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443B1 - Hinge module for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Hinge module for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443B1
KR101018443B1 KR1020070135295A KR20070135295A KR101018443B1 KR 101018443 B1 KR101018443 B1 KR 101018443B1 KR 1020070135295 A KR1020070135295 A KR 1020070135295A KR 20070135295 A KR20070135295 A KR 20070135295A KR 101018443 B1 KR101018443 B1 KR 101018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guide frame
spring
cover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7589A (en
Inventor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벨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벨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벨포원
Priority to KR1020070135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443B1/en
Publication of KR2009006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5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4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체 두께를 최소화하여 슬림하면서도 원활한 동작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보장되고, 조립성은 더욱 개선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nge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a slim, smooth oper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are ensured by minimizing the overall thickness, and assembly is further improved.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힌지모듈은 메인몸체 또는 커버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메인몸체와 커버 중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되지 않은 것에 고정되고 커버의 개폐시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마운트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절개된 형태의 내측 공간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과, 마운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커버의 개폐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가이드 프레임과 슬라이더간을 당겨주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hing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fixed to the base plate fixed to the main body or cover, the base plat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not fixed, and to the base plate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 guide frame having a combined mount plate, an inner space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cut out; a slider coupled to the mount plate, the slider being mounted to be retractable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It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and comprises a tension spring for pulling between the guide frame and the slider.

힌지모듈, 휴대단말기 Hinge module, handheld terminal

Description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HINGE MODULE FOR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Hinge MODULE FOR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 두께를 최소화하여 슬림하면서도 원활한 동작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보장되고, 조립성은 더욱 개선된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to minimize the overall thickness, a slim, smooth oper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is ensured, the assembly is further improved hing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for open type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단말기는 사무용이나 가정용 전화기가 대표적이고, 무선 통신 단말기는 PCS, 셀룰러폰 또는 PDA가 대표적인 예이다. 통상 무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휴대 및 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라고 명명되기도 한다.In general, a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office or home telephon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CS, a cellular phone, or a PD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are usually call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r portable terminals because they provide portability and mobility to users.

이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종류는 크게 바형(bar type), 덮개를 구비한 플립형(flip type) 및 폴더형(folder type)으로 나눌 수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such a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user with text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 game, etc., beyond the step of delivering only simple audio information. The type of the mobile terminal is largely a bar type and a flip type with a cover. It can be divided into flip type and folder type.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 어져 바형 또는 플립형 휴대단말기가 갖는 길이가 길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상부폴더와 하부폴더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folding portable terminal has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folder when calling or carrying, so it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length of the bar or flip portable terminal is long, but the hinge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folder and the lower folder is easily damaged. Has a problem.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단말기 본체에 대해서 커버가 반자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slide open type)의 휴대단말기가 제시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folding type portable terminal,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while the cover is slid up and down by the semi-automatic body has been proposed.

이같은 슬라이드 오픈 타입의 휴대단말기는 전통적으로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커버를 반자동 개폐하는 힌지모듈을 장착하였지만, 최근에는 토션 스프링과는 달리 장기간 사용시에도 탄성력이 거의 줄어들지 않는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형태의 힌지모듈이 개발되어 장착되고 있다.Such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has been equipped with a hinge module that semi-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cover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but recently, unlike the torsion spring, the coil spring has almost no elastic force even after long-term use. Hinge modules of the type used have been developed and installed.

이에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20)와, 커버에 고정되는 마운트(30)와, 상기 베이스(20)에 대하여 마운트(30)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도록 양자간을 결합시켜주면서 탄성력을 부여하는 신축바 어셈블리(10)로 구성되었다. As shown, the hinge module for a conventional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has a base 20 fixed to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 mount 30 fixed to the cover, and a mount 30 with respect to the base 20. It was composed of a stretchable bar assembly 10 for imparting elastic force while coupling the two to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이같은 종래의 힌지모듈에서 신축바 어셈블리(10)는 2단으로 상호 교차된 2개의 T형 신축바(11,12)와, 상기 2개의 신축바(11,12) 사이에 설치되어 전체길이가 늘어나도록 작용하는 인장스프링(13)을 구비하였다. 이로써, 상기 신축바 어셈블리(10)의 길이가 최소가 되는 때를 천이점으로 하여 상기 천이점을 지나지 않은 거리 이내에서는 커버가 개폐되는 반대방향으로 힘을 제공하고, 천이점을 지난 거리 부터는 커버가 개폐되는 동일방향으로 힘을 제공하여 커버가 반자동 개폐되었다.In the conventional hinge module, the elastic bar assembly 10 is installed between two T-shaped elastic bars 11 and 12 intersected in two stages and the two elastic bars 11 and 12 to increase the overall length. It was provided with a tension spring (13) acting so that. As a result, when the length of the elastic bar assembly 10 is minimized, the force is provi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within a distance not passing the transition point, and the cover is moved from the distance past the transition point. The cover was opened semi-automatically by providing a force in the same direction to be opened and closed.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힌지모듈은 코일형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토션스프링과는 달리 장기간 사용에도 불구하고 탄성력이 거의 줄지 않는 장점이 있었지만 여전히 해소되어야 하는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hinge module uses a coiled spring, unlike the torsion spring, the hinge module has an advantage that the elastic force is hardly reduced despite long-term use, but still has many problems to be solved.

즉, 종래의 힌지모듈에서는 2개의 신축바(11,12)가 2단으로 교차하는 적층구간을 갖기 때문에 두께를 최소화하는데 구조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 적층구간으로 인해 최소 0.9[mm]의 손실 폭이 발생되며, 이같은 단점은 초슬림화가 하나의 흐름이 된 최근의 휴대단말기 시장의 경향에 비추어볼 때 적지 않은 문제점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hinge module, since the two elastic bars 11 and 12 have a stacking section intersecting in two stages, there is a structural limitation in minimizing the thickness. Therefore, a loss width of at least 0.9 [mm] is generated due to the stacking section, and this drawback is inevitably a problem in view of the trend of the recent portable terminal market in which ultra-slimization has become one flow.

또한, 단순히 교차한 형태로 구비된 상기 2개의 신축바(11,12)는 상호간에 결합성이 부족하여 해체되기 쉽고 커버의 개폐시 안정적인 동작에 대한 신뢰도가 낮았다. In addition, the two elastic bars (11, 12) simply provided in a cross shape is easy to dismantle due to lack of bonding between each other, the reliability of the stable opera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was low.

또한, 상기 신축바(11,12)와 인장스프링(13)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신축바(11,1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1B,12B)에 스프링 코일의 끝단(13A,13B)을 걸어주도록 되었으나, 이는 구조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므로 더 많은 노동력과 인건비 상승을 야기하였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spring coil (13A, 13B) to the fastening holes (11B, 12B) formed in the expansion bar (11, 12) for coupling between the expansion bar (11, 12) and the tension spring (13). It was to be hung, but this forced the construction to rely on manual labor, resulting in more labor and labor costs.

