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093B1 -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fuction of saving electric power - Google Patents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fuction of saving electric pow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093B1
KR101018093B1 KR1020090104977A KR20090104977A KR101018093B1 KR 101018093 B1 KR101018093 B1 KR 101018093B1 KR 1020090104977 A KR1020090104977 A KR 1020090104977A KR 20090104977 A KR20090104977 A KR 20090104977A KR 101018093 B1 KR101018093 B1 KR 10101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electronic device
electrical
hom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준형
조한진
김명수
홍경희
권용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4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0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PURPOSE: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an energy saving function for eliminating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ic device is provided to block an in-home power line. CONSTITUTION: A first wireless terminal monitors the operation start/end of an electric device. A second wireless terminal(41) is connected to a home distribution board.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generates a power line control signal of an in-home power line. A switch unit interlinks the in-home power line.

Description

절전기능을 갖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FUCTION OF SAVING ELECTRIC POWER}Wireless home network system with energy saving function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FUCTION OF SAVING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지 않는 가정용 기기의 전원 코드가 전원에 연결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미세 전력 소모를 자동 차단함으로써 가정 내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억제할 수 있는 절전기능을 갖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home network systems, and more particularly, power saving that can suppres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n a home by automatically blocking fin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when a power cord of a household device not in use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a function is provided.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많은 전기전자 기기들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코드를 벽면 등에 구비된 콘센트에 항시 연결시켜 두고 전기전자 기기 자체가 갖는 온/오프 기능을 이용하여 동작을 개시하거나 종료하고 있다. In general, many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used in the home are always connected to an outlet provided on a wall or the like for power supply and start or end operations by using the on / off func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itself.

이와 같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전기전자 기기들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전원 코드가 전력공급을 위한 콘센트에 항시 연결된 상태이므로 대기전력 등과 같은 미세한 전력의 소모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전기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미세 전력 소모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을 마친 전기전자 기기의 전원코드를 사용자가 일일히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는 방안이 절전 캠페인 차원에 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s such, most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used in the home are consumed with minute power, such as standby power, since the power cord is always connected to an outlet for power supply even when it is not operated. Therefore, in order to cut off minute power consumption generated from unused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 situation in which a user separates the power cord of the used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from the outlet is required in the context of a power saving campaign.

그러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많은 전기전자 기기들의 전원코드를 사용시에 콘센트에 연결하고 사용종료시에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유아나 노인들의 경우 콘센트에 전원 코드를 연결하고 분리하는 것이 매우 힘들게 느껴질 수도 있다.However, it is very cumbersome to connect the power cord of many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used in the home to the outlet at the time of use and to disconnect it from the outlet at the end of use, and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infants and the elderly to connect and disconnect the power cord to the outlet. You may feel it.

종래에 알려진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원격지에서 가정 내 전기전자 기기들의 동작을 개시하거나 중단하는 온/오프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전기전자 기기들의 사용 종료시에 발생할 수 있는 미세 전력 소모까지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은 구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Conventionally known home network systems have on / off functions to start or stop the operation of hom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t a remote location, but there is no technology that can block fine power consumption that may occur when the us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is terminated. I can't do it.

본 발명은 가정 내 전기전자 기기들의 사용을 종료하는 경우 전기전자 기기들의 코드가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대기 전력 소모를 차단하여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절전기능을 갖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aving function that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by block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that may occur when the cords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are kept connected to an outlet for power supply when terminating the us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in a home.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solve to provide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정내 전기전자 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1 무선 단말;A first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a hom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operation start / end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상기 가정 내로 공급되는 메인 전원을 상기 전기전자 기기로 분배하는 가정용 배전반 또는 상기 전기전자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전기전기 기기와 연결되는 가정 내 전원라인을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라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 무선 단말; 및It is connected to a home switchboard for distributing the main power supplied into the home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or an outlet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and receives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A second wireless terminal generating a power line control signal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hom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electric and electrical device; And

