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677B1 - 구토보조기구 - Google Patents

구토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677B1
KR101011677B1 KR1020080037112A KR20080037112A KR101011677B1 KR 101011677 B1 KR101011677 B1 KR 101011677B1 KR 1020080037112 A KR1020080037112 A KR 1020080037112A KR 20080037112 A KR20080037112 A KR 20080037112A KR 101011677 B1 KR101011677 B1 KR 10101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miting
support rod
aid
gripping r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479A (ko
Inventor
황상철
Original Assignee
황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상철 filed Critical 황상철
Priority to KR102008003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67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9/00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e.g. spitt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3Holders, support devices for receptacles, e.g. for drainage or urine bags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나 몸이 불편한 사용자가 구토시 사용되는 구토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나 몸이 불편한 사용자의 구토시 사용되는 구토보조기구에 있어서 구토물을 수거하는 봉투의 상부를 중공인 지지봉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봉에는 하부가 절개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구와 연결부가 연속형성되는 파지링을 끼움 장착하여 봉투를 고정지지하되, 상기 파지링은 지지봉에 고정되는 봉투의 지름에 따라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부를 관절꺾임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토보조기구,봉투, 지지봉, 결합 돌기, 파지링, 절결구, 연결부, 위치조절수단, 고정부재, 연결부재, 결합 관부재.