그에 더해 휴대단말기의 사용 중 상기 신축바(11,12)와 인장스프링(13)간의 결합이 풀어지기 쉬워서 커버의 개폐능력이 불량하게 되고 결국 신축바(11,12)와 인장스프링(13)간의 결합이 연쇄적으로 풀어지면서 커버의 개폐능력이 완전 상실되는 치명적인 결과가 초래되었다.In addi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extension bars 11 and 12 and the tension springs 13 is easy to be released during use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capability of the cover is poor, and thus, between the extension bars 11 and 12 and the tension springs 13. The loosening of the bonds resulted in catastrophic loss of complete cover loss.

또한, 상기 신축바(11,12)와 베이스(20) 및 마운트(30)의 조립을 위해, 상기 신축바(11,12)의 끝단을 각각 천공하여 통공(11A,12A)을 마련하고, 상기 베이스(20) 및 마운트(30)를 천공하여 서로 대응되는 체결공(21,31)을 마련한 후 각각 리벳(42,43)에 의해 체결하여 조립하였는데, 이같은 방식은 조립공수가 너무 많고, 리벳 사용에 따른 0.1mm 이상의 두께증가를 초래하였다. In addition, for assembling the elastic bars 11 and 12, the base 20, and the mount 30, the ends of the elastic bars 11 and 12 are drilled to provide through holes 11A and 12A, respectively. The base 20 and the mount 30 were drilled to prepare fastening holes 21 and 31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n fastened and assembled by rivets 42 and 43, respectively. This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ickness of at least 0.1 mm.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두께를 최소화하여 슬림하면서도 원활한 동작과 구조적인 안정성이 보장되고, 조립성은 더욱 개선된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overall thickness, while ensuring a slim and smooth oper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the assembly is improved slide open type portab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nge module for a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메인몸체에 대하여 커버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메인몸체 및 커버를 결합시켜주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로서, 상기 메인몸체 또는 커버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몸체와 커버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되지 않은 것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개폐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마운트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절개된 형태의 내측 공간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e open that combines the main body and the cover so that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the cover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 hinge module for a typ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ase plate fixed to the main body or cover; A mount plate fixed to an unfixed base plat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coupled to the base plate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 guide frame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having an inner space cut out; A slider coupled to the mount plate, the slider being retractable in accordance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in an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의 좌편 및 우편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를 안내하는 원형 단면의 가이드 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guide rod of a circular cross section which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o guide the retreat of the slider in the state passing through the slider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반대편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스프링과 같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보조 스프링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uxiliary spring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the slider interposed therebetwee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ring so as to be fitted to the guide ro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spring.

또한, 상기 스프링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 프레임 및 슬라이더에 결합된 코일형 인장스프링이고, 상기 보조 스프링은 코일형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ring is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a coiled tension spring coupled to the guide frame and the slider, respectively, the auxiliary spring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ed compression spring.

또한, 상기 스프링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 프레임 및 슬라이더에 결합된 코일형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ring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a coiled tension spring coupled to the guide frame and the slider, respectively.

또한, 상기 코일형 인장스프링의 일단과 가이드 프레임의 결합, 상기 코일형 인장스프링의 타단과 슬라이더의 결합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coiled tension spring and the coupling of the guide frame, the other end of the coiled tension spring and the slider may be made by insert injection.

또한, 상기 스프링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 프레임 및 슬라이더에 결합된 고무 재질의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ring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a tension spring of a rubber material coupled to the guide frame and the slider, respectively.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변과 하변, 좌변과 우변을 갖는 사각틀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guide frame may have a rectangular frame shape having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하변과 나머지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고,In addition, the guide frame can be separated into the lower side and the remaining part,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대응하는 사각틀체 형태로 형성되어 분리 가능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하나로 묶어 지지하는 지지틀체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rame body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frame to bundle and support the detachable guide frame as one.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좌편과 우편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 좌편 및 우편에는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홈에 인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slider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and the post is installed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respectively, and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groove to guide the advance of the slider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guide rail.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부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된 C링 형태의 제1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결합편이 걸쳐져 지지되는 제1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마운트 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단부 중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설치되고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된 슬라이드 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걸쳐져 지지되는 C링 형태의 제2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결합편이 걸쳐져 지지되는 제2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ouple the guide frame and the base plate, a first engagement piece having a C ring shape protruding outwar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guide frame, and the first locking piece is supported by the first coupling piece on the base plate. Group is formed integrally, and for the coupling of the slider and the mounting plate, is installed to slidably penetrate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guide frame, the front end is combined with the slide bar and the rear end of the slide bar A second coupling piece having a C-ring shape is supported across the mount plate, and the mounting plat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locking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second coupling piece.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는 선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탄성력을 갖고 그 폭을 좁힐 수 있도록 선단부와 후단부 각각의 중앙에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와 후단부 측단에는 스냅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제2결합편은 각각 상기 슬라이드 바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는 상기 스냅홈과 대응하여 스냅결합하는 스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de bar is provided with cutouts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each have elastic force and narrow the width thereof, and a snap groove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d the slider and the first end. Each of the two coupling pieces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lide bar are inserted, and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may have a snap protrusion for snap coupling corresponding to the snap groove.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와 제2결합편은 일체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 bar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may be formed in one piece.

또한,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의 좌편과 우편에 각각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좌편과 우편에서 균일하게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rings may be arranged in the same number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respectively, and may be uniformly acting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with respect to the slider.

한편,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 전면에 배향하여 설치되는 커버와; 상기 메인몸체 또는 커버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몸체와 커버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되지 않은 것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개폐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마운트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절개된 형태의 내측 공간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프링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커버의 상하방향 개폐시 기 마운트 플레이트 및 이에 결합된 상기 슬라 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너지 축적치가 최대가 되는 때를 천이점으로 하여, 상기 천이점을 지나지 않은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가 상기 커버의 개폐 반대방향으로 힘을 제공하고, 상기 천이점을 지난 거리부터는 상기 어셈블리가 상기 커버의 개폐 동일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body; A cover installed to be orie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A base plate fixed to the main body or cover; A mount plate fixed to an unfixed base plat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coupled to the base plate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 guide frame having an inner space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cut out, a slider coupled to the mount plate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o be retractable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an inner side of the guide fram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assembly including a spring installed in the space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the elastic energy of the spring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plate and the slider coupled thereto in the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When the accumulation value is maximized, as a transition point, the spring assembly provides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within a distance not exceeding the transition point. Provide force in the same direction of opening and closing And that is characterized in that o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의 좌편 및 우편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를 안내하는 원형 단면의 가이드 봉과;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반대편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과 일치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보조 스프링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 guide rod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which is installed at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and guides the retreat of the slider while passing through the slid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uxiliary spring which is installed in the state fitted to the guide ro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slider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ring.

