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312B1 -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312B1
KR101000312B1 KR1020080135649A KR20080135649A KR101000312B1 KR 101000312 B1 KR101000312 B1 KR 101000312B1 KR 1020080135649 A KR1020080135649 A KR 1020080135649A KR 20080135649 A KR20080135649 A KR 20080135649A KR 101000312 B1 KR101000312 B1 KR 10100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regression line
image
original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7641A (ko
Inventor
이은석
윤경현
박영섭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5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31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15Image demosaicing, e.g. colour filter arrays [CFA] or Bayer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58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e.g. colour misregistration corr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2Colour editing, changing, or manipulating; Use of colou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템플릿 생성부는 색상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으로부터 선택된 기준색상을 기초로 상기 색상공간에서 2차원의 선으로 표현되는 템플릿을 생성한다. 회귀직선 결정부는 입력받은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원본회귀직선 및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기준회귀직선을 결정한다. 영상변환부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을 상기 기준회귀직선과 일치시키도록 하는 변환행렬에 의해 상기 원본영상을 변환하여 변환영상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본영상의 색상을 변환하기 위해 기준색상으로 이루어진 템플릿을 생성함으로써, 원본영상의 화질을 유지하면서 색상 및 채도를 변환시킬 수 있다.
색상변환, 템플릿, 회귀직선

Description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transfer using templates}
본 발명은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색상 분포를 템플릿을 구성하는 색상 분포와 동일하게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차원 영상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들 간의 입체감과 원근감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색의 대비효과(color contrast)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깊이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2차원 영상에서 전경과 배경의 색, 즉 색상(hue), 채도(saturation) 및 명도(intensity) 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객체의 형태 또는 부분적으로 겹쳐진 객체 간의 깊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영상에서 이러한 색의 대비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참조영상을 이용하여 원본영상의 색을 변환하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그중 하나의 방법으로, RGB 색상공간에서 변환행렬을 이용하여 화소 데이터를 이동시킴으로써 원본영상의 색의 분포를 참조영상의 색의 분포로 변경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변환행렬은 공분산 및 특이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 : SVD)를 이용하여 산출된다. 도 1은 RGB 색상공간에서 영상을 변환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GB 색상공간에 나타난 원본영상과 참조영상의 색의 분포를 타원으로 표현한 후, 원본영상과 참조영상의 색의 분포를 일치시켜 변환된 결과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RGB 색상공간은 R(red), G(green), B(blue)의 각 축별로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색상이 비슷한 영상끼리 색상변환을 수행하였을 때만 결과영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색의 분포 데이터를 타원으로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타원영역의 밖에 위치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색상변환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색의 대비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표색계로 먼셀 색상환이 있다. 먼셀 색상환은 국제 조명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 CIE)에 따라 결정된 수학적 방법에 의해 색을 표시하는 방법이다. 