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518B1 -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 Google Patents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518B1
KR101017518B1 KR1020080119226A KR20080119226A KR101017518B1 KR 101017518 B1 KR101017518 B1 KR 101017518B1 KR 1020080119226 A KR1020080119226 A KR 1020080119226A KR 20080119226 A KR20080119226 A KR 20080119226A KR 101017518 B1 KR101017518 B1 KR 10101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gourd
inlet
fluid
flexib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8958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이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훈 filed Critical 이도훈
Priority to KR102008011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51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8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8Pails for kitche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나 분체, 곡물 등의 물체(이하, 유동물체라고 칭함)를 퍼 담을 수 있는 바가지의 입구를 플렉시블하게 형성함으로서, 바닥에 낮게 깔릴 정도로 수위가 낮은 유동물체를 퍼 담을 때 플렉시블부가 통체의 바닥에 밀착되게 휘어지면서 한 번에 보다 더 많은 량의 유동물체를 퍼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가지본체(2)의 일측에 손잡이부(4)가 형성된 바가지(1)에 있어서, 상기 바가지본체(2)의 입구에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플렉시블부(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가지, 플렉시블부, 유동물체

Description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Gourd with a flexible mouth}
본 발명은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나 분체, 곡물 등의 물체(이하, 유동물체라고 칭함)를 퍼 담을 수 있는 바가지의 입구를 플렉시블하게 형성함으로서, 바닥에 낮게 깔릴 정도로 수위가 낮은 유동물체를 퍼 담을 때 플렉시블부가 통체의 바닥에 밀착되게 휘어지면서 한 번에 보다 더 많은 량의 유동물체를 퍼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바가지는, 유동물체를 퍼 담을 수 있도록 바가지본체가 구비되고, 바가지본체의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데, 바가지본체의 형상이 대부분 움푹 파인 용기형태로 형성되며, 바가지 전체가 플라스틱이나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단단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액체나 분체, 곡물 등의 유동물체를 퍼 담을 때, 바가지가 유동물체에 푹 잠길 정도로 많을 경우에는 용기형태의 바가지본체가 유동물체의 내측에 푹 잠겨서 바가지에 유동물체를 가득 퍼 올릴 수 있다.
그런데, 유동물체가 가마솥이나 욕조 등과 같이 용적이 큰 통체의 바닥에 깔릴 정도로 수위가 낮게 담겨진 것을 퍼내고자 할 때는 그 유동물체가 바가지에 조 금씩 담겨지게 되어 바가지로 퍼내는 횟수가 매우 많아지게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바가지에 유동물체가 조금씩 담겨지는 이유는 바가지본체가 주로 단단한 플라스틱이나 금속판으로 대부분 원형그릇 형태로 형성되었고, 용적이 큰 통체의 바닥에 깔리듯이 수위가 낮게 남아 있는 유동물체의 상면(액체의 경우에 수면)은 수평선상으로 낮은 상태이기 때문에, 원형그릇형태로 형성된 바가지본체를 통체의 바닥에 닫게 긁으며 퍼내려고 할 때, 원형으로 형성된 바가지본체의 끝 부분이 통체의 바닥에 닿으면서 바가지본체로 유입되는 량이 매우 적어서 조금밖에 퍼 담을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바가지의 입구를 플렉시블하게 형성함으로서, 바닥에 낮게 깔릴 정도로 낮은 수위로 담겨진 유동물체를 퍼 담을 때, 플렉시블부가 통체의 바닥에 밀착되게 휘어지면서 한 번에 보다 더 많은 량의 유동물체를 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가지본체의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바가지에 있어서, 상기 바가지본체의 입구에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플렉시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는, 바가지의 입구를 플렉시블하게 형성함으로서, 식당의 가마솥과 같은 통체의 내측 바닥에 곰국 등의 국물이 낮게 깔릴 정도로 수위가 낮은 경우에 플렉시블부가 통체의 바닥에 밀착하게 휘어져서 한 번에 보다 더 많은 량의 국물 등의 유동물체를 퍼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마솥뿐만 아니라 욕조와 같이 넓은 바닥을 형성한 통체의 바닥에 깔릴 정도로 물 등의 유동물체가 담긴 것을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플렉시블부를 구비한 바가지로서 한 번에 보다 더 많은 량을 퍼 담을 수 있어서, 작업자가 그 국물 등의 유동물체를 퍼내는 횟수가 대폭 줄어들어 노동력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가지본체(2)의 일측에 손잡이부(4)가 형성된 바가지(1)에 있어서, 상기 바가지본체(2)의 입구에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플렉시블부(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바가지본체(2)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서 성형하며, 이 바가지본체(2)에는 바닥부(5)와 손잡이부(4)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플렉시블부(3)는 도 1, 2에서와 같이 바가지본체(2)의 전방측에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연질합성수지재로서 형성하여 부착한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부(3)는 도 7에서와 같이 다른예로서 바가지(1)를 전체적으로 경도가 너무 단단하지 않아 깨지지 않고 너무 부드럽지 않은 중간 정도의 경도를 지닌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되, 바가지본체(2)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하고, 플렉시블부(3)의 두께는 얇게 형성하여 얇게 형성된 플렉시블부(3)가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게 한 것이다.
