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060B1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060B1
KR101000060B1 KR1020080055792A KR20080055792A KR101000060B1 KR 101000060 B1 KR101000060 B1 KR 101000060B1 KR 1020080055792 A KR1020080055792 A KR 1020080055792A KR 20080055792 A KR20080055792 A KR 20080055792A KR 101000060 B1 KR101000060 B1 KR 10100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window
partner
lis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57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9726A (en
Inventor
이상민
방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5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060B1/en
Publication of KR2009012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97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은, 대화상대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창을 표시하는 단계, 대화상대 목록 중에서 선택된 제1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1 대화창을 목록창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대화상대 목록에서 제2 대화상대가 선택된 경우, 제2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2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대화창을 자유롭게 전화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서 인스턴트 메시지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A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displaying a list window displaying a list of chat partners; and displaying a first chat window in which at least one area displaying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first chat partner selected from the chat list is transparent. Overlaying and displaying a second chat window in which at least one area display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second chat partner is superimposed on the list window when the second chat partner is selected from the chat partner list;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nt messages can be conveniently used by freely calling and displaying a plurality of chat windows on a screen.

인스턴트 메시지, 복수의 대화창, 대화창 전환 Instant message, multiple chats, switch chat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해 복수개의 대화창을 이용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창의 전환이 용이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reof.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uses a plurality of chat window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stant messages, the mobile terminal and the operation control for switching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are easy. It is about a method.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of performing voice and video calls,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메신저 서버에 접속하여 인스턴트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는 통신을 원하는 사람의 목록(buddy list)을 지정해 놓으면 상대방이 인터넷에 접속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클릭만 하면 바로 대화할 수 있고 자료도 보낼 수 있다.A user may exchange instant messages by accessing a messenger server using a mobile terminal. Instant messaging lets you specify whether you're connected to the Internet by specifying a buddy list that you want to communicate with, and you can talk and send data with just a click.

사용자는 복수의 대화상대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복수의 대화창을 이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화면 크기의 제약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하 나의 대화창이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복수의 대화창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화면에 표시된 대화창을 다른 대화창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1번 대화창에서 3번 대화창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대화창의 실행 순서에 따라 1번 대화창을 2번 대화창으로 전환하고, 2번 대화창을 3번 대화창으로 전환하여야 하므로,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창의 전환이 용이하지 않다. 실행된 대화창의 개수가 늘어나면, 대화창 간의 전환은 더욱 어렵고, 전환 시간도 늘어난다.The user may use the plurality of chat windows to send instant messages with the plurality of chat partners. Since a mobile terminal has a limitation of a screen size, a single dialog is generally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plurality of chat windows,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screen must be switched to another chat window. In general, in a mobile terminal, if you want to switch from the first chat window to the third chat window, the first chat window should be switched to the second chat window and the second chat window should be switched to the third chat window according to the execution order of the chat windows. It is not easy to switch the displayed dialog. As the number of executed chat windows increases, switching between chat windows becomes more difficult and the switching time increases.

