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091B1 - Case for cosmetic - Google Patents

Case for cosmet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091B1
KR101002091B1 KR1020100061974A KR20100061974A KR101002091B1 KR 101002091 B1 KR101002091 B1 KR 101002091B1 KR 1020100061974 A KR1020100061974 A KR 1020100061974A KR 20100061974 A KR20100061974 A KR 20100061974A KR 101002091 B1 KR101002091 B1 KR 10100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plate
plate
relay
rela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 filed Critical (주)신영
Priority to KR102010006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09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0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2Containers with lids or covers at the top and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PURPOSE: A cosmetic case is provided, which can enhance convenience of use by automatically opening a cover by a simple operation in use of a case. CONSTITUTION: A cosmetic case comprises: a base plate(10) having a receiving part in which contents are received; a relay plate(20) which is arranged at the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and slides rearward based on the base plate; a cover(30) arranged on the top of the relay plate; and an automatic turning member opening the receiving part of the relay plate by rotating the cover in sliding movement of the relay plate.

Description

커버의 자동 오픈구조를 구비한 화장용 케이스{CASE FOR COSMETIC}Cosmetic case with automatic open structure of cover {CASE FOR COSMETIC}

본 발명은 화장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2단으로 플레이트가 구비된 케이스에서 내용물이 수용된 하단 플레이트를 인출하여 상단 플레이트를 덮고 있는 커버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케이스가 오픈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한층 강화시킨 커버의 자동 오픈구조를 구비한 화장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ase, and in two stages of the case with a plate withdraw the lower plate containing the contents to cover the upper plate is automatically rotated to open the case to further enhance the ease of u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ase having an automatic opening structure of a cover.

여성들이 사용하는 화장품으로는 스킨, 로션 등과 같은 기초 화장품에 속하는 제품이 있는가 반면, 콤팩트, 아이쉐도우 등과 같이 색조 화장품에 속하는 제품이 있다.
Cosmetics used by women include products belonging to basic cosmetics such as skins and lotions, while products belonging to color cosmetics such as compacts and eyeshadows.

특히 색조 화장의 경우 화장을 마친 후에도 언제 어디에서나 화장 상태를 확인해야하는데, 이때 땀 등으로 인해 색조 화장이 지워진 경우에는 수정을 해야하기에 색조 화장품 제품들은 통상적으로 휴대하기 쉽도록 작은 부피의 제품들로 구성된다.Especially in case of color make-up, make-up condition should be checked at any time and anywhere even after makeup. In this case, color cosmetic products are usually small volume products to be easy to carry because color make-up should be corrected because of sweat etc. It consists of.

또한 색조 화장은 피부상태를 확인하면서 화장을 하여야 하기에 이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거울은 필수이기에, 색조 화장 제품에는 거울이 부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olor make-up should be done while checking the skin condition, so the mirror that can be checked at any time is a necessity.

또한 다양한 색조 화장을 즐기다보니, 휴대성을 위해 1단으로 이루어져 한 가지 색조 제품만이 구비된 색조 제품보다는 2단 이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종류의 색조 화장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색조 제품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인데, 물론 이러한 색조 화장 제품의 커버에는 항상 거울이 구비된다.
In addition, as a result of enjoying a variety of color make-up, it is provided with a color product provided to make various kinds of color make-up made up of two or more steps rather than a color product consisting of only one color product for portability. Of course, the cover of this color cosmetic product is always provided with a mirror.

따라서 사용자들은 우선 커버를 열고, 다단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색조 제품들이 수용된 플레이트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인출시키거나 회전시켜 케이스를 오픈시킨 후 화장을 하게 되는데, Therefore, users open the cover first, and then make the makeup after opening the case by individually drawing or rotating each of the plates containing the various color products made up of multiple stages.