또한, 상기 슬라이더의 좌편과 우편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 좌편 및 우편에는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홈에 인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slider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and the post is installed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respectively, and is introduced into the guide groove to guide the advance of the slider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guide rail.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변과 하변, 좌변과 우변을 갖는 사각틀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하변과 나머지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대응하는 사각틀체 형태로 형성되어 분리 가능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하나로 묶어 지지하는 지지틀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frame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having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and can be separated into the lower side and the remaining portion, and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frame. It may b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bundle.

또한, 상기 스프링의 일단과 가이드 프레임의 결합, 상기 스프링의 타단과 슬라이더의 결합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부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된 C링 형태의 제1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결합편이 걸쳐져 지지되는 제1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마운트 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단부 중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설치되고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된 슬라이드 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걸쳐져 지지되는 C링 형태의 제2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결합편이 걸쳐져 지지되는 제2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의 좌편과 우편에 각각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좌편과 우편에서 균일하게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spring and the coupling of the guide frame, the other end of the spring and the slider is made by insert injection, for the coupling of the guide frame and the base plate, protrudes outward in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guide frame A first coupling piece having a C-ring shape is provided, and a first catching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first coupling piec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ase plate, and the center of the rear end portion of the guide frame is coupled to the slider and the mounting plate. The slide bar is slidably installed and the front end is provided with a slide bar coupled to the slider, and a second coupling piece in the form of a C ring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lide bar to be supported over the mount plate.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that is supported by two engaging pieces integrally The springs may be arranged in the same number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respectively, so as to act uniformly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with respect to the slider.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는 선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탄성력을 갖고 그 폭을 좁힐 수 있도록 선단부와 후단부 각각의 중앙에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와 후단부 측단에는 스냅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제2결합편은 각각 상기 슬라이드 바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는 상기 스냅홈과 대응하여 스냅결합하는 스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lide bar is provided with cutouts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each have elastic force and narrow the width thereof, and a snap groove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d the slider and the first end. Each of the two coupling pieces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lide bar are inserted, and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may have a snap protrusion for snap coupling corresponding to the snap groove.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는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슬라이더를 위치시킨 독특한 구성에 의해 전체 스프링 어셈블리를 단지 하나의 단으로만 구성할 수 있고, 이로써 힌지모듈 및 이를 채 택한 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hinge module and the portable terminal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gure the entire spring assembly in only one stage by a unique configuration in which a slider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hereby the hinge module and the same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개폐에 따라 변위되는 슬라이더가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이탈의 염려 없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기 때문에 커버의 개폐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ider which is displac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slides stably without fear of departure from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cover is made stable.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봉을 구비하기 때문에 슬라이더가 가이드 프레임과의 간섭 없이 매끄럽게 슬라이딩되어 커버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rod, the slider slides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guide frame, thereby smoothly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은 인장스프링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인서트 사출에 의해 다른 부재와 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공정이 필요 없고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 중 인장스프링의 끝단이 풀어지는 문제가 없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is coupled to the other member by insert injection, respectively,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assembly process and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and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end of the tension spring is released during use.

또한, 본 발명은 인장스프링 대신 압축스프링 및 고무재질의 라인형 스프링 등 다양한 탄성수단으로 대체하기가 용이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variety of elastic means such as compression springs and rubber-like springs instead of the tension spring.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반자동 개폐를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코일형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여도 두께 증가가 없고 코일형 인장스프링의 사용으로 토션스프링과 달리 장기간 사용시에도 탄성력이 거의 줄어들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increase in thickness even when using a coiled tension spring to provide elastic force for 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unlike the torsion spring, the elastic force is hardly reduced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unlike the torsion spring.

또한, 본 발명은 C링 형태의 결합편을 걸쳐 지지하는 방식에 의해 스프링 어셈블리를 베이스 플레이트 및 마운트 플레이트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리벳 등과 같은 별도의 부품사용으로 인한 제품 두께와 조립공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increase in the product thickness and assembly labor due to the use of separate parts, such as rivets, because the spring assembly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mounting plate by supporting the coupling pieces in the form of a C ring. have.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 어셈블리의 부품들이 좌우에 고르게 분산 배치된 구성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력이 커버의 한쪽에만 과도하게 편중될 염려가 없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worry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s excessively biased on only one side of the cover by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spring assembly are evenly distributed on the left and right.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를 당겨주는 인장스프링을 보조하여 반대편에서 슬 라이더를 밀어주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하기 때문에 동일한 실장공간에서 커버에 더욱 강력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유리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to provide a stronger elastic force to the cover in the same mounting space because it has a compression spring for pushing the slider on the opposite side to assist the tension spring for pulling the slider.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의 분리 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성형 및 슬라이더의 설치 조립이 용이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form and install the assembly of the slider through the configuration so that the guide frame is detachable.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바와 슬라이더간, 슬라이드 바와 제2결합편간의 결합이 스냅결합에 의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slide bar and the slider, the slide bar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is conveniently made by snap coupling.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2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몸체(B)에 대하여 커버(C)가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이며, 그 내부에는 상기 메인몸체(B)와 커버(C)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켜주고 커버(C)의 반자동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힌지모듈(A)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힌지모듈(A)에 포함된 스프링 어셈블리의 두께를 최소화하여 제품 전체를 슬림화한 동시에 커버의 원활한 개폐동작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는 한편, 부품들간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cover (C) is semi-automatic sliding opening and clos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 the main body (B) and the cover (C) to be slidable therein. A hinge module A is installed to couple and provide an elastic force for the semi-automatic of the cover C.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spring assembly included in the hinge module (A) to slim the entire product and at the same time ensure a smooth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over, while improving the assembly between parts. .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상기 힌지모듈(A)을 중심으로 상 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hinge module (A).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힌지모듈의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프링 어셈블리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pring assembly of Figure 3 disassembl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힌지모듈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마운트 플레이트(300)와, 스프링 어셈블리(100)를 이루는 가이드 프레임(110), 슬라이더(120) 및 인장스프링(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the hing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late 200, a mount plate 300, a guide frame 110, a slider 120, and a tension spring 130 constituting the spring assembly 100. It is configured by.

여기서 상기 힌지모듈 중 휴대단말기 커버의 반자동 개폐를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스프링 어셈블리(100)는 가이드 프레임(110)과 슬라이더(120) 및 인장스프링(130)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상기 슬라이더(120) 및 인장스프링(130)이 가이드 프레임(110)의 내측 공간(117)에 위치하는 독특한 구성에 의해 부품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하나의 단으로만 이루어진다.Here, the spring assembly 100,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providing an elastic force for 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mobile terminal cover,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guide frame 110, a slider 120, and a tension spring 130. Due to the uniqu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lider 120 and the tension spring 130 are located in the inner space 117 of the guide frame 110, the parts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are formed in only one end.

