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766B1 - Signal transferring controller in base station - Google Patents

Signal transferring controller in bas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766B1
KR101006766B1 KR1020080056330A KR20080056330A KR101006766B1 KR 101006766 B1 KR101006766 B1 KR 101006766B1 KR 1020080056330 A KR1020080056330 A KR 1020080056330A KR 20080056330 A KR20080056330 A KR 20080056330A KR 101006766 B1 KR101006766 B1 KR 101006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control
base station
correlation
chann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6193A (en
Inventor
이승준
권동승
완 최
김해룡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6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7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a base sta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 각각의 채널 정보 및 간섭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최대 시스템 용량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에 대응되는 피드백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스케줄러, 피드백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채널 간 상관값(Correlation value)를 산출하는 상관 연산기 및 복수의 채널 간 상관값 및 피드백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를 선택된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전송 방식에 대응하여 복수의 안테나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t least one terminal capable of obtaining a maximum system capacity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and interference signal information of each of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scheduler and a feedback channel for extracting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erminal. A correlation calculator that calculates a correlation value between the plurality of channels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 transmission method of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selected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correlation value and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channels, and the determined transmission schem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a base station including a transmission control unit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a plurality of antennas.

본 발명에 의하면, 신호 전송 효율이 뛰어난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a base station having excellent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다중 안테나, 기지국, 채널간 상관값 Multiple antenna, base station, channel-to-channel correlation

Description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 {SIGNAL TRANSFERRING CONTROLLER IN BASE STATION} Transmission control device of base station {SIGNAL TRANSFERRING CONTROLLER IN BASE STATION}

본 발명은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a base station.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의 채널 용량 증대를 위해 제안된 다양한 다중 안테나 송신 기법들은 주로 단말과 기지국 안테나 간의 일 대 일 통신(point-to-point communications) 방식을 기반으로 설계된다. In general, various multi-antenna transmission techniques proposed for increasing channel capac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are designed based on point-to-point communications between a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ntenna.

근래, 일 대 일 통신 방식보다 진일보된 일 대 다 통신 방식이 제안되었다. 일 대 다 통신 방식은 개별 기지국 안테나 각각이 하나의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통신 방식으로, 기지국 안테나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채널 이득(Channel gain)이 우수한 단말에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Recently, an advanced one-to-many communication scheme has been proposed rather than a one-to-one communication scheme. One-to-many communication is a communication method for each individual base station antenna to provide a service to one terminal. If there is a service request from a larger number of terminals than the number of base station antennas, priority is given to a terminal having excellent channel gain. Provide service.

최근, 하나의 단말에 대하여 둘 이상의 기지국 안테나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 안테나 송수신(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이하 "MIMO"라 칭한다.) 기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채널 환경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MIMO 기법을 변화시키는 적응적 MIMO 방식도 제안되었다. Recently, a 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 reception sche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MO”) that provides a service using two or more base station antennas for a single UE has been proposed. An adaptive MIMO scheme is also proposed to change the MIMO scheme.

적응적 MIMO 기법은 간섭 신호(Interference),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이하, "QoS"라 칭함) 및 피드백 정보(Feedback Information) 등의 폭 넓은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일반적인 MIMO 방식에 비해 단말에 더 나은 QoS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daptive MIMO scheme provides a service based on a wide range of information such as interference signal, quality of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QoS") and feedback information. Better QoS to the terminal than Can provide.

그러나, 적응적 MIMO 방식은 다중 사용자 환경 또는 안테나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를 고려하지 않는다.However, the adaptive MIMO scheme does not consid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lti-user environment or the antenna channel.

일 대 일 통신 방식에서 MIMO 방식을 이용하는 MIMO 시스템이 얻을 수 있는 공간 다이버시티는 일 대 다 통신 방식에서 얻어지는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와 서로 상충되는 특성을 가진다. 일 대 일 통신 방식에서 송신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 기법은 독립적인 채널 변화의 다양성을 결합함으로써 궁극적인 채널 변화에 따른 영향을 감소시키는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는다. 반면, 일 대 다 통신 방식에서 공간 다이버시티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각각의 채널 변화량을 감쇄시키고, 이로 인해 큰 폭의 채널 변화에 따른 사용자 스케줄링을 통한 이득에 의존하는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감소시킨다.In the one-to-one communication scheme, the spatial diversity obtained by the MIMO system using the MIMO scheme is in conflict with the multi-user diversity obtained in the one-to-many communication scheme. In one-to-one communication, a transmit diversity scheme combines the diversity of independent channel changes to obtain diversity gains that reduce the impact of ultimate channel changes. On the other hand, in the one-to-many communication scheme, spatial diversity attenuates the channel variation of each terminal receiving a service, thereby reducing the multi-user diversity gain depending on the gain through user scheduling due to a large channel variation. .

