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105B1 -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 - Google Patents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105B1
KR101010105B1 KR1020080126592A KR20080126592A KR101010105B1 KR 101010105 B1 KR101010105 B1 KR 101010105B1 KR 1020080126592 A KR1020080126592 A KR 1020080126592A KR 20080126592 A KR20080126592 A KR 20080126592A KR 101010105 B1 KR101010105 B1 KR 101010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data
signal
processing unit
encryption
encryp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7970A (ko
Inventor
강희복
홍석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126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10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RFID 태그는 RFID 리더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Demodulate)한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플레인 데이터를 암호화 신호로 암호화하며, 암호화 신호를 RFID 리더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FID, 태그, 리더, 암호, 복조, 변조, 인증, 플레인 데이터, 해시

Description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 {A RFID TAG WITH AN ENCRYPTION FUNTION}
본 발명은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RFID 리더에서 생성된 무선 신호를 RFID 태그에서 수신하여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플레인 데이터를 암호화 신호로 암호화하며, 암호화된 신호를 RFID 리더로 재전송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RFID 태그와 관련된다.
RFID란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사물을 자동으로 식별하기 위하여 식별 대상 사물에는 RFID 태그를 부착하고 무선 신호를 이용한 송수신을 통해 RFID 리더와 통신을 하는 비접촉식 자동 식별 방식을 제공하는 기술로서, 종래의 자동 식별 기술인 바코드 및 광학 문자 인식 기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술이다.
최근에 들어, RFID 태그는 물류 관리 시스템, 사용자 인증 시스템, 전자 화폐 시스템, 교통 시스템 등의 여러 가지 경우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물류 관리 시스템에서는 배달 전표 또는 태그 대신에 데이터가 기록된 IC(Integrated Circuit) 태그를 이용하여 화물의 분류 또는 재고 관리 등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서는 개인 정보 등을 기록한 IC 카드를 이용하여 입실 관리 등을 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RFID 태그에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즉,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은 디램(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정도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고, 전원의 오프시에도 데이터가 보존되는 특성 때문에 차세대 기억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FeRAM은 디램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갖는 소자로서, 기억 소자로 강유전체 커패시터를 사용한다. 강유전체는 높은 잔류 분극 특성을 가지는데, 그 결과 전계를 제거하더라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
RFID는 여러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데,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그 특성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RFID는 주파수 대역이 낮을수록 인식 속도가 느리고 짧은 거리에서 동작하며,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반대로,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인식 속도가 빠르고 긴 거리에서 동작하며,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태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태그는 크게 안테나부(10), 아날로그부(100), 디지털부(200) 및 메모리부(300)를 포함한다.
안테나부(10)는 RFID 리더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된 무선 신호는 안테나 패드(11,12)를 통해 아날로그부(100)로 입력된다.
아날로그부(100)는 입력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RFID 태그의 구동전압인 전원전압 VDD을 생성한다. 그리고 입력된 무선 신호에서 동작 명령 신호를 검출하 여 명령 신호 CMD를 디지털부(200)에 출력한다. 그 외에, 아날로그부(100)는 출력 전압 VDD을 감지하여 리셋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 온 리셋신호 POR와 클럭신호 CLK를 디지털부(200)로 출력한다.
디지털부(200)는 아날로그부(100)로부터 전원전압 VDD, 파워 온 리셋신호 POR, 클럭신호 CLK 및 명령 신호 CMD를 입력받아, 어드레스 ADD, 입/출력 데이터 I/O, 제어신호 CTR 및 클럭 CLK을 메모리(300)에 출력한다.
메모리(300)는 메모리 소자에 데이터를 라이트하여 저장하고, 메모리 소자로부터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한다.
한편, RFID 기술의 발전으로 RFID 칩의 크기가 소형화되고 통신 거리가 길어지면서, 위장 RFID 태그를 제작하여 누구나 어디서든지 특정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RFID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업 또는 개인은 중요한 정보가 노출되는 위험이 생기게 되었고,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암호화 기술이 등장하였다.
