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322B1 -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322B1
KR101004322B1 KR1020080036735A KR20080036735A KR101004322B1 KR 101004322 B1 KR101004322 B1 KR 101004322B1 KR 1020080036735 A KR1020080036735 A KR 1020080036735A KR 20080036735 A KR20080036735 A KR 20080036735A KR 101004322 B1 KR101004322 B1 KR 10100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ayment
user computer
button code
websit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127A (ko
Inventor
손은경
Original Assignee
손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은경 filed Critical 손은경
Priority to KR1020080036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32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개인 웹사이트에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적용하여 전자상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URL을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의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에 있어서, (a) 판매에 사용되는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플랫폼 웹사이트(120)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부터 제공받은 후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며 상품정보가 등록되는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하는 단계; 및 (b) 구매에 사용되는 제 2 사용자 컴퓨터(110)가 개인 웹사이트(140)의 상품정보를 열람한 후 전자지불버튼을 선택하며 전자지불버튼의 선택에 의해 전자지불중개가 수행되는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을 이용하여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전자지불중개, 전자지급결제, 전자지급결제중개, 전자지급결제대행중개, p2p, 전자지불, url 인증

Description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 {AUTHENTICATION METHOD OF ELECTRON PAYMENT BUTTON CODE USING URL COMPARISON AND PEER TO PEER CROSS DOMAIN ELECTRON PAYMENT GATEWAY SYSTEM AND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개인 웹사이트에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적용하여 전자상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URL을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지급결제대행 시장은 거의 기업과 소비자간(Business to Consumer, 이하 B2C) 및 기업과 기업간(Business to Business, 이하 B2B) 솔루션만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전자지급결제대행은 사업 이용의 편리성에 중점을 두고 통합전자지불 서비스로 발전하였으나 지금은 대형 쇼핑몰 위주의 영업을 하고 있고 각 쇼핑몰별로 거래규모 및 거래 품목, 신용도 등을 판단하여 개별적인 조건에 따라 계약을 체 결한 후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개인 사업자나 개인이 이용하기에는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간 전자상거래에서 기존의 서비스 모델은 주로 사이버쇼핑몰이나 오픈 마켓 형태로 입점한 판매자나 구매자는 개별 인터넷 상점과 온라인 쇼핑몰과 계약된 전자지급결제대행(Payment Gateway, PG)회사의 서비스를 통하여 전자지불을 이용한다.
이때, 전자지급결제대행 회사는 다양한 사이버쇼핑몰이나 오픈마켓 서버를 인증하여 전자지불을 승인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모델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사이트에서 판매 행위를 하여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이니시스가 개인간 전자지급결제서비스를 행하고는 있으나 이 방법은 전자지불코드를 단순히 복사하여 원하는 사이트에 복사하는 것만으로 전자지급결제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의 전자지불코드의 사용은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악의적인 제 3 자도 전자지불코드를 사용할 수 있어 전자지불코드의 불법 사용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로는 발행된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판매자가 등록 없이 여러 사이트에 사용함으로써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전자지불시스템의 구성 및 구성요소 간의 처리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이용하여 종래기술의 전자지불시스템의 구성 및 구성요소 간의 처리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전자지급결제 시스템은 이메일을 통한 인증을 이용하며 개인간 전자지불중개 웹사이트(1), 개인간 전자지불중개 서버(2), 판매자(3), 판매자 웹사이트(4), 구매자(5),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6) 및 지불기관 서버(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종래기술의 각 구성요소간의 처리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매자(3)가 개인간 전자지불중개 웹사이트(1)에 물품정보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개인간 전자지불중개 웹사이트(1)가 개인간 전자지불중개 서버(2)에 물품정보등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개인간 전자지불중개 서버(2)가 상기 판매자(3)에 대해 이메일 인증하여 판매버튼 코드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자(3)가 판매자 웹사이트(4)에 판매버튼 코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구매자(5)가 상기 판매자 웹사이트(4)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하여 상기 판매버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판매자 웹사이트(4)가 상기 개인간 전자지불중개 서버(2)에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개인간 전자지불중개 서버(2)가 전자지불결제대행 서버(6)에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불결제대행 서버(6)가 상기 구매자(4)가 입력하는 지불기관 서버(7)와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불결제대행 서버(6)가 상기 개인간 전자지불중개 서버(2)에 결제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간 전자지불중개 서버(2)가 상기 판매자 웹사이트(4)에 결제결과를 전송하여 상기 판매자 웹사이트(4)가 상기 구매자(5)에게 결제결과를 알려주 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의적인 공격자(8)가 판매버튼 코드를 판매자 웹사이트(4)에서 복사하여 상기 공격자(8)의 공격자 웹사이트(9)에 붙여 넣은 후 상기 공격자 웹사이트(9)에 방문한 구매자(5)가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 상기 판매버튼을 선택하여 지불을 진행하여 지불이 완료되면 상기 공격자(8)가 상기 공격자 웹사이트(9)의 페이지를 삭제하면 삭제된 공격자 웹사이트의 페이지(10)가 남게 되고 상기 구매자(5)는 물품을 구매하지 못하고 전자지불만 하게 되는 피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스푸핑(Spoofing) 공격이라고 한다. 스푸핑이란 외부의 악의적 네트워크 침입자가 임의로 웹사이트를 구성해 일반 사용자들의 방문을 유도, 인터넷 프로토콜인 TCP/IP의 구조적 결함을 이용해 사용자의 시스템 권한을 획득한 뒤 정보를 빼가는 해킹 수법이다.
