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315B1 -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315B1
KR101019315B1 KR1020040011089A KR20040011089A KR101019315B1 KR 101019315 B1 KR101019315 B1 KR 101019315B1 KR 1020040011089 A KR1020040011089 A KR 1020040011089A KR 20040011089 A KR20040011089 A KR 20040011089A KR 101019315 B1 KR101019315 B1 KR 101019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ersonal information
service
caller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596A (ko
Inventor
배종필
박경종
현무진
이명재
장희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3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명 이상의 가입자들 간에 음성 채널이 설정되고,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를 요구한 발신 이동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발신자로부터 발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제공받으면,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가 발신자에 의해 등록된 개인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발신자에게 제공하고, 발신자에 의해 선택된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전송 대기하며, 상기 제1 단계에서 제공받은 적어도 착신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된 각 이동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얻어 통화자 모두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한 다음에 통화자 모두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이면,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이동교환국으로 데이터 링크 설정을 요구한 후, 접속하는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 단계에서 획득한 발신 및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에 적용하여 발신 이동단말기의 착신 단말기임을 확인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전송대기중인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착신 이동단말기로 제공한다.
Figure R1020040011089
SVD, 이동통신, 개인정보, 전자명함

Description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giving or taking personal information on lin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위한 제어서버에게 통화자의 IP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이동단말기와 제어서버간의 무선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단말기와 제어서버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인 제1 예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단말기와 제어서버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인 제2 예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 이동단말기(MS)
12, 12': 기지국(BS)
13, 13': 기지국 제어기(BSC)
14, 14': 발신 및 착신 이동교환기(MSC)
15, 15': 홈위치등록기(HLR)
16,16': 방문자위치등록기(VLR)
17, 17': 게이트웨이
18, 18':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19: 개인정보 제공서버
20: 컨텐츠 DB
21: 단말사양 정보DB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통화 중에 개인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 통화중에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SVD: Simultaneous Voice and Data)를 이용하여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전자명함, 아바타 등의 개인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의 욕구 충족 및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이동통신기술이 진보되어 왔으며, 그러한 결과로 현재에는 이동단말기를 이용해 음성 데이터를 기반 으로 하는 음성 서비스에서 IP 패킷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에도 사용자의 편의 및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서비스가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중에는 명함 등과 같이 개인 정보를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가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336628호, 365884호, 381500호, 395004호와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2002-22841호와,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6206호 등에 게재되어 있다.
상기 각 선행기술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336628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명함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명함 서버에 명함 정보를 등록한 상태에서 발신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명함 서버에 저장된 명함 정보를 문자 전송 시스템(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을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무선데이터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상기 365884호는 무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명함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자가 착신자 전화번호와 명함 식별코드를 단문 메시지에 포함시켜 SMSC로 전송하면, 상기 SMSC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명함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변환하고, 착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상기 381500호는 전자 명함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송신자가 웹 서버 또는 단말 장치를 통해 전자 명함을 제작하고, 해당 전자 명함을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단말 장치로 직접 전송하거나, 해당 전자 명함 을 웹 서버와 단문 메시지 서버를 통해 착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395004호는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명함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패턴으로 기 저장된 전자명함 패턴에 신상정보를 입력하여 전자명함을 작성하고, 작성된 전자명함을 데이터 통신망을 매개하여 송수신하며, 전송된 전자명함을 차후 재출력 가능하게 저장시키는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6206호는 전자명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서버 컴퓨터에 액세스하고, 명함 데이터베이스에 자신의 명함 정보를 등록해 둔 후에 명함 정보를 교환할 때에 명함 정보를 교환한 당사자가 각각이 소유한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서버 컴퓨터에 액세스하고, 명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서로 상대의 명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전자명함 서비스 방법은 음성 통화 서비스와는 별개의 서비스로 제공되는 서비스 방법이다. 즉 종래의 전자명함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발신자는 전자명함을 전달하기 전에 착신자에게 자신의 전자명함을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야 하며, 전자 명함을 전달하기 위해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숙지하고 있어야 가능한 서비스 방법이다.