통상적으로 집이 아닌 외부에서 이러한 화장을 고치는 작업이 이루어지다보니 케이스라도 보다 간편하게 열고 닫고 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제품에 대한 수요자들의 요구가 형성되게 되었다.
Usually, the work of fixing such a makeup is performed outside the home, so that the demands of consumers for a product having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case more easily are formed.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0049호(2007.08.09)『화장품케이스』가 개시된바 있다. 등록특허 제10-750049호는 색조 화장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화장품수납용기를 슬라이드커버가 슬라이드방식으로 개방하면 거울수납커버가 180°회동되면서 거울수납덮개의 이면에 부착된 제2거울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화장품케이스인 것으로, In this regar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750049 (2007.08.09) "Cosmetic Case" has been disclosed. Patent No. 10-750049 discloses the use of a second mirror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mirror storage cover while the mirror storage cover rotates 180 ° when the slide cover opens the cosmetic storage container that can accommodate color cosmetics. Being a cosmetic case configured to be possible,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하는 차원에서 고안된 것이나 이하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 그리고 구성 등과는 거리가 있는 기술이다.
It is designed in order to increase the ease of use, but the following is a technology that is far from the purpose an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ursu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화장품 케이스에서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편함을 개선하여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내용물을 2단으로 채울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면서도 케이스 사용에 있어 간단한 작업으로 커버가 자동적으로 오픈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convenience by improving the inconvenience that users feel in the conventional cosmetic case, while providing a case that can fill the contents in two stages, the cover can be opened automatically with a simple operation in case u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that can be used more easily.

또한 사용 후 오픈된 커버 역시 자동으로 닫힐 수 있는 구조의 케이스 또는 커버를 인위적으로 닫는 행위를 통해 인출되었던 플레이트가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돌아가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case in which the cover which has been opened after use can also be automatically closed, or a case in which the plate that has been drawn out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artificially closing the cover.

종국적으로는 하나의 동작을 통해 커버 및 플레이트의 오픈이 가능하고, 하나의 동작을 통해 커버 및 플레이트의 닫힘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in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in which a cover and a plate can be opened through one operation, and a cover and a plate can be closed through a single operatio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장용 케이스는,Cosmetic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베이스플레이트와,A base plate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contents therein;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중계플레이트와, A relay plate having an accommodation portion for receiving contents, the relay plate being disposed above the base plate and slidably moved backward from the base plate;

상기 중계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와 그리고 A cover disposed on the relay plate and

상기 중계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시 커버를 회동시켜 중계플레이트의 수용부를 오픈시키는 자동회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utomatic rotating means for open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relay plate by rotating the cover dur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elay plate.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커버의 후방에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은 중계플레이트에 형성된 대응축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대응축홈에 삽입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of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haft groove formed in the relay plate is rotated on the basis of the rotating shaft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haft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자동회동수단은 In addition,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직선형으로 기어가 배열된 제1기어부와, 상기 커버에 구비된 것으로 커버 회동시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려 커버를 자동 오픈시키는 제2기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A first gear part having gears arranged in a linear shape on the base plate, and a second gear part which is provided in the cover and meshes with the first gear part when the cover is rotated to automatically open the cover.

다르게는 본 발명의 자동회동수단은 로프 형태로써,Alternatively,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rope,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고 타단이 커버에 장착되어 베이스플레이트 인출시 커버를 회동시키고, 회동된 커버를 닫으면 인출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견인하여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end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on the cover to rotate the cover when the base plate is pulled out, and when the closed cover is closed, the drawn base plate is towed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화장용 케이스에 의하면, 커버를 회동시키고 베이스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두 단계의 작업을 통해 케이스의 사용이 가능하였던 종래 화장용 케이스에 비해, According to the cosmetic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smetic case was able to use the case through a two-step operation of rotating the cover and withdrawing the base plate forward,

자동회동수단을 구비함으로 인해 베이스플레이트의 인출만으로 커버가 자동 회동되어 오픈이 되기에 사용이 편리해졌으며, Equipped with automatic rotating means, the cover is automatically rotated and opened by simply pulling out the base plate.

