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019B1 - Wastebasket - Google Patents

Wastebas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019B1
KR101004019B1 KR1020100082378A KR20100082378A KR101004019B1 KR 101004019 B1 KR101004019 B1 KR 101004019B1 KR 1020100082378 A KR1020100082378 A KR 1020100082378A KR 20100082378 A KR20100082378 A KR 20100082378A KR 101004019 B1 KR101004019 B1 KR 101004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d
support
support part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승헌
박광수
Original Assignee
박광수
강승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수, 강승헌 filed Critical 박광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0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65D43/262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PURPOSE: A trash can with an improved lid opening/closing structure is provided to ensure operating reliability and flexibility by preventing the shaking of the actuating rod during ascent/descent in the guide hol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elevating member during operation. CONSTITUTION: A trash can with an improved lid opening/closing structure comprises a main body(10) having a hinge coupling part(11a,11b,11c), a lid(20), a complementary coupling part(31), a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32), a vertical support part(33), a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34), a supporting part(35), a guide hole, a fixing bracket(30), an actuating rod(41), an elevating member(40), a supporting part(51), an anti-separation part(53), a support member(50), a foothold(61), a connecting member(63), a pulling unit(60), a pivot body(71), a support piece(73) and a pivot unit(70). The lid is connected to the hinge coupling part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main body. The complementary coupling par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joint of the main body.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omplementary coupling part. The vertical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The supporting part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at an angle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main body by contacting the main body.

Description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WASTEBASKET}Garbage bin with improved li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WASTEBASKE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비위생적인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통에 투입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생 및 편익을 도모하여 주고, 아울러 뚜껑을 개폐시키기 위한 승하강부재와 풀링수단이 심플한 구조로 연계되어 있으며, 특히 고정브라켓과 승하강부재에는 작동로드의 승하강 시 작동로드가 가이드공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고정브라켓에는 승하강부재의 작동 시 본체에 맞닿아 탄성 지지함으로써 작동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풀링수단의 당김부재를 와이어로 도입하여 제품을 경량화 및 고급화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hygiene and convenience of the user when putting unsanitary food waste discharged from a home or a restaurant into a trash can, and a lifting member and a pull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a lid are connected in a simple structure. The fixed bracket and the elevating member are configured to prevent the operating rod from flowing in the guide hole when the operating rod is raised and lowered to ensure the operation reliability, and the fixed bracke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contacting the main body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flexibility can be ensured, and furthermore, by introducing a pull member of the pulling means to the wire to reduce the weight and quality of the product by the lid to improve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to satisfy the consumer's preferences.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와 달리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관계로 쉽게 부패되어 처리과정에서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극심한 악취를 발산하게 되므로,In general, food wastes emitted from homes and restaurants contain large amounts of water, unlike ordinary wastes, and thus easily decay,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emitting extreme odors.

최근에는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통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Recently, food waste bin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to separate food waste from homes or restaurants with general waste.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밀폐된 내용적을 가지며 상부가 트여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그 후단이 힌지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하부 일정위치에 수평하게 관통되는 굴대의 양측단에 구름 운동하도록 착설된 이동바퀴들로 구성된다.
Conventional food waste bin has a sealed inner volume and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he lid is hing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andrel penetrates horizontally in the lower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It consists of moving wheel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loud to move the clouds.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통은 밀폐된 내용적을 가지는 본체의 상부에 뚜껑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투입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상태로 부패된 더러운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극심한 악취가 외부로 발산됨을 방지하여 주는 동시에,The food waste bin is provided with a li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having a sealed inner volume, and prevents the dirty water that is spoiled in the food waste put in by the user from leaking out to the outside or discharging extreme odors to the outside,

본체의 하부에는 이동바퀴들을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본체 내에 가득 채워져서 중량인 음식물 쓰레기통을 용이하게 운반 및 취급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moving wheels, so that the food waste is filled in the main body so that the heavy food waste bin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handl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떨어져서 더럽게 오염되어 있는 뚜껑을 손으로 잡고 열어야 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대단히 불결하여 사용자가 거부감을 일으키게 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에는 손을 깨끗이 닦아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food waste bin is hygienic and very dirty becaus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has to be opened and held by hand in the process of injecting food waste. After putting food waste there is a problem to tak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lean your hands.

더 나아가 사용자가 쓰레기통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에는 열린 뚜껑을 손으로 밀어서 닫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Furthermore, given that the user closes the open lid by hand after putting the food waste into the trash,

뚜껑이 급속히 하강하여 본체와 충돌을 일으키게 되므로,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때마다 반복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본체와 뚜껑이 쉽게 파손되어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Since the lid is rapidly lowered to cause a collision with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main body and the lid is easily broken due to repeated impact every time the user puts food waste, shortening the service lif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비위생적인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통에 투입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생 및 편익을 도모하여 주고, 아울러 뚜껑을 개폐시키기 위한 승하강부재와 풀링수단이 심플한 구조로 연계되어 있으며,In case of putting unsanitary food waste discharged from home or restaurant into the trash can, it promotes hygiene and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lifting member and the pull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d are connected in a simple structure.

특히 고정브라켓과 승하강부재에는 작동로드의 승하강 시 작동로드가 가이드공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고정브라켓에는 승하강부재의 작동 시 본체에 맞닿아 탄성 지지함으로써 작동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In particular, the fixed bracket and the elevating member are configured to prevent the operating rod from flowing in the guide hole when the operating rod is raised and lowered to ensure the operation reliability, and the fixed bracket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main body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operated. Support ensures operational flexibility,

더 나아가 풀링수단의 당김부재를 와이어로 도입하여 제품을 경량화 및 고급화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sh can with an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lid capable of satisfying consumer's taste by introducing a pulling member of a pulling means into a wire to reduce the weight and quality of the produc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풀링수단의 선회 동작을 위한 이동바퀴의 회전축에 배열되는 선회수단과, 이에 연결되는 중계부재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쓰레기통 하부에 배열되어 파손이나 손상의 위험이 많은 발판, 중계부재 및 선회수단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쉽고 용이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는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And the swing means arrang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ving wheel for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pull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member connected to it is easy to mutually coupled and de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sh bin is a lot of risk of breakage or damag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sh box having an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lid, which is easy and easy to replace and maintain the relay member and the turning means,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재는 이탈방지부, 지지부 및 버팀부로 이루어져 뚜껑의 선회동작 시 받침부재에서 이탈하거나 또는 후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안정적인 동작과, 이를 통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a support part and a brace part to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member or overturned to the rear during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lid, thereby increasing the stable operation of the product and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sh can with an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lid.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은 힌지결합부와,Garbage bin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nge coupling portion,

