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430B1 - The chair - Google Patents
The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1430B1 KR101011430B1 KR1020100086928A KR20100086928A KR101011430B1 KR 101011430 B1 KR101011430 B1 KR 101011430B1 KR 1020100086928 A KR1020100086928 A KR 1020100086928A KR 20100086928 A KR20100086928 A KR 20100086928A KR 101011430 B1 KR101011430 B1 KR 1010114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ixed
- seat
- fixing
- pos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통상의 등받이 의자로 이용하다가 척추의 피로감이 느껴질 때, 상체를 앞으로 숙인 상태에서 상체를 지지하여 척추의 피로도를 완화시키는 한편, 어깨가 일측으로 치우치면서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when used as a normal backrest chair in normal times, when the fatigue of the spine is felt, the upper body is bowed forward to support the upper body to relieve the fatigue of the spine, while the shoulder to one side It relates to a chair that prevents bias and posture inherently.
일반적으로, 의자는 "한 사람이 앉도록 만들어진 등받이가 있는 좌석"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진 가장 오래된 가구 형태의 하나로서, 고대 이집트 제3왕조(BC 2686경~2613) 때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In general, chairs are one of the oldest forms of furniture, with a dictionary meaning of "a seat with a backrest made for one person," which began to be used since the third Egyptian dynasty (c. 2686-2613).
초기 이집트 의자의 다리는 동물의 다리 모양과 비슷한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앉는 자리는 나무를 골지게 파거나 움푹 도려내고 그 위에 패드나 쿠션 등을 씌웠다. 최근까지 의자와 관련된 재질ㆍ소재ㆍ구조와 관련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인체공학적 설계를 기반으로 하여 장시간 착석하였을 때에도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의자들이 개발되고 있다. Legs of early Egyptian chairs we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animal legs, and seating areas were corrugated or hollowed out of wood and padded or cushioned over them. Until recently, technologies related to materials, materials, and structures related to chair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Recently, chairs that do not overwhelm the spine even when seated for a long time based on ergonomic design have been developed.
그러한 이유는, 사람들은 잠자는 시간외에는 대부분 서서 있거나 앉아 있게 되어, 허리의 디스크가 상체의 체중으로 인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밖에 없고,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책을 보거나 일할 때에 사람들은 고개를 앞으로 숙이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이 구부정한 자세로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게 되면, 허리 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디스크에 통증이 발생하고 척추가 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That's because most people stand or sit outside of their sleeping hours, and the disks in their backs are forced to continue to be pressured by the weight of their torso, and when they are sitting in chairs and reading or working for a long time, they bow their heads forward. In many cases,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in such a bent position can cause pain in the disc and flexion of the spine due to tension in the lower back muscles.
종래의 경우, 허리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거나 자세 교정을 위한 의자가 다수 개발되었으며, 이를 간략히 살펴보면, 엉덩이 및 척추의 곡선을 살려 허리의 자세를 교정하거나 등받이를 뒤로 젖혀서 반쯤 누울 수 있는 형태의 의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the related art, many chairs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pressure on the disk of the lower back or correct the posture. In brief, the shape can be used to correct the position of the lower back using the curve of the hip and spine or to lie down halfway by tilting the back of the back. Chair is the mainstream.
이와 같은 종래 의자는 허리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고르게 하거나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일 수는 있었으나, 장시간 의자에 앉아서 책을 보거나 일을 하는 경우,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워서 자세 교정이 안 되거나 허리를 편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Such a chair can reduc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k of the waist or reduc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disk. However, when sitting in a chair for a long time while reading a book or working,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rrect posture, and thus the posture cannot be corrected. There was a limit to ease.
예를 들자면, 엉덩이 및 척추의 곡선을 살려 허리의 자세를 교정할 수는 있으나, 어깨 이상이 비뚤어진 자세의 교정은 불가능하여 오히려 척추측만증과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waist by utilizing the curves of the hip and spine, but it is impossible to correct the posture of the shoulder more than the skew, rather there was a problem causing scoliosis and shoulder pain.
보다 최근에는 이러한 종래 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의자의 전방 즉, 착석자의 복부와 가슴 쪽을 받칠 수 있는 상체 지지구가 마련된 의자가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의자는 착석한 상태에서 다른 용무 예컨대, 사무를 보거나 컴퓨터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에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More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chair, a chair having an upper body support capable of supporting the front of the chair, that is, the abdomen and the chest of the seater has been introduced, but such a chair is used for other tasks such as office work. If you see or work on the computer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또한, 장시간 상체 지지구에 의해 복부와 가슴을 지지받게 되면, 복부와 가슴에 통증이 발생하거나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는 복부와 가슴이 척추의 지지를 받는 등이나 허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지기반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when the abdomen and the chest are supported by the upper body support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in occurs in the abdomen and the chest or feel stuffy. This is because the abdomen and chest are supported by the spine and the support base is weaker than the waist.