나아가 사용 후에도 자동회동수단으로 인해 인출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작업에 통해 커버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되거나 반대로 커버를 닫는 작업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방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역시 편의성을 강화시켰다는 효과를 가진다.
Furthermore, even after use, the cover is automatically closed by sliding the base plate drawn out by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or the rear sliding of the base plate may be performed by closing the cover, thereby enhancing convenienc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관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tate diagram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용 케이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smetic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히 본 발명의 명칭에는 화장용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케이스는 케이스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따라 그 용도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을 꼭 화장용 케이스로 한정하여 해석할 필요는 없다.
In particular, the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expression cosmetic, but the practical use of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as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limited to the cosmetic case none.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본 발명의 케이스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0a)를 가진 베이스플레이트(10)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20a)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는 중계플레이트(20)와, 상기 중계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30)와, 그리고 상기 중계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시 커버를 회동시켜 중계플레이트의 수용부를 오픈시키는 자동회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e plate (10) having a receiving portion (10a) for receiving the contents, a receiving plate (20a) for receiving the contents, the relay plate 20 disposed on the base plate and the It includes a cover 3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lay plate, and an automatic rotation means 40 for open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relay plate by rotating the cover during sliding movement of the relay plate.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플레이트(10, 20)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수용부(10a, 20a)의 형상은 케이스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변경가능한 것으로,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10a, 20a) specifically shown in the plate (10,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rawings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pecific use of the case,

화장용으로 본 발명의 케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플레이트의 수용부(20a)에는 콤팩트를 채우고, 하부 플레이트인 베이스플레이트 수용부(10a)에는 각종 아이쉐도우를 채워 사용할 수 있으며, When using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smetic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ceiving portion 20a of the relay plate may be filled with a compact, and the base plate receiving portion 10a, which is a lower plate, may be filled with various eyeshadows.

용도에 따라 상기 수용부들의 다양한 구조 변경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Various structural changes of the receivers may also be possible depending on the use.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Referring back to Figures 1 and 2,

베이스플레이(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중계플레이트(20)는 베이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The relay plate 20 disposed above the base play 10 has a structure that is slidably moved to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참고로 본 발명의 각 플레이트(10, 20)간 이동을 설명하는 표현은 사용자의 구체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그 표현방식이 달라진다.For reference, the expression describing the movement between the plates 10 an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specific usage method of the user.

즉 베이스플레이트(10)를 기준으로 중계플레이트(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는 표현은 사용자가 베이스플레이트를 잡고서 중계플레이트를 후방으로 밀어 사용하는 형태를 설명한 표현인 것이고,That is, the expression that the relay plate 20 is slid backward based on the base plate 10 is an expression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the user grabs the base plate and pushes the relay plate backward.

사용자가 중계플레이트(20)를 잡고서 베이스플레이트(10)를 앞으로 당기면서 본 발명의 케이스를 사용하게 된다면 베이스플레이트가 중계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는 표현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어서 If the user uses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holding the relay plate 20 and pulling the base plate 10 forward, it is possible to use the expression that the base plate is slid forward based on the relay plate.

이하에서는 언급된 두 가지 표현 중 하나만을 사용하더라도 이 두 가지의 상황을 모두 포함하는 표현이라는 것을 밝힌다.
Hereinafter, even if only one of the two expressions mentioned is used as an expression that covers both of these situations.

하지만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고려할 때, 사용시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를 잡고서 중계플레이트(20)를 후방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서 케이스의 커버(30)를 오픈시킬 것이고, In general,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ease of use, the cover 30 of the case will be opened by sliding and sliding the relay plate 20 to the rear while holding the base plate 10.

사용 후에는 중계플레이트(20)를 잡고 전방으로 나와있는 베이스플레이트(10)를 후방으로 밀어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서 케이스의 커버(30)를 덮개 될 것이다.
After use, the cover 30 of the case will be covered by holding the relay plate 20 and sliding the base plate 10 forward and sliding forward.

이와 같은 플레이트간의 슬라이딩 이동은 베이스플레이트(10) 내측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로드(11)와 중계플레이트(20) 외측에 형성된 돌부(21)를 통해 이루어진다.Such a sliding movement between the plates is made through the sliding rod 11 formed inside the base plate 10 and the protrusion 21 formed outside the relay plate 20.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의 측면 내측으로는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직선 홈 형태의 슬라이딩 로드(1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That is, as shown in the figure, sliding rods 11 in the form of linear grooves for sliding movement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s of the base plate, respectively.