상기 제2 무선단말의 상기 전원라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전기 기기와 연결되는 가정 내 전원라인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A switch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hom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electric and electrical equipment according to the power lin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를 포함하는 절전기능을 갖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a power saving function comprising a.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상기 제1 및 제2 무선 단말은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상호 무선 통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terminals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relessly in a Zigbee manner.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 제1 무선 단말 및 제2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및 전원라인의 연결/차단 상태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nd a connection / disconnection state of a power line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and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의 개시/종료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제1 무선 단말에 제공하는 제3 무선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wireless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a user input device that receives the start / end of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from the user and provides a user input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have.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3 무선단말은 상기 제1 무선단말에 사용자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무선단말은 상기 제3 무선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를 상기 제2 무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무선 단말은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a user input by the user input device occurs, the third wireless terminal delivers information about user input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and the first wireless terminal is the third wireless terminal. Transfer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user input received from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and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performs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controlled.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한 상기 제3 무선단말과 상기 제1 무선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상기 전기전자 기기를 조작하여 동작 개시/중단을 위한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단말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을 검출하여 상기 제2 무선단말에 사용자 입력 에 따른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를 상기 제2 무선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무선 단말은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an input for starting / stopping an operation by operating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directly by the user without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hird wireless terminal and the first wireless terminal by the user input device. In this case, the first wireless terminal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user input and transmits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to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전자 기기의 사용이 종료되는 경우 해당 전기전자 기기에 연결되는 가정내 전원 공급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사용 종료된 전기전자 기기에서 발생하는 대기 전력 소모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terminated,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generated in the used electronic device may be eliminated by cutting off the home power supply path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이를 통해, 가정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 생산에 소요되는 자원의 낭비 또는 환경 오염 등의 문제를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duce the electricity bill of the home, but also to reduce the problems such as waste of resources or environmental pollution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al energ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provided in order to demonstrate this invention more completely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hape and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more clear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가정용 배전반 및 콘센트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a home switchboard and an outlet applied to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 내의 각 전기전자 기기(11-14)에 연결된 제1 무선 단말(21-24)과, 가정 내로 입력되는 메인 전원을 각각의 전기전자 기기(11-14)로 분배하는 가정용 배전반(31)에 연결된 제2 무선 단말(41, 42) 및 상기 제2 무선 단말(41, 42)에 의해 단락/개방이 제어되는 스위치부(312, 32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24 connected to each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11-14 in the home, and the main power input into the home. Switch portions 312 and 322 in which short-circuits / openings are controlled by the second wireless terminals 41 and 42 and the second wireless terminals 41 and 42 connected to the home distribution board 31 for distributing to 11-11. It may include.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은 개시/종료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51)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제1 무선 단말(21)에 제공하는 제3 무선 단말(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상기 제1 무선(21-24) 단말 및 제2 무선 단말(41, 42)로부터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및 전원라인의 연결/차단 상태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 서버(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ser input means 51 for receiving an operation of the user who initiates / end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and inputs the user's input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 I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wireless terminal 61 to provide.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nection / disconnection state of the power line from the first wireless (21-24) terminal and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41, 42) received and stored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server 71 for managing.

상기 제1 무선 단말(21-24)은, 전기전자 기기(11-14)에 각각 연결되어 자신이 연결된 전기전자 기기(11-14)의 동작 개시/종료를 제어하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수단(51)에 의해 사용자가 전기전자 기기(11-14)의 동작 명령을 입력하면 제3 무선 단말(61)이 사용자 동작 명령 정보를 제1 무선 단말(21-24)로 전달하고, 상기 제1 무선 단말(21-24)을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해당하는 동 작을 수행하도록 전기전자 기기(11-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 수단(51)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전기전자 기기(11-14)에 존재하는 스위치 등을 조작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기전자 기기(11-14)의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단말(21)은 전기전자 기기(11-14)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2 무선 단말(21)로 제공한다.The first wireless terminals 21-24 ar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11-14, respectively, to control and determine the operation start / end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11-14 to which they are connected.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n operation command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11-14 by the user input means 51, the third wireless terminal 61 sends the user operation command information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24. The electronic device 11-14 may be controlled to transmit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24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command of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user directly operates a switch or the like existing in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11-14 without using the user input means 51,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11-14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s detected. can d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 provides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21 with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11-14.

