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260B1 -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260B1
KR101005260B1 KR1020080078921A KR20080078921A KR101005260B1 KR 101005260 B1 KR101005260 B1 KR 101005260B1 KR 1020080078921 A KR1020080078921 A KR 1020080078921A KR 20080078921 A KR20080078921 A KR 20080078921A KR 101005260 B1 KR101005260 B1 KR 10100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connection
solar panel
hin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228A (ko
Inventor
김경원
김선원
임재혁
이주훈
황도순
송운형
최항석
김진희
진익민
김학정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78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26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2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for deploying structures between a stowed and deployed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10Artificial satellites; Systems of such satellites; Interplanetar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2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for deploying structures between a stowed and deployed state
    • B64G1/2221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for deploying structures between a stowed and deployed stat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deployment
    • B64G1/2227Inf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GCOSMONAUTICS; VEHICLES OR EQUIPMENT THEREFOR
    • B64G1/00Cosmonautic vehicles
    • B64G1/22Parts of,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in or to, cosmonautic vehicles
    • B64G1/4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wer supply systems
    • B64G1/4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wer supply systems using radiation, e.g. deployable solar arrays
    • B64G1/443Photovoltaic cell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전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인공위성은, 인공위성 본체, 인공위성 본체와 연결되어, 태양광을 받아 인공위성 본체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 그리고, 인공위성 본체와 태양전지판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며, 힌지장치는, 인공위성 본체에 설치되는 제 1 힌지브라켓, 태양전지판에 설치되는 제 2 힌지브라켓, 그리고,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을 연결시키며, 인공위성 본체와 태양전지판이 상호 마주하는 접힘상태에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안정적인 전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인공위성, 전개, 힌지, 연결, 스프링, 강성, 토크, 복원력.

Description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HINGE APPARATUS AND SATELLIT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공위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임무궤도에서 소정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인공위성으로부터 전개되는 태양전지판을 인공위성에 전개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태양전지판은 인공위성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원이다. 상기 태양전지판은 지구로부터 발사될 때에는 상기 인공위성에 접혀진 상태이나, 상기 인공위성이 임무궤도에 도달하면, 인공위성으로부터 전개되어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태양전지판은 상기 인공위성에 힌지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인공위성에 대해 접혀져 있다가 전개된다.
한편, 상기 인공위성은 상온의 지구로부터 대기권 밖으로 발사되면, 극저온 또는 극고온의 환경에 접하게 된다. 그로 인해, 상기 힌지장치가 극저온 또는 극고온 환경에서 열수축되거나 열팽창됨으로써, 상기 태양전지판의 전개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태양전지판의 전개불량은 상기 인공위성의 전력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상기 인공위성의 성능 저하를 야기시킨다. 상기 힌지장치의 온도 변화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써 기구학적인 보상이 있을 수 있으나, 이 경우 힌지장치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그러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온도 환경에 대응하여 인공위성으로부터 태양전지판을 안정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힌지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전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적으로 우수한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힌지장치는, 제 1 및 제 2 유닛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과,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닛이 상호 마주하는 접힘상태일 때,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1 유닛에 대해 상기 제 2 유닛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복원력이 점차 감소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극저온 또는 극고온 환경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변형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 힌지브라켓은, 상기 제 1 유닛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단과 상기 제 1 지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단을 포함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힌지브라켓은, 상기 제 2 유닛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단과 상기 제 2 지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는 제 2 연결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의 대략 중앙부에 상호 접촉 가능하게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양단을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에 각각 고정시키도록 제 1, 2 고정부재와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공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단과, 상기 제 1 삽입단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탄성체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 1 돌출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고정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과 상기 제 1 고정부재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공과 연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 2 삽입단과, 상기 제 2 삽입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 2 돌출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들과 마주하여,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를 제 1 및 제 2 연결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는 상기 탄성체의 양단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된다.