결국 종래 기술의 이메일 인증방법으로는 개인간 전자지불 트랜잭션에서 인증을 보장 할 수 없으며 이러한 방법으로는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유일성을 보장하지 못하므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재사용 가능성을 막을 수 없으며 제 3자의 불법 양도사용(Transferability)이나 판매자위장(Impersonation)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이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뜻하는 웹 2.0(Web 2.0)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전술한 개념의 웹 2.0은 개방과 사용자의 다양한 참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를 악용하는 악의적인 해커들의 공격 대상이 되기 쉽다.
또한, 웹 2.0에서의 해커의 공격은 기존의 웹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며 부가가치나 잠재력에서 해커의 공격에 대한 보안 기술보다도 더 큰 분야는 정보조작을 방지하는 기술이 될 것이다.
악의적인 해커의 공격은 위험하기는 하지만 바로 발견해서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웹 2.0에서 개별 사용자의 의견이 큰 역할을 하는 것을 악용해서 조직적으로 정보를 조작하는 것은 발견은 물론 대처하기도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나 개인이 웹상에서 자신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마치 개별 사용자인 것처럼 위장해서 자신들의 제품을 홍보하거나, 경쟁 제품에 대한 비방을 조직적으로 올릴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조작의 경우는 이를 일일이 찾아내기가 쉽지 않고 대처하기도 어렵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 또한 악의적인 의도로 정보를 조작하는 성격의 공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대처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사용 시 플랫폼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사용하는 개인의 웹사이트의 URL 및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에 등록된 URL을 비교하여 인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 중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은 전자지급결제를 대행하는 플랫폼 웹사이트(120)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부터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제공받아 판매에 사용되는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는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되어 구매에 사용되는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된 후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되는 단계: 및 (b)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사용될 경우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된 URL이 비교되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이때, 상기 (a)단계 이전에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회원가입 후 로그인되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판매 될 상품의 상품정보가 등록되는 상품정보 등록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상품정보 등록단계 이후,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이 요청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 요청이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생성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한편,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는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개의 개인 웹사이트의 URL이 등록되며, 상기 (b)단계는 상기 등록된 복수개의 개인 웹사이트 중 어느 하나의 개인 웹사이트(140)에서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이 사용될 경우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한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된 URL의 비교결과 상기 각각의 URL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웹상에 경고 문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는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개의 개인 웹사이트의 URL이 등록되며, 상기 (b)단계는 상기 등록된 복수개의 개인 웹사이트 중 어느 하나의 개인 웹사이트(140)에서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이 사용될 경우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한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된 URL의 비교결과 상기 각각의 URL이 일치하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인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한편, 전술한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은 판매에 사용되며 판매정보를 입력받는 제 1 사용자 컴퓨터(100); 구매에 사용되며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제 2 사용자 컴퓨터(110);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한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전자지불버튼 코드 생성 요청을 수용하여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웹상에 표시하는 플랫폼 웹사이트(120);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상기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으로 인증하여 전자지급결제를 처리하는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개인 웹사이트(140); 및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의 결제수단에 해당되며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의 결제 처리 요청을 수용하여 결제 처리하는 지불기관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는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입력되는 회원정보 및 복수개의 상품의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판매정보 DB,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입력되는 회원정보, 결제수단정보 및 상품의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정보 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의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 요청을 수용하여 상기 판매정보 DB의 판매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구매정보 DB의 구매정보에 따라 전자지급결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한편,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는 상품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 및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각각 등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는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서 상품을 선택한 이후 상기 전자지불버튼을 선택하여 상기 구매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한편,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는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결제된 전자지불의 금액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한 이체 요청을 수용하여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게 전자지불의 금액이 이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된 상기 전자지불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구매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전송하며, 상기 구매정보에는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 입력되는 배송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 에 의해 상기 배송정보에 대응하는 배송업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게 상기 지불기관서버(150)에 의해 결제 처리되는 전자지급결제 결과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또한,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는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구매정보에 따라 처리되는 구매 진행 및 구매 완료를 웹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한편, 전술한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의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은 (a) 판매에 사용되는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플랫폼 웹사이트(120)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며 상품정보가 등록되는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하는 단계; 및 (b) 구매에 사용되는 제 2 사용자 