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993B1 - Lens - Google Patents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993B1
KR101002993B1 KR1020080075196A KR20080075196A KR101002993B1 KR 101002993 B1 KR101002993 B1 KR 101002993B1 KR 1020080075196 A KR1020080075196 A KR 1020080075196A KR 20080075196 A KR20080075196 A KR 20080075196A KR 101002993 B1 KR101002993 B1 KR 101002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e
refractive power
side direction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2014A (en
Inventor
김용수
박종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Publication of KR2010000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0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9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02B15/142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enses (AREA)

Abstract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체측으로부터 상측면까지 광축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에 있어서,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3 렌즈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1 렌즈군과,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기 상측면 방향에 비구면 형상의 플라스틱 수지가 접합된 제4 렌즈; 상기 제4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5 렌즈; 상기 제5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6 렌즈; 상기 제6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7 렌즈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2 렌즈군을 포함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가 제공된다. Disclosed is a variable magnification pan focus imaging len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ification-variable pan-focus imaging lens that is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optical axis from the object side to the image side, comprising: a first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 second len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mage-side direction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irst lens group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ens in the image-sid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ing a third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 fourth len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n image side direction, and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bonded with an aspheric plastic resin in the image side direction; A fifth lens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len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image-side direction and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 sixth lens positioned in the image-side direction from the fifth lens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 magnification-variable pan-focus imaging lens including a seventh lens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ixth lens in the image-sid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es a seventh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Is provided.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 촬상 렌즈, 굴절능, 온도, 원거리, 근거리, 소형. Variable magnification pan-focus imaging lens, imaging lens, refractive power, temperature, long distance, near field, small size.

Description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Lens}Magnification-variable pan focus imaging lens {Lens}

본 발명은 촬상 렌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ing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magnification pan focus imaging lens.

종래부터 소형 고체촬상소자를 적용한 감시용 카메라에 적용되는 촬상 렌즈에는 촬상소자의 소형화, 고화소수화에 따라 구면렌즈로 구성된 광학계에 일정두께 이상을 가진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를 적용하여 촬상소자의 고성능화에 대응해왔다. 그러나 일정두께 이상의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를 사용할 경우 렌즈의 크기 및 두께가 클수록 온도변화에 따른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의 굴절률의 변화와 형상의 변형 정도가 심해지므로 큰 폭의 광학성능 저하가 발생되기 쉬웠다. 그리고 기존의 감시용 카메라에 적용되는 촬상 렌즈의 경우 F넘버를 작게 하여 광학계 설계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촬상 렌즈를 통해 취득되는 화상의 밝기는 향상시키지만 동시에 피사계심도를 얕게 하여 포커스가 맺힌 물체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물체에 대해서는 만족할만한 해상을 얻을 수 없고, 광학계에 적용되는 렌즈유닛들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므로 광학계 전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ly, in the imaging lens applied to a surveillance camera using a small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 plastic aspherical len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is applied to an optical system composed of a spherical lens according to the miniaturization and the high pixel number of the imaging device, thereby respon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the imaging device. . However, when a plastic aspherical len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is used, a large decrease in optical performance is likely to occur because the change in refractive index and shape of the plastic aspherical lens increases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maging lens applied to a conventional surveillance camera, an optical system design has been made by reducing the F number, which improves the brightness of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imaging lens, but at the same time, makes the depth of field shallow an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ocused object. A satisfactory resolution cannot be obtained for objects that are separated, and since the diameter of the lens units applied to the optical system is increased, the size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s increased.

본 발명은 온도변화에 따르는 핀트 위치의 변동을 최소화하고, 근거리와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해 적정한 해상력을 가지는 동시에 렌즈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variable magnification-type pan-focus imaging lens capable of minimizing fluctuation in focus posi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and having a small resolution of the lens while having an appropriate resolution for near and far object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체측으로부터 상측면까지 광축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에 있어서,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3 렌즈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1 렌즈군과, 상기 제3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 렌즈에서 출사되는 광의 일부 입사광을 차단하는 구경조리개와, 상기 구경조리개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기 상측면 방향에 비구면 형상의 플라스틱 수지가 접합된 제4 렌즈; 상기 제4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5 렌즈; 상기 제5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6 렌즈; 상기 제6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7 렌즈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2 렌즈군을 포함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gnification-variable pan-focus imaging lens that is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optical axis from the object side to the image side, comprising: a first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 second len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mage-side direction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irst lens group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ens in the image-sid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ing a third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nd the image from the third lens An aperture that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blocks a part of incident ligh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ens,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apertur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image side direction, and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 fourth lens in which an aspheric plastic resin is bonded to the image side direction; A fifth lens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len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image-side direction and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 sixth lens positioned in the image-side direction from the fifth lens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 magnification-variable pan-focus imaging lens including a seventh lens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ixth lens in the image-sid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es a seventh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제7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7 렌즈에서 출사되는 적외선 파장을 필터링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infrared blocking filter may be further spaced apart from the seventh lens in the image-side direction and may filter the infrared wavelength emitted from the seventh lens.