여기에서 중간 정도의 경도를 가진 합성수지라고 한 것은, 연질합성수지로서 슬리퍼를 사출 성형하였을 때 부드러운 정도면 족할 것이며, 이런 중간정도의 경도로 재료로 바가지를 제작하여 그런 바가지에 물 등의 유동물체를 담았을 때 그 바가지가 흐물거리지 않을 정도의 부드러운 정도를 칭하는 것이다.
도 3에서는 이실시예에 의한 바가지(1)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는 이실시예에 따른 바가지(1)의 평면도이고, (나)는 도 3의 (가)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다.
이실시예는 상기 손잡이부(4)의 중심선 방향을 기준하여 바가지본체(2)의 일측면이나 또는 양측면에 상측 선단부까지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플렉시블부(3)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가지본체(2)의 양측에 플렉시블부(3)를 형성한 것은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의 사용자가 손잡이부(4)를 잡았을 때 플렉시블부(3)가 하측을 항하여 통체에 담겨진 유동물체를 쉽게 퍼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플렉시블부(3)를 일측에만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는 왼손잡이용과 오른손잡이용을 별도로 제작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나, 이 방식은 양측에 플렉시블부(3)를 형성하는 것보다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4에서는 삼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가)는 삼실시예에 따른 바가지(1) 의 평면도이고, (나)는 도 4의 (나)에 표시된 B-B선 단면도이며, 상기 손잡이부(4)측을 제외한 바가지본체(2)의 측면 전둘레에 상측 선단부까지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플렉시블부(3)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 경우는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의 사용자 누구나 플렉시블부(3)가 하측을 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사실시예는 상기 바가지(1)가 전체적으로 손잡이부(4)가 형성된 후방측의 폭(D) 보다 전방측의 폭(C)이 넓게 형성되고 전방측 상부가 하측보다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가지(1)의 바가지본체(2) 전방에 플렉시블부(3)를 형성하되, 이 플렉시블부(3)는 전방에 완만하게 만곡된 호형부(6)가 형성되고, 호형부(6)의 양측 모서리부에 라운딩부(7)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일 내지 사실시예의 경우 모두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바가지본체(2)는 경질로 형성하고, 플렉시블부(3)는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연질로 형성한 뒤에 플렉시블부(3)를 바가지본체(2)에 부착 결합 하거나,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바가지(1)를 전체적으로 동일한 경도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되, 바가지본체(2)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하고, 플렉시블부(3)의 두께는 얇게 형성하여 얇게 형성된 플렉시블부(3)가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게 할 수 있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T"는 플렉시블부(3)를 포함한 바가지본체(2)의 전면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경사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내지 사실시예에 의한 바가지(1)는 바가지본체(2)가 단 단하고 플렉시블부(3)는 유연하며 신축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임에 따라, 단단한 경질로 형성된 바가지본체(2)에 의해 바가지에 물과 같은 유동물체를 퍼 담았을 때, 경질로 된 바가지본체(2)에 유동물체의 중량을 지지하여 바가지(1)의 형태가 망가지지 않게 지지한다.
