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017B1 -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017B1
KR101004017B1 KR1020090004057A KR20090004057A KR101004017B1 KR 101004017 B1 KR101004017 B1 KR 101004017B1 KR 1020090004057 A KR1020090004057 A KR 1020090004057A KR 20090004057 A KR20090004057 A KR 20090004057A KR 101004017 B1 KR101004017 B1 KR 10100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bscriber
access point
port numb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4749A (ko
Inventor
문대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004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0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10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 H04L61/103Mapping addresses of different types across network layers, e.g. resolution of network layer into physical layer addresses or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IP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가입자 단말의 IP를 원격으로 검사할 수 있는 IP주소 검색 장치로서, IP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고, 인터넷접속번호를 포함하는 무선랜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집선 장치와 라우터의 장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가입자정보추출부; 집선 장치의 포트 번호 및 집선 장치에 올라와 있는 가입자 단말의 MAC정보를 수집하여 포트 및 MAC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라우터에 올라온 MAC정보와 IP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1 IP수집부;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는 IP추출부; IP추출부에서 추출된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가입자정보추출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트 번호/인터넷접속번호와 매칭하는 가입자 매칭부; 및 가입자 매칭부에서 매칭된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IP관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상호 비교하고 상이한 경우 가입자 매칭부에서 매칭된 액세스 포인트의 IP로써 업데이트하는 현행화부를 포함하는 IP주소 검색 장치 및 IP주소 검색 장치에 의한 IP주소 검색 방법이 제공된다.
IP주소 검색 장치, IP계열IP수집부, ATM계열IP수집부, 가입자정보추출부, IP추출부, 현행화부

Description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IP ADDRESS SEARCH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IP (Internet Protocol)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랜 이용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AP)의 고정 IP가 임의로 변경되었을 때 그 변경된 고정 IP를 검색하여 IP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현행화할 수 있도록 하는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 무선랜 서비스의 경우-예컨대, 본 출원인이 서비스 중인 네스팟®서비스-각 가입자댁내에 액세스 포인트(AP)를 설치하여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랜카드를 구비한 컴퓨터간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서비스 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선랜 카드, 액세스 포인트, 라우터등을 포함한 인터넷에 접속된 각 장치마다 IP(Interenet Protocol)주소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러한 IP주소는 소스 단말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데스터네이션 단말로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송될 수 있도록하는 일종의 주소 역할을 한다. 이러한 IP주소 의 경우 접속시마다 동적으로 할당되는 동적IP와 그 값이 소정의 값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IP를 포함한다.
현재 상기한 상용 무선랜 서비스의 경우 운용의 편리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 고정IP를 제공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한편, 때때로 액세스 포인트에 고장이 발생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의 교체나 변경 시 해당 가입자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의 고정 IP주소가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는 무선 네트워크의 각 장치들의 고정IP를 저장, 할당 등의 관리를 수행하는 IP관리 시스템에 변경된 IP주소를 등록해야 하는데 이러한 변경된 IP주소를 IP관리 시스템에 등록하지 않아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등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경우등에는 접속에 실패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서비스 요원이 현장에 직접 출동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변경된 IP주소를 확인하고 이를 IP관리 시스템 관리자에게 알려 현행화하는 절차를 거쳤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에 할당된 고정IP주소가 변경되는 경우 그 액세스 포인트에 원격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요원이 직접 출동하여 변경된 고정 IP주소를 확인하고 IP관리 시스템에 새로 변경 등록을 하여야 했다. 따라서, 이런 점에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소비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서비스 요원의 현장 출동없이 IP관리 시스템에서 원격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변경된 고정IP주소를 알아낼 수 있는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IP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가입자 단말의 IP를 원격으로 검사할 수 있는 IP주소 검색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IP주소 검색 장치는 상기 IP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고, 인터넷접속번호를 포함하는 무선랜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집선 장치와 라우터의 장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가입자정보추출부; 상기 집선 장치의 포트 번호 및 상기 집선 장치에 올라와 있는 가입자 단말의 MAC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포트 및 상기 MAC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라우터에 올라온 MAC정보와 IP정보 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1 IP수집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는 IP추출부; 상기 