이 색상환에서 마주보고 있는 보색은 서로 인접해 놓았을 때 강한 색상대비(hue contrast)를 이루게 되어서 인간이 객체를 인식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한편, CIE L*a*b* 색상공간은 무채색으로 색의 밝기만을 나타내는 L* 채널, 적색 및 녹색을 나타내는 a*채널, 그리고 청색 및 황색을 나타내는 b*채널로 구성된다. 이때 L*채널과 a*b*평면이 완벽하게 분리되어 있어 CIE L*a*b* 색상공간은 명도값의 변화 없이 영상의 색상과 채도를 변경할 때 주로 사용된다. 또한 CIE L*a*b* 색상공간은 다양한 색상공간의 색상값들을 표현할 수 있는 색상체계이기 때문에 색상 변환 과정에서 이를 중간매개 공간으로 사용하면 가시영역 안의 모든 색상을 색상변환 과정에서도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IE L*a*b* 색상공간을 이용하여 원본영상의 색상을 변환하는 방법의 예로, CIE L*a*b* 색상공간에서 생성된 다양한 템플릿을 기반으로 원본영상의 색을 자동으로 변환하는 방법이 있다. 도 2는 CIE L*a*b* 색상공간에서 원본영상을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템플릿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템플릿은 a*b* 평면상에서 임의의 직선 또는 곡선의 모양을 가지는 색상 분포를 말하는 것으로, 이 방법에서는 8개의 제한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영상의 색상을 변환한다.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하면 명도와 채도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영상에서 채도대비는 표현할 수 없으며, 영상의 이웃하지 않은 영역간에는 색상변환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하나의 영역을 지정하여 한번 더 색상변환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원본영상의 화질을 유지하면서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객체들 간의 시각적 차이를 뚜렷하게 표현할 수 있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원본영상의 화질을 유지하면서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객체들 간의 시각적 차이를 뚜렷하게 표현할 수 있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는, 색상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으로부터 선택된 기준색상을 기초로 상기 색상공간에서 2차원의 선으로 표현되는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부; 입력받은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원본회귀직선 및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기준회귀직선을 결정하는 회귀직선 결정부; 및 상기 원본회귀직선을 상기 기준회귀직선과 일치시키도록 하는 변환행렬에 의해 상기 원본영상을 변환하여 변환영상을 생성하는 영상변환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은, 색상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으로부터 선택된 기준색상을 기초로 상기 색상공간에서 2차원의 선으로 표현되는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단계; 입력받은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원본회귀직선 및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기준회귀직선을 결정하는 회귀직선 결정단계; 및 상기 원본회귀직선을 상기 기준회귀직선과 일치시키도록 하는 변환행렬에 의해 상기 원본영상을 변환하여 변환영상을 생성하는 영상변환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원본영상의 색상을 변환하기 위해 기준색상으로 이루어진 템플릿을 생성함으로써, 원본영상의 화질을 유지하면서 색상 및 채도를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2차원 평면에서 원본영상 및 템플릿에 대한 회귀직선을 결정하고, 변환행렬에 의해 원본회귀직선을 기준회귀직선에 일치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원본영상의 색상을 간단하게 변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는, 템플릿 생성부(110), 회귀직선 결정부(120), 영상변환부(130) 및 색상매핑부(140)를 구비한다.
템플릿 생성부(110)는 색상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으로부터 선택된 기준색상을 기초로 색상공간에서 2차원의 선으로 표현되는 템플릿을 생성한다.
색상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템플릿은 색의 대비효과를 고려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특정 색상평면, 예를 들면, a*b* 평면상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여러 개의 기준색상들로 구성된 임의의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색상 분포를 가진다. 이러한 기준색상간의 배색은 디자인 등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객체들의 시각적 인식률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이용된다. 예를 들면, 앞에서 설명한 먼셀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빨강-녹색 및 노랑-파랑과 같은 색상들을 이용하여 보색대비를 표현하는 템플릿을 만들 수도 있고, 색상의 온도감을 기반으로 하여 난색(빨강, 주황, 노랑 등), 한색(파랑, 남색 등) 및 중성색(녹색, 보라색 등)을 사용한 템플릿을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먼셀 색상환 상에서 서로 대비되는 색상들을 이용하여 템플릿을 생성한다.