또한, 상기와 같이, 복부와 가슴을 장시간 지지받게 되면, 상의 전면이 몹시 구겨져 대인관계 시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bdomen and the chest are supported for a long time, the entire front of the image is very wrinkl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conscious of the eyes of others wh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통상의 등받이 의자로 이용하다가 척추의 피로감이 느껴질 때, 상체를 앞으로 숙인 상태에서 상체를 지지하여 척추의 피로도를 완화시키는 한편, 어깨가 일측으로 치우치면서 자세가 뒤틀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가구용ㆍ사무용ㆍ업소용으로 이용되는 모든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usually used as a normal backrest chair when the fatigue of the spine is felt, while the upper body is bowed forward to support the upper body to relieve the fatigue of the spine, while the shoulder to one side It aims to provide all the chairs used for furniture, office, and business, which can prevent the skewing of the posture at the source.
본 발명은 착석을 위한 좌석(1); 상기 좌석(1) 후방에 마련되어,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3); 상기 좌석(1)의 하방과 결합되어, 소정의 높이를 유지시키며 지지하는 다리(4);를 포함하는 의자(10)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3)의 상부면 중앙에 마련되는 고정부1(11); 상기 좌석(1)의 상부면 전방 중앙에 마련되는 고정부2(12); 상기 고정부1(11)에 고정되었을 때는 목과 머리 및 어깨를 지지하고, 상기 고정부2(12)에 고정되었을 때는 몸통의 가슴과 복부 및 양팔을 지지하는 자세고정/지지부(1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ats (1) for seating; A backrest (3) provided behind the seat (1) to support a back; In the
본 발명은 좌석에 앉아 등을 등받이 부분으로 기대었을 때, 자세고정/지지부의 만곡진 선단부 부분이 어깨를 감싸듯이 모아주게 되므로, 어깨가 일측으로 치우치면서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rved tip portion of the posture fixation / support of the posture is gathered as if it is wrapped around the shoulder, the posture can be prevented while the shoulder is biased to one side. .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팔걸이와 일치한 상태로 위치시키고, 필요할 경우 예컨대, 척추의 피로감이 느껴질 때에만 착석자의 전방 상체 부분으로 인출 이동시켜, 상체를 앞으로 숙인 상태에서 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의 피로도를 완화시킴은 물론, 의자의 활용도 및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positioned in a state consistent with the armrest, and if necessary, for example, by moving to the front upper body part of the seated person only when the fatigue of the spine is felt, so that the upper body can support the upper body in the state of bowing forward In addition, it can alleviate the fatigue of the spine, as well as improve the utilization and function of the chai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고정부2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자세고정/지지부의 인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세고정/지지부가 고정부2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착석 후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fixing portion 2.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 out state of the configuration and posture fixing /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fixing / supporting portion is fixed to the fixed portion 2.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fter sit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을 위한 좌석(1); 상기 좌석(1) 후방에 마련되어,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3); 상기 좌석(1)의 하방과 결합되어, 소정의 높이를 유지시키며 지지하는 다리(4);를 포함하는 의자(10)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3)의 상부면 중앙에 마련되는 고정부1(11); 상기 좌석(1)의 상부면 전방 중앙에 마련되는 고정부2(12); 상기 고정부1(11)에 고정되었을 때는 목과 머리 및 어깨를 지지하고, 상기 고정부2(12)에 고정되었을 때는 몸통의 가슴과 복부 및 양팔을 지지하는 자세고정/지지부(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 (1) for seating,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1 to 3; A backrest (3) provided behind the seat (1) to support a back; In the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고정부1(11)은 등받이(3)의 상부면 중앙으로부터 하향 형성된 끼움홈일 수 있다.Here, the fixing part 1 (1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itting groove form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rest (3).
이때, 상기 고정부1(11)은 자세고정/지지부(13)의 후기하는 고정프레임(13c)의 전체가 인서트 고정되는 정도의 깊이로 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part 1 (11) may be a groove formed to a depth to the extent that the entire fixing frame (13c) of the posture fixing / supporting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고정부2(12)는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1)의 상부면 전방 중앙으로부터 하향 형성된 끼움홈으로서, 좌석(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질의 합성수지 좌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환턱 부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art 2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fitting groove formed downward from the front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1), the rigid of the lower position of the seat (1) It may be a circular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ynthetic resin seat plate.