암호화 기술은 특정 정보로의 접근이 금지된 자들로부터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간단한 암호화의 일례로서, 알파벳의 각 문자를 고유 번호에 대응시키고, 문자들 대신에 이러한 번호들을 사용하여 당해 정보를 표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암호화 알고리즘(각 문자에 대한 고유 번호의 치환)을 알고 있는 자는 상기 정보를 디코드하여 그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간단한 암호화는 쉽게 해독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RFID 리더에서 생성된 무선 신호를 RFID 태그에서 수신하여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플레인 데이터를 암호화 신호로 암호화하며, 암호화된 신호를 RFID 리더로 재전송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RFID 태그와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은 RFID 리더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한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플레인 데이터를 암호화 신호로 암호화하며, 암호화 신호를 상기 RFID 리더로 전송하고,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RFID 리더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아날로그부, 및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플레인 데이터를 암호화 신호로 암호화하는 디지털부를 포함하는 RFID 태그에 있어서, 아날로그부는 암호화 신호를 변조하여 RFID 리더로 전송하며, 디지털부는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RFID 리더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RFID 태그가 암호화하여 RFID 리더로 재전송함으로써 보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해시(Hash) 함수를 사용하는 RFID 태그로서 현존하는 국제 표준의 RFID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장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은 RFID 리더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RFID 태그를 인식함으로써 특정 제품이 정품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가의 양주, 고가의 핸드백, 의류 등의 제품의 정품 식별에 본 발명의 RFID 태그가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RFID 태그는 크게 안테나부(10), 아날로그부(100), 디지털부(200) 및 메모리부(300)를 포함한다.
안테나부(10)는 RFID 리더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된 무선 신호는 안테나 패드(11,12)를 통해 아날로그부(100)로 입력된다.
아날로그부(100)는 전압 증폭부(110), 복조부(120), 클럭 발생부(130), 파워 온 리셋부(140) 및 변조부(150)를 포함한다.
전압 증폭부(110)는 안테나부(10)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신호를 정류 및 승압하여 RFID 태그의 구동전압인 전원전압 VDD을 생성한다.
복조부(120)는 전압 증폭부(110)의 출력전압에 따라 안테나부(10)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에서 동작 명령 신호를 검출하여 명령 신호 CMD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 신호 CMD를 디지털부(200)에 출력한다.
클럭 발생부(130)는 전압 증폭부(110)에서 생성된 전원전압 VDD에 따라 디지털부(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클럭 CLK를 디지털부(200)에 공급한다.
파워 온 리셋부(140)는 전압 증폭부(110)에서 생성된 전원전압 VDD을 감지하여 리셋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 온 리셋신호 POR를 디지털부(200)에 출력한다.
변조부(150)는 디지털부(200)로부터 입력되는 응답신호 RP를 변조하여 안테나부(10)에 전송한다.
디지털부(200)는 아날로그부(100)로부터 전원전압 VDD, 파워 온 리셋신호 POR, 클럭 CLK 및 명령 신호 CMD를 입력받아 명령 신호 CMD를 해석하고 제어신호, 처리신호 및 플레인 데이터 PD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신호, 처리신호 및 플레인 데이터 PD에 대응하는 응답신호 RP를 아날로그부(20)로 출력한다.
또한, 디지털부(200)는 어드레스 ADD, 입/출력 데이터 I/O, 제어신호 CTR 및 클럭 CLK을 메모리부(300)에 출력한다. 메모리부(300)는 데이터를 저장 소자에 라이트하고, 저장 소자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300)로는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가 사용될 수 있다. FeRAM은 디램(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정도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다. 또한, FeRAM은 디램과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커패시터의 재료로 강유전체를 사용하여 강유전체의 특성인 높은 잔류 분극을 가진다. 이와 같은 잔류 분극 특성으로 인하여 전계를 제거하더라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디지털부(200)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RFID 태그의 디지털부(200)는 암호화 프로세 서(210)와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를 포함한다.
암호화 프로세서(210)는 아날로그부(100)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플레인 데이터 PD를 생성하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에서 생성된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하고 암호화하여 암호화 신호 CT를 생성하는 암호화 처리부(212)를 포함한다.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플레인 데이터 PD를 생성한다. 플레인 데이터 PD는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RFID 시스템이 제품의 인식을 위해 사용된다면, 플레인 데이터 PD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의미한다. 생성된 플레인 데이터 PD는 암호화 처리부(212)로 출력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로부터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다양한 방식으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처리부(212)는 해시 함수와 같은 암호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해시 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비트 열을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인 해시 코드로 압축시키는 알고리즘 표준을 의미한다. 해시 알고리즘은 데이터 무결성이나 메시지 인증 등에서 사용되는 함수로서 디지털 서명에서 송신자 외의 제 3 자에 의한 문서 위조를 방지하는 부인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상기한 암호화 기술에 의해 플레인 데이터 PD를 이용하여 암호화 신호 CT를 생성한다. 생성된 암호화 신호 CT는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 부(220)로 출력된다.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는 암호화 신호 CT를 응답 신호 RP로 변환하여 변조부(150)로 전송한다.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는 암호화 신호 CT를 해독하는 것이 아니라, 변조부(150)가 변조할 수 있는 형식으로 암호화 신호 CT를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디지털부(200)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RFID 태그의 디지털부(200)는 암호화 프로세서(210)와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를 포함한다.