만곡지게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힌지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 상기 본체의 결합부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결합부와, 상기 대응결합부 하단부와 연결된 제1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 단부에 연결된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 단부에 연결된 제2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2 수평지지부 단부에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되고, 그 단부 부분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맞닿아 탄성 지지하는 서포팅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각 가이드공의 양측부와 만곡지게 이어진 보조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각 가이드공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가이드공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작동로드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을 받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의 개폐 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의 개방 시 후방으로의 전복(顚覆) 방지하기 위한 버팀부를 포함하는 받침부재;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배열된 발판과, 상기 발판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중계부재와, 상기 중계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의 작동로드를 연결하는 당김부재를 포함하는 풀링수단; 및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된 바퀴와 연결된 회전축을 감싸는 선회본체와, 상기 각 선회분체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호 벌어진 형태의 지지편과, 상기 각 지지편에 형성되고, 상기 중계부재의 후단부는 분기된 형태의 대응끼움부가 형성되어 삽입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선회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main body including a coupling part formed to be curved; A lid connected to the hinge coupler of the main body and covering the main body; A corresponding coupling par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art of the main body, a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part, a vertical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and a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to be inclined, the end part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elastically supported; a guide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s; A fixed bracket including auxiliary guide balls curved to be curved with both sides of each guide ball; An elevating member including an actuating rod that rises and falls along each guide hole of the fixing bracket, and a guide protrusion connected to the actuating rod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uxiliary guide hole;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th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i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ortion,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Support member including a brace for preventing the rollover to the rear when opening; A pulling means including a scaffold arrang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relay member connected to the scaffold and hinged to the main body, and a pulling member connecting the relay member and the operation rod of the elevating member; And a pivot body surrounding the rotary shaft connected to the wheel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swirling powders, and formed on each of the support pieces and the support pieces having a mutually open shape, and the rear end of the relay member. And a pivoting means including a fitting portion in which a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in a branched form is formed and inserted.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회수단의 끼움부는 상기 각 지지편에 형성된 끼움공이고,In addition, the fitting portion of the tur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tting hole formed in each of the support pieces,

상기 중계부재의 대응끼움부는 상기 각 지지편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의 전방에 상호 이격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공에 삽입되는 끼움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of the relay member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end of each support piece, and formed in the front of the receiving groov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ook shape bent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비위생적인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통에 투입하는 경우 사용자의 위생 및 편익을 도모하여 주고, 아울러 뚜껑을 개폐시키기 위한 승하강부재와 풀링수단이 심플한 구조로 연계되어 있으며,Garbage bin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hygiene and convenience of the user when injecting unsanitary food waste discharged from homes or restaurants into the trash, and also the lifting member and the pull r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d The means are connected in a simple structure,

특히 고정브라켓과 승하강부재에는 작동로드의 승하강 시 작동로드가 가이드공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고, 아울러 고정브라켓에는 승하강부재의 작동 시 본체에 맞닿아 탄성 지지함으로써 작동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In particular, the fixed bracket and the elevating member are configured to prevent the operating rod from flowing in the guide hole when the operating rod is raised and lowered to ensure the operation reliability, and the fixed bracket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main body when the elevating member is operated. Support ensures operational flexibility,

더 나아가 풀링수단의 당김부재를 와이어로 도입하여 제품을 경량화 및 고급화함으로써 소비자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the pulling member of the pulling means can be introduced into the wire to satisfy the consumer's preference by making the product lighter and more advanc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풀링수단의 선회 동작을 위한 이동바퀴의 회전축에 배열되는 선회수단과, 이에 연결되는 중계부재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쓰레기통 하부에 배열되어 파손이나 손상의 위험이 많은 발판, 중계부재 및 선회수단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쉽고 용이하여 작업 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And the swing means arrang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moving wheel for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pull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member connected to it is easy to mutually coupled and detached to the bottom of the trash bin is a lot of risk of breakage or damage, Replacement and maintenance of the relay member and the turning means is easy and easy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재는 이탈방지부, 지지부 및 버팀부로 이루어져 뚜껑의 선회동작 시 받침부재에서 이탈하거나 또는 후방으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안정적인 동작과, 이를 통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a support part and a brace part to prevent the produc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member or overturned to the rear during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lid, thereby increasing the stable operation of the product and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Will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 승하강부재 및 받침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구조가 개선된 뚜껑이 구비된 쓰레기통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구조가 개선된 뚜껑이 구비된 쓰레기통의 풀링수단과 선회수단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확대도 및 동작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bracket, a lifting member and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ration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rash can with a lid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pulling means and the turning means of the trash can with a lid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and an operation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trash b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lid of the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본 명세서상에서 사용되는 방향기준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특정하면,First, referring to the attached reference to the direction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1,

본 발명의 본체의 힌지결합부가 구비된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특정 한다.
The side provided with the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lled 'rear or rear', and the opposite side is specified as 'front or fron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은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힌지결합부(11)와, 만곡지게 형성된 결합부(13)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힌지결합부(11)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10)를 덮는 뚜껑(20); 상기 본체(20)의 결합부(13)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결합부(31)와, 상기 대응결합부(31) 하단부와 연결된 제1 수평지지부(32)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32) 단부에 연결된 수직지지부(33)와, 상기 수직지지부(33) 단부에 연결된 제2 수평지지부(34)와, 상기 제2 수평지지부(34) 단부에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되고, 그 단부 부분이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맞닿아 탄성 지지하는 서포팅부(35)와, 상기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32)(34)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공(36)과, 상기 각 가이드공(36)의 양측부와 만곡지게 이어진 보조가이드공(37)을 포함하는 고정브라켓(30); 상기 고정브라켓(30)의 각 가이드공(36)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작동로드(41)와, 상기 작동로드(41)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가이드공(37)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43)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40); 상기 작동로드(41)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20)을 받치는 지지부(51)와, 상기 지지부(51)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20)의 개폐 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53)와, 상기 지지부(5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20)의 개방 시 후방으로의 전복(顚覆) 방지하기 위한 버팀부(55)를 포함하는 받침부재;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배열된 발판(61)과, 상기 발판(61)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에 힌지 결합된 중계부재(63)와, 상기 중계부재(63)와 상기 승하강부재(40)의 작동로드(41)를 연결하는 당김부재(65)를 포함하는 풀링수단(60); 및 상기 본체(10) 하부에 구비된 이동바퀴(1)와 연결된 회전축(3)을 감싸는 선회본체(71)와, 상기 각 선회분체(71)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호 벌어진 형태의 지지편(73)과, 상기 각 지지편(73)에 형성되고, 상기 중계부재(63)의 후단부는 분기된 형태의 대응끼움부(64)가 형성되어 삽입되는 끼움부(75)를 포함하는 선회수단(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main body 10 including a hinge coupling part 11 and a coupling part 13 formed to be curved; A lid 20 connected to the hinge coupler 11 of the main body 10 and covering the main body 10; The corresponding coupling part 31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art 13 of the main body 20,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part 31, and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 A vertical support part 33 connected to an end, a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4 connected to an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33,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4 so as to be inclined, and an end portion thereof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support part 35 which abuts against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10 an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s 32 and 34 are guide holes 36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respective guide holes ( Fixing bracket 30 including the auxiliary guide hole 37 is bent to both sides of the 36; Operation rods 41 which rise and fall along each guide hole 36 of the fixing bracket 30, and a guide protrusion connected to the operation rod 41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uxiliary guide hole 37 ( Elevating member 40 including 43;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rod 41, the support 51 for supporting the lid 20,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51, the separation preven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20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part of the support part 51 and the support part 51 and including a brace part 55 for preventing a rollover to the rear when the lid 20 is opened; The footrest 61 arrang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relay member 63 connected to the footrest 61, hinged to the main body 10, the relay member 63 and the Pulling means 60 including a pulling member 65 for connecting the operation rod 41 of the elevating member 40; And a pivot body 71 surrounding the rotating shaft 3 connected to the moving wheel 1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a support piece connected to a front end of each of the swirling bodies 71, and mutually spaced apart. Pivoting means (73) formed on each of the support pieces (73),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elay member (63) includes a fitting portion (75) in which a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64) of a branched form is formed and inserted. 70; consisting of.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에서, 상기 본체(10)는1, 2, 4 and 5 in the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 is