본 발명은 이같은 스프링 어셈블리(100)의 독특한 구성에 의해 힌지모듈(100) 또는 이를 채택한 휴대단말기 전체의 슬림화, 원활한 동작 및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e slimming, smooth opera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of the hinge module 100 or the entire portable terminal adopting the same by the unique configuration of the spring assembly 100. Hereinafter,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휴대단말기의 키패드를 간섭하지 않으면서 메인몸체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의 비교적 작은 크기로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좌편 및 우편에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와의 결합을 위해 전면으로 꺾어진 "ㄷ"자형의 레일(210)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e base plate 200 is provided in a relatively small size that can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keypad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base plate 200, a "c" shaped rail 210 bent in the front for coupling with the mount plate 300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전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에 속한 제1결합편(111)이 걸쳐져 지지되는 제1걸림돌기(230)가 돌출된 형 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돌기(230)는 상기 제1결합편(111)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져 걸쳐지는 잘록한 허리부(231)와 상기 허리부(231)의 끝단에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편(111)의 이탈을 방지하는 머리부(2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이같은 제1걸림돌기(230)가 일체로 형성되면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0)와의 조립성이 향상되며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가이드 프레임(110)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edge of the base plate 2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protruding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30 is supported by the first coupling piece 111 that belongs to the guide frame 110. Here,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30 is formed in a wider end portion of the narrow waist portion 231 and the waist portion 231 is sandwiched so that the first coupling piece 111 is rotatable the first coupling piece It consists of a head portion 232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111). Wh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ase plate 200, the assemblability with the spring assembly 100 is improv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guide frame 110.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는 휴대단말기의 커버 후면에 고정된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30)는 휴대단말기의 메인몸체에 대한 커버의 개폐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것으로 구비된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의 좌편과 우편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레일(210)에 끼워져서 슬라이딩되는 "ㄴ"자형의 슬라이딩 편(310)이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커버의 개폐시 마운트 플레이트(300)가 상기 메인몸체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하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또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에는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0)가 수용되도록 돔 형태의 수용부(320)가 형성된다. The mount plate 300 is fixed to the back of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The mount plate 330 is provided with a size sufficient to maintain the state coupled to the base plate 200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for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mount plate 300, a “b” shaped sliding piece 310 is inserted along the rail 210 of the base plate 20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a result,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the mount plate 300 is slid up and down while maintaining a coupled state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00 fixed to the main body. In addition, the mount plate 300 is formed with a dome-shaped receiving portion 320 to accommodate the spring assembly 100.

또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에도 제1걸림돌기(230)와 같은 제2걸림돌기(33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걸림돌기(330)의 경우도 상기 슬라이더(120)에 속한 제2결합편(123)이 끼워져 걸쳐지는 허리부(331)와 상기 허리부(331)의 끝단에 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편(123)의 이탈을 방지하는 머리부(3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에 이같은 제2걸림돌기(330)가 일체로 형성되면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0)와의 조립성이 향상되며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슬라이더(120)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plate 300 is also provided integrally with a second locking projection 330, such as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230. In the case of the second catching protrusion 330, the second coupling piece 123 belonging to the slider 120 is formed to be wider at the end of the waist portion 331 and the waist portion 331,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123 is fitted. It consists of a head portion 332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two coupling pieces (123). When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mount plate 300, the assemblability with the spring assembly 100 is improv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slider 120.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은 상기 슬라이더(120) 및 인장스프링(130)과 함께 스프링 어셈블리(100)를 이루어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마운트 플레이트(300)간의 결합을 유지시켜주고 이들에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내측 공간(117)을 갖는 사각의 프레임 혹은 틀체로 이루어지며, 그 선단부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된 C링 형태의 제1결합편(111)을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C링 형태의 제1결합편(111)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구비된 제1걸림돌기(230)를 안정적으로 감싸주는 요입된 형태의 걸림홈(111A)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제1결합편(111)을 상기 제1걸림돌기(230)에 간단히 걸어주는 것만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와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0)와 베이스 플레이트(200)와의 결합을 위해 리벳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손이 많이 가는 조립작업이 전혀 필요 없는 것이다. The guide frame 110 forms a spring assembly 100 together with the slider 120 and the tension spring 130 to maintain the coupling between the base plate 200 and the mount plate 300 and provide spring elastic force thereto. It plays a role. To this end, the guide frame 110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frame or a frame having a rectangular inner space 117 as a whole, integrally the first ring piece 111 of the C ring shape protruding outward in the center of the tip portion thereof. Equipped. The first coupling piece 111 of the C-ring type has a recessed groove 111A having a recessed shape to stably surrou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provided in the base plate 200. As a result, by simply hanging the first coupling piece 111 o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the base plate 200 is stably coupl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ans such as rivets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spring assembly 100 and the base plate 200 does not require a lot of hand assembly work.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 내측 공간(117)의 좌편과 우편에는 상기 슬라이더(120)를 안내하여 매끄럽게 슬라이딩 진퇴하도록 돕는 한 쌍의 가이드 봉(115)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봉(115)은 상기 슬라이더(120)와의 마찰은 줄이고 슬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원형 단면의 중실 혹은 중공의 것으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후단부(110B)에는 상기 슬라이더(120)에 속하여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드 바(125)가 관통되어 안내를 받도록 복수의 관통공(113)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pair of guide rods 115 are installed at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inner space 117 of the guide frame 110 to guide the slider 120 to slide smoothly. The guide rod 115 is provided with a solid or hollow circular cross section so as to reduce friction with the slider 120 and improve slip performance. A plurality of through-holes 113 are formed in the rear end portion 110B of the guide frame 110 so that the slide bar 125, which belongs to the slider 120 and moves together, is guided through.

상기 슬라이더(120)는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내측 공간(117)에서 커버의 개폐에 따라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The slider 120 is hinged to the mount plate 300,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17 of the guide frame 110 so that the slider 120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120)는 상기 가이드 봉(11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끼워지는 가이드 홀(121)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슬라이더(120)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 내측 공간(117)에서 가이드 봉(115)의 궤도를 따라 정확하게 이동하게 된다.To this end, the slider 120 has a guide hole 121 through which the guide rod 115 is slidably fitted. As a result, the slider 120 accurately moves along the trajectory of the guide rod 115 in the inner space 117 of the guide frame 110.

