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501B1 -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ing signal with mobile phone for blind pers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ing signal with mobile phone for blind pers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501B1
KR101002501B1 KR1020030059185A KR20030059185A KR101002501B1 KR 101002501 B1 KR101002501 B1 KR 101002501B1 KR 1020030059185 A KR1020030059185 A KR 1020030059185A KR 20030059185 A KR20030059185 A KR 20030059185A KR 101002501 B1 KR101002501 B1 KR 101002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rossing
unit
crosswalk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1093A (en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501B1/en
Publication of KR2005002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0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5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 건널목 신호상태와 시간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건널목으로부터 무선출력되는 건널목 신호를 수신하고 하향변환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출력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분석하여 건널목 신호를 분리검출하고 각 기능부를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건널목 신호를 입력하고 신호등의 점멸상태와 잔여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건널신호처리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음성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점자 신호로 출력하는 점자부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를 구성 등등을 특징으로 하여, 시각장애인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건널목 신호등 체계를 음성신호 및 점자신호로 정확하게 확인하므로, 건널목을 안전하게 건너는 사회복지 향상과, 휴대단말기의 부가기능을 이용하여 활용도를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crossing signal state and time inform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and a high-frequency unit for receiving the down-crossing signal to the radio output from the crossing and down-converted to output the baseband signal; A control unit for separating and detecting a crossing signal by analyzing a baseband signal applied from the high frequency unit, and controlling and monitoring each functional unit; A crossing signal processing unit for inputting a cross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analyzing and outputting a blinking state and remaining time information of a traffic light; A visual display unit for processing and visually displaying a control signal and crossing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 voice unit for process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to output a voice signal;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braille unit for process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and outputting it as a braille signal, and the like is configured by the mobi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Because it accurately checks the braille signal,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ocial welfare crossing the railroad crossing safely and using the additional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improve the utilization.

Description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ING SIGNAL WITH MOBILE PHONE FOR BLIND PERSON}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visually impaired crossing signal mobile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ING SIGNAL WITH MOBILE PHONE FOR BLIND PERSON}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1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2 는 종래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위치정보 제공 설명도, 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a blind person in the related art;

도3 은 시각장애인의 건널목에 설치되는 건널목부 제어영역을 도시도, 3 is a view showing a crossing control area installed in the crossing of a blind;

도4 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장치 휴대단말기 기능 구성도, 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 는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장치 건널목부 기능구성도, 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rosswalk signal display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rosswal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 은 본 발명 일 예의, 암호화된 건널목신호 구성상태도,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ncrypted crosswalk sig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 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방법의 건널목부 순서도, 7 is a flow chart of a crosswalk of the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 은 본 발명의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방법 휴대단말기 순서도. 8 is a flow chart of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display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휴대단말기 110,250 : 고주파부 120 : 제어부100: portable terminal 110,250: high frequency unit 120: control unit

130 : 건널신호처리부 140 : 시각표시부 150 : 음성부130: cross signal processing unit 140: time display unit 150: audio unit

160 : 점자부 200 : 건널목부 210 : 건널신호발생부160: Braille part 200: Crossing section 210: Crossing signal generator

220 : 신호등부 230 : 암호부 240 : 변조부220: traffic light unit 230: encryption unit 240: modulation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건널목 신호등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특히, 시각장애인이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건널목에서 신호등의 현재 상태와 잔여 시간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the crossing signal state using a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he visually impaired crossing signal portable terminal display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easily check the current state and remaining time information of the traffic light at the crossing And to a method.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S: BASE STATION)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고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장비이다. The mobile terminal (MS) is a wireless terminal that instantly moves and communicates with the other party anytime and anywhere while freely moving in a service area formed by a base station (BS) of a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s a device to carry and communicate while moving.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개인의 통신욕구를 신속하게 해결하는 것으로,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정보를 상대방에게 즉시 전달하거나 확보하고 특히, 시각장애인 같이 신체가 불편한 사람의 경우 도움을 즉시 요청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Such a mobile terminal promptly solves an individual's communication needs, and is used as a means for promptly delivering or securing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other party anytime, anywhere, and in particular, in case of a person with a discomfort, such as a visually impaired person.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BS)에 의하여 생성되는 서비스 영역인 셀(CELL) 단위로 휴대단말기(MS)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정밀한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identify the current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MS) in units of cells (CELL), which are service areas generated by a base station (BS), and us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ethod using satellites. , You can check the current location more precisely.

상기와 같이 기지국(BS) 또는 지피에스(GPS)에 의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로 도로상의 이동을 위한 방향정보를 안내하고 있으나, 각 도로의 신호등과 같이 대기시간이 필요한 위험사항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특히, 시각장애인을 위한 건널목 신호등의 점등여부, 잔여시간과 같은 표시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 제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 information for moving on the road is guided to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by the BS or the GPS, but it does not provide danger information that requires waiting time, such as traffic lights on each roa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the display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crossing signal light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remaining time.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시각장애인에게 건널목 신호등의 점등여부와 잔여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for providing a blind person with a lighting signal and remaining time inform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위치정보 제공 휴대단말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정보 제공 방식 설명도 이다. 1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the prior art.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25) 안을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휴대단말기(MS)(10)와, Referring to FIG. 1,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mobile terminal (MS) 10 that communicates by wirelessly connecting with the other party anytime and anywhere while moving in the service area 25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휴대단말기(10)와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25)을 형성하는 기지국(BS)(20)과, A base station (BS) 20 which wirelessly connects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communication signal and form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25;

상기 기지국(20)과 접속하고 휴대단말기(10)의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30)으로 구성된다. A mobile switching station (MSC: MOBILE SWITCHING CENTER) that connects to the base station 20 and analyzes the call connection request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0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path by switching and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tir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0).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휴대단말기(10)는 기지국(2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25)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상기 기지국(20)과의 접속에 의하여 언제 어디서나 즉시 상대방과 무선접속하고 통신한다. Hereinafter,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mobile terminal 10 moves freely through the service area 25 formed by the base station 20, Instantly connect and communicate with other parties anywhere.                         

상기 기지국(20)은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또는 셀(CELL)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와 같은 서비스 영역이 전국을 대상으로 하므로, 전국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통신을 하게 된다. The base station 20 forms a service area or a cell are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mmunication signal through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and moves to anywhere in the country since the service area covers the whole country. Will communicate.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10)가 이동하면서 통신하도록 하는 제어는, 상기 기지국(20)이 휴대단말기(1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에 통보하므로, 이동교환국은 휴대단말기(1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를 피호출 하는 호접속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기지국(20)을 통하여 착신신호를 전송하고, 어느 기지국(20)으로부터도 휴대단말기(10)의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는 상기 휴대단말기(10)와 통신이 불가능함을 안내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for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10 to communicate while moving, since the base station 20 confirm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notifies the mobile switching center, the mobile switching s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If there is a call connection request for calling the mobile terminal 10 by checking the current position, the incom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base station 20, and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from any base station 20. If it does not detect a guide to the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 is impossible.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지국은, 특히,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수 휴대단말기(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해당 기지국(20)에서 동일한 기준레벨로 수신되어야 하므로, 기지국(20)은 각 휴대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출력레벨을 검출하고, 상기의 기준레벨보다 낮은 경우는 높이고, 상기의 기준레벨보다 높은 경우는 낮추는 제어신호를 각각의 휴대단말기(10)에 전송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base station for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in particular, in th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ince signals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10 must be received at the same reference level at the base station 20, The base station 20 detects an output level received from each of the mobile terminals 10,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mobile terminals 10 that increases when the level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and decreases when the level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send.