또한, 상기 제6 렌즈는 접합수지에 의해 상기 제5 렌즈에 접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는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xth lens may be bonded to the fifth lens by a bonding resin, and the magnification-variable pan focus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al expression.

Fw < 3.0 (1)Fw <3.0 (1)

Ft/Fw > 2.7 (2)Ft / Fw> 2.7 (2)

0.85 < |Ff / Fr| < 1.0 (3)0.85 <| Ff / Fr | <1.0 (3)

2.6 < D6t + D7t < 3.0 (4)2.6 <D6t + D7t <3.0 (4)

FNOw > 1.95 (5)FNOw> 1.95 (5)

0.04 < ASPct < 0.08 (6)0.04 <ASPct <0.08 (6)

여기서, Fw : 와이드 위치(wide position)에서의 상기 촬상 렌즈의 초점거리, Ft : 텔레 위치(tele position)에서의 상기 촬상 렌즈의 초점거리, Ff : 상기 제1 렌즈군의 초점거리, Fr : 상기 제2 렌즈군의 초점거리, BFLw : 와이드 위치에서 상기 촬상 렌즈의 후조점거리, BFLt : 텔레 위치에서의 상기 촬상 렌즈의 후조점거리, D6t : 텔레 위치일 때의 상기 제3 렌즈의 상기 상측면 방향면과 상기 구경조리개 사이의 중심거리, D7t : 텔레 위치일 때의 상기 제4 렌즈의 상기 상측면 방향면과 상기 구경조리개 사이의 중심거리, FNOw : 와이드 위치에서의 F넘버, FNOt : 텔레 위치에서의 F넘버, ASPct : 상기 제4 렌즈에 접합된 플라스틱 수지의 중심두께이다. Here, Fw: focal length of the imaging lens in a wide position, Ft: focal length of the imaging lens in a tele position, Ff: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group, Fr: the Focal length of the second lens group, BFLw: Back light point distance of the imaging lens in wide position, BFLt: Back light point distance of the imaging lens in tele position, D6t: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third lens when in tele position Center distance between the directional surface and the aperture, D7t: center distance between the image side direction surface of the fourth lens and the aperture when in the tele position, FNOw: F number in the wide position, FNOt: tele position F number in Ep, ASPct: center thickness of the plastic resin bonded to the fourth lens.

상기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는 CCD, CMOS 촬상소자에 적용되는 감시카메라용 촬상 렌즈일 수 있고,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상기 상측면으로 오목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The variable magnification-type pan-focus imaging lens may be an imaging lens for a surveillance camera applied to CCD and CMOS imaging devices, and the first lens may have a meniscus shape convex toward the object side and concave toward the image side.

또한,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6 렌즈는 양면이 오목하고, 상기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상기 제7 렌즈는 양면이 볼록하며,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은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surfaces of the second lens and the sixth lens are concave, and the third lens, the fourth lens, the fifth lens, and the seventh lens are both convex, and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are convex. The group may be movable along the optical axis.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는 온도변화에 따르는 핀트 위치의 변동을 최소화하고, 근거리와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에 대해 적정한 해상력을 가지는 동시에 렌즈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variable magnification-type pan-focus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fluctuation of the focus position due to temperature change and having a proper resolution for a subject located near and far, and at the same time miniaturizing the lens siz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 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 or &lt; / RTI &gt;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에 관한 것으로, 2군 7매 구성으로 광학배율이 가변으로 된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의 CCD, CMOS 등의 고체촬상소자를 사용하는 감시용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주위환경의 온도변화에 따른 광학성능의 저하가 매우 작고, 피사계 심도가 깊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 렌즈에 있어서 렌즈의 전장과 직경을 컴팩트하게 하고 촬상 렌즈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한 물체와 원거리에 위치한 물체 사이의 공간에 대해 상의 성능을 보장하며 온도변화에 따른 초점위치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학계에서 발생하는 전반적인 수차 종류와 관계없이 최근의 촬상소자에 적용가능하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magnification-type pan-focus imaging len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ing lens in which the optical magnification is variable in a group of seven element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urveillance camera using a solid-state imaging device such as a small CCD, CMOS, etc., the optical performance is very small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depth of field is deep.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acts the overall length and diameter of the lens in the imaging lens, guarantees the image performance for the space between the object located at a distance and the object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imaging lens, and suppress the fluctuation of the focus posi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can d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recent image pickup device regardless of the kind of overall aberration generated in the optical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줌 위치별로 와이드(wide), 미들(middle), 텔레(tele) 동작시 렌즈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1 렌즈군과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2 렌즈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간의 간격이 가변으로 됨으로 인해 배율도 가변이 가능하게 된다.FIG.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lens in wide, middle, and tele operations according to zoom 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magnification-type pan-focus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first lens group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a second lens group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sequentially from the object sid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ens groups is variable, the magnification is also variable.