컴퓨터(110)가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상품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을 선택하며 상기 전자지불버튼의 선택에 의해 전자지불중개가 수행되는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URL을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을 이용하여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 생성이 요청되는 단계; (a-2)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상기 전자지불 버튼 코드의 생성이 요청되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전송받는 단계; (a-3)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의 웹상에 표시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되는 단계; (a-4)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 등록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요청되는 단계; 및 (a-5)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이때, 상기 (a-2)단계의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생성 요청되는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 요청이 처음인지 아닌지 확인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한편,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가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설치된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서 상기 상품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을 선택하는 단계; (b-2)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한 상기 전자지불버튼의 선택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전송되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의 인증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인증하는 단계; (b-3)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입력되는 회원정보, 지불기관서버(150)가 포함되는 결제수단정보 및 상품의 상품정보로 이루어지는 구매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b-4)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전자지급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b-5)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전자지급결제 처리의 완료를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여기서, 상기 (b-4)단계는, (b-4-1) 상기 구매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되는 지불기관서버(150)에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b-4-2) 상기 지불기관서버(150)에 의해 결제처리가 승인되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게 금액이 입금되는 단계; (b-4-3)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구매정보가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전송되며, 상기 구매정보에는 배송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 상기 배송정보에 대응하는 배송업무를 수행하는 단계; 및 (b-4-4)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배송 확인 및 구매 결정되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로그인되어 상기 상품에 대한 금액을 입금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가진다.
본 발명의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을 통하여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 삽입만으로 여러 사이트에 교차 등록하여 보안이 강화된 전자지급결제중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트 에서 전자상거래 시장을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술적 측면에서 개방과 공유 환경에서의 보안 응용기술로 발전 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판매자의 복제 정책에 따른 불법 복제 방지 기술에 기여하고 ActiveX 기술을 이용한 보안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웹 2.0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실현을 위한 기반 기술을 제시하며 국외의 C2C(Customer to Customer, C2C) 전자지급결제 업체의 국내 시장 침투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 확보와 웹 2.0 환경의 개인금융플랫폼 기술 제시의 효과가 있다.
또한, 경제 및 산업적 측면에서 인터넷을 통한 건전하고 활발한 상거래 문화를 창출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경제활동 창출을 가능하게 하며 프로슈머를 통한 마케팅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서비스의 편리성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경제활동의 창출을 가능하게 하고 웹 2.0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실현을 위한 기반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창의적인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으며 웹 2.0 환경에 적용 가능한 전자상거래 기술 개발로 블로그, 카페, 미니홈피, UCC, 일반 웹사이트 등 웹 2.0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구성요소 간의 처리를 나타낸 관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이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의 구성요소 간의 처리를 나타낸 관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의 상세 절차흐름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절차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은 판매에 사용되며 판매정보를 입력받는 제 1 사용자 컴퓨터(100); 구매에 사 용되며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제 2 사용자 컴퓨터(110);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한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전자지불버튼 코드 생성 요청을 수용하여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웹상에 표시하는 플랫폼 웹사이트(120) 및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상기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으로 인증하여 전자지급결제를 처리하는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지급결제중개 플랫폼(160);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개인 웹사이트(140); 및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의 결제수단에 해당되며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의 결제 처리 요청을 수용하여 결제 처리하는 지불기관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상기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은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사용하는 상기 전자지불코드의 인증을 위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된 URL을 이용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의 상기 URL을 이용한 상기 전자지불코드의 인증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상기 전자지불코드의 인증방법은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이루어 지며,
(a)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전자지급결제 대행을 하는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회원정보를 전송하여 회원가입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로그인한 후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가 상기 회원정보 및 상품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생성하는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게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게 전송하여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가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웹상에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표시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되는 단계;
(f)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설치된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되는 단계; 및
(e)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서 사용될 경우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사용되는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된 URL을 비교하여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사용한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과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한 URL이 일치하면 전자지불중개를 진행한다.