템플릿을 생성하는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1) 표현하고자 하는 복수의 기준색상(이하에서 Ci(i-1,...,N)로 표현)을 색상대비를 고려하여 선택한다. 다음으로 (2) 선택된 N개의 기준색상을 먼셀 색상환에서의 번호순으로 나열한 후, 나열된 순서대로 그라데이션(gradation) 영상을 생성한다. 그라데이션 영상 은 서로 단절되어 있는 복수의 기준색상을 연속적인 복수의 색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이웃하는 두 색상간에 나타나는 많은 색상을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3) 생성된 그라데이션 영상에서 사용된 색상들을 색상공간의 2차원 평면상에 분포시킨다. CIE L*a*b* 색상공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a*b* 평면에 색상들을 분포시킨다. 또한 a* 채널과 b* 채널의 값이 동일하고 L* 채널의 값이 다른 색상이 존재할 경우에는 가장 큰 L* 채널의 값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2차원 평면에 분포된 색상들을 서로 연결하면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나타내어지며, 이는 기준색상으로부터 생성된 템플릿에 해당한다. 도 2에 기준색상, 기준색상으로부터 생성된 그라데이션 영상 및 a*b* 평면에 나타난 템플릿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유채색의 a*b* 평면은 x축(적-녹 채널)과 y축(황-청 채널)이 각각 보색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보색대비를 적용한 템플릿의 모양은 대부분 원점 근처를 지나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a*b* 평면의 특성상 넓은 범위의 채도값을 가지기 때문에 색상변환시 좁은 범위의 채도값을 가지는 영상을 넓은 범위의 채도값을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나아가 새로운 템플릿을 생성하기 위해 기준색상을 다시 선택할 수도 있으나, 기존의 템플릿의 제어점(control point)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새로운 기준색상들로 이루어진 템플릿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3에 기존의 템플릿에서 제어점의 위치를 조절하여 생성된 새로운 템플릿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a*b* 평면에 나타난 기존의 템플릿(A)으로부터 제어점의 위치를 변경하여 새로운 템플릿(B)을 생성하였다. 이는 새로운 기준색상을 선택하여 템플릿을 생성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보인다.
회귀직선 결정부(120)는 입력받은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원본회귀직선 및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기준회귀직선을 결정한다.
또한 영상변환부(130)는 원본회귀직선을 기준회귀직선과 일치시키도록 하는 변환행렬에 의해 원본영상을 변환하여 변환영상을 생성한다.
원본영상에서의 색의 분포를 템플릿과 동일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변환행렬이 필요하다. 또한 변환행렬은 색의 분포가 직선의 형태로 나타날 경우 쉽게 결정된다. 따라서 회귀직선 결정부(120)는 원본영상 및 템플릿을 구성하는 색의 분포를 직선으로 나타내기 위해 원본영상과 템플릿에 대하여 각각 회귀직선을 결정한다. 회귀분석(regressive analysis)에 의해 얻어지는 회귀직선은 영상의 색의 분포 데이터를 대표하는 하나의 적합한 직선으로, 각 색상 데이터의 한 점에서 직선까지의 거리의 합을 최소화하는 직선을 의미한다. 또한 원본영상에 대하여 결정되는 원본회귀직선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색의 분포를 템플릿과 동일한 2차원 평면에 나타내어야 하며, 이를 색의 분포 데이터라 한다. CIE L*a*b* 색상공간을 사용하는 경우, 색의 분포는 유채색 채널인 a* 채널을 x축으로, b* 채널을 y 축으로 하여 얻어지며, 2차원 좌표를 가진다. 이때 a* 채널과 b* 채널의 값이 동일하고 L* 채널의 값이 다른 색상이 존재할 경우에는 템플릿을 생성할 때와 마찬가지로 가장 큰 L* 채널의 값을 선택한다.
원본영상 및 템플릿으로부터 결정되는 회귀직선은 다음의 수학식 1로 표현되는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된다. 수학식 1에서 E를 최소화하는 α 및 β가 회귀직선의 기울기 및 y절편이 되는 것이다.
Figure 112008089927029-pat00001
여기서, E는 m(높이)×n(너비)개의 화소로 구성된 원본영상 또는 템플릿과 원본회귀직선 또는 기준회귀직선 사이의 편차에 대한 최소제곱오차(MSE), (xi,j, yi,j)는 원본영상 또는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에 대하여 a*b* 평면에 나타나는 색상의 좌표값, α는 원본회귀직선 또는 기준회귀직선의 기울기, 그리고 β는 원본회귀직선 또는 기준회귀직선의 y절편이다. 도 4에는 a*b* 평면에 나타낸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색의 분포 데이터 및 위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원본영상에 대해 결정된 회귀직선이 도시되어 있다.
