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940B1 -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940B1
KR101004940B1 KR1020080019613A KR20080019613A KR101004940B1 KR 101004940 B1 KR101004940 B1 KR 101004940B1 KR 1020080019613 A KR1020080019613 A KR 1020080019613A KR 20080019613 A KR20080019613 A KR 20080019613A KR 101004940 B1 KR101004940 B1 KR 101004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answer
examinee
speech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4577A (ko
Inventor
옥종석
이동한
Original Assignee
이동한
옥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한, 옥종석 filed Critical 이동한
Priority to KR102008001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9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험자의 말하기 시도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는 총괄적 채점기준으로서 전체적인 수험자의 말하기 시도의 느낌, 자연성, 인상 등을 고려하고 분석적 채점 기준(발음의 정확성 혹은 적절성, 문법적 정확성, 어휘 선택의 적절성, 내용의 관련성, 표현의 명료성, 유창성 등)을 원어민의 말하기 발화 데이터에 근거를 둔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부분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으로 수량화할 수 있는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말하기 평가장치, 말하기 평가방법, 평가 기준 구축, 언어 발화, 컴퓨터, 대화의 수, 음성인식, 총점의 수량화, 즉석에서 결과 도출

Description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METHOD FOR EVALUATING SPOKEN ABILITY THROUGH COMPUTER-LEAD SPEECH RECOGNITION}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정 언어의 말하기 능력을 컴퓨터 주도형으로 컴퓨터가 제시하는 방향으로 수험자가 대화 혹은 토론, 의견 등을 제시하면 컴퓨터가 데이터부에 저장되어있는 평가 준거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여 수험자의 특정언어에 대한 말하기 능력을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게 즉석에서 평가할 수 있는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말하기 평가는 주로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고 사람에 의해 평가되어 왔으나 이러한 평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 객관적인 평가와 채점자의 신뢰도, 다수의 수험자를 즉석에서 평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컴퓨터를 통해 수험자의 말하기 시도를 녹음하여 채점자에게 전달하여 채점을 하게 하는 방식이 많이 활용되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평가 또한 채점자의 주관에 의해 수험자의 점수가 결정될 여지가 여전히 남아있고 채점자 선정 및 채점 기간이 오래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험자는 말하기 평가를 위한 질문에 수동적으로 답변만을 해야하고 수험자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대화를 위한 상대방과의 협상 등이 결여되어있어 폐쇄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채점 기준도 단순한 등급제로 구성되어 수험자의 수행 능력을 채점자의 느낌에 의한 선택으로 수험자의 점수가 결정되는 불합리한 점을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 등장한 컴퓨터에 의한 말하기 능력평가는 컴퓨터에서 제시된 내용을 수험자가 단순히 읽고 따라하거나 문장을 반복하고, 짧은 답변 등으로 입력된 말하기 시도를 컴퓨터가 저장하여 수험자의 발음의 정확성, 문장의 오류 유무에 따라 점수가 결정되는 간접적인 말하기 평가도 선보이고 있으나, 이러한 말하기 평가 역시 수험자의 발음이나 문장의 오류 유무에 따라 점수를 등급제로 나누어 수험자가 컴퓨터가 요구하는 답변에 대한 정답과 오답, 발음의 정확성 만 으로 말하기 능력을 평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컴퓨터를 통한 말하기 능력 평가에서는 수험자의 대화의 논리성, 유창도, 말하기 전략의 사용, 적절한 어휘의 사용 등의 진정한 말하기 능력을 고려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 단점으로 제기 되어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들이 2000년과 4건(제0287227,0287228,0296271,0296272)을 등록받은 바 있으며, 2007년 06월 26일에 특허출원(특허출원번호 10-2007-0063336호)한 컴퓨터 주도형 대화장치 및 방법에서는 컴퓨터에 의하여 1:1 또는 다수와의 언어 대화를 주도하는 것으로서 컴퓨터가 대화를 유도하고 수험자가 컴퓨터의 유도에 따라 대화를 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더욱 발전시켜 말하기 능력 까지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본 발명을 통하여 구축하게 되었다.