본 발명에 따른 렌즈는 물체측면에서 상이 맺히는 상측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1 내지 제3 렌즈(110 내지 130)를 포함하는 제1 렌즈군과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4 내지 제7 렌즈(110 내지 170)를 포함하는 제2 렌즈군,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 사이에 위치하는 구경조리개(180)를 포함한다. 각 렌즈군은 구경조리개(180)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위치내에서 광축을 따라 이동하여 배율의 변화를 행한다.Th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group including first to third lenses 110 to 130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in an image side direction where an image is formed on an object side and a fourth having overall positive refractive power. A second lens group including the seventh lens (110 to 170), the aperture 18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Each lens group is moved along the optical axis in a position not invading the region of the aperture 180 to change the magnif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는 물체측에서 상측면 방향으로 순서대로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면의 형태가 볼록이고 상측면의 형태가 오목한 메니스커스 형태의 제1 렌즈(110),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면과 상측면이 모두 오목한 형태인 제2 렌즈(120),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물체측면과 상측면이 모두 볼록한 형태인 제3 렌즈(130)로 이루어진 제1 렌즈군과, 제1 렌즈군으로부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양의 굴절능을 가지며 물체측면과 상측면 모두 볼록인 형태이고, 상측면에 비구면으로 정의된 플라스틱 수지가 접합된 제4 렌즈(140),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양측이 볼록한 제5 렌즈(150), 제5 렌즈의 상측면에 접합수지를 주입해 접합되면,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양면이 오목한 형태의 제6 렌즈(160), 양의 굴절능을 가지고 양면이 볼록한 형태인 제7 렌즈(170)로 구성된 제2 렌즈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7 렌즈(17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광학계로 입사되는 적외선 파장을 필터링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19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렌즈군의 제3 렌즈(130)의 상측면과 제2 렌즈군의 제4 렌즈(140)의 물체측면 사이의 공간에 광학계 내부에 입사하게 되는 불필요한 광선과 광량을 조절하는 구경조리개(180)가 추가적으로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는 비구면으로 정의된 제4 렌즈(140)의 상측면에 접합된 플라스틱 수지를 제외한 모든 렌즈면은 구면의 형태로 정의되며, 굴절능과 재질의 종류, 렌즈간 간격이 적절히 배치되어 긴 영역의 피사계심도를 가지고 광학계 전장이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배율가변형 촬상 렌즈이다. In addition, the magnification-variable pan-focus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niscus-type first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to the image side direction, and the object side surface being convex and the image side surface concave. 110), the second lens 120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the object side and the image side are both concave, and the third lens 130 having the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both the object side and the image side are convex.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first lens group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mage-side direction, have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both the object side and the image side are convex, and the plastic resin defined as an aspherical surface is bonded to the image side. When the fourth lens 140, the fifth lens 150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both convex sides, and the bonding resin are injected into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fifth lens and bonded to each other, the fourth lens 14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both surfaces are concave. 6 lenses (160), positive It has a refractive power of the two-sided convex shape claim 7 and a second lens group consisting of a lens 170. In addition, an infrared blocking filter 190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eventh lens 17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ilters the infrared wavelength incident on the optical system. In addition, an apertur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unnecessary rays and light incident on the interior of the optical system in the space between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third lens 130 of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ourth lens 140 of the second lens group ( 180 is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variable magnification-type pan-focus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ll lens surfaces except the plastic resin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lens 140 defined as aspherical surfaces are defined in the form of spherical surfaces, refractive power, types of materials, The spacing between the lenses is properly arranged to have a long depth of field, and the optical system can be compactly constructed.