IP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상기 가입자정보추출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트 번호/인터넷접속번호와 매칭하는 가입자 매칭부; 및 상기 가입자 매칭부에서 매칭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상기 IP관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상호 비교하고 상이한 경우 상기 가입자 매칭부에서 매칭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로써 업데이트하는 현행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IP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가입자 단말의 IP를 원격으로 검사할 수 있는 IP주소 검색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IP주소 검색 장치는 상기 IP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고, 인터넷접속번호를 포함하는 무선랜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DSLAM과 NAS의 장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가입자정보추출부; 상기 DSLAM의 포트 번호 및 상기 포트 번호에 설정된 VPI/VCI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NAS의 VPI/VCI에 설정된 IP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2 IP수집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는 IP추출부; 상기 IP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상기 가입자정보추출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트 번호/인터넷접속번호와 매칭하는 가입자 매칭부; 및 상기 가입자 매칭부에서 매칭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상기 IP관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상호 비교하고 상이한 경우 상기 가입자 매칭부에서 매칭된 상기 액 세스 포인트의 IP로써 업데이트하는 현행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IP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가입자 단말의 IP를 원격으로 검사할 수 있는 IP주소 검색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IP주소 검색 방법은 상기 IP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집선 장치에서의 포트 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집선 장치 및 라우터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집선 장치에 텔넷으로 접속하여 상기 포트 번호에 해당하는 포트에 올라와 있는 MAC정보를 수집 및 추출하는 단계; 상기 라우터에 접속하여 ARP테이블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포트에 올라온 상기 MAC정보에 매칭된 IP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포트 번호/상기 MAC정보와 상기 MAC정보/상기 IP정보로부터 상기 포트 번호/상기 IP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상기 포트 번호/상기 IP정보로부터 상기 IP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비교하여 현행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IP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가입자 단말의 IP를 원격으로 검사할 수 있는 IP주소 검색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IP주소 검색 방법은 상기 IP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DSLAM에서의 포트 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DSLAM 및 NAS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DSLAM에 텔넷으로 접속하여 상기 포트 번호에 해당하는 포트에 대한 VPI-VCI정보를 수집 및 추출하고 변환된 NAS의 VPI-VCI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NAS에 접속하여 VPI-VCI 정보에 세팅된 IP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포트 번호/상기 VPI-VCI정보와 상기 MAC VPI-VCI정보/상기 IP정보로부터 상기 포트 번호/상기 IP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된 상기 포트 번호/상기 IP정보로부터 상기 IP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비교하여 현행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의 고정 IP주소가 변경되었을 경우 서비스 요원이 현장에 직접 출동하지 않고도 그 변경된 IP주소를 알아내어 그 액세스 포인트로 원격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간 및 노동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참조로 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검색 장치(20)가 무선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망 구성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검색 장치(20)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네트워크에는 인터넷(1), 서비스 프로바이더 관리망(2), 기가비트라우터(GSR: 3), 대형 스위치(4), NAS(Network Access Server: 5), DSLAM(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 6), 라우터(7), 집선 장치(8), 액세스 포인트(9), IP관리 시스템(10), 및 IP주소 검색 장치(20)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인증 서버 및 과금 서버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네트워크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액세스 포인트(9)와 통신하는 무선랜(11)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고, 이러한 데이터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기반의 DSLAM(6)과 NAS(5)를 통하거나 IP기반의 집선 장치(8) 및 라우터(7)을 거쳐 양 자를 집속하는 대형 스위치(4)를 통과하고 백본 라우터에 해당하는 기가비트라우터(3)를 통해 다른 서버 또는 컴퓨터와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IP관리 시스템(10)이 상기 각 장치들의 고정IP를 저장, 할당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검색 장치(20)는 가입자정보추출부(24), IP계열 IP수집부(21), ATM계열 IP수집부(22), IP추출부(23), 가입자 매칭부(25), 및 현행화부(26)를 포함한다.
가입자정보추출부(24)는 IP관리 시스템(10)에서 관리하고 있는 상용 무선랜 서비스 가입자의 소정 정보, 예컨대, 가입자명/인터넷 접속번호/장치명/포트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IP계열에서의 집선 장치(8) 및 라우터(7)와 ATM계열에서의 DSLAM(6) 및 NAS(5)의 장치의 소정 정보, 예컨대 장치명/제조사/장치IP/장치ID/장치password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예컨대, 가입자에 대한 소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에 있어서, IP계열의 경우 "홍길동/1004-2002/A1004003/0001"의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할 수 있고, 이 경우 가입자명은 "홍길동"이고 인터넷 접속번호는 "1004-2002"이며, 집선 장치(8)명은 "A1004003"이고 가입자가 연결되어 있는 포트 번호는 "0001"임을 나타낸다.
