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562B1 - 유,무선 통신과 홈 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과 홈 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562B1
KR101012562B1 KR1020100043090A KR20100043090A KR101012562B1 KR 101012562 B1 KR101012562 B1 KR 101012562B1 KR 1020100043090 A KR1020100043090 A KR 1020100043090A KR 20100043090 A KR20100043090 A KR 20100043090A KR 101012562 B1 KR101012562 B1 KR 10101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ousehold
electricity
plc
w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선
Original Assignee
양승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선 filed Critical 양승선
Priority to KR102010004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 통신과 홈네트웍 시스템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대 내에 설치되어 외부인침입, 화재 등을 감지하여 무선통신방식으로 절전기로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들과;
세대 내에 배선되어 있는 전력선을 통해 절전기와 교신하여 전력선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단속 제어하며,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PLC제어부와;
계량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외부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세대 내로 공급하고, 세대로 공급되는 전기의 역률 불균형 및 고조파를 잡아주어 절전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하며, 외부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력선을 통해 PLC제어부에 출력하고, 무선통신방식으로 센서의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세대에서 사용되는 소비전력량을 누적 검침하여 표시부를 통해 일별,월별, 시간대별로 표시하는 절전기;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대 내에 배선되어 있는 전력선을 통해 전기제품과 연결된 PLC 제어부가 제어서버의 제어명령에 따라 전기제품을 원격제어함은 물론 PLC 제어부에 구비된 대기전력 차단버튼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제어서버에 접속하여 세대 내의 전기제품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면서 원격제어할 수 있고, 절전기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전력소비량을 일별, 월별, 년별, 총계, 누계로 표시하여 전자적으로 진행되는 모든 사항을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하므로 전기절약 하는 계기를 제공하며 그로인하여 절약과정을 피부로 느끼며 절약한 량을 비교하고 파악할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사용된 전력량을 월 단위로 추출하여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한전의 서버에 송출하여 주므로 전기 검침상에 오차 또는 인력으로 검침하는 번거로움을 사전에 제거 할 수 있으며, 전기제품의 전력소비량 비교를 통해 전기제품의 노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전력소비량이 과도하게 많을 경우 각각의 전기제품들의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과 홈 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Power managementing device}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과 홈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선 통신기능 및 홈네트웍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대 내의 전기제품을 원격제어할 수 있으면서 대기전력을 완전 차단할 수 있으며, 세대의 전기 사용량을 일별, 월별, 시간대별로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기 사용량에 대해 경각심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월별 누적 전기사용량을 전기공급회사에 전송하여 전기사용량 자동검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 통신과 홈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석연료의 고갈이 문제로 대두 됨에 따라 각 나라에서는 전기 사용량을 줄여주기 위한 규제가 심화되고 있고, 절전을 위한 각종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절전을 위한 종래기술은 대부분이 세대 내에 통신라인으로 절전을 위한 장비들이 연결되어야만 하므로 신규 설비시 별도의 통신라인을 배선해야만 하는 등 구성이 복잡해지면서 신규 시설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고, 절전 장비가 전기제품에 설치되거나 콘센트에 설치된다 하여도 이를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버튼을 일일이 조작하여 제어해야만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외부에 나가있는 사용자가 세대 내의 전기제품 온/오프 현황을 확인할 수 없고, 또한 외부에서 세대 내의 전기제품을 원격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무선 또는 전력선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세대 내의 전기제품을 원격제어할 수 있으면서 대기전력을 완전 차단할 수 있으며, 전기제품의 과부하를 차단하여 화재 예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전기제품 고장을 판단할 수 있으며, 세대의 전기 사용량을 일별, 월별, 시간대별로 누적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기 사용량에 대해 경각심을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월별 누적 전기사용량을 전기공급회사에 전송하여 전기사용량 자동검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 통신과 홈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세대 내에 설치되어 외부인침입, 화재 등을 감지하여 무선통신방식으로 절전기로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들과;
세대 내에 배선되어 있는 전력선을 통해 절전기와 교신하여 전력선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단속 제어하며,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PLC제어부와;