와이드 위치(wide position)에서 충분한 광각영역을 구현하기 위해 제1 렌즈 군은 음의 굴절능을 가지고 제2 렌즈군은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레트로 포커스 형태가 될 수 있다. 전장의 길이와 외경을 콤팩트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2매 이상의 렌즈는 고굴절률을 가지는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계의 콤팩트화와 온도변화에 따른 해상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이상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플라스틱 비구면렌즈에 비해 매우 작은 두께를 가지는 수지접합 비구면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사계심도가 깊은 팬포커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와이드 위치에서의 F넘버에 제약이 가해질 수 있다. In order to realize a sufficient wide-angle area at a wide position, the first lens group may have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the second lens group may have a retro focus type. In order to compact the length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full length, at least two or more lenses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resolution performance due to the compactness of the optical system and the temperature change, a resin-bonded aspherical lens having a very small thickness may be used as compared to a plastic aspherical lens having a certain size and thickness. In addition, the F-number in a wide position may be restricted to implement a deep depth of field focus func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율 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다.The variable magnification-type pan-focus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Fw < 3.0 (1)Fw <3.0 (1)

상기 수학식(1)의 Fw는 와이드 위치에서의 전체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단위는 mm이다. Fw in Equation (1) represents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lens at the wide position. The unit is mm.

2.7 < Ft/Fw < 2.8 (2)2.7 <Ft / Fw <2.8 (2)

상기 수학식(2)의 Fw와 Ft는 각각 와이드 위치, 텔레 위치에서의 전체 렌즈의 초점거리를 뜻하며, 전체 렌즈의 최대, 최소배율간의 비를 나타내는 식이다.Fw and Ft in Equation (2) refer to the focal lengths of the entire lens at the wide position and the tele position, respectively, and represent the ratio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magnifications of the entire lens.

상기 수학식(2)의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 제한된 렌즈전장 내에서 해상성능이 저하되고 왜곡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지며 하한값을 초과할 경우 배율가변의 범위가 줄어들게 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When the upper limit value of Equation (2) is exceeded, the resolution performance is reduced within the limited lens length, the distortion aberration is difficult to correct, and when the lower limit value is exceeded, the range of magnification change is reduced, thereby degrading the value as a product.

0.85 < |Ff / Fr| < 1.0 (3)0.85 <| Ff / Fr | <1.0 (3)

상기 Ff와 Fr은 각각 제1, 제2 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Ff and Fr represent focal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lens groups, respectively.

상기 수학식(3)은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 사이의 굴절능을 서로 균등하게 배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학식(3)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렌즈들의 형상이 가공에 불리하게 되기 쉬우며, 굴절능이 한쪽으로 집중되어 수차에 의한 해상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Equation (3) is for equally distributing the refractive power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If the equation (3) is not satisfied, the shapes of the lenses are easily disadvantageous for processing. In this case, the refraction may be concentrated on one side, resulting in resolution degradation due to aberration.

2.6 < D6t + D7t < 3.0 (4)2.6 <D6t + D7t <3.0 (4)

상기 D6t는 텔레 위치일 때의 제1 렌즈군에 속하는 제3 렌즈(130)의 상측면 방향면과 구경조리개(180) 사이의 중심거리를, D7t는 텔레 위치일 때의 제2 렌즈군에 속하는 제4 렌즈(140)의 상측면 방향면과 구경조리개(180) 사이의 중심거리를 나타낸다.The D6t is the center distance between the image side direction surface of the third lens 130 belonging to the first lens group in the tele position and the aperture 180, and the D7t belongs to the second lens group in the tele position. The center distance between the image-side direction surface of the fourth lens 140 and the aperture 180 is shown.

상기 수학식(4)은 제1 렌즈군과 제2 렌즈군 사이에 위치하는 구경조리개(180)가 작동할 수 있는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는 구경조리개(180)의 위치 및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광학계에 구경조리개(180)를 적용시키는 것에 문제가 없지만 수차보정에 어려움이 따른다. 반면에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차보정이 비교적 쉬워져 해상성능이 향상되지만 구경조리개(180)를 위치시킬 공간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광학계에 구경조리개(180)를 적용할 수 없게 된다.Equation (4) is to secure the interval at which the aperture 180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can operate. When the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the position of the aperture 180 is increased. And there is no problem in applying the aperture 180 to the optical system is secure enough space to operate, but aberration correction i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limit value is exceeded, the aberration correction is relatively easy, so that the resolution performance is improved, but since the space for positioning the aperture 180 is not secured, the aperture 180 may not be applied to the optical system.

1.95 < FNOw < 2.1 (5)1.95 <FNOw <2.1 (5)

상기 FNOw는 와이드 위치에서의 광학계의 F넘버(FNO)를 나타낸다.The FNOw represents the F number FNO of the optical system in the wide position.