따라서 복수의 대화창이 실행된 경우, 대화창의 실행 순서에 상관없이 화면에 표시된 대화창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고, 반복된 사용자의 입력 없이 대화창 전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chat windows are executed, a method of easily switching between chat window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reducing the chat window switching time without repeated user input is required regardless of the execution order of the chat window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창을 다른 대화창으로 용이하게 전환함으로써, 대화창 전환을 위한 사용자의 반복적인 입력을 줄이고 인스턴트 메시지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by easily switching a chat window displayed on a screen to another chat window, thereby reducing a user's repetitive input for switching a chat window and conveniently using an instant message. Is i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으로서, 대화상대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대화상대 목록 중에서 선택된 제1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1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상대 목록에서 제2 대화상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2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list window displaying a list of conversation partners; and displaying at least one area display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first conversation partner selected from the conversation partner list. Overlaying the transparent first chat window on the list window and displaying a second chat window in which at least one area displaying a message transmitted / received with the second chat partner is selected when the second chat partner is selected in the chat partner list. And overlaying and displaying the list window.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로서 대화상대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대화상대 목록 중에서 선택된 제1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1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대화상대 목록에서 제2 대화상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2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상기 디 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obile termi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ist window for displaying a list of the chat partner, and at least one area for display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first chat partner selected from the chat partner list The transparent first chat window is overlaid on the list window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second chat partner is selected in the chat partner list, at least one area display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second chat partner is transparent. And a control unit which superimposes a chat window on the list window and displays the chat window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에 표시되는 대화창을 대화창의 실행 순서와 상관없이 다른 대화창으로 자유롭게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반복적인 입력없이 인스턴트 메시지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stant message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repetitive input by a user by freely switching a chat window displayed on a screen to another chat window regardless of the execution order of the chat window.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Such compon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wo or more components into one component, or by dividing one or more components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when implemented in an actual application.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and a GPS module 119.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In this cas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a serv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roadcast signal to the terminal.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 this case,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 systems, and in particula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nd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 Digital broadcast signals may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and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 systems providing broadcast signals as well as such digital broadcast systems.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voice call signal, video call signal, or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can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external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etc. may be used.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119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3.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all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3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nd output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microphone 123 may use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input by the us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 finger mouse,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by generating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may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it may be responsible for sensing functions related to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supplied with powe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3, an alarm unit 155,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 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 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shoot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captured or received images, respectively, or simultaneously, and display the UI and the GUI.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panel is a transparent panel attached to the outside and may be connected to a bus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The touch screen panel keeps an eye on the contact result and sends corresponding signals to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so that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ether there is a touch input and which area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display (3D display). In addi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the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nd a message reception sound.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5 may output a vibration to inform this. Alternatively, when a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5 may output a vibration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input. This vibration outpu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Of course, the signal for notification of event occurrence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3.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ler 180 and may provid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It can also be don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The storage medium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and the like, and an audi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video I / O (Input / Output) terminal, earphone, and the like.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so that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spective unit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configured in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고, 슬라이더형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슬라이더 타입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appearan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slider 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front touch screen and a slider keypad is provided as an example among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 slider type, and the like.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lider type portable terminal, bu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including the aforementioned typ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00A), 및 제1 바디(100A)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00B)를 포함한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front. 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first body 100A and a second body 100B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on the first body 100A.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00A)가 제2 바디(100B)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100A is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body 100B may be referred to as a clos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the first body 100A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body 100B.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is exposed may be referred to as an open configuration.

휴대 단말기(100)가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Standby Mode)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Although the mobi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the standby mode may be released by the user's oper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mobile terminal 100 operates mainly in a call mode or the like in an open stat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switched to a standby mode by a user's operation o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제1 바디(100A)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와 제1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100A is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ront case 100A-1 and the first rear case 100A-2. Such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제1 바디(100A), 구체적으로 제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 1 음향출력모듈(153a) 및 제1 카메라(121a)이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and the first camera 121a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body 100A, specifically, the first front case 100A-1.

디스플레이부(151)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which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Since the touch pad is superimposed on the display unit 151 in a layer structure, the display unit 151 may operate as a touch screen to input information by a user's touch.

제 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camera 121a may be implemented to be suitab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of a user or the like.

제2 바디(100B)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와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100B), 구체적으로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조작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또는 제2 리어 케이스(100B-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c), 마이크(123),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cas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second body 100B is formed b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and the second rear case 100B-2.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0a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00B, specifically, the second front case 100B-1.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c, the microphone 123, and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econd front case 100B-1 or the second rear case 100B-2).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사용자 입력부(130a)에는 조이스틱 키, 터치 패트, 트랙볼, 포인팅 스틱, 핑거 마우스 등과 같이 마우스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입력 키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receive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may include an input key hav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ouse function such as a joystick key, a touch pad, a trackball, a pointing stick, a finger mouse, and the like.

제1 및 제2 사용자 입력부(130a, 130c)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user input units 130a and 130c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user manipulating portion 130,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manner of tactile feeling. have.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that may receive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user's push or touch operation, or may be operated as a wheel or jog method or a joystick that rotates a key. It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manner and the like.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사용자 입력부(130c)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In functional terms,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scroll, and the like, numbers or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c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mobile terminal.