암호화 프로세서(210)는 아날로그부(100)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플레인 데이터 PD를 생성하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에서 생성된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레지스터(213) 및 레지스터(213)에 저장된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하고 암호화하여 암호화 신호 CT를 생성하는 암호화 처리부(212)를 포함한다.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플레인 데이터 PD를 생성한다. 플레인 데이터 PD는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RFID 시스템이 제품의 인식을 위해 사용된다면, 플레인 데이터 PD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의미한다. 생성된 플레인 데이터 PD는 레지스터(213)로 출력된다.
레지스터(213)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로부터 출력된 플레인 데이 터 PD를 저장한다. 레지스터(213)에 플레인 데이터 PD를 저장하는 이유는, RFID 태그 내의 신호가 시리얼로 전송되므로 플레인 데이터 PD의 용량이 많은 경우 전송 도중에 플레인 데이터 PD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지스터(213)는 플레인 데이터 PD가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로부터 암호화 처리부(212)로 전송되는 중간에 플레인 데이터 PD를 저장함으로써, 전송 도중에 플레인 데이터 PD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레지스터(213)로부터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다양한 방식으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처리부(212)는 해시 함수와 같은 암호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해시 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비트 열을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인 해시 코드로 압축시키는 알고리즘 표준을 의미한다. 해시 알고리즘은 데이터 무결성이나 메시지 인증 등에서 사용되는 함수로서 디지털 서명에서 송신자 외의 제 3 자에 의한 문서 위조를 방지하는 부인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상기한 암호화 기술에 의해 플레인 데이터 PD를 이용하여 암호화 신호 CT를 생성한다. 생성된 암호화 신호 CT는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로 출력된다.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는 암호화 신호 CT를 응답 신호 RP로 변환하여 변조부(150)로 전송한다.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는 암호화 신호 CT를 해독하는 것이 아니라, 변조부(150)가 변조할 수 있는 형식으로 암호화 신호 CT를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디지털부(200)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RFID 태그의 디지털부(200)는 암호화 프로세서(210)와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를 포함한다.
암호화 프로세서(210)는 아날로그부(100)으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명령 신호 CMD를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및 모드 처리부(215)로 분배하는 명령 신호 분배부(214),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플레인 데이터 PD를 생성하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에서 생성된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레지스터(213),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활성화 신호 EN를 생성하는 모드 처리부(215) 및 활성화 신호 EN에 의해 활성화되면 레지스터(213)에 저장된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하고 암호화하여 암호화 신호 CT를 생성하는 암호화 처리부(212)를 포함한다.
명령 신호 분배부(214)는 아날로그부(100)의 복조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명령 신호 CMD를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및 모드 처리부(215)로 분배한다. 명령 신호 분배부(214)가 필요한 이유는, RFID 태그 내의 신호가 시리얼로 전송되므로 명령 신호 CMD가 동시에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및 모드 처리부(215)에 입력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명령 신호 분배부(214)가 순서를 정해서 명령 신호 CMD를 각 처리부(211,215)에 출력한다. 이 경우, 명령 신호 CMD가 어느 처리부에 먼저 입력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이하에서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모드 처리 부(215)의 순서로 명령 신호 CMD가 출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플레인 데이터 PD를 생성한다. 플레인 데이터 PD는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RFID 시스템이 제품의 인식을 위해 사용된다면, 플레인 데이터 PD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의미한다. 생성된 플레인 데이터 PD는 레지스터(213)로 출력된다.