다중 사용자 환경의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와 채널 간 상관 관계 특성은 명확하게 나타난다. 안테나와 채널 간 상관 관계 특성이 명확하게 나타나면,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 이득과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이득이 크게 감소되는 성능 열화가 발생된다. 특히, 공간 다중화 방식은 공간 다이버시티 방식에 비해 채널 상관에 의한 성능 열화가 심각하게 나타나게 되어 문제가 된다.In a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tenna and the channel is clearly shown.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tenna and the channel are clearly shown, performance degradation occurs in which the spatial diversity gain and the spatial multiplexing gain obtained through the multi-antenna system are greatly reduced. In particular, the spatial multiplexing method becomes a problem because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channel correlation is more serious than the spatial diversity metho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호 전송 효율이 뛰어난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a base station having excellent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로서, 복수의 단말 각각의 채널 정보 및 간섭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최대 시스템 용량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에 대응되는 피드백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스케줄러, 상기 피드백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채널 간 상관값(Correlation value)를 산출하는 상관 연산기 및 상기 복수의 채널 간 상관값 및 상기 피드백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를 상기 선택된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전송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한다.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a base st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nd at least one capable of obtaining a maximum system capacity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and interference signal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 scheduler for selecting a terminal and extracting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erminal, a correlation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correlation value between the plurality of channels based on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and a correlation value between the plurality of channels. And a transmission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 transmission scheme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selected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an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antennas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scheme.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채널간 상관 관계 및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의 영향을 고려하여 최대 용량 예측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호 전송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신호 전송 효율을 크게 향상시킨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base station that greatly improves the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by performing the maximum capacity predi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channel correlation and the influence of multi-user diversity, and determining the signal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is Can be implement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 "part" or the like,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BS) is an access point (AP), a radio access station (Radio Access Station, RAS), a Node B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 ( Mobile Multihop Relay) -B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ll or part of functions such as an access point, a radio access station, a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an MMR-B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안테나 송신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antenn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MO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송신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IM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shown in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100)과 복수의 단말(200)이 채널(hk ,1 ~ hk,M)을 통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기지국(100)은 복수의 단말(200)과 신호 송수신을 위한 복수의 안테나(120) 및 복수의 안테나(120)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 장치(1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200 perform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channels h k , 1 to h k, M. The base station 100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200 and a plurality of antennas 1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d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antennas 120.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0)은 송신 제어 장치(110) 및 다중 안테나부(1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and a multiple antenna unit 120.

다중 안테나부(120)는 복수의 안테나(12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MO 시스템의 기지국(100)의 제1 내지 제M 안테나(120-1 ~ 120-M) 각각과 제1 내지 제k 단말(200-1 ~ 200-k) 간의 신호 송수신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hk ,1 내지 hk ,M은 제1 내지 제k 단말(200-1 ~ 200-k)과 제1 내지 제M 안테나(120-1 ~ 120-M) 간에 형성되는 채널이다. 도 1에서, 제1 내지 제M 안테나(120-1 ~ 120-M) 각각이 제1 내지 제k 단말(200-1 ~ 200-k) 각각에 전송하는 신호는 실선으로 나타내었으며, 제1 내지 제k 단말(200-1 ~ 200-k) 각각으로부터 제1 내지 제M 안테나(120-1 ~ 120-M)로 전송되는 피드백 정보는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The multiple antenna unit 120 includes a plurality of antennas 120. For reference, FIG. 1 illustrates each of the first to Mth antennas 120-1 to 120 -M and the first to kth terminals 200-1 to 200 of the base station 100 of the MIM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k) shows an example of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Here, h k , 1 to h k , M are channels formed between the first to k th terminals 200-1 to 200-k and the first to M th antennas 120-1 to 120 -M. In FIG. 1, signals transmitted to each of the first to kth terminals 200-1 to 200-k by the first to Mth antennas 120-1 to 120 -M are represented by solid lines. Feedback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kth terminals 200-1 to 200-k to the first to Mth antennas 120-1 to 120 -M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송신 제어 장치(110)는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 및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의 영향을 고려하여 복수의 안테나(120)를 제어함으로써 전송효율을 향상시킨다.Th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improves transmission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antennas 120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channel correlation and multi-user diversity.