참고로, 상기 제 1 유닛은 인공위성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인공위성 본체의 전력원인 태양전지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유닛에 대해 상기 제 2 유닛이 전개범위를 규제하는 규제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공위성은, 인공위성 본체, 상기 인공위성 본체와 연결되어, 태양광을 받아 상기 인공위성 본체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 그리고, 상기 인공위성 본체와 상기 태양전지판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인공위성 본체에 설치되는 제 1 힌지브라켓, 상기 태양전지판에 설치되는 제 2 힌지브라켓,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을 연결시키며, 상기 인공위성 본체와 태양전지판이 상호 마주하는 접힘상태에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은, 인공위성 본체와 태양전지판을 각각 지지하는 힌지브라켓들을 탄성체로 연결하여 전개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태양전지판의 전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가 극저온 또는 극고온과 같은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도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함으로써, 열적인 측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공위성(1)은 인공위성 본체(10), 태양전지판(20) 및 힌지장치(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공위성 본체(10)는 지구에서 인공적으로 쏘아 올려 달과 같이 지구 주위를 궤도 운동하는 인공위성(1)의 몸체로써, 과학실험, 정찰 및/또는 통신 등과 같은 소정의 임무를 수행한다. 상기 인공위성 본체(10)는 발사체(미도시)에 의해 지구로부터 발사된 후, 임무궤도에 도달하면 발사체(미도시)로부터 분리되어 관성에 의해 임무궤도를 주행하게 된다. 이러한 인공위성 본체(10)의 동작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태양전지판(20)은 상기 임무궤도에 도달한 인공위성 본체(10)가 소정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력원이다. 즉, 상기 태양전지판(20)은 상기 인공위성 본체(10)의 추진력이 아닌 임무수행을 위한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태양전지판(20)은 다수의 태양전지셀(미도시)을 구비하여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상기 태양전지판(20)에 의해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태양전지판(20)과 인공위성 본체(10) 사이의 연결에 의해, 상기 인공위성 본체(1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태양전지판(20)의 기술구성은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힌지장치(30)는 상기 인공위성 본체(10)에 대해 태양전지판(20)이 움직임 가능하도록, 상기 인공위성 본체(10)와 태양전지판(20)을 상호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장치(30)는 상기 인공위성 본체(10)와 태양전지판(20)이 상호 마주하는 접힘위치와, 상기 인공위성 본체(10)에 대해 태양전지판(20)이 전개되는 전개위치 사이에서 상기 태양전지판(20)이 움직임 가능하도록, 상기 인공위성 본 체(10)와 태양전지판(20)을 연결시킨다. 이러한 힌지장치(30)는 도 3 내지 도 7의 도시와 같이,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과 연결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힌지브라켓(40)은 상기 인공위성 본체(10)에 설치되며, 제 1 지지단(41)과 제 1 연결단(4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지지단(41)은 상기 인공위성 본체(10)를 지지하며, 상기 제 1 연결단(43)은 제 1 지지단(41)으로부터 절곡되어 연결수단(60)과 연결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 1 지지단(41)에는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S)이 삽입되어 인공위성 본체(10)에 제 1 지지단(41)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체결공(42)이 복수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단(43)에는 후술한 연결수단(60)과의 연결을 위해 제 1 연결공(4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 2 힌지브라켓(50)은 상기 태양전지판(20)에 설치되며, 태양전지판(20)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단(51)과 제 2 연결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결수단(60)과 연결되는 제 2 연결단(5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 2 지지단(51)에는 태양전지판(20)과의 체결을 위해 복수의 제 2 체결공(52)들이 관통 형성되며, 제 2 연결단(53)에는 연결수단(60)과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공(54)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은 서로 지지하는 대상이 상이할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43)(53)의 대략 중앙부에 상호 접촉 가능한 제 1 및 제 2 가이드단(45)(55)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단(45)(55)은 서로 접촉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면(46)(56)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의 전개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면(46)(56)은 완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을 원활히 가이드한다.
참고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43)(53)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공(44)(54)은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단(45)(55)을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60)은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을 연결시키며, 인공위성 본체(10)와 태양전지판(20)이 상호 마주하는 접힘상태일 때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연결수단(60)은 상기 태양전지판(20)을 상기 인공위성 본체(10)에 대해 전개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수단(60)은 탄성체(70)와 고정부(80)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연결수단(60)은 상기 한 쌍의 제 1 및 제 2 연결공(44)(54)에 대응되어 한 쌍으로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을 보다 견고히 연결한다.