레지스터(213)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로부터 출력된 플레인 데이터 PD를 저장한다. 레지스터(213)에 플레인 데이터 PD를 저장하는 이유는, RFID 태그 내의 신호가 시리얼로 전송되므로 플레인 데이터 PD의 용량이 많은 경우 전송 도중에 플레인 데이터 PD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지스터(213)는 플레인 데이터 PD가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로부터 암호화 처리부(212)로 전송되는 중간에 플레인 데이터 PD를 저장함으로써, 전송 도중에 플레인 데이터 PD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모드 처리부(215)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활성화 신호 EN를 생성한다. 활성화 신호 EN는 암호화 처리부(212)를 활성화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모드 처리부(215)로부터 활성화 신호 EN가 수신되면 암호화 동작을 시작한다. 우선, 암호화 처리부(212)는 레지스터(213)로부터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다양한 방식으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처리부(212)는 해시 함수와 같은 암호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해시 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비트 열을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인 해시 코드로 압축시키는 알고리즘 표준을 의미한다. 해시 알고리즘은 데이터 무결성이나 메시지 인증 등에서 사용되는 함수로서 디지털 서명에서 송신자 외의 제 3 자에 의한 문서 위조를 방지하는 부인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상기한 암호화 기술에 의해 플레인 데이터 PD를 이용하여 암호화 신호 CT를 생성한다. 생성된 암호화 신호 CT는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로 출력된다.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는 암호화 신호 CT를 응답 신호 RP로 변환하여 변조부(150)로 전송한다.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는 암호화 신호 CT를 해독하는 것이 아니라, 변조부(150)가 변조할 수 있는 형식으로 암호화 신호 CT를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디지털부(200)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RFID 태그의 디지털부(200)는 명령 신호 분배부 (214), 암호화 프로세서(210) 및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를 포함한다.
명령 신호 분배부(214)는 아날로그부(100)의 복조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명령 신호 CMD를 암호화 프로세서(210)의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및 모드 처리부(215)로 분배한다. 명령 신호 분배부(214)가 필요한 이유는, RFID 태그 내의 신호가 시리얼로 전송되므로 명령 신호 CMD가 동시에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및 모드 처리부(215)에 입력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명령 신호 분배부(214)가 순서를 정해서 명령 신호 CMD를 각 처리부(211,215)에 출력한다. 이 경우, 명령 신호 CMD가 어느 처리부에 먼저 입력되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다. 이하에서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모드 처리부(215)의 순서로 명령 신호 CMD가 출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암호화 프로세서(210)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플레인 데이터 PD를 생성하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에서 생성된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레지스터(213),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활성화 신호 EN를 생성하는 모드 처리부(215) 및 활성화 신호 EN에 의해 활성화되면 레지스터(213)에 저장된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하고 암호화하여 암호화 신호 CT를 생성하는 암호화 처리부(212)를 포함한다.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플레인 데이터 PD를 생성한다. 플레인 데이터 PD는 RFI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RFID 시스템이 제품의 인식을 위해 사용된다면, 플레인 데이터 PD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의미한다. 생성된 플레인 데이터 PD는 레지스터(213)로 출력된다.
레지스터(213)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로부터 출력된 플레인 데이터 PD를 저장한다. 레지스터(213)에 플레인 데이터 PD를 저장하는 이유는, RFID 태그 내의 신호가 시리얼로 전송되므로 플레인 데이터 PD의 용량이 많은 경우 전송 도중에 플레인 데이터 PD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지스터(213)는 플 레인 데이터 PD가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211)로부터 암호화 처리부(212)로 전송되는 중간에 플레인 데이터 PD를 저장함으로써, 전송 도중에 플레인 데이터 PD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모드 처리부(215)는 명령 신호 CMD를 수신하여 활성화 신호 EN를 생성한다. 활성화 신호 EN는 암호화 처리부(212)를 활성화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모드 처리부(215)로부터 활성화 신호 EN가 수신되면 암호화 동작을 시작한다. 우선, 암호화 처리부(212)는 레지스터(213)로부터 플레인 데이터 PD를 수신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다양한 방식으로 암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 처리부(212)는 해시 함수와 같은 암호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해시 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비트 열을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인 해시 코드로 압축시키는 알고리즘 표준을 의미한다. 해시 알고리즘은 데이터 무결성이나 메시지 인증 등에서 사용되는 함수로서 디지털 서명에서 송신자 외의 제 3 자에 의한 문서 위조를 방지하는 부인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암호화 처리부(212)는 상기한 암호화 기술에 의해 플레인 데이터 PD를 이용하여 암호화 신호 CT를 생성한다. 생성된 암호화 신호 CT는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로 출력된다.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는 암호화 신호 CT를 응답 신호 RP로 변환하여 변조부(150)로 전송한다.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220)는 암호화 신호 CT를 해독하는 것이 아니라, 변조부(150)가 변조할 수 있는 형식으로 암호화 신호 CT를 변환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RFID 태그가 RFID 리더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를 암호화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RFID 리더는 상기와 같이 RFID 태그에서 암호화된 암호화 신호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RFID 리더는 암호화 신호를 해독하고 RFID 리더에서 암호화된 다른 신호와 비교하여 RFID 리더와 RFID 태그가 서로 매칭되는지 여부를 인증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RFID 태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디지털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디지털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디지털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디지털부를 도시한다.