계량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외부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세대 내로 공급하고, 세대로 공급되는 전기의 역률 불균형 및 고조파를 잡아주어 절전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하며, 외부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력선을 통해 PLC제어부에 출력하고, 무선통신방식으로 센서의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세대에서 사용되는 소비전력량을 누적 검침하여 표시부를 통해 일별,월별, 시간대별로 표시하는 절전기;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대 내에 배선되어 있는 전력선을 통해 전기제품과 연결된 PLC 제어부가 제어서버의 제어명령에 따라 전기제품을 원격제어함은 물론 PLC 제어부에 구비된 대기전력 차단버튼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제어서버에 접속하여 세대 내의 전기제품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면서 원격제어할 수 있고, 절전기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전력소비량을 일별, 월별, 년별, 총계, 누계로 표시하여 전자적으로 진행되는 모든 사항을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인하므로 전기절약 하는 계기를 제공하며 그로인하여 절약과정을 피부로 느끼며 절약한 량을 비교하고 파악할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사용된 전력량을 월 단위로 추출하여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한전의 서버에 송출하여 주므로 전기 검침상에 오차 또는 인력으로 검침하는 번거로움을 사전에 제거 할 수 있으며, 전기제품의 전력소비량 비교를 통해 전기제품의 노후상태를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전력소비량이 과도하게 많을 경우 각각의 전기 제품의 공급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유,무선 통신과 홈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를 보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절전기를 보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역류 차단부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세대 내에 설치되어 외부인침입, 화재 등을 감지하여 무선통신방식으로 절전기(3)로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7)들과;
세대 내에 배선되어 있는 전력선을 통해 절전기(3)와 교신하여 전력선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단속 제어하며,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PLC제어부(6)와;
계량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외부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세대 내로 공급하고, 세대로 공급되는 전기의 역률 불균형 및 고조파를 잡아주어 절전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하며, 외부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력선을 통해 PLC제어부(6)에 출력하고, 무선통신방식으로 센서(7)의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세대에서 사용되는 소비전력량을 누적 검침하여 표시부를 통해 일별,월별, 시간대별로 표시하는 절전기(3);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전기(3)는
상용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인입구(31)와;
세대 내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시하고 과부하시 차단하는 차단기(32)와;
차단기(32)의 후단에 설치되어 세대 내로 공급되는 전력을 변성시키는 계기용 변성기(33)와;
세대로 공급되는 전기의 역률 불균형 및 고조파를 잡아주어 절전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하는 절전부(34)와;
세대 내로 공급 사용되는 전력량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전력량을 일별, 월별, 시간대별로 분류 집계하여 표시부(36)를 통해 표시하는 디지탈 계량기(35)와;
유무선 공유기(40)를 통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전기제품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PLC마스터(38)를 통해 PLC제어부(6)로 출력하고, 동글이(39)를 통해 세대 내 기기 및 센서(7)로 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서버(37)와;
기간통신사가 각 가정에 인터넷선로를 통하여 모뎀에 연결하고 다음으로 공유기를 통해 컴퓨터로 보내는 인터넷신호를 분류해주는 유무선 공유기(40)와;
서버(37)에서 출력된 제어명령을 전력선을 통해 전송하는 PLC마스터(38)와;
서버(37)에서 신호를 받아 동글이를 통하여 무선으로 세대 내의 기기에 무선 전송하고, 세대 내의 기기 또는 센서(7)에서 송출된 신호를 동글이를 통하여 무선 수신하여 서버(37)에 공급하는 동글이(39);로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LC 제어부(6)는 대기전력차단버튼(61)을 구비하고 있고, PLC 제어부(6)는 대기전력 차단버튼(61)의 입력시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계량기(1)와 절전기(3)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는 절전기(3)로 공급하면서 세대 내로 부터 전력선을 통해 역류하는 통신데이타를 차단하여 통신데이타가 계량기(1)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류차단부(2)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역류차단부(2)는 60Hz대역 이하의 전기만을 통과시키고 이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통신데이타는 통과시키지 않는 로우패스필터(2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절전기(3)의 제어서버(37)에 전기제품의 출고시 명시된 소비전력량정보를 사전에 저장시키고, 제어서버(37)는 PLC 제어부(6)로 부터 감지되는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과 서버에 저장된 소비전력량을 비교하여 전력사용량이 기준치 이상 높을 경우 전기제품이 이상발생 또는 노후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 노후상태정보를 액정에 표기하여 사용자가 상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고 전기공급업체(한전)에 통보하고, 전기제품의 소비전력량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해당 전기제품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PLC제어부(6)를 통해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면서 화재경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대내에 전기가 공급되는 경로를 설명하면, 전기 공급회사에서 공급되는 전기(상용전원)는 계량기(1)와 역류차단부(2)를 통해 절전기(3)로 공급되고, 절전기(3)로 공급된 전기는 절전기(3)를 이루는 인입구(31), 차단기(32), 계기용 변성기(33)를 통해 절전부(34)로 공급되고, 전기는 다시 절전부(34)에 의해 역률 불안정상태 또는 고주파성분이 잡혀진 상태로 세대 내로 공급된다.