결국 종래의 전자명함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발신자가 착신자의 의사를 무시하고 자신의 전자 명함을 전송할 수 있게 하여 수신측에 피해를 주는 문제를 야기시키며, 음성통화 중에 즉시 전자명함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와 이에 따라 전자 명함 제공을 위한 별도의 이동단말기 조작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2명 이상의 가입자들이 통화 중인 상태에서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SVD)를 이용하여 개인정보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개인정보 제공서버에 저장된 가입자의 개인정보를 상대방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SVD)를 이용한다. 즉, 3세대 이동통신망에서는 파일롯 채널, 동기 채널, 페이징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할당 채널, 공통 전력 제어 채널, 공통 제어 채널, 전용 제어 채널, 기본 채널, 보조 채널, 보조 코드 채널을 포함한 다수의 채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기본 채널과 다수개의 보조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SVD)를 동시에 제공한다.
상기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SVD)와 관련된 기술이 국제공개번호 WO 2001/86837호(발명의 명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와, 국제공개번호 WO 2002/05575호(발명의 명칭: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패킷화된 음성 및 데이터를 운반하는 방법 및 장치)와, 국제공개번호 WO 2002/17592호(발명의 명칭: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패킷화된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64788호(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시 서비스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2명 이상의 가입자 간에 음성 채널을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음성 채널이 설정된 가입자들에게 IP를 예약 할당하고 개인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예약 할당된 각 가입자들의 IP 정보를 저장시키는 제2 단계와,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발신 이동단말기가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 간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제3 단계와,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로 상기 예약된 IP를 제공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의 통신으로 발신자가 개인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가 저장된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획득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착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 간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제6 단계 및,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예약 할당된 IP 정보로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통화중인 착신 이동단말기의 접속을 확인한 후 상기 획득한 개인정보를 상기 착신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7 단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명 이상의 가입자들 간에 음성 채널이 설정되고,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를 요구한 발신 이동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발신자로부터 발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제1 단계;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가 발신자에 의해 등록된 개인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가 발신자에 의해 선택된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전송 대기하는 제3 단계; 상기 개인정보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단계에서 제공받은 적어도 착신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된 각 이동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얻어 통화자 모두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 통화자 모두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개인정보 제 공서버가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이동교환국으로 데이터 링크 설정을 요구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개인정보 서버는 접속하는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 단계에서 획득한 발신 및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에 적용하여 발신 이동단말기의 착신 단말기임을 확인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전송대기중인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착신 이동단말기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IP 망에 연결된 컴퓨터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명 이상의 가입자들 간에 음성 채널이 설정되고,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를 요구한 발신 이동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발신자로부터 발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제1 단계;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가 발신자에 의해 등록된 개인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가 발신자에 의해 선택된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전송 대기하는 제3 단계; 상기 개인정보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단계에서 제공받은 적어도 착신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된 각 이동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얻어 통화자 모두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 통화자 모두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가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이동교환국으로 데이터 링크 설정을 요구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개인정보 서버는 접속하는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 단계에서 획득한 발신 및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에 적용하여 발신 이동단말기의 착신 단말기임을 확인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전송대기중인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착신 이동단말기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이다.
이동단말기(MS: Mobile Station; 11, 11')는 바람직하게는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전화기 또는 개인정보단말(PDA) 폰일 수 있다. 이동단말기는 예를 들면 EIA/TIA/IS-707 표준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무선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을 탑재하며, 더욱이 기지국(BS: Base Station; 12, 12')과 동시에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고, 개인정보가 동영상인 것에 대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한 것이 양호하다. 상기 MS(11, 11')은 바람직하게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과 점대점 프로토콜(PPP)을 사용하여 IP 패킷 통신을 한다.
BS(12, 12')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MS(11, 11')와 무선으로 동시에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BS(12, 12')은 기지국 제어기(BSC: Base Station Controller)(13, 13')와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다.