원본영상에 대한 원본회귀직선 및 템플릿에 대한 기준회귀직선이 모두 결정되면, 영상변환부(130)는 원본영상의 색상변환을 위해 원본회귀직선을 기준회귀직 선에 일치시킨다. 이때 원본회귀직선과 기준회귀직선은 2차원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를 기준회귀직선의 기울기로 변환하기 위해 2차원 행렬로 표현되는 변환행렬을 이용한다. 이러한 변환행렬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89927029-pat00002
여기서, M은 변환행렬, S(Sx,Sy)는 원본영상과 템플릿의 색의 분포 범위의 비율을 일치시키는 스케일링행렬, R(θ)는 원본회귀직선을 원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행렬, 그리고 T(-xs,-ys)는 원본회귀직선이 원점을 통과하도록 하는 이동행렬이다.
수학식 2의 변환행렬을 이용한 원본영상의 변환은 원본영상의 각 화소, 즉 a*b* 평면에 나타난 색의 분포 데이터에 이동행렬, 회전행렬 및 스케일링행렬을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 먼저 이동행렬은 y=αx+β로 표현되는 원본회귀직선을 원점을 지나는 직선으로 변환하기 위한 행렬로서, 색의 분포 데이터를 회전시키거나 크기변환을 할 때 a*b* 평면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이동행렬은 다음의 수학식 3으로 표현되며, 원본회귀직선의 x절편(-β/α) 및 y절편 중 작은 값을 이용하여 직선을 이동시킨다. 또한 원본회귀직선이 이동함에 따라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색의 분포데이터 역시 a*b* 평면 상에서 이동한 다.
Figure 112008089927029-pat00003
여기서, T(-xs,-ys)는 이동행렬, α는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 그리고 β는 원본회귀직선의 y절편이다.
다음으로 회전행렬 R(θ)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원본회귀직선, 즉 원본영상의 색의 분포 데이터를 회전시킨다. 회전방향은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으며,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를 기준회귀직선의 기울기에 일치시키도록 다음의 수학식 4에 의해 원본회귀직선을 회전시킨다.
Figure 112008089927029-pat00004
여기서, θ는 원본회귀직선의 회전각, u는 기준회귀직선의 기울기, 그리고 α는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이다.
마지막으로 적용되는 스케일링행렬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a*b* 평면에서 원본영상과 템플릿의 색의 분포 범위의 비율을 일치시키기 위해 적용된다. 원본영상과 템플릿을 구성하는 색의 분포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최소의 직사각형을 바운딩 박스라 하며, 원본영상에 대한 바운딩 박스와 템플릿에 대 한 바운딩 박스의 너비 및 높이의 비에 의해 스케일링행렬의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또한 스케일링행렬에 의해 원본영상과 템플릿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너비와 높이의 비를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도 변동된다.
Figure 112008089927029-pat00005
여기서, S(Sx,Sy)는 스케일링행렬, Bt width는 템플릿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너비, Bt height는 템플릿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높이, Bs width는 원본영상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너비, 그리고 Bs height는 원본영상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높이이다.
도 5는 원본영상에 이동행렬, 회전행렬 및 스케일링행렬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변환영상을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원본영상에 이동행렬을 적용하여 원본회귀직선이 원점을 통과하도록 한다. 원본영상의 색의 분포 데이터 역시 원본회귀영상과 함께 이동한다. 또한 원본회귀직선이 이미 원점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이동행렬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회전행렬을 적용하여 원본회귀직선을 원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스케일링행렬을 적용하여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를 기준회귀직선의 기울기와 일치시킨다. 이때 기준회귀직선과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 차(S)가 사전에 설정된 오차값(Error)보다 크면 위 과정을 반복한다. 오차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지며, 바람직하게는 0.1의 값을 가 지도록 할 수 있다. 두 회귀직선의 기울기 차가 오차값보다 크게 되어 변환행렬을 반복하여 적용할 때, 이동행렬, 회전행렬 및 스케일링행렬은 변환행렬 적용 당시의 변환된 원본영상에 따라 매번 다르게 결정된다.