중계플레이트의 측면 외측으로는 상기 슬라이딩 로드에 삽입되어 원활한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돌부(2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A protrusion 21 is protrud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elay plat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rod to ensure smooth movement.

그리고 본 발명의 커버(30)는 후방이 중계플레이트(20)에 결합되어 결합된 부분을 축으로 하여 커버(30)의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And the cov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back is coupled to the relay plate 20, the rotation of the cover 30 is made to the axis of the combined portion,

상기 커버(30)는 중계플레이트의 수용부를 덮는 덮개부(31)와, 덮개부의 후단에서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측면에 회전축(32a)이 구비된 축부(32)로 이루어진다.The cover 30 is formed of a cover portion 31 cover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relay plate and the shaft portion 32 having a rotating shaft 32a on the side to be connected at the rear end of the cover portion.

그리고 중계플레이트(20)에는 상기 축부(32)가 안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측에는 커버의 회전축(32a)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대응축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And the relay plate 20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22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shaft portion 32 is placed, and the corresponding shaft groove 22a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32a of the cover is inserte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pace portion. Formed.

따라서 상기 커버의 회전축(32a)이 중계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된 대응축홈(22a)에 삽입되어 커버의 회동이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rotating shaft 32a of the cover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haft groove 22a formed at the rear of the relay plate to rotate the cover.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축(32a)과 대응축홈(22a) 사이에 코일스프링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는 중계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커버(30)가 축결합 후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oil sprin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32a and the corresponding shaft groove 22a, which prevents the cover 30 from shaking left and right after the shaft coupling 20 based on the relay plate 20. To do this.

다만, 회동되는 커버(30)의 회동각을 제한할 필요가 있어 본 발명의 중계플레이트(20)에는 커버의 회동각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거인데, 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cover 30 to be rotated, the relay plat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topper 23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v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플레이트의 후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계플레이트에 형성된 공간부(22)의 후방에는 상부로 돌출된 스토퍼(23)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퍼(23)에 회동되는 커버(30)의 일면이 접함으로써 더 이상의 커버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2, the rear end of the relay plate, more specifically, is provided with a stopper 23 protruding upward from the rear of the space part 22 formed in the relay plate, and is rotated by the stopper 23. One side of the contact so that no further cover rotation is made.

다음으로 자동회동수단(40)을 살펴보면, Next, look at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40,

본 발명의 자동회동수단(40)은 중계플레이트의 후방 슬라이딩 이동(다른 표현으로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방 슬라이딩 이동)시 커버(30)를 자동으로 오픈시키기 위한 것으로,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open the cover 30 during the rear sliding movement of the relay plate (in other words, the front sliding movement of the base plate),

상기 자동회동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직선형으로 기어가 배열된 제1기어부(41)와, 커버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리는 제2기어부(42)로 이루어진다.The automatic rotation means includes a first gear part 41 in which gears are linearly arranged on the base plate 10, and a second gear part 42 which is provided on the cover and meshes with the first gear par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기어부(42)는 커버의 축부(32)에 구비된 것으로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축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gear portion 42 is provided on the shaft portion 32 of the cover and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가 닫혀져 있을 때에는 제1기어부(41)와 제2기어부(42)가 맞룰리되 각각 최선방에 위치한 기어들이 맞물려 있는 상태로 있게 되고, Therefore, as shown in FIG. 3, when the cover 30 is closed, the first gear part 41 and the second gear part 4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gears positioned at the most uppermost part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이후 사용자가 베이스플레이트(10)를 잡고 중계플레이트(20)의 후방을 밀게 되면(보다 정확히는 베이스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임), 제2기어부(42)의 다음 기어들이 순차적으로 제1기어부(41)와 맞물리게 되고, Then, when the user grabs the base plate 10 and pushes the rear of the relay plate 20 (more precisely, the base plate is moved forward), the next gears of the second gear part 42 are sequentially in the first gear part. Mesh with (41),

이로 인해 커버(30)가 회동되어 중계플레이트의 수용부(20a)가 개방된다.
As a result, the cover 30 is rotated to open the receiving portion 20a of the relay plate.

