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621B1 -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621B1
KR101003621B1 KR1020080093501A KR20080093501A KR101003621B1 KR 101003621 B1 KR101003621 B1 KR 101003621B1 KR 1020080093501 A KR1020080093501 A KR 1020080093501A KR 20080093501 A KR20080093501 A KR 20080093501A KR 101003621 B1 KR101003621 B1 KR 10100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ke
period
signal
counter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392A (ko
Inventor
이상호
이재형
이광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6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오토메이션, 공장 자동화 등을 위한 제품의 무선 송수신기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웨이크업 시스템에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를 적용하여, 초기 설정된 기간 동안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이 결과를 토대로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신호가 주로 수신되는 시간대에는 웨이크업 신호를 자주 발생시키고, 반대의 경우에는 웨이크업 신호 주기를 늘려 저전력으로 웨이크업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준 클락을 제공하는 주파수 발진부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은: 상기 웨이크업 시스템의 온/오프 시간을 알려주는 WOR 카운터부; 상기 웨이크업 시스템의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 RF 송수신부와 모뎀부를 포함하고, 데이타를 변조/복조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수신된 데이타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MAC 처리부;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주기, RSSI 임계값, WOR 카운터부

Description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WAKE-UP SYSTEM FOR WIRELESS TRANS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KE-UP PERI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홈오토메이션, 공장 자동화 등을 위한 제품의 무선 송수신기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웨이크업 시스템에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를 적용하여, 초기 설정된 기간 동안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이 결과를 토대로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신호가 주로 수신되는 시간대에는 웨이크업 신호를 자주 발생시키고, 반대의 경우에는 웨이크업 신호 주기를 늘려 저전력으로 웨이크업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의 효용성이 증가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유선과 무선을 통합한 형태의 연결망이 구축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속, 저가, 저전력의 무선통신 분야의 기술 규격에 대한 요구사항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저전력을 구현하는 방법중의 하나는, 수면모드에서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서 웨이크업 되는 절전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서 웨이크업 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동작하여 웨이크업 신호가 수신되는지의 여부와, 수신된 웨이크업 신호가 자신의 웨이크업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웨이크업에 필요한 확인 동작을 위해서, 많은 능동소자 및 회로가 동작하여야 하므로 많은 전력소비가 수반되는데, 이러한 전력소비를 줄일 필요가 있다. 또한, 수신대기시의 전력소비를 최소화해야 한다.
이러한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중의 하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은 레지스터와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주파수 발진부(RC-OSC:10); 시스템의 ON/OFF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카운터 회로인 WOR 카우터부(20); RF송수신부(31)와 모뎀부(32)를 포함하고 데이터 변조/복조를 담당하는 신호 송수신부(30); 및 수신된 패킷을 분석하고 처리하는 MAC 처리부(40)를 포함한다.
도 2는 이러한 종래의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웨이크업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무선 송수신기가 수면 모드에 있는 경우(s10), 주파수 발진부(10)와 WOR 카운터부(20)만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다. 주파수 발진부(10)가 동작하여 WOR 카운터부(20)에 기준 클락을 제공한다(s11). WOR 카운터부(20)는 정해진 웨이크업 주기 마다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한다(s12). 웨이크업 신호로 RF 송수신부(31)에 전원이 인가되면(s13), 신호 발생여부를 RSSI 값을 이용하여 판단하고, RSSI 값이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는 다시 수면 모드로 돌아가고, RSSI 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MAC 처리부(40)에 전원을 인가한다(s15). MAC 처리부(40)는 CRC를 보고 자신의 데이타 여부를 판단한 후(s16) 데이타를 수신한다(s17).
이와 같은 종래의 웨이크업 시스템은 주기적인 시간을 설정하여 RF 송수신부(31)만 깨워서 RSSI 값, 즉 수신된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데이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자신의 데이타 여부를 판단하는 시간을 줄여 전체적으로 전력소모를 줄이는 특징이 있었다.