일반적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일정한 레벨(LEVEL)을 갖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10)와 기지국(20) 사이의 직선거리에 의하여 상기 기지국(20)에서 수신되는 레벨에 차이가 있게 된다. In general, when the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10 has a constant level (LEVEL), the level received at the base station 20 by a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 and the base station 20. There will be a difference.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10)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레벨을 확인하고, 기지국(20)에서 상기 무선신호의 수신되는 레벨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수신되는 신 호의 레벨을 상대비교 하므로, 기지국(20)으로부터 휴대단말기(10) 까지의 직선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vel of the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10 is checked and the base station 20 confirms the level of the radio signal received, the base station 20 relatively compares the level of the received signal. ), The linear distance from the mobile terminal 10 to the mobile terminal 10 is measured.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인접한 몇 개 기지국(20)으로부터 직선거리를 각각 측정하여 해당 연산처리하므로, 상기 휴대단말기(10)의 정확한 현재 위치를 확인하게 되고, 이동예상 방향을 추정하게 되므로, 예상되는 진행방향을 확인한다. The mobile switching center 30 calculates a linear distance from each of several adjacent base stations 20 by the mobile terminal 10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calculation process,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0 confirms an accurat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Since the direction is estimated, check the expected traveling direction.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정보 제공 방식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것으로, 이동목적지 까지의 방향정보를 기지국(20)으로부터 제공받고 음성으로 출력한다. The mobile terminal 10 is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and receives direc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20 up to the moving destination and outputs the voice.

상기 각각의 기지국(20)은 이동교환국(30)의 제어와 감시를 받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10)의 현재 위치와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이동교환국(30)에 전송하고,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상기 휴대단말기(10)의 이동목적지와 현재 위치와 이동방향의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이동하여야 할 방향정보를 기지국(20)에 출력하고, 상기 기지국(20)은 휴대단말기(10)에 전송하므로, 시각장애인이 방향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Each of the base stations 20 is controlled and monitored by the mobile switching center 30. The base station 20 detects a current position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mobile switching center 30. The mobile switching center 30 ) Analyzes the moving destinatio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bile terminal 10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and outputs the current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20, and the base station 20 Since 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onfirms the direction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휴대단말기(10)의 현재 위치와 이동방향을 분석하고 목적지로 향하는 방향만을 제시하며, 상기 제시된 방향의 도로에는 교차지점이 있고, 상기와 같은 교차지점에서는 횡단보도(40)가 있으며, 상기 횡단보도(40)에는 정지와 보행을 지시하는 신호등이 별도로 구비된다.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alyzes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used by the visually impaired, and present only the direction toward the destination, the road in the presented direction has an intersection point, in the intersection poin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edestrian crossing 40, and the pedestrian crossing 40 is separately provided with a traffic light indicating stop and walk.                         

상기 교차로 지점은 교통 흐름을 제어하는 신호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교통량을 자체적으로 분석하여 교통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상기 신호등의 제어신호와 점멸 주기를 수시로 변경하며, 또한, 고장이나 긴급한 경우에는 해당 요원에 의하여 수동제어로 동작한다. The intersection point is a traffic light to control the traffic flow, and in general, the traffic signal itself to analyze the traffic volume to smooth the flow of traffic, the control signal and the flashing cycle of the traffic light is changed from time to time, and in case of failure or emergency Operated by manual control by personnel.

상기와 같이 교차로에 형성되는 횡단보도(40) 신호등의 경우, 상기 교차로의 신호등과 연동되어 동작하므로, 교통량에 따라 변경되는 교차로 신호등과 연동되어 신호 체계가 수시로 변경된다. In the case of the crosswalk 40 traffic lights formed at the intersec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ration is linked to the traffic lights of the intersection, the signal system is changed from time to time in conjunction with the intersection traffic lights that change depending on the traffic volume.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교환국(30)에서는, 상기 횡단보도(40)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고, 특히, 상기 횡단보도의 신호등 점멸 상황을 확인하지 못하므로, 시각장애인이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의 정확한 위치와, 상기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에서 건너야 되는지 또는, 기다려야 하는지를 확인하지 못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도 건널목에서의 해당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명령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mobile switching center 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exact position of the crosswalk 40, and in particular, it is not possible to check the flashing of the traffic light of the crosswalk,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rosses the crosswalk or the crossing.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check the exact position of the crosswalk or crossing, or whether to wait, or at the same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es not check the corresponding state at the crossing and can not command.

