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093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093B1
KR101007093B1 KR1020080131914A KR20080131914A KR101007093B1 KR 101007093 B1 KR101007093 B1 KR 101007093B1 KR 1020080131914 A KR1020080131914 A KR 1020080131914A KR 20080131914 A KR20080131914 A KR 20080131914A KR 101007093 B1 KR101007093 B1 KR 101007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injection
camera module
injection path
im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3284A (ko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0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부, 반사부재, 이미지 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재는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 및 디지털 정보 처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정보 처리 및 연산, 통신, 화상 정보 입출력 등 다양한 기능이 집적된 휴대용 단말기 기술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와 통신 기능이 장착된 PDA, 디지털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휴대 전화, 개인 휴대 멀티미디어 재생기(PMP: personal multi-media player)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기술 및 정보 저장 능력의 발달로 인하여 높은 사양의 디지털 카메라 모듈(digital camera module)의 장착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것이 추세이다.
실시예는 렌즈의 이동이 없이도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부, 반사부재, 이미지 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재는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반사부재를 이용하여 빛의 방향을 바꾸는 방식으로 카메라 모듈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상기 반사부재에 형성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경로인 액체 주입로에 반사액을 유입시켜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0), 반사 부재(20), 이미지 센서(40), 인쇄회로기판(50) 및 홀더(3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부(10)는 제1렌즈(1), 제2렌즈(2) 및 제3렌즈(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부(10)에 형성된 렌즈는 3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렌즈부(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액체 주입로(25)를 통해 상기 렌즈부(10)를 통과한 광을 이미지 센서(40)로 반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액체 주입로(25)에 의해 초점거리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투명한 유리(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상기 액체 주입로(25)가 형성되어, 상기 액체 주입로(25) 내부에 반사율을 가지는 물질인 반사액을 제공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b는 상기 반사부재(20)의 측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부재(2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액체 주입로(25)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개의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원판형상의 끝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액체 주입로(25)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개의 원판형상의 경로가 서로 연결되어 광경로 상에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원판형상을 가지는 각각의 경로에 있어서, 양끝단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원판형상의 경로와 각각 연결되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체 주입로(25)의 측단면은 곡률을 가지는 복수개의 경로가 모두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원판형상의 경로는 상기 이미지 센서(40)와 가까울수록 곡률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주입로(25)에 반사액이 채워짐으로써, 상기 반사액이 채워진 원판형상의 곡률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연결된 원판형상의 상기 액체 주입로(25)는 일단에 액체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은 액체 조절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체 주입구는 제1실린더(21)와 연결되고, 상기 액체 조절구는 제2실린더(2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21)가 연결된 상기 액체 주입구는 반사율을 가지는 물질인 수은(Hg), 크롬(Cr), 니켈(Ni)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인 반사액을 상기 액체 주입로(25)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실린더(22)가 연결된 상기 액체 조절구는 상기 반사부재(20)를 이루는 물질과 굴절율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액체 물질을 상기 액체 주입로(25)에 주입하여, 상기 반사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액이 채워지지 않은 상기 액체 주입로(25)의 빈 공간을 상기 반사부재(20)의 굴절율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액체 물질로 채움으로써, 광경로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주입로(25)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개의 경로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도 상기 복수개의 경로에 있어서, 각각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실린더가 형성될 수 있 다.
즉, 곡률을 가지는 경로마다 일단과 타단에 각각 실린더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사부재(20)는 유리(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에 사출성형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액체 주입로(25)를 형성하거나,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재질에 레이저(laser) 가공을 진행하여 상기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내부에 상기 액체 주입로(25)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액체 주입로(25)를 형성하는 방법은 사출성형 및 레이저 가공 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유리 또는 플라스틱의 재질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공정이라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내부에 반사액이 채워진 상기 액체 주입로(25)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도 2 내지 도 4에서 상기 반사부재(20)에 의해 반사되는 광은 입사광에 있어서 최외각의 광선에 대한 반사광의 광경로를 제시한 것이다.
즉, 상기 반사부재(20)에 입사되는 입사광은 평행하지만, 반사광은 상기 입사광축의 최외각 광선에 대한 경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린더(21)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액체 주입로(25)에 상기 반사액이 주입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열에 의해 반사액이 팽창되어 상기 액체 주입로(25)에 상기 반사액이 주입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액체 주입구 및 액체 조절구와 연결되는 기구는 상기 제1실린 더(21) 및 제2실린더(22)로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반사액이 상기 액체 주입로(25) 내부에 채워질 때, 상기 반사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기구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경로가 연결된 상기 액체 주입로(25)는 상기 반사액의 주입량에 따라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곡률이 변화된다.
즉,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경로를 제1패턴(R1)에서 제8패턴(R8)까지 형성하여, 상기 반사액이 채워지는 패턴에 따라 반사곡률이 변화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체 주입로(25)를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경로인 상기 제1패턴(R1)에서 제8패턴(R8)까지 형성하여 곡률을 변화시켰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액체 주입로(25)에 형성되는 패턴은 실시예보다 적을수도 또는 더 많을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액체 주입로(25)에 형성되는 패턴의 수와 초점조절이 가능한 단계의 수는 일치할 수 있으며, 상기 패턴의 수가 증가할수록 초점조절을 보다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반사부재(20)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액체 주입로(25)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지 않고, 상기 제1패턴(R1)과 평행하게 형성된 경로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상기 제1패턴(R1)까지 상기 반사액이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근거리 초점조절(macro focusing)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패턴(R1)은 곡률이 없기 때문에, 상기 렌즈부(10)에서 입사된 광을 그대로 반사시켜 상기 이미지 센서(40)로 입사시킬 수 있다.