하지만, RSSI 값만으로 자신의 데이타 여부를 판단하면, 간섭이나 WLAN 주변의 여타 무선 송수신기들의 신호로 인한 높은 RSSI 값이 있는 경우, 시스템 전체가 깨어나서 MAC 처리부(40)가 CRC 여부를 검토할 때까지 전력을 낭비하는 결과를 낳는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원격 제어 기기들은 항상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순간에만 통신을 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시간 동안은 통신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리모트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생활 습관에 따라 하루 기준으로 비슷한 시간대에 사용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시간대와 사용 빈도가 낮은 시간대가 시간/일/월의 주기에 거쳐 비슷한 패턴으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웨이크업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활 습관이 아닌 사용 기기에 따라 정해진 웨이크업 주기동안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은 시간대에 주기적으로 웨이크업이 진행되어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홈오토메이션, 공장 자동화 등을 위한 제품의 무선 송수신기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웨이크업 시스템에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를 적용하여, 초기 설정된 기간 동안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이 결과를 토대로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신호가 주로 수신되는 시간대에는 웨이크업 신호를 자주 발생시키고, 반대의 경우에는 웨이크업 신호 주기를 늘려 저전력으로 웨이크업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기준 클락을 제공하는 주파수 발진부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시스템의 온/오프 시간을 알려주는 WOR 카운터부; 상기 웨이크업 시스템의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 RF 송수신부와 모뎀부를 포함하고, 데이타를 변조/복조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수신된 데이타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MAC 처리부;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는 H-카운터(Hour Counter), D-카운터(Day Counter), 상기 수신된 신호의 수신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웨 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주기 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초기 설정된 웨이크업 주기 동안, 상기 주기 조정기가 상기 메모리가 모니터링한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정된 웨이크업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WOR 카운터부가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시스템 클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면 모드에서는 상기 주파수 발진기, 상기 WOR 카운터부; 및 상기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a)주파수 발진부가 WOR 카운터부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에 기준 클락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WOR 카운터부가 주기적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c)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하여 신호 송수신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d) 상기 신호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수신된 신호가 있는 경우 MAC 처리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f) 상기 수신된 신호가 올바른 데이타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상기 d) 단계 동안 상기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가 상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A); 및 상기 WOR 카운터부가 상기 조정된 웨이크업 주기에 기초하여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B)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는 상기 (A)단계에서: H-카운터와 D-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초기 설정된 웨이크업 주기 동안, 상기 H-카운터와 상기 D-카운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주기 조정기가 상기 메모리가 모니터링한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과 RSSI 임계값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또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신호 송수신부 내의 시스템 클락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주파수 발진기의 주파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MAC 처리부에서 CRC를 체크하여 올바른 데이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홈오토메이션, 공장 자동화 등을 위한 제품의 무선 송수신기에 적용되는 웨이크업 시스템은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를 적용하여, 초기 설정된 기간 동안 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이 결과를 토대로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신호가 주로 수신되는 시간대에는 웨이크업 신호를 자주 발생시키고, 반대의 경우에는 웨이크업 신호 주기를 늘려 저전력으로 웨이크업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아래의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우선, 하기에 기재된 영문 약어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WOR (Wake-On-Radio)
RF (Radio Frequency)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MAC (Medium Access Control)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우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은 주파수 발진부(100), WOR 카운터부(200),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300), RF 송수신부(410) 및 모뎀부(420)를 포함하는 신호 송수신부(400), 및 MAC 처리부(500)을 포함한다.
주파수 발진부(100)는 RC-OSC로 구현될 수 있으며, WOR 카운터부(200)와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300)에 기준 클락을 제공한다. 기준 클락은 통상적으로 느린 클락을 이용하여, 수면 모드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한편, 수면 모드인 경 우에도 주파수 발진부(100), WOR 카운터부(200),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300)는 켜져 있다.
WOR 카운터부(200)는 웨이크업 시스템의 온/오프 시간을 알려 주는 웨이크업 신호를 주는 카운터 회로의 일종이다. 초기에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기간(예를 들어, 일/월 단위)동안 고정된 주기로 수신 동작을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300)에서 조정된 새로운 웨이크업 주기를 전송받고 이에 따라 가변하는 웨이크업 주기를 발생한다.
웨이트업 주기 조정부(300)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는 H-카운터(Hour Counter), D-카운터(Day Counter), 수신된 신호의 수신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주기 조정기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300)는 사용자가 초기에 지정한 기간동안 H-카운터와 D-카운터를 증가시킨다.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초기에 사용자가 얼마 동안 자신의 사용패턴을 모니터링 할지 정하는 것이다.
초기 설정된 웨이크업 주기에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그 값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주기 조정기가 상기 모니터링 결과를 반영하여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신호가 빈번하게 수신되는 구간에서는 웨이크업 주기를 짧게 조정하고, 반대로 신호가 거의 수신되지 않는 구간에서는 웨이크업 주기를 길게 조정한다.
