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627B1 - Dual capacity compressor - Google Patents

Dual capacity compres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627B1
KR101008627B1 KR1020030094246A KR20030094246A KR101008627B1 KR 101008627 B1 KR101008627 B1 KR 101008627B1 KR 1020030094246 A KR1020030094246 A KR 1020030094246A KR 20030094246 A KR20030094246 A KR 20030094246A KR 101008627 B1 KR101008627 B1 KR 101008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sleeve
key member
crank pin
protrus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62234A (en
Inventor
배영주
노철기
김종봉
김희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627B1/en
Priority to AU2003289521A priority patent/AU2003289521A1/en
Priority to US10/568,621 priority patent/US7568895B2/en
Priority to PCT/KR2003/002821 priority patent/WO2005061895A1/en
Priority to CN200380110453XA priority patent/CN1839261B/en
Publication of KR2005006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2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6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varying the length of stroke of the working members
    • F04B49/123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varying the length of stroke of the working members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of one element relative to another element
    • F04B49/1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varying the length of stroke of the working members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of one element relative to another element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of the actuation means, e.g. cams or cranks, relative to the driving means, e.g. driving shafts
    • F04B49/126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varying the length of stroke of the working members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of one element relative to another element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of the actuation means, e.g. cams or cranks, relative to the driving means, e.g. driving shafts with a double eccenter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9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crank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23Lubricat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type
    • F04B39/023Hermetic compressors
    • F04B39/0238Hermetic compressors with oil distribution channels
    • F04B39/0246Hermetic compressors with oil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rotating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22Cranks; Eccentrics
    • F16C3/28Adjustable cranks or eccentr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회전방향에 대해 역회전 가능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삽입되는 크랭크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 발생부; 소정크기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내에 위치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는 압축부;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상단부에 이의 중심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크랭크 핀; 상기 크랭크 핀의 외주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주면 및 상기 커넥팅 로드의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주면을 갖는 편심 슬리브;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모든 회전방향에 있어서 상기 편심 슬리브를 상기 크랭크 핀에 완전하게 구속시키는 키 부재; 그리고 상기 편심 슬리브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상기 편심 슬리브가 자전에 의해 상기 키부재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런스 웨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른 상기 편심 슬리브의 재배열에 의해 유효 편심량 및 피스톤 변위를 변화시켜 서로 다른 압축용량을 가지며, 상기 모터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키 부재에 의해 상기 크랭크 핀 및 편심 슬리브사이의 작동중 상대운동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이중용량 압축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generator including a motor capable of reverse rota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rotation direction and a crank shaft inserted into the motor; A compression unit including a cylinder of a predetermined size, a piston located in the cylinder, and a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piston; A crank pin formed eccentrically at an upper end of the crankshaft; An eccentric sleeve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ng rod; A key member for completely restraining the eccentric sleeve to the crank pin in all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crankshaft; And a balance weight which mov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ccentric sleeve to prevent the eccentric sleeve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key member by rotation, and the effective eccentric amount and the piston by rearranging the eccentric sleev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Displacement is changed to provide a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having different compression capacities and substantially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during operation between the crank pin and the eccentric sleeve by the key member regardless of the motor rotational direction.

이중용량, 압축기Dual capacity, compressor

Description

이중용량 압축기{DUAL CAPACITY COMPRESSOR}Dual Capacity Compressor {DUAL CAPACITY COMPRESS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용량 압축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uble capacity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이중용량 압축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 of the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of FIG.

도 3은 종래 이중용량 압축기 작동중 발생하는 크랭크 핀과 편심 슬리브사이의 상대회전을 나타내는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a crank pin and an eccentric sleeve which occur during operation of a conventional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량 압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량 압축기를 일부 단면을 포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5A is a side view of a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partial cross section;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량 압축기를 일부 단면을 포함하여 나타내는 평면도;5B is a plan view of a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partial cross section;

도 6A는 본 발명의 크랭크 핀을 나타내는 사시도;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nk pi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도 6A의 크랭크 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rank pin of FIG. 6A;

도 7A는 본 발명의 편심 슬리브를 나타내는 사시도;7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ccentric sleev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B, 도 7C 및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 슬리브의 변형예들을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7B, 7C and 7D are plan, side and perspective views, respectively, showing variants of an eccentric sleev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키 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key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크랭크 핀내에 장착된 도 8의 키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key member of FIG. 8 mounted in the crank pin;

도 10A 및 도 10B는 분리가능한 제 1 스토퍼를 갖는 키 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0A and 10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key member having a detachable first stopper;

도 11A-도11C는 제 2 스토퍼를 갖는 키 부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11A-11C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key member having a second stopper;

도 12는 키 부재의 제 1 실시예에 적용되는 탄성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12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lastic member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key member;

도 13A 및 도 13B는 시계방향 회전시 키 부재의 제 1 실시예가 적용된 이중용량 압축기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13A and 13B are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key member is applied in clockwise rotation;

도 14A 및 도 14B는 반시계방향 회전시 키 부재의 제 1 실시예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량압축기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14A and 14B are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key member is applied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도 15A 및 도 15B는 시계방향 회전 및 반시계방향 회전중 키 부재의 제 1 실시예가 적용된 편심 슬리브에 발생하는 힘들의 상관관계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들;15A and 15B are plan views respectively showing the correlation of forces occurring in an eccentric sleeve to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key member is applied during clockwise rotation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도 16A-도 16C는 키 부재의 제 2 실시예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량 압축기를 일부 단면을 포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16A-16C sho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including a partial cross section, of a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second embodiment of a key member is applied;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키 부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17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key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크랭크 핀내에 장착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18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key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ounted in the crank pin;

도 19A-도 19C는 제 2 스토퍼를 갖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19A-19C are plan views showing a key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ith a second stopper;                 

도 20은 키 부재의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탄성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20 is a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lastic member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key member;

도 21A 및 도 21B는 시계방향 회전시 키 부재의 제 2 실시예가 적용된 이중용량압축기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21A and 21B are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key member is applied in the clockwise rotation;

도 22A 및 도 22B는 반시계방향 회전시 키 부재의 제 2 실시예가 적용된 이중용량압축기의 변형예의작동을 도시한 평면도;22A and 22B are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modification of the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key member is applied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도 23A 및 도 23B는 시계방향 회전 및 반시계방향 회전중 키 부재의 제 2 실시예가 적용된 편심 슬리브에 발생하는 힘들의 상관관계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들;23A and 23B are plan views respectively showing the correlation of forces occurring in the eccentric sleeve to whic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key member is applied during clockwise rotation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도 24는 밸런스 웨이트를 갖는 편심 슬리브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그리고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ccentric sleeve having a balance weight; And

도 25A 및 도 25B는 시계방향 회전 및 반시계방향 회전중 밸런스 웨이트를 갖는 편심 슬리브에 발생하는 힘들의 상관관계를 각각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25A and 25B are plan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the correlation of forces occurring in an eccentric sleeve having a balance weight during clockwise rotation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본 발명은 냉매등과 같은 작동유체를 소정 압력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방향에 따라 압축용량이 변화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working fluid such as a refrigerant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ressor in which the compression capacit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이중용량 압축기는 모터 및 크랭크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크랭크샤프트의 크랭크 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편심 슬리브에 의해 피스톤 행정 및 압축용량이 달라지는 일종의 왕복동식 압축기이다. 상기 이중용량 압축기는 요구되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 압축 용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유체의 압축이 필요한 여러 장치 특히, 냉장고등과 같이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는 가전기기에 작동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널리 적용되고 있다. The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is a kind of reciprocating compressor whose piston stroke and compression capacity are varied by an eccentric sleev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rank pin of the crankshaft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and the crankshaft. Since the dual capacity compressor can adjust the compression capacit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ad required, it is widely applied to increase the operating efficiency in various devices that require the compression of the working fluid, in particular,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have.

미국특허 제4,236,874호는 일반적인 이중용량 압축기를 개시하며, 상기 특허를 참조하여 이중용량 압축기의 주요구성 및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U.S. Patent No. 4,236,874 discloses a general double capacity compressor, which will be described in brief with reference to the patent.

도 1은 미국특허 제4,236,874호에 따른 이중용량 압축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이중용량 압축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according to US Patent No. 4,236,874, and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도 1을 참조하면, 이중용량 압축기의 주요부는 실린더(8) 내부의 피스톤(7), 크랭크샤프트(1)와, 중심(3a)이 크랭크샤프트의 중심(1a)과 편심되게 형성되는 크랭크 핀 (3), 상기 크랭크 핀(3)에 결합되는 편심 링(4), 상기 편심 링(4) 및 피스톤(7)과 각각 연결되는 커넥팅로드(6)로 크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편심 링(4)과 커넥팅 로드(6)는 인접하는 부품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크랭크 핀 중심(3a)을 회전 중심으로 한다. 상기 크랭크 핀(3)과 편심 링(4)의 각 접촉면상에는 소정 길이의 해제 영역(9)이 형성되며, 상기 해제 영역(9)내에서는 상기 크랭크 핀(3)과 편심 링(4)을 서로 결합시키는 키(5)가 제공된다. 상기 이중용량 압축기의 압축 용량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편심 링(4)의 배열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편심량에 의해 피스톤(7)의 행정거리가 조절되며, 부하가 크게 요구되는 경우 크랭크샤프트(1)가 시계방향(정방향), 부하가 작게 요구되는 경우 크랭크샤프트(1)를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의 A는 시계방향 회전중 피스톤(7)이 상사점, B는 피스톤(7)이 하사점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며 이 경우에는 편심량이 최대이기 때문에 행정거리(Lmax)도 최대가 된다. 또한 도 2의 C는 피스톤(7)이 하사점, D는 피스톤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하며, 최소화된 편심량으로 인해 행정거리(Lmin)도 최소가 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main part of a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includes a piston 7, a crankshaft 1, and a crank pin eccentrically formed with the center 3a of the crankshaft in the cylinder 7. 3), it consists of an eccentric ring (4) coupled to the crank pin (3), the connecting rod (6) connected to the eccentric ring (4) and the piston (7), respectively. The eccentric ring 4 and the connecting rod 6 are rotatable with respect to an adjacent component and have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rank pin center 3a. On each contact surface of the crank pin 3 and the eccentric ring 4, a release region 9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and in the release region 9, the crank pin 3 and the eccentric ring 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key 5 for engagement is provided.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pression capacity of the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is as follows. As shown in FIG. 2, in the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the stroke distance of the piston 7 is adjusted by the amount of eccentricity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eccentric ring 4, and when a large load is required, the crankshaft ( 1) clockwise (forward direction), when the load is required to be small, the crankshaft 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reverse direction). More specifically, FIG. 2A shows a state where the piston 7 is located at the top dead center and B is the bottom dead center during the clockwise rotation, and in this case, the eccentricity is the maximum, so the stroke distance Lmax. Is also the maximum. In addition, FIG. 2C shows a state where the piston 7 is located at the bottom dead center, and D is the top dead center of the piston, and the stroke distance Lmin is minimized due to the minimized amount of eccentricity.

그러나 이와 같은 작동중 크랭크샤프트 중심(1a)에 대한 회전으로 인해 상기 크랭크 핀(3)과 편심 링(4)에는 개별적인 원심력이 작용하며, 이러한 원심력은 축 중심(1a)과 핀 중심(3a)사이 및 축 중심(1a)과 링 무게중심(4a)사이의 연장선에 각각 작용된다. 따라서, 도 2의 A,B와 달리 C,D의 경우, 각 작용선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상기 편심 링(4)에는 상기 핀(3)에 대해 수직거리(d)와 자신의 원심력의 곱으로 나타나는 국부적인 회전모멘트가 발생하며 이 회전 모멘트의 작용방향은 상기 크랭크 샤프트(1) 회전방향(반시계 방향)과 동일하다. 상기 크랭크 핀(3) 및 편심 링(4)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분리된 부재이므로 상기 회전 모멘트는 크랭크 사프트(1) 회전방향으로 상대적인 회전을 발생시켜 키(5)를 상기 크랭크 핀(3) 및 편심 링(4)로부터 해제 시킨다. 따라서 상기 편심 링(4)과 키(5)는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의 운전중 압축과정 후 실린더 내의 압력(P)(작동유체의 재팽창 압력)은 편심 링(4)을 크랭크 샤프트(1) 회전방향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압력은 상기 편심 링(4)을 압축기 회전방향으로 상기 크랭크 핀(3)에 대해 상대 적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상대회전으로 인해 상기 압축기의 작동이 불안정하게 되며, 원하는 압축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 However, due to the rotation about the crankshaft center 1a during this operation, a separate centrifugal force acts on the crank pin 3 and the eccentric ring 4, and this centrifug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axis center 1a and the pin center 3a. And an extension line between the shaft center 1a and the ring center of gravity 4a, respectively. Therefore, unlike A and B of FIG. 2, since C and D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eccentric ring 4 has the product of the vertical distance d with respect to the pin 3 and its centrifugal force. The local moment of rotation which occurs appears and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is moment of rotation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crankshaft 1 (counterclockwise). Since the crank pin 3 and the eccentric ring 4 are members rotatab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rotation moment causes relative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crank shaft 1 so that the key 5 is moved to the crank pin 3 and Release from the eccentric ring (4). The eccentric ring 4 and the key 5 are thus mo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s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FIG. 3. Further, as shown in Fig. 3, for example, the pressure P in the cylinder (re-expansion pressure of the working fluid) after the compression process during oper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causes the eccentric ring 4 to rotate in the crankshaft 1 direction. Acting as a pushing force, this pressure rotates the eccentric ring 4 relative to the crank pin 3 in the direction of the compressor rotation. As a result, the relative rotation make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unstable, and the desired compression performance is not obtained.

