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833B1 - 체결시스템을 갖춘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 - Google Patents

체결시스템을 갖춘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833B1
KR101006833B1 KR20090028592A KR20090028592A KR101006833B1 KR 101006833 B1 KR101006833 B1 KR 101006833B1 KR 20090028592 A KR20090028592 A KR 20090028592A KR 20090028592 A KR20090028592 A KR 20090028592A KR 101006833 B1 KR101006833 B1 KR 101006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tibial
tibial component
base
arti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2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0157A (ko
Inventor
박광희
김성곤
김현묵
Original Assignee
(주)오티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티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오티스바이오텍
Priority to KR2009002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83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에 관한 것으로, 이는 스템과, 이 스템 상에서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기저판 및, 이들 스템 및 기저판 사이에서 뻗어 있는 리브를 구비하는 경골측 기저부와; 이 경골측 기저부의 기저판에 끼워 맞춰지는 관절면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저판에 있는 요홈부와 볼록부가 상기 관절면 삽입부의 돌출부와 오목부에 각각 상호작용하도록 맞물려서, 경골측 기저부와 관절면 삽입부 사이의 미세운동을 방지하고, 관절면 삽입부의 바닥면 마모를 감소시키며, 관절면 삽입부에 최소 두께를 제공하게 됨과 더불어, 용이하게 체결되고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체결시스템을 갖춘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 {Tibial component having locking system}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의료용 인공 보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tibial component)의 체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슬관절 전치환술(TKA:Total Knee Arthroplasty)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골측의 정형외과적 인공 관절면 삽입부에 관한 것이다. 모듈화된 고정식 지지부를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약한 체결기구로 인해 폴리에틸렌으로 된 관절면 삽입부와 금속으로 된 경골측 기저부 사이에서 움직임이 일어나는데, 이로 인하여 생성되는 바닥면 마모는 골용해와 더불어 풀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경골측 기저부 및 관절면 삽입부 사이의 미세운동을 방지하도록 된 체결시스템을 갖춘 경골측 부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경골측 부품은 용이하게 체결되고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기저판과 별도의 관절면 부재를 가진 모듈화된 경골측 부품을 구성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기로, 관절면을 위한 별도의 부재는 기저판과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기저판이 경골의 근위끝에서 해면골로 바 로 삽입되기 때문에, 통상 기저판은 티타늄 합금으로 만들어지는데,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티타늄이 강하고 비교적 가벼우며 생체친화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티타늄은 마찰면으로는 적합하지 않아서, 전형적으로 고분자 재료로 만들어진 별도의 부재가 기저판에 부착되어, 대퇴골 원위부와 미끄럼 마찰로 맞물리는 관절면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퇴골 원위부는 한 쌍의 관절구를 갖춘 대퇴골측 부품을 구비하게 된다.
기저판과 별도로 부착가능한 관절면 부재를 이용하는 모듈화된 경골측 부품은 기저판에다 관절면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상기 부재들 사이에서, 이들 중 하나 또는 양쪽을 과도하게 약화시키지 않으면서 안정된 고정을 성취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요구조건들은, 특히 후방 안정형 슬관절의 경우에 대퇴골 원위부에 의해서 상기 관절면 부재에 가해지는 상당한 하중 때문에 성취하기가 어렵다. 여기서, 후방 안정형 슬관절이란 후방 십자인대의 제거를 보상하도록 무릎의 최대 굴곡점을 제한하는 캠 부재와 대퇴골의 관절구에 의해 그 움직임이 강제로 안내되는 기저판으로부터 위로 뻗은 가시모양 돌기부재를 갖춘 인공 슬관절을 말한다. 반대로,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슬관절은 작동하는 후방십자인대의 존재로 인하여 무릎운동이 충분히 강제적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캠 부재와 가시모양 돌기부재가 없는 인공 슬관절을 말한다.