BSC(13, 13')는 다수의 기지국(12, 12')을 제어하며, 핸드오프 처리, 데이터 채널 설정 제어 등을 담당한다. 또한 BSC(13, 13')는 무선 이동교환기(MSC: Mobile Station Controller; 14, 14')와 전용선을 통해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17, 17')와 전용선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웨이(17, 17')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Packet Data Serving Node; 18, 18')와 BSC(13, 13')간에 위치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MSC(14, 14')들은 공중교환전화망(PSTN)에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MSC(14, 14')는 PDSN(18,18')에 연결될 수 있다. MSC에는 이동단말기의 위치와 서비스 가입 여부 등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15, 15')와 관할 지역 내에 존재하는 MS를 관리하기 위한 방문자위치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16, 16')가 연결된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 PDSN(18, 18')가 구비된다. 상기 PDSN(18, 18')와 MS(11, 11')는 점대점(PPP) 프로토콜을 이용해 IP 패킷 통신을 한다. 본 발명의 PDSN(18, 18')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의 기능을 포함한다. 즉, PDSN(18, 18')은 외부 요청에 따라 동적 IP를 할당한다.
제어서버(19)는 각종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DB(20)를 관리하며, 사 용자가 요구하는 해당 컨텐트를 컨텐츠 DB(20)로부터 획득하여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 DB(20)에는 SVD 가입자별 개인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단말기사양 정보DB(21)가 구비된다. 단말기사양 정보DB(21)는 제어서버(19)의 제어를 받으며, 사용자가 등록한 이동단말기의 사양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서버(19)는 단말기사양 정보를 통해 통화자의 이동단말기가 SVD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컨텐츠 DB(20)에 저장된 개인정보는 가입자에 의해 등록된 전자명함, 경조사 메시지, 아바타 등이며, 제어서버(19)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Web, Wab에서 만들거나 다운받은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분류의 기준은 제어서버(19)가 발신자의 전송요구에 대응하여 착신지의 위치정보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에 근거한 것이다.
제어서버(19)는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개인정보를 착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해서 착신자의 고유정보를 알아야 한다.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단말기에 대한 고유정보는 IP 주소 또는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이동단말기의 IP 정보를 이용한 개인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이고, 제2 실시예는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한 개인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이동단말기의 IP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제어서버(19)에게 통화자들의 IP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위한 제어서버에게 통화자의 IP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발신자에 의해 착신자와의 음성 통화 요청이 발생되면 음성 호가 연결된다. 이렇게 음성 호가 연결되는 과정에서 발신 및 착신 MS(11, 11')에 대한 IP가 설정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신 MSC(14)는 발신 MS(11)로부터 음성 호 요청이 수신되면(S201), 발신 단말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발신 HLR(15)로 발신자의 SVD 서비스 가입 정보를 요청한다(S202),
발신 MSC(14)는 발신 HLR(15)로부터 발신 단말의 SVD 서비스 가입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SVD 서비스 가입정보를 착신 MS(11')의 위치정보 요구 신호에 포함시켜 착신 HLR(15')로 전송한다(S203).
착신 HLR(15')은 착신 MS(11')의 현재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수신한 발신 단말의 서비스 가입정보를 바탕으로 통화자들 모두가 SVD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한다(S204). 그런 다음 착신 HLR(15')은 착신 MS(11')의 현재 위치정보를 발신 MSC(14)로 전송하고(S205), 통화자 모두 SVD 서비스 가입자이면 PDSN(18 또는 18')로 발신 및 착신 MS에 대한 IP 할당을 요구한다(S206).
착신 HLR(15')로부터 착신 MS(11')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발신 MSC(14)는 착신 MSC(14')로 음성 호 요구를 전송하고(S207), 이에 착신 MSC(14')의 통상 절차에 따라 착신 MS(11')과 발신 MS(11) 간에 음성 통화 채널이 설정된다(S208).
한편, 착신 HLR(15')로부터 IP 할당을 요구받은 PDSN은 수신되는 발신 및 착신 MS(11, 11')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동적 IP를 각각 할당하여 보관하며, 발신 및 착신 MS(11, 11')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동적 IP 정보를 제어 서버(19)에 제공한다(S29). 결국 제어 서버(19)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발신 및 착신 MS(11, 11')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동적 IP를 알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발신자에 대응한 착신자를 알게 된다. 제어 서버(19)가 발신 MS에 대응하는 착신 MS를 파악하는 것은 발신 MS가 개인정보 제공 서비스를 요청할 때이다.