그리고, 플렉시블부(3)는 유연하고 신축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가마솥이나 욕조와 같이 용적이 큰 통체의 바닥에 물과 같은 유동물체가 낮은 높이로 깔리도록 담겨져 있는 것을 퍼 담을 때, 도 6에서와 같이 플렉시블부(3)의 선단부가 통체(11)의 바닥 형상과 동일하게 눌리면서 통체의 바닥에 밀착하여서 한 번에 바가지(1)에 퍼 담을 수 있는 유동물체의 량이 많아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이실시예는 손잡이부(4)를 기준하여 양측, 즉 좌우측에 플렉시블부(3)를 형성함에 따라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의 사용자가 손잡이부(4)를 잡았을 때, 플렉시블부(3)가 하측을 향하여 통체의 바닥에 낮게 담겨진 유동물체를 퍼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삼실시예의 경우도 이실시예와 동일하게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의 사용이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고, 손잡이부(4)측을 제외한 전둘레에 형성되는 플렉시블부(3)의 설치방향에 의해 손잡이부(4)쪽을 제외한 어느 방향으로나 유동물체를 퍼낼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사실시예의 경우는, 바가지(1)가 전체적으로 전방 폭(C)이 넓고 후방폭(D)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어서 도 6의 (다)와 같이 통체(11)의 둥근모서리(10)를 긁을 때, 후방 손잡이부(4) 측의 폭이 좁음에 따라 후방측부가 통체(11)의 도면상의 수직한 측벽에 접촉하지 않아 통체에 담겨진 유동물체를 용이하게 퍼낼 수 있다.
그리고, 사실시예에서 플렉시블부(3)의 모서리부가 둥글게 라운딩부(7)가 형성되어서, 도 6의 (다)와 같이 김치냉장고의 내측 모서리나 욕조의 내측모서리가 둥글게 라운딩 된 둥근모서리(10)를 형성하여 통체의 둥근모서리(10)에 바가지의 라운딩부(7)가 대응되게 접촉하면서 그 통체에 담겨진 유동물체를 용이하게 퍼낼 수 있다.
또한, 사실시예의 플렉시블부(3) 전방측은 완만한 호형부(6)를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큰 가마솥과 같이 바닥이 도 6의 (나)와 같이 호형으로 호형바닥(9)을 형성한 경우에, 플렉시블부(3)의 호형부(6)가 통체의 호형바닥(9)에 밀착하여 호형바닥(9)을 형성한 가마솥과 같은 통체에 유동물체가 바닥에 깔릴 정도로 수위가 낮게 담긴 경우에 그 유동물체를 용이하게 퍼 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플렉시블부(3)의 전방측은 완만한 호형부(6)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도 6의 (가),(다)와 같이 바닥이 평평한 바닥(8)을 형성한 경우에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플렉시블부(3)가 "a"와 같이 눌리면서 플렉시블부(3)의 선단 호형부(6)가 평평한 바닥(8)과 동일하게 평평해지면서 그 평평한 바닥(8)과 밀착하여 평평한 바닥(8)을 구비한 통체에 담긴 유동물체도 용이하게 퍼 낼 수 있는 것이다.
도 5의 (나)와 같이 플렉시블부(3)의 전방측이 상부측이 전방측으로 돌출되 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도 8과 같이 바가지(1)를 마치 쓰레받기로 물과 같은 유동물체를 퍼 담을 때와 동일하게 눕히면서 경사부가 통체의 바닥에 접촉하는 것과 동시에 경사진 플렉시블부(3)가 상측으로 올라가도록 올리면, 통체(11)에 바닥에 깔리는 정도로 수위가 낮게 담겨진 유동물체를 바가지(1)로서 용이하게 퍼 담을 수 있는 것이다.
위의 일 내지 사실시예에서 유동물체를 퍼 담을 때 구부려졌던 플렉시블부(3)는 바가지를 들어서 플렉시블부(3)가 허공에 떴을 때, 유연하고 신축성을 지닌 플렉시블부(3)가 자체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펼쳐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단면도.
도 5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평면도, 그리고 단면도.