상기 탄성체(70)는 상기 태양전지판(20)을 전개위치로 가압하는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탄성체(70)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판(20)이 전개위치에 위치하여 펼쳐진 상태가 초기상태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70)가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의 열변형에도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는 나선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태양전지판(20)은 지구에서 발사될 때에는 도시되지 않은 가압수단에 의해 인공위성 본체(10) 측으로 접혀진 상태이며, 이때, 상기 탄성체(70)도 함께 접혀짐으로써 복원력 즉, 토크(Torque)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판(20)을 가압하던 가압수단(미도시)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체(70)의 복원력에 의해 인공위성 본체(10)로부터 태양전지판(20)이 전개된다. 그로 인해, 상기 태양전지판(20)의 전개상태에서의 탄성체(70)의 토크는 0이 되며, 탄성체(70)는 펼쳐진 상태가 된다.
상기 고정부(80)는 상기 탄성체(70)의 양단(71)(72)을 제 1 및 제 2 연결단(43)(53)에 각각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80)는 도 3 내지 도 7의 도시와 같이, 제 1 고정부재(81), 제 2 고정부재(86) 및 고정플레이트(90)를 포함하여, 상기 탄성체(70)의 일단(71)과 타단(72)을 각각 제 1 및 제 2 연결단(43)(53)에 고정시킨다.
상기 제 1 고정부재(81)는 도 5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43)(53)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공(44)(54)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단(82), 이 제 1 삽입단(8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돌출되어 탄성체(70)의 내주면(73)을 지지하는 제 1 돌출단(8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돌출단(83)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인 탄성체(70)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8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삽입단(82)과 제 1 돌출단(83)에는 제 1 및 제 2 연결공(44)(54)과 연통하는 제 3 체결공(85)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고정부재(86)는 도 5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53)과 제 1 고정부재(81)의 사이에 삽입되며 제 1 및 제 2 연결공(44)(54)과 연통하는 삽입공(88)이 형성되는 제 2 삽입단(87)과, 제 2 삽입단(87)으로부터 절곡되어 탄성체(70)의 외주면(74)을 지지하는 제 2 돌출단(89)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삽입단(87)에는 제 1 고정부재(81)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참고로, 상기 제 2 삽입단(87)의 삽입공(88)의 직경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공(54)과 연통할 수 있는 직경이다.
상기 고정플레이트(90)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43)(53)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고정부재(81)(86)들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90)에는 상기 탄성체(70)의 양단(71)(72)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재(81)(86)를 제 1 및 제 2 연결단(53)에 체결수단(S)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한 제 4 체결공(9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70)의 양단(71)(72)이 고정부(80)에 의해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에 각각 고정되는 과정을 도 5 및 도 7을 참고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 1 힌지브라켓(40)의 제 1 연결단(43)에 형성된 제 1 연결공(44)과 제 2 고정부재(86)의 삽입공(88)이 연통되도록 제 2 고정부재(86)를 배치시킨다. 이 후, 상기 제 1 고정부재(81)에 형성된 제 3 체결공(85)이 제 1 연결공(44)과 연통되도록, 제 1 고정부재(81)의 제 1 삽입단(82)을 제 2 삽입단(87)에 진입시킨다. 이때, 상기 탄성체(70)의 일단(71)은 제 1 돌출단(83)의 안착홈(84)에 의해 내주면(73)이 지지되고 제 2 돌출단(89)에 의해 외주면(74)이 지지됨으로써, 제 1 및 제 2 돌출단(83)(89) 사이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84)이 탄성체(7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탄성체(70)의 내주면(73)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탄성체(70)의 일단(71)의 유동이 억제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86)가 탄성체(70)의 일단(71)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 1 연결공, 제 3 및 제 4 체결공(85)(91)이 상호 연통하도록 배치되면, 체결수단(S)이 고정플레이트(90)의 제 4 체결공(91)을 통해 진입하여 제 1 및 제 2 고정부재(86)를 제 1 연결단(43)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90)는 제 1 연결단(43)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고정부재(81)(86)와 마주한 상태이다. 이로써, 상기 제 1 힌지브라켓(40)과 탄성체(70)의 연결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제 1 힌지브라켓(40)과 탄성체(70)의 연결동작은 제 2 힌지브라켓(50)에서도 그대로 적용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은 탄성체(7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한편, 상기 인공위성 본체(10)와 태양전지판(20) 사이에는 힌지장치(30)에 의해 전개되는 태양전지판(20)의 전개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유닛(100)이 도 1 및 도 2와 같이 설치된다. 상기 규제유닛(100)은 상기 태양전지판(20)이 인공위성 본체(10)에 대한 접힘상태일 때에는 접혀진 상태이고, 상기 태양전지판(20)이 인공위성 본체(10)에 대해 전개상태일 때에는 펼쳐진 상태로 가변됨으로써, 인공위성 본체(10)와 태양전지판(20) 사이의 전개범위를 규제한다. 참고로, 상기 규제유닛(100)은 상기 태양전지판(20)이 인공위성 본체(10)로부터 부드럽게 전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함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인공위성(1)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인공위성 본체(10)에 태양전지판(20)이 접혀진 상태로 인공위성(1)이 지구로부터 발사된 후 임무궤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압수단(미도시)에 의해 태양전지판(20)이 접힘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도 3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인공위성 본체(10)와 태양전지판(20)을 각각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은 상호 수직하게 연결수단(60)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70)는 토크 발생에 의해 인공위성 본체(10)에 대해 태양전지판(20)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인공위성 본체(10)가 임무궤도에 도달하면 가압수단(미도시)의 가압력이 해제됨으로써, 도 