또한, 상기 슬라이더(120)와 마운트 플레이트(300)의 결합을 위해 슬라이드 바(125)와 제2결합편(123)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125)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후단부(110B)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11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더(120)에 결합된다. 상기 제2결합편(123)은 상기 슬라이드 바(125)의 후단부에 결합되되, 인서트 사출에 의해 처음부터 결합된 상태로 제작된다. 상기 제2결합편(123)은 C링 형태로 형성된다. 이처럼 C링 형태로 형성된 제2결합편(123)은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에 구비된 제2걸림돌기(330)를 안정적으로 감싸주는 요입된 형태의 걸림홈(123A)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제2결합편(123)을 상기 제2걸림돌기(330)에 간단히 걸어주는 것만으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와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0)와 마운트 플레이트(300)와의 결합을 위해 리벳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손이 많이 가는 조립작업이 전혀 필요 없고, 리벳 사용에 따른 두께 증가를 0.1mm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 slide bar 125 and a second coupling piece 123 are provided for coupling the slider 120 and the mounting plate 300. The slide bar 125 is installed to slidably penetrate the through hole 113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ar end portion 110B of the guide frame 110,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is coupled to the slider 120. The second coupling piece 123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lide bar 125, but is manufactured in a state coupled from the beginning by insert injection. The second coupling piece 12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 ring.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upling piece 123 formed in the form of a C ring includes a locking groove 123A having a concave shape that stably surrounds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30 provided in the mount plate 300. As a result, simply engaging the second coupling piece 123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30 makes the coupling with the mount plate 300 stabl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ans such as rivets for the coupling between the spring assembly 100 and the mounting plate 300 does not require much assembly work at all, and increases the thickness of the rivet by 0.1mm This can be reduced.

상기 인장스프링(130)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내측 공간(117)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과 슬라이더(120)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장스프링(130)은 코일형으로 구비된다. 코일형 스프링의 경우 토션 스프링에 비해 장시간 사용시에도 탄성력이 쉽게 약화되지 않는 장점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130)은 그 일단 및 타단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의 후단부(110B)와 슬라이더(120)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인장스프링(130)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후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과 슬라이더(120)에 인서트 사출에 의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처럼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인장스프링(130)의 양단부가 가이드 프레임(110) 및 슬라이더(120)에 결합되면 그 결합성이 견고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고,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조립 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적어도 스프링 철심에 해당하는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스프링(130)은 가이드 프레임(110)의 내측 공간(117)에서 좌편과 우편에 각각 동일한 개수로 배치된다. 이로써 슬라이더(120)에 대하여 좌편과 우편에서 균일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휴대단말기 커버의 개폐시 스프링의 탄성력이 어느 한쪽으로 과도하게 치우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tension spring 13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17 of the guide frame 110 serves to give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guide frame 110 and the slider 120. The tension spring 130 is provided in a coil shape. This is because the coil type spring has an advantage that the elastic force is not easily weakened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compared with the torsion spring. In addi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130 is coupled to the rear end 110B and the slider 120 of the guide frame 110, respectively. At this tim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130 is made of a hook shape and coupled to the guide frame 110 and the slider 120 is inserted by insert injection. As such, when both ends of the tension spring 130 are coupled to the guide frame 110 and the slider 120 by insert injection, their coupling properties are firm and are not easily separated. The thickness corresponding to the iron core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tension springs 130 are disposed in the same number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in the inner space 117 of the guide frame 110, respectively. As a result, a uniform elastic force can be provided to the slider 120 at the left side and the postal side, thereby preven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s excessively biased to either side when the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여기서, 상기 인장스프링(130)을 대신하여 압축스프링을 구비하고 이를 상기 내측 공간(117)에서 가이드 프레임(110)의 선단부(110A)와 슬라이더(120) 사이에 설치하는 대체 구성도 가능하다(차후 상세히 설명됨). 그러나 이처럼 대체된 구성의 경우 스프링 어셈블리(100)의 동작에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 압축스프링이 수축 될 때 처짐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실장공간을 늘리는 등 이를 고려한 설계가 불가피하다.In this case,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is provided in place of the tension spring 13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tip portion 110A of the guide frame 110 and the slider 120 in the inner space 117 (later on). Detail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placed configuration,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operation of the spring assembly 100, but because the deflection phenomenon occurs when the compression spring is contracted, it is inevitable to consider the design such as increasing the mounting spac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동작을 첨부된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먼저, 도 5a는 휴대단말기의 메인몸체(B)에 대하여 커버(C)가 닫혀져 있는 초기상태의 힌지모듈이 도시되었다. 따라서 상기 커버(C)에 고정된 마운트 플레이트(300)가 메인몸체(B)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하여 하측으로 치우쳐 있다. First, FIG. 5A illustrates a hinge module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a cover C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fore, the mount plate 300 fixed to the cover C is bias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00 fixed to the main body B.

이 때 스프링 어셈블리(100)의 지지점이 되는 제1걸림돌기(230)와 제2걸림돌기(330)가 서로에 대하여 이격거리가 가장 큰 대각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프링 어셈블리(100)는 이완된 상태에 있다. 하지만 인장스프링(130)이 완전히 축소되지 않고 약간 신장된 긴장 상태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0)는 여전히 신장하려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하여 하측에 머무르려는 경향을 갖게 되며, 이로써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커버(C)가 메인몸체(B)에 대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30, which are the supporting points of the spring assembly 100, are positioned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the largest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spring assembly 100 is in a relaxed state. have. However, the spring assembly 100 still tends to stretch because the tension spring 130 provides elastic force in a slightly stretched tension state without fully shrinking. Therefore, the mount plate 300 has a tendency to stay below the base plate 200, so that the cover (C)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do.

이후, 커버(C)에 외력이 가해져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커버(C)에 고정된 마운트 플레이트(300)도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0)가 제1걸림돌기(230)를 지지점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길이가 점차적으로 축소된다. 그러면 제2결합편(123)과 슬라이드 바(125)를 통해 마운트 플레이트(300)에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120)가 가이드 프레임(110)의 내측 공간(117)에서 선단부 쪽으로 이동하면서 인장스프링(130)은 축소되려는 경향에 반하여 점차 늘어나게 된다.Subsequent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ver C to move upward, the mount plate 300 fixed to the cover C also slid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00. Then, the spring assembly 10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230 as a support point is gradually reduced in length. Then, the tension spring moves while the slider 120, which is indirect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300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iece 123 and the slide bar 125, moves toward the tip end portion of the inner space 117 of the guide frame 110. 130 is gradually increased against the tendency to shrink.

이후 도 5b와 같이 상기 제1걸림돌기(230)와 제2걸림돌기(330)의 이격 거리가 최소가 되어 천이점에 이르게 된다. 이때 인장스프링(130)은 가장 늘어난 상태가 되어 탄성에너지 축적치는 최고치에 이르게 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5B,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3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30 becomes a minimum to reach a transition point. At this time, the tension spring 130 is in the most elongated state, the elastic energy accumulation value reaches the maximum value.