이때, 상기 고정부2(12)는 자세고정/지지부(13)의 후기하는 고정프레임(13c)의 일부분(선단부의 일부)이 인서트 고정되는 정도의 깊이로 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part 2 (12) may be a groove formed to a depth to the extent that the part of the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자세고정/지지부(13)는 중앙부분은 면상의 경사진 블럭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1(11)에 고정되었을 때는 목과 머리를 지지하고, 상기 고정부2(12)에 고정되었을 때는 몸통의 가슴과 복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구(13a); 선단부로 가면서 일측 방향으로 만곡지게 상기 제1지지구(13a)의 양측에 대칭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1(11)에 고정되었을 때는 어깨를 감싸서 치우침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2(12)에 고정되었을 때는 올려진 양팔을 지지하는 제2지지구(13b); 상기 제1지지구(13a) 하부면에 하방으로 수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부1,2(11)(12)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ure fixing / supporting
이때, 상기 자세고정/지지부(13)의 제1지지구(13a)와 제2지지구(13b)는 전체적으로 "ㅗ"자 형상으로 된 지지프레임으로서, 외부 전체 또는 인체와 접하는 부분의 외부는 쿠션과 외피로 감싸여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13a) and the second support (13b) of the posture fixing /
이때, 상기 쿠션은 스펀지일 수 도 있고, 실리콘재일 수 도 있으며 그밖에도 인체가 장시간 접하였을 때 불쾌감을 느끼지 않는 정도의 쿠션제이면 만족한다.In this case, the cushion may be a sponge, a silicone material, or else it is satisfactory if the cushioning agent does not feel uncomfortable when the human body contacts for a long time.
또한, 상기 외피는 항균을 고려하여 은-나노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직물지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hell may be applied to a textile paper based on silver-nano considering antibacterial.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3c)은 제1지지구(13a)의 하부면에 일체로 마련된 일직선의 다각형 프레임으로서, 상기 고정부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절된 높이의 유지를 위해 일측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은 고정부1(11)의 상단 외부에 마련된 탄발스토퍼의 가압에 의해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통상적인 자동차시트의 머리받침과 유사)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3c)은 제1지지구(13a)의 하부면과 인접한 부분에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굴신 작용하는 각도조절용 힌지를 통해 두개의 프레임이 연결된 것일 수 도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각도조절용 힌지는 중앙이 눌려졌을 때에만 회전 가능한 클러치힌지 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angle adjusting hinge may be a clutch hinge that can be rotated only when the center is pressed.
상기, 클러치 힌지는 두개의 힌지가 톱니형태로 이루어져 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치합된 상태에서는 회전이 방지되며,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스프링의 가압이 극복되면, 두 힌지의 치합이 해제되면서 자유회전상태가 되는 힌지일 수 있다. The clutch hinge has two hinges having a sawtooth shape, and rotation is prevented when the spring is engaged by the pressing of the spring. When the pressing of the spring is overcome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the engagement of the two hinges is released and the free rotation state is achieved. It can be a hinge.
상기에서, 제2지지구(13b)의 만곡진 선단부 부분은 고정부1(11)에 고정되었을 때는 착석자의 어깨 방향으로 항하며, 고정부2(12)에 고정되었을 때는 착석자의 몸통 특히, 팔꿈치 부분으로 향하도록 끼워져 고정된다. In the above, the curved leading end portion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등받이 의자로서, 착석자가 좌석(1)에 앉아서 상체를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앉거나, 상체를 뒤로 눕혀서 등받이(3)에 등을 기대고 앉아 사무를 보거나 휴식을 취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as a backrest chair, usually, the seated person sitting in the seat (1) with the upper body upright, or the upper body lying on the back to the back (3) to sit down or take a break.
이러한 상태에서 장시간 착석을 하게 되면, 예컨대, 장시간 착석한 상태에서 사무를 보게 되면, 척추에 하중이 가해져 통증 내지는 피로를 느끼게 되면서, 착석자의 자세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등 흐트러지게 된다.When sitting for a long time in such a state, for example, when seeing office work in a state of sitting for a long time, while the load is applied to the spine to feel pain or fatigue, the posture of the seated person is inclined to one side and is disturbed.