한편, 상기 (e)단계에서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사용한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과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한 URL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전자지불중개를 중단하고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 상에 더 이상 진행할 수 없음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상기 URL이 일치하지 않음을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게 알려준다.
한편,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는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개인 웹사이트의 URL을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지급결제 처리과정에서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170)를 이용하여 상기 지불기관 서버(140)와 결제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170)에 결제처리를 요청하면 상기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170)가 상기 지불기관서버(150)에 결제처리를 요청하며 상기 지불기관서버(150)가 결제를 완료하여 상기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170)에 결제완료를 통보하고 상기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170)는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게 결제완료를 알려준다.
또한, 상기 결제된 금액은 상기 지불기관서버(150)에서 상기 전자지급결제대 행 서버(170)에 입금되며 상기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170)는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 입금한다.
이때, 상기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170)는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2 사용자(110)가 물품에 대해 지불한 금액을 받는 주체는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URL 비교를 통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을 이용한 상기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의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에 대하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상기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
(a) 판매에 사용되는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지급결제중개 플랫폼(160)으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며 상품정보가 등록되는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하는 단계; 및
(b) 구매에 사용되는 제 2 사용자 컴퓨터(110)가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상품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을 선택하며 상기 전자지불버튼의 선택에 의해 전자지불중개가 수행되는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URL을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을 이용하여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a)단계의 판매에 사용되는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 측면 에서의 전자지급결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 상기 (a)단계는, (a-1)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 생성이 요청되는 단계(S10 ~ S11); (a-2)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이 요청되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전송받는 단계(S12); (a-3)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웹상에 표시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되는 단계(S13 ~ S14); (a-4)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 등록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요청되는 단계(S15); 및 (a-5)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되는 단계(S16 ~ S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a-2)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게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상품명과 상품 값 정보를 등록하고 전자지불버튼 코드 생성을 요청하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의 요청이 처음인지 아닌지를 구별하여 전자지불 토큰 체인을 생성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의 요청이 처음이면 전자지불 토큰 체인을 생성하여 토큰 값, 상품명, 상품값 및 제 1 사용자 컴퓨터(100)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자지불버큰 코드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의 요청이 처음이 아니면 기 생성된 체인에서 쓰여진 토큰 값 다음에 위치한 토큰 값과 상품명, 상품값, 제 1 사용자 컴퓨터(100) 정보를 더하여 암호화를 행한 뒤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생성한다.