ATM계열의 경우, 예컨대 "김철수/224-1234/GJ01-003001-01-02-03"의 형태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이 경우 가입자명은 "김철수"이고 인터넷 접속번호는 "224-1234"이며 DSLAM(6)의 장치명은 "GJ01"이고 제조사는 "003001(예컨대 삼성전자의 제조사번호)"이며 01번랙, 02셀프, 그리고 03포트 임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장치에 대한 소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함에 있어서, IP계열의 경우, 예컨대, 집선 장치(8)의 경우, 장치명/제조사/장치IP/장치ID/장치password를 "A1004003/다산/61.123.44.55/test/test123"으로 구성할 수 있고 라우터(7)의 경우 장치명/장치IP/장치ID/장치password/고정IP대역을"V5604/61.123.44.56/test/test123/61.123.44.2~50"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ATM계열의 경우, 예컨대, DSLAM(6)의 경우, 장치명/제조사/장치IP/장치ID/장치password를 "GJ01/삼성/50.123.44.33/test/test123"으로 구성할 수 있고, NAS(5)의 경우 DSLAM명/NAS명/NAS의IP/NAS의포트/NAS의ID/NAS의password를 "GJ01/RedBack/50.123.44.50/01,01/test/test123"으로 구성할 수 있다.
IP계열 IP수집부(21)는 집선 장치(8)의 포트와 집선 장치(8)에 올라와 있는 가입자 단말의 MAC정보를 수집하고 포트와 MAC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라우터에 올라온 MAC정보와 IP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IP계열 IP수집부(21)는 가입자정보추출부(24)의 집선 장치(8)의 정보를 추출하여 텔넷접속하고 해당 집선 장치(8)의 ARP테이블에서 포트/MAC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예컨대, 집선장치명/집선장치모델/장치IP/ID/Passwd이 "A1004003/다산/61.123.44.55/test/test123"인 집선 장치(8)에 텔넷 접속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집선 장치(8)의 ARP테이블에서 포트/MAC정보를 데이터베이스할 수 있다.
집선장치명-포트 MAC
A1004003-001 00:c0:26:7c:50:b1
A1004003-001 03:c0:21:7c:51:b2
A1004003-008 02:c0:20:7c:52:b3
A1004003-009 04:c0:23:7c:53:b4
표 1을 참조하면 동일 포트"001"에 MAC이 두 개 올라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에서 올라온 MAC과 AP(Access Point)에서 올라온 MAC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IP계열 IP수집부(21)는 라우터(7)에 올라와 있는 가입자 단말의 MAC정보와 매칭되는 IP 정보를 수집하고 MAC정보 및 IP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입자정보추출부(24)의 라우터(7)의 정보를 추출하여 텔넷접속하고 해당 라우터(7)의 ARP테이블에서 MAC/IP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예컨대,라우터모델/라우터IP/ID/Passwd/고정IP대역이"V5604/61.123.44.56/test/test123/61.123.44.2~50"및 "V5604/61.123.45.23/test/test123/61.123.45.2~20"인 라우터(7)에 텔넷 접속하여 아래의 표 2와 같이 라우터(7)의 ARP테이블에서 MAC/IP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MAC 가입자단말에서 올라온 IP
00:c0:26:7c:50:b1 61.123.44.5
03:c0:21:7c:51:b2 61.123.45.20
02:c0:20:7c:52:c1 61.123.12.22
04:c0:23:7c:53:d2 61.123.12.33
ATM계열 IP수집부(22)는 DSLAM(6)의 포트와 그 포트에 설정된 VPI(Virtual Path Identifier)/VCI(Virtual Channel Identifier)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포트/VPI, VCI의 데이터베이스화와 관련하여, ATM계열 IP수집부(22)는 가입자정보추출부(24)의 DSLAM(6)의 정보를 추출하고 텔넷접속하고 해당 DSLAM(6)에서 VPI/VCI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해당 DSLAM(6)에서 변환된 NAS의 VPI, VCI를 각각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예컨대,DSLAM명/제조사/DSLAM의IP/ID/Password가"GJ01/삼성/50.123.44.33/test/test123" 및 "GJ02/삼성/60.123.23.11/test/test123"인 경우 해당 DSLAM(6)에서 VPI/VCI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한 예 및 해당 DSLAM(6)에서 변환된 VPI/VCI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예를 각각 이하의 표 3 및 4에 나타내었다.