4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판(20)을 지지하던 제 2 힌지브라켓(50)이 탄성체(70)의 복원력에 의해 전개방향으로 전개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70)의 토크가 0이 되는 지점까지 제 2 힌지브라켓(50)이 전개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40)(50)은 상호 일자로 펼쳐진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그로 인해,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판(20)이 인공위성 본체(10)에 대해 전개된 상태로 태양과 마주하여 전력을 생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인공위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인공위성 본체로부터 태양전지판이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접힘상태의 힌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전개상태의 힌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요부 측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2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인공위성 10: 인공위성 본체
20: 태양전지판 30: 힌지장치
40: 제 1 힌지브라켓 50: 제 2 힌지브라켓
60: 연결수단 70: 탄성체
80: 고정부

Claims (18)

  1. 제 1 유닛에 설치되는 제 1 힌지브라켓;
    제 2 유닛에 설치되는 제 2 힌지브라켓; 및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을 연결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닛이 상호 마주하는 접힘상태일 때,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은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단을 각각 포함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 1 유닛에 대해 상기 제 2 유닛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복원력이 점차 감소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브라켓은,
    상기 제 1 유닛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단; 및
    상기 제 1 지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단;
    을 포함하는 힌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브라켓은,
    상기 제 2 유닛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단; 및
    상기 제 2 지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는 제 2 연결단;
    을 포함하는 힌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의 중앙부에 상호 접촉 가능하게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양단을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힌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공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단과, 상기 제 1 삽입단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탄성체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 1 돌출단을 포함하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과 상기 제 1 고정부재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공과 연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 2 삽입단과, 상기 제 2 삽입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 2 돌출단을 포함하는 제 2 고정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들과 마주하여,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를 제 1 및 제 2 연결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힌지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인공위성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인공위성 본체의 전력원인 태양전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에 대해 상기 제 2 유닛이 전개범위를 규제하는 규제유닛;
    을 더 포함하는 힌지장치.
  11. 인공위성 본체;
    상기 인공위성 본체와 연결되어, 태양광을 받아 상기 인공위성 본체의 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 및
    상기 인공위성 본체와 상기 태양전지판을 연결하는 힌지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인공위성 본체에 설치되는 제 1 힌지브라켓;
    상기 태양전지판에 설치되는 제 2 힌지브라켓; 및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을 연결시키며, 상기 인공위성 본체와 태양전지판이 상호 마주하는 접힘상태에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연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은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브라켓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단을 각각 포함하는 인공위성.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인공위성 본체에 대해 상기 태양전지판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복원력이 점차 감소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브라켓은,
    상기 인공위성 본체를 지지하는 제 1 지지단; 및
    상기 제 1 지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단;
    을 포함하는 인공위성.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브라켓은,
    상기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단; 및
    상기 제 2 지지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는 제 2 연결단;
    을 포함하는 인공위성.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의 중앙부에 상호 접촉 가능하게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위성.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양단을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연결공에 삽입되는 제 1 삽입단과, 상기 제 1 삽입단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돌출되어 상기 탄성체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제 1 돌출단을 포함하는 제 1 고정부재;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과 상기 제 1 고정부재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공에 대응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 2 삽입단과, 상기 제 2 삽입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 2 돌출단을 포함하는 제 2 고정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들과 마주하여,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고정부재를 제 1 및 제 2 연결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위성 본체로부터 상기 태양전지판이 전개되어 복원력이 0인 전개상태의 전개범위를 규제하는 규제유닛;
    을 더 포함하는 인공위성.