본 발명은 건널목의 위치와 해당 신호등의 신호상태를 해당 신호등에서 인접한 시각장애인용 휴대단말기에 직접 전송하므로, 시각장애인이 현재의 건널목 위치와 신호등 점멸상태와 다음 순서 신호로 변경되기까지의 남은 잔여시간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transmits the position of the crosswalk and the signal state of the traffic light to the mobi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adjacent to the traffic light, so that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blind person changes to the current crossing position and the flashing state of the traffic light and the next sequence sig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portable terminal for easily identifying the visually impair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건널목으로부터 무 선출력되는 건널목 신호를 수신하고 하향변환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출력하는 고주파부와;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분석하여 건널목 신호를 분리검출하고 각 기능부를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건널목 신호를 입력하고 신호등의 점멸상태와 잔여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건널신호처리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시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음성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점자 신호로 출력하는 점자부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igh-frequency unit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the cross-walk crossing and down-converts the baseband signal to output; A control unit for separating and detecting a crossing signal by analyzing a baseband signal applied from the high frequency unit, and controlling and monitoring each functional unit; A crossing signal processing unit for inputting a cross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analyzing and outputting a blinking state and remaining time information of a traffic light; A visual display unit for processing and visually displaying a control signal and crossing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 voice unit for process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to output a voice signal;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braille unit for processing a control signal and crossing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braille signal.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건널목 통행을 제한하는 건널목신호를 발생하고 출력하는 건널신호발생부와; 상기 건널신호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건널목신호에 의하여 건널목 통행을 제한하는 시각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등부와; 상기 건널신호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건널목신호를 암호화하는 암호부와; 상기 암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휴대단말기에서 분석하도록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휴대단말기가 수신하도록 상향변환하여 출력하는 고주파부로 이루어져 건널목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rossing signal generating section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rosswalk signal for limiting crosswalk traffic; A signal lamp unit for outputting a visual signal for limiting crossing traffic by a crossing signal inputted from the crossing signal generator; An encryption unit for encrypting the crossing signal inputted from the crossing signal generation unit;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signal applied from the encryption unit to be analyzed by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 consists of a high frequency unit for converting the signal applied from the modulator up-converted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receives.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는 건널목부로부터 건널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신호영역을 분리하여 검출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검출한 신호영역을 분석하여 신호상태가 횡단의 경우는 횡단 지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분석된 신호상태가 대기의 경우는 대기 지시신호를 출력하는 지시과정과; 상기 과정의 건널목신호로부터 시간영역을 분리검출하고 잔여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지시신호와 함께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하는 시간과정으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에서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terminal, when receiving a crosswalk signal from the crosswalk, the starting process of separating and detecting the signal area; An instruction step of analyzing the signal area detected in the above process and outputting a crossing indication signal when the signal state is crossing, and outputting a standby indication signal when the analyzed signal state is wait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signal is separated from the crossing signal of the process, the time zone is analyzed and the remaining time is outputted in the manner set together with the indication signal.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건널목부는 건널목의 통행을 제한하는 건널목신호를 운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준비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건널목신호를 운용하는 경우, 신호등의 점멸상태 신호를 검출하여 암호화하고 점등된 신호등의 잔여점등 시간을 검출하여 건널목신호를 암호화하는 신호과정과; 상기 과정의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를 이동통신 방식으로 변조하고 고주파신호로 출력하며 계속하는 경우에 상기 준비과정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져 건널목부에서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rossing section is a prepar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a crosswalk signal to limit the passage of the crosswalk; A signal process of detecting and encrypting a blinking state signal of a traffic light and encrypting a crossing signal by detecting a remaining lighting time of a lit traffic light when operating the crosswalk signal determined in the above process; When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of the above process is modula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outputted as a high frequency signal,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preparation process and continuing if it does not continue consists of an output process of proceeding to the end. It is characterized by.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visually impaired crossing sig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시각장애인을 위하여 건널목에 설치되는 건널목부의 제어영역 도시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장치의 휴대단말기 기능 구성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장치의 건널목부 기능구성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한 것으로, 암호화된 건널목신호 구성상태도 이며, 도7 은 본 발명에 의한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방법의 건널목부 순서도 이고, 도8 은 본 발명에 의 한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방법의 휴대단말기 순서도 이다.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trol area of a crossing unit installed at a crosswal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FIG. 4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of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crosswalk signal display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encrypted crosswalk signal configuration state diagram, and FIG.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rosswalk signal display method for a disabled crosswalk signal display method. FIG.

상기 도3은 시각장애인을 위하여 건널목에 설치되는 건널목부의 상태도로, 상기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45)의 양쪽에 각각 건널목부(200)가 고정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각 건널목부(200)는 건널목 부분만을 제어영역(205)으로 형성한다. 3 is a state road crossing section installed at the cross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crossing section 2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rosswalk or crosswalk 45, respectively, the crossing section 200 is a crosswalk Only a part is formed by the control area 205.

상기 제어영역(205)은 건널목(45)의 양쪽 부분만이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건널목(45) 전체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The control area 205 may be only both portions of the crosswalk 45, and may include the entire area of the crosswalk 45 as necessary.

상기 도4는 시각장애인을 위하여 건널목신호를 이동통신을 위한 휴대단말기(100)에 표시하는 것으로,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45)의 건널목부(200)부터 암호화되어 무선출력되는 건널목신호를 수신하고 하향변환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출력하는 고주파부(110)와, 4 is to display a crosswalk signal for the mobile terminal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receives a crosswalk signal that is wirelessly output from the crosswalk 200 of the crosswalk or the crosswalk 45, and receives the crosswalk signal. High frequency unit 110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baseband signal,

상기 고주파부(110)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분석하여 건널목신호를 분리검출하고 각 기능부를 제어 감시하는 것으로, 상기 고주파부(110)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로부터 건널목 신호를 검출하여 건널신호처리부(130)에 출력하며; 건널신호처리부(130)로부터 입력되는 건널목 상태정보의 건널목신호를 시각표시부(140)와 음성부(150)와 점자부(160)에 각각 출력하여 시각신호와 음성신호와 점자신호로 각각 표시하는 제어부(120)와, Detecting the crossing signal by analyzing the baseband signal applied from the high frequency unit 110 and controlling and monitoring each function unit, and detecting the crossing signal from the baseband signal input from the high frequency unit 110. Output to the cross signal processing unit 130;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crossing signal of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crossing signal processing unit 130 to the time display unit 140, the voice unit 150 and the braille unit 160 to display the time signal, the audio signal and the braille signal, respectively. 120,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건널목신호를 입력하고 신호등의 점멸상태와 잔여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건널목신호를 입력하고, 신호등의 점멸상태와 점등된 신호의 잔여시간을 검출 분석하여 건널목 상태정보에 의한 건널목신호로 상기 제어부(120)에 출력하는 건널신호처리부(130)와, Input the crosswalk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analyze and output the flashing state of the traffic light and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input the crosswalk signal, detect the flashing state of the traffic light and the remaining time of the lit signal, and then cross the crossing state A crossing signal processing unit 130 outputting the crossing signal based on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20;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의 건널목신호를 해당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건널목신호를 확인하도록 표시하는 시각표시부(140)와, A time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the crossing signal of the control signal and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20 to visually confirm the crossing signal;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의 건널목신호를 해당 처리하여 음성 신호로 건널목신호를 확인하도록 출력하는 음성부(150)와, A voice unit 150 for process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crossing signal of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20 to output the crossing signal as a voice signal;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의 건널목신호를 해당 처리하여 점자신호로 건널목신호를 확인하도록 출력하는 점자부(16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The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rossing signal of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is processed by braille unit 160 for outputting to check the crossing signal as a braille signal.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는 휴대단말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 portable terminal for displaying a visually impaired crossing sig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 휴대단말기(100)는, 고주파부(110)가 건널목부(200)로부터 무선수신한 고주파의 건널목신호를 하향변환(DOWN-CONVERTING)하고 복조(DEMODULATION)하며 기저대역신호(BASE BAND SIGNAL)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된 신호가 건널목신호 인지 판단하여, 건널목부(200)로부터 수신된 건널목신호로 판단되면, 상기 건널신호처리부(130)에 출력한다. The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display portable terminal 100, down-converting and demodulating (DEMODULATION) the high-frequency crosswalk signal received by the high frequency unit 110 from the crosswalk 200, and the baseband signal ( BASE BAND SIGNAL) is conver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output to the control unit 120,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signal is a crosswalk signal, if the crosswalk signal received from the crosswalk unit 200, the crosswalk signal processing unit Output to 130.

상기 건널신호처리부(130)는 16 비트로 이루어지는 건널목신호를 입력하고 분석하여, 2 비트로 이루어지는 신호영역을 검출하고 복호화하므로, 건널목 신호등의 점멸상태를 확인하여, 현재 건널목을 횡단하라는 신호가 출력되는지 또는 대기하라는 신호가 출력되는지 판단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120)에 출력하는 동시에, 상 기 16 비트의 건널목신호를 분석하여 8 비트의 시간영역을 검출하고 복호화하므로, 현재 점등된 신호의 잔여 점등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출력한다. The crossing signal processing unit 130 inputs and analyzes a crossing signal consisting of 16 bits, detects and decodes a signal region consisting of two bits, and thus checks the blinking state of the crossing signal, and outputs a signal for crossing the current crossing. Outputs a signal that determines whether a signal to be outputted to the controller 120, and analyzes the 16-bit crossing signal and detects and decodes the 8-bit time region, thereby checking the remaining lighting time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li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20.