밀폐된 내용적을 가지고, 그 상부가 트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나 또는 기타 쓰레기들이 투입되며, 또 일정 양의 쓰레기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갖도록 구성 된다.
It has an enclosed interior and has an open shape at the top so that food waste or other wastes can be put in and have a volume to accommodate a certain amount of waste.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에서 그 상단부 둘레에는 뚜껑(20)이 걸쳐져 지지될 수 있도록 플렌지 형태의 테두리부(14)가 구비되고,In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lange-like edge portion 14 so that the lid 20 is supported over the upper end,

상기 테두리부(14)의 내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돌기부(14a)가 형성되어 뚜껑(20)이 닫히는 경우 뚜껑(20)의 내측면과 외접하여 밀폐시키는 역할과 뚜껑(20)의 유동을 방지하며,Protruding portion 14a is formed at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edge portion 14 so that when the lid 20 is closed, it serves to seal and seal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20 and prevents the flow of the lid 20.

상기 돌기부(14a)의 후방 쪽에는 뚜껑(20)이 폐쇄된 상태에서 받침부재(50)의 지지부(51)를 수용하기 위한 홈 형태의 안치부(15)가 형성된다.
The rear side of the protrusion 14a is provided with a groove-like settled portion 15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51 of the support member 50 in a state in which the lid 20 is clos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의 상부 후면에는 힌지결합부(11)가 구비되는데,And the hinge rear portion 11 is provided on the upper rear of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힌지결합부(11)는 상기 본체(10)의 후면에 연결되고, 원통형의 축봉(11b)을 지지하기위한 복수의 힌지브라켓(11a)과,The hinge coupling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hinge brackets (11a) for supporting the cylindrical shaft rod (11b),

상기 힌지브라켓(11a)의 축봉(11b)에 삽입되는 힌지축(1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comprises a hinge shaft (11c) is inserted into the shaft rod (11b) of the hinge bracket (11a).

이때 상기 힌지브라켓(11a)에는 축봉(11b)의 양측부와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축봉(11b)의 중심 부분의 두 지점에 연결되고,At this time, the hinge bracket (11a)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haft bar (11b), and also connected to two point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aft bar (11b),

상기 본체(10)의 후면, 즉 상기 축봉(11b)의 중심 부분의 두 지점에 구비된 힌지브라켓(11a) 사이에는 만곡지게, 즉 'ㄱ' 형태로 구부러진 결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에는 그 수평 부분과 수직 부분에 각각 체결공(13a)이 형성되어 고정브라켓(30)의 대응결합부(31)가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연결 고정된다.
Between the hinge bracket 11a provid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two point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haft bar (11b) is formed to be curved, that is, the coupling portion 13 bent in a 'b' shape, The coupling part 13 has fastening holes 13a formed in the horizontal part and the vertical part, respectively, so that the corresponding coupling part 31 of the fixing bracket 30 is connected and fixed by bolts and nuts.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쓰레기통(WB)의 이동을 위한 이동바퀴(1)와 연결되는 회전축(3)을 수용하는 축결합부(17)가 구비되고,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haft coupling portion 17 for receiving the rotary shaft 3 connected to the moving wheel 1 for the movement of the trash can (WB),

상기 축결합부(17)의 양측부에는 절개된 형태의 함몰부(19)가 구비되어 이동바퀴(1)와 회전축(3) 간의 결합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하기할 풀링수단(60)의 동작을 위한 선회수단(70)이 구비되는 수용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Both sides of the shaft coupling portion 17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19 of the cut shape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coupling between the moving wheel 1 and the rotary shaft 3 to operate the pulling means 60 to be described below. It serves as an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with the turning means 70 for.

그리고 상기 축봉(11b)은 쓰레기통(WB)의 이동 시 사용자가 파지하여 끌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하여 이동바퀴(1)와 함께 쓰레기통(WB)의 이동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haft rod (11b) is a handle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when moving the trash can (WB)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moving the trash can (WB) with the wheel (1).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에서, 상기 뚜껑(20)은1, 2, 4 and 5 in the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id 20 is

상기 본체(10)의 힌지결합부(11)에 연결되어 힌지축(11c)을 기준으로 선회하여 쓰레기통(WB)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t is connected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trash can (WB) by turning based on the hinge axis (11c).

본 발명에 따른 뚜껑(20)의 후면 양측에는 상기 힌지축(11c)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선회암(21)이 구비되는데,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lid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wivel arm 21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11c),

상기 각 선회암(21)에는 상기 힌지축(11c)이 삽입되는 관통공(2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각 선회암(21)의 관통공(21a)에 힌지축(11c)이 삽입된 후 마감구(23)를 상기 각 관통공(21a)에 끼워 상기 선회암(21)과 힌지축(11c)을 연결하게 된다.
Each pivotal arm 21 has a through hole 21a into which the hinge shaft 11c is inserted. The hinge shaft 11c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a of the pivotal arm 21 and then closed. A sphere 23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through holes 21a to connect the pivot arm 21 and the hinge shaft 11c.

이 경우 상기 각 선회암(21)의 길이는 뚜껑(20)을 개폐시키기 위해 수직방향을 직선운동을 하는 승하강부재(40)의 작동로드(41)의 스트로크 거리,In this case, the length of each of the pivotal arms 21 is the stroke distance of the operation rod 41 of the elevating member 40 in a linear mo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lid 20,

즉 상기 작동로드(41)가 최상부 지점까지 도달하여 상기 뚜껑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In other words, the working rod 41 should be formed to a length capable of reaching the uppermost point to fully open the lid.