실질적으로 상기 상대회전은 상기 키(5)가 상기 크랭크 핀(3)과 편심 링(4)을 완전하게 고정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상기 키(5)는 압축기 회전방향 변화시마다 상기 해제 영역(9)내에서 구름운동을 하며 이에 따라 각 접촉부에서의 심한 마모로 인해 수명이 단축된다.Substantially the relative rotation occurs because the key 5 does not completely secure the crank pin 3 and the eccentric ring 4. In addition, the key 5 makes a rolling motion in the release area 9 whenever the compressor rotation direction changes, thereby shortening the life due to severe wear at each contact.

한편, 상기 미국특허 제4,236,874호 이외에도 많은 특허 공보들이 상기 이중용량 압축기 관련 기술들을 개시하며 이들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U.S. Patent No. 4,236,874, many patent publications disclose th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and briefly describe them.

먼저, 미국특허 제4,479,419호도 유사하게 크랭크 핀, 편심 캠 및 키를 이용한 이중용량 압축기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키는 편심 캠에 고정되며 압축기 회전방향 변환시 상기 크랭크 핀에 형성된 궤도부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 제 4,479,419호에 있어서도, 상기 키가 상기 크랭크 핀과 편심 캠을 완전하게 구속하지 못하므로 상대회전에 의한 압축기의 불안정한 작동이 발생한다.  First, US Pat. No. 4,479,419 similarly discloses a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using a crank pin, an eccentric cam and a key. Here, the key is fixed to the eccentric cam and moves along the track formed on the crank pin when the compressor rotation direction is changed. However, even in the U.S. Patent No. 4,479,419, since the key does not completely restrain the crank pin and the eccentric cam, unstabl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due to relative rotation occurs.

또한, 미국특허 제5,951,261호에 따른 압축기에 있어서, 편심부에 일정 내경을 갖는 보어가 가로지르게 형성되며 상기 편심부 보어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 보어가 편심 캠의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부의 보어내에는 핀이 제공되며 상기 편심슬리브의 보어에는 압축스프링이 제공된다. 따라서 회전중 상기 각각의 보어가 정렬될 때 상기 핀이 원심력에 의해 상기 캠의 보어로 이동하여 편심부와 편심 캠이 구속된다. 그러나 상기 미국특허 제5,951,261호에 있어서, 상기 편심 캠이 하나의 보어만을 가지고 있으므로 압축기 어느 한방향 만의 회전시에만 편심부 와 편심 캠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이 실제적으로 각각의 보어들을 관통하여 상기 편심부로부터 캠으로 정확하게 이동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작동상의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Further, in the compressor according to US Pat. No. 5,951,261, a bore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is formed across the eccentric portion and a bor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eccentric portion bor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eccentric cam. A pin is provided in the bore of the eccentric, and a compression spring is provided in the bore of the eccentric sleeve. Thus, when the respective bores are aligned during rotation, the pin is moved to the bore of the cam by centrifugal force to constrain the eccentric portion and the eccentric cam. However, in the U.S. Patent No. 5,951,261, since the eccentric cam has only one bore, the eccentric portion and the eccentric cam can be constrained only when the compressor is rotated in only one direction.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pin to move accurately from the eccentric to the cam practically through the respective bores, operational reliability is not guarante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용량 변경을 위한 임의방향의 회전작동시에도 일정한 편심량을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이중용량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capacity compressor that operates stably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amount of eccentricity even when rotating in any direction for changing the compression capacit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회전방향에 대해 역회전 가능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삽입되는 크랭크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 발생부; 소정크기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내에 위치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는 압축부;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상단부에 이의 중심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크랭크 핀; 상기 크랭크 핀의 외주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주면 및 상기 커넥팅 로드의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주면을 갖는 편심 슬리브;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모든 회전방향에 있어서 상기 편심 슬리브를 상기 크랭크 핀에 완전하게 구속시키는 키 부재; 그리고 상기 편심 슬리브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상기 편심 슬리브가 자전에 의해 상기 키부재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런스 웨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른 상기 편심 슬리브의 재배열에 의해 유효 편심량 및 피스톤 변위를 변화시켜 서로 다른 압축용량을 가지며, 상기 모터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키 부재에 의해 상기 크랭크 핀 및 편심 슬리브사이의 작동중 상대운동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이중용량 압축기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generation unit including a crank shaft inserted into the motor and a motor capable of reverse rotation in a predetermined rotation direction; A compression unit including a cylinder of a predetermined size, a piston located in the cylinder, and a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piston; A crank pin formed eccentrically at an upper end of the crankshaft; An eccentric sleeve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ng rod; A key member for completely restraining the eccentric sleeve to the crank pin in all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crankshaft; And a balance weight which mov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ccentric sleeve to prevent the eccentric sleeve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key member by rotation, and the effective eccentric amount and the piston by rearranging the eccentric sleev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Displacement is changed to provide a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having different compression capacities and substantially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during operation between the crank pin and the eccentric sleeve by the key member regardless of the motor rotational direction.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크랭크 핀과 편심 슬리브사이의 상대회전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안정적인 작동 및 효율상승이 이루어진다.
B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rank pin and the eccentric sleeve is prevented, thereby achieving a stabl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an increase in efficiency.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량 압축기의 전체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s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First, the overall structure of a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본 발명의 이중용량 압축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압축기 하부에 위치하여 요구되는 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동력 발생부(20)와 상기 동력발생부(20) 상부에 위치하며, 공급된 동력을 이용하여 작동유체의 압축을 수행하는 압축부(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일반적 구성과 더불어 상기 이중용량 압축기는 상기 동력발생부(20)와 압축부(30)를 연결하며, 작동중 압축부(30)의 압축용량을 변화시키는 행정 가변부(100)를 포함한다. 한편, 용기(11)는 냉매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동력 발생부(20) 및 압축부(30)등을 밀폐되게 수용하며, 상기 용기(11) 내부에는 프레임(12)이 상기 용기에 부착된 다수개의 지지부재(즉, 스프링)(1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냉매 흡입관(13) 및 토출관(15)은 각각 상기 용기(11)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이의 내부와 연통한다.As shown, the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ower generating unit 20 and the power generating unit 20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required power, which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or, as shown in the figure. Compression unit 30 for compressing the working fluid by using. In addition to this general configuration, the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includes a stroke variable unit 100 which connects the power generating unit 20 and the compression unit 30 and changes the compression capacity of the compression unit 30 during operation. . Meanwhile, the container 11 encloses the power generating unit 20 and the compression unit 30 in a sealed manner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the refrigerant, and the frame 12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inside the container 11. I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ie springs) 14. In addition, the refrigerant suction pipe 13 and the discharge pipe 15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tainer 11 and communicate with the inside thereof.

상기 동력 발생부(20)는 상기 프레임(12)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21) 및 회전자(22)를 포함하는 모터와 크랭크샤프트(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일정 회전방향에 대한 역회전 즉,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샤프트(23)의 하부는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자(22)내부에 삽입되며, 오일 구멍이나 오일 홈등과 같은 압축기 하부에 수용되는 윤활유를 압축기의 각 구동부에 공급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The power generator 20 is installed under the frame 12 and includes a motor and a crankshaft 23 including a stator 21 and a rotor 22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by an external power source. Here, the motor is rotatable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at is,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he lower part of the crankshaft 23 is inserted into the rotor 22 so as to transmit power, and has a structure for supplying lubricating oil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mpressor, such as an oil hole or an oil groove, to each drive unit of the compressor. Have

상기 압축부(30)는 상기 동력 발생부(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2)에 설치되며 냉매 압축을 위해 기계적으로 운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를 보조하는 흡입 및 배출 밸브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질적인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32)와 함께 상기 구동 기구는 냉매 흡입/압축을 위해 상기 실린더(32)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31) 및 상기 피스톤(31)에 왕복운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팅 로드(33)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밸브 구조는 실린더 헤드(34) 및 헤드커버(35)등과 같은 관련 부품의 조합에 의해 상기 실린더(32)로의 냉매의 공급 및 압축된 냉매의 배출을 수행한다. The compression unit 30 is installed on the frame 12 to be positioned above the power generating unit 20 and has a driving mechanism mechanically moving to compress the refrigerant and an intake and discharge valve structure to assist the driving mechanism. Is done. The drive mechanism, together with the cylinder 32 forming a substantial compression space, provides power to the piston 31 and the piston 31 for reciprocating motion inside the cylinder 32 for refrigerant suction / compression. It has a connecting rod 33 for transmitting. In addition, the valve structure supplies the refrigerant to the cylinder 32 and discharg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by a combination of related parts such as the cylinder head 34 and the head cover 35.

이러한 본 발명의 이중용량 압축기 구성중 상기 동력발생부와 압축부등은 일반적인 압축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상기 행정가변부(100)를 설명하면 상세하게 다음과 같다. In the dual capacity compresso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generation unit and the compression unit, etc. are the same as the general compressor, so the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troke variable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행정가변부(1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23)의 상단부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크랭크 핀(110)과, 상기 크랭크 핀(110) 외주면 및 커넥팅 로드(33)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편심 슬리브(120) 및 상 기 크랭크 핀(110)내에 설치되는 키 부재(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크랭크 핀(110)과 편심 슬리브(120)를 압축기의 작동중 상호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행정 가변부(40)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에 따라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이의 유효 편심량이 변화되도록 커넥팅 로드(33)와 크랭크 핀(110) 사이에 회전 및 배열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된 유효 편심량이 유지되도록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에 걸린다. 따라서 상기 행정 가변부(40)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이 변화되면, 기본적으로 유효 편심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커넥팅 로드의 행정길이 및 피스톤 변위(displacement)가 변화되며 이에 따라 압축용량 또한 변화된다.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된 본 발명의 행정 가변부(100)가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As illustrated in FIG. 5A, the stroke variable part 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110 and the connecting rod 33 which are eccentric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rank shaft 23 as a whole. And an eccentric sleeve 120 rotatably mounted to the key member 130 installed in the crank pin 110. Here, the key member 130 serves to fix the crank pin 11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to each othe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n this stroke variable portion 40, the eccentric sleeve 120 is rotated between the connecting rod 33 and the crank pin 110 so that the effective eccentricity thereof change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of the motor. Are arranged. And the key member 130 is caught by the eccentric sleeve 120 so that this changed effective eccentric amount is maintained. Therefore, whe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is changed by the stroke variable portion 40, the stroke length and the piston 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rod are bas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ffective eccentricity, and thus the compression capacity is also changed. The stroke variable portio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outlined abov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ssociated drawings.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량 압축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단면도이며, 여기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용이성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 단면을 포함하여 서로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다. 그리고 도 6a-도 12는 각 구성요소들의 개별적으로 도시한다. 5A and 5B are side and cross sectional views of a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each of the components is shown assembled together, including some cross sections, for eas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Figures 6A-12 show the individual components individually.