원본영상에 대해 변환행렬을 적용하여 생성된 변환영상은 색상 분포가 템플릿의 색상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변환영상의 색상 분포를 템플릿과 완전히 일치시키기 위해서 변환영상의 색의 분포 데이터 중에서 템플릿의 색의 분포 데이터와 대응되지 않는 데이터를 교체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는 색상매핑부(140)를 더 구비한다.
색상매핑부(140)는 변환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에서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되지 않는 교체대상화소를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 하나로 교체한다.
색의 분포 데이터, 즉 원본영상의 교체대상화소의 교체 과정은 a*b* 평면에서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은 유클리디안 노름(Euclidean norm)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즉, 수학식 6에 의하면, 변환영상의 색의 분포 데이터는 유클리디안 노름 값이 최소가 되는 템플릿의 색의 분포 데이터로 교체되어 두 영상의 색의 분포가 완전히 일치될 수 있다.
Figure 112008089927029-pat00006
여기서, C(p)는 교체 대상이 되는 변환영상의 색의 분포 데이터, 그리고 T(i)는 템플릿의 색의 분포 데이터이다.
도 6은 색상매핑부(140)에 의해 교체대상화소가 교체된 변환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템플릿에 대하여 결정된 회귀직선과 동일하게 나타난 변환영상의 색의 분포가 색상교체의 결과 곡선으로 나타나는 템플릿의 색의 분포와 동일하게 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템플릿 생성부(110)는 색상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으로부터 선택된 기준색상을 기초로 색상공간에서 2차원의 선으로 표현되는 템플릿을 생성한다(S710). 이때 템플릿의 생성과정은 기준색상을 선택하고 이를 기초로 그라데이션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수행된다. 다음으로 회귀직선 결정부(120)는 입력받은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원본회귀직선 및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기준회귀직선을 결정한다(S720). 원본회귀직선 및 기준회귀직선은 수학식 1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기울기 및 y절편을 산출하여 결정된다.
영상변환부(130)는 원본회귀직선을 기준회귀직선과 일치시키도록 하는 변환행렬에 의해 원본영상을 변환하여 변환영상을 생성한다(S730). 변환행렬은 이동행렬, 회전행렬 및 스케일링행렬로 구성되며, 원본회귀직선과 기준회귀직선의 기울기의 차가 사전에 설정된 오차값 이상이면 변환행렬을 반복하여 적용한다. 마지막으 로 색상매핑부(140)는 변환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에서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되지 않는 교체대상화소를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 하나로 교체한다(S74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을 적용하여 변환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원본영상(A)을 구성하는 색상들이 a*b* 평면상에서 색의 분포 데이터로 나타나 있고, 원본영상에 대해 결정된 회귀직선이 a*b* 평면에 표현된다(B). (C)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에 의해 변환된 결과영상이고, 결과영상을 구성하는 색상들을 a*b* 평면에 나타낸 색의 분포 데이터는 템플릿과 동일한 곡선으로 나타난다.
