개씩 사용하는 경우(비교예2), 본 실시예와 같이 A1171(Bu52012HFV) 홀센서 1개와, A1171(Bu52012HFV) 홀센서 두 개를 사용하는 경우(실시예)에 대해서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교예1 : A1174의 홀센서만 사용하는 경우의 시간당 전력소모량은 아래와 같다.
전력소모량1시간 = 65 uA ㅧ 3600 sec = 234000 uAsec
비교예2 : A1174의 유량 검출용 홀센서 1개와, A1171(Bu52012HFV)의 이벤트 감시용 홀센서 1개를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이벤트는 정지된 유량부의 회전이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08066068862-pat00002
정지상태와 고속상태의 비(R1)는,
Figure 112008066068862-pat00003
전력소모량1시간 = ((1-R1)ㅧ 8 uA + R1ㅧ 65 uA) ㅧ 3600 sec = 119088 uAsec
실시예 : 본 실시예와 같이 A1174 홀센서 1개와, A1171(Bu52012HFV) 홀센서 두 개(이벤트 감시 및 저속 회전수 검출용)를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저속상태 경우 회전주파수는 9.1666 Hz이다.
정지상태와 저속상태의 비(R2)는,
Figure 112008066068862-pat00004
전력소모량1시간 = ((1-R2)ㅧ 8 uA + R2ㅧ (2ㅧ 8 uA)) ㅧ 3600 sec = 57600 uAsec
수돗물 사용량의 10 %(55 m3)가 고속일 경우 지속시간 = 31.68 시간
고속상태 R1 = 31.68/720 = 0.044
저속상태 R2 = 648/720 = 0.9
전력소모량1시간 = ((1-R1-R2) * 8 uA + R1* 65 uA + R2 * 2 * 8 uA) * 3600 sec = 63748 uAsec
그리고 임계주파수 9.1666 Hz를 기준으로, 월사용량의 변화에 따른 비교예1, 비교예2 및 실시예의 경우의 전력소모량을 분석한 값을 표1에 도시하였다.
월 사용량(m3) 550 450 350 250 150 50 비고
R1 0.44 0.36 0.28 0.2 0.12 0.04
R2 1 0.82 0.64 0.45 0.27 0.09
비교예1 소모전력
(uAsec)
234,000 234,000 234,000 234,000 234,000 234,000
비교예2 소모전력
(uAsec)
119,088 102,790 86,348 69,905 53,463 37,021
실시예 소모전력
(uAsec)
57,600
(63,748)
52,363
(57,406)
47,127
(51,049)
41,891
(44,692)
36,654
(38,335)
31,418
(31,978)
저속임계
(고속10%)
성능향상 75.3 %
(51.6 %)
77.6 %
(49.1 %)
79.8 %
(45.4 %)
82.0 %
(40.1 %)
84.3 %
(31.4 %)
86.5 %
(15.1 %)
경우1
(경우2)
표1을 참조하면, 임계주파수 9.1666 Hz를 기준으로, 최대 월사용량인 경우 실시예와 비교예1을 비교하면, 75.3 %까지 전력소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월사용량이 적은 경우 대기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실시예와 비교예1을 비교하면 최대 86.5 %까지 전력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임계주파수를 제1 및 제2 홀센서의 최대허용주파수, 예컨대 10 Hz에 가깝게 증가시킬수록 전력소모량을 더욱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수자원 관리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수도미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의 기능 수행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1 : 제어부 12 : 저장부
13 : 유량부 14 : 자성체
15,16,17 : 홀센서 18 : 지그비 통신모듈
19 : 타이머 20 : 디지털 수도미터
21 : 배터리 22 : 표시부
30 : 외부지시장치 40 : 중계기
50 : 수자원 관리서버 100 : 수자원 관리시스템

Claims (6)