즉 이와 같은 자동회동수단(40)을 통하면 사용자가 커버를 회동시키는 별도 동작 없이도 자동적으로 커버를 오픈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rough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40, the user can automatically open the cover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of rotating the cover.

물론 사용이 끝난 후 사용자는 중계플레이트(20)를 잡고서 베이스플레이트(1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다른 표현으로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잡고 중계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Of course, after the end of the user using the relay plate 20 to slide the base plate 10 to the rear (in other words, if you hold the base plate and slide the relay plate forward),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기어부(41)와 맞물려 있는 제2기어부(42)의 순차적인 제1기어부(41)와의 맞물림 작동에 의해 커버(30)가 자동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닫히게 된다.
The cover 30 is automatically rotated and cl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engagement operation of the first gear part 41 of the second gear part 42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art 41 formed on the base plate.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케이스는 중계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기 이한 잠금수단(50)이 케이스 전방에 위치한다. Next,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means 50 for controll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elay plate is located in front of the case.

이는 원하지 않는 순간에 중계플레이트(2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인 것으로 This is to prevent the case that the relay plate 20 is slid rearward at an undesired moment

상기 잠금수단(50)은, 도 2를 참조하면, 걸림공(51a)이 형성된 본체(51)와, 상기 본체 상단에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플레이트의 잠금 해제를 위해 누르게 되는 누름부(52)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에서 연결형성되는 걸침부(52)로 이루어진다.
The locking means 50, referring to Figure 2, the engaging portion 51a is formed with the main body 51, the pressing portion 52 that the user is pressed to unlock the plate to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And, the engaging portion 52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특히 중계플레이트(20)에는 누름부(52)가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중계공(24)이 전방의 상면에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걸침부(53)가 걸쳐져 잠금수단이 특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안치부(25)가 형성되어 있다.
In particular, the relay plate 20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y hole 24 through which the pressing portion 52 penetrates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latching portion 53 spans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locking means is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Settlement portion 25 is formed to make it possible.

따라서 잠금수단(50)은 누름부(52)가 중계공(24)을 관통하면서 걸침부(53)가 안치부(25)에 걸쳐져서 중계플레이트에 고정되게 되는데,Therefore, the locking means 50 is fixed to the relay plate while the pressing portion 52 penetrates the relay hole 24 and the latching portion 53 spans the settled portion 25.

이와 동시에 본체에 형성된 걸림공(51a)으로 베이스플레이트 전방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2)이 삽입되는데, 특히 상기 걸림공(51a)에는 걸림턱(12)에서 돌출된 단부에 걸려 베이스플레이트의 인출을 제어하는 단턱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At the same time, the locking jaw 12 formed in the front side of the base plate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51a formed in the main body. In particular, the locking hole 51a is hooked to the end protruding from the locking jaw 12 to draw out the base plate. The step part 51b which controls is formed.

상기 걸림공(51a)은 걸림턱(12)의 크기보다 큰 공간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걸림턱(12)에 대한 단턱부(51b)의 걸림해제를 위한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The locking hole 51a is formed as a spac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ocking jaw 12, in order to provide a necessary space for the release of the stepped portion 51b with respect to the locking jaw 12.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Thus, referring to FIG. 3,

도 3a에서와 같이 걸림턱(12)에 단턱부(51b)가 걸려 잠금상태가 되어 있다가 As shown in FIG. 3a, the stepped part 51b is caught in the locking step 12 and locked.

도 3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잠금수단의 누름부(52)를 누르게 되면 본체(51)가 아래로 이동되어 걸림턱(12)에 대한 단턱부(51b)의 걸림이 해제되고,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ortion 52 of the locking means for use as shown in FIG. 3b, the main body 51 is moved downward to release the latching of the stepped portion 51b with respect to the locking step 12.

베이스플레이트의 인출이 가능해진다.
The base plate can be withdrawn.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회동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를 도시한 것으로, 자동회동수단과 관련된 구조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4 and 5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automatic tur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structure associated with the automatic turning means,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동회동수단(40)은 로프(43) 형태인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한 안정된 견인 또는 커버에 대한 안정된 회동을 위해서는 일정 너비를 가지고 탄성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진 로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rope 43, it is preferable that the rop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width and a non-elastic material for stable traction on the base plate or stable rotation on the cover. Do.

