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232B1 -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232B1
KR101019232B1 KR1020080047286A KR20080047286A KR101019232B1 KR 101019232 B1 KR101019232 B1 KR 101019232B1 KR 1020080047286 A KR1020080047286 A KR 1020080047286A KR 20080047286 A KR20080047286 A KR 20080047286A KR 101019232 B1 KR101019232 B1 KR 10101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inhaler
present
cover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142A (ko
Inventor
정재필
Original Assignee
정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필 filed Critical 정재필
Priority to KR1020080047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23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3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등의 밑바닥 틈새 청소가 가능하도록, 얇은 흡입구와 안테나식 길이 조절 방법으로 가구의 폭에 따라 얼마든지 길이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 틈새, 홈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기{su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가구 등의 밑바닥 틈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시판되는 진공청소기의 구조는 흡입구, 모터, 회전날개, 필터, 먼지받이 케이스, 배기구로 되어 있으며, 전동기를 이용한 흡인력으로 티끌과 먼지를 빨아들여 넓은 거실에서도 편리하게 밀고 다니면서 바닥 등의 먼지를 공기흡착 작용에 의해 깨끗이 흡수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크고 두꺼운 흡입구의 특성상 바닥청소에만 적합하게 제작되어 있다.
따라서, 책장이나 장롱, 침대, 냉장고 등 가정에 있는 큰 규모 가구들의 밑바닥 틈새를 청소할 때에는 상기와 같은 가구들을 들어 옮겨야만 바닥청소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떠한 틈새에도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흡입구가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상기 제1몸체 사이에 일부가 배치되는 물티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먼지 등 이물질을 청소기 내부로 흡입하는 동시에 물걸레질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에서, 덮개는 상기 제1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물티슈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물티슈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제1몸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1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2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진공청소기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길이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어떠한 틈새에도 쉽게 삽입할 수 있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가구 등의 밑을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기 내부로 흡입하는 동시에 물걸레질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덮개의 회동이 가능하므로 물티슈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안테나식 길이 조절 방법을 이용하여 길이조절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그 길이를 대폭 축소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고탄력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어떠한 청소기의 흡입구에도 탈, 부착이 가능하다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제1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제1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길이를 줄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미도시)에 연결되는 연결부(310)와, 상기 연결부(310)에 수용되는 제2몸체(210)와, 상기 제2몸체(210)에 수용되는 제1몸체(1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부(310)는 내부에 공간(312)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다.
상기 공간(312)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의 이동통로이다.
상기 연결부(310)에는, 상기 연결부(310)의 일측 둘레에서 상기 연결부(310)중심의 지름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1곡면부(315)와, 상기 제1곡면부(315)에 이격되어 대칭되는 제2곡면부(3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곡면부(315)와 제2곡면부(316)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제1곡면부(315)와 제2곡면부(316)를 연결하는 하우징(3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10)에는 상기 제1곡면부(315)와, 제2곡면부(316)와, 하우징(317)의 상단을 연결하는 면(3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면(318)의 중심에는 상기 공간(312)과 연통 되고 후술할 제2몸체(210)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3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몸체(210)가 상기 구멍(319)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부(310)에 수용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연결부(310)의 하단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구(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상기 흡입구와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부(310)는 어떠한 청소기의 흡입구에도 탄성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고탄력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몸체(210)는 마주보는 두 장측벽(221,223)과, 상기 장측벽(221,223)의 양 측면을 잇는 단측벽(222,22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몸체(210)에는 상기 장측벽(221,223)과 단측벽(222,224)의 안쪽으로 구멍(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212)은 상기 제2몸체(210)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후술할 제1몸체(110)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몸체(210)에는 상기 장측벽(221,223)과 단측벽(222,224)의 상단을 연결하는 면(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면(218)의 중심에는 상기 구멍(212)에 연통 되고 제1몸체(110)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21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몸체(110)가 상기 구멍(219)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몸체(210)에 수용된다.
즉, 상기 제2몸체(210)에는 상기 제2몸체(210)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2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몸체(21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는 직사각형 판 형상이다.
제1몸체(11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는 직사각형 판 형상이다.
상기 제1몸체(110)의 내부에는 그 하단에서 상부까지 관통되는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몸체(110)의 전면(121)에는 상기 제1몸체(110)의 중턱부터 상단까지 잘라낸 절취면(1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취면(141)의 상부에는 상기 구멍(112)과 연통 되는 흡입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물티슈(41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절취면(141)에는 상기 절취면(141)의 크기와 대응되는 덮개(150)가 설치되어, 상기 물티슈(410)의 일부를 덮어 고정시킨다.
덮개(150)는 상기 제1몸체(11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프레임(171)과, 상기 제1프레임(171)의 양쪽 끝단에 이어지는 제2프레임(172)과 제4프레임(174) 그리고, 상기 제2프레임(172)과 제4프레임(17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3프레임(17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프레임(172)과 제4프레임(174)의 상단에 제1돌출부(181)와 제2돌출부(182)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는 'ㅂ' 형상이다.
상기 제1,2,3,4,프레임(171,172,173,174)에 의해 둘러싸인 안쪽에는 구멍(151)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51)은 상기 흡입구(111)와 연통 되고, 상기 흡입구(111)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몸체(110)와 상기 제1프레임(171)은 힌지구조(510)로 연결하여, 상기 덮개(150)가 상기 제1몸체(1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덮개(150)의 일면에는 핀을 형성하고, 상기 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몸체(110)의 일면에는 홀을 형성시켜 상기 덮개(150)와 제1몸체(11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1돌출부(181)와 제2돌출부(182)는 상기 물티슈(410)의 가장자리를 덮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돌출부(181)와 제2돌출부(182) 그리고, 제3프레임(173)에 의해 둘러싸인 안쪽에는 공간(16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티슈(410)가 상기 공간(161)으로 배치되어 돌출됨으로써 가구 등의 밑바닥의 물청소가 가능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가 어떠한 틈새에도 쉽게 삽입할 수 있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가구 등의 밑을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에서 상기 연결부(310)와 제2몸체(210)와 제1몸체(110)는 안테나식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길이를 늘릴 때에는 상기 제2몸체(210)의 하부의 크기가 상기 연결부(310) 구멍(319)의 크기보다 커서 상기 제2몸체(210)는 연결부(31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의 하부의 크기도 상기 제2몸체(210)의 구멍(212)의 크기보다 커서 상기 제1몸체는 제2몸체(2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밀착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길이를 줄일 때에는 상기 제2몸체(210)의 양쪽 단측벽(222,224)의 상부에 걸림돌기(237)를 각각 형성시켜 상기 제2몸체(210)가 연결부(310) 내부로 수용될 때, 상기 걸림돌기(237)가 상기 연결부(310)의 상단 면(318)에 걸려 상기 제2몸체(210)가 연결부(310)의 내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의 상부에도 걸림돌기(137)를 각각 형성시켜 상기 제1몸체(110)가 제2몸체(210) 내부로 수용될 때, 상기 걸림돌기(137)가 상기 제2몸체(210) 단측벽(222,224)의 상단에 걸려 상기 제1몸체(110)가 제2몸체(210)의 내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그 길이를 대폭 축소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2몸체(210)의 하단에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부(310)의 상단에 내부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를 늘린 후 그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210)에도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한 걸림턱을 더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310)에 제2몸체(220)를 다단으로 다수개 구비하여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길이를 더 연장시 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흡입기는 특히, 책장, 장롱, 침대, 냉장고 등 가정에 있는 큰 규모 가구들의 밑바닥 틈새를 청소할 때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제1몸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제1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길이를 줄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몸체 111 : 흡입구 150 : 덮개
210 : 제2몸체 310 : 연결부 410 : 물티슈