DSLAM포트 VPI VCI
GJ01-003001-01-01-01 321 234
GJ01-003001-01-01-02 321 235
GJ02-003001-01-01-01 121 134
DSLAM포트 VPI,VCI 변환된 NAS VPI,VCI
GJ01-003001-01-01-01 321,234 234,123
GJ01-003001-01-01-02 321,235 345,123
GJ02-003001-01-01-01 121,134 343,234
또한 ATM계열 IP수집부(22)는 NAS(5)의 VPI, VCI에 설정된 고정IP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예컨대 ATM계열 IP수집부(22)는 아래의 표 5와 같이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DSLAM포트 NAS명 NAS IP NAS 포트 VPI VCI 고정IP
GJ01-003001-01-01-01 RedBack 50.123.44.50 01, 01 234 123 61.23.33.44
GJ01-003001-01-01-02 RedBack 50.123.44.50 01, 01 345 123 61.23.23.23
GJ02-003001-01-01-01 RedBack 50.123.44.50 01, 01 345 112 61.23.33.43
IP추출부(23)는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고 추출된 IP가 가입자정보추출부(24)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정 IP대역인지 검색하며 추출된 고정IP로 텔넷접속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IP인지 확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IP계열의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IP계열 IP수집부(21)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한다.
예컨대, 집선 장치(8)에서 수집된 포트/MAC 정보와 라우터에서 수집된 MAC/IP정보가 각각 "A1004003-001/00:c0:26:7c:50:b1" 및 "00:c0:26:7c:50:b1/61.123.44.5"이면 각각의 포트당 IP는 "A1004003-001/61.123.44.5"가 되고, "A1004003-001/03:c0:21:7c:51:b2" 및 "03:c0:21:7c:51:b2/61.123.44.20"이면 "A1004003-001/61.123.45.20"가 된다.
다음으로, 추출된 IP가 가입자정보추출부(24)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정IP대역인지 검색한다. 예컨대, 상기 예에서, "A1004003-001/61.123.44.5"는 고정IP대역 "61.123.44.2~50"에 속하고 따라서 "A1004003-001/61.123.44.5"를 고정IP로추출한다. 그리고 "A1004003-001/61.123.45.20"는 고정IP대역 "61.123.44.2~50"에 속하지 않고 따라서 "A1004003-001/61.123.45.20"는 고정IP가 아니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IP추출부(23)는 추출된 고정IP로 텔넷으로 접속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IP인지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예에서 "A1004003-001/61.123.44.5"에 접속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모델명을 추출하면 액세스 포인트의 IP데이타는 "A1004003-001/61.123.44.5/AP3100"가 얻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ATM계열의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 ATM계열 IP수집부(22)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고 추출된 IP로 텔넷 접속한다.
예컨대, NAS(5)의 VPI/VCI에 매칭 된 IP로 텔넷 접속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IP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가 "RedBack/50.123.44.50/01,01/234/123/61.23.33.44"일 경우 IP "61.23.33.44"에 접속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IP인지 확인하고 액세스 포인트의 IP이면 모델명을 추출한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모델명은 "RedBack/50.123.44.50/01,01/234/123/61.23.33.44/AP310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P3100"일 수 있다.
가입자 매칭부(25)는 IP추출부(23)에서 추출된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가입자정보추출부(24)의 포트/인터넷접속번호와 매칭하여 최종적으로 가입자의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매칭한다.
예컨대, IP계열의 경우, 만일 가입자정보추출부(24)로부터의 데이터가 "홍길동/1004-2002/A1004003/0001"이고 IP추출부(23)에서 추출된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가 "A1004003-001/61.123.44.5/AP3100"인 경우, 최종 데이터는 "홍길동/1004-2002/A1004003/0001/61.123.44.5/AP3100"가 되고 따라서 가입자가 "홍길동"인 경우 인터넷접속번호는 "1004-2002"이고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IP는 "61.123.44.5"이며 액세스 포인트의 모델명은 "AP3100"임을 알 수 있다.