본 발명은 그러나, 자세고정/지지부(13)의 상기 제2지지부(13b)가 어깨부분을 안쪽으로 감싸듯이 모아주므로 어깨가 좌우로 비뚤어지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바른 자세로의 착석을 유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척추에 통증이 심화되거나 피로감을 느끼게 되면, 착석자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3)의 고정부1(11)로부터 자세고정/지지부(13)를 인출시켜,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석(1)의 고정부2(12)에 고정프레임(13c)을 인입 고정시킨다.In such a state, when the pain in the spine is intensified or the fatigue is felt, the seated person pulls the posture fixing / supporting
상기에서, 자세고정/지지부(13)가 고정부2(12)에 고정되었을 때, 제2지지구(13b)의 만곡진 선단부 부분은 는 착석자의 몸통 특히, 팔꿈치 부분으로 향하도록 끼워 고정시킨 후,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체를 기대어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과 피로감은 완화시킨다.In the above, when the posture fixing / supporting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좌석에 앉아 등을 등받이 부분으로 기대었을 때, 자세고정/지지부의 만곡진 선단부 부분이 어깨를 감싸듯이 모아주게 되므로, 어깨가 일측으로 치우치면서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hus seated in the seat and leans back to the back, the fixed tip of the posture fixation / support portion is gathered as if it wraps around the shoulder, thus preventing the posture from being distracted while the shoulder is biased to one side. can do.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팔걸이와 일치한 상태로 위치시키고, 필요할 경우 예컨대, 척추의 피로감이 느껴질 때에만 착석자의 전방 상체 부분으로 인출 이동시켜, 상체를 앞으로 숙인 상태에서 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척추의 피로도를 완화시킴은 물론, 의자의 활용도 및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positioned in a state consistent with the armrest, and if necessary, for example, by moving to the front upper body part of the seated person only when the fatigue of the spine is felt, so that the upper body can support the upper body in the state of bowing forward In addition, it can alleviate the fatigue of the spine, as well as improve the utilization and function of the chair.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다리(4)를 포함하는 의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다리 없이 좌석(1)부분이 바로 바닥에 안착되는 의자일 수 도 있다. For exampl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y taking a chair including the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의자 1 : 좌석
3 : 등받이 4 : 다리
11 : 고정부1 12 : 고정부2
13 : 자세고정/지지부 13a : 제1지지구
13b : 제2지지구 13c : 고정프레임
10: chair 1: seat
3: backrest 4: legs
11: fixing
13: posture fixing /
13b:
Claims (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sture fixing / support portion 13 is composed of the inclined block in the center portion, when fixed to the fixed portion 1 (11) supports the neck and head, the fixed portion 2 (12) The first support (13a) for supporting the chest and abdomen of the body when fixed to the; It is provid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13a) to be curved in one direction while going to the front end, when fixed to the fixing part 1 (11) wrapped around the shoulder to prevent bias, and to the fixing part 2 (12) A second support 13b supporting the raised arms when it is fixed; And a fixing frame (13c) provided vertically downwar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13a) and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parts (1, 2) (11)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6928A KR101011430B1 (en) | 2010-09-06 | 2010-09-06 | The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6928A KR101011430B1 (en) | 2010-09-06 | 2010-09-06 | The chai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11430B1 true KR101011430B1 (en) | 2011-01-28 |
Family
ID=4361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6928A KR101011430B1 (en) | 2010-09-06 | 2010-09-06 | The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143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2816B1 (en) * | 2012-12-05 | 2014-12-18 | 고영철 | auxiliary sea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2039Y1 (en) | 1999-09-16 | 2000-03-15 | 이명섭 | A chair for straightening attitude |
KR20010072039A (en) * | 1999-05-24 | 2001-07-31 |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 Differentiate and multiply based timing recovery in a quadrature demodulator |
JP2002095549A (en) | 2000-09-26 | 2002-04-02 | Hiroshi Udo | Seat for operating heavy equipment |
-
2010
- 2010-09-06 KR KR1020100086928A patent/KR10101143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2039A (en) * | 1999-05-24 | 2001-07-31 | 롤페스 요하네스 게라투스 알베르투스 | Differentiate and multiply based timing recovery in a quadrature demodulator |
KR200172039Y1 (en) | 1999-09-16 | 2000-03-15 | 이명섭 | A chair for straightening attitude |
JP2002095549A (en) | 2000-09-26 | 2002-04-02 | Hiroshi Udo | Seat for operating heavy equipm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2816B1 (en) * | 2012-12-05 | 2014-12-18 | 고영철 | auxiliary sea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95177B2 (en) | posture holder | |
US8261386B2 (en) | Back support | |
DK1898749T3 (en) | Support for a person's neck and head | |
DK2802241T3 (en) |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 |
KR20090124049A (en) | Structure of backplate for chair | |
KR101022764B1 (en) | The chair | |
KR102138836B1 (en) | Chair with tilting structure of seat | |
KR101011430B1 (en) | The chair | |
CN210696761U (en) | Comfortable seat | |
KR100942429B1 (en) | Seat board of roller type and functional chair using the same | |
KR20180133674A (en) | Multi-functional seating type chair | |
KR200445660Y1 (en) | Chairs | |
KR101022761B1 (en) | The chair | |
KR101052551B1 (en) | chair | |
JPH11239526A (en) | Cushion for chair capable of adjusting angle | |
CN110638241A (en) | Comfortable seat | |
KR101674488B1 (en) | Gymball type waist cushion | |
KR200331369Y1 (en) | Chair | |
CN216316635U (en) | Seat | |
JP2000270964A (en) | Chair with swinging pillow | |
KR102482778B1 (en) | Back cushion for seat | |
JP7312010B2 (en) | folding chair | |
JP3176695U (en) | cushion | |
KR101472815B1 (en) | auxiliary seat | |
KR200431249Y1 (en) | Backplate for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