상기 제2 무선 단말(41, 42)은 가정 내로 공급되는 메인 전원을 상기 전기전자 기기로 분배하는 가정용 배전반(31) 또는 상기 전기전자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단말(41, 42)은, 상기 제1 무선 단말(11-14)로부터 상기 전기전자 기기(11-14)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를 입력받고, 이 정보에 따라 상기 전기전기 기기와 연결되는 가정 내 전원라인을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라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단말(21-24)은 전기전자 기기(21-24)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를 전달할 때 자신의 식별자를 함께 전달하므로 상기 제2 무선 단말(41, 42)은 전기전자 기기(21-24)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를 전달한 제1 무선 단말(21-24)이 연결된 전기전자 기기로 제공되는 전원라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전원라인의 연결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The second wireless terminals 41 and 42 may be connected to a home switchboard 31 for distributing main power supplied into a home to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or an outlet 32 for connecting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The second radio terminals 41 and 42 receive the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11-14 from the first radio terminal 11-14, and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 power line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to connect or disconnect a power line in a home connected to the home. Since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24 transmits its identifier together when delivering the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21-24,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41, 42 is a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wer line provided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24, which has transmitted the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21-24,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the corresponding power line. You can do it.

상기 스위치부(312, 322)는 가정용 배전반(31) 또는 콘센트(32) 내에 배치되어 가정 내 AC 전원 공급부(311, 321)로부터 제공되는 메인 전원이 전달되는 전원 라인의 연결 또는 차단을 결정한다. 상기 스위치부(312, 322)의 연결 또는 차단 동작은 상기 제2 무선 단말(41, 42)에서 전달되는 전원라인 제어신호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배전반은 배전반 자체에서 각 전기전자 기기가 연결되는 모든 전원라인이 분리되는 형태의 배전반인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전원라인을 갖지 않는 배전반이 구비된 가정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기전자 기기의 전원 코드가 직접 연결되는 콘센트(32)에 스위치부(322)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한 가정 내에 모두 구비되거나 둘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witch units 312 and 322 are arranged in the home distribution board 31 or the outlet 32 to determine th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the power line to which the main power provided from the AC power supply units 311 and 321 in the home is transmitted.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the switch unit 312 and 322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power lin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41 or 42. The switchboard shown in FIG. 2 may be applied to a switchboard in which all power lines to which each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in the switchboard itself are separated. In a home equipped with a switchboard having no power lin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s shown in FIG. 3, the switch unit 322 may be provided in an outlet 32 to which a power cord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is directly connected. have. 2 and 3 may be provided in one home or one of them may be selectively provided.

상기 제3 무선 단말(61)은 사용자 입력 장치(51)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전기전자 기기를 조작하고자 하는 입력 정보를 각 전기전자 기기(11-14)에 연결된 제1 무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51)는 키입력 수단을 구비한 리모콘이나 무선 전화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third wireless terminal 61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input device 51 to provide input information that the user wants to operate the electronic device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each electric electronic device 11-14. have. The user input device 51 may be a remote control having a key input means or a wireless telephone.

상기 관리 서버(71)는 현재 전기전자 기기(11-14) 및 배전반 또는 콘센트에 구비된 스위치부(312, 322)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71)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81)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81)는 제1 무선 단말(21-24) 및 제2 무선 단말(41, 42)로부터 전기전자 기기(11-14)의 동작 상태 및 스위치부(312, 322)의 단락/개방 상태를 입력받고 이를 관리 서버(71)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리 서버(71)는 인터넷에 접속되어 원격으로부터 이 관리 서버(71)를 통한 홈 네트워크의 동작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71 may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11-14 and switch units 312 and 322 provided in the switchboard or outlet. The management server 71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coordinator 81 for manag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network coordinator 81 is electrically connected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s 21-24 and the second wireless terminals 41, 42.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11-14 and the short / open state of the switch units 312 and 322 may be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71. 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erver 71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enable operation control of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71 from a remote location.