Claims (19)

  1. RFID 리더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Demodulate)한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플레인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암호화 신호를 상기 RFID 리더로 전송하고,
    상기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로부터 상기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암호화 신호로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플레인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암호화 처리부로 출력하는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암호화 처리부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명령 신호를 순서에 따라 상기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 및 상기 모드 처리부에 분배하는 명령 신호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RFID 리더로 전송하는 변조부를 포함하는 RFID 태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신호를 상기 변조부가 변조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처리부는 해시(Hash)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인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 신호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10. RFID 리더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아날로그부; 및
    상기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플레인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암호화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부를 포함하는 RFID 태그로서,
    상기 아날로그부는 상기 암호화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RFID 리더로 전송하며,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플레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로부터 상기 플레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암호화 신호로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에서 생성된 상기 플레인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암호화 처리부로 출력하는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암호화 처리부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명령 신호를 순서에 따라 상기 플레인 데이터 입력 처리부 및 상기 모드 처리부에 분배하는 명령 신호 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부는
    상기 암호화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RFID 리더로 전송하는 변조부를 포함하는 RFID 태그.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부는
    상기 RFID 리더로부터 입력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포함하는 RFID 태그.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암호화 신호를 상기 변조부가 변조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시키는 암호화 신호 출력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RFID 태그.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처리부는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플레인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 신호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KR1020080126592A 2008-12-12 2008-12-12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 KR101010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592A KR101010105B1 (ko) 2008-12-12 2008-12-12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592A KR101010105B1 (ko) 2008-12-12 2008-12-12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970A KR20100067970A (ko) 2010-06-22
KR101010105B1 true KR101010105B1 (ko) 2011-01-24

Family

ID=4236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592A KR101010105B1 (ko) 2008-12-12 2008-12-12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1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055A (ja) * 1999-12-28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憶媒体、非接触icタグ、アクセス装置、アクセスシステム、ライフサイクル管理システム、入出力方法及びアクセス方法
KR20060123867A (ko) * 2005-05-30 2006-12-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에서의 변/복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055A (ja) * 1999-12-28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憶媒体、非接触icタグ、アクセス装置、アクセスシステム、ライフサイクル管理システム、入出力方法及びアクセス方法
KR20060123867A (ko) * 2005-05-30 2006-12-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rfid에서의 변/복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970A (ko)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341B2 (en) RFID authentication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RFID authentication
EP2038807B1 (en) Method, rfid reader, rfid tag and rfid system for secure communication
EP1684215B1 (en) Utilizing a laser to securely communicate wi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US7309017B2 (en) Secure physical document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publishing and reading them
US8296852B2 (en) Transponder, RFID system, and method for RFID system with key management
US107692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101433623B1 (ko) 복제 방지 시스템
JP2006524851A (ja) 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
WO2006049636A2 (en) Master tags
US20090040023A1 (en) RF Transponder for Off-Line Authentication of a Source of a Product Carrying the Transponder
KR101162196B1 (ko) 알에프아이디 태그에 동적 아이디 할당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알에프아이디 태그, 알에프아이디 단말기,기록매체
KR20070052092A (ko) Rfid 태그의 위조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3337928A (ja) Icタグシステム
KR101074778B1 (ko) 센서 태그 장치 및 그 인증 방법
KR101010105B1 (ko)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
KR100997323B1 (ko) 암호화 기능을 가지는 rfid 태그
JP2006227900A (ja) 非接触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101017803B1 (ko) Rfid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162227B1 (ko) 알에프아이디 단말기
KR101077860B1 (ko) 알에프아이디 태그
US11520914B2 (en) Secured document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documents
KR101139490B1 (ko) Rfid 장치
KR101193926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문서인식시스템 및 방법
Srinivasan et al. Research Survey on MIFARE With RFID Technology
JPH09146457A (ja) 情報記録媒体におけるアクセスキー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