세대 내에는 다수의 센서(7)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센서(7)은 외부 침입자 감지, 화재감지, 온도감지, 연기감지 등 다양한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들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센서(7)들은 무선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동글이(39)를 통해 감지정보를 제어서버(37)에 전송한다.
그리고, 절전기(3)의 PLC마스터(38)와 전력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전기제품을 제어하는 다수의 PLC 제어부(6)가 세대 내에 설치되고, 상기 PLC 제어부(6)에는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전력 소비를 줄여주기 위한 대기전력 차단버튼(61)이 구비되어 있다.
유무선 공유기(40)는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제어서버(37)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외부기기와 교신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동글이(39)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는 무선랜카드(LAN Card)(5)에 의해 수신되어 PC(4)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전기(3)를 이루는 디지탈 계량기(35)는 세대 내로 공급되는 전기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저장하며, 누적 저장되는 전기량을 일별, 월별, 시간대별, 연별로 누적되게 표시부(36)를 통해 표시한다.
표시부(36)를 통해 누적 전기사용량이 구체적으로 표시되면 사용자는 표시부(36)를 통해 표시되는 전기사용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되므로 전기사용량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되어 전기사용량을 더욱 줄여줄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디지탈 계량기(35)에 의해 실시간 감지되는 누적 전기량을 제어서버(37)가 월별로 검침하여 유무선공유기(40)를 통해 인터넷망으로 접속하여 전기공급회사 서버에 전송하므로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검침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 자동으로 전기사용량이 검침되므로 검침오류에 의한 손해를 줄여줄 수 있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어서버(37)가 전기공급회사의 서버에 데이타를 전송할 때에는 송출되는 데이타를 미리 약속된 방식으로 암호화처리하여 데이타의 해킹을 방지하고, 송출내용이 미비할 경우 전기공급회사에서 재 수신 요청하도록 하여 설치장소 이전으로 인한 관리누락이나 신고누락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제어서버(37)는 자체적으로 해킹방지기능(비밀번호)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제어서버(37)에 접속하여 세대 내의 전기제품 상태를 일일이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부에서 모바일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망으로 접속한 후 제어서버(37)에 접속하면, 제어서버(37)는 소정의 인증과정을 거쳐 사용자를 확인하고 PLC 제어부(6)를 통해 확인가능한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예를들어, 텔레비젼, 세탁기, 냉장고, 컴퓨터, 에어콘등과 같은 전기제품의 작동상태를 제어서버(37)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고, 사용자는 제어서버(37)에서 제공되는 전기제품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세대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제품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온동작중인 특정 전기제품을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제어서버(37)로 송출하면, 제어서버(37)는 사용자로 부터 전송된 제어명령을 PLC마스터(38)로 출력하고, PLC마스터(38)는 전력선을 통해 PLC제어부(6)로 출력한다.
PLC제어부(6)는 전력선을 통해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전기제품을 온/오프 제어함에 따라 세대 내의 전기제품이 외부에서 지령한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따라 원격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PLC 제어부(6)들은 자체적으로 콘센트를 구비하여 전력선에 연결 설치될 수 있고, 이 PLC 제어부(6)에 구비된 콘센트에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PLC 제어부(6)는 자체적으로 전력선통신기능을 가지면서 전기를 전기제품에 공급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PLC제어부(6)에 대기전력 차단버튼(61)을 더 설치함에 따라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대기전력 차단버튼(61)을 입력하여 전기제품으로 공급될 수 있는 전기를 완전 차단함에 따라 대기전력 소비를 줄여줄 수 있게되고, 상기 대기전력 차단버튼(61)은 제어서버(37)의 제어명령에 의해 온/오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센서(7)들로 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세대 내에서 발생하는 외부 침입 또는 화재발생등에 대하여 신속히 외부에 알려줄 수 있게된다.
즉, 센서(7)에서 감지되는 각종 정보들은 동글이(39)에 의해 취합되어 제어서버(37)로 공급되고, 제어서버(37)는 각각의 센서(7)들로 부터 감지 전송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외부침입자가 존재하는지, 아니면 화재가 발생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된다.