상기 제어부(120)는 건널신호처리부(130)로부터 입력되는 것으로, 건널목 신호등의 점멸상태와 점등 잔여시간정보를 상기 시각표시부(140)에 출력하여 시각적으로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음성부(150)에 출력하여 음성신호로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점자부(160)에 출력하여 점자신호로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20 is input from the crosswalk signal processing unit 130, and outputs a flashing state of the crosswalk signal light and lighting remaining time information to the time display unit 140 to visually display the crosswalk signal, and the voice unit Output to 150 to display the crossing signal as a voice signal, and output to the braille unit 160 to display the crossing signal as a braille signal.

상기 제어부(120)는 선택(OPTION)에 의하여, 건널목신호를 출력하는 시각표시부(140)와 음성부(150)와 점자부(160)를 전부 또는 일부만 구동하며, 상기 점자부(160)는 돌출된 신호표시에 의하여 건널목신호를 표시하거나 또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2001-0063411호(2001. 7. 9)로 공개된 기술을 이용하여 부분 발열로 건널목신호를 표시한다. The control unit 120 drives all or part of the time display unit 140, the audio unit 150, and the braille unit 160 for outputting a crossing signal by selection, and the braille unit 160 protrudes. Display the crossing signal by the signal display, or display the crossing signal by partial heat using a techniqu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2001-0063411 (July 9, 2001).

상기 건널신호처리부(130)에서 입력하고 분석하여 처리하는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는, 상기 첨부된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16 비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a1 영역과 a2 영역을 신호영역으로 할당하고, 건널목 신호등의 점멸상태를 암호화하여 표시하며, 상기와 같이 암호화된 점멸상태는, 일 예로, 다음의 도표와 같다.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inputted by the crosswalk signal processor 130, analyzed, and processed is composed of 16 bits as shown in FIG. 6, and allocates a1 and a2 areas to the signal area. The blinking state is encrypted and displayed, and the encrypted blinking state as described above is, for example, as follows.

(신호점멸 상태표)(Signal blinking status table)

a1a1 a2a2 점멸 상태 Flashing status 00 00 00 1One 빨간 신호등Red traffic light 1One 00 파란 신호등Blue traffic light 1One 1One

상기의 표와 같이, 신호영역에 2 비트(BIT)로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를 복호화하고 분석하여 신호등 점멸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점등된 신호등의 점등 잔여시간 정보는, 시간영역의 8 비트(BIT)로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를 복호화하고 분석하므로 확인하며, 나머지 비트(BIT)는 사용하지 않는다. As shown in the above table, the signal light blinking state is decoded and analyzed by decoding and analyzing the crossing signal encrypted with 2 bits in the signal area, and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of the lit signal light is 8 bits in the time area. Decrypt and analyze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so it is checked. The remaining bits (BIT) are not used.

이하, 상기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는 건널목부(200)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rossing unit 200 for displaying a visually impaired crossing signal will be described.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45) 통행을 제한하는 건널목신호를 발생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신호등부(220)에 구비되는 신호등, 즉, 통행허용의 횡단신호와 통행제한의 대기신호를 각각 표시하는 신호등의 점멸상태 제어신호와; 상기 점멸상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점등된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 정보로 이루어지는 건널목신호를 출력하는 건널신호발생부(210)와, By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rosswalk or crosswalk signal limiting the passage of traffic, the traffic lights provided in the traffic light section 220, that is, a flashing light indicating the crossing signal for passing and the waiting signal for passing restriction, respectively A state control signal; A crossing signal generator 210 for outputting a crossing signal including residual lighting time information of a signal lamp turned on by the blinking state control signal;

상기 건널신호발생부(210)로부터 입력되는 건널목신호에 의하여 건널목 통행을 제한하는 시각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등부(220)와, A traffic light unit 220 for outputting a visual signal for limiting the crossing of the crossing by the crossing signal inputted from the crossing signal generating unit 210;

상기 건널신호발생부(210)로부터 입력되는 건널목신호를 암호화하는 것으로, 상기 입력되는 건널목신호를 분석하여 신호등 점멸상태를 제어하는 신호는 암호화하여 신호영역에 기록하고; 점등된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 정보는 암호화하여 시간영역에 기록하므로, 상기 신호영역으로 2 비트를 할당하고, 상기 시간영역으로 8 비트를 할당하며 나머지 비트는 사용하지 않는 총 16 비트의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를 출력하는 암호부(230)와, Encrypting the crossing signal inputted from the crossing signal generator 210, analyzing the incoming crossing signal and encrypting the signal for controlling the blinking state of the traffic light and recording the signal in the signal area; Since the remaining lighting time information of the lit signal lamp is encrypted and recorded in the time domain, a total of 16 bits of encrypted crossing signal are allocated to the signal region, 2 bits are allocated, 8 bits are allocated to the time region, and the remaining bits are not used. And the encryption unit 230 for outputting,                     

상기 암호부(23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휴대단말기(100)에서 분석하도록 변조(MODULATION)하는 변조부(240)와, A modulator 240 for modulating the signal applied from the encryption unit 230 so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analyzes the signal;

상기 변조부(24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휴대단말기가(100) 무선수신하도록 해당 고주파(RF) 신호로 상향변환(UP-CONVERTING)하여 출력하는 고주파부(250)로 이루어져 건널목부(200)를 구성한다. The crossing unit 200 includes a high frequency unit 250 which up-converts the signal applied from the modulator 240 to a corresponding high frequency (RF) signal so as to wirelessly receive the portable terminal 100. Configur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하는 건널목부(200) 장치를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 crosswalk unit 200 for displaying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건널목부(200)는 첨부된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45)의 양쪽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고주파부(250)에서 송신되는 건널목신호가 유효한 세기를 갖는 제어영역(205)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영역(205)은 건널목(45) 양쪽의 일부이거나 또는 건널목(45) 전체 영역이 될 수 있다. The crosswalk 20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crosswalk or crosswalk 45, as shown in FIG. 3,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area 205 having a strong intensity of the crosswal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high frequency unit 250. ), The control area 205 may be part of both sides of the crossing 45 or the entire area of the crossing 45.

상기 건널목부(200)를 구성하는 건널신호발생부(210)는, 해당 중앙제어국 또는 중앙교통통제국으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45)에서 보행자가 횡단하도록 하거나 대기하도록 하는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신호등부(22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점등된 신호의 잔여 점등시간을 확인하도록 하는 시간정보를 출력한다. The crosswalk signal generator 210 constituting the crosswalk 200 may allow a pedestrian to cross at a crosswalk or crosswalk 45 or wait by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pplied from a corresponding central control station or a central traffic control station. It output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traffic light unit 220 for visually displaying a signal to be displayed, and at the same time outputs time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remaining lighting time of the lit signal.