경골측 부품의 재료 및 기하학적인 요구조건에 덧붙여, 중대한 조립조건이 있는바, 즉 고분자 재료로 된 관절면 부재는 금속으로 된 경골측 기저부에 안정되게 부착되어야 하며, 특히 사용시 상기 관절면 부재도 전단응력에 저항하도록 부착 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립조건은 "모듈화된 경골측 부품"과 관계가 깊다.
현재, 모듈화된 보철구는 정형외과 의사들에 의해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듈화된 보철구는 의사가 보철구를 주문하여서 개별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맞출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들 모듈화된 보철구는 통상 다양하고 상이한 유형 및 크기의 경골측 기저부와, 다양하고 상이한 유형 및 크기의 고분자 재료로 된 관절면 부재 또는 관절면 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보철구는 삽입 바로 전에 의사에 의해 조립되게 되므로, 보철구가 그 크기 및 기계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수정 없이 용이하게 조립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분리가능한 경골측 부품이 종래에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중 일부는 별도의 경골측 기저부가 필요 없다. 머리(Murry) 등의 미국 특허 제4,016,606호는, 관절면 삽입부의 경사지고 노치가 형성된 하부를 경골측 기저부의 대응되게 경사지고 노치가 형성된 영역으로 미끄럼이동시킴으로써, 삽입가능한 경골측 기저부 내에 고정된 후, 관절면 삽입부와 금속으로 된 경골측 기저부를 관통하는 핀에 의해 경골측 기저부 내에 체결되는 평탄한 관절면 삽입부를 기술하고 있다. 이는 체결용 핀을 생략할 수도 있지만, 제자리에 관절면 삽입부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핀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저판에 관절면 삽입부를 부착하는 효과적인 기구를 가진 모듈화된 경골측 부품을 제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헬드레스(Heldreth) 등의 미국 특허 제5,405,396호 및 워커(Walker) 등의 동 제4,822,362호는 각각 기저판에 별도의 관절면 삽입부를 부착하는 부착시스템을 게재하고 있다. 헬드레스 등의 미국 특허는 관 절면 삽입부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부재에 열장장부촉 구조를 이용하고 있으며, 워커 등의 미국 특허는 관절면 삽입부를 보유지지하기 위해 제혀쪽매 이음부를 이용하고 있다.
호프만(Hofmann) 등의 미국 특허 제4,963,152호는 비대칭적인 경골측 부품을 기술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플라스틱으로 된 관절면 삽입부가 한 쌍의 후부쪽 제혀쪽매 이음부 및 하나의 중앙 전부(前部)쪽 스냅고정부를 매개로 하여 금속으로 된 경골측 기저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형태는 훨씬 낮은 결합강도를 나타내게 된다.
브룩스(Brooks) 등의 미국 특허 제4,714,474호는 분리가능한 관절면 삽입부를 갖춘 슬관절 경골측 부품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경사부들은 경골측 기저부에 관절면 삽입부를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절면 삽입부를 체결하기 위해 후부쪽에 표면들을 구비하는데, 이 후부쪽의 표면들은 경골측 기저부와 관절면 삽입부를 조립하고 분리하는 동안 문제를 일으킨다. 또, 경골측 기저부는 이 경골측 기저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못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체결시스템에 의한 다른 문제는 주로 경골측 기저부에 부착되는 못에 있다. 즉, 이 못들은 의사가 뼈를 제거하는 데에 문제점을 야기하고, 경골에 불안정을 초래하고 있어서, 근래에 의사들은 이러한 유형의 관절면 삽입부를 회피하는 한편, 작동이 용이한 체결시스템을 갖춘 경골측 부품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들 특허문헌 또는 출원으로 알려진 다른 기술 중 어느 것도, 관절면 삽입부의 두께를 최소로 유지하면서 모든 방향으로 관절면 삽입부의 운동에 대해 아주 효과적으로 저항한다고 하는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아래에 기술된 방법 및 구조적 특징을 이용해서 전술된 문제점 또는 다른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고 일부는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시스템을 갖춘 경골측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 및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사용하기에 보다 용이한 경골측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절면 삽입부의 적어도 4방향 운동, 즉 전후방향 병진이동과 측방향 병진이동, 수직이동 및 회전운동에 대해 향상된 저항을 제공하는 체결시스템을 갖춘 경골측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절면 삽입부의 두께가 최소로 유지될 수 있는 체결시스템을 갖춘 경골측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과 특별히 기술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골측 부품의 특정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바,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템과, 이 스템 상에서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기저판 및, 이들 스템 및 기저판 사이에서 뻗어 있는 리브를 구비하는 경골측 기저부와; 이 경골측 기저부의 기저판에 끼워 맞춰지도록 된 관절면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골측 기저부와 관절면 삽입부 사이의 미세운동을 방지하고, 관절면 삽입부의 바닥면 마모를 감소시키며, 관절면 삽입부에 최 소 두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골측 부품은 용이하게 체결되고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아래의 방향성을 정의하는 용어가 사용된다. 