상기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300)의 동작 설명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주파수 발진기(100)에서 제공받은 기준 클락으로 H-카운터(H_CNT)를 0부터 23까지 증가시키고, H-카운터가 다시 0이 되면 D-카운터(D_CNT)를 0에서부터 1씩 증가시킨다. 사용자 지정일까지 D-카운터 값을 증가시킨다.
이 때, 메모리는 신호(RX)가 어느 시간에 몇 번 수신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그 값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D0, H1) 시간에 신호가 한 번 수신되고, (D1, H1) 시간에 신호가 두 번 수신되었다. (D2)에는 수신된 신호가 없고, (D3, H0)에 신호가 한번, (D3, H1) 시간에 신호가 네 번 수신되었다.
이렇게 메모리에 시간에 따른 수신이 일어나는 빈도를 저장하고 사용자 지정일이 지나면, 주기 조정기는 고정된 웨이크업 주기를 저장된 신호 발생 빈도를 고려하고 발생 빈도에 높은 시간대에서는 웨이크업 주기를 짧게 조정하고, 발생 빈도가 낮은 시간대에서는 웨이크업 주기를 길게 조정한다. 이렇게 조정된 웨이크업 주기값을 t0 내지 t23에 나타내어 조정된 웨이크업 주기값을 WOR 카운터부(200)에 전달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WOR 카운터부(200)는 초기의 웨이크업 주기에 따라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였으나, 전달받은 조정된 웨이크업 주기를 기초로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한다.
웨이크업 신호로 인하여, 신호 송수신부(400)에 전원이 인가된다. 신호 송수신부(400)는 데이터의 변조/복조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RF 송수신부(410), 모뎀부(420) 및 RF 수신용 시스템 클락(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RF 송수신부(410)는 고주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고, 모뎀부(420)는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정보에서 데이터를 얻는 회로이며, 시스템 클락은 RF 수신을 위하여 빠른 클락을 이용한다.
신호 송수신부(4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시스템 클락이 주파수 발진부(100)의 주파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파수 발진부(100) 내의 기준 클락을 시스템 클락의 값으로 보정한다. 통상적으로 수면 모드에서 사용되는 기준 클락은 전력 소모가 적은 느린 클락이므로, 무선 통신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신호가 수신된 경우 RF 수신용으로 빠른 클락인 신호 송수신부(400) 내의 시스템 클락값으로 보정한다.
RF 송수신부(410)는 RSSI 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자신의 데이타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동기신호를 검출하여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신호가 있는 경우, MAC 처리부(500)에 전원을 인가한다. MAC 처리부(500)는 수신된 데이타의 CRC 패킷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타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같은 웨이크업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종래 기술과는 달리 신호의 수신 빈도에 따라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웨이크업 주기 조정기(300)로 인하여, 수신이 일어나지 않는 시간대에서 웨이크업을 자주 발생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RSSI 값만으로 신호의 수신 여부를 결정하여 MAC 처리부(5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신의 데이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간섭 신호나 주변 다른 무선송수신기의 신호임에도 불구하고, RSSI 값이 임계값보다 크기만 하면, 즉 신호 세기가 세기만 하면 자신의 데이타인지 불문하고 수시로 MAC 처리부(500)까지 전원이 인가되어 전력소모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단점이 있 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웨이크업 주기 조정기(300)로 인하여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기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상술한 웨이크업 시스템과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울러 동일한 도면 부호를 기재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수면 모드에서 주파수 발진기(100)가 WOR 카운터부(200)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300)에 기준 클락을 제공한다. WOR 카운터부(100)는 사전 설정된 주기적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하여 신호 송수신부(40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 때, 수신된 신호인지 여부는 RSSI 값을 임계값과 비교하여 판단하거나, 검출된 싱크(sync)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동시에 신호 송수신부 내의 시스템 클락에 전원이 인가되고, 주파수 발진기(100)의 주파수를 보정한다. 주파수 발진기(100)의 기준 클락은 수면 모드에서 작동하는 저전력의 느린 클락이므로, 데이타 수신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빠른 클락인 시스템 클락의 값만큼 기준 클락을 보정해야 한다.
신호 송수신부(400)는 수신된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여, 수신된 신호가 있는 경우 MAC 처리부(5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수신된 신호가 없는 경우 다시 수면 모드에 들어간다.
이후, MAC 처리부(500)는 수신된 신호가 올바른 데이타인지 판단한다. 이 경우, MAC 처리부(500)는 CRC 패킷을 검출하여 올바른 데이타 여부를 판단한다. 자신의 데이타인 경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후에는 다시 수면 모드로 들어간다.