Claims (3)

  1. 흡입구가 형성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설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와 상기 제1몸체 사이에 일부가 배치되는 물티슈;
    상기 제1몸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1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제2몸체;
    상기 제2몸체를 수용하고, 상기 제2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진공청소기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제1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물티슈의 일부를 덮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3. 삭제
KR1020080047286A 2008-05-21 2008-05-21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KR10101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286A KR101019232B1 (ko) 2008-05-21 2008-05-21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286A KR101019232B1 (ko) 2008-05-21 2008-05-21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142A KR20090121142A (ko) 2009-11-25
KR101019232B1 true KR101019232B1 (ko) 2011-03-03

Family

ID=4160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286A KR101019232B1 (ko) 2008-05-21 2008-05-21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23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852U (ko) * 1996-09-03 1998-06-25 성재갑 회전식 밀대를 구비한 걸레착탈식 밀대걸레
KR200276396Y1 (ko) * 2001-11-28 2002-05-21 장수영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852U (ko) * 1996-09-03 1998-06-25 성재갑 회전식 밀대를 구비한 걸레착탈식 밀대걸레
KR200276396Y1 (ko) * 2001-11-28 2002-05-21 장수영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142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96086B (zh) 集尘袋自动弹出的布袋架
KR930008471Y1 (ko) 걸레 청소가 가능한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JP2005000554A (ja) 電気掃除機
US9526387B1 (en) Mite-removing vacuum cleaner
KR101019232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기
US8196258B2 (en) Brush assembly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840058B1 (ko) 청소기용 어태치먼트
EP3138455A1 (en) Mite-removing vaccum cleaner
KR200358819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헤드
CN102138767A (zh) 吸尘器刷头接管与吸尘刚管的装配结构
KR100640920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KR101331719B1 (ko) 청소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청소기
US20190104901A1 (en) Vacuum cleaner
CN219962758U (zh) 双贴边清洁的地刷组件及蒸汽洗地机
CN210130777U (zh) 一种吸尘器地刷以及干湿两用吸尘器
CN219479983U (zh) 清洁头和具有其的清洁设备
CN220608230U (zh) 基站以及吸尘器装置
CN213529737U (zh) 一种平板电脑加工用清灰装置
CN219940480U (zh) 吸尘器
KR200201777Y1 (ko) 진공청소기의 헤드 회전장치
KR200241184Y1 (ko) 대류식 칠판지우개
KR10119286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3757922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1681482B1 (ko) 진드기 제거 진공청소기
KR970001031B1 (ko) 벽면 모서리청소용 진공청소기의 상용흡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