따라서 상기 각 선회암(21)의 길이는 상기 작동로드(41)의 직선운동 시 그 스트로크 거리에 해당하는 길이로 형성되고,Therefore, the length of each pivot arm 21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troke distance during the linear movement of the operating rod 41,

이와 더불어 상기 각 선회암(21)이 연결되는 상기 본체(10)의 힌지결합부(11)는 상기 작동로드(41)의 스트로크 거리와 선회암(21)의 길이에 상응하여 작동로드(41)의 직선운동과,In addition,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 of the main body 10 to which the pivot arms 21 are connected corresponds to the stroke distance of the actuating rod 41 and the length of the pivot arm 21. Linear motion,

이에 의한 선회암(21)의 선회운동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후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As a result, the pivoting arm 21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smoothly maintain the pivoting motion of the pivotal arm 2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에서, 상기 고정브라켓(30)은1 to 4, in the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bracket 30 is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승하강부재(40)의 상승 및 하강 동작 시 이를 지지하고, 가이드함으로써 승하강부재(40)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to support and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mber 40, it serves to ensure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elevating member 40.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라켓(30)은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3)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결합부(31)와, 상기 대응결합부(31) 하단부와 연결된 제1 수평지지부(32)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32) 단부에 연결된 수직지지부(33)와, 상기 수직지지부(33) 단부에 연결된 제2 수평지지부(34)와, 상기 제2 수평지지부(34) 단부에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되고, 그 단부 부분이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 맞닿아 탄성 지지하는 서포팅부(35)와,The fixing bracke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rresponding coupling part 31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art 13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part 31. And a vertical support part 33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 a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4 connect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support part 33, and an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4. A support part 35 connected to each other, the end portion of whic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contacting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32)(34)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공(36)과, 상기 각 가이드공(36)의 양측부와 만곡지게 이어진 보조가이드공(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s 32 and 34 include guide holes 36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uxiliary guide holes 37 which are curved to be curved with both sides of the guide holes 36. Is done.

상기 고정브라켓(30)에서 상기 대응결합부(31)는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3)에 상응하도록 'ㄱ' 형태로 구부러져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의 체결공(13a)에 상응하도록 대응체결공(31a)이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3)에 고정브라켓(30)을 고정시키게 된다.
In the fixing bracket 30,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31 is formed to be bent in a 'b' shape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ortion 13 of the main body 10, the fastening hole (13a) of the coupling portion 13 Corresponding fastening hole 31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bracket 30 to the engaging portion 13 of the main body 10 by the bolt (B).

그리고 상기 제1 수평지지부(32), 수직지지부(33) 및 제2 수평지지부(34)는 'ㄷ' 형태로 구부러져 상부 위치하는 제1 수평지지부(32)의 단부가 상기 대응결합부(31)의 하단부에 연결되고,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 the vertical support part 33,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4 are bent in a 'c' shape to b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 Connected to the bottom of

상기 제1 수평지지부(32), 수직지지부(33) 및 제2 수평지지부(34)는 승하강부재(40)의 작동로드(41)와 가이드돌기(43)가 가이드공(36)과 보조가이드공(37)을 따라 승하강하는 경우 승하강부재(40)를 지지하여 승하강부재(40)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 the vertical support part 33,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4 are provided with an actuating rod 41 and a guide protrusion 43 of the elevating member 40. When lifting up and down along the ball 37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table operation of the lifting member 40 by supporting the lifting member 40.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32)(34)에는 풀링수단(60)의 당김부재(65)인 와이어(65b)가 관통 삽입을 위한 수용공(28)이 본체(10) 방향, 즉 내측방향에 형성되어 와이어(65b)가 작동로드(41)의 하부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각 수용공(28)을 통하여 풀링수단(60)에 의한 힘을 전달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s 32 and 34 have a receiving hole 28 for insertion through the wire 65b, which is the pulling member 65 of the pulling means 60, that is, the main body 10 direction, that is, Is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and the wire (65b)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ctuating rod 41 is to transmit the force by the pull means 60 through each of the receiving hole (28).

또 상기 서포팅부(35)는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이 그 단부 부분이 맞닿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를 형성하고 있으며,In addition, the supporting portion 35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uch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buts its end portion,

이 경우 고정브라켓(30)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그 단부가 프리한 상태의 서포팅부(35)는 탄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fixing bracket 3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so that the supporting part 35 in a state where the end is free can exert elasticity.

따라서 상기 서포팅부(35)는 상기 승하강부재(40)의 승하강 동작 시 탄성 지지하게 되는데,Therefore, the supporting part 35 is elastically supported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member 40,

이는 상기 서포팅부(35)가 상기 제2 수평지지부(34)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의 외측면 쪽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고,It is formed so that the supporting portion 35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 34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상기 서포팅부(35)의 단부 부분은 상기 본체(10) 외측면에 맞닿게 된다.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part 35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그리고 풀링수단(60)의 당김부재(65)가 승하강부재(40)의 작동로드(41)를 끌어올려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작동로드(41)는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지만, 당김부재(65)에 의하여 작용하는 힘이 작동로드(41)에 완전히 수직방향으로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작동로드(41)에는 측방향으로 일정한 힘 분산되어 작용하게 된다.When the pulling member 65 of the pulling means 60 pulls up and raises the operating rod 41 of the elevating member 40, the operating rod 41 ri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pulling member 65 Unless a force acting by the force acts completely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ctuating rod 41, the actuating rod 41 acts as a constant force distribu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특히 당김부재(65)가 작동로드(41)의 전방 부분에서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작동로드(41)는 본체 쪽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게 되며,In particular, when the pull member 65 exerts a force on the front portion of the actuation rod 41, the actuation force pulls the actuation rod 41 toward the main body,

이때 상기 서포팅부(35)가 본체(10) 쪽으로 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탄성 지지함으로써 고정브라켓(30)과, 또는 고정브라켓(30)과 연결되는 본체(10)의 연결 부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At this time, the support part 35 is elastically supported against the force pulled toward the main body 10 so that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xed bracket 30 or the main body 10 connected to the fixed bracket 30. Will be prevented,

또한 작동로드(41)가 작동 시 그 유연성을 작동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어 보다 신뢰성 높은 동작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ng rod 41 is operated, the flexibility of the operation can be guaranteed, thereby obtaining more reliable operation performance.

아울러 상기 가이드공(36)은 상기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32)(34)에 장공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공(36)에는 승하강부재(40)의 작동로드(41)가 관통 삽입되어 가이드공(36)을 따라 상승 및 하강 시 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guide hole 36 is provided in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 34 in the form of a long hole, the operating hole 41 of the elevating member 40 through the guide hole 36 It is inserted and serves to guide the rise and fall along the guide hole (36).

그리고 상기 보조가이드공(37)은 장방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공(36)의 양측부와 만곡지게 이어져 상기 가이드공(36)과 보조가이드공(37)의 형태는 대략 'ㄷ'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And the auxiliary guide hole 37 is bent to both sides of the guide hole 36 made of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shape of the guide hole 36 and the auxiliary guide hole 37 is approximately 'c' form,

상기 보조가이드공(37)은 작동로드(41) 양측부에 연결된 가이드돌기(43)가 삽입되어 작동로드(41)의 양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The auxiliary guide hole 37 is inserted into the guide protrusion 43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operation rod 41 to support both sides of the operation rod 41.