상기에서 PDSN은 할당한 동적 IP를 보관하여 둘뿐 해당 MS로 동적 IP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동적 IP 제공은 무선 데이터 채널 설정시에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위한 발신 이동단말기와 제어서버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을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위한 무선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은 통화자간에 통화중에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 이동단말기와 제어서버간의 무선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이하, '제1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이라 함)의 흐름도이다.
통화중 상태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전송요청은 발신자 및 착신자 누구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신자가 개인정보 전송을 요청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화중 상태에서 발신자가 개인정보 전송을 요청하면, 통상의 절차에 따라 발신 MS(11)와 기지국(12)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이 설정된다. 즉, 통화중 발신자가 개인정보 서비스를 요청하면(S301), 발신 MS(11)는 BSC(13)에게 무선 데이터 채널 할당을 요구한다. BSC(13)는 BS(12)를 제어하여 발신 MS(11)로 호 할당 메시지를 전송하고 발신 MS(11)와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 상의 서비스 협상 절차를 수행하여 BS(12)와의 무선 데이터 채널을 설정한다(S302).
이때 기지국(BS)과 이동단말기(MS) 간에는 다음 두 가지 방법에 의해 데이터 채널이 설정된다.
첫 번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간에는 음성 통화 채널인 기본 채널(FCH: Fundamental Channel)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기본 채널에는 트래픽 채널뿐만 아니라 시그널링 채널이 포함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는 상기 기본 채널의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해 데이터 버스트 채널인 보조 채널(SCH: Supplemental Channel)의 설정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와 상기 기지국 간에는 음성 서비스를 위한 기본 채널과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보조 채널이 설정된다.
다음 두 번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법과 마찬가지로,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간에는 음성 통화 채널인 기본 채널이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이동단말기는 전용 제어 채널(DCCH: Dedicated Control Channel)을 이용해 기지국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보조 채널(SCH)의 설정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간에는 음성 서비스를 위한 기본 채널과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보조 채널(SCH)이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신 MS(11)와 BS(12)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이 설정됨과 동시에 BSC(13)은 PDSN(18)에 회선 설정을 요구하고, 이에 따라 회선을 설정되어 제1 데이터 채널 형성이 완료된다(S303).
제1 데이터 채널이 형성되면, PDSN(18)은 발신 MS(11)을 위해 미리 예약한 동적 IP를 발신 MS(11)에 제공한다(S304). 이에 따라 발신 MS(11)와 PDSN(18) 간에는 점대점 프로토콜(PPP) 접속이 개시되고, 발신자 MS(11)는 제어서버(19)에 접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위한 착신 MS와 제어서버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을 형성하는 방법(이하 '제2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이라 함)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단말기와 제어서버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인 제1 예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신 이동단말기와 제어서버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인 제2 예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은 발신자가 개인정보 서비스를 요청한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양호하다.
우선, 도 4를 참조로 하여 제2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제2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은 제어서버(19)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어서버(19)는 발신자로부터 개인정보 서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S401), 현재 발신자와 통화중인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HLR(15')로 착신자의 현재위치정보를 요구하여(S402), 획득한다(S403). 여기서 착신자 전화번호는 앞의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자와 착신자 간에 음성 호가 설정되면서 획득한 것이다.
그런 다음, 제어서버(19)는 착신 HLR(15')로부터 획득한 착신 MSC(14')로 착신 MS(11')의 무선 데이터 채널 설정을 요구한다(S404). 착신 MSC(14')는 BSC(13')로 무선 데이터 채널 설정을 요구하고(S405), BSC(13')는 착신 MSC(14')의 요구에 따라 착신 MS(11')와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에 정의한 바대로 데이터 채널 설정을 위한 서비스 협상을 수행하여(S406), BS(12')와 착신 MS(11')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이 설정된다(S407). 이때 BSC(13')는 PDSN(18')과 회선을 설정한다.
이렇게 BS(12')와 데이터 채널이 형성된 착신 MS(11')는 PDSN(18')에 접속하고, PDSN(18')은 예약 할당한 착신 MS(11')의 IP를 착신 MS(11')에게 제공한다. 착신 MS(11')는 자신에게 제공된 IP를 이용해 제어서버(19)에 접속한다(S408).