도 2를 참고하면, 송신 제어 장치(110)는 복수의 단말(200)로부터 피드백 정 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피드백 정보에 대응되는 전송 기법을 선택한다. 이때, 각 단말(200)은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코드북(codebook) 등으로 피드백 정보를 결정할 수 잇다.Referring to FIG. 2, th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terminals 200 and selects a transmission schem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feedback information. In this case, each terminal 200 may determine the feedback information us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codebook, or the like.

이러한 송신 제어 장치(110)는 상관 연산기(correlation calculator, 111), 스케줄러(scheduler, 112), 프리코더(precoder, 113), 전송 제어부(114) 및 스위칭부(115)를 포함한다.Th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includes a correlation calculator 111, a scheduler 112, a precoder 113, a transmission controller 114, and a switching unit 115.

스위칭부(115)는 전송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며, 입력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프리코더(113) 또는 복수의 송신 안테나(120)로 전달한다.The switching unit 115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4 and selectively transmits input data to the precoder 113 or the plurality of transmitting antennas 120.

프리코더(113)는 스위칭부(115)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프리코딩하고, 프리코딩된 데이터를 복수의 송신 안테나(120)로 전달한다. The precoder 113 precodes data input through the switching unit 115, and transmits the precoded data to the plurality of transmit antennas 120.

스케줄러(112)는 복수의 단말(200) 각각의 채널 정보와 간섭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최대 시스템 용량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에 대응되는 피드백 채널 정보와 피드백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의 개수 정보를 전송 제어부(114)로 전달한다.The scheduler 112 selects at least one terminal capable of acquiring a maximum system capacity based on channel information and interference signal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200, and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and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erminal. The number of the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4.

상관 연산기(111)는 피드백 채널 정보 및 송신 안테나들 간의 간격 정보 등을 기반으로 채널(hk ,1 ~ hk ,M) 간 상관값(Correlation value)을 계산하여 전송 제어부(114)로 전달한다. 또한, 상관 연산기(1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MO 시스템의 최대 용량을 예측하기 위해 최대 용량 계산 또는 순차 통계 계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계산 결과를 전송 제어부(114)로 전달한다. 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calculates a correlation value between channels h k , 1 to h k , M based on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and the interval inform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antennas, and transmits the correlation value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4. . In addition, 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selectively performs either a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or a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to predict the maximum capacity of the MIM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fers the calculation result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4. do.

전송 제어부(114)는 상관 연산기(111)로부터 입력되는 계산 결과를 기반으로, 기지국과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개수, 간섭 신호, QoS 및 피드백 정보량은 물론,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 및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의 영향을 종합하여 송신 다이버시티와 공간 다중화 기법 및 프리코딩 기법을 결정한다.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4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input from 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the number of terminals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base station, the amount of interference signal, QoS and feedback information,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nel (Correlation) and multiplexing The effects of user diversity are combined to determine transmit diversity, spatial multiplexing, and precoding.

특히, 전송 제어부(114)는 피드백 정보량에 따라 스위칭부(115)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프리코딩 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전송 제어부(114)는 피드백 정보량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스위칭부(115)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프리코더(113)로 전달하여 프리코딩 시킨 후에 복수의 송신 안테나(120-1 ~ 120-M)로 전달되도록 한다. 반면에, 전송 제어부(114)는 피드백 정보량이 설정치 이하이면, 스위칭부(115)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프리코더(113)를 거치지 않고 직접 복수의 송신 안테나(120)로 전달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4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precode data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115 according to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exceeds the set valu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4 transfers the data input to the switching unit 115 to the precoder 113 and precodes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120-1 to 120 -M. To be delivered).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4 transmits the data input to the switching unit 115 directly to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12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recoder 113.