이는 상기 가이드공(36)과, 상기 가이드공(36)에 관통 삽입된 작동로드(41)는 동작 용이성을 위하여 일정 정도 유격이 존재하게 되고,This is because the guide hole 36 and the operating rod 41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36 has a certain degree of play for ease of operation,

이러한 유격은 작동로드(41)의 동작 시 가이드공(36)에서 작동로드(41)의 유동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부재간의 마찰이 심해지고, 이로 인한 마모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This clearance acts as a cause of the flow of the operation rod 41 in the guide hole 36 dur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rod 41, the friction between the members is seve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oise caused by the wear caused by this.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30)의 보조가이드공(37)과 승하강부재(40)의 가이드돌기(43)가 상기 가이드공(36)과 작동로드(41)가 요철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보조가이드공(37)과 가이드돌기(43)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유동을 방지하여 부재의 내구성과 작동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auxiliary guide hole 37 of the fixing bracket 30 and the guide protrusion 43 of the elevating member 40 allow the guide hole 36 and the operating rod 41 to be coupled in an uneven form.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flow as described above by the guide hole 37 and the guide protrusion 43 to ensure the durability and operational stability of the member.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에서, 상기 승하강부재(40)는As shown in Figure 1 to Figure 4 in the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member 40 is

상기 고정브라켓(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에는 받침부재(50)가 연결되어 풀링수단(60)에 의하여 승강하여 받침부재(50)에 의하여 상기 뚜껑(20)을 개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t is supported by the fixing bracket 30, the support member 5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by the pulling means 60 to serve to open and close the lid 20 by the support member 50.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부재(40)는 상기 고정브라켓(30)의 각 가이드공(36)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작동로드(41)와,The elevating memb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rating rod 41 for raising and lowering along each guide hole 36 of the fixing bracket 30,

상기 작동로드(41)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가이드공(37)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41, and comprises a guide protrusion 43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uxiliary guide hole (37).

상기 승하강부재(40)에서 상기 작동로드(41)는 상기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32)(34)에 형성된 가이드공(36)에 관통 삽입되고,In the elevating member 40, the operation rod 41 is inserted through the guide hole 36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s 32, 34,

상기 작동로드(41) 상단면에는 삽입돌기(45)가 형성되어 받침부재(50)의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공(51a)에 끼워져 작동로드(41)에 받침부재(50)를 연결 고정시키게 된다.
Insertion protrusions 4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ration rod 41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51a formed at the support of the support member 50 to fix the support member 50 to the operation rod 41.

아울러 상기 작동로드(41) 하부 부분에는 풀링수단(60)의 당김부재(65)를 연결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공(47)이 형성되어 당김부재(65)인 와이어(65b) 단부에 구비된 결합구(65c)에 의하여 상기 장착공(47)에 와이어(65b)가 고정 결합된다.
In addition, a coupling ho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re 65b, which is a pull member 65,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47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pull member 65 of the pulling means 6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ctuating rod 41. The wire 65b is fixedly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47 by 65c.

상기 승하강부재(40)에서 상기 가이드돌기(43)는 상기 고정브라켓(30)의 보조가이드공(37)에 대응하는 돌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가이드공(37)이 함께 작동로드(41)의 승하강 동작 시 유동을 방지하여 부재의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the elevating member 40, the guide protrusion 43 is formed of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guide hole 37 of the fixing bracket 30, the auxiliary guide hole 37 is operated together as described above It prevents the flow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rod 41 serves to prevent the wear of the member, the generation of nois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에서, 상기 받침부재(50)는1 to 4, in the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50 is

상기 승하강부재(40)의 작동로드(41)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20)을 떠받치면서 상부로 밀어올림으로써 뚜껑(20)을 개방하거나 또는 자중에 의하여 닫히는 뚜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41 of the elevating member 40, and by supporting the lid 20 by pushing upward to open the lid 20 or to support the lid closed by its own weight do.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재(50)는 상기 작동로드(41)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20)을 받치는 지지부(51)와, 상기 지지부(51)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20)의 개폐 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53)와, 상기 지지부(5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20)의 개방 시 후방으로의 전복(顚覆) 방지하기 위한 버팀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upporting member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41, the support 51 supporting the lid 20, and one end of the support 51, and the lid 2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51, and the support portion for preventing overturning to the rear when the lid 20 is opened. 55).

즉 상기 받침부재(50)에서 상기 지지부(51)는 상기 작동로드(41)의 삽입돌기(45)에 대응하는 삽입공(51a)이 형성되어 작동로드(41)와 연결되고, 상기 뚜껑(20)의 하부 부분과 직접 맞닿아 뚜껑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at is, in the supporting member 50, the support 51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51a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rotrusion 45 of the operation rod 41 and connected to the operation rod 41, and the lid 20 It directly touches the lower part of the) to support the lid.

상기 이탈방지부(53)는 상기 지지부(51)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뚜껑(20)의 개폐 시 뚜껑(20)이 받침부재(5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The release preventing part 53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art 51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pper direction so that the lid 2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member 50 when the lid 20 is opened and closed. To prevent this,

상기 버팀부(55)는 상기 지지부(51)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부 방향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뚜껑(20)의 개방 시 뚜껑(20)이 후방으로의 전복(顚覆)되어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brace part 55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ort part 51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ly so that the lid 20 is rolled over to the rear when the lid 20 is opened. This will prevent it from going over.

이는 상기 뚜껑(20)의 개폐 시 뚜껑(20)이 선회하게 되는데,This is to turn the lid 20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20,

이 경우 상기 받침부재(50)의 지지부(51)와 맞닿는 뚜껑(20)의 하부 부분, 즉 접촉부가 상기 지지부(51)의 상면부를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을 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lid 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51 of the support member 50, that is, the contact part slid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upper surface part of the support part 51.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50)(35)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이탈방지부(53) 및 버팀부(55)가 배열되어 있어 상기 뚜껑(20)의 접촉부가 지지부(51)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Therefore, the separation prevention part 53 and the brace part 55 are arranged i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supporting member 50, 35, respectively, to prevent the contact portion of the lid 20 from leaving the support part 51. and,

이와 더불어 상기 버팀부(55)는 상기 뚜껑(20)의 개방 시 뚜껑(20)이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 뚜껑(20)이 더 이상 후방으로 넘어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20)의 상면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bracing portion 55 of the lid 20 to prevent the lid 20 from being rolled over to the rear in the state in which the lid 20 is opened to the maximum when the lid 20 is opened. It will serve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받침부재(50)(35)의 일정 부분, 즉 상기 이탈방지부(53)와 지지부(51)의 일부분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데,In addition,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s 50 and 35, that is, a part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art 53 and the support part 51 is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10,

이 경우 상기 본체(10)의 돌기부(14a)에는 안치부(15)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부재(50)의 지지부(51)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본체(10)와 뚜껑(20)이 닫힌 상태에서 그 후방 부분이 상기 받침부재(50)에 의하여 들뜨거나 또는 틈새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protruding portion 14a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ettling portion 15 so that the supporting portion 51 of the supporting member 50 is accommodated so that the main body 10 and the lid 20 are closed. The rear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ifted or the gap is opened by the support member 50.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에서, 상기 풀링수단(60)은1, 2, 4 and 5 in the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means 60 is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승하강부재(40)의 작동로드(41)와 연결된 당김부재(65)를 당겨 작동로드(41)를 승강시켜 뚜껑(20)을 개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lid 20 is opened by pulling the pulling member 65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ivotable and pulling the pulling member 65 connected to the operating rod 41 of the elevating member 40. It will play a role.