상기와 같이 건널신호발생부(210)로부터 출력되는 건널목신호는, 상기 신호등부(220)에 출력되는 동시에 암호부(230)에 출력되며, 상기 신호등부(220)는 상기 건널신호발생부(210)로부터 인가되는 건널목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암호부(230)는 암호화하여 출력한다. The crosswalk signal output from the crosswalk signal generator 210 as described above is output to the signal light unit 220 and to the encryption unit 230, and the signal light unit 220 is the crosswalk signal generator 210. A visual display of the crossing signal applied from the), and the encryption unit 230 is encrypted and output.                     

상기 암호부(230)가 암호화하는 건널목신호는, 상기에서 설명하고 첨부된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16 비트(BIT)로 이루어지고, 2 비트(BIT)를 신호영역으로 할당하여 신호등 점멸상태를 암호화하여 표시하며, 8 비트(BIT)를 시간영역으로 할당하여 점등된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 정보를 표시한다. The crossing signal encrypted by the encryption unit 230 is made of 16 bits (BIT), a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6, the signal light flashing state by assigning 2 bits (BIT) to the signal area Is displayed by encrypting and displays the remaining lighting time information of the lit signal lamp by allocating 8 bits to the time domain.

상기와 같기 암호부(230)에 의하여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는 변조부(240)에 인가되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운용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복조할 수 있는 방식의 신호로, 일 예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고주파부(250)에 출력하며, 상기 고주파부(250)는 입력된 신호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하는 해당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환하고 안테나(ANTENNA)를 통하여 제어영역(205)에 무선송신한다. The crossing signal encrypted by the encryption unit 230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modulation unit 240 to operat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demodula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code division Modulates the signal to a multiple access (CDMA)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high frequency unit 250. The high frequency unit 250 converts the input signal into a corresponding high frequency signal received by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rough an antenna ANTENNA.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control area 205.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는, 건널목(45)에서 현재 점등중인 신호와 점등 잔여시간 정보를 시각신호, 음성신호, 점자신호 중에서 선택(OPTION)하여 표시한다. Therefore, the visually impaired crossing signal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elects (OPTION) the signal currently being lit and the remaining lighting time information from the crossing signal 45 from the visual signal, the audio signal, and the braille signal. .

이하, 상기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건널목부(200)의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method for displaying a crossing signal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t the crossing 200.

상기 건널목부(200)는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45)의 통행을 제한하는 건널목신호를 운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준비과정(S100)과, The crosswalk 200 is a preparation process (S100)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a crosswalk signal to limit the passage of crosswalks or crosswalks 45,

상기 준비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건널목부(200)에서 건널목신호를 운용하는 경우, 신호등의 점멸상태 신호를 검출하여 암호화하고 점등된 신호등의 잔여점등 시간을 검출하여 건널목신호를 암호화하는 것으로, 상기 건널신호발생부(210)로 부터 출력되는 건널목신호로부터 상기 암호부(230)가 신호등 점멸상태 신호를 검출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건널목신호의 신호영역에 2 비트(BIT)로 기록하는 과정(S110); 상기 건널신호발생부(210)로부터 출력되는 건널목신호로부터 상기 암호부(230)가 점등된 신호의 잔여 점등시간을 검출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건널목신호의 시간영역에 8 비트(BIT)로 기록하는 과정(S120)으로 이루어진 신호과정과, In the case of operating the crosswalk signal in the crosswalk unit 200 as determin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S100), by detecting the flashing state signal of the traffic light and encrypting the remaining crossover time of the lit traffic light by encrypting the crosswalk signal, The encryption unit 230 detects and encrypts the traffic light blinking state signal from the crosswalk signal output from the crosswalk signal generator 210, and records the signal as 2 bits in the signal area of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S110). ; The encryption unit 230 detects the remaining lighting time of the signal turned on from the crosswalk signal output from the crosswalk signal generator 210, encrypts it, and records 8 bits (BIT) in the time domain of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Signal process consisting of (S120),

상기 신호과정에서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는, 총 16 비트 중에서, 신호영역으로 2 비트를 할당하고, 시간영역으로 8 비트를 할당하며 나머지 비트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를 이동통신 방식으로, 일 예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으로 변조하고, 고주파(RF) 신호로 상향변환하며 안테나(ANTENNA)를 통하여 무선출력하고, 계속하는지를 판단하여(S140) 계속하는 경우에 상기 준비과정(S100)으로 궤환(FEEDBACK)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진다.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in the signal process, among the total 16 bits, allocates 2 bits to the signal area, 8 bits to the time domain, and does not use the remaining bits, the crosswalk signal encrypted as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for example, modulation b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up-conversion 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wirelessly output via an antenna ANTENNA, and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S140). If feedback (FEEDBACK) does not continue to the process (S100) is made to the output process proceeds to the end.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건널목부(200)의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ethod for displaying a crosswalk sig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crossing section 200.

상기 건널목부(200)는 횡단보도 또는 건널목(45)의 양쪽에 고정 시설되는 것으로, 건널목신호를 운용할 것인지 판단하고(S100), 건널목신호를 운용하는 경우, 건널신호발생부(210)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등 점멸상태 신호가 암호부(230)에 의하여 2 비트(BIT)로 암호화되고, 상기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신호영역에 기록되며(S110), 상기 건널신호발생부(210)에 의하여 점등된 신호의 점등유지 잔여시간 정보를 상기 암호부(230)에서 검출하고 입력하여 8 비트로 암호화하여, 상기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간영역에 기록한다(S120). The crossing 20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crosswalk or crossing 45, it is determined whether to operate the crossing signal (S100), when operating the crossing signal, the crossing signal generator 210 The generated traffic light blinking state signal is encrypted by 2 bits (BIT) by the encryption unit 230, and is recorded in the signal area as shown in FIG. Th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time of lighting the lit signal is detected by the encryption unit 230, inputted, encrypted by 8 bits, and recorded in the time domain as shown in FIG. 6 (S120).

상기와 같이 암호부(230)에 의하여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는, 변조부(240)에 인가되어, 이동통신 방식으로 변조(MODULATION) 되고, 고주파부(250)에 인가되어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고주파 신호로 상향변조되며 해당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출력(S140)되고, 계속하는지를 판단하여(S140)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준비과정(S100)으로 궤환(FEEDBACK)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한다. The crossing signal encrypted by the encryption unit 230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modulator 240, modula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lied to the high frequency unit 250 to be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Up-modulated to the wireless output through the antenna (S140), and determines whether to continue (S140) to continue if the feedback (FEEDBACK) to the preparation process (S100) and ends if not continue.