전송 제어부(114)는 결정된 송신 다이버시티와 공간 다중화 기법 및 프리코딩 기법을 기반으로 복수의 송신 안테나(120) 각각에 할당되는 채널 용량 및 단말(200)로의 신호 전송 방식을 결정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송신 안테나(12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14 determines a channel capacity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120 and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to the terminal 200 based on the determined transmission diversity, spatial multiplexing technique, and precoding technique, and correspondingly.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120 is gener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제어 장치(110)는 복수의 단말(200)에 신호 전송 시, 채널(hk ,1 ~ hk ,M) 간 상관 관계(Correlation)를 기반으로 공간 다이버시티(Spacial Diversity) 이득과 단말의 개수에 대응하여 증감하는 다이버시티(이하,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라 칭함.) 이득의 상호 유기적 관계를 고려하여 두 가지 이득이 결합된 최종 이득을 극대화하도록 동작한다.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a signal to a plurality of terminals 200, based on the correlation (Correlation) between the channels (h k , 1 ~ h k , M ) Spacial Diversity In consideration of the mutual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gain and the divers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multi-user diversity") gai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the second gain is combined to maximize the final gain.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커지면, 공간 다이버시티(Spacial Diversity)는 감소하나,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는 커지게 되어 공간 다이버시티와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를 모두 크게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상관 연산기(111)는 최대 용량(Maximum Capacity) 계산 또는 순차 통계 계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위칭 제어부(114)가 단말에 대한 신호 전송 방식을 결정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와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조절하고, 이로 인해 최종 이득을 극대화 한다. If the correlation between channels becomes large, spatial diversity decreases, but multi-user diversity increases, so that both spatial diversity and multi-user diversity cannot be increased. For this reason, 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selectively performs either a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or a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and based on this, the switching controller 114 determines a signal transmission scheme for the terminal, thereby allowing spatial diversity. And multi-user diversity gain, thereby maximizing the final gain.

이하에서는, 상관 연산기(111)에서 수행하는 최대 용량 예측 기법인 최대 용량(Maximum Capacity) 계산 및 순차 통계 계산 중 최대 용량 계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among the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and the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which are the maximum capacity prediction techniques performed by 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will be described first.

도 1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 복수의 송신 안테나(120)와 복수의 단말(200) 간의 신호 송수신 시에 제1 내지 제k 단말(200-1 ~ 200-k) 전체에 할당되는 채널(hk)는 제1 내지 제k 단말(200-1 ~ 200-k) 각각에 할당되는 채널의 행렬이며,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1과 같다. In the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The allocated channel h k is a matrix of channels allocated to each of the first to k th terminals 200-1 to 200-k, which is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1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1

제1 내지 제M 안테나(120-1 ~ 120-M) 상호간에 상호 작용(correlation)이 없다고 가정하고, 제1 내지 제M 안테나(120-1 ~ 120-M)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상관 행렬(RT)를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2
과 같으면, 상관 행렬 RT는 수학식 2와 같다. Assuming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to Mth antennas 120-1 to 120 -M, a correlation matrix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to Mth antennas 120-1 to 120 -M ( R T )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2
And equal, the correlation matrix R T is equal to the equation (2).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3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3

(여기에서,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4
는제1 내지 제M 안테나(120-1 ~ 120-M)들 상호간의 상관계수(correlation))(From here,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4
Is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first to Mth antennas 120-1 to 120-M)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diversity gain)을 최대화 하는 신호 전송 방식이 적용된다고 가정할 때, 수학식 2에 나타낸 상관 행렬 RT를 기반으로 송신 다이버시티(Transmit Diversity; TD) 기법을 통해 얻어지는 최대 용량 CTD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수학식 3과 같다.Assuming that a signal transmission scheme that maximizes multi-user diversity gain is applied, the maximum capacity C obtained through the transmit diversity scheme (TD) based on the correlation matrix R T shown in Equation 2 TD is represented by Equation 3 below.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5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5

(여기에서,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6
는 평균 신호 대 잡음비(Average Signal-to-Noise Ratio; ASNR))(From here,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6
Is the Average Signal-to-Noise Ratio (ASNR)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송신 다이버시티 기법은 다음과 같다.The transmit diversity scheme in a multi-user environment is as follows.

기지국(100)은 단말들(200-1 ~ 200-K) 중 채널 상태가 가장 좋은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에 제1 내지 제M 안테나(120-1 ~ 120-M)의 안테나를 모두 할당하고, 시공간 부호 (Space-Time Code; STC) 등을 통해 선택된 단말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과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The base station 100 selects one terminal having the best channel state among the terminals 200-1 to 200 -K, and connects antennas of the first to Mth antennas 120-1 to 120 -M to the selected terminal. All of them are allocated an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lected terminal through a space-time code (STC). This allows for both spatial diversity gain and multi-user diversity gain.