이후, 커버(C)에 상방향으로 외력이 계속 가해져 상기 천이점을 일단 지나게 되면 신장하려는 경향을 갖는 스프링 어셈블리(100)의 작용방향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순간적으로 바뀌게 되면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의 이동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이로써 도 5c와 같이 마운트 플레이트(300)가 상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하여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커버(C)는 열려진 상태가 된다. 만일 상기 천이점에 도달하기 전에 커버(C)에 가해지던 외력이 사라지면 신장하려는 경향을 가지면서 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어셈블리(100)에 의해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30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측에 위치하게 되며, 커버(C)는 원래대로 닫힌 상태가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external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cover C upwardly and passes the transition point,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spring assembly 100 having a tendency to stretch is changed instantaneously from the downward direction to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mount plate 300 ) Will coincide with the direction of travel. As a result, as shown in FIG. 5C, the mounting plate 300 is rapidly moved upward,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the cover C is in an open state. I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ver C disappears before reaching the transition point, the mount plate 300 moves downward by the spring assembly 100 which acts downward while tending to stretch. The cover C is in a closed state as it is.

이처럼 커버(C)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열려지면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0)는 다시 이완된 상태가 된다. 하지만 인장스프링(130)이 완전히 축소되지 않고 약간 신장된 긴장 상태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0)는 여전히 신장하려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 트(3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하여 상측에 계속 머무르려는 경향을 갖게 되며, 이로써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커버(C)가 메인몸체(B)에 대하여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cover C is moved upward and opened, the spring assembly 100 is in a relaxed state again. However, the spring assembly 100 still tends to stretch because the tension spring 130 provides elastic force in a slightly stretched tension state without fully shrinking. Therefore, the mount plate 300 has a tendency to remain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200, so that the cover (C) is ope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 unles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Will be maintained.

한편, 커버(C)가 열려진 상태에서 닫히는 동작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0)가 천이점 이전에는 커버(C)가 열리는 방향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하다가 일단 천이점을 지나게 되면 커버(C)가 닫히는 방향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커버(C)의 반자동 개폐를 구현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cover C in the open state, the spring assembly 100 provides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C is opened before the transition point, but once the transition point passes the cover C ) Provides 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C)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of the spring in the closing direction.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를 설명한다.Subsequently,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의 스프링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다.6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pring assembly of a modifi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에 따른 변형실시예는 슬라이더(120)를 사이에 두고 인장스프링(130)이 설치된 반대편에서 압축스프링(140)이 가이드 봉(115)에 끼워진 상태로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dified embodiment according to FIG. 6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spring 140 is further installed in the state in which the compression spring 140 is fitted to the guide rod 115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tension spring 130 is installed with the slider 120 interposed therebetween.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압축스프링(140)이 인장스프링(130)을 보조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이로써 제한된 설치공간에서 커버의 반자동 개폐에 필요한 보다 강력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mpression spring 140 assists the tension spring 130 to further increase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This can provide a stronger elastic force required for 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in a limited installation space.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의 스프링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다.7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pring assembly of a modifi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에 따른 변형실시예에서는 이미 전술된 바 있는 것처럼 코일형 인장스프 링(130)을 대신하여 코일형 압축스프링(15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압축스프링(150)은 가이드 프레임(110)의 내측 공간(117)에 설치되되 슬라이더(120)를 사이에 두고 변형전 인장스프링(130)이 설치되었던 반대편에 설치된다. 이같은 변형실시예는 그 작용방향만 일치시킨다면 인장스프링(130)뿐만 아니라 압축스프링(150), 더 나아가 다른 형태의 스프링도 충분히 설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In the modified embodiment according to FIG. 7, the coil type compression spring 150 is installed in place of the coil type tension spring 130 as described above. To this end, the compression spring 150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117 of the guide frame 110, but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tension spring 130 before deformation is installed with the slider 120 interposed therebetween. This modified embodiment shows that not only the tension spring 130 but also the compression spring 150, and even other types of springs, can be installed if the direction of action coincides only.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변형된 형태의 스프링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다.8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pring assembly of a modified form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8에 따른 변형실시예에서는 철심을 재질로 한 코일형 인장스프링(130)을 대신하여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라인형 인장스프링(16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변형실시예는 본 발명에서 커버의 반자동 개폐를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용도로 구비되는 스프링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In the modified embodiment according to Figure 8 in place of the coil type tension spring 130 made of iron core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ar tension spring 160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installed. Such a modified embodiment shows that the spring provid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elastic force for the semi-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스프링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assembly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210)이 분리 가능하도록 한 구성과, 상기 슬라이드 바(225)에 대한 슬라이더(220)와 제2결합편(223)의 연결이 스냅결합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이들 변형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As show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frame 210 is detachable, and the slider 220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23 are connected to the slide bar 225.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de simple by snap coupling.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se modified configurations.

먼저, 상기 가이드 프레임(210)은 상변과 하변, 좌변과 우변을 갖는 사각틀 체 형태인 것에는 제1실시예와 다르지 않으나, 상기 상부(210A)와 하부(210B)의 2부위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을 하나로 묶어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210)에 대응하는 사각틀체 형태로 형성된 지지틀체(210C)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틀체(210C)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얇은 판으로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210)을 성형할 때에는 성형틀로 사용되고, 이후 성형이 완료된 후에도 가이드 프레임(210)의 2부위를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10)의 결합부위에는 안정된 결합을 위해 서로 부합되는 홈(212A)과 돌기(212B)를 구비한다. First, the guide frame 210 is not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rame having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i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two parts of the upper (210A) and lower (210B) do. And it is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210C)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corresponding to the guide frame 210 in order to bundle them together. The support frame 210C is a thin plate made of stainless steel, which is used as a molding frame when forming the guide frame 210, and then serves to bind two portions of the guide frame 210 to one after the molding is completed. Coupling portions of the guide frame 210 is provided with grooves 212A and protrusions 212B that are matched with each other for stable coupling.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210)의 내측 공간(217) 좌편 및 우편에는 변형전 가이드 봉(115) 대신 가이드 프레임(21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215)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15)는 슬라이더(220)의 진퇴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더(220)의 진퇴를 안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20)는 상기 가이드 레일(21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되는 가이드 홈(221)을 좌편과 우편에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215)과 가이드 홈(221)의 접촉부위는 상호 마찰을 줄이기 위해 곡면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inner space 217 of the guide frame 210 is provided with a guide rail 215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frame 210 instead of the guide rod 115 before deformation. The guide rail 215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slider 220, to guide the advancing and retreating of the slider 220. Accordingly, the slider 220 has a guide groove 221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in which the guide rail 215 is slidably inserted. The contact portion of the guide rail 215 and the guide groove 221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to reduce mutual friction.