한편,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300)는 H-카운터, D-카운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가 모니터링한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주기 조정기를 포함한다.
주파수 발진기(100)가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300)에 기준 클락을 제공한 후,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300)는 사용자 지정일까지(도 4 참조) H-카운터와 D-카운터의 카운터 값을 증가시킨다. 사용자에 의해 초기 설정된 웨이크업 주기 동안, 상기 H-카운터와 상기 D-카운터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주기 조정기가 상기 메모리가 모니터링한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한다.
이렇게 조정된 웨이크업 주기를 WOR 카운터부(200)에 전달하여, WOR 카운터부는 일/월 단위로 가변하는 웨이크업 주기를 바탕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사용기기가 텔레비젼이고, 사용자가 주로 평일 저녁 시간대와 일요일 낮 시간대에 리코트 콘트롤러를 사용하고, 초기에 웨이크업 주기를 모니터링 하는 사용자 지정일을 15일로 설정되었다면, 15일 후, 웨이크업 주기 조정기(300)의 메 모리에는 평일 저녁시간과 일요일 점심 시간에 해당하는 H-카운터값과 D-카운터값과 함께, 수신된 신호에 횟수가 저장되고, 15일 후 주기 조정기에 의하여 평일 저녁시간대와 일요일 낮 시간대에는 웨이크업 주기를 짧게 조정하고, 그 외의 시간대에는 웨이크업 주기를 길게 조정한다. 이 조정된 값을 다시 WOR 카운터부(200)에 전달한다.
따라서, 초기에 사용자가 모니터링하여 적용된 일/월 단위로 가변하는 웨이크업 주기로 인하여 사용빈도가 낮은 시간대에서 수면 모드를 유지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데이타 신호가 아닌 높은 RSSI값을 갖는 신호(예를 들어, 간섭 신호, 근접한 다른 WLAN 기기들의 신호 등)로 인하여 시스템에 전력을 인가하게 되는 일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배터리를 이용하는 무선 송수신기의 사용 기간이 연장되고, 또한 간섭신호로 깨어나는 횟수를 줄임으로써 간섭으로 인한 신호 수신 불능 상태를 최소화하여 수신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동작 흐름도와 유사하나,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동작만을 중점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따라서, 동작 설명은 도 5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 6에 기재된 T1 내지 T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동작에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동작에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t_1 내지 t_4와 대응되는 개념이다.
우선, T1은 S210 단계와 S410 단계에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며, 이는 주파수 발진부(100)에 해당하는 RC-OSC가 안정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t_1과 마찬가 지로 이는 웨이크업 시스템에서 어떤 RC-OSC를 사용하느냐에 의해 초기에 결정되는 값이므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처리 시간을 줄인다는 관점에서 T1 이나, t_1을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T2는 S410 단계와 S420 단계에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며, 이는 신호 송수신기(400)가 신호를 복조하여 동기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t_2에 해당하며, 이를 줄이기 위하여 RSSI값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간단한 판단과정을 거친다.
T3 및 t_3은 웨이크업 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면모드에서 다음의 수면모드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종래기술의 t_3은 응용 제품의 특징에 따라서 초기 정해진 값을 계속 사용한다. 즉, 응용 제품별로 웨이크업 주기를 설정할 수는 있어 응용 제품의 특징을 어느 정도 반영할 수 있지만, 이는 초기 설정값으로 고정된 웨이크업 주기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사용패턴을 반영할 수는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은 웨이크업 주기 조정기(300)로 인하여, 사용자의 사용패턴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복수의 T3을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시간/일/월 단위의 주기에 따라 상이한 T3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T4 및 t_4는 신호를 처리하는데 수요되는 시간으로, 신호 처리가 종료되면 다시 수면모드로 돌아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시간에 따른 전력소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주파수 발진부(100)가 안정화되는데 소요되는 최소시간인 T1 이후, 신 호 송수신기(400)가 동기신호 수신 여부나 RSSI값을 임계값과 비교하는데 T2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 때, 일정한 전력이 소모된다. 자신의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시스템은 수면 모드에 들어간다.
이 후,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되면, T1 시간동안 시스템을 안정화다고 T2 시간동안 자신의 신호여부를 판단한다. 처음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전력이 소모된다. 자신의 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 T4 시간 동안 신호를 처리하고 이후 수면 모들에 들어간다.