이와는 달리, 안테나 선택 (Antenna Selection; AS) 기법은 제1 내지 제K 단말(200-1 ~ 200-K) 각각이 제1 내지 제M 송신 안테나(120-1 ~ 120-M) 각각에 대한 채널 이득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송신 안테나를 선택하여 피드백한다. 이때, 제1 내지 제M 송신 안테나(120-1 ~ 120-M) 각각은 K개의 단말(200-1 ~ 200-K) 각각의 피드백 정보를 기반으로 K개의 단말(200-1 ~ 200-K)들 중 최대 채널 이득을 갖는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에 신호를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과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는데, 안테나 선택(AS) 기법을 통해 얻어지는 최대 용량 CAS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수학식 4와 같다.In contrast, in the antenna selection (AS) scheme, each of the first to K-th terminals 200-1 to 200 -K is a channel for each of the first to Mth transmit antennas 120-1 to 120 -M. The transmit antenna having the largest gain is selected and fed back. 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to Mth transmission antennas 120-1 to 120 -M may have K terminals 200-1 to 200 -K based on feedback information of each of the K terminals 200-1 to 200 -K. Select one terminal having the maximum channel gain and transmit a signal to the selected terminal. By doing so, a spatial diversity gain and a multi-user diversity gain can be obtained. The maximum capacity C AS obtained through the antenna selection (AS) method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4 below.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7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7

한편, 공간 다중화 (Spatial Multiplexing, SM) 기법은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다중화 이득을 얻기 위한 것으로,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는 각 제1 내지 제M 안테나(120-1 ~ 120-M) 각각이 제1 내지 제k 단말(200-1 ~ 200-k) 중 최대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이하, "SINR"이라 칭함.)를 가지는 단말을 선택하여 송신한다. 이와 같은, 공간 다중화 기법을 이용한 신호 전송은 다중화 이득과 다중 사용자 이득을 동시에 얻을 수 있으나,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Meanwhile, a spatial multiplexing (SM) technique is used to obtain a multiplexing gain in a multi-user environment. In the multi-user environment, each of the first to Mth antennas 120-1 to 120 -M is the first to kth. A terminal having a maximum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INR ") among the terminals 200-1 to 200-k is selected and transmitted. Such a signal transmission using a spatial multiplexing technique can simultaneously obtain a multiplexing gain and a multi-user gain,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spatial diversity gain cannot be obtained.

공간 다중화 기법을 이용한 신호 전송 시 최대 용량 CSM을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The maximum capacity C SM in the signal transmission using the spatial multiplexing technique is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2010030925385-pat00008
Figure 112010030925385-pat00008

이때, SINR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6과 같다. In this case, SINR is represented by Equation 6 below.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9
Figure 112008042816092-pat00009

(여기에서, σ2는 평균 신호 대 잡음비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0
의 역수)Where σ 2 is the average signal-to-noise ratio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0
Reciprocal of)

또한, 제1 내지 제k 단말 중 최대 SINR을 갖는 송신 안테나 인덱스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1
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transmit antenna index having the maximum SINR among the first to k-th terminal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1
Is as follows.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2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2

또한,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송신 다이버시티(TD) 기법과 최대 비율 조합(Maximum Ratio Combining; 이하, "MRC"라 칭함.) 기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신호 전송(TD-Maximum Ratio at Transmitter; 이하, "TD-MRT 기법"이라 칭함.) 시에, 최적의 사용자를 선택하였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최대 용량 CTD - MRT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수학식의 8과 같다.In addition, TD-Maximum Ratio at Transmitter (TD) and TD (Maximum Ratio Combin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MRC") techniques are simultaneously applied in a multi-user environment. . -MRT technique referred to as ") when on, if the user have selected the optimum maximum capacity C TD can be obtained - indicates the MRT by the following equation as the equation 8 below.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3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3

한편, 송신 다이버시티(TD) 기법과 위상 조정(PS) 기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신호 전송 기법(이하,"TD-PS 기법"이라 칭함.)을 적용하는 신호 전송 시에, 최적의 사용자를 선택하였을 경우 얻을 수 있는 최대 용량 CTD - PS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수학식의 9와 같다.Meanwhile, an optimal user may be selected when transmitting a signal using a transmission diversity (TD) technique and a phase adjustment (PS) techniq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D-PS technique"). when TD maximum capacity C can be obtained - represents the PS as shown in equation 9, equation below.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4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4

TD-MRT 기법은 제1 내지 제k 단말 각각의 모든 채널 정보를 필요로 하는 반면, TD-PS 기법은 제1 내지 제k 단말 각각의 채널 위상 정보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TD-MRT 기법에 비해 TD-PS 기법 적용 시 필요한 피드백 정보량이 상대적으로 작다. The TD-MRT technique requires all channel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to k th terminals, whereas the TD-PS technique requires only channel phase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to k th terminals, compared to the TD-MRT technique.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required when applying the PS technique is relatively small.