상기 판단결과 화재가 발생하거나 외부침입자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었으면, 동글이는 받은 신호를 수집하여 제어서버에 전달하고 제어서버(37)는 유무선공유기(40)를 통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찰서, 소방서 또는 사용자 핸드폰으로 현재의 비상상황을 알려주도록 하며, 또한 제어서버(37)는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한 문자메세지 또는 음성메세지를 무선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설치되는 PLC마스터(38)와 PLC제어부(6)는 세대 내에 설치되는 전력선을 통해 통신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하게되며, 이들 장치들 상호간에 교신되는 통신데이타는 역류차단부(2)에 의해 절전기(3)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된다.
즉, 상기 역류차단부(2)는 계량기(1)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는 세대 내부로 공급하면서도 세대 내에 설치되는 있는 전력선 통신장비들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통신데이타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도 3 에는 역류차단부(2)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 3a는 역류차단부(2)로서 낮은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로우패스필터(21)를 계량기(1)와 절전기(3) 사이에 설치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는 약 60Hz 이하의 주파수를 갖게되고, 전력선을 통해 교신되는 통신데이타는 약 1KHz이상의 주파수를 갖게된다.
따라서, 120Hz 이하의 주파수를 차단하는 로우패스필터(21)를 계량기(1)와 절전기(3) 사이에 설치한다면 전기는 통과하면서 통신데이타는 차단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3b는 역류차단부(2)로서 특정 주파수대역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22)를 설치한 것이며, 이 밴드패스필터(22)의 주파수대역을 1~120Hz로 설정하면 전기는 통과하고 통신데이타는 차단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c는 역류차단부(2)로서 다이오드(23)를 구성한 것이며, 계량기(1)에서 절전기(3) 방향으로 다이오드(23)를 순방향 연결하여 계량기(1)에서 절전기(3)로 공급되는 전기는 통과하고 절전기(3) 측에서 계량기(1) 측으로 역류하는 통신 데이타는 차단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절전기(3)의 제어서버(37)를 이용하여 전기제품의 노후화 또는 화재위험을 감지하여 예방할 수 있는데,
그 동작은 절전기(3)의 제어서버(37)에 전기제품의 출고시 명시된 소비전력량정보를 사전에 제어 서버에 저장시킨다.
제어서버(37)는 PLC 제어부(6)로 부터 감지되는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과 사전에 저장된 소비전력량을 비교하여 전력사용량이 기준치 이상 높을 경우 전기제품이 이상 발생과 노후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 노후상태정보를 사용자 또는 전기공급업체(한전)에 통보하여 전기제품의 노후상태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전기제품의 소비전력량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해당 전기제품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PLC제어부(6)를 통해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면서 경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여 전기제품 이상 발생과 노후화에 따른 화재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전기제품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 계량기, 2: 역류차단부,
3: 절전기, 4: PC,
5: 랜카드 6: PLC제어부,
7: 센서, 21: 로우패스필터,
22: 밴드패스필터, 23: 다이오드,
35: 디지탈 계량기, 36: 표시부,
37: 제어서버, 39: 동글이,
61: 대기전력 차단버튼,

Claims (6)

  1. 세대 내에 설치되어 외부인침입, 화재 등을 감지하여 무선통신방식으로 절전기(3)로 출력하는 다수의 센서(7)들과;
    세대 내에 배선되어 있는 전력선을 통해 절전기(3)와 교신하여 전력선에 접속되어 있는 전기제품의 전원을 단속 제어하며 홈네트웍과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PLC제어부(6)와;
    계량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외부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원을 세대 내로 공급하고, 세대로 공급되는 전기의 역률 불균형 및 고조파를 잡아주어 절전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하며, 외부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전력선을 통해 PLC제어부(6)에 출력하고, 무선통신방식으로 센서(7)의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세대에서 사용되는 소비전력량을 실시간 검침하여 누적관리하며 표시부를 통해 일별,월별, 시간대별로 표시하는 절전기(3);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과 홈 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기(3)는
    상용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인입구(31)와;
    세대 내로 공급되는 전력을 감시하고 과부하시 차단하는 차단기(32)와;
    차단기(32)의 후단에 설치되어 세대 내로 공급되는 전력을 변성시키는 계기용 변성기(33)와;
    세대로 공급되는 전기의 역률 불균형 및 고조파를 잡아주어 절전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하는 절전부(34)와;
    세대 내로 공급 사용되는 전력량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전력량을 일별, 월별, 시간대별로 분류 집계하여 표시부(36)를 통해 표시하는 디지탈 계량기(35)와;
    유무선 공유기(40)를 통해 외부에서 원격으로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전기제품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제어명령을 PLC마스터(38)를 통해 PLC제어부(6)로 출력하고, 동글이(39)를 통해 세대 내 기기 및 센서(7)로 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제어서버(37)와;
    기간통신사가 각 가정에 인터넷선로를 통하여 모뎀에 연결하고 다음으로 공유기를 통해 컴퓨터로 보내는 인터넷신호를 분류해주는 유무선 공유기(40)와;
    제어서버(37)에서 출력된 제어명령을 전력선을 통해 전송하는 PLC마스터(38)와;