종래의 말하기 평가는 총괄적 채점 기준으로 수험자의 말하기 시도에 대한 느낌과 부분적 채점기준으로 발음, 유창성, 문법오류, 어휘 선택 등을 세분화하여 등급으로 표시하였으나 인간이 채점 하는 경우에 세분화된 부분을 정확하게 분석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채점자의 몸 상태, 기분 여하에 따라 점수가 달라지는 등의 객관적인 채점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었다. 특히, 인간이 채점하는 경우에는 수험자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으로 점수를 주는 총괄적 채점기준에 많이 의존하였고 부분적인 채점 기준에 의거하여 채점을 하기에는 수험자의 말하기를 녹음하여 일일이 세부적인 채점기준에 따라 점수를 산출하는데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어 무리가 따른 것이 사실이었다. 인간이 채점하는 경우 수험자의 말하기를 듣고 부분적 채점기준과 일일이 대조하여 점수를 등급화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인간이 채점하는 경우는 느낌과 수험자에 대한 인상, 분위기, 감 등에 의존하여 채점하므로 객관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 등장한 컴퓨터에 의한 채점은 반대로 너무나 부분적인 채점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있어 객관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컴퓨터에 의한 채점은 수험자의 발음의 정확성 답변의 정답과 오답, 문법적 오류 등을 기계적으로 분류하여 정확한 발음과 문법적으로 완벽한 문장은 정답으로 인식하고, 일부 오류를 내포한 문장은 오답으로 인식하여 일반적인 대화 상황에서 충분히 의사소통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수험자의 경우에도 의사소통의 원할성, 대화의 논리성, 적절한 어휘의 사용, 유창도 등은 고려되지 못하고 정답과 오답, 오류의 유무, 발음의 정확도에 따라서 낮은 점수로 판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험자의 말하기 입력을 데이터부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평가기준과 비교하여 수험자의 특정언어의 말하기 능력을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평가결과를 즉석에서 도출할 수 있는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언어학습 능력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험자의 말하기 시도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있는 총괄적 채점기준으로서 전체적인 수험자의 말하기 시도의 느낌, 자연성, 인상 등을 고려하고 분석적 채점 기준(발음의 정확성 혹은 적절성, 문법적 정확성, 어휘 선택의 적절성, 내용의 관련성, 표현의 명료성, 유창성 등)을 원어민의 말하기 발화 데이터에 근거를 둔 평가준거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부분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으로 수량화할 수 있는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은 컴퓨터에 의하여 말하기 평가용 배경영상ㆍ문자 및 배경음향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배경영상ㆍ문자/배경음향 출력과정과; 상기 배경영상ㆍ문자/배경음향 출력과정 후에 말하기 평가를 위한 대화 음성신호를 스피커에서 출력하는 평가용 대화 음성신호 출력과정과; 상기 평가용 대화 음성신호 출력과정에서 음성신호가 인식된 후에 평가용 대화 음성신호에 대한 답변을 수험자가 마이크를 통해 답변하는 답변과정과; 상기 답변과정에서 수험자가 답변한 음성신호를 인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음성인식 판별과정과; 상기 음성인식 판별과정에서 수험자가 답변한 음성신호를 인식하였을 경우에 수험자의 답변을 제어부의 제어하에 데이터부의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평가준거 답변자료를 검색하는 답변자료 검색과정과; 상기 답변자료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평가준거 답변자료와 수험자의 답변이 유사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답변유사여부 판별과정과; 상기 답변유사여부 판별과정에서 수험자의 답변이 상기 데이터부의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평가준거 답변자료와 유사할 경우에 적합한 답변으로 평가하는 적합답변 평가과정과; 상기 적합답변 평가과정의 적합답변 평가결과를 상기 데이터부의 평가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평가결과 저장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언어능력 평가방법 에 의하면, 수험자의 말하기 입력을 데이터부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평가기준과 비교하여 수험자의 특정언어의 말하기 능력을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게 즉석에서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험자의 말하기 시도가 데이터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총괄적 채점기준으로서 전체적인 수험자의 말하기 시도의 느낌, 자연성, 인상 등을 고려하고 분석적 채점 기준(발음의 정확성 혹은 적절성, 문법적 정확성, 어휘 선택의 적절성, 내용의 관련성, 표현의 명료성, 유창성 등)을 원어민의 말하기 발화 데이터에 근거를 둔 평가준거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부분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으로 수량화할 수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수험자의 말하기 발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은 총괄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기준의 통합형인 채점기준에 의거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채점기준의 각 영역을 각 등급 간 1점씩을 0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여 총 0점에서 60점 만점(시험의 성격과 목적에 따라 등급간의 점수를 차등화 하여 부여할 수 있다)으로 구성한다. 각 영역의 평가 세부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다.