도 9는 기준색상으로부터 생성된 그라데이션 영상 및 원본영상에 각각의 그라데이션 영상에 해당하는 템플릿을 적용하여 생성된 결과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원본영상에 서로 다른 보색대비 템플릿을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색상대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생성된 템플릿에서 제어점의 위치를 이동시켜 새로운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이와 같이 기존의 템플릿으로부터 제어점의 이동으로 생성된 새로운 템플릿을 도 9의 원본영상에 적용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에 의해 2차원 평면상에서 템플릿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것만으로 영상의 색상 및 채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보색대비 기반 템플릿에 흰색이 추가될 경우, 흰색이 추가되지 않은 템플릿보다 적용 가능한 채도의 범위가 넓어져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은 템플릿에 흰색의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환되는 원본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보색대비 기반 템플릿에 흰색이 추가되면 명도와 채도대비가 개선된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템플릿을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기준색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그라데이션 영상을 생성하였다. 그러나 그라데이션 영상 대신 임의의 영상으로부터 템플릿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2는 임의의 참조영상으로부터 생성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본영상을 변환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원본영상(A)에 참조영상(B)으로부터 생성된 템플릿을 적용하여 변환된 결과영상(D)이 얻어졌다. 여기서 종래의 방법에 의해 변환된 결과영상(C)은 L*a*b* 색상공간에서 원본영상의 대표색상 집합과 참조영상의 대표색상 집합 간의 변환을 위해 각 색상축의 평균과 분산 데이터를 사용하여 얻어진 영상이다. (C)영상과 (D)영상으로부터 동일한 참조영상을 사용하여도 적용되는 방법에 따라 변환된 영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참조영상을 사용하여 영상을 변환하는 기술은 임의의 작품에서 표현된 색상대비 효과를 영상에 표현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색상변환은 만화와 같이 사용된 색상의 수가 적은 영상에서 더 잘 나타난다. 예를 들면, 카툰 렌더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만들어진 영상은 색 상변환시 색상을 결정하는 여러 파라미터들을 재설정하여 다시 렌더링을 해야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면 이러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변환장치에 의해 색상이 변환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본영상의 색상 및 채도를 자연스럽게 변환할 수 있고, 템플릿의 제어점을 이동시켜 새로운 템플릿을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은 많은 색상이 사용된 복잡한 영상을 단순화함으로써 영역분할의 분야로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RGB 색상공간에서 영상을 변환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CIE L*a*b* 색상공간에서 원본영상을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템플릿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기준색상, 기준색상으로부터 생성된 그라데이션 영상 및 a*b* 평면에 나타난 템플릿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기존의 템플릿에서 제어점의 위치를 조절하여 생성된 새로운 템플릿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a*b* 평면에 나타낸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색의 분포 데이터 및 원본영상에 대해 결정된 회귀직선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원본회귀직선에 이동행렬, 회전행렬 및 스케일링행렬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변환영상을 생성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색상매핑부(140)에 의해 교체대상화소가 교체된 변환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을 적용하여 변환된 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기준색상으로부터 생성된 그라데이션 영상 및 원본영상에 각각의 그라데이션 영상에 해당하는 템플릿을 적용하여 생성된 결과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기존의 템플릿으로부터 제어점의 이동으로 생성된 새로운 템플릿을 도 9의 원본영상에 적용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템플릿에 흰색의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변환되는 원본영상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임의의 참조영상으로부터 생성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본영상을 변환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변환장치에 의해 색상이 변환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1)

  1. 색상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으로부터 선택된 기준색상을 기초로 상기 색상공간에서 2차원의 선으로 표현되는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부;
    입력받은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원본회귀직선 및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기준회귀직선을 결정하는 회귀직선 결정부; 및