Description

구토보조기구{Vomit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환자나 몸이 불편한 사용자가 구토시 사용되는 구토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토시 사용되는 봉투가 고정되는 지지봉의 외면에 하부는 절개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구와 연결부가 연속형성되는 파지링을 장착하여 상기 봉투의 지름에 맞추어 파지링의 지름을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토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토란 위(胃)의 내용물이 식도와 구강을 거쳐 갑자기 입 밖으로 토출(吐出)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구토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첫째로 뇌손상과 같은 병리적 요인으로, 둘째는 임신이나 부자연스런 움직임과 같은 생리적 요인으로, 셋째는 화학요법제 즉, 수술시 사용하는 마취제나 자극제의 복용 및 방사선 요법과 같은 치료적 요인으로 나타나며 특히, 시스플라틴과 같은 항암제의 투여로 인한 오심 및 구토는 말초 및 중추 신경계를 통한 신경전달물질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토 현상으로 인한 구토시 특히, 항암제의 투여로 인한 환자의 구토시 이를 수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휴지통과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수거용기나 비닐봉지 또는 지대와 수거용기가 일체로 형성된 보조기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수거용기나 비닐봉지 및 보조기구는 항시 사용자의 근처에 구비하기가 어려울 뿐만 구토시 사용자나 보호자가 항시 이를 잡고 구토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수거용기나 보조기구는 항상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대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칫 사용자나 보호자의 실수시 구토물이 사용자의 신체나 외부에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토시 사용되는 봉투가 고정되는 지지봉의 외면에 하부는 절개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구와 연결부가 연속형성되는 파지링을 장착하여 상기 봉투의 지름에 맞추어 파지링의 지름을 변경하여 고정하면서 더불어 사용자 위치 이동 없이 원하는 위치로 봉투가 구비된 지지봉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구토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나 몸이 불편한 사용자의 구토시 사용되는 구토보조기구에 있어서 구토물을 수거하는 봉투의 상부를 중공인 지지봉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봉에는 하부가 절개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구와 연결부가 연속형성되는 파지링을 끼움 장착하여 봉투를 고정지지하되, 상기 파지링은 지지봉에 고정되는 봉투의 지름에 따라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부를 관절꺾임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토시 사용되는 봉투가 고정되는 지지봉의 외면에 하부는 절개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구와 연결부가 연속형성되는 파지링을 장착하여 상기 봉투의 지름에 맞추어 파지링의 지름을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나 구조물의 일측에 지지봉과 연결되는 위치조절수단을 장착하여 봉투가 구비된 지지봉을 보호자의 도움없이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구토를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봉과 연결되는 자바라를 통해서 환자의 상태에 따른 대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나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장착되는 집게형 바이스 플라이어를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고, 비 사용시에는 보관이 용이하며, 외부로 외출시에는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토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링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B - 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봉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봉과 결합 관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봉과 결합 관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토보조기구(10)는 환자나 몸이 불편한 사용자의 구토시 이를 수거하는 봉투(20)와, 상기 봉투(20)를 지지하는 중공 형상의 지지봉(30)과, 상기 지지봉(30)에 상기 봉투(20)를 고정지지하는 파지링(40)과, 상기 지지봉(30)의 일측에 장착되는 위치조절수단(5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봉투(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봉투뿐만 아니라 특수로 제작되는 봉투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봉투(20)의 상부가 고정되는 지지봉(30)은 단면 형상의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으로 제작되는 봉을 절곡 및 휘어서 내부가 빈 중공 형상의 지지봉(30)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봉(30)의 지름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와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30)은 원형 형상으로 일부가 절개되고 내면의 일부나 전체에는 결합 돌기(32)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 돌기(32)는 기어, 세레이션, 스프로켓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30)을 감싸는 결합 관부재(60)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을 이용해서 제작되고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봉(30)은 고탄력이며 중공형상인 내압호스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관부재(60)의 끝단 부분에는 상기 결합 돌기(32)와 고정을 위한 스토퍼(62)가 장착되는데 상기 스토퍼(62)는 상기 결합 돌기(32)에 형성되는 기어, 세레이션, 스프로켓 등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 관부재(60)는 일부가 절개되고 내면에 결합 돌기(32)가 형성되는 지지봉(3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지지봉(30)과 고정 및 지름의 변화시에는 스토퍼(62)를 결합 돌기(32)와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 돌기(32)와 스토퍼(62)는 사용자의 누름에 따른 결합 관부재(60)의 탄성에 의하여 결합되었다가 상기 결합 관부재(60)의 탄성이 줄어들면 결합 돌기(32)와 스토퍼(62)는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 관부재(60)의 끝단 사이에는 지름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70)이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지지봉(30)에 봉투(20)를 고정지지하는 파지링(40)은 고탄력재질인 내압호스로 형성되고 하부는 일부가 절개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구(42)와 연결부(44)가 연속형성된다.
즉, 상기 파지링(40)은 절개되는 하부를 통해서 상기 지지봉(30)에 끼움 장 착되고 이때, 상기 절결구(42)는 지지봉(30)에 고정되면서 상기 봉투(20)를 고정하게 되며 상기 절결구(42)와 절결구(42)를 연결해주는 연결부(44)를 통해서 파지링(40)의 지름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44)에 대해서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절결구(42)와 절결구(42)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44)는 신체의 관절과 같이 구부러지거나 퍼지도록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구부러져 있다가 지름이 큰 봉투(20)를 상기 지지봉(30)에 장착할 경우에는 구부러진 연결부(44)를 상기 봉투(20)의 해당 지름만큼 펼친 상태에서 상기 파지링(40)을 지지봉(30)에 끼움 장착함으로써 봉투(20)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봉(30)의 일측에 장착되는 위치조절수단(50)은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일측이 지지봉(30)에 장착되는 연결부재(54)와 상기 연결부재(54)와 반대 측이 결합되고 침대나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장착되는 고정부재(5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54)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봉(30)의 위치에 따른 변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자바라로 형성되되, 자바라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재(24)는 필요에 따라서 플렉시블 관이나 철사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연결부재(54)와 연결되고 침대나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장착되는 고정부재(52)는 환자나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이동과 손쉽게 고정장착을 위하여 집게형 바이스 플라이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52)는 환자나 사용자의 상태나 환경에 따른 침대나 구조 물의 일측에 위치 변화가 가능하고 누구나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집게형 바이스 플라이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토보조기구(10)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지지봉(30)은 원형 형상으로 일부가 절개되고 내면의 일부에 결합 돌기(32)가 형성되는 지지봉(30)을 형성한 후 상기 지지봉(30)의 외부로 고탄력으로 끝단에 스토퍼(62)가 장착되는 결합 관부재(60)를 삽입장착한다.
다음으로 구토물을 수거하는 봉투(20)의 상부를 중공인 지지봉(30)에 위치한 후 고탄력재질인 내압호스로 형성되고 하부는 일부가 절개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구(42)와 연결부(44)가 연속형성되는 파지링(40)을 끼움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절결구(42)와 절결구(42)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44)를 조절하여 상기 봉투(20)의 지름과 대응되게 파지링(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30)의 일측에 자바라(54)와 집게형 바이스 플라이어(52)로 구성되는 위치조절수단(50)을 장착하면 구토보조기구(10)의 조립은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구토보조기구(10)는 환자나 사용자의 침대나 구조물의 일측에 고정장착하되, 상기 구토보조기구(10)는 집게형 바이스 플라이어(52)를 이용해서 위치 조절한 후 전방에 형성되는 집게를 침대나 구조물의 프레임에 물린 후 후방에 형성되는 고정레버를 통해서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환자나 사용자의 구토로 인한 구토보조기구(10)를 사용하고자 상기 지지봉(30)을 사용자나 보호자가 당기면 자바라(54)는 연동작동하면서 이동한 후 사용자가 편한 자세에서 구토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토물이 수거된 봉투(20)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결합 관부재(60)의 상부에 위치한 파지링(40)만 제거한 후 새로운 봉투(20)를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토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링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봉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봉과 결합 관부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봉과 결합 관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토보조기구, 20 : 봉투,
30 : 지지봉, 32 : 결합 돌기,
40 : 파지링, 42 : 절결구,
44 : 연결부, 50 : 위치조절수단,
52 : 고정부재, 54 : 연결부재,
60 : 결합 관부재, 62 : 스토퍼.