    제어서버(37)에서 신호를 받아 무선으로 세대 내의 기기에 무선 전송하고, 세대 내의 기기 또는 센서(7)에서 송출된 신호를 무선 수신하여 제어서버(37)에 공급하는 동글이(39);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과 홈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LC 제어부(6)는 대기전력차단버튼(61)을 구비하고 있고, PLC 제어부(6)는 대기전력 차단버튼(61)의 입력시 연결되어 있는 전기제품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과 홈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계량기(1)와 절전기(3)의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는 절전기(3)로 공급하면서 세대 내로 부터 전력선을 통해 역류하는 통신데이타를 차단하여 통신데이타가 계량기(1)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류차단부(2)를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과 홈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차단부(2)는 60Hz대역 이하의 전기만을 통과시키고 이보다 높은 주파수를 갖는 통신데이타는 통과시키지 않는 로우패스필터(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과 홈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절전기(3)의 제어서버(37)에 전기제품의 출고시 명시된 소비전력량정보를 사전에 저장시키고, 제어서버(37)는 PLC 제어부(6)로 부터 감지되는 전기제품의 전력사용량과 사전에 저장된 소비전력량을 비교하여 전력사용량이 기준치 이상 높을 경우 전기제품의 이상발생 또는 노후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 노후상태정보를 사용자 또는 전기공급업체(한전)에 통보하고, 전기제품의 소비전력량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해당 전기제품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PLC제어부(6)를 통해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면서 화재경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과 홈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KR1020100043090A 2010-05-07 2010-05-07 유,무선 통신과 홈 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KR101012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090A KR101012562B1 (ko) 2010-05-07 2010-05-07 유,무선 통신과 홈 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090A KR101012562B1 (ko) 2010-05-07 2010-05-07 유,무선 통신과 홈 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562B1 true KR101012562B1 (ko) 2011-02-07

Family

ID=4377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090A KR101012562B1 (ko) 2010-05-07 2010-05-07 유,무선 통신과 홈 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498B1 (ko) 2012-03-26 2013-01-02 (주)에스텍씨엔씨 Plc와 무선통신의 융합기술을 사용한 유비쿼터스 전압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891A (ko) * 2005-10-11 2005-11-01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전력선통신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839018B1 (ko) 2006-09-21 2008-06-17 박세현 전력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기반 홈네트워크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3891A (ko) * 2005-10-11 2005-11-01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전력선통신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839018B1 (ko) 2006-09-21 2008-06-17 박세현 전력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기반 홈네트워크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498B1 (ko) 2012-03-26 2013-01-02 (주)에스텍씨엔씨 Plc와 무선통신의 융합기술을 사용한 유비쿼터스 전압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34274A1 (en) Power monitoring system
EP2555004B1 (en) Power monitoring and management with remote access
AU2012101351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AU2012100197A4 (en) Power sensor
AU2011101402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CN204485168U (zh) 一种消防自动巡检装置
KR100994375B1 (ko) 스마트 미터가 내장된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KR101012562B1 (ko) 유,무선 통신과 홈 네트웍을 이용한 소비전력 관리 및 저감장치
KR101856312B1 (ko) 인공지능형 분전반
KR101708762B1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101048679B1 (ko) 원격 전력공급 제어장치
KR101672368B1 (ko)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콘센트, 트라이플렉스 모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멀티탭을 이용한 전원관리시스템 및 스마트 멀티탭
KR20110124576A (ko)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소비 전력 관리 장치
KR20210019875A (ko)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저가형 빌딩 자동화 시스템
KR101166131B1 (ko)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소형발전기의 생산전력량 제어장치
AU2011101388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U2011101409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AU2011101408A4 (en) Power monitoring system with remote sensing and alerting
AU2011100848B4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101519616B1 (ko) 전력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