이하, 상기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8,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method for displaying a crosswalk signal for visually impaired users.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100)는 건널목(45)의 양쪽에 위치하고, 상기 건널목부(200)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어영역(205)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건널목부(200)로부터 무선으로 건널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신호영역을 분리하여 검출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120)에 의하여 건널목부(200)로부터 암호화된 건널목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200); 상기 과정(S200)에서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건널신호처리부(130)에 의하여 신호영역(a1,a2)을 분리 검출하는 과정(S210)으로 이루어진 시작과정과, The mobile terminal 100 for mobile communication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ailroad crossing 45, is located in the control area 205 formed by the railroad crossing 200, and simultaneously receives the railroad crossing signal from the railroad crossing 200. In this case, by separating and detecting the signal area, determining whether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rosswalk unit 200 by the control unit 12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200); When receiving the encrypted crossing signal in the step (S200), the first step consisting of the step (S210) of separating and detecting the signal area (a1, a2) by the crossing signal processor 130,

상기 시작과정에서 검출한 신호영역(a1,a2)을 분석하여 신호상태가 건널목을 건널 수 있는 횡단의 경우는 횡단 지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분석된 신호상태가 건널목을 건널 수 없는 대기의 경우는 대기 지시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건널신호처리부(130)에서 건널목신호로부터 검출된 신호영역(a1,a2)을 분석하여 건널목신호의 표시상태가 횡단인지 대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220); 상기 과정(S220) 에서 판단하여 신호상태가 횡단인 경우는 건널목을 건너는 횡단표시의 지시신호를 제어부(120)에 출력하는 과정(S230); 상기 과정(S220)에서 판단하여 신호상태가 건널목을 건널 수 없는 대기인 경우는 대기표시의 지시신호를 제어부(120)에 출력하는 과정(S240)으로 이루어진 지시과정과, In the case of the crossing where the signal state can cross the crosswalk by analyzing the signal regions a1 and a2 detected in the starting process, the crossing indication signal is output, and in the case of the atmosphere where the analyzed signal state cannot cross the crosswalk. Outputting a wait indication sig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isplay state of the crossing signal is crossing or waiting by analyzing the signal regions a1 and a2 detected by the crossing signal processing unit at the crossing signal processing unit 130 (S22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0 that the signal state is crossing, outputting an indication signal of a crossing indication crossing the crossing to the controller 120 (S230); In the process (S220), if the signal state is the standby can not cross the crossing, the instruction process comprising the step (S240) of outputting the indication signal of the wait display to the control unit 120,

상기 과정의 건널목신호로부터 시간영역(a4 내지 a11)을 분리검출하고 잔여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지시신호와 함께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건널신호처리부(130)에서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로부터 시간영역을 분리검출하는 과정(S250); 상기 과정(S250)에서 검출된 시간영역(a4 내지 a11)을 복호화하고 분석하여 현재 점등된 신호의 잔여점등 시간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제어부(120)에 출력하는 과정(S260); 상기 제어부(120)는 입력된 지시신호와 잔여시간정보를 해당 기능부에 출력하여 설정된 방식으로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도록 출력하는 과정(S270)으로 이루어진 시간과정으로 구성된다. Time zones a4 to a11 are separately detected from the crosswalk signal of the process, and the remaining time is analyzed and output in a manner set together with the indication signal. The time zone is converted from the crosswalk signal encrypted by the crosswalk signal processor 130. Separating and detecting the process (S250); Decoding and analyzing the time domains (a4 to a11) detected in the process (S250) to check the remaining lighting time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lit signal and outputting it to the controller (S260); The control unit 120 is configured to output the input signal and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al unit to output a crosswalk signal in a set manner (S270).

상기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는 설정된 방식은,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120)가 시각표시부(140)를 이용하여 건널목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음성부(150)를 이용하여 건널목신호를 음성신호로 표시하며, 점자부(160)를 이용하여 건널목신호를 점자로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와 같은 표시방식을 전부 또는 일부 선택하고, 상기 점자부(160)는, 부분적으로 돌출 됨으로 신호를 표시하거나 부분적으로 열 발생하여 신호를 표시하는 방식을 선택 이용한다. In the set method of displaying the crossing signal, the control unit 1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visually displays the crossing signal using the visual display unit 140, and uses the audio unit 150 to generate the crossing signal. In addition, the crossing signal is displayed in Braille by using the braille unit 160, and all or part of the above display method is selected, and the braille unit 160 is partially protruded to display or partially display the signal. Select the method of generating heat to display the signal.

이하,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표시방법을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displaying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of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120)는 고주파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여, 건널목부(200)로부터 송신되는 건널목신호가 수신되고 검출되는지를 판단하고(S200), 상기 판단(S200)에서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수신된 건널목신호를 건널신호처리부(130)에 출력하며, 상기 건널신호처리부(130)에서 신호영역(a1,a2)을 분리검출하며(S210), 상기 분리검출된 신호영역의 암호화(ENCODING)된 신호를 복호화(DECODING)하여 건널목신호의 상태가 건널 수 있는 횡단상태 인지 또는 건널 수 없는 대기상태 인지를 판단한다(S220). The control unit 12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high frequency unit 110 to determine whether a crosswalk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rosswalk unit 200 is received and detected (S200). When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is received at S200, the received crosswalk signal is output to the crosswalk signal processor 130, and the crosswalk signal processor 130 separately detects the signal areas a1 and a2 (S210). In step S2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te of the crossing signal is a crossing state or a non-crossing standby state by decrypting the encrypted signal of the separated detected signal region.

상기 건널신호처리부(130)에서 판단(S220)하여, 건널 수 있는 횡단상태의 경우에 횡단을 표시하는 신호를 제어부(120)에 출력하고(S230), 건널 수 없는 대기상태의 경우는 대기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어부(120)에 출력한다(S240). The crossing signal processing unit 130 determines (S220), and outputs a signal indicating the crossing to the control unit 120 in the case of the crossing state that can be crossed (S230), and displays the standby in the case of the standby state that can not cross The signal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120 (S240).

또한, 상기 건널신호처리부(130)는 암호화되어 입력된 건널목신호로부터 시간영역(a4 내지 a11)을 분리하여 검출하고(S250), 상기 검출된 시간영역 신호를 복호화(DECODING)하며, 현재 점등된 신호의 잔여점등 시간정보를 분석(S260)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인가한다. In addition, the cross signal processing unit 130 separates and detects the time domains a4 to a11 from the encrypted crossing signal (S250), decrypts the detected time domain signal (DECODING), and currently turns on the signal. The remaining lighting time of the analysis is analyzed (S260) and applied to the controller 120.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된 잔여점등 시간정보와 점멸 신호상태를 선택(OPTION)에 의하여 시각적을 표시하는 시각표시부(140), 음성신호로 표시하는 음성부(150), 점자신호로 표시하는 점자부(160)에 출력하여 건널목신호를 표시한다.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input remaining lighting time information and the flashing signal state by the OPTION, the visual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the visual, the voice unit 150 for displaying the voice signal, and the braille signal. Output to the braille unit 160 to display a crossing signal.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건널목(45)의 신호등이 현재 점등된 상태를 점자 또는 음성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점등된 신호의 잔여점등 시간정보를 확인하므로, 지금 건너 갈 수 있는지 또는 다 음 신호를 기다리는 것이 좋은지를 판단하므로, 안전하게 건널목을 건넌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the mobile terminal 100, while confirming the state of the light signal of the crosswalk 45 is currently lit by braille or voice at the same time checking the remaining light time information of the lit signal As you decide whether you can cross now or wait for the next signal, cross the railroad crossing safely.