다음, (b)단계의 구매에 사용되는 제 2 사용자 컴퓨터(110) 측면에서의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 상기 (b)단계는, (b-1)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가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설치된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서 상기 상품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을 선택하는 단계(S20); (b-2)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한 상기 전자지불버튼의 선택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전송되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의 인증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인증하는 단계(S21); (b-3)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입력되는 회원정보, 지불기관 서버(150)가 포함되는 결제수단정보 및 상품의 상품정보로 이루어지는 구매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b-4)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전자지급결제를 수행하는 단계(S22); 및 (b-5)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전자지급결제 처리의 완료를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게 알리는 단계(S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b-2)단계는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된 URL과 상기 전자지불버튼이 선택된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이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게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 상에 경고 문구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URL이 일치하면 다음 단계의 (b-3)단계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b-3)단계의 구매정보는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가 결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결제수단의 지불기관 서버(140) 정보가 포함되는 결제수단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가 선택한 상품 및 그 상품값을 포함하는 상품정보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b-4)단계는, (b-4-1) 상기 구매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지불기관 서버(140)에 결제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b-4-2) 상기 지불기관 서버(140)가 결제처리를 승인하여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게 금액을 입금하는 단계; (b-4-3)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게 상기 구매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을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게 배송하도록 하는 단계(S24 ~ S25); (b-4-4)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가 배송을 받아 구매를 결정하여(S26)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로그인하여 상기 상품에 대한 금액을 입금받는 단계(S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전자지불결제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전자지불결제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구성요소 간의 처리를 나타낸 관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이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의 구성요소 간의 처리를 나타낸 관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의 상세 절차흐름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개인간 전자지불 중개 웹사이트 2: 개인간 전자지불 중개 서버
3: 판매자 4: 판매자 웹사이트
5: 구매자 6: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
7: 지불기관 서버 8: 공격자
9: 공격자 웹사이트 10: 삭제된 공격자 웹사이트
100: 제 1 사용자 컴퓨터 110: 제 2 사용자 컴퓨터
120: 플랫폼 웹사이트 130: 전자지불중개 시스템
140: 개인 웹사이트 150: 지불기관서버
160: 전자지급결제중개 플랫폼 170: 전자지급결제대행 서버

Claims (19)

  1. 전자지급결제를 대행하는 플랫폼 웹사이트(120)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부터 제공받은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판매를 대행하는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는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되는 경우, 구매를 대행하는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회원가입 후 로그인되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판매될 상품의 상품정보가 등록되는 단계;
    (b)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된 후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되는 단계: 및
    (c)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사용될 경우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 및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된 URL이 비교되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는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개의 개인 웹사이트의 URL이 등록되며, 상기 (c)단계는 상기 등록된 복수개의 개인 웹사이트 중 어느 하나의 개인 웹사이트(140)에서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사용될 경우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사용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설치된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 및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된 URL의 비교결과 상기 각각의 URL이 일치하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인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이 요청되는 단계,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 요청이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생성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판매에 사용되며 판매정보를 입력받는 제 1 사용자 컴퓨터(100);
    구매에 사용되며 구매정보를 입력받는 제 2 사용자 컴퓨터(110);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한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 요청을 수용하여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웹상에 표시하는 플랫폼 웹사이트(120);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상기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으로 인증하여 전자지급결제를 처리하는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개인 웹사이트(140); 및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의 결제수단에 해당되며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의 결제 처리 요청을 수용하여 결제 처리하는 지불기관서버(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는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입력되는 회원정보 및 상품의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판매정보 DB,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입력되는 회원정보, 결제수단정보, 및 상품의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구매정보 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결제된 전자지불의 금액에 대한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한 이체 요청을 수용하여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게 상기 전자지불의 금액이 이체되도록 하며,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의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 요청을 수용하여 상기 판매정보 DB의 판매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구매정보 DB의 구매정보에 따라 전자지급결제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는 상기 판매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 및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각각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는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서 상품을 선택한 이후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선택하여 상기 구매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11. 삭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선택되면 상기 구매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전송하며,
    상기 구매정보에는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입력되는 배송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배송정보에 대응하는 배송업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게 상기 지불기관서버(150)에 의해 결제 처리되는 전자지급결제 결과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는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구매정보에 따라 처리되는 구매 진행 및 구매 완료를 웹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15.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에 있어서,
    (1) 판매에 사용되는 제 1 사용자 컴퓨터(100)가 전자상거래에 이용되는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플랫폼 웹사이트(120) 및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관리되며 상품정보가 등록되는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하는 단계; 및
    (2) 구매에 사용되는 제 2 사용자 컴퓨터(110)가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상품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선택하며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선택에 의해 전자지불중개가 수행되는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하여 전자지불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1-1)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이 요청되는 단계;
    (1-2)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이 요청되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으로부터 생성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전송받는 단계;
    (1-3)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의 웹상에 표시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 설치되는 단계;
    (1-4)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 등록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요청되는 단계; 및
    (1-5)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의해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의 URL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등록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1-2)단계의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은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생성 요청이 처음인지 아닌지 확인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2-1)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가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가 설치된 상기 개인 웹사이트(140)에서 상기 상품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선택하는 단계;
    (2-2)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한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선택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전송되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지불버튼 코드를 인증하는 단계;
    (2-3)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입력되는 회원정보, 지불기관서버(150)가 포함되는 결제수단정보, 및 상품의 상품정보로 이루어지는 구매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2-4)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구매정보를 바탕으로 전자지급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및
    (2-5)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이 상기 전자지급결제 처리의 완료를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게 알리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2-4)단계는,
    (2-4-1) 상기 구매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구매정보에 포함되는 지불기관서버(150)에 상기 전자지급결제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
    (2-4-2) 상기 지불기관서버(150)에 의해 상기 전자지급결제 처리가 승인되어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게 금액이 입금되는 단계;
    (2-4-3) 상기 전자지불중개 시스템(130)에 의해 상기 구매정보가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전송되며, 상기 구매정보에는 배송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에 의해 상기 배송정보에 대응하는 배송업무를 수행하는 단계; 및
    (2-4-4) 상기 제 2 사용자 컴퓨터(110)에 의해 배송 확인 및 구매 결정되어 상기 제 1 사용자 컴퓨터(100)에 의해 상기 플랫폼 웹사이트(120)에 로그인되어 상기 상품에 대한 금액을 입금받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 방법을 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방법.