먼저, 상기 크랭크 핀(110)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중공관형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관 형상에 의한 내부 공간은 상기 키부재(13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게 한다. 상기 크랭크 핀(110)은 또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키 부재 장착부(111)를 가지며, 하부에 형성되는 오일 통로(112) 및 오일 공급공(113)을 포함한다. First, as shown in FIG. 5A, the crank pin 110 has a partially hollow tubular shape, and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hollow tube shape allows the key member 130 to be movable. The crank pin 110 also has a pair of key member mounting portions 111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includes an oil passage 112 and an oil supply hole 113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상기 장착부(111a,111b)는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 샤프트 중심(23a) 및 크랭크 핀 중심(110a)을 포함하는 수직면내에 배열되도록 이의 중공관부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111a,111b)내에 위치되는 키 부재(130)는 자신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기 중심들(23a,110a)사이의 연장선상에 작용되는 원심력(F)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키부재(130)는 이러한 원심력(F)에 의해 상기 장착부(111a,11b)에 의해 안내되면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장착부(111a,111b)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적으로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통공인 장착부(111)에 의해 작동중 상기 키 부재(13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111a,111b)중 적어도 하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 핀(110) 벽체의 상부끝단으로부터 소정위치까지 연장되는 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홈 형태의 장착부를 포함함으로서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크랭크 핀(11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안정적인 키 부재(130) 장착을 위하여 상기 홈 형태의 장착부 끝단에 자리부(111c)가 형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The mounting portions 111a and 111b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hollow tube portion so as to be arranged in a vertical plane including the crankshaft center 23a and the crank pin center 110a as shown in FIGS. 5A and 6A. Accordingly, the key member 130 located in the mounting portions 111a and 111b is affected by the centrifugal force F acting on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centers 23a and 110a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key member 130 is movable by being guided by the mounting parts 111a and 11b by the centrifugal force (F). Such mounting portions 111a and 111b may be formed as through holes, as shown in FIG. 6A. Therefore, the detachment of the key member 130 during operation may be prevented by the mounting portion 111 which is a through hole.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mounting portions 111a and 111b may be a groov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wall of the crank pin 11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s shown in FIG. 6B. By including the groove-shaped mounting portion, the key member 130 can be easily mounted to the crank pin (110). Further, in order to mount the key member 130 more stably,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eat 111c is formed at the end of the mounting part of the groove shape.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오일 통로(112)는 크랭크 샤프트(23) 외부에 형성된 오일 홈과 연통되며, 상기 오일 공급공(113)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 공급공(113)은 상기 장착부(111a,111b)를 연결하는 연장선(즉, 상기 중심들(23a,110a)사이 연장선)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따라 형성된다. 작동중 압축기 저면에 수용된 윤활유는 일차적으로 상기 오일 홈 및 오일 통로(112)를 거쳐 각 부품들의 마모방지 및 원활한 작동을 위해 각 부품들사이의 접촉면에 공급되도 록 비산되며, 또한 상기 오일 공급공(113)을 통해 상기 크랭크 핀(110) 및 편심 슬리브(120)사이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랭크 핀(110)은 상기 편심 슬리브(120)보다 높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윤활유가 높은 위치에서 비산되어 각 구동부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the oil passage 112 communicates with an oil groove formed outside the crankshaft 23 and communicates with the oil supply hole 113. The oil supply hole 113 is forme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xtension line (that is, an extension line between the centers 23a and 110a) connecting the mounting portions 111a and 111b. During operation, the lubricant contained in the bottom of the compressor is first scattered to be supplied 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arts through the oil groove and the oil passage 112 to prevent wear and smooth operation of the parts. 113 may be directly supplied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Preferably, the crank pin 110 is formed higher than the eccentric sleeve 120 so that the lubricating oil can be scattered at a high position and evenly supplied to each driving unit.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기본적으로 상기 크랭크 핀(110)의 외주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주면 및 상기 커넥팅 로드(33)의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주면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자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궤도부(121) 및 상기 궤도부(121)에 상대적으로 형성되는 제한부(1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속적인 궤도부(121) 및 제한부(122)사이에는 2개의 경계단(123a,123b)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키 부재(130)의 최소 일부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슬리브(120)에 걸리도록 돌출되므로, 상기 궤도부(121)는 이러한 키 부재(130)에 대해 편심 슬리브(120)자신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궤도부(120)의 형성 범위만큼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상기 크랭크 핀(110)주위로 회전운동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한부(122)는 상기 궤도부(121)와는 반대로 정지 및 작동중 상기 키 부재(130)과 더불어 슬리브 자신의 회전운동을 제한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경계단(123a,123b)에 걸리게 된다.The eccentric sleeve 120 basically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11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which the ends of the connecting rod 33 are rotatably coupl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7A, the eccentric sleeve 120 has a track portion 121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dy itself and a restricting portion 122 formed relative to the track portion 121. ). In addition, two boundary ends 123a and 123b are formed between the continuous track portion 121 and the restricting portion 122, respectively.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 member 130 protrudes to be caught by the eccentric sleeve 120, as shown in FIG. 5A, so that the raceway 121 is eccentric sleeve 120 with respect to the key member 130. Enable their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That is, the eccentric sleeve 120 may rotate around the crank pin 110 as much as the range of the track portion 120. In addition, the limiting part 122 limi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leeve itself together with the key member 130 during stop and operation, as opposed to the track part 121. Substantially, the key member 130 is caught by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이러한 편심 슬리브(120)에 있어서, 상기 궤도부(121)는 실제적으로 편심 슬리브(120)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원주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는 절개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계단(123a,123b)들은 일차적으로 도 5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샤프트 중심(23a)과 크랭크 핀 중심(110a) 사이의 연장선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경계단(123a,123b)은 실질적으로 상기 편심 슬리브(110)의 최대 두께와 최소 두께사이의 연장선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폭을 가지며, 이와 같은 연장선은 압축기의 작동중 상기 중심들(23a,110a)사이의 연장선과 일치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경계단들(123a,123b)은 상기 중심들(23a,110a)의 연장선에 평행한 임의의 연장선상에 함께 위치된다. 따라서 동일한 연장선상에 배열되는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경계단(123a,123b)에 둘 다 걸릴 수 있게 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경계단(123a,123b)들은 상기 키부재(130)에 대해 공통 접촉면을 형성한다. 상기 경계단(123a,123b)은 바람직하게는 키 부재(130) 두께(t) 절반만큼 상기 중심들(23a,110a) 사이의 연장선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경계단들(123a,123b)과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걸리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경계단(123a,123b)들은 상기 중심들(23a,110a)사이의 연장선에 대해 동일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경계단들(123c,123d)은 상기 중심들(23a,110a) 사이의 연장선에 대해 소정각도(θ)로 경사진 상기 크랭크 핀 중심(110a)의 반경방향 연장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단들(123e,123f)은 이의 크랭크 핀(110) 내주면과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한부(122)를 향해 소정각도로 더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경계단들(123c,123d,123e,123f)은 적어도 상기 키 부재(130)와의 공통 접촉점들을 가져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궤도부(121)는 도 7A의 절개부 뿐만 아니라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끝단으로부터 소정 깊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관통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인 궤도부(121)는 상기 키 부재(130)를 구속하여 수직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In the eccentric sleeve 120, the track portion 121 may be a cutout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end of the eccentric sleeve 120.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are formed to be parallel to an extension line between the crankshaft center 23a and the crank pin center 110a as shown in FIGS. 5B and 7B. That is,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are form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maximum thickness and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eccentric sleeve 110 and have different widths. Coincide with the extension line between (23a, 110a). In other words,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are located together on any extension line parallel to the extension line of the centers 23a and 110a. Thus, the key members 130 arranged on the same extension line may be caught by both of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and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are substantially common to the key members 130. Form a contact surface.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centers 23a and 110a by half the thickness t of the key member 130. Accordingly, the key member 130 is more stably and accurately engaged with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On the other hand,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at the same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centers 23a and 110a,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the boundary ends 123c and 123d are formed along a radial extension line of the crank pin center 110a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centers 23a and 110a. Can be. In addition, the boundary ends 123e and 123f may be formed to be furthe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limiting part 122 at the intersection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110. In each of these cases, the boundary ends 123c, 123d, 123e, and 123f may be engaged with each other by having at least common contact points with the key member 130. In addition, the track portion 121 may be a through hole exten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end as shown in FIG. 7D as well as the cutout of FIG. 7A. The track portion 121, which is a through hole, restrains the key member 130 so as not to be sepa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외에도 편심 슬리브(12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오일 공급공(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공급공(124)은 상기 중심들(23a,110a)사이의 연장선에 대해 대칭되게 위치되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키 부재(130)가 편심 슬리브(110)에 걸릴 때 상기 크랭크 핀의 오일 공급공(113)과 연통된다. 따라서 압축기 작동중 상기 2개의 오일 공급공(124)중 어느 하나는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오일 공급공(113)과 연통되며, 윤활유가 상기 편심 슬리브(120) 및 커넥팅 로드(33)사이에도 공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오일 공급공(124)의 주변에는 소정 깊이의 오일 홈(124a)이 형성된다. 이러한 오일 홈(124a)은 공급된 윤활유를 오일 공급공(124) 주변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예비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커넥팅 로드(33)사이의 윤활유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다시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상기 경계단(123a,123b)에 각각 형성되는 자리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리부(125)는 상기 키 부재(130)가 편심 슬리브(110)에 걸릴 때 상기 키 부재(130)를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자리부(125)는 실제적으로 상기 경계단(123a,123b)에 걸쳐 형성되는 홈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키 부재(130)의 상기 경계단(123)에 접촉하는 부위의 단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리부(125)에 의해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 에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자리부(125)로 인해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점 접촉이 아닌 면 접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작동중 상기 키 부재(130)와 편심 슬리부(120)가 계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접촉하여도, 응력 집중 및 이로 인한 피로에 의해 키 부재(130) 및 편심 슬리브(120)가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도 5A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상기 크랭크샤프트(23)사이에는 링 부재(12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링 부재(126)와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서로 선 접촉을 하게 되므로, 이들의 사이의 마찰력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ccentric sleeve 120 may further include an oil supply hole 124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height as shown in FIG. 7C. The oil supply hole 124 is formed as a through hole symmetrical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centers 23a and 110a, and the oil supply of the crank pin when the key member 130 is caught in the eccentric sleeve 110 In communication with the ball 113. Accordingly, any one of the two oil supply holes 124 communicates with the oil supply hole 113 regardless of the rotational direc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lubricating oil is also supplied between the eccentric sleeve 120 and the connecting rod 33. Can be. In addition, an oil groove 124a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round the oil supply hole 124. The oil groove 124a forms a preliminary space for diffusing the supplied lubricating oil around the oil supply hole 124 so that lubricating oil can be easily supplied between the eccentric sleeve 120 and the connecting rod 33. 7A, the eccentric sleeve 120 may further include seat portions 125 formed at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respectively. The seat 125 receives the key member 130 when the key member 130 is caught in the eccentric sleeve 110. In addition, the seat portion 125 may be a groove formed substantially over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so as to coincide with a cross section of a portion contacting the boundary end 123 of the key member 130. It is preferably formed. Therefore, the key member 130 may be stably hung on the eccentric sleeve 120 by the seat 125. In addition, the key member 13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eccentric sleeve 120 instead of point contact due to the seat 125. Therefore, even when the key member 13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ar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contac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e key member 13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are not damaged by stress concentration and the resulting fatigue. .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5A and 7C, a ring member 126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eccentric sleeve 120 and the crankshaft 23. Since the ring member 126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are in lin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m is significantly reduced, so that the eccentric sleeve 120 can rotate more smoothly.