도 3은 제4패턴(R4)까지 상기 반사액이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4패턴(R4)의 곡률에 따라 초점조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제7패턴(R7)까지 상기 반사액이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7패턴(R7)의 곡률에 따라 초점조절이 될 수 있으며, 무한(infinity) 초점조절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체 주입로(25)에 상기 반사액이 채워진 스텝에 따라 그 곡률이 다르므로, 상기 렌즈부(10)에 형성된 렌즈의 이동 없이 초점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고, 렌즈의 이동이 없으므로 구동 공간에 따른 제약이 없다.
또한, 카메라 모듈 설계시 렌즈가 움직이는 양인 조출량의 제한도 필요가 없어, 카메라 모듈이 보다 소형화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체 주입로(25)의 각 패턴에 대한 곡률이 상기 이미지 센서(20)와 가까워질수록, 즉 상기 제1패턴(R1)에서 제8패턴(R8)으로 갈수록 곡률이 작아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패턴에 대한 곡률의 변화는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부재(20)에 의해, 광의 방향을 바꿀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20)는 상기 반사부재(20)에 의해 반사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하부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는 상기 렌즈부(10), 반사부재(20), 이미지 센서(40) 및 인쇄회로기판(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반사부재를 이용하여 빛의 방향을 바꾸는 방식으로 카메라 모듈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상기 반사부재에 형성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경로인 액체 주입로에 반사액을 유입시켜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액체 주입로 내부에 반사액이 채워진 반사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부, 반사부재, 이미지 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킬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재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액체 주입로가 형성되어, 상기 액체 주입로 내부에 반사액을 제공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카메라 모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로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복수개의 원판형상의 경로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원판형상의 경로가 광경로상에 중첩되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유리(glass) 또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경로가 형성된 상기 액체 주입로의 양끝단에는 액체 주입구와 액체 조절구가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와 액체 조절구는 서로 다른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액체 주입로에 주입되는 상기 반사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로는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반사액이 제공되고, 상기 액체 조절구로부터는 상기 반사부재와 동일한 굴절율을 가지는 액체 물질이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재는 상기 액체 주입로에 반사율을 가지는 물질의 주입량에 따라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곡률이 변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액은 수은(Hg), 크롬(Cr), 니켈(Ni)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 카메라 모듈.
KR1020080131914A 2008-12-23 2008-12-23 카메라 모듈 KR101007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914A KR101007093B1 (ko) 2008-12-23 2008-12-23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1914A KR101007093B1 (ko) 2008-12-23 2008-12-23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284A KR20100073284A (ko) 2010-07-01
KR101007093B1 true KR101007093B1 (ko) 2011-01-10

Family

ID=4263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1914A KR101007093B1 (ko) 2008-12-23 2008-12-23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411B1 (ko) * 2017-07-03 2022-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23243861A1 (ko) * 2022-06-13 2023-1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502A (ja) * 1992-04-13 1994-09-16 Nakamura Yoshihiko 曲率を変更できるレンズ及び反射鏡
KR100510575B1 (ko) * 2004-11-03 2005-08-26 주식회사 이스턴테크놀로지 카메라 모듈
KR20070004250A (ko) * 2005-07-04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KR100864691B1 (ko) 2005-01-28 2008-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초점 미러 및 이를 응용한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502A (ja) * 1992-04-13 1994-09-16 Nakamura Yoshihiko 曲率を変更できるレンズ及び反射鏡
KR100510575B1 (ko) * 2004-11-03 2005-08-26 주식회사 이스턴테크놀로지 카메라 모듈
KR100864691B1 (ko) 2005-01-28 2008-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변 초점 미러 및 이를 응용한 카메라 모듈
KR20070004250A (ko) * 2005-07-04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284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589B1 (ko) 카메라 모듈
JP5364965B2 (ja) 撮像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CN100472237C (zh) 液态变焦镜头
KR20230004415A (ko) 촬상 광학계
WO2021213216A1 (zh) 潜望式摄像模组、多摄摄像模组和摄像模组的组装方法
CN111866328A (zh) 一种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KR100758291B1 (ko) 굴절형 소형 줌렌즈 광학계
JP2006154705A (ja) 撮像光学系、撮像レンズ装置及びデジタル機器
KR101007093B1 (ko) 카메라 모듈
CN107589617B (zh) 一种摄像头及移动终端
CN111510597B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4076999B (zh) 潜望式摄像模组
CN113009749B (zh) 光学组件、潜望式摄像模组和电子设备
CN113933953A (zh) 光学系统
KR20220020015A (ko) 광학계
KR101018117B1 (ko) 렌즈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736610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JP2023539266A (ja) レンズモジュー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端末
KR20230013988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모듈 및 카메라 모듈
CN114338968A (zh) 潜望式摄像模组及电子装置
KR20200139581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102251073B1 (ko) 렌즈 모듈
CN112243076A (zh) 电子装置
KR102211434B1 (ko) 렌즈 모듈
JP2006157854A (ja) デジタル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