전방 및 후방은 각각 인체의 앞 또는 뒤를 의미한다. 또한, 중간측 및 측면측은 각각 시상면에 가까운 곳과, 시상면으로부터 먼 곳을 의미한다. 시상면은 인체를 좌우 절반으로 나누면서 인체의 중간을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면이다.
본 발명은, 관절면 부재의 적어도 4방향 운동에 대해 향상된 저항을 제공하는 독특하고 모듈화된 경골측 부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관절면 삽입부의 두께를 증대시킬 필요 없이 기저판과 관절면 삽입부 사이의 독특한 체결부착을 제공하는 다수의 키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이 체결시스템의 구조는 고굴곡을 제공하며 경골과의 부딪침을 방지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대퇴골 원위부 및 경골 근위부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경골측 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도로서, 여기에는 대퇴골측 부품(100) 과; 관절면 삽입부(400) 및 경골측 기저부(300)로 이루어진 경골측 부품(200)과; 대퇴골(10) 및; 경골(20)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은 이 중에서 관절면 삽입부(400)와 경골측 기저부(300)를 구비한 경골측 부품(200)에 관련된 것이다.
상기 관절면 삽입부(400)가 상기 경골측 기저부(300)에 스냅고정됨으로써, 관절면 삽입부와 경골측 기저부가 조립되게 되는데, 이들의 조립체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관절면 삽입부와 경골측 기저부를 포함하는 경골측 부품을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인바, 조립시 관절면 삽입부(400)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경골측 기저부(300)에 스냅고정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경골측 기저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골측 부품(200)에 있는 구성부품 중 하나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310)과 스템(320) 및 이들 기저판(310)과 스템(320) 사이에서 유사한 형상으로 뻗어 있는 2개의 리브(3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리브의 두께는 1.5mm 내지 3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좋다.
도 4는 경골측 기저부의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310)은 스템(320) 상에서 경사각(θ)만큼 경사져 있다. 후방십자인대 보존형 슬관절에서는, 후방십자인대의 인장에 대한 주의 깊은 평가가 필수적인데, 초과된 후방십자인대의 인장은 운동범위 및 장기간의 성공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충분한 경골측 후방의 경사각은 후방십자인대의 적당한 인장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에서 주요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상기 경사각(θ)은 5 ~ 10도가 좋은데, 대략 7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경골측 기저부의 평면도로서, 여기에는 경골측 기저부(300) 상에 있는 체결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경골측 기저부(300)의 기저판(310)은 중간측(301)과 측면측(302), 후방부(303) 및 전방부(30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중간측(301) 및 상기 측면측(302)에는 기저판(310)의 곧은 선단(311)이 있으며, 이들 선단(311)에 인접하여 기저판 상부에는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요홈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요홈부는 각각 기저판의 양측 중간부에서 시작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의 후방부까지 이어진다. 요홈부의 단부(313)는 이 요홈부(312)의 형상으로 인하여 기저판(310)의 중앙을 향해 돌출하게 되며, 후술하는 관절면 삽입부의 슬롯 내에 끼워 맞춰지게 된다. 기저판의 후방부까지 이어진 각 요홈부(312)의 끝선단(314)은 곧게 뻗어 있으며, 각각 외측의 선단(311)에 평행하다. 참조부호 315는 기저판(310)의 후방부(303)에서 요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벽부이다. 한편, 기저판(310)의 전방부(304)에는 위로 돌출하고서 만곡된 볼록부(3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참조부호 α는 요홈부의 단부(313)가 갖는 밑면(317)에서의 빼기경사각을 표시한다.