도 5A, 도 5B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키 부재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작동 정지시에도 상기 크랭크 핀(110) 외부로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131) 및 작동중 상기 크랭크 핀(110) 외부로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1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제 1 돌출부(131)의 돌출길이를 한정하는 제 1 스토퍼(133)를 또한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압축기 정지 및 작동중 상기 키 부재(1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탄성부재(140)가 상기 키 부재(13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키 부재(130)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편심 슬리브(120)를 구속하게 된다. 특히,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돌출부(132)가 작동중 돌출되면서 상기 편심 슬리브(120)를 구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 2 돌출부(132)는 작동중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돌출되기 위해서는 원심력 작용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돌출부(1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23) 및 크랭크 핀(110)의 반경 바깥쪽에 위치되는 반면, 상기 제 1 돌출부(131)는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된다. 바꿔 말하면, 실제적으로 상기 제 2 돌출부(132)는 원심력의 영향을 크게 받기 위하여 상기 크랭크샤프트 중심(23a)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크랭크 핀(110)내에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 1 돌출부(131)는 상기 중심(23a)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131,132)가 압축기의 작동중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동시에 걸리기 위해서 상기 키 부재(130)가 상기 크랭크 핀(110)의 외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5A, 5B and 8 show a first embodiment of a key memb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illustrated, the key member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asically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3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rank pin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even when the operation stops, and the crank pin during operation. 110) a second protrusion 132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The key member 130 also includes a first stopper 133 that define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 131.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140 is installed in the key member 13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key member 130 during the compressor stop and ope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member 130 restrains the eccentric sleeve 120 while moving by centrifugal force. In particular, as mentioned above, the second protrusion 132 protrudes during operation to serve to restrain the eccentric sleeve 120. The second protrusion 132 must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direction in order to protrude by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during operation. Thus, the second protrusion 132 is located relatively radially outward of the crankshaft 23 and crank pin 110 as shown, while the first protrusion 131 is located radially inward. . In other words, the second protrusion 132 is actually disposed in the crank pin 110 away from the crankshaft center 23a so as to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first protrusion 131 is relatively 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23a.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 member 130 has a length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rank pin 110 in order for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31 and 132 to be caught simultaneously with the eccentric sleeve 120 during operation of the compressor.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돌출부(13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압축기 작동상태(정지 또는 작동)에 상관없이 상기 크랭크 핀(110)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경계단(123a,123b)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린다. 그리고 이러한 맞물림 상태는 압축기의 작동중에도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제 2 돌출부(132)상에 장착되어 상기 크랭크 핀(110) 내벽과 함께 상기 제 1 스토퍼(133)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제 1 돌출부의 돌출길이는 키 부재(130)상에 위치되는 제 1 스토퍼(133)가 상기 크랭크 핀(110)내벽에 걸림으로서 제한된다. 여기서 보다 안정적인 작동을 위하여 상기 제 1 돌출부(131)의 돌출길이는 적어도 상기 경계단(123a,123b)이 갖는 최소 폭의 절반이상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131)는 상대적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23) 및 크랭크 핀(110)의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 1 돌출부(131)는 반경방향의 안쪽 즉,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중심(23a)을 향해 계속적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키 부재(130)는 상대적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23)의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한 상기 편심 슬리브(120)의 최소 일부에 항상 걸리게 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5A, the first protrusion 131 protrudes out of the crank pin 110 regardless of the compressor operating state (stop or opera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It meshes with either one of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This engagement state is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o this end, the elastic member 140 is mounted on the second protrusion 132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stopper 133 together with the inner wall of the crank pin 110.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 is limited by the first stopper 133 positioned on the key member 130 being caught by the inner wall of the crank pin 110. In this cas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irst protrusion 131 may have a size of at least half of the minimum width of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for more stable operation.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first protrusion 131 is located relatively radially inward of the crankshaft 23 and the crank pin 110, the first protrusion 131 is radially inward, that is, the It continuously projects toward the center 23a of the crankshaft. Thus, the key member 130 is always caught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eccentric sleeve 120 located relatively radially inward of the crankshaft 23.

상기 제 2 돌출부(132)는 상기 제 1 돌출부(130)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작동중 다른 하나의 경계단과 맞물린다. 이에 따라, 작동중 상기 키 부재(130)의 제 1 및 제 2 돌출부(131,132)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동시에 걸리게 된다. 작동중 상기 키 부재(130)를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은 크랭크샤프트(23)의 회전수가 중가함에 따라 점점 증가하며,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보다 커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돌출부(130)가 원심력 방향(즉, 상기 중심(23a,110a) 사이의 연장선 방향)으로 이동 및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의 회전방향 변환시 상기 편심슬리브(120)는 편심량 변화를 위해 상기 크랭크 핀(110) 주위를 자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편심 슬리브(120)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 2 돌출부(132)는 작동정지시 끝단이 상기 크랭크 핀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The second protrusion 132 protru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protrusion 130 and engages with the other boundary of the operation.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31 and 132 of the key member 130 are caught simultaneously with the eccentric sleeve 120 during operation.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along the key member 130 during operation increases gradually a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rankshaft 23 increases, and become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Accordingly, the second protrusion 130 is moved and protrudes in the centrifugal force direction (that is, the extension line direction between the centers 23a and 110a). Here,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or is converted, the eccentric sleeve 120 rotates around the crank pin 110 to change the amount of eccentricity. Therefore, the second protrusion 132 should have a length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when the operation stop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eccentric sleeve 120.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131,132)는 크랭크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경계단들(123a,123b)과 번갈아 가며 맞물리게 된다.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중심들(23a,110a)사이의 연장선상에 또는 적어도 이러한 연장선에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만일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131,132)의 두께(t1,t2)가 서로 다르면, 상기 경계단들(123a,123b)과의 접촉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131,132)의 두께(t1,t2)는 상기 경계단(123a,123b)들과 정확하게 맞물리기 위하여 동일한 두께를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키 부재(130)의 단면은 본 발명에 있어서 원형을 기준으로 설명 및 도시되나, 사각형 및 육각형등과 같이 상기 경계단(123a,123b)과 맞물릴 수 있는 어떠한 형상도 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31 and 132 are alternately engaged with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rankshaft. The key member 130 is arranged on an extension line between the centers 23a and 110a or at least parallel to the extension line so that if the thicknesses t1 and t2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31 and 13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ontact position with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is not constant. Therefore, the thicknesses t1 and t2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131 and 132 must have the same thickness in order to accurately engage the boundary ends 123a and 123b.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key member 130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the circ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any shap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boundary end (123a, 123b), such as square and hexag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토퍼(133)의 접촉면(133a)은 상기 크랭크 핀(100)의 내주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크랭크 핀(110)과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으며, 증가된 자체 중량으로 인해 보다 원활한 작동(즉, 원심력 증가로 인한 상기 제 2 돌출부(132)의 용이한 돌출)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스토퍼(133)는 상기 탄성부재(14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1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133a) 및 리세스(133b)는 상기 키 부재(130)의 안정적 작동을 실질적으로 보조한다. 한편, 상기 제 1 스토퍼(133)는 상기 키 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키 부재(13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형 제 1 스토퍼(133)의 예들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다. As shown in FIG. 9, the contact surface 133a of the first stopper 133 may have a shape that match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100. Accordingly, the key member 130 can be accurately engaged with the crank pin 110, and the smoother operation due to the increased self weight (i.e., the easy protru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32 due to the increase in centrifugal force). This is done. Preferably, the first stopper 133 may further include a recess 133b for stably accommodating the elastic member 140. These contact surfaces 133a and recesses 133b substantially assist the stable operation of the key member 130. Meanwhile, the first stopper 13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key member 130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to be mounted on the key member 130. Examples of such a detachable first stopper 133 are shown in FIGS. 10A and 10B.

먼저, 상기 제 1 스토퍼(133)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33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스토퍼(133)는 이러한 돌출부(133a)가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원주방향 홈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키 부재(130)에 결합된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링 부재인 제 1 스토퍼(133)는 상기 키 부재(130)의 소정 위치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도 있다. 이러한 분리형 스토퍼(133)는 상기 키 부재 장착부(111a,111b)가 둘 다 관통공 인 경우에도 상기 키 부재(130)가 크랭크 핀(130)내에 장착될 수 있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스토퍼(133)가 상기 크랭크 핀(110)내에 위치되며, 나머지 키 부재(130)가 상기 관통공들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133)와 결합된다.First, the first stopper 133 may include a protrusion 133a extending radially inward as shown in FIG. 10A. Accordingly, the first stopper 133 is coupled to the key member 130 by being inserted into the circumferential groove in which the protrusion 133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B, the first stopper 133, which is a simple ring member, may be fixed by a fixing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key member 130. This detachable stopper 133 allows the key member 130 to be mounted in the crank pin 130 even when the key member mounting portions 111a and 111b are both through holes. More specifically, first, the stopper 133 is positioned in the crank pin 110, and the remaining key member 130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to be coupled with the stopper 133.

한편, 상기 키 부재(130)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132)의 돌출길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작동도중에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압축기가 작동 개시시 크랭크샤프트(23) 및 크랭크 핀(110)이 비정상적으로 급격하게 가속되어 이에 따라 상당히 큰 순간 원심력이 상기 키 부재(130)에 부여될 수 있다.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제 2 돌출부(132)가 과다하게 돌출되어 상기 제 1 돌출부(131)가 상기 장착부(111)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키 부재(130)는 원심력 작용방향에 따른 상기 제 2 돌출부(133)의 크랭크 핀(110) 외부로의 돌출길이를 제한하는 제 2 스토퍼(13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key member 130,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protrusion 132 is adjustab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during normal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the compressor starts to operate, the crankshaft 23 and the crank pin 110 are accelerated abnormally sharply, so that a very large instantaneous centrifugal force can be applied to the key member 130.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the second protrusion 132 may protrude excessively, and the first protrusion 131 may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111. Accordingly, the key member 13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opper 134 for limiting the length of protru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33 to the outside of the crank pin 110 in the centrifugal force action direction.

상기 제 2 스토퍼(134)는 먼저 상기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돌출부(132)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관형 부재(134a)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제 2 스토퍼(134a)와 제 2 돌출부(132)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제 2 스토퍼(134a)는 상기 키 부재(130)가 원심력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제 1 스토퍼(133)와 크랭크 핀(110) 내벽과 각각 접촉하여 제 2 돌출부(133)가 일정 길이이상 돌출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스토퍼(134)는 적어도 상기 제 2 돌출부(133)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갖는 연장부(134b)가 될 수 있다. 즉, 도 11B의 제 2 스토퍼(134b)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스토퍼(133)의 길이방향 연장부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제 2 스토퍼(134b)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스토퍼(134)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갖는 상기 제 2 돌출부의 반경방향 연장부(134c)가 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상기 제 1 스토퍼(133)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반경방향 연장부(134c)와 크랭크 핀(110) 내주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제 2 스토퍼(134b,134c)들은 앞서 도 10A 및 도 10B에 설명된 제 1 스토퍼(133)의 변형예와 유사하게 별도의 부재로 상기 키 부재(130)에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A, the second stopper 134 may be a hollow tubular member 134a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econd protrusion 132.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140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stopper 134a and the second protrusion 132. The second stopper 134a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key member 130 moves in the centrifugal force direction, the second stopper 133 does not protrude for a predetermined length by contacti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stopper 133 and the crank pin 110, respectively. do. As shown in FIG. 11B, the second stopper 134 may be an extension 134b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at leas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rotrusion 133. That is, the second stopper 134b of FIG. 11B is substantially formed as a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first stopper 133.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140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134b. In addition, the second stopper 134 may be a radial extension 134c of the second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shown in FIG. 11C, and is substantially similar in shape to the first stopper 133. Has The elastic member 140 is installed between the radially extending portion 134c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110. Each of the second stoppers 134b and 134c may be fixed to the key member 130 as a separate member, similar to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stopper 133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0A and 10B.

다른 한편(alternatively), 이와 같은 제 2 스토퍼(134)를 대신하여 상기 탄성부재(14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 부재(130), 정확하게는 제 2 돌출부(132)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140)는 불균일한 스프링 상수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탄성계수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40)는 압축기의 작동중에 상대적으로 덜 변형되며, 이는 상기 제 2 돌출부(132)의 돌출길이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큰 원심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 2 돌출부(132)의 돌출은 상당히 억제되어 키 부재(130), 특히 제 1 돌출부(131)가 상기 크랭크 핀(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부가 상기 키부재(130)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최대일 경우에도 상기 제 1돌출부(131)가 상기 크랭크 핀(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변위가 발생하도록 큰 탄성계수를 갖는 경우, 상기 제 2 돌출부(132)의 과도한 돌출은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nstead of the second stopper 134, the elastic member 140 may move the key member 130, precisely, the second protrusion 132, as shown in FIG. 12. It may also be configured to restrict. To this end, the elastic member 140 has a non-uniform spring constant, so that some of the elastic member 140 has a relatively large elastic modulus compared to other parts. Thus, the elastic member 140 is relatively less deformed during operation of the compressor, which substantially reduce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protrusion 132. Thus, even if an abnormally large centrifugal force is applied,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32 is considerably suppressed to prevent the key member 130, particularly the first protrusion 13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rank pin 110. More preferably, even when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140 has the maximum centrifugal force generated in the key member 130, the first protrusion 131 is displaced in a range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rank pin 110. In the case of having a large modulus of elasticity so as to occur, excessive protru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32 may be completely prevented.