상기 수학식(5)은 피사계심도를 깊게 하여 원거리의 물체와 근거리의 물체가 동시에 선명하게 상을 맺게 하기 위한 조건으로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사 계심도는 더욱 깊어지지만 렌즈를 통과하여 촬상면에 입사하는 광량이 줄어들어 취득되는 상이 전체적으로 어두워지게 되고,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은 비교적 전체적으로 상은 밝아지지만 피사계심도가 얕아져서 원거리의 물체와 근거리의 물체를 동시에 선명하게 볼 수 없게 된다.Equation (5) is a condition for deepening the depth of field so that the distant object and the near object at the same time to form a clear image at the same time, if the upper limit is exceeded, the depth of field becomes deeper but passes through the lens to enter the image plane When the amount of light to be reduced is reduced, the acquired image becomes dark overall, and when the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the image becomes relatively bright overall but the depth of field becomes shallow, so that a long distance object and a near object cannot be clearly seen simultaneously.

0.04 < ASPct < 0.08 (6)0.04 <ASPct <0.08 (6)

상기 ASPct는 제2 렌즈군에 속하는 제4 렌즈(140)의 상측방향면에 접합된 수지접합 비구면의 중심두께를 나타낸다.The ASPct represents the center thickness of the resin-bonded aspherical surface bonded to the image-oriented surface of the fourth lens 140 belonging to the second lens group.

상기 수학식(6)은 온도변화에 따른 해상성능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치는 플라스틱 재질의 체적을 최소화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핀트위치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 온도변화에 따라 핀트위치의 변화가 커져서 해상성능이 저하되고, 하한값을 초과할 경우 실제 수지접합 비구면의 제작 및 측정이 불리해진다.Equation (6) is for minimizing the change in the focus posi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plastic material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gradation of the resolu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f the upper limit exceeds the focus The change of position becomes large and resolution performance falls, and when exceeding a lower limit, manufacture and measurement of an actual resin bonding aspherical surface become disadvantageo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의 광학특성은 다음 표 1과 같다.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 magnification-type pan-focus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Table 1 below.

단위 : mmUnit: mm 와이드Wide 미들Middle 텔레Tele 초점거리Focal Length 2.992.99 4.794.79 8.208.20 후초점거리Back focus distance 66 7.87.8 11.511.5 F넘버F number 1.991.99 2.322.32 3.453.45 배율Magnification 0.00100.0010 0.00160.0016 0.00270.0027 전장
(렌즈 첫면~촬상면)
Battlefield
(Lens first surface-imaging surface)
40.940.9 33.533.5 30.630.6
화각(대각/2)Angle of view (diagonal / 2) 60.260.2 35.935.9 20.720.7

여기서, 촬상면은 상측면 방향의 이미지 센서의 표면을 의미한다.Here, the imaging surface means the surface of the image sensor in the image side direction.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데이터는 다음 표 2와 같다.Data of th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s shown in Table 2 below.

단위 : mmUnit: mm 면번호Face number 면특성Surface properties 곡률반경(R)Bending Radius (R) 두께, 간격Thickness, thickness 굴절률(nd)Refractive index (nd) 아베수(Vd)Abbe number (Vd) 1One SphereSphere 22.208422.2084 0.50.5 1.9146561.914656 21.721.7 22 SphereSphere 5.45745.4574 3.44053.4405 33 SphereSphere -14.3257-14.3257 0.60030.6003 1.7670251.767025 50.050.0 44 SphereSphere 13.06913.069 0.10.1 55 SphereSphere 11.575311.5753 2.48242.4824 1.9231.923 20.920.9 66 SphereSphere -32.9465-32.9465 11.648611.6486 STOPSTOP SphereSphere 00 6.78556.7855 88 SphereSphere 8.23438.2343 3.18033.1803 1.7955641.795564 44.044.0 99 SphereSphere -112.1962-112.1962 0.06450.0645 1.5171.517 52.052.0 1010 AsphereAsphere -47.3368-47.3368 0.41590.4159 1111 SphereSphere 10.340510.3405 2.70372.7037 1.6684311.668431 56.756.7 1212 SphereSphere -8.4486-8.4486 0.50.5 1.8501591.850159 25.625.6 1313 SphereSphere 5.51935.5193 0.43190.4319 1414 SphereSphere 10.050810.0508 2.06642.0664 1.517291.51729 66.966.9 1515 SphereSphere -9.3954-9.3954 0.10.1 1616 SphereSphere 00 3.143.14 1.51681.5168 64.264.2 1717 SphereSphere 00 3.83.8 1818 SphereSphere 00 00

표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수지접합 비구면(면번호 10)의 이심율 및 비구면계수 값을 나타낸 표이다. 비구면의 형상은 아래의 수학식으로서 표현되며, 비구면식에 있어서 k는 이심율이며 A, B,..,E는 4차, 6차, 8차, 10차 및 12차의 비구면계수를 의미한다. 또한, Z(r)은 비구면의 정점에서 높이 r까지의 수평거리를 나타내며, c는 곡률(1/R)을 나타낸다.Table 3 is a table showing the eccentricity and aspheric coefficient value of the resin bonding aspherical surface (surface numb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spherical shape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here k is an eccentricity and A, B, .., E are aspherical coefficients of 4th, 6th, 8th, 10th and 12th order. Z (r) represents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apex of the aspherical surface to the height r, and c represents the curvature (1 / R).