한편, 공간 다중화 방식(Spatial Multiplexing; SM)에 채널에 따라 전력을 할당하는 파워 로딩(Power Loading) 기법(이하, "SM-PL 기법"이라 칭함.)을 적용하 는 경우에 얻을 수 있는 최대 용량 CSM - PL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capacity that can be obtained when applying a power loading techniq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PL technique") that allocates power according to a channel to a spatial multiplexing (SM). C SM - PL can be expressed as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5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5

이때, SINR, σ 및 β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수학식 11과 같다. 여기에서, β는 전체 파워 중 채널별로 로딩되는 파워 로딩 포션(Portion)이다. In this case, SINR, σ, and β are represented by Equation (11). Here, β is a power loading portion (Portion) that is loaded for each channel of the total power.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6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6

상관 연산기(111)는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11을 이용하여 최대 용량을 계산한다. 이를 위해 상관 연산기(111)는 상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11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calculates the maximum capacity using the above-described Equations 1 to 11. To this end, 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may include a database storing the above-described Equations 1 to 11.

또한, 스위칭 제어부(114)는 상관 연산기(111)에서 입력되는 계산 결과에 채널간 상관 관계, 기지국(100)과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개수, 간섭 신호, QoS 및 피드백 정보량,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 및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 티의 등의 값 및 상호간의 함수 관계를 저장하는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선택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control unit 114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channel, the number of terminals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base station 100, the interference signal, the amount of QoS and feedback inform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channels in the calculation result input from 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It may include a table that stores values such as (Correlation) and multi-user diversity, and a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may generate a selection signal based on this.

송신 제어 장치(110)는 최대 용량 계산을 수행하는 경우에 순차 통계 계산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정확한 계산값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최대 용량 계산은 기지국(100)과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모든 단말의 채널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송신 제어 장치(110)가 최대 용량 계산을 수행하는 경우에 기지국(100)과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개수가 소정 수준 이상 증가하면, 송신 제어 장치(110)가 필요로 하는 피드백 정보의 양이 크게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The transmission control device 110 may obtain a relatively more accurate calculation value when performing the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than when performing the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However, the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requires channel information of all terminals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base station 100. Thus, if the number of terminals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base station 100 increase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level when th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performs the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the feedback information requir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is requir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is greatly increased.

반면, 순차 통계 계산은 기지국(1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든 단말의 채널 정보 대신에, 기지국 안테나(120-1 ~ 120-M) 각각이 단말(200-1 ~ 200-k)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이하, "SNR"이라 칭함.)의 통계치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이로 인해, 순차 통계 계산은 최대 용량 계산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필요한 피드백 정보의 양이 크게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is a reception that each of the base station antennas 120-1 to 120-M receives from the terminals 200-1 to 200-k instead of the channel information of all terminals that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base station 100. The signal-to-noise rat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SNR") of the signal is calculated based on statistics. For this reason, the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required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관 연산기(111)는 예측되는 피드백 정보의 양을 계산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대 용량(Maximum Capacity) 계산 또는 순차 통계 계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최대 용량을 예측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관 연산기(111)는 피드백 정보의 크기가 작을 때에는 보다 정확한 결과를 추출할 수 있는 최대 용량 계산을 수행하고, 최대 용량 계산을 수행하 기에는 피드백 정보의 크기가 커서 부하가 큰 경우에는 순차 통계 계산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to be predicted, and based on this, selects either a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or a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to be set to predict the maximum capacity. It may be. That is, 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that can extract a more accurate result when the size of the feedback information is small, and the size of the feedback information is larger when performing the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If the cursor load is large, it may be set to perform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스케줄링을 적용하는 경우, 상관 연산기(111)에서 수행하는 순차 통계 계산식은 수학식 12와 같다.When scheduling is applied in a multi-user environment, the sequential statistical equation performed by the correlation calculator 111 is expressed by Equation 12.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7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7

(여기에서,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8
은 랜덤 변수에 대한 기대값(expectation),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9
은 랜덤 변수에 대한 분산(variation))(From here,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8
Is the expectation for a random variable,
Figure 112008042816092-pat00019
Is the variance of a random variable)

수학식 12의 순차 통계 계산식을 참조하면, 스케줄링 이후의 수신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의 기대값이 분산과 기지국(1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커짐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he sequential statistical equation of Equation 12, the expected value of the signal-to-noise ratio (SNR) of the received signal after scheduling is distributed and the number of terminals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base station 100 increases. It can be seen that the larger.