상기와 같은 구성은, 시각장애인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건널목 신호등 체계를 음성신호 및 점자신호로 정확하게 확인하므로, 건널목을 안전하게 건너는 사회복지 향상의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accurately checks the crossing signal system with a voice signal and a braille signal using a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thus has an effect of improving social welfare safely crossing the crossing.

또한, 시각장애인이 휴대단말기의 부가기능을 이용하여 건널목을 안전하게 건너며, 휴대단말기의 활용도를 제고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visually impaired person crosses a railroad crossing safely using an additional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has a convenient effect in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the mobile terminal.

Claims (19)

건널목으로부터 무선출력되는 건널목 신호를 수신하고 하향변환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출력하는 고주파부와, A high frequency unit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a railroad crossing and down-converting the signal as a baseband signal;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인가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분석하여 건널목 신호를 분리검출하고 각 기능부를 제어 감시하는 제어부와, A control unit for separating and detecting a crossing signal by analyzing a baseband signal applied from the high frequency unit, and controlling and monitoring each functional unit; 상기 제어부로부터 건널목 신호를 입력하고 신호등의 점멸상태와 잔여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건널신호처리부와, A crossing signal processing unit for inputting a crossing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analyzing and outputting a blinking state and remaining time information of a traffic light;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시부와, A time display unit for visually processing the control signal and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음성 신호로 출력하는 음성부와, A voice unit for processing the control signal and crossing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점자 신호로 출력하는 점자부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portable termin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braille unit for processing a control signal and crosswalk state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and outputting the signal as a braille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고주파부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건널목 신호를 검출하여 건널신호처리부에 출력하며, Detects a crosswalk signal from the baseband signal input from the high frequency unit and outputs the crosswalk signal to the crosswalk signal processor, 상기 건널신호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건널목 상태정보를 시각표시부와 음성 부와 점자부에 각각 출력하여 시각신호와 음성신호와 점자신호로 각각 표시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A display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handsets, comprising: displaying crosswalk sta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crosswalk signal processor, and outputting the crosswalk state information to the time display unit, the audio unit, and the braille unit, respectively, to display the time signal, the audio signal, and the braille signal, respective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널신호처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ross signal processing unit,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건널목 신호를 입력하고, 신호등의 점멸상태와 점등된 신호의 잔여시간을 검출 분석하여 건널목 상태정보로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And inputting a crossing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detecting and analyzing a blinking state of a traffic light and a remaining time of a lit signal, and outputting the crossing cros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as crossing state information.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시각표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표시하고, The time display unit displays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to visually confirm, 상기 음성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음성신호로 확인하도록 출력하고, The voice unit processes the control signal and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 unit and outputs it to confirm as a voice signal, 상기 점자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와 건널목 상태정보를 처리하여 점자신호로 확인하도록 출력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And the braille unit is configured to process the control signal and the crossing state information inpu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output the processed braille signal to confirm it as a braille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terminal, 이동통신을 위한 해당 제어부와 기능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A visually impaired crossing signal portable termin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and a function unit for mobile communication. 건널목 통행을 제한하는 건널목신호를 발생하고 출력하는 건널신호발생부와, A crossing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rossing signal for limiting crossing traffic; 상기 건널신호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건널목신호에 의하여 건널목 통행을 제한하는 시각신호를 출력하는 신호등부와, A signal lamp unit for outputting a visual signal for limiting crossing traffic by a crossing signal inputted from the crossing signal generator; 상기 건널신호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건널목신호를 암호화하는 암호부와, An encryption unit for encrypting the crossing signal inputted from the crossing signal generation unit; 상기 암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휴대단말기에서 분석하도록 변조하는 변조부와,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signal applied from the encryption unit to be analyzed by the mobile terminal; 상기 변조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휴대단말기가 수신하도록 상향변환하여 출력하는 고주파부로 이루어져 건널목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And a high-frequency unit configured to up-convert and output a signal applied from the modulator to receive the portable termina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건널신호발생부는,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ross signal generator comprises: 상기 신호등부에 구비되는 통행허용과 통행제한 표시 신호등의 점멸상태를 제어하는 신호와, A signal for controlling a blinking state of a traffic allowance and a traffic restriction display signal provided in the traffic light unit;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점등된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 정보로 이루어지는 건널목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portable terminal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output a crosswalk signal comprising residual lighting time information of a signal lamp lit by the control signa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부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encryption unit, 상기 건널신호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건널목신호를 분석하여 신호등 점멸상 태를 제어하는 신호는 암호화하여 신호영역에 기록하고, Analyzing the crossing signal signal inputted from the crossing signal generator, the signal controlling the blinking state of the traffic light is encrypted and recorded in the signal area, 점등된 신호등의 잔여 점등시간 정보는 암호화하여 시간영역에 기록하여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Residual lighting time information of the lit signal light is encrypted and recorded in the time domain to output an encrypted crosswalk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제8 항에 있어서,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상기 신호영역으로 2 비트를 할당하고, 상기 시간영역으로 8 비트를 할당하며 나머지는 사용하지 않는 총 16 비트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장치. And 2 bits allocated to the signal region, 8 bits allocated to the time region, and 16 bits not used. 휴대단말기는 건널목부로부터 건널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신호영역을 분리하여 검출하는 시작과정과,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crossing signal from the crossing section, the mobile terminal separates and detects the signal area; 상기 과정에서 검출한 신호영역을 분석하여 신호상태가 횡단의 경우는 횡단 지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분석된 신호상태가 대기의 경우는 대기 지시신호를 출력하는 지시과정과, An instruction process of analyzing the signal region detected in the above process and outputting a crossing instruction signal when the signal state is crossing, and outputting a standby instruction signal when the analyzed signal state is standby; 상기 과정의 건널목신호로부터 시간영역을 분리검출하고 잔여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지시신호와 함께 설정된 방식으로 출력하는 시간과정으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에서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방법.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display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signal is separated from the crosswalk signal of the process and the remaining time is analyzed to output the output signal in a manner set with the indication signal. Way.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arting process,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하여 건널목부로부터 암호화된 건널목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an encrypted cross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rossing unit by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의 건널신호처리부에 의하여 신호영역을 분리검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방법. And receiving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wherein the signal area is separated and detected by the crosswalk signal processor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struction process, 상기 휴대단말기의 건널신호처리부에서 건널목신호로부터 검출된 신호영역을 분석하여 건널목신호의 표시상태가 횡단인지 대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Analyzing the signal area detected from the crossing signal by the crossing signal processor of the portable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state of the crossing signal is crossing or waiting; 상기 표시상태가 횡단인 경우는 횡단표시의 지시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Outputting an indication signal of a crossing display to a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display state is crossing; 상기 표시상태가 대기인 경우는 대기표시의 지시신호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방법. And if the display state is standby, outputting an indication signal of the standby display to a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ime course, 상기 휴대단말기의 건널신호처리부에서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로부터 시간영역을 분리검출하는 과정과, Separating and detecting a time domain from the crossing signal encrypted by the crossing signal processor of the portable terminal; 검출된 상기 시간영역을 복호화하고 분석하여 현재 점등된 신호의 잔여점등 시간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에 출력하는 과정과, Decoding and analyzing the detected time domain to confirm remaining lighting time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lit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to th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는 입력된 지시신호와 잔여시간정보를 해당 기능부에 출력하여 설정된 방식으로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방법. And a control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input indication signal and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to a corresponding function unit to display the crossing signal in a set mann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는 설정된 방식은,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t method of displaying the crossing signal is as follows. 상기 제어부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시각표시부를 이용하여 건널목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방식, 상기 휴대단말기의 음성부를 이용하여 건널목신호를 음성신호로 표시하는 방식, 상기 휴대단말기의 점자부를 이용하여 건널목신호를 점자로 표시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방법. The control unit visually displaying the crossing signal using the visual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ing the crossing signal using the audio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s a voice signal, and using the braille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to cross the crossing signal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portable terminal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 least one of the display method.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부는,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braille portion, 건널목신호를 점자신호로 출력하는데 있어서, 부분 돌출이나 부분 열 발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방법. A visually impaired crosswalk signal portable terminal displaying method for outputting a crosswalk signal as a braille signal, using partial protrusion or partial heat generation. 건널목부는 건널목의 통행을 제한하는 건널목신호를 운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준비과정과, The railroad crossing preparatory process for judging whether or not to operate a crosswalk signal that restricts passage of the crosswalk; 상기 건널목신호를 운용하는 경우, 신호등의 점멸상태 신호를 검출하여 암호화하고 점등된 신호등의 잔여점등 시간을 검출하여 건널목신호를 암호화하는 신호과정과, A signal process of detecting and encrypting a blinking state signal of a traffic light and encrypting a crossing signal by detecting a remaining lighting time of a lit traffic light when the crossing signal is operated; 상기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를 이동통신 방식으로 변조하고 고주파신호로 출력하며 계속하는 경우에 상기 준비과정으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로 진행하는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져 건널목부에서 건널목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방법. When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is modula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outputted as a high frequency signal, the signal is returned to the preparation process when the signal is continued and the output signal proceeds to the end when the signal is not continued. Method for displaying a visually impaired crossing signal handheld terminal.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ignal process, 건널신호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건널목신호로부터 암호부가 신호등 점멸상태 신호를 검출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건널목신호의 신호영역에 기록하는 과정과, Encrypting and detecting a signal flickering state signal from a crosswalk signal output from the crosswalk signal generator, and recording the signal in a signal area of an encrypted crosswalk signal; 상기 건널신호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건널목신호로부터 상기 암호부가 점등된 신호의 잔여 점등시간을 검출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건널목신호의 시간영역에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방법. The visually impaired crossing signal portable terminal display comprises a process of detecting the remaining lighting time of the signal on which the encryption unit is lit from the crossing signal output from the crossing signal generator, encrypting it, and recording it in the time domain of the encrypted crossing signal. Way.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건널목신호는,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encrypted crosswalk signal, 상기 신호영역으로 2 비트를 할당하고, 상기 시간영역으로 8 비트를 할당하며, 나머지 비트는 사용하지 않는 16비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방법. And 2 bits are allocated to the signal region, 8 bits are allocated to the time region, and 16 bits are not used for the remaining bit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output process, 상기 고주파로 출력되는 건널목신호를 건널목 인근주변에서만 수신하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건널목신호 휴대단말기 표시방법. And displaying the crossing signal output at the high frequency so as to be received only in the vicinity of the crossing.
KR1020030059185A 2003-08-26 2003-08-26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ing signal with mobile phone for blind person KR1010025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185A KR101002501B1 (en) 2003-08-26 2003-08-26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ing signal with mobile phone for blind pers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185A KR101002501B1 (en) 2003-08-26 2003-08-26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ing signal with mobile phone for blind per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093A KR20050021093A (en) 2005-03-07
KR101002501B1 true KR101002501B1 (en) 2010-12-17