    상기 원본회귀직선을 상기 기준회귀직선과 일치시키도록 하는 변환행렬에 의해 상기 원본영상을 변환하여 변환영상을 생성하는 영상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에서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되지 않는 교체대상화소를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 하나로 교체하는 색상매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색상은 먼셀 색상환에서 서로 대비되는 색상들로 선택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환부는 상기 기준회귀직선과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의 차가 사전에 설정된 오차값보다 크면 상기 변환행렬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회귀직선 및 기준회귀직선은 다음의 수학식 A를 최소화하는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수학식 A]
    Figure 112008089927029-pat00007
    여기서, E는 m(높이)×n(너비)개의 화소로 구성된 상기 원본영상과 원본회귀직선 또는 상기 템플릿과 기준회귀직선 사이의 편차에 대한 최소제곱오차(MSE), (xi,j, yi,j)는 상기 원본영상 또는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에 대하여 a*b* 평면에 나타나는 색상의 좌표값, α는 상기 원본회귀직선 또는 기준회귀직선의 기울기, 그리고 β는 상기 원본회귀직선 또는 기준회귀직선의 y절편이다.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환부는 다음의 수학식 B로 표현되는 변환행렬에 의해 상기 변환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수학식 B]
    Figure 112008089927029-pat00008
    여기서, M은 상기 변환행렬, S(Sx,Sy)는 상기 원본영상과 템플릿의 색의 분포 범위의 비율을 일치시키는 스케일링행렬, R(θ)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을 원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행렬, 그리고 T(-xs,-ys)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이 원점을 통과하도록 하는 이동행렬이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행렬은 다음의 수학식 C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수학식 C]
    Figure 112008089927029-pat00009
    여기서, T(-xs,-ys)는 상기 이동행렬, α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 그리고 β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의 y절편이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행렬은 다음의 수학식 D에 나타난 회전각에 의해 상기 원본회귀직선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수학식 D]
    Figure 112008089927029-pat00010
    여기서, θ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의 회전각, u는 상기 기준회귀직선의 기울기, 그리고 α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이다.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행렬은 상기 색상공간 상의 2차원 평면에서 상기 원본영상과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색의 분포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최소의 직사각형인 바운딩 박스에 의하여 다음의 수학식 E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수학식 E]
    Figure 112008089927029-pat00011
    여기서, S(Sx,Sy)는 상기 스케일링행렬, Bt width는 상기 템플릿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너비, Bt height는 상기 템플릿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높이, Bs width는 상기 원본영상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너비, 그리고 Bs height는 상기 원본영상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높이이다.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매핑부는 상기 교체대상화소를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에서 상기 색상공간에서 상기 교체대상화소와의 유클리디안 거리가 최소가 되는 화소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11. 색상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색상으로부터 선택된 기준색상을 기초로 상기 색상공간에서 2차원의 선으로 표현되는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단계;
    입력받은 원본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원본회귀직선 및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하는 상기 색상공간상의 좌표로부터의 거리의 합이 최소인 기준회귀직선을 결정하는 회귀직선 결정단계; 및
    상기 원본회귀직선을 상기 기준회귀직선과 일치시키도록 하는 변환행렬에 의해 상기 원본영상을 변환하여 변환영상을 생성하는 영상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영상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에서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의 색상에 대응되지 않는 교체대상화소를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 하나로 교체하는 색상매핑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색상은 먼셀 색상환에서 서로 대비되는 색상들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환단계에서, 상기 기준회귀직선과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의 차가 사전에 설정된 오차값보다 크면 상기 변환행렬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회귀직선 및 기준회귀직선은 다음의 수학식 A를 최소화하는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
    [수학식 A]
    Figure 112008089927029-pat00012
    여기서, E는 m(높이)×n(너비)개의 화소로 구성된 상기 원본영상과 원본회귀직선 또는 상기 템플릿과 기준회귀직선 사이의 편차에 대한 최소제곱오차(MSE), (xi,j, yi,j)는 상기 원본영상 또는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에 대하여 a*b* 평면에 나타나는 색상의 좌표값, α는 상기 원본회귀직선 또는 기준회귀직선의 기울기, 그리고 β는 상기 원본회귀직선 또는 기준회귀직선의 y절편이다.