그러면 제어서버(19)는 수신된 착신 MS(11')의 IP 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발신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 대기중인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착신 MS(11')로 전송한다(S409).
도 5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2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은 착신 MS(11')의 요청 즉, 발신자의 개인정보 제공 요청을 승낙한 착신자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통화중인 착신자는 발신자의 요청을 승낙하여 개인정보 수신을 허락하는 특정 핫키를 누른다(S501). 이에 착신 MS(11')는 개인정보 수신을 위한 무선 데이터 채널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를 착신 BSC(13')로 전송한다(S502).
그러면, 착신 BSC(13')는 통상의 처리 절차에 따라 착신 MS(11')와 서비스 협상을 하여 기지국과 착신 MS(11')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이 설정되게 하고, PDSN(18') 간에 회선이 설정된다(S503).
이에 따라 착신 MS는 제어 서버에 접속될 수 있고, 제어서버(19)는 발신자에 의해 전송 대기중인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착신 단말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제어서버의 동작을 중심으로 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통화자들은 통화상태이며(S601), 도 2를 통한 설명과 같이 제어서버(19)가 발신 및 착신 MS(11, 11')의 동적 IP 정보를 알고 있는 상태이다(S602).
이런 상태에서, 발신자가 개인정보 서비스를 요구하면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MS(11)와 제어서버(19)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S603), 제어서버(19)는 발신자에 대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에 접속을 허용한다(S604).
그리고 제어서버(19)는 발신자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발신자와 통화중인 착신자의 IP 정보가 등록(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착신자의 IP 정보가 등록되 어 있지 않으면 서비스 거부 메시지를 발신 MS(11)에 전송하고(S605), 착신자의 IP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면 컨텐츠 DB(20)에 저장된 발신자의 개인정보들의 목록 정보를 발신 MS(11)에 제공한다(S606).
상기에서 발신자의 IP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자의 IP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통화자 중 한 명이라도 SVD 서비스 가입자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발신 MS(11)는 제어서버(19)에서 제공하는 목록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데, 이때 화면에는 통화자가 저장한 모든 전자명함의 종류, 아바타의 종류, 경조사 메시지의 종류 등이 표시된다.
발신자가 개인정보 목록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하나의 개인정보를 선택하면, 발신 MS(11)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인정보의 항목 정보를 제어서버(19)로 전송한다(S607).
제어서버(19)는 발신자로부터 하나의 개인정보 전송 요구를 수신하면, 컨텐츠 DB(20)로부터 발신자가 선택한 하나의 개인정보를 획득하고(S608),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제2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이 수행되도록 하여 착신 MS(11')와 데이터 채널이 형성되게 한다(S609).
여기서, 상기 과정(S609)은 발신자가 핫키를 누르는 것에 대응하는 어떠한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 이루어지며, 만약 착신자가 수신을 위한 핫키를 누르게 되면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제2 데이터 채널 형성 방법이 수행될 것이다.
착신 MS(11')와 제어서버(19)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이 설정되어, 착신 MS(11')가 제어서버(19)에 접속되면, 제어서버(19)는 PDSN(18')이 착신 MS(11')의 전화번호에 매칭시켜 제공한 착신 MS(11')의 IP 정보를 통해 발신 MS(11)의 IP에 대응하는 착신 이동단말기임을 확인하고 상기 과정(S608)에서 획득한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무선 데이터 채널을 통해 착신 MS(11')에 전송한다(S610).
이에 착신자는 발신자가 전송한 개인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을 통해 발신자는 음성 통화 중에 자신의 개인정보를 착신자에게 전송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착신자가 발신자가 되는 경우에 착신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개인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이동단말기와 제어서버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과 같다. 이를 상기하면 도 7을 참조로 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보인 흐름도이다.