상기 제1 내지 제3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는 소규모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되며, 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저전력 소모를 통해 배터리 등의 전원교체가 장기간 동안 요구되지 않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to third wireless terminals and the network coordinator constitute a smal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hich uses a low power consumption, such as a Zigbee communication method in which power replacement such as a battery is not required for a long time. It can be configured us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절전기능을 갖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작용 및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the power sa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전기전자 기기(11-14)의 동작이 중지된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 장치(51)를 이용한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전기전자 기기(예를 들어, TV(11))의 동작 개시하도록 사용자 입력 장치(51)를 조작하면 이 사용자의 조작 정보가 제3 무선 단말(61)에서 제1 무선 단말(21)로 전달된다. 상기 제1 무선 단말(21)은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파악하고 TV(11)의 동작 개시 정보와 자신의 식별자를 제2 무선 단말(41, 42)에 전달한다. 상기 제2 무선 단말(41, 42)은 제1 무선 단말(21)의 식별자를 통해 제1 무선 단말(21)이 연결된 TV(11)로 전달되는 전원 라인의 스위치를 온시켜 TV(1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전원 라인의 스위치는 배전반(31)에 구비된 스위치(312) 또는 TV(11)의 전원코드가 연결된 콘센 트(32)에 포함된 스위치(322)일 수 있다. 이어, 상기 제1 무선 단말(21)은 TV(11)로 동작을 개시하는 명령을 전달하여 TV(11)가 켜질 수 있다.First, an operation using the user input device 51 in the off state where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11-14 is stopped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user input device 51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desired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TV 11),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transferred from the third wireless terminal 61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 Is passed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 grasp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s operation start information of the TV 11 and its identifier to the second wireless terminals 41 and 42. The second wireless terminals 41 and 42 turn on the power line to be transmitted to the TV 11 to which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 is connected via the identifier of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 to the TV 11. Allow power to be supplied. The switch of the power line may be a switch 312 provided in the switchboard 31 or the switch 322 included in the outlet 32 to which the power cord of the TV 11 is connected. Subsequently,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 transmits a command to start the operation to the TV 11 so that the TV 11 can be turned on.