  1. 유체의 흐름에 따라 정지된 유량부의 자성체가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제1 홀센서를 통하여 검출하는 회전검출과정과;
    상기 제1 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성체의 회전이 검출되면, 상기 제1 홀센서와 함께 제2 홀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자성체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자성체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자성체의 초당회전수(회전주파수)가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상기 자성체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자성체의 회전주파수가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주파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성체의 회전수를 산출하여 유량을 산출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는 정지시키고 제3 홀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자성체의 회전수를 산출하여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산출과정과;
    상기 산출된 유량과, 타이머에서 출력되는 상기 유량의 산출 시간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의 기능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외부지시장치로부터 현재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의 현재시간을 상기 수신된 현재시간으로 보정하는 시간동기과정과;
    상기 외부지시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유량 정보를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상기 외부지시장치로 전송하는 전송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의 기능 수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배터리로부터 상기 디지털 수도미터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과정과;
    상기 제1 배터리의 전압이 최소동작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제2 배터리로 전원 연결을 전환하는 배터리전환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의 기능 수행 방법.
  4. 삭제
  5. 유체가 흐르는 배관상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의 흐름을 따라 회전하는 자성체를 갖는 유량부와;
    상기 자성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정지된 상기 자성체가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 홀센서와;
    상기 제1 홀센서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홀센서와 함께 동작하여 저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자성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2 홀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의 맞은편의 상기 자성체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자성체의 회전을 검출하는 제3 홀센서와;
    상기 제1 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성체의 회전이 검출되면, 상기 자성체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자성체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자성체의 초당회전수(회전주파수)가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상기 자성체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자성체의 회전주파수가 임계 주파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회전 판단부와;
    상기 제1 홀센서와 상기 제2 홀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자성체의 초당 회전수(회전주파수)가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회전 판단부와;
    상기 임계주파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를 통하여 상기 자성체의 회전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임계주파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는 정지시키고 상기 제3 홀센서를 동작시켜 상기 자성체의 회전을 검출하게 하는 홀센서 구동부;
    상기 제1 및 제2 홀센서와, 상기 제3 홀센서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로부터 상기 자성체의 회전수를 산출하는 회전수 산출부와;
    상기 산출된 회전수로부터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 산출부와;
    상기 유량의 산출 시간을 출력하는 타이머와;
    상기 산출된 유량과, 상기 유량의 산출 시간을 포함하는 유량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 제어부; 및
    상기 출력된 유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6. 제5항에 있어서,
    외부지시장치와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는 지그비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 제어부는,
    상기 지그비 통신모듈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외부지시장치로부터 현재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의 현재시간을 상기 수신된 현재시간으로 시간동기를 수행하고,
    상기 외부지시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유량 정보를 지그비 통신을 통하여 상기 외부지시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KR1020080092186A 2008-09-19 2008-09-19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KR101019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86A KR101019497B1 (ko) 2008-09-19 2008-09-19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86A KR101019497B1 (ko) 2008-09-19 2008-09-19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159A KR20100033159A (ko) 2010-03-29
KR101019497B1 true KR101019497B1 (ko) 2011-03-07

Family

ID=4218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186A KR101019497B1 (ko) 2008-09-19 2008-09-19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327B1 (ko) 2018-10-23 2019-08-26 이기호 차열 중간막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56885A (zh) * 2016-08-02 2016-10-26 胡积宝 基于物联网与ZigBee的智能水表抄送系统
CN112197824A (zh) * 2020-09-27 2021-01-08 江阴市立信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霍尔传感编码的直读水表及其实现方法
KR102397698B1 (ko) * 2021-11-29 2022-05-16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자가 점검 연기감지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029A (ko) * 2000-03-24 2001-06-05 이재필 수도미터
KR200229682Y1 (ko) * 2000-11-27 2001-07-19 두성전자산업 주식회사 전자식 수도 계량기
KR200239241Y1 (ko) 2001-04-19 2001-10-11 김재훈 원격 검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029A (ko) * 2000-03-24 2001-06-05 이재필 수도미터
KR200229682Y1 (ko) * 2000-11-27 2001-07-19 두성전자산업 주식회사 전자식 수도 계량기
KR200239241Y1 (ko) 2001-04-19 2001-10-11 김재훈 원격 검침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07년, pp.59-6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327B1 (ko) 2018-10-23 2019-08-26 이기호 차열 중간막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159A (ko)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497B1 (ko) 유비쿼터스 기반의 디지털 수도미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JP4748636B2 (ja) 流体使用量表示システム
CA265309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utility metering and meter monitoring
CN104810903B (zh) 电子设备的无线充电方法及相关装置
US112064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battery-operated smart metering meter
KR101103613B1 (ko)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계량시스템
JP2009064809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20120059610A1 (en) Energy meter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2167912B1 (ko) 배터리 잔량 검출 기능을 구비한 원격검침 단말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초음파 미터기와 원격검침 시스템
JP4591248B2 (ja) ガス利用システム
KR100850638B1 (ko) 무선 원격 검침이 가능한 계량기 시스템
KR101319449B1 (ko) 무선 라우팅 역할을 수행하는 무정전 전력 측정장치
KR102500491B1 (ko) 전력 효율이 우수한 원격검침 시스템
ES2964467T3 (es) Procedimiento de control de un conjunto de contadores
TWI437237B (zh) 儀表裝置、量表網路、以及其量表方法
JP2019158694A (ja) 無線器内蔵マイコン式ガスメーター
US20150312656A1 (en) Extended fluid meter battery life apparatus and methods
KR102358225B1 (ko) IoT 기반 지하수 관정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JP2005326330A (ja) 送・配水管の自動流量測定装置及び自動流量測定方法
CN110578511A (zh) 一种温差式油井产油量测量装置及方法
KR101087904B1 (ko) 검침 시스템
US10965136B2 (en) Monitoring system with low power usage
CN213902401U (zh) 一种绝对值编码器
JP6238120B2 (ja) 分電盤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9062358A (ja) 中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遠隔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