제어서버에게 통화중인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제공하는 방법은 통화자들이 통화중인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통화 상태에서(S701), 발신자가 개인정보 서비스를 요구하면(S702), 발신 단말기와 PDSN 간에는 통상의 절차에 따라 무선 데이터 채널이 설정된다. 그러면 발신 MS(11)는 현재 통화중인 착신자 전화번호와 자신의 전화번호를 제어서버(19)로 제공한다(S703). 여기서, 발신 또는/ 및 착신 MS에 대한 전화번호 제공은 사용자가 발신 MS(11)를 통해 수작업을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발신 MS(11)가 통화중인 착신 MS의 전화번호를 임시 저장했다가 이때 제공할 수 있다.
발신 MS(11)로부터 착신 및 발신 MS의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제어서버(19)는 발신자의 개인정보가 착신자로 전송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통화자 모두 SVD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제어서버(19)는 발신 및 착신 MS(11, 11')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단말사양 정보DB(21)로부터 각 MS의 사양정보를 획득하고(S704), 획득한 단말 사양 정보를 통해 착신 및 발신 MS가 SVD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705).
상기 판단(S705)으로 통화자 중 한명이라도 SVD 서비스 가입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서비스 거부 메시지를 발신 MS(11)에게 전송하고(S706), 통화자 모두 SVD 서비스 가입자라고 판단하면 발신 MS(11)가 등록해 둔 개인정보의 목록을 발신 MS(11)에게 제공한다(S707).
발신자가 하나의 개인정보를 선택하면(S708), 제어서버(19)는 컨텐츠 DB(20)로부터 해당 개인정보를 확인하며, 착신자로 전송시킬 수 있는 환경 즉, 착신자의 접속을 확인할 때까지 전송대기시키고, 착신 MSC(14')에 데이터 채널 즉, 링크(link) 설정을 요구한다(S709).
착신 MSC(14')에 의한 데이터 링크 설정은 도 4를 참조로 한 설명과 같다. 즉, 착신 MSC(14')는 무선 데이터 채널 설정을 요구받으면, 착신 BSC(13')로 무선 데이터 채널 설정을 요구하며, 착신 BSC(13')는 착신 MS(11')와 서비스 협상을 수 행하여 착신 MS(11')와 기지국(12') 간에 무선 데이터 채널이 설정되게 한다 동시에 착신 BSC(13')은 PDSN(18')과 회선을 설정한다(S710)
상기 과정(S709)을 통해 착신 MS와 PDSN간 데이터 링크가 설정되면, 착신 MS(11')는 IP를 등록하고 등록한 IP로 제어서버(19)에 접속한다. 그러면 제어서버(19)는 접속한 착신 MS(11')에게 전화번호를 묻고, 이에 착신 MS(11')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제어서버(19)에 제공한다(S711).
한편 상기 과정(S711)의 다른 일예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일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과정(S709)을 통해 데이터 링크가 설정되면 PDSN(18')은 착신 MS(11')의 전화번호를 제어서버(19)에게 제공한다.
상기 과정(S711)을 통해 착신자의 전화번호를 수신하면, 제어서버(19)는 착신자가 전송 대기중인 발신자의 개인정보가 제공될 대상임을 알게 되고, 그에 따라 착신 단말(11')로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제공한다(S712).