상기 로프(43)는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 장착되고 타단이 커버(30)에 장착되는데, The rope 43 is one end is mounted to the base plate 10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to the cover 30,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베이스플레이트(10)를 인출하게 되면(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된 로프(43)가 함께 베이스플레이트와 이동되어 커버(30)를 간단히 회동시키게 된다.
As shown in FIG. 5A, when the user pulls out the base plate 10 (slids forward), the rope 43 mounted at one end of the base plate is moved together with the base plate to simplify the cover 30. Rotated.

그리고 사용이 끝난 경우 사용자가 열린 커버(30)를 회동시켜 닫게 되면, 타단이 커버에 장착된 로프(43)는 커버 회동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이와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플레이트(10)를 후방으로 당겨 베이스플레이트를 원위치시키게 된다(도 5b 참조).
And when the end is closed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n cover 30, the rope 43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cover is pulled to the rear by pulling the base plate 10 connected to it while being pulled backward by the cover rotation The base plat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see FIG. 5B).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는 자동회동수단 즉, 로프(43)가 커버 및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방식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If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that is, the rope 43 is mounted on the cover and the base plate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4,

우선 로프(43)는 로프 본체(431)와, 로프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장착을 위한 안치봉(433)과, 로프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커버의 축부에 장착되는 고정고리(432)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고리에는 고정홈(432a)이 형성된다.
First, the rope 43 is formed on the rope body 431, one end of the rope body and a settle rod 433 for mounting with the base plate, and a fixing ring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rope body and attached to the shaft portion of the cover ( 432, and a fixing groove 432a is formed in the fixing ring.

그리고 로프 안치를 위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로프 본체가 안정적으로 안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동로드홈(13)이 형성되고, 이동로드홈(13)의 일단에는 상기 안치봉(433)이 안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홈(14)이 형성된다.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for the rope settle is formed with a moving rod groove 13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rope body can be stably placed, one end of the movable rod groove 13, the settling rod 433 The mounting groove 14 is provid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is placed.

따라서 상기 장착홈(14)에 로프의 안치봉(433)을 안치시킨 후 중계플레이트(20)를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에 위치시키게되면, 안치봉(433)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빠지지 않고 고정된다.
Therefore, after placing the anchoring rod 433 of the rope in the mounting groove 14, the relay plate 2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0, the mounting rod 433 does not fall into the base plate 10 It is fixed.

그리고 커버 축부(32) 일면에는 상기 로프의 고정고리(432)가 장착될 수 있는 고정홈(322)이 형성되고, 고정홈에는 고정돌기(32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고정돌기에 고정고리의 고정공(432a)이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덮개(323)로 고정홈(322)을 막게 되면 고정고리(432)가 이탈되는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로프가 커버에 장착되게 된다.
And one side of the cover shaft 32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322 in which the fixing ring 432 of the rope can be mounted, and the fixing groove 322a is formed in the fixing groove to fix the fixing ring to the fixing protrusion. The ball 432a is inserted. When the fixing groove 322 is blocked by the fixing cover 323, the rope is stably mounted on the cover without the problem that the fixing ring 432 is separated.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회동수단은 안정적인 베이스플레이트의 인출 및 커버의 회동을 보장하게 된다.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ensures the withdrawal of the stable base plate and the rotation of the cover.

특히 로프(43)를 이용한 자동회동수단은, 앞서 설명된 제1기어부(41)와 제2기어부(42)로 이루어진 자동회동수단과 비교할 때, 베이스플레이트(1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 인해 커버(30)를 자동으로 회동시켜 커버를 오픈시킨다는 점에서는 기능이 동일하다 할 것이나,In particular,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using the rope 43, compared with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composed of the first gear portion 41 and the second gear portion 42 described above, due to sliding the base plate 10 forward The function is the same in that the cover 30 is automatically rotated to open the cover.