본 발명에 따른 풀링수단(60)은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배열된 발판(61)과, 상기 발판(61)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10)에 힌지 결합된 중계부재(63)와, 상기 중계부재(63)와 상기 작동로드(41)를 연결하는 당김부재(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ull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trest 61 arrang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relay member 63 is connected to the footrest 61, hinged to the main body 10 And a pulling member 65 connecting the relay member 63 and the operation rod 41.

상기 풀링수단(60)의 발판(61)은 일정한 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발로 밟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Preferably, the footrest 61 of the pulling means 60 is made of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it can be easily stepped on by the foot,

그리고 상기 발판(61)에는 고정공(61a)이 형성되어 상기 중계부재(63)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In addition, a fixing hole 61a is formed in the scaffold 61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relay member 63.

아울러 상기 풀링수단(60)의 중계부재(63)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그 선단부에는 고정돌기(63b)가 형성되어 상기 발판(61)의 고정공(61a)에 억지끼워져 상기 발판(61)과 중계부재(63)를 결합시키고,In addition, the relay member 63 of the pooling means 60 has a certain length, and a fixing protrusion 63b is formed at the front end thereof,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61a of the scaffold 61 so that the scaffold 61 and Combine the relay member 63,

상기 중계부재(63)의 중심 부분에서 대략 전방 부분에 상기 당김부재(65)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공(64)이 형성된다.
A mounting hole 64 for fixing the pull member 6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ront portion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relay member 63.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에서, 상기 선회수단(70)은2 and 5, in the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l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means 70 is

상기 중계부재(63)의 후단부에 상기 이동바퀴(1)가 연결된 회전축(3)에 연결되어 발판(61)을 발로 밟는 경우 상기 중계부재(63)가 선회할 수 있는 회전 중심으로써의 역할을 하게 된다.
When the foot member 61 is stepped on the foot by being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3 to which the moving wheel 1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elay member 63, the relay member 63 serves as a rotation center that can be turned. Don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회수단(70)은 상기 회전축(3)을 감싸는 선회분체(71)와, 상기 각 선회분체(71)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호 벌어진 형태의 지지편(73)과, 상기 각 지지편(73)에 형성된 끼움부(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The turning means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urning powder 71 surrounding the rotating shaft 3,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turning powder 71, the support piece 73 of the mutually open form, It comprises a fitting portion 75 formed in each of the support pieces 73,

그리고 상기 중계부재(63)의 후단부에는 분기된 형태의 대응끼움부(64)가 형성되어, 상기 선회수단(70)의 각 끼움부(7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elay member 63 is formed with a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64 having a branched shape, an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each fitting portion 75 of the pivoting means 70.

즉 상기 선회수단(70)의 각 선회분체(71)의 후단부에는 상호 면접하는 평면부(71a)가 형성되고, 상기 각 평명부(71a)에는 결합공(71c)이 형성되어 볼트(B)와 너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각 선회분체(71)를 연결시키게 된다.
That is, the rear end of each of the swirling powders 71 of the turning means 70 is formed with a flat portion 71a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ach of the flat portions 71a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71c to form a bolt (B). It is fastened by the nut and to connect each of the swirling powder (71).

그리고 상기 각 선회분체(71)에는 상기 각 평면부(71a)와 연결되는 축보유부(71b)가 구비되어, 상기 각 선회분체(71)가 결합되는 상기 각 축보유부(71b)의 형태는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회전축(3)을 감쌀 수 있게 된다.
And each of the swirling powder 71 is provided with a shaft holding portion (71b) connected to each of the flat portion (71a), the shape of each of the shaft holding portion (71b) to which the respective swirling powder 71 is coupled By forming a polygonal or circular shape it is possible to wrap the rotating shaft (3).

또한 상기 선회수단(70)의 지지편(73)은 상기 각 축보유부(71b)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각 지지편(73)은 상호 벌어진 형태를 이루며,In addition, the support piece 73 of the pivot means 70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each of the shaft retaining portion (71b), each of the support pieces 73 forms a mutually open form,

상기 각 지지편(73)에 형성되는 끼움부(75)는 홀 형태의 끼움공(75a)으로 이루어진다.
The fitting portion 75 formed in each of the support pieces 73 is formed of a fitting hole 75a in the form of a hole.

아울러 상기 중계부재(63)의 각 대응끼움부(64)는 상호 벌어진 형태의 각 지지편(73)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64a)과,In addition, each of the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64 of the relay member 63 is a receiving groove (64a) for accommodating the end of each support piece 73 of the mutually open form,

상기 수납홈의(64a) 전방에 상호 이격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공(75a)에 삽입되는 끼움돌기(6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front of the receiving groove (64a), made of a hook shape bent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comprises a fitting projection (64b)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75a).

즉 상기 선회수단(70)에서 상기 끼움부(75)의 끼움공(75a)은 상기 대응끼움부(64)의 끼움돌기(64b)에 삽입되어 상기 선회수단(70)과 중계부재(63)를 연결하여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That is, the fitting hole 75a of the fitting portion 75 in the turning means 7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protrusion 64b of the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64 to connect the turning means 70 and the relay member 63. It is possible to connect by turning.

그리고 상기 지지편(73)의 끼움부(75)와 상기 대응끼움부(64)에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각 지지편(73)은 벌어지거나 또는 맞닿는 동작을 통하여 끼움공(75a)과 끼움돌기(64b)를 삽입 및 분리시켜 중계부재(63)와 선회수단(70)을 결합 및 분리시키게 되는데,And each of the support piece 73 through the opening or abutment operation to the fitting portion 75 and the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64 of the support piece 73 through the abutment or fitting protrusions Insert and separate (64b) to combine and separate the relay member 63 and the turning means 70,

이때 상기 수납홈(64a)은 상기 각 지지편(73)의 단부가 벌어짐이나 맞닿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receiving groove (64a) can ensure the work convenience by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end of each support piece 73 is opened or abut smoothl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선회수단(70)을 분체 형태로 도입한 이유는In addition, the reason for introducing the turning means 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owder form

상기 중계부재(63)와 선회수단(70)의 상호 결합은 물론, 상호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In order to facilitate mutual separation, as well as mutual coupling of the relay member 63 and the pivot means 70,

이는 쓰레기통(WB)의 하부 부분에 위치하고 발로 밟아 사용하는 발판(61), 중계부재(63) 및 선회수단(70)의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make the maintenance work of the footrest 61, the relay member 63 and the turning means 70 to be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sh can (WB) to step on and use more quickly and easily.