한편, 전술한 도 7에서는 착신 MSC를 통해 데이터 링크 설정 및 그룹게임 서버에 접속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그룹게임 서버는 단문 메시지 서버(SMSC: Shot Message Service Controller)를 통해 게임 참가자에게 그룹게임 서버의 URL 정보를 포함한 콜백(call back) URL을 전송하고, 게임 참가자가 콜백 URL을 통해 SVD 서비스로 세션 접속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콜백 URL을 이용한 방법은 통상의 절차를 따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제어서버(19)가 콜백 URL을 전송하게 되면, 착신 MS(11')는 자동 또는 사용자에 의도에 따라 제어서버(19) 내에 전송요구한 발신자의 개인정보 가 있는 위치(URL)에 바로 접속하여 상기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가져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2 이상의 통화자가 통화중에 자신의 전자명함 또는 아바타 또는 경조사 메시지 중 하나를 1 이상의 통화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2명 이상의 가입자 간에 음성 채널을 설정하는 제1 단계;
    음성 채널이 설정된 통화자들이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는 제2 단계;
    가입자들이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 가입자이면, 가입자들 각각에 대해 IP를 예약 할당하고 개인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예약 할당된 각 가입자들의 IP 정보를 저장시키는 제3 단계;
    발신자가 개인정보 제공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발신자에 대응하는 가입자에 대해 예약 할당된 IP 정보를 발신자용 IP 정보로서 상기 발신자에게 제공하고, 통화자 모두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
    통화자 모두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 가입자이면, 발신자가 전송 요청한 개인정보를 확인한 후 착신 이동단말기와의 데이터 링크 설정을 이루어지게 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는 착신자용으로 예약 할당된 IP 정보로 착신 이동단말기가 접속하면 상기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상기 착신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음성 호 요구가 발생하면, 발신 이동교환기가 발신 홈위치등록기로부터 발신자의 서비스 가입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발신 이동교환기가 착신 홈위치등록기로 상기 획득한 발신자의 서비스 가입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 홈위치등록기가 발신자 및 착신자의 서비스 가입정보로 통화자들 모두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통화자 모두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 가입자이면, 상기 착신 홈위치등록기가 통화자들에 대한 IP 예약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서 통화자들에 대해 IP를 예약 할당하고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에 예약할당한 발신자용 IP 정보와 착신자용 IP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발신자가 개인정보 제공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서 예약할당한 발신자용 IP를 발신 MS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가 접속한 발신 MS의 IP 정보를 확인하고, 발신 MS의 IP 정보에 대응하는 착신자용 IP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자용 IP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통화자 모두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 가입자라고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자용 IP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통화자 모두가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서비스 가입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발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간에 데이터 링크가 설정되는 과정은,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가 음성 채널을 위한 기본 채널의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해 기지국으로 보조 채널의 설정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보조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 회선 설정을 요구하여 회선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간에 점대점 프로토콜 접속이 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발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간에 데이터 링크가 설정되는 과정은,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가 전용 제어 채널을 이용해 기지국으로 보조 채널의 설정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보조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 회선 설정을 요구하여 회선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간에 점대점 프로토콜 접속이 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가 착신 홈위치등록기로부터 착신 이동단말기의 현재위치를 확인한 후 관할 착신 이동교환기로 데이터 링크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와, 착신 이동교환기가 착신 기지국 제어기를 제어하여 기지국과 상기 착신 이동단말기간에 데이터 채널을 설정되게 하고, 상기 착신 기지국 제어기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 회선 설정을 요구하여 회선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가 미리 예약 할당된 착신자용 IP 정보를 착신 이동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개인정보 제공을 음성통화로 요구한 발신자의 요구에 따라 착신자에 의해 착신 이동단말기에 설치된 개인정보 수신을 요구하는 핫키가 눌려지면, 발신 이동단말기가 음성 채널을 위한 기본 채널의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해 기지국으로 보조 채널의 설정을 요구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보조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 회선 설정을 요구하여 회선을 설정하며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간에 점대점 프로토콜 접속이 개시되는 과정과, 발신 이동단말기가 전용 제어 채널을 이용해 기지국으로 보조 채널의 설정을 요구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보조 채널을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 회선 설정을 요구하여 회선을 설정하며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간에 점대점 프로토콜 접속이 개시되는 과정 중 하나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9.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명 이상의 가입자들 간에 음성 채널이 설정되고,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를 요구한 발신 이동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발신자로부터 발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제1 단계;