총괄적 채점기준으로서 전체적인 수험자의 말하기 시도의 느낌, 자연성, 인상, 유창도, 논리성 등을 고려하고 분석적 채점 기준(발음의 정확성 혹은 적절성, 문법적 정확성, 어휘 선택의 적절성, 내용의 관련성, 표현의 명료성, 유창성, 과제 실현정도, 의미 전달을 위한 어휘와 문법 및 바꾸어 말하기 등의 전략을 구사하는 언어의 풍부함
총괄적 채점 기준
1) 수험자의 자연스러운 말하기 발화: 대화를 풀어가는 기법, 매너 등을 평가
2) 수험자의 말하기 논리성: 대화의 주제를 일관성있게 풀어가는 능력 평가
3) 대화를 풀어가는 유창성: 대화 중의 말하기 전략(바꾸어 말하기, 다시 말하기, 주저하는 시간)등을 고려하여 평가
분석적 채점 기준
1) 과제실현도 및 시간: 주어진 대화과제에 응답하고 해결하는 능력, 과제 실현 시간 등을 원어민 평균 과제 실현 시간과 비교
2) 대화 구사 전략(적절한 대화 구사 능력, 원할한 대화를 지속하기위한 연결사, 휴지기 등의 언어 발화 전략)
3) 문법의 정확성: 정답과 오답의 두단계 평가가 아닌 의미 전달 성취에 기준을 둔 평가
5) 발음: 수험자가 하는 말의 명료성, 원어민의 발음과 비교하여 일반적 원어민 수준의 발음부터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에 따라 차등 등급
6) 유창성: 수험자가 하는 말의 속도, 리듬 및 주저함(hesitation)등을 기준으로 원어민의 데이터와 비교
7) 핵심어휘 사용: 간단 명료한 핵심어휘 사용으로 신속한 의미 전달의 유무를 판단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 형 말하기 언어학습 능력 평가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언어학습 능력 평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처리부 및 데이터부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장치는 컴퓨터가 주도하여 대화식 언어평가를 받고자하는 수험자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부(10)와; 수험자의 요청에 따라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도록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검색된 답변과 비교하여 답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음성신호를 인식하고 답변 음성신호, 배경 음향신호, 배경영상신호를 해당 데이터로부터 변환하여, 출력하는 처리부(30)와; 인식된 음성신호, 출력할 음성신호, 배경 음향신호, 배경 영상신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부(40)와; 수험자의 음성답변 신호 또는 음성질문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50)와; 평가를 위한 배경영상ㆍ문자를 여러 가지 컬러로 출력하는 표시부(60)와; 말하기에 대한 평가 요청을 위한 평가요청명령과 데이터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70)와; 말하기를 평가하기 위한 음성신호와 배경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80)와; 다른 컴퓨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9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처리부(30)는 음성신호를 인식하고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인식부(31)와; 검색되어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32)와; 검색되어 제공되는 배경음향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배경음향부(33)와; 검색되어 제공되는 배경영상 데이터 또는 문자데이터를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배경영상부(3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부(40)는 음성신호 데이터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는 음성인식 데이터베이스(DB(DATABASE)41)와; 음성출력 데이터를 저장하며 말하기 능력의 평가를 위하여 검색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에 출력하는 음성출력 데이터베이스(42)와; 말하기 능력 평가하기 위한 배경음향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배경음향 데이터를 검색해서 상기 제어부(20)에 출력하는 배경음향 데이터베이스(43)와; 언어능력을 위한 배경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배경영상 데이터를 검색해서 상기 제어부(20)에 출력하는 배경영상 데이터베이스(44)와; 수험자의 말하기 