도 12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탄성부재(140)는 실제적으로 소정 탄성계수를 갖는 제 1 탄성부재(141)와 상기 제 1 탄성부재(142)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제 2 탄성부재(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탄성부재(141)는 상기 제 1 돌출부(131)를 계속적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스토퍼(133)와 접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탄성부재(142)는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돌출부(131)를 돌출시키고 상기 제 1 탄성부재(141)와 함께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탄성부재(141)와 접하며 상기 크랭크 핀(110)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140)가 스프링 형태인 경우, 상기 제 1 탄성부재(141)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스프링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탄성부재(142)는 상기 제 1 탄성부재(141)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더 큰 스프링 상수 즉, 탄성계수를 갖도록 상기 제 1 탄성부재(141)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프링이 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탄성부재(141)는 상기 제 2 돌출부(142)의 과도한 돌출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키 부재(130)에 걸리는 원심력이 최대일 경우에도 상기 제 1돌출부(131)가 상기 크랭크 핀(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변위가 발생하도록 큰 탄성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 1 탄성부재(141)만이 변형되며 상기 제 2 탄성부재(142)는 원심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2 스토퍼(134)와 유사하게 상기 제 2 탄성부재(142)는 상기 키 부재(14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40)는 제 2 스토퍼(134) 없이도 키 부재(130)의 이탈을 방지하므로, 키 부재(130)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며 이의 조립 또한 용이하게 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elastic member 14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141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modulus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42 having a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first elastic member 142. It includes. Here, the first elastic member 141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topper 133 so as to continuously project the first protrusion 131. The second elastic member 142 may likewise protrude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may be deformed together with the first elastic member 141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astic member 141 and the crank pin ( It is support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110.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elastic member 140 is in the form of a spring, the first elastic member 141 is a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second elastic member 142 is continuously formed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141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elastic member 141 so as to have the larger spring constant, that is, the elastic modulus. Becomes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lastic member 141 has the first protrusion 131 even when the centrifugal force applied to the key member 130 is maximum to completely prevent excessive protrusion of the second protrusion 142. It is desirable to have a large modulus of elasticity so that displacement occurs in a range where the c) does not deviate from the crank pin 110. That is, in this case, only the first elastic member 141 is deformed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42 is not deformed by centrifugal force. Thus, similar to the second stopper 134, the second elastic member 142 prevents excessive movement of the key member 140. Since the elastic member 140 prevents the key member 130 from being separated without the second stopper 134, the structure of the key member 130 is simplified and its assembly is also easy.

요약하면, 상기 키 부재(130)는 기본적으로 상기 크랭크 핀(110)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적어도 상기 핀(110)의 직경보다 소정 크기 이상으로 큰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키 부재(130)는 작동 정지시에도 적어도 일부(즉, 제 1 돌출부)가 크랭크 핀(110) 외부로 돌출되며 작동중 원심력에 의해 다른 일부(제 2 돌출부)가 돌출된다. 즉, 상기 키 부재(130)는 적어도 상기 편심 슬리브(120)의 일부에 계속적으로 걸리며, 작동시 상기 편심 슬리브(120)에 추가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실제적으로 다수개의 지점에서 접촉하게 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설정된 상기 편심슬리브(120)의 양 끝단과 작동시 동시에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모터의 임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도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를 회전하는 크랭크 핀(120)에 완전하게 맞물리게 함으로서 상호간에 발생되는 회전모멘트에 의한 상대 회전을 방지한다. In summary, the key member 130 is basically movably mounted in the crank pin 110 and has a length that is at least a predetermined siz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n 110. The key member 130 has at least a portion (that is, the first protrusion) protrudes out of the crank pin 110 even when the operation stops, and another portion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es by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operation. That is, the key member 130 is continuously caught at least a portion of the eccentric sleeve 120, and is configured to additionally be caught by the eccentric sleeve 120 during operation. Accordingly, the key memb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eccentric sleeve 120 at a plurality of points, and more specifically, in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eccentric sleeve 120 set based on an arbitrary center line. Done. As a result, the key member 130 is completely engaged with the crank pin 120 that rotates the eccentric sleeve 120 even in any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otor, thereby preventing relative rotation due to mutually generated rotation moments.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용량 압축기의 작동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시계방향 회전시의 작동을 나타내며 도 14A 및 도 14B는 역방향 회전시의 작동을 나타낸다.The operation of the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next with reference to the associated drawings. 13A and 13B show the operation in the clockwise rotation and FIGS. 14A and 14B show the operation in the reverse rotation.

먼저 도 13A에는 크랭크샤프트(23)가 정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때 키 부재(130)와 편심 슬리브(120)사이의 상대위치가 도시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돌출부(131)는 탄성력에 의해 크랭크 핀(110)외부로 이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항상 돌출된다. 상기 제 1 돌출부(131)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크랭크 핀, 편심슬리브 및 키 부재(110,120,130)는 상기 크랭크샤프트 중심(23a)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공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공전중 상기 크랭크 핀(110)과 커넥팅 로드(33)사이에는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대 마찰력(f)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이러한 마찰력(f)으로 인해 크랭크 핀 중심(110a)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며, 이의 얇은 두께측 경계단(123b)이 상기 돌출된 제 1 돌출부(131)에 걸린다. 일단 상기 크랭크샤프트(23)가 회전되면, 상기 마찰력(f)은 크랭크샤프트(23)의 회전중 지속적으로 발생되므로, 상기 제 1 돌출부(131)와 경계단(123b)사이의 걸림은 계속 유지된다. 이 때 회전 각속도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상기 키 부재(130)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력(F)에 의해 이의 작용방향 즉, 중심들(23a,110a)사이의 연장선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돌출부(132)는 두꺼운 두께측 경계단(123a)과 맞물리며, 상기 제 1 돌출부(131)도 동시에 상기 경계단(123b)과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동시적인 다점 접촉으로 인해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완전하게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정방향 회전에 있어서 압축과정후 작동유체의 재 팽창에 의해 외력(P) 및 다른 어떤 힘이 상기 커넥팅 로드(33)를 통해 전달되어도 상기 크랭크 핀(110)과 편심 슬리브(120)사이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편심 슬리브(120)에 국부적인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크랭크 핀(110)에 대한 상대회전이 또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실선부분이 상사점 상태, 점선부분이 하사점 상태를 각각 나타내며, 정방향회전의 경우 편심 슬리브(120)가 상기 커넥팅 로드(33)에 연결된 피스톤(도시안됨)과 크랭크 핀(110)사이에서 최대 편심량을 생성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피스톤이 최대 행정길이(Lmax)로 왕복운동하며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최대 압축용량을 갖는다. First, FIG. 13A show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key member 13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when the crankshaft 23 begins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ie clockwis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trusion 131 always protrudes outwardly of the crank pin 110 by its elastic force in its radially inward direction. When the crankshaft 23 starts to rotate clockwise while the first protrusion 131 is protruded, the crank pins, the eccentric sleeve and the key members 110, 120, and 130 are clockwise around the crankshaft center 23a. To start spinning. During this idle, the relative friction force f is generated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connecting rod 33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Accordingly, the eccentric sleeve 120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crank pin center 110a due to this frictional force f, and the thin thickness side boundary end 123b thereof protrudes from the first protrusion 131. Takes on Once the crankshaft 23 is rotated, the friction force f is continuously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23, so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boundary end 123b is maintained. . At this time, when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reaches a certain level, the key member 130 is moved along its extension direction between its center of action (23a, 110a) by the centrifugal force (F) as shown in Figure 13B. Accordingly, the second protrusion 132 is engaged with the thick thickness side boundary end 123a, and the first protrusion 131 also maintains contact with the boundary end 123b at the same time. This simultaneous multi-point contact causes the key member 130 to fully engage the eccentric sleeve 120. Therefore, in the forward rotation,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even if the external force P and any other force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ng rod 33 by re-expansion of the working fluid after the compression process. This is avoided. And even if a local rotation moment occurs in the eccentric sleeve 120, the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crank pin 110 can also be prevent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B, the solid line portion of the figure shows a top dead center state, and the dotted line portion represents a bottom dead center state, and in the case of forward rotation, an eccentric sleeve 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33 (not shown). And crank pin 110 are arranged to produce a maximum amount of eccentricity. Thus the piston reciprocates at the maximum stroke length Lmax and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maximum compression capacity.                     

한편, 상기 크랭크샤프트(23)가 역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크랭크 핀(110)과 커넥팅 로드(33)사이에는 상대 마찰력(f)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발생된다.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도 13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크랭크 핀 중심(110a)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자전하며,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꺼운 두께측 경계단(123a)이 상기 제 1 돌출부(131)와 맞물린다. 마찬가지로 상기 크랭크샤프트(23)의 회전중 상기 마찰력(f)에 의해 상기 제 1 돌출부(131)와 경계단(123a)사이의 걸림은 계속 유지된다. 상기 정회전시와 동일하게, 회전 각속도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력(F)에 의해 상기 제 2 돌출부(232)는 얇은 두께측 경계단(123b)과 맞물리며,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키 부재(130)사이에 다점 접촉상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역방향 회전에 있어서 압축과정중 작동유체가 피스톤에 가하는 압력에 의한 외력(P) 및 다른 어떤 힘이 전달되어도 상기 크랭크 핀(110)과 편심 슬리브(120)사이의 상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회전의 경우 편심 슬리브(120)가 최소 편심량을 갖도록 배열되므로 피스톤이 최소 행정길이(Lmin)로 왕복운동하며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최소 압축용량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rankshaft 23 starts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counterclockwise, the relative friction force f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connecting rod 33 is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that is, clockwise. Is caused by. The eccentric sleeve 120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crank pin center 110a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13A, and as shown in FIG. 14A, a thick thickness side boundary end 123a is formed in the first protrusion ( 131). Similarly,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31 and the boundary end 123a is maintained by the friction force f during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23. As in the forward rotation, when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as shown in FIG. 14B, the second protrusion 232 is engaged with the thin thickness side boundary end 123b by the centrifugal force F, and the eccentric sleeve A multi-point contact state is made between the 120 and the key member 130. Therefore, in the reverse rotation, even if the external force P and any other force due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working fluid to the piston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can be prevented.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B, in the case of the reverse rotation, since the eccentric sleeve 120 is arranged to have the minimum amount of eccentricity, the piston reciprocates at the minimum stroke length Lmin, and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inimum compression capacity.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상기 키 부재(130)에 의해 편심량을 유지하는 구성요소 즉, 크랭크 핀(110)과 편심 슬리브사이(120)의 상대회전을 완전하게 배제함으로서 임의의 작동상태, 즉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of any operating state, i.e., by completely excluding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by the key member 130. It can operate stably even in forward or reverse rotation.

한편,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구조적인 이유로 편향된 무게중심(G)을 갖는다. 즉, 상기 무게중심(G)은 더 무거운 제한부(122)쪽에 위치된다. 상기 크랭크샤프트(23)의 회전중 편심슬리브(120)의 무게중심(G)에는 상기 무게 중심(G)과 크랭크샤프트의 중심(23a)사이의 연장선을 따라 원심력(C)이 작용한다. 상기 무게중심(G)이 편향되어 있으므로 상기 원심력(C)은 상기 크랭크 핀 중심(110a)에 대해서 회전 모멘트(M)를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모멘트(M)는 상기 원심력(C)과 상기 크랭크 핀 중심(110a)까지의 팔길이(d)의 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회전 모멘트(M)는 크랭크샤프트(23)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회전중 상기 무게중심(G)에 의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모멘트가 상기 편심 슬리브(120)에 발생하며,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 회전중 반시계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발생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력(f)은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편심 슬리브(120)를 자전시켜 상기 제 1 돌출부(131)에 걸리게 하는 반면, 이와 같은 회전 모멘트(M)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를 압축기의 회전방향으로 자전시키려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회전 모멘트(M)에 의해 편심 슬리브(120)는 단속적으로 미세하게 자전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키 부재(130)로부터 해제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심 슬리브(120)의 자전은 상기 제 2 돌출부(132)의 돌출 및 걸림(latching)을 방해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the eccentric sleeve 120 has a center of gravity G biased for structural reasons. That is, the center of gravity G is located towards the heavier limiting portion 122. The centrifugal force (C) acts along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G) and the center (23a) of the crankshaft in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eccentric sleeve (120) during the rotation of the crankshaft (23). Since the center of gravity G is deflected, the centrifugal force C generates a rotation moment M with respect to the crank pin center 110a. More specifically, as shown, the rotation moment M is represented by the product of the centrifugal force C and the arm length d to the center of the crank pin 110a. This rotation moment (M) act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ankshaft (23). That is, as shown in FIG. 15A, a rotation moment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generated in the eccentric sleeve 120 by the center of gravity G during clockwise rotation, and as shown in FIG. 15B, counterclockwise.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moment is generated during rot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riction force f rotates the eccentric sleeve 12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to be caught by the first protrusion 131, while such rotation moment M is the eccentric sleeve. There is a tendency to rotate 120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compressor. Therefore, the eccentric sleeve 120 may be intermittently finely rotated by the rotation moment M, and thus may be released from the key member 130.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leeve 120 prevents the protrusion and latching of the second protrusion 132.