도 7은 관절면 삽입부의 저면도로서, 여기에는 관절면 삽입부(400) 상에 있는 체결시스템이 나타나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관절면 삽입부(400)는 측면측(401)과 중간측(402), 후방부(403) 및 전방부(40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측면측(401) 및 상기 중간측(402)에는 관절면 삽입부(400)의 곧은 선단(411)이 있으며, 이들 선단(411)에 인접하여 단차진 바닥면의 측면에는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 진 슬롯(4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롯은 각각 관절면 삽입부의 양측 중간부에서 시작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면 삽입부의 후방부까지 이어진다. 슬롯(412)의 형상으로 인하여 관절면 삽입부(400)의 외주 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된 슬롯의 돌출부(413)는 전술된 기저판(310)의 요홈부(312) 내에 삽입되게 된다. 관절면 삽입부의 후방부까지 이어진 각 슬롯(412)의 끝선단(414)은 곧게 뻗어 있으며, 각각 외측의 선단(411)에 평행하다. 참조부호 415는 관절면 삽입부(400)의 후방부(403)에서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단차부로서, 이는 관절면 삽입부의 중앙까지 뻗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해 관절면 삽입부(400)가 최소 두께를 갖게 된다. 한편, 관절면 삽입부(400)의 전방부(404)에는 단차지고 만곡된 오목부(4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로서, 참조부호 β는 슬롯의 돌출부(413)가 갖는 윗면(417)에서의 빼기경사각을 표시한다.
한편, 경골측 기저부(300)는 예컨대 코발트-크롬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관절면 삽입부(400)는 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등급의 고분자 재료, 특히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수지(UHMWPE) 또는 폴리에텔에텔케톤수지(PEEK)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경골측 부품이 갖는 체결시스템의 체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경골측 기저부와 관절면 삽입부의 조립체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경골측 기저부와 관절면 삽입부의 조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먼저, 경골측 기저부(300)가 경골(20:도 1 참조)에 고정되고, 이어서 관절면 삽입부(400)가 경골측 기저부(300)에 조립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골측 부품의 체결은 전체적으로 경골측 기저부(300)의 기저판(310)과 관절면 삽입부(400) 사이의 압입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해진다. 즉, 후방부에서 관절면 삽입부(400)의 돌출부(413)와 경골측 기저부(300)의 기저판(310)에 있는 요홈부(312)가 끼워 맞춰지면서, 기저판(310)에 있는 요홈부의 단부(313)가 관절면 삽입부(400)에 있는 슬롯(412) 내로 쉽게 삽입된다. 여기서, 접촉면들은 관절면 삽입부의 돌출부(413)가 갖는 윗면(417)과 기저판의 단부(313)가 갖는 밑면(317)이며, 이들 표면은 서로에 대해 원활히 이동된다. 그 다음으로, 곧은 끝선단들(314,414)이 경사지거나 틀어짐 없이 기저판(310) 상에서 관절면 삽입부(400)를 안내하게 되는데, 관절면 삽입부의 곧은 끝선단(414)은 기저판에 있는 곧은 끝선단(314)과 정렬되고, 이러한 두 끝선단의 접합면들 사이의 정렬은 체결의 정확한 방향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또, 이들 접합면이 정렬되면 관절면 삽입부(400)의 돌출부(413) 외부면이 기저판(310)의 요홈부(312) 내부면과 접합하게 된다.