사용 후 커버(30)를 닫는 과정에서,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cover 30 after use,

앞서 설명된 제1기어부(41)와 제2기어부(42)로 이루어진 자동회동수단은 인출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 인해 커버(30)가 자동적으로 닫히게 하는 구성인데 반하여,The automatic rotation means composed of the first gear part 41 and the second gear part 42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lose the cover 30 by sliding the drawn base plate backward.

로프(43)를 이용한 자동회동수단은 커버(30)를 회동시켜 닫는 동작으로 인해 인출되었던 베이스플레이트(10)를 자동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원위치에 오도록 한다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using the rope 43 is different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lide the base plate 10, which has been drawn out due to the closing operation by rotating the cover 30, to come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화장용 케이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빌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has been made mainly on the "cosmetic cas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10: 베이스플레이트
11: 슬라이딩로드 12: 걸림턱
13: 이동로드홈 14: 장착홈
20: 중계플레이트
21; 돌부 22: 공간부 23: 스토퍼
24: 중계공 25: 안치부
30: 커버
31: 덮개부 32: 축부
322: 고정홈 323: 고정덮개
40: 자동회동수단
41: 제1기어부 42: 제2기어부
43: 로프
431: 로프본체 432: 고정고리 433: 안치봉
50: 잠금수단
51: 본체 52: 누름부 53: 걸침부
10: Base Plate
11: sliding rod 12: locking jaw
13: moving rod groove 14: mounting groove
20: relay plate
21; Protrusion 22: space 23: stopper
24: Relay Ball 25: Chibubu
30: cover
31: cover 32: shaft
322: fixing groove 323: fixing cover
40: automatic rotation means
41: first gear part 42: second gear part
43: rope
431: rope body 432: fixing ring 433: anchor rod
50: locking means
51: main body 52: pressing part 53: clad part

Claims (4)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베이스플레이트;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중계플레이트;
상기 중계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중계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시 커버를 회동시켜 중계플레이트의 수용부를 오픈시키는 자동회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자동회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직선형으로 기어가 배열된 제1기어부와,
상기 커버에 구비된 것으로 커버 회동시 상기 제1기어부와 맞물려 커버를 자동 오픈시키는 제2기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의 자동 오픈구조를 구비한 화장용 케이스.
A base plate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containing contents;
A relay plate having an accommodation portion for receiving contents, the relay plate being disposed above the base plate and slidably mov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A cover disposed on the relay plate; And
When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elay plate by rotating the cover to rotate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for open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relay plate;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A first gear part in which gears are linearly arranged on the base plate;
The cosmetic case provided with the automatic opening structure of th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made of a second gear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ortion when the cover rotates to automatically open the cover.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베이스플레이트;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에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중계플레이트;
상기 중계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중계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시 커버를 회동시켜 중계플레이트의 수용부를 오픈시키는 자동회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자동회동수단은 로프 형태로써,
일단이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고 타단이 커버에 장착되어
베이스플레이트 인출시 커버를 회동시키고,
회동된 커버를 닫으면 인출된 베이스플레이트를 견인하여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의 자동 오픈구조를 구비한 화장용 케이스.
A base plate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containing contents;
A relay plate having an accommodation portion for receiving contents, the relay plate being disposed above the base plate and slidably move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A cover disposed on the relay plate; And
When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elay plate by rotating the cover to rotate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for opening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relay plate;
The automatic rotation means is in the form of a rope,
One end is mounted on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on the cover
Rotate the cover when removing the base plate
A cosmetic case having an automatic open structure of a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o close the pivoted cover to pull the extracted base plate to its original posi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방에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은 중계플레이트에 형성된 대응축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대응축홈에 삽입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의 자동 오픈구조를 구비한 화장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ear of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rotating shaft,
The rotat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haft groove formed in the relay plate
Cosmetic case having an automatic open structure of th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s rotated based on the rotation shaft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shaft groove.
삭제delete
KR1020100061974A 2010-06-29 2010-06-29 Case for cosmetic KR101002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974A KR101002091B1 (en) 2010-06-29 2010-06-29 Case for cosmet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974A KR101002091B1 (en) 2010-06-29 2010-06-29 Case for cosmet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091B1 true KR101002091B1 (en) 2010-12-21