Figure 112008055470160-pat00001
(7)
Figure 112008055470160-pat00001
(7)

kk 103.422103.422 AA 0.00070.0007 BB 8.29E-068.29E-06 CC -7.87E-07-7.87E-07 DD 3.45E-083.45E-08 EE -7.03E-17-7.03E-17

도 2(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좌측부터 순서대로 와이드, 미들, 텔레 위치에 대한 종구면수차, 비점필드커브, 왜곡수차가 도시된다. 비점필드커브 수차도에는 새지털(Sagittal), 탄젠셜(Tangential) 상면에 대한 수차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의 수차도에 있어서 y축은 상면의 높이를 나타낸다. 종구면수차도의 y축 표기는 최대 상면높이인 3mm를 1.0으로 환산하여 표기하며, 비점필드수차도와 왜곡수차도에서의 y축 표기는 상면높이를 mm 단위 그대로 표기한다. 종구면수차도와 비점필드수차도에서의 x축은 mm단위로 상면의 광축방향 위치를 0.0으로 지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수차의 발생정도를 나타내고 있고, 왜곡수차도의 x축은 퍼센티지(percentage)로 왜곡발생 정도를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2 (FIGS. 2A to 2C),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sm field curve, and distortion aberration for the wide, middle, and tele positions are shown in order from the left. The astigmatic field curve aberrations for the sagittal and tangential top surfaces are shown. In these aberration diagrams, the y axis represent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The y-axis notation of the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diagram is expressed by converting the maximum image height, 3mm, into 1.0, and the y-axis notation in the astigmatism field and the distortion aberration diagram indicates the height of the plane as mm. The x-axis in the 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and the astigmatism field aberration is indicated in mm units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optical axis in the upper surface as 0.0,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aberration, and the x-axis of the distortion aberration is a percentage. Is displayed.

도 2의 수차도로부터 보여지듯이 종구면수차의 경우 광각배율(와이드 : wide), 중간배율(미들 : middle), 망원배율 위치(텔레 : tele) 모두 기준파장(587.6nm, 파란색으로 표현)으로부터 0.07mm 이상 벗어나지 않고, 비점필드수차의 경우 실선으로 표시된 새지털(Sagittal) 상면과 점선으로 표시된 탄젠셜(Tangential) 상면의 포커스(focus) 차이가 0.05mm 이내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왜곡수차도에서 보듯이 상면 중심으로부터 상면 바깥쪽으로 갈수록 왜곡의 급격한 변화없이 일반적인 형태의 왜곡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erration diagram of FIG. 2, in the case of the longitudinal aberration, all of the wide-angle magnification (wide), middle magnification (middle) and telephoto magnification position (tele) are all 0.07 from the reference wavelength (587.6 nm, expressed in blue). In the case of non-point field aberration, the difference in focu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agittal indicated by the solid lin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angential shown by the dotted line is within 0.05 mm. As shown in the distortion aberration diagram, it can be seen that the distortion of the general form appears from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top surface without a sudden change of the distortion.

이들의 수차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각 상기한 각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As is clear from these aberration diagrams, according to the imaging lens of the embodiment, each of the above-described aberrations can be corrected well.

도 3(도 3a 내지 도 3c)은 광각배율(와이드 : wide), 중간배율(미들 : middle), 망원배율(텔레 : tele) 각 위치에서의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성능을 나타낸 것으로, x축은 단위가 cycle/mm인 공간주파수를, y축은 공간주파수를 전달하는 정도를 1.0을 최대치로 하여 공간 공간주파수별 MTF 값을 나타내고 있다. 3 (FIG. 3A to FIG. 3C) show the performance of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at each of the wide-angle magnification (wide), middle magnification (middle), and telephoto magnification (tele: tele) positions. The spatial frequency of unit is cycle / mm, and the y-axis represents the MTF value by spatial spatial frequency, with 1.0 being the maximum value of transmitting the spatial frequency.