마이크(123)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 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등과 같은 사용자 인증모듈,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microphone 123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for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t least one of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or a power supply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have.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ommodates an external card such as a user authentication module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제2 리어 케이스(100B-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충전 등을 위하여 제2 바디(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n th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a power supply unit 190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for example, a rechargeable battery,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100B for charging.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3, a second camera 121b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of the second body 100B. The second camera 121b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and may have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121a.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the first camera 121a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and the second camera 121b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and does not transmit it immediately. In many cases,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또한, 제2 바디(100B)의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후면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130d)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부(130d)는 휠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 내에서 스크롤 등의 특수한 기능 키로서 작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 third user input unit 130d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of the second body 100B. The third user input unit 130d may be implemented as a wheel, and may operate as a special function key such as scroll in the portable terminal.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5)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The flash 125 may b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The flash 125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05)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05)는 제2 바디(100B)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A)의 제1 리어 케이스(100A-2) 측에는 제1 바디(100A)와 제2 바디(100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00C)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00C)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00B)의 제2 프론트 케이스(100B-1) 측에 배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On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an antenna 105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disposed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a call. The antenna 105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second body 100B. A portion of the slide module 100C for slidably coupling the first body 100A and the second body 100B is disposed on the first rear case 100A-2 side of the first body 100A. The other part of the slide module 100C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front case 100B-1 side of the second body 100B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3.

또한, 제2 리어 케이스(100B-2)의 일 측에는 특정 기능에 대한 선택 또는 확인 키의 역할을 하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e)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사용자 입력부(130e)는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ourth user input unit 130e serving as a selection or confirmation key for a specific function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rear case 100B-2. The fourth user input unit 130e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mobile terminal.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제2 바디(100B)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121b) 등과 같이 제2 리어 케이스(100B-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05, 121b, 12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00A), 주로는 제1 리어 케이스(100A-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닫힌 상태에서 제1 리어케이스(100A-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00B)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camera 121b and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second body 100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105, 121b, and 125 described as disposed in the second rear case 100B-2, such as the second camera 121b, may be formed of the first body 100A, mainly a first one. It is also possible to be attached to 1 rear case 100A-2. In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ponents disposed in the first rear case 100A-2 in the closed state are protected by the second body 100B. In addition, even if the second camera 121b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camera 121a may be rotatably formed to be able to photograph up to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second camera 121b.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신저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메신저 로그인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메신저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창을 표시한다(S400). 입력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되면, 제어부(180)는 대화상대 목록이 포함된 목록창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405). 여기서, 목록창에 포함된 목록은 사용자의 메신저에 대화상대로 등록된 모든 사람을 표시하는 목록일 수 있으며, 대화상대로 등록된 사람 중 메신저 서버에 접속된 사람을 표시하는 목록일 수 있다. 또한, 실행 중인 대화창의 대화상대만을 표시하는 목록일 수 있다. 상기 목록창에 표시되는 목록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목록창은 대화상대 목록 뿐 아니라, 로그아웃, 파일전송 등을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a messenger login menu is selected to access a messenger server for transmitting an instant message,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window in which an ID and password for messenger login are input (S400).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by the input ID and passwor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list window including the contact list on the display unit 151 (S405). Here, the list included in the list window may be a list that displays all the people registered in the user's messenger on the conversation, or may be a list that displays the person who is connected to the messenger server among the people registered in the conversation. It may also be a list displaying only the chat partner of the running chat window. The list displayed on the list window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Meanwhile, the list window may include a menu for logout, file transfer, etc., as well as the contact list.

다음, 목록창에 표시된 대화상대 목록에서 1인이 선택되면(S410), 제어부(180)는 선택된 대화상대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대화창을 실행하여 상기 목 록창과 겹치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투명하게 표시한다(S415). 여기서, 대화상대 목록에서 반드시 1인이 선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대화창 하나를 발생시키는 다자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S410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목록창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입력에 의해 1인 또는 하나의 대화창을 실행시키는 다수가 선택될 수 있다. Next, when one person is selected from the contact list displayed in the list window (S410), the controller 180 executes a chat window for transmitting a message with the selected chat partner and is transparent to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overlap the list window. To display (S415). Here, one person is not necessarily selected from the conversation partner list,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ulti-party message that generates one conversation window. In S410, a plurality of people running one or one chat window may be selected by a touch input input through the lis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다음, 제어부(180)는 선택된 대화상대, 즉 상기 표시된 대화창의 대화상대와 메시지가 송수신되는지 판단한다(S420). S420 판단결과, 메시지가 송수신된 경우, 제어부(180)는 송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에 표시한다(S425). 송수신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전부 표시되기 어려운 경우, 대화창에 스크롤바를 표시하고, 상기 스크롤바를 통해 대화창에 표시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messag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selected chat partner, that is, the chat partner of the displayed chat window (S42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420,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message on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425). If all of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messages are difficult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 scroll bar may be displayed on the chat window, and the message displayed on the chat window may be confirmed through the scroll bar.