Family

ID=43513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974A KR101002091B1 (en) 2010-06-29 2010-06-29 Case for cosmet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09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96Y1 (en) 2013-10-07 2015-03-16 (주)아모레퍼시픽 A Cosmetic Compact Container of Auto Folding Type
KR101584968B1 (en) 2015-08-26 2016-01-13 주식회사 엘피케이 The cosmetic cases equipped with withdrawal portions interlocked to the cover
CN105253475A (en) * 2015-10-28 2016-01-20 国家电网公司 Bid equipment transport case
KR20160000889U (en) * 2014-09-04 2016-03-15 (주)아모레퍼시픽 Compact container having a gear of decelerating speed for opening
KR20170124654A (en) * 2016-05-02 2017-11-13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ase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cover with withdrawal the cosmetic utensil at the same time
IT201700107922A1 (en) * 2017-09-27 2019-03-27 Myc Packaging Innovation Co Ltd CASE FOR COSMETIC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59Y1 (en) 2006-05-04 2006-09-06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ase of eye shadow
KR200438510Y1 (en) 2006-12-22 2008-02-21 (주)더페이스샵코리아 Compact c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459Y1 (en) 2006-05-04 2006-09-06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ase of eye shadow
KR200438510Y1 (en) 2006-12-22 2008-02-21 (주)더페이스샵코리아 Compact cas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596Y1 (en) 2013-10-07 2015-03-16 (주)아모레퍼시픽 A Cosmetic Compact Container of Auto Folding Type
KR20160000889U (en) * 2014-09-04 2016-03-15 (주)아모레퍼시픽 Compact container having a gear of decelerating speed for opening
KR200482301Y1 (en) 2014-09-04 2017-01-10 (주)아모레퍼시픽 Compact container having a gear of decelerating speed for opening
KR101584968B1 (en) 2015-08-26 2016-01-13 주식회사 엘피케이 The cosmetic cases equipped with withdrawal portions interlocked to the cover
CN105253475A (en) * 2015-10-28 2016-01-20 国家电网公司 Bid equipment transport case
KR20170124654A (en) * 2016-05-02 2017-11-13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ase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cover with withdrawal the cosmetic utensil at the same time
KR101866183B1 (en) * 2016-05-02 2018-06-12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ase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cover with withdrawal the cosmetic utensil at the same time
IT201700107922A1 (en) * 2017-09-27 2019-03-27 Myc Packaging Innovation Co Ltd CASE FOR COSMET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091B1 (en) Case for cosmetic
JP2004275715A (en) Button open type cosmetics case
KR101222087B1 (en) Mult layer type cosmetic vessel
CA2900186A1 (en) Non-roll stick product containers
KR101242640B1 (en) Compact having a protruding type puff
KR101222088B1 (en) Automatic slide open and close type cosmetic vessel
JP4564104B1 (en) Storage container
KR200441748Y1 (en) cosmetic case having open and shunt mechanism by push-pull
KR200456827Y1 (en) Compact case
KR20050037155A (en) Cosmetics case
KR200449163Y1 (en) A drawer type slide compact
KR100987229B1 (en) Cosmetics case
CN103153126B (en) For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 and the correlation technique of cosmetics
KR200471805Y1 (en) A Compact Cosmetic Container Having Autometic Open Sturcture of Cover
KR200472284Y1 (e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Buttoning Open and Shut Assembly Unit
KR20140102453A (en) Wheeled luggage
KR101983060B1 (en) Cosmetic case that can be easily take out of a make up tool
KR20080006124U (en) A cosmetic case with retractable oil-paper container
KR102411002B1 (en) Cosmetic case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KR101743759B1 (en) Compact container with lipstick of one touch type withdrawn out
KR102009375B1 (en) Stick type cosmetic container
KR20090006821U (en) A multistage receptacle for cosmetic tray
KR20090022867A (en) Cosmetic case
KR102644985B1 (en) Lipstick container with sliding buttons
KR200467970Y1 (en) Compact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