상기 슬라이드 바(225)은 변형전 봉 형태로 구비되었던 것과는 달리 넓은 폭을 갖는 사각의 바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13)도 사각의 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225)의 선단부와 후단부는 각각 탄성력을 갖고 그 폭을 좁힐 수 있도록 중앙에 절개부(225B,225D)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와 후단부 측단에 요입된 스냅홈(225A,225C)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220)와 제2결합편(223)은 각각 상 기 슬라이드 바(225)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3B, 제2결합편의 경우만 도시되었음)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223B)의 내측에 상기 스냅홈(225A,225C)과 대응하여 스냅결합되는 스냅돌기(223A,223C)가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슬라이드 바(225)와 슬라이더(220)간 결합, 상기 슬라이드 바(225)와 제2결합편(223)간 결합이 스냅핑 방식에 의해 훨씬 용이해진다. The slide bar 22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bar having a wide width, unlike the one provided in the form of a rod before deformation, and thus the through hole 213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frame 210 is also formed in a rectangular hole shape. do. In additio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lide bar 225 is provided with incisions (225B, 225D) in the center so as to have an elastic force and narrow the width, respectively, snap grooves (225A, 225C) recessed i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 In addition, the slider 220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23 are provided with insertion grooves 223B (only shown in the case of the second coupling piece) into which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lide bar 225 are inserted, respectively. Snap protrusions 223A and 223C are snapped to correspond to the snap grooves 225A and 225C inside the insertion groove 223B. As a result, coupling between the slide bar 225 and the slider 220 and coupling between the slide bar 225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23 are much easier by using a snapping method.

한편, 제1결합편(211) 및 제2결합편(223)의 걸림홈(211A,223A)의 경우 개구된 방향이 9시에서 12시 방향 범위와 3시에서 6시 방향 범위에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결합편(211) 및 제2결합편(223)이 베이스 플레이트(200) 및 마운트 플레이트(300)에 각각 구비된 제1걸림돌기(230)와 제2걸림돌기(330)에 보다 용이하게 걸려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engaging grooves 211A and 223A of the first coupling piece 211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23, the opened directions are formed in the range of 9 to 12 o'clock and 3 to 6 o'clock. Can be. This is because the first engaging piece 211 and the second engaging piece 223 are compared to the first engaging projection 230 and the second engaging projection 330 provided in the base plate 200 and the mounting plate 300, respectively. This is to make it easy to be supported.

상기 2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인 스프링(230)과 그 외에 다른 부분들은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구성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spring 230 and other parts, which are not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된 슬라이드 바를 설명하기 위한 스프링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assembly for explaining the modified slid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바(225)와 제2결합편(223)은 스테인리스 스틸을 재질로 하여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슬라이드 바(225)와 제2결합편(223)이 처음부터 일체형으로 구비되면 이들을 조립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작공정과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lide bar 225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23 may be integrally provided by press working with stainless steel. As such, when the slide bar 225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223 are integrally provided from the beginning, the process for assembling them can be omitted,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number of parts, and the manufacturing cos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Figure 2 is a use state showing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힌지모듈의 부분 분해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도 3의 스프링 어셈블리를 분해한 분해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pring assembly of FIG. 3;

도 5a 내지 도 5c는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5A to 5C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의 스프링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Figure 6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pring assembly of a modifi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의 스프링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Figure 7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pring assembly of a modifi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8은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의 스프링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Figure 8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pring assembly of a modified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스프링 어셈블리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스프링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assembly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1은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변형된 슬라이드 바를 설명하기 위한 스프링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ring assembly for explaining the modified slide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힌지모듈 110 : 가이드 프레임100: hinge module 110: guide frame

111, 123 : 결합편 113 : 관통공111, 123: engagement piece 113: through hole

115 : 가이드 봉 117 : 내측 공간115: guide rod 117: inner space

120 : 슬라이더 130 : 인장스프링120: slider 130: tension spring

140 : 압축스프링 150 : 압축스프링140: compression spring 150: compression spring

160 : 고무재질의 라인형 인장스프링160: line tension spring made of rubber

Claims (20)