발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준거(평가기준)를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출력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음성출력 데이터를 받아서 답변신호와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상기 제어부(20)에 출력하는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45)와; 대화 소재데이터 또는 주제데이터를 저장하는 대화 소재ㆍ주제 데이터베이스(46)와, 수험자의 평가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평가결과 데이터베이스(47)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언어학습 능력 평가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언어학습 능력 평가장치는 수험자가 입력부(70)에서 언어평가를 시작하 고자 요청하는 평가 요청신호가 제어부(20)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0)에서는 프로그램 저장부(10)로부터 언어평가를 위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수험자에게 언어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기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0)는 통신부(90)를 감시하여 다른 수험(또는 학습)용 컴퓨터 또는 관리용 컴퓨터가 상기 통신부(90)에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결과 다른 수험용 컴퓨터 또는 관리용 컴퓨터와 접속되었을 경우에는 현재의 운용상태 정보와 관리용으로 필요한 운용정보를 상호 교환하며, 말하기 평가 진행에 따라 서로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도록 주기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0)는 말하기능력 평가서비스를 수험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부(40)의 음성출력 데이터베이스(42), 배경음향 데이터베이스(43), 배경영상 데이터베이스(44)로부터 말하기 능력 평가서비스의 배경영상 신호와 배경음향 신호 및 텍스트(TEXT) 데이터로 이루어진 음성신호를 검색하여 상기 처리부(30)에 제공한다.
상기 처리부(30)는 제어부(20)로부터 제공된 배경영상 신호와 배경음향 신호 및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부(30)의 배경영상부(34), 배경음향부(33), 음성출력부(32)에 각각 제공하여, 상기 처리부(30)의 배경영상부(34)에서 배경영상 데이터를 배경영상 신호(문자 신호 포함)로 변환하고, 상기 처리부(30)의 배경음향부(33)에서 배경음향 데이터를 배경음향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처리부(30)의 음성 데이터인 텍스트 데이터를 TTS(TEXT TO SPEECH) 기술에 의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처리부(30)에 의하여 각각 변환된 영상신호 및 문자신호는 상 기 제어부(20)에서 출력하여 표시부(60)에 출력하여 표시부(60)에 영상화면을 표출함과 동시에, 상기 처리부(30)의 배경음향부(33)에서 변환된 배경음향 신호와 상기 처리부(30)의 음성출력부(32)에서 변환된 배경음성 신호는 스피커(80)에 각각 제공하여 음향 및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0)는 마이크(50)로부터 수험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는지 감시하여 수험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처리부(30)의 음성인식부(31)에 제공하여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유사도 측정을 위하여 설정된 소정 비율은 상기 마이크(50)를 통해 입력되어 인식된 답변 음성신호에 주변환경의 잡음이 포함된 상태, 수험자 억양의 변화, 비슷한 단어 및 어구의 사용, 수험자의 연령 및 성별 등에 의한 음성신호의 차이 등을 감안하여 반복된 실험으로 적정한 값을 선택하여 평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은 스텝S1에서 컴퓨터에 의하여 말하기 평가용 배경영상ㆍ문자 및 배경음향을 표시부(60)에 출력하고(배경영상ㆍ문자/배경음향 출력과정), 스텝S2로 나아가서 상기 배경영상ㆍ문자/배경음향 출력과정 후에 말하기 평가를 위한 대화 음성신호를 스피커(80)에서 출력하고(평가용 대화 음성신호 출력과정), 상기 평가용 대화 음성신호 출력과정에서 음성신호가 인식된 후에 스텝S3으로 나아가서 평가용 대화 음성신호에 대한 답변을 수험자가 마이크(50)를 통해 답변한다(답변과정).