Family

ID=3722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185A KR101002501B1 (en) 2003-08-26 2003-08-26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ing signal with mobile phone for blind pers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5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572B1 (en) 2020-12-03 2021-08-26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Apparatus of Analyzing Images Regarding to Pedestrian Crossing Environ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9799A (en) * 1990-07-11 1992-03-04 Nec Corp Traffic sigsnal unit control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KR19980072020A (en) * 1998-07-14 1998-10-26 정한기 Voice guide for pedestrian cross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0194064B1 (en) * 1996-04-25 1999-06-15 채광선 Traffic signal guide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control method
JP2000231694A (en) * 1999-02-08 2000-08-22 Nec Mobile Commun Ltd Traffic signal communication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JP2001243593A (en) * 2000-02-29 2001-09-07 Nec Mobile Commun Ltd Traffic signal control method and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81797Y1 (en) * 2002-03-13 2002-07-13 (주)한길핸디케어 intelligent audio guidance system for traffic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9799A (en) * 1990-07-11 1992-03-04 Nec Corp Traffic sigsnal unit control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KR100194064B1 (en) * 1996-04-25 1999-06-15 채광선 Traffic signal guide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control method
KR19980072020A (en) * 1998-07-14 1998-10-26 정한기 Voice guide for pedestrian crossing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0275669B1 (en) * 1998-07-14 2000-12-15 김선호 Sound guidance apparatus for announcing the pedestrian crosssing to visual handicapped person
JP2000231694A (en) * 1999-02-08 2000-08-22 Nec Mobile Commun Ltd Traffic signal communication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JP2001243593A (en) * 2000-02-29 2001-09-07 Nec Mobile Commun Ltd Traffic signal control method and traffic signal control syste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81797Y1 (en) * 2002-03-13 2002-07-13 (주)한길핸디케어 intelligent audio guidance system for traffic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572B1 (en) 2020-12-03 2021-08-26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Apparatus of Analyzing Images Regarding to Pedestrian Crossing Environ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093A (en)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9425B1 (en) Terminal usage limiting apparatus
US5335355A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analog and digital modulation
US6415146B1 (en) Wireless system enabling mobile-to-mobile communication
KR101355190B1 (en) Establishment of a connec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US20070072614A1 (en) Handover control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896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on of channel in 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ES2098459T3 (en) PROCEDURE FOR THE DETECTION OF MOBILE STATIONS IDENTIFIED FRAUDULENTLY IN A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000972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mobile station presence in a special area
ATE527837T1 (en) MOBILE STATION
CN113632535A (en) User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501175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messages in a network
CA2409863A1 (en) Method for setting up a conn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ing mobile radio network, mobile radio network and terminal therefor
KR10100250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rossing signal with mobile phone for blind person
KR20020058647A (en) method for guiding a traffic information using a mobile-phone
WO20000011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l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179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a mobile terminal in reselecting or transferring cells between different technologies
KR100407936B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among vehicles with wireless in intelligent traffic network system, and terminal for realizing the method
KR100594080B1 (en) System and mothod for controlling displaying origination number
JPH06350515A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obile station equipment
ES2260361T3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OBILE STATIONS AND FACILITIES FOR USE.
WO2005067324A1 (en) Mode of operation of a moving cellular radio network
JP2002267484A (en) Guidance system and terminal device to be guided
JPH0738959A (en) Radio telephone system
JP378909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2291014A (en) Mobile station radio channel switc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