메인몸체에 대하여 커버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메인몸체 및 커버를 결합시켜주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로서,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that combines the main body and the cover so that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the cover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상기 메인몸체 또는 커버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A base plate fixed to the main body or cover; 상기 메인몸체와 커버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되지 않은 것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개폐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마운트 플레이트와;A mount plate fixed to an unfixed base plat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coupled to the base plate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절개된 형태의 내측 공간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과; A guide frame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having an inner space cut out;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A slider coupled to the mount plate, the slider being retractable in accordance with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in an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A spring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의 좌편 및 우편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를 안내하는 원형 단면의 가이드 봉과;A guide rod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nstalled at a left side and a post of an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o guide the advancement and retreat of the slider while penetrating the slider;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반대편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스프링과 같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보조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For the slide-open typ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xiliary spring which is installed in the state fitted to the guide ro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slider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ring. Hinge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프링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 프레임 및 슬라이더에 결합된 코일형 인장스프링이고, The spring is a coiled tension spr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guide frame and the slider, respectively, 상기 보조 스프링은 코일형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The auxiliary spring is 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ed compression spr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프링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 프레임 및 슬라이더에 결합된 코일형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The spring is 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a coiled tension spring coupled to the guide frame and the slider, respectively.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코일형 인장스프링의 일단과 가이드 프레임의 결합, 상기 코일형 인장스프링의 타단과 슬라이더의 결합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One end of the coil-type tension spring and the coupling of the guide frame, the other end of the coil-type tension spring and the coupling of the slider is 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ade by insert inj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프링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 프레임 및 슬라이더에 결합된 고무 재질의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유대단말기용 힌지모듈. The spring is 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bond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a tension spring made of a rubber material coupled to the guide frame and the slider,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변과 하변, 좌변과 우변을 갖는 사각틀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The guide frame is 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tangular frame shape having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하변과 나머지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고,The guide frame can be separated into the lower side and the remaining part,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대응하는 사각틀체 형태로 형성되어 분리 가능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하나로 묶어 지지하는 지지틀체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The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frame to bundle and support the detachable guide fra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더의 좌편과 우편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slider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 좌편 및 우편에는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홈에 인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guide frame guides the slider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and install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 제4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5, 7 to 10,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부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된 C링 형태의 제1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결합편이 걸쳐져 지지되는 제1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 In order to couple the guide frame and the base plate, a first coupling piece having a C ring shape protruding outwar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guide frame, and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is supported on the base plate by the first coupling piece. Formed into 상기 슬라이더와 마운트 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단부 중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설치되고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된 슬라이드 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걸쳐져 지지되는 C링 형태의 제2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결합편이 걸쳐져 지지되는 제2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For the coupling of the slider and the mounting plate, a slide bar is slidably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guide frame and 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lide bar and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lide bar to be supported over the mount plate. C-shaped second coupling piece is provided, the hinge plat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lat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locking projection which is supported by the second coupling piec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슬라이드 바는 선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탄성력을 갖고 그 폭을 좁힐 수 있도록 선단부와 후단부 각각의 중앙에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와 후단부 측단에는 스냅홈이 형성되며,The slide bar is provided with a cutout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have elastic force and narrow the width, and snap grooves are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상기 슬라이더와 제2결합편은 각각 상기 슬라이드 바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는 상기 스냅홈과 대응하여 스냅결합하는 스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Each of the slider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ha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lide bar are inserted, and the inner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has a snap protrusion for snap-fitting corresponding to the snap groove. Hinge module for mobile handsets.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슬라이드 바와 제2결합편은 일체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The slide bar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is 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olded in one piece.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의 좌편과 우편에 각각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좌편과 우편에서 균일하게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The spring is a hinge module for a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is arranged in the same number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and acts uniformly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with respect to the slider. 메인몸체에 대하여 커버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terminal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the cov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메인몸체와;Main body; 상기 메인몸체 전면에 배향하여 설치되는 커버와;A cover installed to be orie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상기 메인몸체 또는 커버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A base plate fixed to the main body or cover; 상기 메인몸체와 커버 중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고정되지 않은 것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의 개폐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된 마운트 플레이트와;A mount plate fixed to an unfixed base plat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coupled to the base plate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when the cover is opened and close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절개된 형태의 내측 공간을 갖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커버의 개폐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의 좌편 및 우편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를 안내하는 원형 단면의 가이드 봉과,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반대편에서 상기 가이드 봉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과 일치한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보조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프링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A guide frame having an inner space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cut out, a slider coupled to the mount plate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o be retractable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an inner side of the guide frame. A spring installed in the space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a guide rod of a circular cross section installed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o guide the retreat of the slider while penetrating the slider, and the slid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assembly including an auxiliary spring which is installed in the state fitted to the guide rod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springs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ring, 상기 커버의 상하방향 개폐시 기 마운트 플레이트 및 이에 결합된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너지 축적치가 최대가 되는 때를 천이점으로 하여, 상기 천이점을 지나지 않은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가 상기 커버의 개폐 반대방향으로 힘을 제공하고, 상기 천이점을 지난 거리부터는 상기 어셈블리가 상기 커버의 개폐 동일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When the cover is vertically opened and closed when the cover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as the transition point of the elastic energy accumulation value of the spring becomes maximum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coupled thereto, the spring assembly is within the distance not exceeding the transition point. And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and from the distance past the transition point, the assembly provides a for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삭제delet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슬라이더의 좌편과 우편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slider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 좌편 및 우편에는 각각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홈에 인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진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And a guide rail installed i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the guide rail being guided into the guide groove to guide the advancement of the slider. 제15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7,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변과 하변, 좌변과 우변을 갖는 사각틀체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하변과 나머지 부분으로 분리 가능하고,The guide frame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having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and is separated into the lower side and the remaining part,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대응하는 사각틀체 형태로 형성되어 분리 가능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하나로 묶어 지지하는 지지틀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And a support frame body which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frame and bundles and supports the detachable guide frame as on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스프링의 일단과 가이드 프레임의 결합, 상기 스프링의 타단과 슬라이더의 결합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이루어지며,One end of the spring and the coupling of the guide frame, the other end of the spring and the slider is made by insert injection, 상기 가이드 프레임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선단부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된 C링 형태의 제1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 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결합편이 걸쳐져 지지되는 제1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In order to couple the guide frame and the base plate, a first coupling piece having a C ring shape protruding outwar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guide frame, and the base plate has a first locking projection to support the first coupling piece. Formed integrally, 상기 슬라이더와 마운트 플레이트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단부 중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여 설치되고 선단부는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된 슬라이드 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 걸쳐져 지지되는 C링 형태의 제2결합편이 구비되고,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결합편이 걸쳐져 지지되는 제2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며,For the coupling of the slider and the mounting plate, a slide bar is slidably installed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end of the guide frame and 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lide bar and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slide bar to be supported over the mount plate.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piece of the C-ring shape, the mounting plat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locking projection which is supported by the second coupling piece,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공간의 좌편과 우편에 각각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좌편과 우편에서 균일하게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The springs are arranged in the same number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of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fram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terminal is uniformly acting on the left side and the post with respect to the slider.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슬라이드 바는 선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탄성력을 갖고 그 폭을 좁힐 수 있도록 선단부와 후단부 각각의 중앙에 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와 후단부 측단에는 스냅홈이 형성되며,The slide bar is provided with a cutout in the center of each of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have elastic force and narrow the width, and snap grooves are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상기 슬라이더와 제2결합편은 각각 상기 슬라이드 바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홈의 내측에는 상기 스냅홈과 대응하여 스냅결합하는 스냅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Each of the slider and the second coupling piece ha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lide bar are inserted. .
KR1020070135295A 2007-12-21 2007-12-21 Hinge module for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KR1010184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295A KR101018443B1 (en) 2007-12-21 2007-12-21 Hinge module for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295A KR101018443B1 (en) 2007-12-21 2007-12-21 Hinge module for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589A KR20090067589A (en) 2009-06-25
KR101018443B1 true KR101018443B1 (en) 2011-03-07

Family

ID=4099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295A KR101018443B1 (en) 2007-12-21 2007-12-21 Hinge module for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44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258Y1 (en) * 2005-06-30 2005-09-20 배형근 Sliding system of slide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258Y1 (en) * 2005-06-30 2005-09-20 배형근 Sliding system of slide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589A (en)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3568B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JP4838311B2 (en) Stretchable link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springs, and a sliding type mobile phone slider assembly including the link assembly
KR100873091B1 (en) Link assembly with springs which can be extended and contracted and slider assembly having it
KR20070077542A (en) Slide hinge module
US7755892B2 (en) Slide mechanism and slide-type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KR101018443B1 (en) Hinge module for slide open type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KR20090040747A (en) Slide module for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719518B1 (en) Simple type slide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it
KR200403709Y1 (en) Up/down positioning means for slider assembly and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having the up/down positioning means
KR200431364Y1 (en) Slide assembly for folder of mobile phone
KR100760857B1 (en) Elastic member and slid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cellular phone using thereof
KR100950259B1 (en) Hinge Spring Module for Mobile Phone
KR200419226Y1 (en) Slide hinge module
KR100861074B1 (en)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elasticity lever mechanism for mobile phone
KR200394697Y1 (en) Slide assembly of sliding type cellular phon
KR200363295Y1 (en)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lie phone
KR20090096965A (en) Sliding hinge module for cellular phone and cellular phone using the same
KR200361808Y1 (en) Slide type semi-auto driving apparatus of portable wireless phone
KR100804592B1 (en) Slide assembly for folder of mobile phone
KR100691777B1 (en) Slide type portable phone to be slimmed
KR101019679B1 (en) Slide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KR101013185B1 (en) Slid hinge module for mobile phone and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096966A (en) Spring assembly for sliding type cellular phone
US20060120713A1 (en) Semiautomatic cover-sliding structure
KR100592889B1 (en) Semiautomatic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end-c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