참고로, 상술한 다중 안테나 전송 기법들 중 공간 다중화 기법은 일 대 일 통신 방식과 마찬가지로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에 의해 최대 용량이 크게 좌우되는 단점을 갖는다. 반면, 안테나 선택 기법은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에 둔감한 영향을 나타낸다. 또한, 송신 다이버시티 기법은 일 대 일 통신 방식과 달리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가 커짐에 따라 최대 용량이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면 다중 안테나 송신 기법을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주어진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For reference, among the aforemention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chemes, the spatial multiplexing techniqu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ximum capacity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channels as in the one-to-one communication scheme. On the other hand, the antenna selection technique exhibits an insensitive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annels. In addition, unlike the one-to-one communication scheme, the transmission diversity scheme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maximum capacity increases as the correlation between channels increases. Therefore, by effectively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gain that can be obtained in a given multi-user environment by adaptively selecting the multi-antenna transmission technique.

이하,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제어 장치(110)의 신호 전송 기법 선택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ignal transmission scheme selection of th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단말의 개수(K)가 20이고, 평균 신호 대 잡음비(ANSR)가 6dB인 경우에 신호 전송 방식에 따른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와 채널 용량(Throughput)간의 대응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채널 상관값이 0.1 인 경우에 신호 전송 방식에 따른 기지국(1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의 개수와 채널 용량(Throughput)간의 대응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exemplarily illustrates a correlation between channel correlation and channel capacity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K is 20 and the average signal-to-noise ratio ASR is 6 dB. Figure is show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o and from a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 channel capacity when the channel correlation value is 0.1.

도 3을 참조하면, 채널 상관값이 0.2 이하에서는 SM-PL 기법의 채널 용량이 가장 크고, 0.2 이상에서는 TD-MRT 기법의 채널 용량이 가장 크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channel correlation value is 0.2 or less, the channel capacity of the SM-PL scheme is the largest, and when 0.2 or more, the channel capacity of the TD-MRT technique is the largest.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1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의 개수가 20이하에서는 TD-MRT 기법의 채널 용량이 가장 크고, 단말의 개수가 20 이상에서는 SM-PL 기법 또는 SM 기법의 채널 용량이 다른 기법에 비해 크게 나타난다.4, the channel capacity of the TD-MRT scheme is the largest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base station 100 is 20 or less, and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is 20 or greater, the SM-PL scheme or the SM scheme is used. Channel capacity is larger than other techniqu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제어 장치(110)는 도 3의 신호 전송 방식에 따른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와 채널 용량(Throughput)간의 대응관계 및 도 4의 신호 전송 방식에 따른 기지국(1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의 개수와 채널 용량(Throughput)간의 대응관계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하여 신 호 전송 방식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제어 장치(11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는 다른,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는 특정 변수 및 임계치, 즉 간섭 신호, QoS 및 피드백 정보량을 기준으로 신호 전송 방식을 변경시키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station 100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rrelation (Correlation) and channel capacity (Throughput)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ssion method of Figure 3 and the signal transmission method of Figure 4 )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a signal transmission scheme in consideration of any one or both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number of terminals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the channel throughput.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signals based on specific variables and thresholds set by a system administrator, that is, interference signals, QoS, and feedback information amount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shown in FIGS. 3 and 4. It may be set to change the manner.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MO 시스템은 최대 용량 계산 및 순차 통계 계산의 두 가지 계산 방식을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최대 용량 예측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최대 용량 예측을 위해 최대 용량 계산 및 순차 통계 계산의 두 가지 계산 방식 중 어떤 방식을 이용할지의 여부는 기지국과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개수, 간섭 신호, QoS 및 피드백 정보량은 물론,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 및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의 영향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MO 시스템은 최적의 전송 효율을 구현하고, 피드백 정보량을 저장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performs two calculation methods of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and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to perform maximum capacity prediction. Here, whether one of the two calculation methods, the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and the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is used for the maximum capacity prediction, the number of terminals performing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base station, the interference signal, the QoS and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considering both the correlation between channels and the effects of multi-user diversity. MIM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memory capacity to be provided to implement the optimum transmission efficiency, and to store the amount of feedback information can be greatly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The embodiment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IMO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IMO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기지국에 포함되어 복수의 안테나를 제어하는 송신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ransmission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base station of FIG. 1 to control a plurality of antennas.