즉 상기 선회분체(71) 전방에 연결된 각 지지편(73)이 상호 벌어져 있어 선회수단(70)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각 지지편(73)의 단부를 맞닿게 한 후,That is, after the support pieces 73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swirling powder 71 are opened to each other and the ends of the support pieces 73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ivoting means 70 being separated,

상기 각 지지편(73)을 상기 대응끼움부(64)의 끼움돌기(64b) 사이 틈새로 넣고, 상기 각 지지편(73)의 각 단부를 벌리게 되면 상기 각 끼움공(75a)에 상기 끼움돌기(64b)가 자연스럽게 삽입되고,The support pieces 73 are inserted into the gaps between the fitting protrusions 64b of the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s 64, and the fitting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fitting holes 75a when the end portions of the supporting pieces 73 are opened. 64b is inserted naturally,

이 경우 상호 벌어지게 되는 상기 각 지지편(73)의 단부는 상기 대응끼움부(64)의 수납홈(64a)에 수용된다.
In this case, end portions of the support pieces 73 which are opened to each other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grooves 64a of the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s 64.

반대를 선회수단(70)을 해체하는 경우에는 선회분체(71)를 풀러 그 단부가 상호 벌어진 상태의 상기 각 지지편(73)의 단부를 맞닿게 하면 상기 각 끼움돌기(64b)에서 상기 각 끼움공(65a)이 자연스럽게 빠지게 된다.
In the case of disassembling the turning means 70 on the opposite side, when the turning powder 71 is unwound and the ends of the supporting pieces 73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espective fittings are fitted in the fitting projections 64b. The ball 65a naturally falls out.

따라서 상기 선회수단(70)을 분체 형태로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지지편(73)과, 상기 끼움부(75) 및 상기 대응끼움부(64)에 의한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상기 중계부재(63)와 선회수단(70)의 결합 및 분리가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중계부재와 선회수단 간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pivot member 70 is formed in a powder form, and the relay member 63 is formed by an organic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piece 73, the fitting portion 75, and the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64. ) And the pivoting means 70 can be easily and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between the relay member and the pivoting means and improving work for maintenance.

본 발명에 따른 풀링수단(60)의 당김부재(65)는 상기 중계부재(63)와 상기 승하강부재(40)의 작동로드(41)를 연결하는 와이어(65b)와, 상기 와이어(65b)를 감싸는 외피(65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ulling member 65 of the pull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 65b connecting the relay member 63 and the operation rod 41 of the elevating member 40, and the wire 65b. It comprises a shell (65a) surrounding the.

따라서 상기 뚜껑(20)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발판(61)을 발로 밟는 경우 선회수단(70)을 축으로 중계부재(63)가 하부 방향을 선회하면서 상기 와이어(65b)가 당기게 되고,Therefore, when the user steps on the footrest 61 to open the lid 20, the wire 65b is pulled while the relay member 63 pivots downwardly with respect to the pivot means 70.

이 경우 상기 작동로드(41)가 상승하여 받침부재(50)에 의하여 뚜껑(20)의 후방부를 상부 방향으로 밀게 되며,In this case, the operation rod 41 is raised to push the rear portion of the lid 20 upward by the support member 50,

이때 상기 뚜껑(20)이 상기 힌지결합부(11)를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쓰레기통(WB)이 개방된다.
At this time, the lid 20 is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coupling portion 11 is opened trash can (WB).

그리고 쓰레기통(WB)을 닫는 경우에는 밟고 있는 상기 발판(61)에서 발을 떼게 되면 상기 뚜껑(20)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여 자연스럽게 쓰레기통(WB)이 닫히게 되며,When the trash can WB is closed, when the foot is released from the stepping foot 61, the trash can WB is naturally closed by descending by the weight of the lid 20.

다만 상기 뚜껑(20)의 선회 각도가 90도를 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뚜껑(20)을 살짝 전방으로 움직이는 동작만으로 자연스럽게 쓰레기통(WB)을 닫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However, when the turning angle of the lid 20 exceeds 90 degrees, the user can naturally close the trash can WB only by slightly moving the lid 20 forward.

아울러 상기 와이어(65b)의 양단부에는 결합구(65c)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상기 결합구(65c)가 상기 중계부재(63)와 작동로드(41)의 각 장착공(47)에 연결되어 상기 중계부재(63)와 작동로드(41)를 연결함으로써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wire (65b) is provided with a coupler (65c), respectively, the coupler (65c) is connected to each mounting hole 47 of the relay member 63 and the operating rod 41 is By connecting the relay member 63 and the operating rod 41

상기 와이어(65b)에 의하여 상기 중계부재(63)와 작동로드(41) 상호간의 연계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The wire 65b enables the linked operation between the relay member 63 and the operation rod 41 to be mutually possible.

또한 상기 당김부재(65)의 안정적인 지지와, 그리고 그 길이에 따라 일정한 텐션을 갖도록 하기 위해 고정구(67)가 도입되는데,In addition, the fastener 67 is introduced to have a stable support of the pulling member 65, and to have a constant tension along its length,

상기 고정구(67)는 상기 당김부재(65)가 삽입되되, 헐겁게 끼워져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은 끼움구멍(67a)과,The fastener (67) is inserted into the pull member 65, the fitting hole (67a) that is loosely fitted and can move freely,

상기 끼움구멍(67a)과 연결되고, 상기 당김부재(65)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텐션을 갖도록 특정 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집게형태의 클램핑부(67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connected to the fitting hole (67a), and comprises a clamping portion (67b) of the forceps type that can be fixed to a specific portion to have a constant tens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ulling member (65).

첨부된 도 1에서는 상기 고정구(67)의 클램핑부(67b)가 상기 힌지결합부(11)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되어 있으나,In FIG. 1, the clamping part 67b of the fastener 67 is fixed to one side of the hinge coupler 11.

이는 다양한 설치 장소 중에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이외에도 당김부재(65)의 길이에 따라 고정구(67)의 설치 위치는 달라질 수 있게 된다.
This is only one example of a variety of installation sites 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ture 67 can vary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pulling member (65).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WB)의 또 다른 변형례로 상기 고정브라켓의 대응결합부가 구비되지 않고, 또한 상기 서포팅부(35)가 경사가 없는 플렛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6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trash can (W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of the fixing bracket, the support portion 35 is made of a flat shape without inclination,