상기 키 부재의 제 2 실시예(230)는 이와 같은 원심력(C)/회전모멘트(M)에 의한 편심 슬리브(120)의 자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키 부재(230)가 도 16A-도 16C 및 도 17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The second embodiment 230 of the key member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leeve 120 due to this centrifugal force C / rotation moment M. As shown in FIG. This key member 230 is shown in detail in FIGS. 16A-16C and 17.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작동중 상기 크랭크 핀(110) 외부로 소정 길이로 항상 돌출되는 제 1 돌출부(231) 및 제 2 돌출부(2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출부(232)는 압축기의 정지시에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걸리지 않으며, 압축기의 작동중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걸리도록 이동된다. 또한, 상기 키 부재(230)는 이의 어느 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스토퍼(233)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토퍼(233)는 상기 제 2 돌출부(232)의 반경방향 안쪽으로의 이동 및 이에 따른 돌출길이를 제한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키 부재(2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탄성부재(140)가 상기 키 부재(230)에 설치된다. 앞서 도 15A 및 도 15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원심력(C) 및 회전모멘트(M)에 의해 편심 슬리브(120)가 자전하므로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의 반경방향 바깥쪽 일부와 걸리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230)는 상대적으로 크랭크샤프트(23)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한 편심 슬리브(120)의 일부와 압축기의 작동시작시부터 계속적으로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계속적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231)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23) 및 크랭크 핀(110)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되는 반면, 상기 제 2 돌출부(232)는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된다. 바꿔 말하면, 실제적으로 상기 제 1 돌출부(231)는 편심 슬리브(120)의 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크랭크샤프트 중심(23a)으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크랭크 핀(110)내에 배치되며, 상대적으로 상기 제 2 돌출부(131)는 상기 중심(23a)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As shown, the key member 23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basically includes a first protrusion 231 and a second protrusion 232 which always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out of the crank pin 110 during operation. Include. The second protrusion 232 is not caught by the eccentric sleeve 120 when the compressor is stopped, and is moved by the eccentric sleeve 12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n addition, the key member 230 also includes a first stopper 233 that restricts movement in either direction thereof. The first stopper 233 limits the radially inward movement of the second protrusion 232 and thus the protrusion length.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140 is installed on the key member 23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key member 230 as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the eccentric sleeve 120 rotates by the centrifugal force C and the rotation moment M, so that the key member 130 is radially outward of the eccentric sleeve 120. It gets hard with som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 member 2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tinuously caught from the start of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and a portion of the eccentric sleeve 120 located relatively outward of the crankshaft 23. The first protrusion 231 continuously protruding for this purpose is located radially outward of the crankshaft 23 and the crank pin 110 as shown, while the second protrusion 232 is radially outward. It is located inside. In other words, the first protrusion 231 is actually disposed in the crank pin 110 away from the crankshaft center 23a in orde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leeve 120, and relatively the second protrusion 131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23a.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돌출부(231)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상기 크랭크 핀(110)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231)는 상대적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23) 및 크랭크 핀(110)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작동중 발생되는 원심력 작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돌출부(231)는 작동중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의 걸림이 압축기의 작동중에도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sion 231 has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continuously protrude out of the crank pin 110 as shown in FIG. 16A. In addition, as mentioned above, the first protrusion 231 relatively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of the crankshaft 23 and the crank pin 110, and fac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entrifugal force action direction generated during operation.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6C, the first protrusion 231 further protrudes radially outward by centrifugal force during operation, whereby the engagement with the eccentric sleeve 120 is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compressor.

상기 제 2 돌출부(232)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크랭크 핀(110) 외부로 상기 제 1 돌출부(231)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제 1 돌출부(231)상에 장착되어 상기 크랭크 핀(110) 내벽과 함께 상기 제 1 스토퍼(233)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제 2 돌출부(232)의 돌출길이는 키 부재(130)상에 위치되는 제 1 스토퍼(233)가 상기 크랭크 핀(110) 내벽에 걸림으로서 제한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의 회전방향 변환시 상기 편심슬리브(120)는 편심량 변화를 위해 상기 크랭크 핀(110) 주위를 자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편심 슬리브(120)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 2 돌출부(232)는 작동정지시 상기 편심 슬리브(120)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크랭크 핀(110) 외부로 돌출되어야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돌출부(232)는 상기 편심 슬리브(130)를 통과시키기 위한 채널(232a)을 포함한다. 이러한 채널(232a)의 폭은 상기 편심 슬리브(130)의 최대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채널(232a)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제 2 돌출부의 끝단(232b)은 실제적으로 편심 슬리브(120)의 외부에 위치된다. 작동중 상기 키 부재(230)를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F)은 크랭크샤프트(23)의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점 증가하며,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보다 커진다. 이러한 원심력(F)에 의해 상기 제 2 돌출부(232)가 원심력 방향(즉, 상기 중심(23a,110a) 사이의 연장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돌출부의 끝단(232b)이 상기 편심 슬리브(120)에 걸린다. 따라서 작동중 상기 키 부재(230)의 제 1 및 제 2 돌출부(231,232)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동시에 걸리게 된다. The second protrusion 232 protrudes out of the crank pin 1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protrusion 23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To this end, the elastic member 140 is mounted on the first protrusion 231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stopper 233 together with the inner wall of the crank pin 110.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protrusion 232 is limited by the first stopper 233 positioned on the key member 130 being caught by the inner wall of the crank pin 110. On the other hand, the eccentric sleeve 120 is rotated around the crank pin 110 to change the amount of eccentricity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mpressor is converted. Therefore, the second protrusion 232 should protrude out of the crank pin 110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232 is not caught by the eccentric sleeve 120 when the operation is stopp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eccentric sleeve 120. More specifically, as shown, the second protrusion 232 includes a channel 232a for passing the eccentric sleeve 130. The width of the channel 232a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maximum width of the eccentric sleeve 130. Due to this formation of the channel 232a, the end 232b of the second protrusion is actually located outside of the eccentric sleeve 120. The centrifugal force F generated along the key member 230 during operation increases gradually a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rankshaft 23 increases, and become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By the centrifugal force F, the second protrusion 232 moves in the centrifugal force direction (that is, the extension line direction between the centers 23a and 110a), and as shown in FIG. 16C, th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 232b is caught in the eccentric sleeve 120. Thus, during operatio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231 and 232 of the key member 230 are caught simultaneously with the eccentric sleeve 120.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230)는 상기 크랭크 핀(110), 편심 슬리브(120)의 변형없이 본 발명의 이중용량 압축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크랭크 핀(110) 및 편심 슬리브(120)는 상기 도 6A-도 7D를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되며 상기 키부재(230)에 대한 추가적인 특징만이 다음에서 간략하게 설명된다. The key member 2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formation of the crank pin 11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Since the crank pin 11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7D,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and only additional features of the key member 230 are briefly described below.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스토퍼(233)는 상기 크랭크 핀(110)의 내주면과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접촉면(233a)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수용부(2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면(233a) 및 수용부(233b)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230)의 안정적 작동을 실질적으로 보조한다. 또한, 상기 제 1 스토퍼(233)는 상기 키 부재(2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8, the first stopper 233 includes a contact surface 233a having a shape coinciden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110, and preferably, a receiving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140. 233b may be further included. This contact surface 233a and the receiving portion 233b substantially assist the stable operation of the key member 2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addition, the first stopper 233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key member 230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231,232)의 돌출 및 이동은 정상적인 작동도중에 는 상기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순간 원심력에 의해 키 부재(230)가 이탈되거나, 특히 제 2 돌출부(232)가 상기 편심 슬리브(120)에 정확하게 걸리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키 부재(230)의 비 정상적인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 부재(230)는 이의 원심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스토퍼(234)를 더 포함한다. 도 19A-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스토퍼(234)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제 2 실시예의 제 2 스토퍼(234)는 각각 상기 제 2 스토퍼(234)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관형 부재(234a)(도19A), 상기 제 1 스토퍼(133)의 길이방향 연장부(234b)(도 19B) 또는 소정 두께를 갖는 상기 제 1 돌출부(231)의 반경방향 연장부(234c)(도 19C)가 된다. Protrusion and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231 and 232 are adjustabl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0 during normal operation.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key member 230 may be released by the instantaneous centrifugal force, or in particular, the second protrusion 232 may not be accurately caught by the eccentric sleeve 120. In order to prevent such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key member 230, preferably, the key member 230 further includes a second stopper 234 for limiting its movement in the centrifugal force direction. As shown in Figs. 19A-19C, the second stopper 234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second stopper 234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hollow tubular member 234a (FIG. 19A) and a length of the first stopper 133, which ar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econd stopper 234, respectively. Directional extension 234b (Fig. 19B) or radial extension 234c (Fig. 19C) of the first protrusion 231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또한 상기 제 2 스토퍼(234)를 대신하여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균일한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부재(140)가 상기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230)에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탄성부재(140)는 소정 탄성계수를 갖는 제 1 탄성부재(141)와 상기 제 1 탄성부재(142)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제 2 탄성부재(142)를 포함한다. 실제적으로 상기 제 1 탄성부재(141)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스프링이 되며, 상기 제 2 탄성부재(142)는 더 큰 스프링 상수 즉, 탄성계수를 갖도록 상기 제 1 탄성부재(141)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프링이 된다. 상기 제 2 탄성부재(141)는 상기 키 부재(230)의 과도한 이동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키부재(130)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최대일 경우에도 상기 제 1돌출부(131)가 상기 크랭크 핀(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변위가 발생하도록 큰 탄성계수를 갖는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상기 키 부재(230)의 원심력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여 키 부재(230)의 이탈이나 편심 슬리브에 걸리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2 스토퍼(234)와 같은 추가적인 부품을 배제함으로서 키 부재(130)의 구조 단순화 및 조립의 용이성이 달성된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140 having a non-uniform elastic modulus as shown in FIG. 20 in place of the second stopper 234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in the key member 2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appli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lastic member 140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141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modulus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42 having a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first elastic member 142. In practice, the first elastic member 141 is a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42 is larger than the first elastic member 141 to have a larger spring constant, that is, an elastic modulus. It is a spring having a diameter. In order to completely prevent excessive movement of the key member 230, the second elastic member 141 may allow the first protrusion 131 to have the crank pin () even when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in the key member 130 is maximum. It has a large modulus of elasticity so that displacement occurs 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110). The elastic member 140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key member 230 in the centrifugal force direction to prevent the key member 230 from being detached or caught by the eccentric sleeve. And by excluding additional parts such as the second stopper 234, the structure simplification and ease of assembly of the key member 130 are achieved.

앞서 설명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키 부재를 갖는 이중용량 압축기의 작동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된다. 도 21A 및 도 21B는 시계방향 회전시의 작동을 나타내며 도 22A 및 도 22B는 역방향 회전시의 작동을 나타낸다. The operation of a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with a key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next with reference to the associated drawings. 21A and 21B show the operation in the clockwise rotation and FIGS. 22A and 22B show the operation in the reverse rotation.