도 7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이라면 t_3 주기마다 웨이크업 신호가 발생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은 사용자 지정일까지는 t_3 주기 마다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은 사용자 지정일 이후에는 웨이크업 주기 조정기(300)에서 조정된 주기값으로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 도 7에서처럼 처음의 t_3 동안에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두번째 t_3 동안에 신호가 수신되었으므로, T3 시간동안 신호가 1번 수신된 것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웨이크업 주기 조정기(300)에 의해서 t_3에서 T3으로 웨이크업 주기를 길게 조정한다. 따라서, t_3 마다 깨어나서 신호를 체크하는 대신 T3 주기마다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의 동작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업 시스템의 시간에 따른 전력소비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주파수 발진부 200. WOR 카운터부
300.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 400. 신호 송수신부
410. RF 송수신부 420. 모뎀부
500. MAC 처리부

Claims (11)

  1. 기준 클락을 제공하는 주파수 발진부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시스템은:
    상기 웨이크업 시스템의 온/오프 시간을 알려주는 WOR 카운터부;
    상기 웨이크업 시스템의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
    RF 송수신부와 모뎀부를 포함하고, 데이타를 변조/복조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수신된 데이타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MAC 처리부;
    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는 H-카운터(Hour Counter), D-카운터(Day Counter), 상기 수신된 신호의 수신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및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주기 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초기 설정된 웨이크업 주기 동안, 상기 주기 조정기가 상기 메모리가 모니터링한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웨이크업 주기를 조정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웨이크업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WOR 카운터부가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시스템 클락을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면 모드에서는 상기 주파수 발진기, 상기 WOR 카운터부; 및 상기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7. a) 주파수 발진부가 WOR 카운터부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에 기준 클락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WOR 카운터부가 주기적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c)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하여 신호 송수신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d) 상기 신호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수신된 신호가 있는 경우 MAC 처리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및
    f) 상기 수신된 신호가 올바른 데이타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 동안 상기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가 상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주기값을 조정하는 단계(A); 및
    상기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가 상기 조정된 웨이크업 신호의 주기값을 상기 WOR 카운터부에 전달하는 단계(B)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주기 조정부는 상기 (A)단계에서:
    H-카운터와 D-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초기 설정된 웨이크업 주기 동안, 상기 H-카운터와 상기 D-카운터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링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주기 조정기가 상기 메모리가 모니터링한 시간을 반영하여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주기값을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신호 송수신부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값과 RSSI 임계값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와 동시에 상기 신호 송수신부 내의 시스템 클락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주파수 발진기의 주파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MAC 처리부에서 CRC를 체크하여 올바른 데이타 여부를 판단하는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의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KR1020080093501A 2008-09-24 2008-09-24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KR10100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501A KR101003621B1 (ko) 2008-09-24 2008-09-24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501A KR101003621B1 (ko) 2008-09-24 2008-09-24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392A KR20100034392A (ko) 2010-04-01
KR101003621B1 true KR101003621B1 (ko) 2010-12-23

Family

ID=4221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501A KR101003621B1 (ko) 2008-09-24 2008-09-24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1231B (zh) * 2010-05-28 2012-04-04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无线自动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620316B1 (ko) * 2017-01-16 2024-01-03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웨이크-업 라디오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007B1 (ko) 2005-04-29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셀 신호 전력 측정 주기 조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007B1 (ko) 2005-04-29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셀 신호 전력 측정 주기 조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392A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3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personal area networks
JP4503616B2 (ja) 低価格で低精度のクロックを使用した精密なスリープタイマ
EP17273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 handheld communication system
TW527840B (en) Synchronization of a low power oscillator with a reference oscillato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slotted paging
US7457271B2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d-hoc mod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US8355352B2 (en) Access point agitation
US6311081B1 (en) Low power operation in a radiotelephone
JP4064150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20090199037A1 (en) Wake-up timer with periodic recalibration
US74967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locks for standby mode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003621B1 (ko) 무선 송수신기용 웨이크업 시스템 및 웨이크업 주기 조정 방법
JP2019115036A (ja) リアルタイムクロックを備えたトランシーバ装置
CN110999417B (zh) 对于802.11无线设备的支持低功率的可编程硬件睡眠周期控制器
US5856786A (en) Adaptive sleep circuit using network timing feedback
US11711764B2 (en) Autonomous wake on radio scheduler that schedules deterministic radio events to reduce involvement of primary processor
US10788883B2 (en) Timer for low-power communications systems
MXPA06007169A (en) Precise sleep timer using a low-cost and low-accuracy c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