전방부에서는, 기저판(310)의 만곡된 볼록부(316)가 관절면 삽입부(400)의 만곡된 오목부(416) 내에 끼워 맞춰지게 된다.
이러한 체결방법은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보조기구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은 체결시스템에 의한 맞물림은 경골측 부품의 전후방향 병진이동과 측방향 병진이동, 수직이동 및 회전운동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관절면 삽입부(400)의 전후방향 병진운동과 측방향 병진운동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310)의 만곡된 볼록부(316)에 의해 방지된다. 또, 관절면 삽입 부(400)의 수직운동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310)의 단부(313), 특히 그 밑면(317)에 의해 방지되며, 관절면 삽입부(400)의 회전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으로 인해 방지된다. 경골측 기저부(300)와 관절면 삽입부(400)로 된 조립체, 즉 경골측 부품(200)의 회전은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경사진 리브(330)에 의해 방지되는데, 이러한 구조는 조립체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핀들을 없앨 수 있어서, 종래기술보다 우수한 장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 장점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판(310)의 후방 경사이다. 많은 요인들이 슬관절 전치환술 후 최대 가동관절범위(ROM:Range of Motion)를 성취하기 위한 성능에 영향을 끼친다. 이들 중 일부 요인은 의사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나, 수술전 가동관절범위와 같은 요인은 의사에 의해 제어될 수 없다. 경골의 경사는 수술후 가동관절범위에 영향을 끼치는데, 본 발명의 경골측 부품에서 상기 기저판(310)은 후방의 경사각(θ)을 제공한다. 이는 종래기술에 대해 본 발명의 체결시스템이 갖는 우수한 장점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는 것으로, 관절면 삽입부(400)는 경골측 기저부(300)의 기저판(3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기저판(310)에 있는 볼록부(316)의 단부 또는 표면이 평탄면이기 때문에, 관절면 삽입부(400)의 전방 선단을 간단히 들어올리고 나서 관절면 삽입부(400)를 기저판(310)으로부터 멀리 앞쪽으로 미끄럼이동시키기만 하면 분리된다. 특히, 관절면 삽입부(400)는 도 6과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빼기경사각을 가진 밑면(317) 및 윗면(417)으로 인하여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밑면(317)의 빼기경사각(α)은 바람직 하기로는 1도 ~ 1.5도이며, 이 경사는 곧은 끝선단(314)까지 뻗어 있다. 마찬가지로, 윗면(417)의 빼기경사각(β)은 1도 ~ 1.5도이며, 이 경사는 곧은 끝선단(414)까지 뻗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골측 부품은 다양한 크기 및 두께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관절면 삽입부(400)와 경골측 기저부(300)의 기저판(310)의 조립부분의 두께가 9mm로 될 수 있는데, 이때 관절면 삽입부(400)는 6mm의 최소 두께를 갖게 된다.