S425에서 메시지가 송수신되어 대화창에 표시된 경우 또는 S420에서 메시지가 송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을 종료하는 종료입력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430).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의 특정부분을 통한 터치입력을 통해 대화창의 종료입력이 선택될 수 있다.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S425 and displayed in the chat window, or when the message is not transmitted or received in S420,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n end input for terminating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s selected (S430). The end input of the chat window may be selected through a touch input through a specific portion of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430 판단결과, 표시된 대화창에 대한 종료입력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의 표시를 종료한다(S435). 다음, 제어부(108)는 종료되지 않은 대화창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440). S440 판단결과, 종료되지 않은 대화창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종료되지 않은 대화창 하나를 상기 목록창과 겹치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투명하게 표시한다(S445). 다음, 제어 부(180)는 S445에서 표시된 대화창에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있는지 판단하여(S420), S42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표시된 대화창은 송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대화창일 수 있고,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은 빈 대화창일 수 있다. 여기서, 종료되지 않은 대화창이란, S415 또는 하기 S515에서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대화창 중 종료입력이 선택되지 않은 대화창을 의미한다. S515단계는 하기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S440 판단결과, 종료되지 않은 대화창이 전재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목록창만을 표시한다(S405).As a result of determination in S430, when an end input for the displayed chat window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ends the display of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435). Next, the controller 108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hat window that is not terminated (S44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440, when one or more non-terminated chat windows exist, one or more non-terminated chat windows are transpa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overlap the list window (S445). Next, the control unit 18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essage transmitted or received in the chat window displayed in S445 (S420), and performs the following steps S420. The displayed chat window may be a chat window displaying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or may be an empty chat window in which nothing is displayed. Here, the non-terminated chat window means a chat window in which the end input is not selected among the chat windows executed in S415 or S515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tep S51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440, if the chat window that has not been terminated,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nly the list window (S405).

S430 판단결과, 표시된 대화창에 대한 종료입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제3의 상대방을 선택하기 위한 목록창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450). 즉, 제어부(180)는 목록창을 통해 제3의 상대방을 선택하기 위해 목록창을 활성화하는 메뉴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목록창을 활성화하는 메뉴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의 일부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상기 표시된 대화창 이외의 영역에 표시될 수 도 있다. 제3의 상대방이란, 상기 목록에 표시된 대화상대 목록에 포함된 대화상대 중 1인으로서,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상대를 제외한 제3자를 의미한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430, when the termination input for the displayed chat window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list window for selecting a third counterpart is selected in operation S450. That is,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menu for activating the list window is selected to select the third counterpart through the list window. The menu for activating the list window may be display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or may be displayed in an area other than the displayed chat window on the display unit 151. The third counterpart is one of the conversation partners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partner list displayed on the list, and means a third party excluding the conversation partner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450 판단결과, 목록창을 활성화하는 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로그아웃을 위한 메뉴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475). 로그아웃을 위한 메뉴는 상기 목록창의 일부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서 표시된 목록창 이외의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다. S475 판단결과, 로그아웃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메신저 서버와의 연결을 종 료한다. 한편, S457 판단결과, 로그아웃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여전히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대화창 및 목록창이 표시되므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에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있는지 판단하여(S420), S42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표시된 대화창은 송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대화창일 수 있고,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은 빈 대화창일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450, when a menu for activating the list window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menu for logging out is selected in operation S475. The menu for logging out may be displayed in a partial region of the list window, or may be displayed in an area other than the lis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s a result of S475 determination, when the logout menu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terminates the connection with the messenger server for transmitting the instant message. On the other hand, if the logout menu is not selected as the result of the S457 determination, since the chat window and the list window are stil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essage transmitted or received in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S420), steps S420 and below are performed. The displayed chat window may be a chat window displaying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or may be an empty chat window in which nothing is displayed.