도 21A에는 크랭크샤프트(23)가 정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할 때 키 부재(130)와 편심 슬리브(120)사이의 상대위치가 도시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돌출부(231)는 탄성력에 의해 크랭크 핀(110)외부로 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항상 돌출된다. 상기 제 1 돌출부(231)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크랭크 핀, 편심슬리브 및 키 부재(110,120,130)는 상기 크랭크샤프트 중심(23a)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공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공전중 상기 크랭크 핀(110)과 커넥팅 로드(33)사이에는 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마찰력(f)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이러한 마찰력(f)으로 인해 크랭크 핀 중심(110a) 주위로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편심 슬리브(120), 정확하게는 제한부(122)는 상기 제 2 돌출부의 채널(232a)을 통과하여 이의 얇은 두께측 경계단(123b)이 상기 돌출된 제 1 돌출부(231)에 걸린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돌출부(231)가 상대적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반경방향 바깥쪽 위치에서 상기 편심 슬리브(120)에 걸리므로, 상기 편심 슬리브(120)의 무게 중심(G)은 원심력의 작용선(중심들(23a,110a) 사이의 연장선)에 대해 도 15A의 무게중심에 대향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무게 중심(G)으로 인해 원심력(C)은 회전방향과 반대방향(반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M)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f)과 더불어, 이러한 회전 모멘트(M)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를 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자전시키도록 작용하여 상기 제 1 돌출부(231)와 경계단(123b) 사이의 걸림이 안정적으로 계속 유지된다. 이 후 회전 각속도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상기 키 부재(130)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력(F)에 의해 이의 작용방향 즉, 중심들(23a,110a) 사이의 연장선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16C에서도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돌출부(132)의 끝단(232b)은 두꺼운 두께측 경계단(123a)과 맞물리며, 상기 제 1 돌출부(131)도 동시에 상기 경계단(123b)과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 모멘트(M)에 의해 상기 제 1 돌출부(231)의 걸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상기 제 2 돌출부(232)는 상기 편심슬리브(120)에 원활하게 걸릴 수 있다. 이러한 동시적인 다점 접촉으로 인해 상기 키 부재(130)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완전하게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정방향 회전에 있어서 압축과정후 작동유체의 재 팽창에 의해 외력(P) 및 다른 어떤 힘이 상기 커넥팅 로드(33)를 통해 전달되어도 상기 크랭크 핀(110)과 편심 슬리브(120) 사이의 상대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편심 슬리브(120)에 국부적인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크랭크 핀(110)에 대한 상대회전이 또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실선부분이 상사점 상태, 점선부분이 하사점 상태를 각각 나타내며, 정방향회전의 경우 편심 슬리브(120)가 최소 편심량을 갖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피스톤이 최대 행정길이(Lmin)로 왕복운동하며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최소 압축용량을 갖는다. FIG. 21A show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key member 13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when the crankshaft 23 begins to rotate in the forward or clockwis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rotrusion 231 always protrudes outwardly of the crank pin 110 by its elastic force and radially outward thereof. When the crankshaft 23 starts to rotate clockwise while the first protrusion 231 is protruded, the crank pins, the eccentric sleeve and the key members 110, 120, and 130 are clockwise around the crankshaft center 23a. To start spinning. During this idle, a relative friction force f is generated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connecting rod 33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that is, counterclockwise. Thus, the eccentric sleeve 120 begins to rotate counterclockwise around the crank pin center 110a due to this frictional force f.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precisely the limiting portion 122, passes through the channel 232a of the second protrusion so that its thin side edge 123b is caught by the protruding first protrusion 231. As shown in FIG. 23A, since the first protrusion 231 is caught by the eccentric sleeve 120 in a relatively radially outward position of the crankshaft,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eccentric sleeve 120 Is located opposite the center of gravity of FIG. 15A with respect to the line of a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extension line between centers 23a and 110a). Due to this center of gravity G, the centrifugal force C generates a rotation moment M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counterclockwise). Therefore, together with the friction force f acting in the same direction, this rotation moment M acts to rotate the eccentric sleeve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that is, counterclockwise, so as to rotate the first protrusion 231. )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edge 123b is kept stable. Then, when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reaches a certain level, the key member 130 is moved along its extension direction between the centers of action 23a and 110a by the centrifugal force F as shown in Fig. 21B. Accordingly,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C, the end 232b of the second protrusion 132 is engaged with the thick thickness side boundary end 123a, and the first protrusion 131 is simultaneously with the boundary end 123b. Keep contac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cking of the first protrusion 231 is stably maintained by the rotation moment M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the second protrusion 232 smoothly covers the eccentric sleeve 120. Can take This simultaneous multi-point contact causes the key member 130 to fully engage the eccentric sleeve 120. Therefore, in the forward rotation,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even if the external force P and any other force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ing rod 33 by re-expansion of the working fluid after the compression process. This is avoided. And even if a local rotation moment occurs in the eccentric sleeve 120, the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crank pin 110 can also be prevent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1B, the solid line portion of the figure shows the top dead center state and the dotted line portion the bottom dead center stat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forward rotation, the eccentric sleeve 120 is arranged to have the minimum amount of eccentricity. Thus the piston reciprocates at the maximum stroke length Lmin and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minimum compression capacity.

상기 크랭크샤프트(23)가 역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크랭크 핀(110)과 커넥팅 로드(33)사이에는 상대 마찰력(f)이 회전방향의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도 21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상기 채널(232a)을 통해 크랭크 핀 중심(110a)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자전하기 시작한다. 이 후,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꺼운 두께측 경계단(123a)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131)와 맞물린다. 상기 시계방향 회전과 같은 이유로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슬리브의 무게 중심(G)은 원심력의 작용선에 대해 도 15B의 무게중심에 대향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원심력(C)은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M)를 발생시키며,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f)과 회전 모멘트(M)에 의해 상기 제 1 돌출부(231)와 경계단(123a)사이의 걸림이 안정적으로 계속 유지된다. 상기 정회전시와 동일하게, 회전 각속도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력(F)에 의해 상기 제 2 돌출부(232)는 얇은 두께측 경계단(123b)과 맞물리며,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키 부재(130)사이에 다점 접촉상태가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 1 돌출부(231)의 안정적인 걸림으로 인해 시계방향 회전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돌출부(232)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에 원활하게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역방향 회전에 있어서 압축과정중 작동유체가 피스 톤에 가하는 압력에 의한 외력(P) 및 다른 어떤 힘이 전달되어도 상기 크랭크 핀(110)과 편심 슬리브(120)사이의 상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회전의 경우 편심 슬리브(120)가 최대 편심량을 갖도록 배열되므로 피스톤이 최대 행정길이(Lmax)로 왕복운동하며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는 최대 압축용량을 갖는다. When the crankshaft 23 starts to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at is, counterclockwise, a relative friction force f is generated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connecting rod 33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otational direction, that is, clockwise. do. Thus, the eccentric sleeve 120 begins to rotate clockwise around the crank pin center 110a through the channel 232a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21A. Thereafter, the eccentric sleeve 120 is engaged with the first protrusion 131 where the thick thickness side boundary end 123a projects radially outward as shown in FIG. 22A. For the same reason as the clockwise rotation, as shown in FIG. 23B,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eccentric sleeve is located opposite the center of gravity of FIG. 15B with respect to the line of a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Accordingly, the centrifugal force C generates the clockwise rotation moment M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first protrusion 231 and the first projection 231 are caused by the friction force f and the rotation moment M acting in the same direction. The locking between the boundary ends 123a is kept stable. As in the forward rotation, when the rotational angular velocity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the second protrusion 232 is engaged with the thin thickness side boundary end 123b by the centrifugal force F as shown in FIG. 22B, and the eccentric sleeve A multi-point contact state is made between the 120 and the key member 130. 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sion 232 may be smoothly caught by the eccentric sleeve 120 as in the clockwise rotation due to the stable locking of the first protrusion 231. Therefore, in the reverse rotation, even if the external force P and any other force caus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iston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are transmitted,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can be prevented. hav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B, in the case of the reverse rotation, the eccentric sleeve 120 is arranged to have the maximum amount of eccentricity, so that the piston reciprocates at the maximum stroke length Lmax and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aximum compression capacity.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실시예의 키 부재(230)를 사용함으로서 본 발명의 압축기는 기본적으로 크랭크 핀(110)과 편심 슬리브사이(120)의 상대회전을 완전하게 배제하며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부재(230)에 의해 원심력(C) 및 회전 모멘트(M)에 의한 편심슬리브(120)의 자전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압축기는 작동상의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As a result, by using the key member 23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asically operate stably without completely removing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crank pin 110 and the eccentric sleeve 120. In addition, the rotation of the eccentric sleeve 120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C) and the rotation moment (M) by the key member 230 is prevented, thereby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n operational reliability.

다른 한편, 앞서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제기된 제 2 돌출부(132) 걸림의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에 의해 상기 키 부재(130)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이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밸런스웨이트(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 중심(G)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122)로 치우쳐 있으므로 상기 편심 슬리브(120)가 상기 키 부재(130)에 의해 완전하게 구속되기 이전에 회전모멘트(M) 및 이로 인한 자전이 발생된다. 이러한 무게 중심(G)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의 상대적으로 가벼운 부위의 무게를 증가시켜야 한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127)는 무게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당한 중량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가벼운 상기 편심슬리브의 궤도부(121)에 설치된다. 상기 밸런스 웨이트(127)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부재로서 상기 편심 슬리브(120)에 장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instability of the locking of the second protrusion 132 rais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5A and 15B, the eccentric sleeve 120 is rotated as shown in FIG. 24 by the key member 130. It may further include a balance weight 127 for moving its center of gravity so as not to be released from). Since the center of gravity G is biased by the limiting portion 122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al moment M and the resulting force before the eccentric sleeve 120 is completely constrained by the key member 130. Rotation occurs. In order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G, the weight of the relatively light portion of the eccentric sleeve 120 must be increased. The balance weight 127 has a considerable weight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is installed on the track portion 121 of the relatively eccentric sleeve. The balance weight 12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ccentric sleeve 120, and may be mounted to the eccentric sleeve 120 as a separate member.

도 25A 및 도 25B는 각각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회전중 상기 밸런스 웨이트(127)를 갖는 편심슬리브(120)를 도시한다.25A and 25B show an eccentric sleeve 120 with the balance weight 127 during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respectively.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127)에 의해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중심(23a) 및 크랭크 핀의 중심(110a)사이의 연장선내에 이동된 무게 중심(G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무게 중심(G1)에 의해 상기 크랭크샤프트(23)/크랭크 핀(110)의 원심력(F)과 상기 편심 슬리브(120)의 원심력(C1)이 동일한 작용선상에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게 중심(G1)과 크랭크 핀 중심(110a)사이에 팔길이가 없으므로 시계방향 회전(도 25A) 및 반시계방향 회전(도 25B) 둘 다에서 회전모멘트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 모멘트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자전 또한 근본적으로 방지된다.As shown, this balance weight 127 causes the eccentric sleeve 120 to be preferably moved within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center 23a of the crankshaft and the center 110a of the crankshaft. May have By the center of gravity G1, the centrifugal force F of the crankshaft 23 / crank pin 110 and the centrifugal force C1 of the eccentric sleeve 120 act on the same line of action. Thus, since there is no arm length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G1 and the crank pin center 110a, no rotation moment occurs in both clockwise rotation (FIG. 25A)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FIG. 25B). In addition, rotational rotation is also essentially prevented since no rotation moment is generated.

또한, 상기 밸런스 웨이트(127)에 의해 상기 편심 슬리브(120)는 최초 무게중심(G)으로부터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중심(23a) 및 크랭크 핀의 중심(110a)사이의 연장선에 대해 대향되게 이동된 무게중심(G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무게 중심(G2)으로 인해 원심력(C2)은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회전 모멘트(M2)를 발생시킨다. 즉,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중심(G2)은 시계방향 회전시 반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M2)를 발생시키며,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 회전시 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M2)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회전 모멘트(M2)는 상기 마찰력(f)과 더불어 상기 편심 슬리브(120)를 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자전시키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출부(131)는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안정적으로 걸리며, 이로 인해 계속해서 상기 제 2 돌출부(132)가 상기 편심 슬리브(120)와 원활하게 걸릴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eccentric sleeve 120 is moved by the balance weight 127 opposite the extension line between the center of gravity (23a) of the crankshaft and the center (110a) of the crankshaft from the initial center of gravity (G) It may have a center G2. Due to this center of gravity (G2) centrifugal force (C2) generates a rotation moment (M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25A, the center of gravity G2 generates a counterclockwise rotation moment M2 when rotated clockwise, and as shown in FIG. 25B, a clockwise rotation moment when rotated counterclockwise as shown in FIG. 25B. (M2) is generated. The rotation moment M2 acts to rotate the eccentric sleeve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riction force f. 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131 is stably engaged with the eccentric sleeve 120, thereby allowing the second protrusion 132 to smoothly engage with the eccentric sleeve 120.

결과적으로, 상기 밸랜스 웨이트(127)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키 부재(230)와 유사하게 원심력(C)/회전 모멘트(M)에 의한 상기 편심 슬리브(120)의 키 부재(130)로부터의 해제를 방지하여 본 발명의 압축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127)는 키 부재의 제 1 실시예(130)와 조합되어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변형없이 상기 키부재의 제 2 실시예(230)와 함께 사용가능하다.As a result, the balance weight 127 is separated from the key member 130 of the eccentric sleeve 120 by the centrifugal force C / rotation moment M, similarly to the key member 230 of the second embodiment. This prevents release and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balance weight 127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130 of the key member, it can be used with the second embodiment 230 of the key member without modification.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Although several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thereof. 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편심 슬리브와 키 부재가 작동중 서로 복수개의 지점에서 접촉함으로서 상기 키 부재가 설치된 크랭크 핀이 또한 상기 편심 슬리브와 완전하게 구속된다. 따라서, 어떠한 외적 또는 내적 요인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상기 편심 슬리브와 크랭크 핀사이에는 상대 운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압축기는 출력의 변동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즉, 일정한 편심량이 유지되므로 설계된 압축량이 일정하게 얻어진다. 또한 상대회전으로 인한 상기 크랭크 핀 및 편심 슬 리브사이의 마찰 손실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안정적 작동은 이중용량 압축기 효율의 증가를 가져온다. 부가적으로 상대회전시 발생되는 소음이 방지되며, 각 구성품의 수명 또한 증가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the crank pin provided with the key member is also completely restrained with the eccentric sleeve by the eccentric sleeve and the key member contacting each other at a plurality of points during operation. Therefore, even if any external or internal factors occur, the relative motion is prevented between the eccentric sleeve and the crank pin, so that the compressor operates stably without changing the output. In other words, the constant amount of eccentricity is maintained so that the designed amount of compression is constant. In addition, friction loss between the crank pin and the eccentric sleeve due to relative rotation is prevented. As a result, this stable operation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double capacity compressor efficiency. In addition, noise generated during relative rotation is prevented, and the life of each component can also be increased.