    개인정보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단계에서 제공받은 적어도 착신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된 각 이동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얻어 통화자 모두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통화자 모두 서비스가 가능하면,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가 발신자에 의해 등록된 개인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제3 단계;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가 발신자에 의해 선택된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전송 대기하는 제4 단계;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가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이동교환국으로 데이터 링크 설정을 요구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개인정보 서버는 접속하는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 단계에서 획득한 발신 및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에 적용하여 발신 이동단말기의 착신 단말기임을 확인하고, 상기 제4 단계에서 전송대기중인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착신 이동단말기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개인정보 제공 서버와 이동단말기와의 접속은,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가 음성 채널을 위한 기본 채널의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해 기지국으로 보조 채널의 설정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보조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 회선 설정을 요구하여 회선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간에 점대점 프로토콜 접속이 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의 개인정보 제공 서버와 이동단말기와의 접속은,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가 전용 제어 채널을 이용해 기지국으로 보조 채널의 설정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단말기와 보조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 회선 설정을 요구하여 회선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 이동단말기와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간에 점대점 프로토콜 접속이 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발신 MS에서 제공되는 발신 및 착신 MS의 전화번호는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수작업을 통해 입력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발신 MS에서 제공되는 발신 및 착신 MS의 전화번호는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 MS가 저장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는 발신 및 착신 이동단말기의 사양정보를 통해 통화자 중 하나라도 서비스 가입자가 아니라면, 서비스 거부 메시지를 발신 이동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15. IP 망에 연결된 컴퓨터에 있어서,
    적어도 2명 이상의 가입자들 간에 음성 채널이 설정되고,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를 요구한 발신 이동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발신자로부터 발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와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제1 단계;
    개인정보제공 서버가 상기 제1 단계에서 제공받은 적어도 착신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된 각 이동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얻어 통화자 모두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통화자 모두 서비스가 가능하면,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가 발신자에 의해 등록된 개인정보에 대한 목록 정보를 발신자에게 제공하는 제3 단계;
    상기 개인정보 제공 서버가 발신자에 의해 선택된 개인정보를 확인하고 전송 대기하는 제4 단계;
    상기 개인정보 제공서버가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이동교환국으로 데이터 링크 설정을 요구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개인정보 서버는 접속하는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1 단계에서 획득한 발신 및 착신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에 적용하여 발신 이동단말기의 착신 단말기임을 확인하고, 상기 제4 단계에서 전송대기중인 발신자의 개인정보를 착신 이동단말기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011089A 2004-02-19 2004-02-19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19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089A KR101019315B1 (ko) 2004-02-19 2004-02-19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089A KR101019315B1 (ko) 2004-02-19 2004-02-19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596A KR20050082596A (ko) 2005-08-24
KR101019315B1 true KR101019315B1 (ko) 2011-03-07

Family

ID=3726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089A KR101019315B1 (ko) 2004-02-19 2004-02-19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927A (ko) * 2005-12-26 2007-06-29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통화 중에 콘텐츠 공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단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645A (ko) * 1999-10-28 2002-06-10 조영선 핸드셋을 갖는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
KR20020074304A (ko) * 2001-03-20 2002-09-3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645A (ko) * 1999-10-28 2002-06-10 조영선 핸드셋을 갖는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
KR20020074304A (ko) * 2001-03-20 2002-09-3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596A (ko)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6100B (zh) 通訊裝置以及處理通訊裝置內裝置呼入通訊請求之方法
JP3830898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ケット音声呼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719111B1 (ko)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TWI411287B (zh) 共享多媒體能力分配之方法
KR10053995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들 간에 실시간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메신저서비스 제공 방법
WO2005053332A1 (en) Enhanced group call implementation
EP1841257B1 (en)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communication support method, communication support program and communication terminal
MXPA06013790A (es) Establecimiento de sesion de datos de paquete concurrente para pulsar para hablar sobre celular.
US20070224976A1 (en) PoC system and method of PoC communication
KR20060011262A (ko)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19315B1 (ko) 통화중 개인정보 주고받기 서비스 제공 방법
CN115515091A (zh) 网络地址转换方法、中继设备、通信系统以及存储介质
EP3285509B1 (en) Discovery method and device
KR101531198B1 (ko)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20069976A (ko) 이동 통신망을 통한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착신 방법
KR100519664B1 (ko) 착신제어시스템을 이용한 imt-2000의 비동기 망에서 동기 망으로의 착신 데이터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08363B1 (ko) 패킷서비스통지기능이 구비된 더불유씨디엠에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623294B1 (ko) 이동통신망에서 착신 가입자의 이미지 데이터 제공방법
KR100644391B1 (ko) 호 설정 중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23970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KR100466844B1 (ko) 고속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트랜젝션 처리 방법 및시스템
KR100970001B1 (ko) 음성 통화와 영상 통화 사이의 전환 방법
KR20080072304A (ko)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공유 방법 및 단말기
KR100570739B1 (ko)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있어서 친구목록 등록방법
KR20060120723A (ko)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