이와는 반대로 전기전자 기기(예를 들어 TV(11)의 동작을 중단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장치(51)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이 사용자의 조작 정보가 제3 무선 단말(61)에서 제1 무선 단말(21)로 전달된다. 상기 제1 무선 단말(21)은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파악한 후 TV(11)로 동작 종료 명령을 전달하여 TV(11)가 꺼지게 한다, 이어, TV(11)의 동작 종료 정보와 자신의 식별자를 제2 무선 단말(41, 42)에 전달한다. 상기 제2 무선 단말(41, 42)은 제1 무선 단말(21)의 식별자를 통해 제1 무선 단말(21)이 연결된 TV(11)로 전달되는 전원 라인의 스위치를 오프(차단)시켜 TV(11)로 전달되는 전원라인을 차단한다. 상기 전원 라인의 스위치는 배전반(31)에 구비된 스위치(312) 또는 TV(11)의 전원코드가 연결된 콘센트(32)에 포함된 스위치(322)일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an operation of the user input device 51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TV 11 is performed,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transmitted from the third wireless terminal 61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 21.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 grasps the user's oper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an operation termination command to the TV 11 to turn off the TV 11, and then terminates the operation of the TV 11. Information and its identifier to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41, 42.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41, 42 is connected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 through the identifier of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1; The power line to the TV 11 is switched off (blocked) to cut off the power line to the TV 11. The switch of the power line is provided with a switch 312 or a TV (shown in the switchboard 31). 11) may be a switch 322 included in the outlet 32 to which the power cord is connected.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장치(51)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전기전자 기기에 구비된 자체 스위치를 이용하여 그 동작의 개시/종료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전기전자 기기(예를 들어, 에어콘(13)) 자체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동작을 개시하고자 하면,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함과 동시에 에어콘(13)에 연결된 제1 무선단말(23)이 웨이크업되고, 에어콘(13)의 동작 개시 정보와 자신의 식별자를 제2 무선 단말(41, 42)에 전달한다. 상기 제2 무선 단말(41, 42)은 제1 무선 단말(23)의 식별자를 통해 제1 무선 단말(23)이 연결된 에어콘(13)로 전달되는 전원 라인의 스위치를 온시켜 에어콘(13)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전원 라인의 스위치는 배전반(31)에 구비된 스위치(312) 또는 에어콘(13)의 전원코드가 연결된 콘센트(32)에 포함된 스위치(322)일 수 있다. 상기 스위치(312, 322)의 연결을 통해 에어콘(13)의 동작이 개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단말(23)은 에어콘(13)으로 동작을 개시하는 명령을 다시 전달하여 에어콘(13)이 켜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operate the start / end of the operation by using the own switch provided in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directly without using the user input device 51. If the user attempts to start the operation by directly operating the switch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er 13) itself,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3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13 occurs while the user's operation occurs. It wakes up, and transmits the operation | movement start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3, and its identifier to the 2nd wireless terminals 41 and 42. FIG. The second wireless terminals 41 and 42 turn on the power line to be delivered to the air conditioner 13 via the identifier of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3 to the air conditioner 13 to which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3 is connected. Allow power to be supplied. The switch of the power line may be a switch 312 included in the switchboard 31 or a switch 322 included in the outlet 32 to which the power cord of the air conditioner 13 is connected. When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3 is not started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switches 312 and 322,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3 transmits a command for starting the operation to the air conditioner 13 again to the air conditioner 13. Can be turned on.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직접 전기전자 기기(예를 들어, 에어콘(13)) 자체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동작을 종료하고자 하면,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함과 동시에 에어콘(13)의 동작은 정지되고, 에어콘(13)에 연결된 제1 무선단말(23)이 에어콘(13)의 동작 종료 정보와 자신의 식별자를 제2 무선 단말(41, 42)에 전달한다. 상기 제2 무선 단말(41, 42)은 제1 무선 단말(23)의 식별자를 통해 제1 무선 단말(23)이 연결된 에어콘(13)로 전달되는 전원 라인의 스위치를 오프시켜 에어콘(13)으로 전원이 차단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전원 라인의 스위치는 배전반(31)에 구비된 스위치(312) 또는 에어콘(13)의 전원코드가 연결된 콘센트(32)에 포함된 스위치(322)일 수 있다.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attempts to terminate the operation by directly operating the switch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air conditioner 13) itself, the operation of the user occurs and at the same time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3 is stopped,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3 connected to 13 transmits the operation termination inform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3 and its identifier to the second wireless terminals 41 and 42. The second wireless terminals 41 and 42 switch off the power line transmitted to the air conditioner 13 to which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3 is connected through the identifier of the first wireless terminal 23 to the air conditioner 13. Allow the power to be cut off. The switch of the power line may be a switch 312 included in the switchboard 31 or a switch 322 included in the outlet 32 to which the power cord of the air conditioner 13 is connec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되지 않는 전기전자 기기(11-14)로 전달되는 전원라인을 차단함으로써 전기전자 기기(11-14)의 전원코드가 콘센트에 계속 연결된 상태에서 대기전력 소모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정의 전기 요금 절감은 물론 전력 생산에 소요되는 자원의 낭비 또는 환경 오염 등의 문제를 경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uts off the power line delivered to the unused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11-14, so that standby power consumption is maintained while the power cord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11-14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outlet. You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This not only reduces household electricity bills, but also alleviates problems such as waste of resources or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가정용 배전반 및 콘센트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a home switchboard and an outlet applied to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14: 전기전자 기기 21-24: 제1 무선 단말11-14: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21-24: First Wireless Terminal

31: 가정용 배전반 32: 콘센트31: home switchboard 32: outlet

312, 322: 스위치부 41, 42: 제2 무선단말312 and 322: switch portions 41 and 42: second radio terminal

51: 사용자 입력 장치 61: 제3 무선 단말51: user input device 61: third wireless terminal

71: 관리 서버 81: 네트워크 코디네이터71: management server 81: network coordinator

Claims (6)