ATM계열의 경우, 만일 가입자정보추출부(24)로부터의 데이터가 "김철수/224-1234/GJ01-003-01-02-03"이면 ATM계열 IP추출부(22)의 데이터는 "GJ01-003001-01-01-01/RedBack/50.123.44.50/01,01/234/123/61.23.33.44"이고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가 "RedBack/50.123.44.50/01,01/234/123/61.23.33.44/AP3100"인 경우, 최종 데이터는 "김철수/224-1234/GJ01-003001-01-02-03/61.23.33.44/AP3100"가 되고 따라서 가입자가 "김철수"인 경우 인터넷접속번호는 "224-1234"이고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IP는 "61.23.33.44"이고 모델명은 "AP3100"임을 알 수 있다.
현행화부(26)는 가입자 매칭부(25)에서 최종적으로 매칭된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IP관리 시스템(1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서로 비교하여 해당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는 IP가 IP관리 시스템(10)에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상호 틀린 경우 이를 오류로 판단하여 상기 최종적으로 매칭된 액세스 포인트의 IP로써 업데이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별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는 일 예를 도 3 및 4를 참조하여 IP계열 및 ATM계열로 각각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계열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IP주소를 검색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계열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IP주소를 검색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IP계열에서 가입자별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는 예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우선, 가입자정보추출부(24)가 IP관리 시스템(10)으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집선 장치(8)에서의 포트번호를 검색한다(S001). 예컨대, 여기서는 "가입자명/인터넷접속번호/집선장치명/포트"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이영희/1004-2345/A004001/0023"의 정보로부터 포트번호 "0023"를 검색한다.
다음으로, 가입자정보추출부(24)는 집선 장치(8)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S003) 그 상위장비인 라우터(7)의 정보를 검색한다(S005). 예컨대, 집선 장치(8)의 경우 "장치명/제조사/장치IP/장치ID/장치Passwd"로서 "A004001/다산/61.123.44.55/test/test123", 그리고 라우터(7)의 경우 "장치명/장치IP/장치ID/장치Passwd/고정IP대역"로서 "V5604/61.123.44.56/test/test123/61.123.44.2~15"가 얻어질 수 있다.
이후 IP계열 IP수집부(21)가 집선 장치(8)에 텔넷으로 접속하여 해당 포트에 올라와있는 MAC정보를 수집하고 추출한다(S007). 예컨대, "장치명-포트번호/MAC"으로서 "A004001-023/ 00:03:26:7c:50:b1", "A004001-023/ 00:c0:24:7b:50:c2", 및 "A004001-023/ 00:c0:23:7c:50:c1"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IP계열 IP수집부(21)가 라우터(7)에 접속하여 ARP테이블 정보를 검색하여 포트에 올라온 MAC에 매칭된 IP를 추출한다(S009). 예컨대, 서로 매칭되는 "MAC/IP"는 "00:03:26:7c:50:b1/61.123.44.20", "00:c0:24:7b:50:c2/61.123.44.3", 및 "00:c0:23:7c:50:c1/61.123.44.21"일 수 있다.
그리고 IP추출부(23)는 MAC에 매칭되는 IP중 고정 IP대역의 IP를 추출하고 (S009)(예컨대, 상기 예에서는 "00:c0:24:7b:50:c2/61.123.44.3") 상기 추출된 고정 IP에 텔넷으로 접속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모델을 추출한다(S011). 예컨대 "고정IP/액세스 포인트 모델"은 "61.123.44.3/AP3100"일 수 있다.
이후, 가입자 매칭부(25)는 해당 가입자의 접속번호/포트/고정IP를 매칭한다(S013). 예컨대, "가입자명/접속번호/액세스포인트IP/액세스포인트의 모델"은 "이영희/1004-2345/61.123.44.3/AP3100"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액세스포인트의 IP와 IP관리 시스템(10)의 액세스포인트의 IP를 비교하여 수정, 즉 현행화 한다(S015).