도 6의 (가)(나)(다)는 사실시예에 의한 바가지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형성되는 플렉시블부와 바가지본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8은 바가지의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에 대한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가지 2 : 바가지본체 3 : 플렉시블부
4 : 손잡이부 5 : 바닥부 6 : 호형부
7 : 라운딩부 8 : 평평한 바닥 9 : 호형바닥
10 : 둥근모서리 11 : 통체

Claims (6)

  1. 바가지본체(2)의 일측에 손잡이부(4)가 형성된 바가지(1)에 있어서,
    상기 바가지본체(2)의 입구에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플렉시블부(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4)의 중심선 방향을 기준하여 바가지본체(2)의 일측면이나, 또는 양측면에 상측 선단부까지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플렉시블부(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4)측을 제외한 바가지본체(2)의 측면 전둘레에 상측 선단부까지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플렉시블부(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가지(1)는 전체적으로 손잡이부(4)가 형성된 후방측의 폭 보다 전방측의 폭이 넓게 형성되고 전방측 상부가 하측보다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바가지(1)의 바가지본체(2) 전방에 플렉시블부(3)를 형성하되, 이 플렉시블부(3)는 전방에 완만하게 만곡된 호형부(6)가 형성되고, 호형부(6)의 양측 모서리부에 라운딩부(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 가지.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가지본체(2)는 경질로 형성하고, 플렉시블부(3)는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는 연질로 형성한 뒤에 플렉시블부(3)를 바가지본체(2)에 부착 결합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6.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가지(1)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경도의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형성하되, 바가지본체(2)의 두께는 두껍게 형성하고, 플렉시블부(3)의 두께는 얇게 형성하여 얇게 형성된 플렉시블부(3)가 유연하며 신축성이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KR1020080119226A 2008-11-26 2008-11-26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KR10101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226A KR101017518B1 (ko) 2008-11-26 2008-11-26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226A KR101017518B1 (ko) 2008-11-26 2008-11-26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958A KR20080108958A (ko) 2008-12-16
KR101017518B1 true KR101017518B1 (ko) 2011-02-25

Family

ID=4036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226A KR101017518B1 (ko) 2008-11-26 2008-11-26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5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20533A1 (en) * 2022-04-11 2023-10-12 Helen Of Troy Limited Resilient scoo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381Y1 (ko) * 1980-08-07 1981-10-05 김칠해 바 가 지
KR950005367Y1 (ko) * 1993-02-10 1995-07-08 이갑섭 바가지
KR19980057383U (ko) * 1997-02-04 1998-10-15 조상연 개량 바가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381Y1 (ko) * 1980-08-07 1981-10-05 김칠해 바 가 지
KR950005367Y1 (ko) * 1993-02-10 1995-07-08 이갑섭 바가지
KR19980057383U (ko) * 1997-02-04 1998-10-15 조상연 개량 바가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958A (ko)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11123U (zh) 用于水槽的衬垫
TWI679328B (zh) 洗臉台
KR101017518B1 (ko) 플렉시블한 입구를 구비한 바가지
US8108963B2 (en) Wash bucket with integral measuring
CN105274822A (zh) 包括配备有排放孔的用于产生压力蒸汽的筒的熨烫家电设备
WO2009143392A1 (en) Water conservation system
US2977613A (en) Swimming pools
US5906021A (en) Fluid-wetted or submerged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6918620B2 (ja) 緩衝部材取付構造
KR20170053827A (ko) 텀블러
CN201216510Y (zh) 方便滤水淘米盆
US20080149219A1 (en) Dispenser of Cleaning Substance
CN211873233U (zh) 一种能隐藏水渍的马桶
KR200497061Y1 (ko) 부력작용과 눈금측정계가 있는 바가지
JP6354020B2 (ja) 浮遊ゴミ収集器
CN206110282U (zh) 一种蹲式马桶及蹲式马桶冲水系统
US20060288479A1 (en) Massaging foot bath
US5850654A (en) Fluid-wetted or submerged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1002660A (zh) 多用途勺
RU26732U1 (ru) Ведро
CN201324176Y (zh) 轻便洁阴清洗盆
KR200431795Y1 (ko) 낚시용 밑밥 주걱
JP2003135297A (ja) 洗面カウンタ
CN104405031A (zh) 一种洗澡水盛接利用装置
CN2735910Y (zh) 一种卫生水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