도 3에서 검은색 점선은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회절한계를, 적색-연두색-파란색-분홍색 순서로 광학계의 반화각이 커질때의 MTF 특성이 나타내어지고 있으며 검은색 점선과 적색실선을 제외하고 실선은 탄젠셜(Tangential) 방향 MTF를, 점선은 새지털(Sagittal) 방향 MTF를 표현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촬상렌즈에 의하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3 inch VGA급 CCD, CMOS 등이 사용되는 감시카메라용 촬상소자에 적용되기에 충분한 MTF 성능을 가짐을 알 수 있다.In FIG. 3, the black dotted line represents the diffraction limit of th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MTF characteristics when the half angle of view of the optical system increases in the order of red-lime green-blue-pink are shown, except for the black dotted line and the red solid line. Represents a tangential direction MTF, and a dotted line represents a sagittal direction MTF.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imaging lens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sufficient MTF performance to be applied to an imaging device for surveillance cameras, which is generally used, 1/3 inch VGA CCD, CMOS, and the like.

도 4(도 4a 내지 도 4c)는 광각배율(와이드 : wide), 중간배율(미들 : middle), 망원배율(텔레 : tele) 각 위치에서의 스폿 다이어그램(spot diagram)을 나타낸다. x축은 mm단위로 광축상의 포커스 위치를, y축은 반화각을 나타내며 우측하단에 스폿 사이즈(spot size)를 가늠하기 위한 척도로 0.05mm로 설정된 스케일 바(scale bar)가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스폿 다이어그램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다이어그램상의 지정된 지점에 표시되는 스폿(spot) 들의 크기가 0.05mm 이하로 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것을 알 수 있다.4 (FIG. 4A to FIG. 4C) show spot diagrams at each of a wide-angle magnification (wide), a middle magnification (middle) and a telephoto magnification (tele). The x-axis represents the focus position on the optical axis in mm, the y-axis represents the half angle of view, and a scale bar is set at 0.05 mm as a measure for measuring the spot size at the bottom right. As can be seen from the spot diagram of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aberration is well corrected so that the size of the spots displayed at the designated points on the diagram is 0.05 mm or less.

상기한 바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는 렌즈의 개수 및 그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기술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상기 렌즈에 추가적인 기능 또는 다른 렌즈를 부가한 경우 전체적인 작용 및 효과에는 차이가 없다면 이러한 다른 구성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variable magnification-type pan-focus imaging len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scribed the number and configuration of the lens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n the case of the addition, if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overall operation and effect, such other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의 줌위치(zoom position)별 렌즈 구성도. 1 is a lens configuration for each zoom position of a variable-magnification variable-focused focus l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초점 팬포커스 렌즈의 줌위치(zoom position)별 필드 수차도. 2A to 2C are field aberration diagrams for each zoom position of a variable focus pan focus le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초점 팬포커스 렌즈의 줌위치(zoom position)별 MTF도. 3A to 3C are MTF diagrams according to zoom positions of the variable focus pan focus len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초점 팬포커스 렌즈의 줌위치(zoom position)별 스폿 다이어그램. 4A to 4C are spot diagrams for each zoom position of a variable focus pan focus len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내지 170 : 제1 내지 제7 렌즈110 to 170: first to seventh lenses

180 : 구경조리개180: Aperture

190 : 적외선 차단 필터190: infrared cut filter

Claims (8)