다음에, ATM계열에서 가입자별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는 예를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우선, 가입자정보추출부(24)가 IP관리 시스템(10)으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DSLAM(6)에서의 포트번호를 검색한다(S002). 예컨대, 여기서는 "가입자명/인터넷접속번호/DSLAM정보"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무대리/234-4567/GJ01-003001-01-02-03"의 정보로부터 포트번호 "03"을 검색한다.
다음으로, 가입자정보추출부(24)는 DSLAM(6)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S004) 그 상위장비인 NAS(5)의 정보를 검색한다(S006). 예컨대, DSLAM(6)의 경우 "장치명/제조사/장치IP/장치ID/장치Password"로서"GJ01/삼성/50.123.44.33/test/test123", 그리고 NAS(5)의 경우 "DSLAM명/NAS모델/NAS_IP/NAS_Port/ID/Password"로서 "GJ01/RedBack/50.123.44.50/01,01/test/test123"가 얻어질 수 있다.
이후 ATM계열 IP수집부(22)가 DSLAM(6)에 텔넷으로 접속하여 해당 포트에 대한 VPI/VCI정보를 수집하고 추출후 변환된 NAS(5)의 VPI/VCI값을 추출한다(S008). 예컨대, "DSLAM포트/DSLAM의VPI,VCI/NAS의VPI,VCI"으로서 "GJ01-003001-01-01-01/321,234/234,123"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ATM계열 IP수집부(22)가 NAS(5)에 접속하여 VPI/VCI에 세팅된 고정 IP를 추출한다(S010). 예컨대, "NAS의 VPI, VCI/고정IP"는 "234,123/50.123.44.20"일 수 있다.
그리고 IP추출부(23)는 추출된 고정 IP에 텔넷으로 접속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모델을 추출한다(S012). 예컨대 "고정IP/액세스 포인트 모델"은 "50.123.44.20/AP3100"일 수 있다.
이후, 가입자 매칭부(25)는 해당 가입자의 접속번호/포트/고정IP를 매칭한다(S014). 예컨대, "가입자명/접속번호/액세스포인트IP/액세스포인트의 모델"은 "무대리/234-4567/50.123.44.20/AP3100"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액세스포인트의 IP와 IP관리 시스템(10)의 액세스포인트의 IP를 비교하여 수정, 즉 현행화 한다(S016).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검색 장치가 무선랜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주소 검색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계열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IP주소를 검색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계열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IP주소를 검색하는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Claims (4)

  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IP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가입자 단말의 IP를 원격으로 검사할 수 있는 IP주소 검색 장치로서,
    상기 IP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고, 인터넷접속번호를 포함하는 무선랜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집선 장치와 라우터의 장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가입자정보추출부;
    상기 집선 장치의 포트 번호 및 상기 집선 장치에 올라와 있는 가입자 단말의 MAC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포트 및 상기 MAC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라우터에 올라온 MAC정보와 IP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1 IP수집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는 IP추출부;
    상기 IP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상기 가입자정보추출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트 번호/인터넷접속번호와 매칭하는 가입자 매칭부; 및
    상기 가입자 매칭부에서 매칭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상기 IP관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상호 비교하고 상이한 경우 상기 가입자 매칭부에서 매칭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로써 업데이트하는 현행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주소 검색 장치.
  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IP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가입자 단말의 IP를 원격으로 검사할 수 있는 IP주소 검색 장치로서,
    상기 IP관리 시스템에서 관리하고 있고, 인터넷접속번호를 포함하는 무선랜 서비스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및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DSLAM과 NAS의 장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가입자정보추출부;
    상기 DSLAM의 포트 번호 및 상기 포트 번호에 설정된 VPI/VCI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NAS의 VPI/VCI에 설정된 IP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제 2 IP수집부;
    상기 데이터베이스화한 정보를 상호 매칭시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추출하는 IP추출부;
    상기 IP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상기 가입자정보추출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포트 번호/인터넷접속번호와 매칭하는 가입자 매칭부; 및
    상기 가입자 매칭부에서 매칭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와 상기 IP관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상호 비교하고 상이한 경우 상기 가입자 매칭부에서 매칭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로써 업데이트하는 현행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주소 검색 장치.