KR1020080078921A 2008-08-12 2008-08-12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KR10100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921A KR101005260B1 (ko) 2008-08-12 2008-08-12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921A KR101005260B1 (ko) 2008-08-12 2008-08-12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228A KR20100020228A (ko) 2010-02-22
KR101005260B1 true KR101005260B1 (ko) 2011-01-04

Family

ID=42090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921A KR101005260B1 (ko) 2008-08-12 2008-08-12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421A (ko) 2019-11-15 2021-05-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계공진기를 이용한 인공위성과 탑재체 사이의 무선 전력 및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97B1 (ko) * 2013-08-27 2014-12-0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테잎 스프링 힌지와 코일 스프링 힌지를 이용한 인공위성용 전개장치
US11958638B1 (en) * 2020-05-14 2024-04-16 Space Exploration Technologies Corp. Spacecraft solar array biasing and tension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495A (ja) 2003-07-01 2005-01-27 Mitsubishi Electric Corp 部分展開装置及び部分展開方法
KR100489740B1 (ko) * 2002-11-18 2005-05-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캠 플레이트 구동 방식의 인공위성 태양전지판 전개 장치
KR100540978B1 (ko) 2004-07-15 2006-01-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물 전개장치
KR100942172B1 (ko) 2008-01-23 2010-02-12 한국기계연구원 인공위성용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740B1 (ko) * 2002-11-18 2005-05-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캠 플레이트 구동 방식의 인공위성 태양전지판 전개 장치
JP2005022495A (ja) 2003-07-01 2005-01-27 Mitsubishi Electric Corp 部分展開装置及び部分展開方法
KR100540978B1 (ko) 2004-07-15 2006-01-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물 전개장치
KR100942172B1 (ko) 2008-01-23 2010-02-12 한국기계연구원 인공위성용 힌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421A (ko) 2019-11-15 2021-05-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계공진기를 이용한 인공위성과 탑재체 사이의 무선 전력 및 데이터 동시 전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228A (ko) 201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5989B1 (en) Shape memory alloy controllable hinge apparatus
KR101008047B1 (ko) 태양전지판 전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KR101869167B1 (ko) 충격 감쇄 테이프 스프링 힌지
KR101005260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위성
CN105356836B (zh) 一种空间柔性太阳能电池阵的展开方法
KR101468997B1 (ko) 테잎 스프링 힌지와 코일 스프링 힌지를 이용한 인공위성용 전개장치
Hallibert et al. Developments in active optics for space instruments: an ESA perspective
Bui et al. System design and development of VELOX-I nanosatellite
Carpenter et al. EO-1 technology validation report: Lightweight flexible solar array experiment
Tak et al. Ultimate load and release time controllable non-explosive separation device using a shape memory alloy actuator
EP2743187B1 (en) Spacecraft with at least one deployable panel structure and deployable panel structure
Nevin et al. Optomechanical design and analysis for the LLCD space terminal telescope
US11962272B2 (en) Z-fold solar array with curved substrate panels
JP2004090817A (ja) 太陽発電衛星
Kristensen et al. Self-deployable deorbiting space structure for active debris removal
KR101178815B1 (ko)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인공위성용 태양전지판 힌지의 장착보조장치
Wada et al. Pre-flight validation of gossamer structures
JP7091317B2 (ja) 可動ジョイント
Pedivellano et al. PowerCub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100 W Origami-Inspired Deployable Solar Array for NanoSatellites
Zarakovsky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thruster unit ITU100 and ITU140
Chmielewski et al. ARISE antenna
Lou et al. Development of space inflatable/rigidizable structures technology
Venneri et al. Overview of NASA's Adaptive Structures program
JPH10310099A (ja) 宇宙用膜構造物の収納機構及びその展開収納方法
Baister et al. Small optical-terminal designs with a softmount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