또한, 키 부재와 편심 슬리브 사이의 초기 걸림부위가 변경되거나 편심슬리브의 무게중심이 밸랜스 웨이트를 이용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완전히 키 부재에 의해 구속되기 이전에 상기 편심 슬리브는 원심력 및 회전 모멘트에 의해 자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키 부재는 상기 편심 슬리브를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구속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initial engagement between the key member and the eccentric sleeve is changed o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ccentric sleeve is moved using the balance weight. Thus, the eccentric sleeve is not rot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rotational moment before it is completely constrained by the key member. Thus, the key member can stably and completely restrain the eccentric sleeve,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압축기는 상기 키 부재의 원심력에 의한 이동을 적절하게 제한하도록 구성된 탄성부재를 사용함으로서 동일한 기능을 위한 추가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가 실질적으로 단순해지며 이의 조립이 용이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r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dditional components for the same function by using an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appropriately restrict the centrifugal movement of the key member.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antially simplified and its assembly is easy, so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Claims (44)

일정 회전방향에 대해 역회전 가능한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삽입되는 크랭크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 발생부;A power generator including a motor capable of reverse rota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rotation direction and a crank shaft inserted into the motor; 소정크기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내에 위치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는 압축부;A compression unit including a cylinder of a predetermined size, a piston located in the cylinder, and a connecting rod connected to the piston;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상단부에 이의 중심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크랭크 핀;A crank pin formed eccentrically at an upper end of the crankshaft; 상기 크랭크 핀의 외주면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주면 및 상기 커넥팅 로드의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외주면을 갖는 편심 슬리브; An eccentric sleeve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ng rod;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모든 회전방향에 있어서 상기 편심 슬리브를 상기 크랭크 핀에 완전하게 구속시키는 키 부재; 그리고A key member for completely restraining the eccentric sleeve to the crank pin in all rotational directions of the crankshaft; And 상기 편심 슬리브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켜, 상기 편심 슬리브가 자전에 의해 상기 키부재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런스 웨이트로 이루어져,A balance weight for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ccentric sleeve to prevent the eccentric sleeve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key member by rotation;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른 상기 편심 슬리브의 재배열에 의해 유효 편심량 및 피스톤 변위를 변화시켜 서로 다른 압축용량을 가지며, 상기 모터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키 부재에 의해 상기 크랭크 핀 및 편심 슬리브사이의 작동중 상대운동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이중용량 압축기.The effective eccentricity and piston displacement are changed by rearrangement of the eccentric sleev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to have different compression capacities, and the operation between the crank pin and the eccentric sleeve by the key member regardless of the motor rotation direction. Dual-capacity compressor that substantially prevents relative movemen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가 상기 편심 슬리브를 다수개 지점에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key member restrains the eccentric sleeve at a plurality of poin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가 임의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설정된 상기 편심 슬리브의 두 지점을 작동중 동시에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Wherein said key member simultaneously constrains two points of said eccentric sleeve set relative to an arbitrary center line in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가 상기 크랭크 핀의 외경보다 큰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key member has a length greater than an outer diameter of the crank pi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가 적어도 상기 편심 슬리브의 일부에 걸리며 작동시 상기 편심 슬리브에 추가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wherein the key member is at least part of the eccentric sleeve and configured to additionally be hung in the eccentric sleeve during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가 상대적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상기 편심 슬리브의 최소 일부에 계속적으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key member is hung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ccentric sleeve, which is located relatively radially inward of the crankshaf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가 상기 크랭크 핀 외부로 소정 길이로 계속적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 및 작동 중에만 상기 크랭크 핀 외부로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out of the crank pin by a predetermined length only during operation, and the key member continuously protruding out of the crank pin by a predetermined length.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계속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first protrusion continuously protrudes radially inward of the crankshaf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가 원심력 및 이에 따른 회전 모멘트에 의한 편심 슬리브의 자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key member is configured to prevent rotation of the eccentric sleeve due to centrifugal force and thus rotational momen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가 상대적으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편심 슬리브의 최소 일부에 계속적으로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 량 압축기.And the key member is hung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eccentric sleeve that is located relatively outward of the crankshaf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가 상기 크랭크 핀 외부로 계속적으로 돌출되는 제 1 돌출부 및 상기 크랭크 핀 외부로 계속적으로 돌출되며 압축기의 작동시 상기 편심 슬리브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Wherein the key memb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continuously protruding out of the crank pin and a second protrusion continuously protruding out of the crank pin and configured to engage the eccentric sleeve upon operation of the compressor. compressor.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first projection protrudes radially outwardly of the crankshaft.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2 돌출부는 압축기의 작동정지시 상기 편심 슬리브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크랭크 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es out of the crank pin so as not to be caught by the eccentric sleeve when the compressor is stopped. 제 12 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2 돌출부는 압축기의 작동정지중 상기 편심 슬리브를 통과시키는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중용량 압축기. And the second projection comprise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eccentric sleeve passes during shutdown of the compress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가 상기 크랭크 핀내에 위치되며 자신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 And a stopper in which said key member is located within said crank pin and limits its movement.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스토퍼의 크랭크 핀 접촉면이 상기 크랭크 핀 내주면에 일치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a crank pin contact surface of the stopper has a shape coinciden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pin. 제 1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스토퍼가 상기 키 부재의 일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stopper is a first stopper for limiting one-way movement of the key member.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스토퍼가 상기 키 부재의 반대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second stopp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stopper for limiting movement of the key member in the opposit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부재는 압축기 작동상태에 상관없이 자신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크랭크 핀 외부로 계속적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key member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key member to continuously protrude out of the crank pin regardless of the compressor operating state. 제 2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키 부재의 어느 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The elastic member is configured to limit movement in either direction of the key member 제 2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탄성부재는 불균일한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elastic member has a non-uniform elastic modulus.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a part of the elastic member has a relatively large modulus of elasticity compared to other parts.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탄성부재의 일부는 상기 키 부재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최대일 경우에도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상기 키 부재의 돌출부를 이탈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변위가 발생하도록 큰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압축기.The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has a large modulus of elasticity so that the displacement occurs in a range that does not leave the protrusion of the key member formed radially inward even when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in the key member is maximum .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탄성부재는:The elastic member is: 상기 키 부재와 접하는 제 1 탄성부재; 및A first elastic member in contact with the key member; And 상기 제 1 탄성부재 및 크랭크 핀의 내주면과 각각 접촉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는 제 2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a second elastic member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crank pin, respectively, and having a larger elastic modulus than the first elastic member.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제 2 탄성부재는 상기 키 부재에 발생하는 원심력이 최대일 경우에도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상기 키 부재의 돌출부를 이탈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변위가 발생하도록 큰 탄성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압축기.The second elastic member has a large modulus of elasticity so that the displacement occurs in a range that does not leave the protrusion of the key member formed radially inward even when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in the key member is maximum. . 제 2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제 1 탄성부재는 소정 직경의 스프링이며 상기 제 2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탄성부재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is a spring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a spring continuously formed from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elastic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크랭크 핀이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키 부재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a pair of key member mounting portions in which the crank pins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제 28 항에 있어서,29.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크랭크 핀의 키 부재 장착부가 상기 크랭크 핀 벽체에 형성되는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key member mounting portion of the crank pin i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rank pin wall. 제 28 항에 있어서,29. The method of claim 28, 상기 크랭크 핀의 키 부재 장착부가 최소 하나의 상기 크랭크 핀 벽체의 소정위치로부터 상부 끝단까지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key member mounting portion of the crank pin includes a groove extending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crank pin walls to an upper end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편심 슬리브가 몸체 자체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키 부재 돌출부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궤도부 및 상기 궤도부에 상대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키 부재 돌출부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The eccentric sleeve is form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body itself, and includes a track portion for enabl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key member protrusion and a restricting portion formed relative to the track portion to limi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key member protrusion. Dual capacity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제 3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편심 슬리브의 궤도부는 상부 끝단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절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The track portion of the eccentric sleeve is a double displacement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to a predetermined depth. 제 3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궤도부와 제한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단은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과 크랭크 핀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a boundary end formed between the track portion and the restricting portion is parallel to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rankshaft and the center of the crank pin.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경계단은 상기 크랭크 샤프트 중심과 크랭크 핀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으로부터 상기 키 부재 두께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boundary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crankshaft center and the crank pin center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half the thickness of the key member. 제 3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궤도부와 제한부 사이에 형성되는 경계단이 상기 크랭트 샤프트 중심과 크랭크 핀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a boundary end formed between the track portion and the restricting porti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n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crank shaft center and the crank pin cen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편심 슬리브가 이의 바닥면과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상면사이에 설치되는 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r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eccentric sleeve and the top surface of the crankshaf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편심슬리브가 회전모멘트에 의해 자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balance weight prevents the eccentric sleeve from rotating by the moment of rot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편심슬리브에 회전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 The balance weight is a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not to generate a rotation moment on the eccentric sleev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편심 슬리브의 무게중심을 상기 크랭크샤프트 중심과 크랭크 핀 중심사이의 연장선상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balance weight is configured to posi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ccentric sleeve on an extension line between the crankshaft center and the crank pin cen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편심슬리브를 상기 키부재에 걸리는 방향으로 자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balance weight rotates the eccentric sleeve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with the key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모멘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The balance weight is a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rotation moment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편심 슬리브의 무게중심을 상기 크랭크샤프트 중심과 크랭크 핀 중심사이의 연장선에 대해 반대편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balance weight is configured to mo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ccentric sleeve opposite to an extension line between the crankshaft center and the crank pin cent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대적으로 적은 중량을 갖는 상기 편심슬리브의 일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And the balance weight is installed on a portion of the eccentric sleeve having a relatively low weigh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밸런스 웨이트는 상기 편심슬리브의 궤도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량 압축기.The balance weight is a dual displacement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track portion of the eccentric sleeve.
KR1020030094246A 2003-12-20 2003-12-20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10086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46A KR101008627B1 (en) 2003-12-20 2003-12-20 Dual capacity compressor
AU2003289521A AU2003289521A1 (en) 2003-12-20 2003-12-23 Dual capacity compressor
US10/568,621 US7568895B2 (en) 2003-12-20 2003-12-23 Dual capacity compressor
PCT/KR2003/002821 WO2005061895A1 (en) 2003-12-20 2003-12-23 Dual capacity compressor
CN200380110453XA CN1839261B (en) 2003-12-20 2003-12-23 Dual capacity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246A KR101008627B1 (en) 2003-12-20 2003-12-20 Dual capacity compres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234A KR20050062234A (en) 2005-06-23
KR101008627B1 true KR101008627B1 (en) 2011-01-17

Family

ID=3725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246A KR101008627B1 (en) 2003-12-20 2003-12-20 Dual capacity compres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62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7110A (en) 1998-03-12 1999-09-21 Toyota Motor Corp Compression ratio switch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0044662A (en) * 2000-12-06 2002-06-19 구자홍 double capacity compressor
WO2002097271A1 (en) 2001-06-01 2002-12-05 Lg Electronics Inc. Dual capacity compressor
KR20030032352A (en) * 2001-10-17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ual capacity compress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7110A (en) 1998-03-12 1999-09-21 Toyota Motor Corp Compression ratio switch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0044662A (en) * 2000-12-06 2002-06-19 구자홍 double capacity compressor
WO2002097271A1 (en) 2001-06-01 2002-12-05 Lg Electronics Inc. Dual capacity compressor
KR20030032352A (en) * 2001-10-17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Dual capacity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234A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0993B2 (en) Double capacity compressor
AU2001264343A1 (en)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0747566B1 (en)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1008627B1 (en)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1008628B1 (en)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0793773B1 (en) Dual capacity compressor
JP4213669B2 (en) Double capacity compressor
KR100543164B1 (en)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0487962B1 (en) Latching mechanism of dual capacity compressor
US6918335B2 (en) Dual capacity compressor
US7568895B2 (en)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1093414B1 (en) Latching mechanism of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0487957B1 (en) Latching mechanism of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0487964B1 (en) Latching mechanism of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0771595B1 (en) double-capacity compressor
KR100487954B1 (en) Latching mechanism of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0487956B1 (en) Latching mechanism of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0487967B1 (en) Latching mechanism of dual capacity compressor
KR100487966B1 (en) Latching mechanism of dual capacity compressor
KR20040038372A (en) Latching mechanism of dual capacity compr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