가정내 전기전자 기기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1 무선 단말;A first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a hom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operation start / end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상기 가정 내로 공급되는 메인 전원을 상기 전기전자 기기로 분배하는 가정용 배전반 또는 상기 전기전자 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를 상기 제1 무선 단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전기전기 기기와 연결되는 가정 내 전원라인을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라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 무선 단말; 및It is connected to a home switchboard for distributing the main power supplied into the home to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or an outlet for connecting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and receives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from the first wireless terminal. A second wireless terminal generating a power line control signal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hom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electric and electrical device; And 상기 제2 무선단말의 상기 전원라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전기 기기와 연결되는 가정 내 전원라인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A switch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hom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electric and electrical equipment according to the power line control signal of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를 포함하는 절전기능을 갖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a power saving func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 무선 단말은 지그비(Zigbee) 방식으로 상호 무선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And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terminals communicate wirelessly with each other in a Zigbee mann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의 개시/종료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제1 무선 단말에 제공하는 제3 무선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And a third wireless terminal connected to a user input device that receives the start / end of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from the user and provides a user input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무선 단말 및 제2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 및 전원라인의 연결/차단 상태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And a management server configured to receive, store, and manage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nd a connection / disconnection state of a power line from the first and second wireless terminal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When a user input by the user input device occurs, 상기 제3 무선단말은 상기 제1 무선단말에 사용자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 The third wireless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about user input to the first wireless terminal, 상기 제1 무선단말은 상기 제3 무선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를 상기 제2 무선단말로 전달하고, The first wireless terminal transmits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 to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input provided from the third wireless terminal, 상기 제2 무선 단말은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The second wireless terminal is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에 의한 상기 제3 무선단말과 상기 제1 무선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직접 상기 전기전자 기기를 조작하여 동작 개시/중단을 위한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When an input for starting / stopping an operation occurs by directly operating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by a user withou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hird wireless terminal and the first wireless terminal by the user input device, 상기 제1 무선단말은 상기 사용자 입력의 발생을 검출하여 상기 제2 무선단말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를 상기 제2 무선단말로 전달하고, The first wireless terminal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user input and transmits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to the second wireless terminal, 상기 제2 무선 단말은 상기 전기전자 기기의 동작 개시/종료 정보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홈 네트워크 시스템.The second wireless terminal is a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tart / end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KR1020090104977A 2009-11-02 2009-11-02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fuction of saving electric power KR101018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77A KR101018093B1 (en) 2009-11-02 2009-11-02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fuction of saving electric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977A KR101018093B1 (en) 2009-11-02 2009-11-02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fuction of saving electric pow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093B1 true KR101018093B1 (en) 2011-02-25

Family

ID=4377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977A KR101018093B1 (en) 2009-11-02 2009-11-02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fuction of saving electric pow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0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2798B2 (en) 2016-11-26 2020-12-0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trip, and storage medi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754A (en) * 2006-03-17 2006-04-19 최병기 Semi auto wire less power controller
KR20060117598A (en) * 2005-05-13 2006-11-17 (주) 비츠로컴 Standby power controlling zigbee ag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598A (en) * 2005-05-13 2006-11-17 (주) 비츠로컴 Standby power controlling zigbee agent
KR20060033754A (en) * 2006-03-17 2006-04-19 최병기 Semi auto wire less power control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2798B2 (en) 2016-11-26 2020-12-01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trip,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8812B (en) Intelligent electrical appliance control device
CN102970146B (en) The power supply unit of a kind of POE and method of supplying power to
CN108215905B (en) A kind of high voltage power battery pack application system wake-up system
CN104898435B (en) Home services system and its fault handling method, household appliance, server
CN201584818U (en) Electric equipment control device
CN101217023A (en) Display power control system
CN202076625U (en) Intelligent socket
CN104793519A (en) Smart home electronic switch
CN102681649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longing battery endurance abilities of all kinds of intelligent equipment
CN110190585B (en) B-type residual current monitoring and action circuit breaker with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CN110138404B (en) Transceiver device for providing a wireless connection to a protection and control device
CN104852227A (en) Intelligent socket and control system
KR20120064519A (en) Load control method
CN110086404A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EP3163794B1 (en) Power supply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018093B1 (en) Wireless home network system having fuction of saving electric power
CN107947949A (en) A kind of the time frequenc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more extension set switching on and shutting down of host computer control
CN209562575U (en) A kind of network wake-up device and interactive intelligent tablet computer
CN205071015U (en) Ethernet power supply unit
CN207706199U (en) A kind of the time frequency system of more extension set switching on and shutting down of host computer control
CN202018591U (en) Terminal controller for electricity using safety early warning system
CN204229217U (en) A kind of intelligent power warm for family's electricity distributes control system
CN204731547U (en) Smart office energy-saving control device
CN103094788A (en) Remote-controllable and intelligent socket
JP5273818B2 (en) Power feeding device, power receiving device, power feeding system, and power feeding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