전체 공차는 전술된 체결시스템에 의해 접합하는 모든 선단들 사이의 유격이 0.05mm까지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꽉 압입되듯이 체결되는 관절면 삽입부를 제공하지만, 관절면 삽입부가 기저판으로 삽입되는 것 또는 기저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대퇴골 원위부 및 경골 근위부와 함께,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경골측 부품을 분해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관절면 삽입부와 경골측 기저부를 포함하는 경골측 부품을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경골측 부품의 체결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경골측 기저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경골측 기저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관절면 삽입부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경골측 기저부와 관절면 삽입부의 조립체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경골측 기저부와 관절면 삽입부의 조립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Claims (11)

  1. 스템과, 이 스템 상에서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 기저판 및, 이들 스템 및 기저판 사이에서 뻗어 있는 리브를 구비하는 경골측 기저부와;
    이 경골측 기저부의 기저판에 끼워 맞춰지도록 된 관절면 삽입부;를 포함하는 경골측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의 경사각은 5도 내지 1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측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두께는 1.5mm 내지 3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측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은 중간측 및 측면측에 각각 요홈부를 구비하며, 이들 요홈부는 기저판의 중간부에서 시작하여 기저판의 후방부까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측 부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의 단부가 갖는 밑면의 경사각은 1 내지 1.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측 부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의 후방부에서 요홈부는 곧은 끝선단을 구비하며, 이들 끝선단은 기저판의 외측 선단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측 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의 전방부에는, 만곡되고 평탄한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측 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면 삽입부는 측면측과 중간측에 각각 슬롯을 구비하고, 이들 슬롯은 관절면 삽입부의 중간부에서 시작하여 관절면 삽입부의 후방부까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측 부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돌출부가 갖는 윗면의 경사각은 1 내지 1.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측 부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면 삽입부의 후방부에서 슬롯은 곧은 끝선단을 구비하며, 이들 끝선단은 관절면 삽입부의 외측 선단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측 부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면 삽입부의 전방부에는 만곡되고 평탄한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측 부품.
KR20090028592A 2009-04-02 2009-04-02 체결시스템을 갖춘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 KR101006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8592A KR101006833B1 (ko) 2009-04-02 2009-04-02 체결시스템을 갖춘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28592A KR101006833B1 (ko) 2009-04-02 2009-04-02 체결시스템을 갖춘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157A KR20100110157A (ko) 2010-10-12
KR101006833B1 true KR101006833B1 (ko) 2011-01-12

Family

ID=4313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28592A KR101006833B1 (ko) 2009-04-02 2009-04-02 체결시스템을 갖춘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10A (ko) * 2018-11-27 2020-06-04 심영복 다수의 곡면 접촉면을 포함하는 부분인공무릎관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147B1 (ko) * 2018-12-31 2021-04-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인공 턱관절 유닛
RU196434U1 (ru) * 2019-12-27 2020-02-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СТЕОМЕД-М" Тибиальный компонент эндопротеза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474A (en) 1986-05-12 1987-12-22 Dow Corning Wright Corporation Tibial knee joint prosthesis with removable articulating surface inse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4474A (en) 1986-05-12 1987-12-22 Dow Corning Wright Corporation Tibial knee joint prosthesis with removable articulating surface inse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10A (ko) * 2018-11-27 2020-06-04 심영복 다수의 곡면 접촉면을 포함하는 부분인공무릎관절
KR102171582B1 (ko) * 2018-11-27 2020-10-29 심영복 다수의 곡면 접촉면을 포함하는 부분인공무릎관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157A (ko) 201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0027B2 (ja) 可動式支持アセンブリ
EP2556808B1 (en) Anterior stabilized knee implant
EP0970667B1 (en) Rotatable and translatable joint prosthesis with posterior stabilization
US6709461B2 (en) Modular joint prosthesis system
JP5523353B2 (ja) 膝蓋骨構成要素の移動を伴うマルチコンパートメント補綴装置
US5019103A (en) Tibial wedge system
US20050154470A1 (en) Modular phrosthesis assembly including tapered adjustments
JP7126855B2 (ja) 固定機構を備える脛骨トレイ
EP3556324B1 (en) Total knee implant prosthesis assembly
KR20070094730A (ko) 발목 관절용 관내인공보철물 요소
EP2436341B1 (en) Femoral component of a knee prosthesis
EP4023193B1 (en) Cementless screw-in-peg fixation
KR101006833B1 (ko) 체결시스템을 갖춘 인공 슬관절용 경골측 부품
EP3634319B1 (en) Modular knee prosthesis
JP5128160B2 (ja) 中間物挿入膝関節形成術移植片
WO2013190573A1 (en) Knee joint prosthesis
CN118236211A (zh) 用于约束型假体膝盖部的防脱位装置
CN118236210A (zh) 用于约束型假体膝盖部的防脱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