다음에 스텝S4로 나아가서 상기 답변과정에서 수험자가 답변한 음성신호를 인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고(음성인식 판별과정), 상기 음성인식 판별과정에서 수험자가 답변한 음성신호를 인식하였을 경우(YES일 경우)에 스텝S5로 나아가서 수험자의 답변을 제어부(20)의 제어하에 데이터부(40)의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45)에 저장된 평가준거 답변자료를 검색하고(답변자료 검색과정), 스텝S6으로 나아가서 상기 답변자료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평가준거 답변자료와 수험자의 답변이 유사한지 여부를 판별한다(답변유사여부 판별과정).
다음에, 상기 답변유사여부 판별과정에서 수험자의 답변이 상기 데이터부(40)의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45)에서 검색된 평가준거 답변자료와 유사할 경우(YES일 경우)에 스텝S7로 나아가서 적합한 답변으로 평가하고(적합답변 평가과정), 스텝S8로 나아가서 상기 적합답변 평가과정의 적합답변 평가결과를 상기 데이터부(40)의 평가결과 데이터베이스(47)에 저장한다(평가결과 저장과정).
한편, 상기 답변유사여부 판별과정에서 수험자의 답변이 상기 데이터부(40)의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45)에서 검색된 평가준거 답변자료와 유사하지 않을 경우(NO일 경우)에 스텝S9로 나아가서 틀린 답변으로 평가하고(틀린답변 평가과정). 스텝S8의 상기 평가결과 저장과정으로 나아가서 상기 틀린답변 평가과정의 틀린답변 평가결과를 상기 데이터부(40)의 평가결과 데이터베이스(47)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스텝S4에서 음성인식 판별과정의 판별결과 수험자가 답변한 음성신호를 인식하지 못하였을 경우(NO일 경우), 스텝S1의 배경영상ㆍ문자/배경음향 출력과정으로 복귀하여 상기 배경영상ㆍ문자/배경음향 출력과정 이하의 과정을 반복해서 행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언어학습 능력 평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처리부 및 데이터부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로그램부 20 : 제어부
30 : 처리부 31 : 음성인식부
32 : 음성출력부 33 : 배경음향부
34 : 배경영상부 40 : 데이터부
41 : 음성인식 데이터베이스 42 : 음성출력 데이터베이스
43 : 배경음향 데이터베이스 44 : 배경영상 데이터베이스
45 :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 46:대화 소재ㆍ주제 데이터베이스
47 : 평가결과 데이터베이스 50 : 마이크
60 : 표시부 70 : 입력부
80 : 스피커 90 : 통신부

Claims (3)

  1. 컴퓨터에 의하여 말하기 평가용 배경영상ㆍ문자 및 배경음향을 표시부(60)에 출력하는 배경영상ㆍ문자/배경음향 출력과정과;
    상기 배경영상ㆍ문자/배경음향 출력과정 후에 말하기 평가를 위한 대화 음성신호를 스피커(80)에서 출력하는 평가용 대화 음성신호 출력과정과;
    상기 평가용 대화 음성신호 출력과정에서 음성신호가 인식된 후에 평가용 대화 음성신호에 대한 답변을 수험자가 마이크(50)를 통해 답변하는 답변과정과;
    상기 답변과정에서 수험자가 답변한 음성신호를 인식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음성인식 판별과정과;
    상기 음성인식 판별과정에서 수험자가 답변한 음성신호를 인식하였을 경우에 수험자의 답변을 제어부(20)의 제어하에 데이터부(40)의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45)에 저장된 평가준거 답변자료를 검색하는 답변자료 검색과정과;
    상기 답변자료 검색과정에서 검색된 평가준거 답변자료와 수험자의 답변이 유사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답변유사여부 판별과정과;
    상기 답변유사여부 판별과정에서 수험자의 답변이 상기 데이터부(40)의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45)에서 검색된 평가준거 답변자료와 유사할 경우에 적합한 답변으로 평가하는 적합답변 평가과정과;
    상기 적합답변 평가과정의 적합답변 평가결과를 상기 데이터부(40)의 평가결과 데이터베이스(47)에 저장하는 평가결과 저장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답변유사여부 판별과정에서 수험자의 답변이 상기 데이터부(40)의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45)에서 검색된 평가준거 답변자료와 유사하지 않을 경우에 틀린답변 평가과정으로 나아가서 틀린 답변으로 평가하고, 상기 틀린답변 평가과정 후에, 상기 평가결과 저장과정으로 나아가서 상기 틀린답변 평가과정의 틀린답변 평가결과를 상기 데이터부(40)의 평가결과 데이터베이스(47)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인식 판별스텝의 판별결과 수험자가 답변한 음성신호를 인식하지 못하였을 경우, 상기 배경영상ㆍ문자/배경음향 출력과정으로 복귀하여 상기 배경영상ㆍ문자/배경음향 출력과정 이하의 과정을 행하고,