S450 판단결과, 목록창을 활성화하는 메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목록창을 활성화한다(S455). 목록창을 활성화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목록창을 통한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에 의해, 목록창에 표시된 대화상대가 선택될 수 있도록, 목록창이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활성화 상태는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제어부(180)는 활성화된 목록창에서 제3의 상대방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460). In operation S450, when a menu for activating the list window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activates the list window (S455). Activating the list window means that the list window is allowed to be touched or dragged so that a contact displayed on the list window can be selected by touch or drag input through the lis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do. The activation state is not limited to a touch or drag input. Nex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third counterpart is selected in the activated list window (S460).

S460 판단결과, 제3의 상대방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대화창을 숨기고(S465), 선택된 제3의 상대방에 대한 대화창을 실행하여 상기 목록창과 겹치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투명하게 표시한다(S470). 다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에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있는지 판단하여(S420), S42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표시된 대화창은 송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대화창일 수 있고,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은 빈 대화창일 수 있다. In operation S460, when the third counterpart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hides the chat window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S465), and executes the chat window for the selected third party to overlap the list window. The display is transparent on the unit 151 (S470). Nex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essage transmitted or received in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420), and performs the following steps S420. The displayed chat window may be a chat window displaying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or may be an empty chat window in which nothing is displayed.

여기서, 대화창을 숨긴다는 의미는 S435에서 대화창을 종료하는 것과 의미가 다르다. S435에서 대화창을 종료하는 것은 실행된 대화창의 표시를 종료할 뿐 아니라, 대화창에 표시된 메시지도 삭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료된 대화창을 다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목록창을 통해 대화상대를 다시 선택하여야 하며, 다시 표시된 경우에도 이전에 표시한 메시지는 모두 삭제된 상태의 빈 대화창이 표시된다. 반면, S465에서 대화창을 숨기는 것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의 표시를 종료할 뿐, 송수신된 메시지의 표시를 그대로 유지하며, 종료된 대화창을 다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목록창을 통해 대화상대를 다시 선택하거나, S445에서와 같이 다른 대화창이 종료시켜 표시될 수 있다. 숨겨진 대화창을 호출하여 다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면 숨겨지기 전에 송수신된 메시지 뿐 아니라, 숨겨진 후에 수신된 메시지도 모두 표시된 대화창이 표시된다. 즉, 특정 대화상대에 대한 대화창 선택, 종료입력, 숨김이 반복되면, 특정 대화상대에 대한 대화창은 마지막 종료입력이후에 다시 특정 대화상대가 선택된 시점부터 송수신된 메시지를 모두 표시하며, 다만 상기 대화창이 숨겨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지 않을 뿐이다.Here, the meaning of hiding the dialog is different from that of ending the dialog in S435. Terminating the chat window in S435 means not only ending the display of the executed chat window but also deleting the message displayed in the chat window. Accordingly, in order to display the terminated chat window on the display unit 151 again, the chat partner must be selected again through the list window, and even if the message is displayed again, an empty chat window in which all previously displayed messages are deleted is displayed. On the other hand, hiding the chat window in S465 only terminates the display of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maintains the display of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messages as it is, and displays the list window in order to display the finished chat window on the display unit 151 again. Re-select the chat partner through, or as shown in S445 can be displayed by closing another chat window. When the hidden chat window is call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 chat window in which all messages received and hidden after being hidden, as well as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before being hidden, are displayed. That is, if a chat window selection, end input, and hiding for a specific chat partner is repeated, the chat window for a particular chat partner displays all the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time when the specific chat partner is selected again after the last end input, except that the chat window is If hidden, it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460 판단결과, 제3의 상대방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하기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t S460, when the third counterpart is not selecte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의 상대방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의 대화상대 이외의 제3자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었는지 판단한다(S500). 여기서 제3자는 숨겨진 대화창의 대화상대일 수 있으며, 목록창에 표시된 목록에 포함된 대화상대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third party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message is transmitted from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chat partner of the chat window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500). . Here, the third party may be a conversation partner of a hidden chat window, and may be a conversation partner included in a list displayed on the list window.