  3.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IP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가입자 단말의 IP를 원격으로 검사할 수 있는 IP주소 검색 방법으로서,
    가입자 정보 추출부가 상기 IP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집선 장치에서의 포트 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보 추출부가 상기 집선 장치 및 라우터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IP 계열 IP 수집부가 상기 집선 장치에 텔넷으로 접속하여 상기 포트 번호에 해당하는 포트에 올라와 있는 MAC정보를 수집 및 추출하는 단계;
    상기 IP 계열 IP 수집부가 상기 라우터에 접속하여 ARP테이블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포트에 올라온 상기 MAC정보에 매칭된 IP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가입자 매칭부가 상기 포트 번호/상기 MAC정보와 상기 MAC정보/상기 IP정보로부터 상기 포트 번호/상기 IP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현행화부가 상기 매칭된 상기 포트 번호/상기 IP정보로부터 상기 IP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비교하여 현행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주소 검색 방법.
  4.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가능한 무선랜 서비스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IP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가입자 단말의 IP를 원격으로 검사할 수 있는 IP주소 검색 방법으로서,
    가입자 정보 추출부가 상기 IP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DSLAM에서의 포트 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보 추출부가 상기 DSLAM 및 NAS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ATM 계열 IP 수집부가 상기 DSLAM에 텔넷으로 접속하여 상기 포트 번호에 해당하는 포트에 대한 VPI-VCI정보를 수집 및 추출하고 변환된 NAS의 VPI-VCI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ATM 계열 IP 수집부가 상기 NAS에 접속하여 VPI-VCI정보에 세팅된 IP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가입자 매칭부가 상기 포트 번호/상기 VPI-VCI정보와 상기 VPI-VCI정보/상기 IP정보로부터 상기 포트 번호/상기 IP정보를 매칭하는 단계; 및
    현행화부가 매칭된 상기 포트 번호/상기 IP정보로부터 상기 IP관리 시스템에 저장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IP를 비교하여 현행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주소 검색 방법.
KR1020090004057A 2009-01-19 2009-01-19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100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057A KR101004017B1 (ko) 2009-01-19 2009-01-19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057A KR101004017B1 (ko) 2009-01-19 2009-01-19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49A KR20100084749A (ko) 2010-07-28
KR101004017B1 true KR101004017B1 (ko) 2010-12-31

Family

ID=4264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057A KR101004017B1 (ko) 2009-01-19 2009-01-19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538B1 (ko) * 2010-08-30 2012-09-06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Ip 주소에 대한 지역 정보 결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49A (ko)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869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layer 2 packet and access device thereof
RU2342798C2 (ru) Система, способ и функция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адресом доступа к среде передачи сети ethernet
EP2518940B1 (en) Automatic network topology detection and modeling
US7986649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irtual network configuration and partition handover
CN102355741B (zh) 远程控制系统、方法和局端接入设备
US200900409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network performance
US9071666B2 (en) Edge router and method for dynamic learning of an end device MAC address
EP2680495A1 (en) Method, system, and access device for user service access
CN101312410A (zh) 一种控制同一用户侧接口多项服务接入的控制装置及方法
KR101004017B1 (ko) Ip주소 검색 장치 및 방법
US8428060B2 (en) Determining the group address for an Ethernet-based multicast communication
US756485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layer 2 packet and access device thereof
CN105959150A (zh) 自动发现操作管理adoa系统统一网络管理平台的实现方法
CN104283984B (zh) 一种实现异类地址网络互联的方法
Wang et al. Squeezing the gap: An empirical study on DHCP performance in a large-scale wireless network
JP4917620B2 (ja) バックボーン網におけるトラヒック情報収集方法、トラヒック情報収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937331B2 (ja) フレーム通信網及び認証サーバ
CN101136935B (zh) 异步传输模式适配层类型的自动识别方法
TWI385968B (zh) 具高效率自我探索之物件網管方法
JP5524885B2 (ja) コレクタ装置、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管理方法
KR20070042628A (ko) IP-xDSL 기반의 초고속인터넷 접속망에서 가입자회선의 속도 측정 및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100833726B1 (ko) 플로딩 억제방법
KR100887865B1 (ko) 광 adsl 트래픽 분석을 위한 adsl 가입자 및트래픽 정보 매핑 방법
KR100664833B1 (ko) IP-xDSL 장비 가입자 수용 포트 관리 시스템 및 그방법
Candra Inkubasi Implementasi Ipv6 di Lingkungan PT Telekomunikasi Indonesia Tb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