상기 서포팅부(35)에 복수의 대응체결공(31a)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대응체결공(31a)에 상응하는 위치에 체결공(13a)이 형성되어 볼트, 또는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본체(10)에 고정브라켓(30)이 결합된다.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fastening holes 31 a are formed in the supporting part 35, and a fastening hole 13 a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astening holes 31 a in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bolts or bolts may be formed. The fixing bracket 3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a nut.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can be improved in a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B : 쓰레기통 B : 볼트
1 : 이동바퀴 3 : 회전축
10 : 본체 11 : 힌지결합부
11a : 힌지브라켓 11b : 축봉
11c : 힌지축 13 : 결합부
13a : 체결공 14 : 테두리부
14a : 돌기부 15 : 안치부
17 : 축결합부 19 : 함몰부
20 : 뚜껑 21 : 선회암
21a : 관통공 23 : 마감구
30 : 고정브라켓 31 : 대응결합부
31a : 대응체결공 32 : 제1 수평지지부
33 : 수직지지부 34 : 제2 수평지지부
35 : 서포팅부 36 : 가이드공
37 : 보조가이드공 38 : 수용공
40 : 승하강부재 41 : 작동로드
43 : 가이드돌기 45 : 삽입돌기
47 : 장착공
50 : 받침부재 51 : 지지부
51a : 삽입공 53 : 이탈방지부
55 : 버팀부
60 : 풀링수단 61 : 발판
61a : 고정공 63 : 중계부재
63a : 장착공 63b : 고정돌기
64 : 대응끼움부 64a : 수납홈
64c : 끼움돌기 65 : 당김부재
65a : 외피 65b : 와이어
65c : 결합구 67 : 고정구
67a : 끼움구멍 67b : 클램핑부
70 : 선회수단 71 : 선회분체
71a : 평면부 71b : 축보유부
71c : 결합공
73 : 지지편 75 : 끼움부
75a : 끼움공
WB: Trash Bin B: Bolt
1: wheel 3: axis of rotation
10: main body 11: hinge coupling portion
11a: hinge bracket 11b: shaft
11c: hinge shaft 13: coupling portion
13a: fastening hole 14: rim
14a: protrusion 15: settle
17: shaft coupling portion 19: depression
20: lid 21: slewing rock
21a: through hole 23: finish hole
30: fixing bracket 31: corresponding coupling part
31a: fastener 32: first horizontal support
33: vertical support portion 34: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
35: support part 36: guide ball
37: auxiliary guide ball 38: receiving hole
40: lifting member 41: operating rod
43: guide protrusion 45: insertion protrusion
47: mounting hole
50: support member 51: support portion
51a: insertion hole 53: separation prevention part
55: bracing
60: pulling means 61: scaffold
61a: fixing hole 63: relay member
63a: mounting hole 63b: fixing protrusion
64: corresponding fitting 64a: storage groove
64c: fitting protrusion 65: pulling member
65a: jacket 65b: wire
65c: coupler 67: fixture
67a: fitting hole 67b: clamping part
70: turning means 71: turning powder
71a: flat part 71b: shaft retaining part
71c: combined hole
73: support piece 75: fitting
75a: fitting hole

Claims (2)

힌지결합부와,
만곡지게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힌지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
상기 본체의 결합부에 상응하도록 형성된 대응결합부와,
상기 대응결합부 하단부와 연결된 제1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1 수평지지부 단부에 연결된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 단부에 연결된 제2 수평지지부와,
상기 제2 수평지지부 단부에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되고, 그 단부 부분이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맞닿아 탄성 지지하는 서포팅부와,
상기 제1 및 제2 수평지지부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각 가이드공의 양측부와 만곡지게 이어진 보조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각 가이드공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가이드공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
상기 작동로드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을 받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의 개폐 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뚜껑의 개방 시 후방으로의 전복(顚覆) 방지하기 위한 버팀부를 포함하는 받침부재;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배열된 발판과,
상기 발판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중계부재와,
상기 중계부재와 상기 승하강부재의 작동로드를 연결하는 당김부재를 포함하는 풀링수단; 및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된 바퀴와 연결된 회전축을 감싸는 선회본체와,
상기 각 선회분체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상호 벌어진 형태의 지지편과,
상기 중계부재의 후단부에는 분기된 형태의 대응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편에 형성되어, 상기 대응끼움부에 삽입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선회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
Hinge coupling,
A main body including a coupling part formed to be curved;
A lid connected to the hinge coupler of the main body and covering the main body;
A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part;
A vertical suppo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A second horizontal support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end;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to be inclined, the end part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support part;
A guide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supports;
A fixing bracket including auxiliary guide balls curved to be curved at both sides of the guide holes;
An actuating rod that rises and falls along each guide hole of the fixing bracket;
A lifting member connected to the operation rod and including a guide protrus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uxiliary guide hole;
A support part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operation rod and supporting the lid;
A separation prevention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upport part and preventing separation when the lid is opened and closed;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including a brace portion for preventing a rollover to the rear when the lid is opened;
A scaffold arrang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relay member connected to the scaffold and hinged to the main body,
A pulling means including a pulling member connecting the relay member and the operation rod of the elevating member; And
A pivot body surrounding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a wheel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t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swirling powder, the support piece of the mutually open form,
A pivoting means formed at a rear end of the relay member in a branched form, the pivoting means being formed on each of the support pieces and including a fit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Lid trash can improved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made of a l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수단의 끼움부는 상기 각 지지편에 형성된 끼움공이고,
상기 중계부재의 대응끼움부는 상기 각 지지편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의 전방에 상호 이격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후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공에 삽입되는 끼움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fitting portion of the pivot means is a fitting hole formed in each of the support pieces,
Corresponding fitting portion of the relay member and the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end of each support piece;
The lid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receiving groov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de of a hook shape bent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is a fitt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is improved waste bin structure of the lid.
KR1020100082378A 2010-03-02 2010-08-25 Wastebasket KR1010040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624 2010-03-02
KR20100018624 2010-03-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4019B1 true KR101004019B1 (en) 2010-12-31

Family

ID=4351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378A KR101004019B1 (en) 2010-03-02 2010-08-25 Wastebas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01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87B1 (en) 2011-07-06 2013-08-06 박혜련 Functional garbage can
KR101798434B1 (en) * 2016-01-12 2017-11-16 유재주 Mounting frame for hospital waste box
KR101986189B1 (en) * 2018-02-06 2019-06-05 주식회사 이지데코 An outdoor clean bo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842B1 (en) 2003-04-24 2006-05-12 황인성 A pedal waste basket lift both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842B1 (en) 2003-04-24 2006-05-12 황인성 A pedal waste basket lift both do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187B1 (en) 2011-07-06 2013-08-06 박혜련 Functional garbage can
KR101798434B1 (en) * 2016-01-12 2017-11-16 유재주 Mounting frame for hospital waste box
KR101986189B1 (en) * 2018-02-06 2019-06-05 주식회사 이지데코 An outdoor clean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183B2 (en) Easy access refuse container
US9233794B2 (en) Cart with latch
KR101004019B1 (en) Wastebasket
US4193161A (en) Vacuum apparatus with tilting container
US8627518B1 (en) Portable toilet
US8584582B2 (en) Lid construction for compressing content of a container
EP1397989A1 (en) System for lifting a toilet seat and cover
US10279994B2 (en) Selectively mobile waste receptacles and methods
PT1690772E (en) Wheeled bucket
BE1019040A3 (en) EXTRACTIBLE COLLECTION BIN FOR UNDERGROUND WASTE CONTAINER.
US20130075400A1 (en) Pedal-operated cart
KR100407165B1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garbage basket cover
US20030183633A1 (en) Container lid lifting device
US2639113A (en) Trash can holder
EP0054463A1 (en) Apparatus for gathering domestic refuse
KR100771101B1 (en) Opened and closed dustbine by foot
KR20180109560A (en) Food waste basket
KR200386607Y1 (en) Opened and closed dustbine by foot
KR102124213B1 (en) Trash box
US8371557B1 (en) Dumpster lid opener
KR200414772Y1 (en) Rotation stand apparatus
US20140353315A1 (en) Waste receptacle
KR101436103B1 (en) A Food Garbage Basket
US20060102627A1 (en) Refuse receptacle with hinged support
CN212828620U (en) Integrated cleaning cart hand pus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