Claims (5)

  1. 환자나 몸이 불편한 사용자의 구토시 사용되는 구토보조기구(10)에 있어서,
    구토물을 수거하는 봉투(20)의 상부를 중공인 지지봉(30)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봉(30)에는 하부가 절개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구(42)와 연결부(44)가 연속형성되는 파지링(40)을 끼움 장착하여 봉투(20)를 고정지지하되,
    상기 파지링(40)은 지지봉(30)에 고정되는 봉투(20)의 지름에 따라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부(44)를 관절꺾임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토보조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30)의 일측에는 환자의 침대나 구조물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2)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재(54)로 구성되는 위치조절수단(50)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토보조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수단(50)을 구성하는 고정부재(52)는 집게형 바이스 플라이어로 형성되고, 연결부재(54)는 자바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토보조기 구.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30)은 일부가 절개되면서 내면 일측에 결합 돌기(32)가 형성되고 그 외부에는 상기 지지봉(30)을 감싸면서 결합 돌기(32)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을 위한 스토퍼(62)가 구비된 결합 관부재(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토보조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링(40)과 결합 관부재(60)는 내압호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토보조기구.
KR1020080037112A 2008-04-22 2008-04-22 구토보조기구 KR10101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112A KR101011677B1 (ko) 2008-04-22 2008-04-22 구토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112A KR101011677B1 (ko) 2008-04-22 2008-04-22 구토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479A KR20090111479A (ko) 2009-10-27
KR101011677B1 true KR101011677B1 (ko) 2011-01-28

Family

ID=4153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112A KR101011677B1 (ko) 2008-04-22 2008-04-22 구토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419U (ko) 2017-05-29 2018-12-07 정상섭 구토용 위생봉투
CN112006863B (zh) * 2020-08-10 2021-12-03 张小燕 一种妇产科休息病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179A (en) * 1973-12-17 1975-11-18 Kenneth F Hall Disposable vomiting bag
JPS59159508U (ja) * 1983-04-11 1984-10-25 榊原 雅美 押え具
US4610039A (en) * 1984-01-20 1986-09-09 Stern Leif E Waste container
JP2002326703A (ja) * 2001-04-27 2002-11-12 Kazuhiro Kurokawa 袋開口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179A (en) * 1973-12-17 1975-11-18 Kenneth F Hall Disposable vomiting bag
JPS59159508U (ja) * 1983-04-11 1984-10-25 榊原 雅美 押え具
US4610039A (en) * 1984-01-20 1986-09-09 Stern Leif E Waste container
JP2002326703A (ja) * 2001-04-27 2002-11-12 Kazuhiro Kurokawa 袋開口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479A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4572B1 (en) 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ES2576958T3 (es) Aparato de corsé ajustable
US7614477B2 (en) Stethoscope protective device
CA2905928C (en) Adjustable bite blocks
EP1696264B1 (en) Dental sensor clamp
US5899691A (en) Jaw exerciser/strengthener
CN105792769A (zh) 患者自控牙科设备和方法
MXPA05012276A (es) Dispositivo ortodontico.
KR101011677B1 (ko) 구토보조기구
US8360958B2 (en) Apparatus for lengthening the penis
CN201968650U (zh) 胃镜检查口腔扩撑器
JP2010284385A (ja) 眼科手術用ドレープ
CN211132000U (zh) 肿瘤术后头颈康复护理器
US20230210646A1 (en) Assistant tools for dental treatment
WO2014127286A1 (en) Dental sleep apnea device
WO2011063243A1 (en) Rectal stimulation device
CN111568341A (zh) 一种消化内科胃镜检查用咬口器
JP2006051341A (ja) 搾乳装置
CN218458556U (zh) 一种颈肩部肌肉训练辅助装置
CN214908766U (zh) 一种调整型儿童足下垂矫形器
EP2953577B1 (en) Disposable saliva ejector for use in dentistry
CN211244377U (zh) 一种儿童腭裂手术体位支架
CN214967025U (zh) 一种口腔用后磨牙区舌、颊隔离装置
CN217066894U (zh) 一种可伸缩折叠式便盆
CN211381925U (zh) 一种口腔修复用挡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