  16.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변환단계에서, 다음의 수학식 B로 표현되는 변환행렬에 의해 상기 변환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
    [수학식 B]
    Figure 112008089927029-pat00013
    여기서, M은 상기 변환행렬, S(Sx,Sy)는 상기 원본영상과 템플릿의 색의 분포 범위의 비율을 일치시키는 스케일링행렬, R(θ)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을 원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행렬, 그리고 T(-xs,-ys)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이 원점을 통과하도록 하는 이동행렬이다.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행렬은 다음의 수학식 C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
    [수학식 C]
    Figure 112008089927029-pat00014
    여기서, T(-xs,-ys)는 상기 이동행렬, α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 그리고 β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의 y절편이다.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행렬은 다음의 수학식 D에 나타난 회전각에 의해 상기 원본회귀직선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
    [수학식 D]
    Figure 112008089927029-pat00015
    여기서, θ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의 회전각, u는 상기 기준회귀직선의 기울기, 그리고 α는 상기 원본회귀직선의 기울기이다.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행렬은 상기 색상공간 상의 2차원 평면에서 상기 원본영상과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색의 분포 데이터를 각각 포함하는 최소의 직사각형인 바운딩 박스에 의하여 다음의 수학식 E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
    [수학식 E]
    Figure 112008089927029-pat00016
    여기서, S(Sx,Sy)는 상기 스케일링행렬, Bt width는 상기 템플릿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너비, Bt height는 상기 템플릿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높이, Bs width는 상기 원본영상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너비, 그리고 Bs height는 상기 원본영상에 대한 바운딩 박스의 높이이다.
  20.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매핑단계에서, 상기 교체대상화소를 상기 템플릿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에서 상기 색상공간에서 상기 교체대상화소와의 유클리디안 거리가 최소가 되는 화소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
  21.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기재된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135649A 2008-12-29 2008-12-29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KR10100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649A KR101000312B1 (ko) 2008-12-29 2008-12-29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649A KR101000312B1 (ko) 2008-12-29 2008-12-29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641A KR20100077641A (ko) 2010-07-08
KR101000312B1 true KR101000312B1 (ko) 2010-12-13

Family

ID=4263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649A KR101000312B1 (ko) 2008-12-29 2008-12-29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769B1 (ko) 2014-10-24 201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프 템플릿으로부터 유도된 변환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인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058A (ja) 1998-12-01 2000-06-23 Noritsu Koki Co Ltd 表示色系の変換に用いられるマトリクス係数の算出方法
JP2006157193A (ja) 2004-11-26 2006-06-15 Kyocera Mita Corp 色変換処理用ルックアップテーブル補正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058A (ja) 1998-12-01 2000-06-23 Noritsu Koki Co Ltd 表示色系の変換に用いられるマトリクス係数の算出方法
JP2006157193A (ja) 2004-11-26 2006-06-15 Kyocera Mita Corp 色変換処理用ルックアップテーブル補正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641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et al. Apparent greyscale: A simple and fast conversion to perceptually accurate images and video
JP4763688B2 (ja) オーバプリントされたドキュメントをカラーマッチング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TWI455062B (zh) 三維視訊內容產生方法
US8977039B2 (en) Pulling keys from color segmented images
Lau et al. Cluster-based color space optimizations
US20110134109A1 (en) Auto-stereoscopic interpolation
US8913074B2 (en) Color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023768B2 (en) Universal front end for masks, selections, and paths
US8817037B2 (en) Reconstructing three dimensional oil paintings
US7701470B2 (en) Stable mask combination in digital image editing
KR101028699B1 (ko) 회화적 렌더링 장치 및 방법
US20140029848A1 (en) Re-coloring a color image
KR101000312B1 (ko) 템플릿을 이용한 영상변환장치 및 방법
JP671102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6456295B1 (en) Method for simulating diffusion on a raster
JP2005520439A (ja) 2色画像化システムにおける発色団の選択
KR101748674B1 (ko) 3차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US93055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photorealism of computer graphic image
US7965301B1 (en) Color conversion preserving global and local image characteristics
JP2016178498A (ja) 色変換処理装置および色変換処理方法
KR101297465B1 (ko) 컬러 영상을 흑백 영상으로 변환하는 변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EP3246878A1 (en) Method to determine chromatic component of illumination sources of an image
Neophytou et al. Color-space CAD: Direct gamut editing in 3D
Peters et al. Basics leading to machine vision
Safibullaevna et al. Processing Color Images, Brightness and Color Conver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