도 3은 단말의 개수(K)가 20이고, 평균 신호 대 잡음비(ANSR)가 6dB인 경우에 신호 전송 방식에 따른 채널 간 상관 관계(Correlation)와 채널 용량(capacity)간의 대응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3 exemplarily illustrates a correlation between channel correlation and channel capacity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when the number of UEs is 20 and the average signal-to-noise ratio (ANSR) is 6 dB. Figure is shown.

도 4는 채널 상관값이 0.1 인 경우에 신호 전송 방식에 따른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의 개수와 채널 용량(capacity)간의 대응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erminals that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to and from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channel capacity when the channel correlation value is 0.1.

Claims (6)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the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a base st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복수의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의 피드백 채널 정보 및 간섭 신호 정보를 기반으로 최대 시스템 용량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단말에 대응되는 피드백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스케줄러;A scheduler for selecting at least one terminal capable of obtaining a maximum system capacity based on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and the interference signal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extracting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terminal. ; 상기 피드백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채널 간 상관값(Correlation value)를 산출하는 상관 연산기; 및A correlation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correlation value between the plurality of channels based on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And 상기 복수의 채널 간 상관값, 상기 피드백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의 수 및 상기 피드백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를 상기 선택된 이동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전송 방식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전송 제어부Based on the correlation value between the plurality of channels, the number of terminals transmitting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and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a transmission scheme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selected mobile terminal is determined, and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ransmission scheme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antennas 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base statio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입력되는 신호를 프리코딩하여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 전달하는 프리코더; 및 A precoder for precoding an input signal and transferring the signal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And 상기 전송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상기 프리코더 또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And a switching unit which is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transmits the signal to the precoder or the plurality of antenna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송 제어부는,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상기 피드백 채널 정보의 양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of the base st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unit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전송 제어부는,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상기 피드백 채널 정보의 양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신호를 상기 프리코더로 전달하고, 상기 피드백 채널 정보의 양이 상기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신호를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 전달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동작시키는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precoder when the amount of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exceeds the set value,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plurality of antennas when the amount of the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t valu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관 연산기는 최대 용량 계산 또는 순차 통계 계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최대 시스템 용량을 예측하는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And the correlation calculator selectively performs either a maximum capacity calculation or a sequential statistical calculation to predict the maximum system capacity.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결정된 상기 전송 방식은,The determined transmission scheme is 상기 복수의 채널 간 상관 관계에 대응되는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과 상기 단말의 개수에 대응되는 다중 사용자 다이버시티 이득을 결합하여 얻어지는 이득을 최대화 하는 기지국의 송신 제어 장치.And a base station's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for maximizing a gain obtained by combining a spatial diversity gain correspon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channels and a multi-user diversity gain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KR1020080056330A 2007-12-18 2008-06-16 Signal transferring controller in base station KR10100676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33758 2007-12-18
KR1020070133758 200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193A KR20090066193A (en) 2009-06-23
KR101006766B1 true KR101006766B1 (en) 2011-01-10

Family

ID=4099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330A KR101006766B1 (en) 2007-12-18 2008-06-16 Signal transferring controller in bas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76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402A (en) * 2006-03-0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in mimo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402A (en) * 2006-03-0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in mimo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193A (en)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1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176622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transmit weights in relay networks
JP512934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precoded signal in a collabo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
KR1005759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multi-us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transmit/receive antenna
KR100946924B1 (en) User terminal selection method in zero forcing beamforming algorithm
KR101507088B1 (en) Aparatus and method for uplink baemforming and space-division multiple access in multi-input multi-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761092B2 (en) Collaborative MIMO using sounding channel in multi-cell environment
US798697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4371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antennas and multiple random beams
KR1008352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opportunistic beamforming scheme using quantized precoder
KR100975730B1 (en) Random beamforming method of mimo system
KR20050109789A (en) Beamforming method for sdm/mimo system
KR20130075311A (en) Method and appratus for limited feedback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massive mimo system base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wireless communication
EP2517375B1 (en) Tele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JP2013528007A (en) Method for scheduling users in a mobile 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and base station
KR1009681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hannel sound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618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sequential scheduling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
US201002660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multiple users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
KR102293045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beamforming based o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KR1014288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 link data transmission/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101726593B1 (en) Method and appratus for limited feedback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Wang et al. Random unitary beamforming with partial feedback for multi-antenna downlink transmission using multiuser diversity
KR101006766B1 (en) Signal transferring controller in base station
KR200900882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 link data transmission/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KR20070119178A (en) Method and system control of feedback in mu-mi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