KR1020080036735A 2008-04-21 2008-04-21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방법 KR101004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35A KR101004322B1 (ko) 2008-04-21 2008-04-21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735A KR101004322B1 (ko) 2008-04-21 2008-04-21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27A KR20090111127A (ko) 2009-10-26
KR101004322B1 true KR101004322B1 (ko) 2010-12-28

Family

ID=4153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735A KR101004322B1 (ko) 2008-04-21 2008-04-21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301B1 (ko) * 2012-06-27 2014-07-09 주식회사 케이지이니시스 상품정보 별 간단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376143B1 (ko) * 2012-09-20 2014-03-19 주식회사 시옷 온라인 결제에 있어서 판매자 인증 방법
KR101569046B1 (ko) * 2013-07-17 2016-01-05 주식회사 시옷 상품구매 ui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16B1 (ko) 2005-10-21 2007-06-07 한재호 바코드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인증강화 방법과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16B1 (ko) 2005-10-21 2007-06-07 한재호 바코드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사이트 인증강화 방법과 그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뉴스(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8&aid=0000150496&)(2006.07.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127A (ko) 200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ranjanamurthy et al. The study of e-commerce security issues and solutions
Van Wegberg et al. Bitcoin money laundering: mixed results? An explorative study on money laundering of cybercrime proceeds using bitcoin
Rose et al. Current technological impediments to business-to-consumer electronic commerce
JP5591431B2 (ja) セキュリティトランザクションプロトコル
US200903271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Online Transaction
US6529885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rrying out directory-authenticated electronic transactions including contingency-dependent payments via secure electronic bank drafts
AU200225031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rrying out contingency-dependent payments via secure electronic bank drafts supported by online letters of credit and/or online performance bonds
US9105059B2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utilizing custom merchant calculations
McCorry et al. Refund attacks on Bitcoin’s payment protocol
AU20022503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arrying out contingency-dependent payments via secure electronic bank drafts supported by online letters of credit and/or online performance bonds
EP1314103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tional financial transactions
JP2004511028A (ja) 情報を安全に収集、格納、及び送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anich et al. No plan survives contact: Experience with cybercrime measurement
Patro et al. Security issues over E-commerce and their solutions
KR101004322B1 (ko) Url 비교를 통한 전자지불버튼 코드의 인증방법 및 이를이용한 개인간 크로스 도메인 전자지급결제중개 시스템 및방법
JP2002063524A (ja) 電子商取引における信用保証方法、この方法を適用した取引認証サーバーと商店サーバーと会員管理サーバー
KR100745703B1 (ko) 인터넷 상거래 결제서비스에 있어서의 데이터 유실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Jailani et al. Secure and auditable agent-based e-marketplace framework for mobile users
AbdAlameer Building and developing E-commerce website
Hauswirth et al. A phase model for e-commerce business models and its application to security assessment
Ollmann Hacking as a service
Bargh et al. Trust and Security in E-business Transactions
Shobha et al. Teaching Computer Science Students to Communicate Scientific Findings More
AlMajed et al. Prevention of crime in B2C E-Commerce: How E-Retailers/Banks protect themselves from Criminal Activities
Ali et al. Security Vulnerabilities and Solution for Electronic Commerce in Iraq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