    상기 데이터부(40)의 평가준거 데이터베이스(45)는 말하기의 자연스러움, 말하기의 논리성 및 대화를 풀어가는 유창성 중 하나 이상을 평가기준으로 삼는 총괄적 채점기준 및, 대화과제에 대한 응답시간, 대화구사능력, 문법적 정확성, 발음, 어휘 선택의 적절성, 내용의 관련성, 표현의 명료성 및 말의 속도와 리듬 중 하나 이상을 평가기준으로 삼는 분석적 채점기준을 평가준거로 저장하여 각 부분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으로 수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80019613A 2008-03-03 2008-03-03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 KR101004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13A KR101004940B1 (ko) 2008-03-03 2008-03-03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13A KR101004940B1 (ko) 2008-03-03 2008-03-03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577A KR20090094577A (ko) 2009-09-08
KR101004940B1 true KR101004940B1 (ko) 2010-12-28

Family

ID=41294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613A KR101004940B1 (ko) 2008-03-03 2008-03-03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584A (ko) * 2017-11-10 2019-05-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음성인식과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0635A (zh) * 2019-10-25 2021-12-31 北京猿力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答题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584A (ko) * 2017-11-10 2019-05-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음성인식과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KR102012096B1 (ko) * 2017-11-10 2019-10-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음성인식과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577A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4747B2 (en) Emotion recognition apparatus
US71553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eech recognition and separate dialect identification
CN108431883B (zh) 语言学习系统以及语言学习程序
Black et al. Automatic prediction of children's reading ability for high-level literacy assessment
JP5105943B2 (ja) 発話評価装置及び発話評価プログラム
KR101004913B1 (ko)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상호대화의 말하기 능력평가 장치 및 그 평가방법
KR102062524B1 (ko) 음성 인식과 번역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 장치와 서버
KR20160008949A (ko) 음성 대화 기반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444012B1 (ko) 말 장애 평가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WO2006034569A1 (en) A speech 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comparing utterances to baseline speech
Cave et al. The use of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by people living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scoping review
Tomokiyo Recognizing non-native speech: characterizing and adapting to non-native usage in LVCSR
KR102414626B1 (ko) 외국어 발음 훈련 및 평가 시스템
JP2010054549A (ja) 回答音声認識システム
KR101004940B1 (ko) 음성인식을 활용한 컴퓨터 주도형 말하기 능력 평가방법
KR100898104B1 (ko) 상호 대화식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abashima et al. Dnn-based scoring of language learners’ proficiency using learners’ shadowings and native listeners’ responsive shadowings
KR20210123545A (ko) 사용자 피드백 기반 대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7148170A (ja) 外国語学習支援システム
KR102407055B1 (ko) 음성인식 후 자연어 처리를 통한 대화 품질지수 측정장치 및 그 방법
Delmonte Prosodic tools for language learning
EP40334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the cognitive load of a user
KR20230091341A (ko) 말하기 언어학습 능력 평가 장치
KR100979561B1 (ko) 대화형 언어 학습 장치
León-Montaño et al. Design of the architecture for text recognition and reading in an online assessment applied to visually impaired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