물체측으로부터 상이 맺히는 상측면까지 광축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에 있어서,In the magnification-variable pan-focus imaging lens arranged sequentially along the optical axis from the object side to the image side where the image is formed,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1 렌즈;A first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2 렌즈;A second len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image-side direction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상기 제2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3 렌즈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1 렌즈군과,A first lens group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ens in the image-sid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ing a third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상기 제3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 렌즈에서 출사되는 광의 일부 입사광을 차단하는 구경조리개와, An aperture stop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third lens in the image-side direction and blocking a part of incident ligh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ens; 상기 구경조리개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4 렌즈-상기 제4 렌즈의 상기 상측면 방향의 일면에 비구면 형상의 플라스틱 수지가 접합됨-;A fourth len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aperture in the image-sid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ability, wherein an aspheric plastic resin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fourth lens in the image-side direction; 상기 제4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5 렌즈; A fifth lens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len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image-side direction and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상기 제5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에 위치하며, 음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6 렌즈;A sixth lens positioned in the image-side direction from the fifth lens and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상기 제6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7 렌즈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능을 가지는 제2 렌즈군을 포함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 A magnification-variable pan-focus imaging lens including a seventh lens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ixth lens in the image-sid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es a seventh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7 렌즈로부터 상기 상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7 렌즈에서 출사되는 적외선 파장을 필터링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포함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 The variable magnification-focused focus lens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n infrared cut-off filte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venth lens in the image-sid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o filter infrared wavelengths emitted from the seventh len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6 렌즈는 접합수지에 의해 상기 제5 렌즈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 And the sixth lens is bonded to the fifth lens by a bonding res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 A variable magnification-type pan focus imaging lens, which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al expression. Fw < 3.0 (1)Fw <3.0 (1) Ft/Fw > 2.7 (2)Ft / Fw> 2.7 (2) 0.85 < |Ff / Fr| < 1.0 (3)0.85 <| Ff / Fr | <1.0 (3) 2.6 < D6t + D7t < 3.0 (4)2.6 <D6t + D7t <3.0 (4) FNOw > 1.95 (5)FNOw> 1.95 (5) 0.04 < ASPct < 0.08 (6)0.04 <ASPct <0.08 (6) Fw : 와이드 위치(wide position)에서의 상기 촬상 렌즈의 초점거리Fw: focal length of the imaging lens in a wide position Ft : 텔레 위치(tele position)에서의 상기 촬상 렌즈의 초점거리Ft: focal length of the imaging lens in the tele position Ff : 상기 제1 렌즈군의 초점거리Ff: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group Fr : 상기 제2 렌즈군의 초점거리Fr: focal length of the second lens group D6t : 텔레 위치일 때의 상기 제3 렌즈의 상기 상측면 방향면과 상기 구경조리개 사이의 중심거리D6t: center distance between the image side direction surface of the third lens and the aperture when in the tele position D7t : 텔레 위치일 때의 상기 제4 렌즈의 상기 상측면 방향면과 상기 구경조리개 사이의 중심거리D7t: center distance between the image side surface of the fourth lens and the aperture when in the tele position FNOw : 와이드 위치에서의 F넘버FNOw: F number in wide position ASPct : 상기 제4 렌즈에 접합된 플라스틱 수지의 중심두께. ASPct: center thickness of the plastic resin bonded to the fourth len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상 렌즈는 CCD, CMOS 촬상소자에 적용되는 감시카메라용 촬상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 And the imaging lens is an imaging lens for a surveillance camera applied to a CCD and a CMOS ima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렌즈는 상기 물체측으로 볼록하며 상기 상측면으로 오목한 메니스커스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 The first lens has a meniscus shape in which the first lens is convex toward the object and concave to the image sid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6 렌즈는 양면이 오목하고, Both surfaces of the second lens and the sixth lens are concave, 상기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상기 제7 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 The third lens, the fourth lens, the fifth lens, and the seventh lens are convex on both sides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은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율가변형 팬포커스 촬상 렌즈. And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are movable along the optical axis.
KR1020080075196A 2008-06-25 2008-07-31 Lens KR10100299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129 2008-06-25
KR20080060129 2008-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014A KR20100002014A (en) 2010-01-06
KR101002993B1 true KR101002993B1 (en) 2010-12-22

Family

ID=4181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196A KR101002993B1 (en) 2008-06-25 2008-07-31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9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0662B (en) * 2018-11-27 2024-07-30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Optical imaging lens
CN113946040B (en) * 2021-11-11 2024-11-05 厦门力鼎光电股份有限公司 Compact ultra-wide angle le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9574A (en) 2004-09-27 2006-05-11 Fujinon Corp Variable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JP2006276897A (en) 1999-01-12 2006-10-12 Konica Minolta Opto Inc Zoom lens
JP2007017528A (en) 2005-07-05 2007-01-25 Nikon Corp Zoom lens
JP2007156043A (en) 2005-12-05 2007-06-21 Nidec Copal Corp Zoom l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6897A (en) 1999-01-12 2006-10-12 Konica Minolta Opto Inc Zoom lens
JP2006119574A (en) 2004-09-27 2006-05-11 Fujinon Corp Variable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JP2007017528A (en) 2005-07-05 2007-01-25 Nikon Corp Zoom lens
JP2007156043A (en) 2005-12-05 2007-06-21 Nidec Copal Corp Zoom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014A (en)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230B1 (en) Imaging lens
KR100882621B1 (en) Zoom lens
KR101425793B1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KR101980642B1 (en) Imaging lens
KR101933960B1 (en) Imaging lens
KR101340669B1 (en) Imaging lens
KR101215827B1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KR101383900B1 (en) Zoom lens system
KR101393198B1 (en) Imaging lens and camera module
KR101729470B1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KR102094508B1 (en) Zoom lens and photographing lens having the same
KR20160075235A (en) Lens system and optical comprising the same
KR101724264B1 (en) Photographing lens system
KR101853498B1 (en) Imaging lens
KR101536556B1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KR101118910B1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KR101691350B1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KR101724265B1 (en) Photographing lens system
KR101548776B1 (en) Image Lense Unit
KR101002993B1 (en) Lens
KR101281368B1 (en) Imaging lens
KR102182514B1 (en) Imaging lens
KR101823177B1 (en) Image Lense Unit
KR101404199B1 (en) Image Lense Unit
KR20210114794A (en) Zoom le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