S500 판단결과, 제3자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제어부(180)는 메시지 알림 표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05). 상기 메시지 알림 표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의 일부 영역이 깜빡거리도록 표시될 수 있으며, 메시지가 전송된 사실을 알리는 문자로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 제어부(180) 상기 메시지 알림 표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51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메시지 알림 표시를 통해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이 발생한 경우, 메시지 알림 표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10 판단결과, 메시지 알림 표시가 선택된 경우, 메시지를 전송한 대화상대, 즉 상기 제3자에 대한 대화창을 표시하고, 상기 대화창에 전송된 메시지를 표시한다(S515). 전송된 메시지가 표시된 대화창은 상기 목록창과 겹쳐지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투명하게 표시된다. S515에서 대화창 및 목록창이 표시된 후, 또는 S510 판단결과, 메시지 알림 표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에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있는지 판단하여(S420), S42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메시지 알림 표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계속 표시될 수 있다.In operation S505, when the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third party,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message notification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51. The message notification display may be displayed such that a partial area of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blinks, or may be displayed as a text indicating that the message is transmitted. Nex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message notification display is selected by the user (S510). For example, when a touch or drag input occurs through the message notification displa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essage notification display is sel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510, when the message notification display is selected, the dialog window for the third party to which the message is transmitted, that is, the third party is displayed, and the message transmitted in the dialog window is displayed (S515). The chat window on which the transmitted message is displayed is transpa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o as to overlap the list window. After the chat window and the list window are displayed in S515 or as a result of the S510 determination, when the message notification display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essage transmitted / received in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420). Follow the steps. Meanwhile, the message notification display may be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한편, S500 판단결과, 제3자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메신저 서버에 접속되어 송수신되는 인스턴트 메시지 이외의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S520). 여기서 통신 이벤트란, 인스턴트 메신지 이외의 메시지 전송, 음성통화, 영상통화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message is not transmitted from the third party, S500,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communication event other than the instant message that is connected to the messenger server and is transmitted (S520). The communication event may be a message transmission, an audio call, or a video call other than an instant message.

S520 판단결과, 통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통신이벤트 알림 표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25). 통신이벤트 알림 표시는 상기 통 신이벤트를 실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80)는 통신이벤트 알림 표시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S530). S530 판단결과, 통신이벤트 알림 표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생된 통신 이벤트는 무시되므로,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에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있는지 판단하여(S420), S42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S530 판단결과, 통신이벤트 알림 표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현재 표시된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대화창 및 목록창의 표시를 종료하고, 발생된 통신 이벤트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35). 예를 들어, 음성통화가 발생하고 상기 음성통화 발생을 알리는 알림표시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음성통화시 통화 화면만 표시된다. 다음, 제어부(180)는 발생된 통신 이벤트가 종료하는지 판단한다(S540). S540 판단결과, 통신 이벤트가 종료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통신 이벤트의 실행화면이 계속 표시된다(S535). 한편, S540 판단결과, 통신 이벤트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통신 이벤트의 실행화면의 표시를 종료하고, 상기 S530에서 통신이벤트 알림 표시가 선택된 시점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었던 대화창 및 목록창을 다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545). S545에서 종래 송수신된 메시지가 다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에 표시되지만, S465에서 대화창을 숨긴 경우와 달리, 메신저 서버와의 연결이 잠시 중단된 것이므로, 통신 이벤트의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송수신된 메시지가 없어 통신이벤트 알림 표시가 선택된 시점과 동일한 대화창이 표시된다. 다음,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대화창에 송수신되는 메시지가 있는지 판단하여(S420), S420 이 하의 단계를 수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520, when a communication event occurs,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 communication event notification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51 (S525). The communication event notification display may be displayed to select whether to execute the communication event. Nex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communication event notification display is selected (S53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530, when the communication event notification display is not selected, the generated communication event is ignored, and thus, whether there is a message transmitted / received in the chat window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is performed (S420), and steps S420 and below are performed.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S530 determination result, the communication event notification display is selected, the controller 180 ends the display of the currently displayed instan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list and list window, and displays the execution screen of the generated communication event on the display unit 151 (S535). For example, when a voice call occurs and a notification display indicating the voice call occurrence is selected, only the call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during the voice call. Nex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 generated communication event ends (S54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540, if the communication event is not finished,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mmunication event is continuous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535). On the other hand, when the S540 determination result, when the communication event is finished, the controller 180 ends the display of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mmunication event, the dialog and the list that wa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t the time when the communication event notification display is selected in the S530 The window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again (S545). While the message previously transmitted and received in S545 is displayed again in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unlike the case in which the chat window is hidden in S465, the connection with the messenger server is interrupted for a while, s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ile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mmunication event is displayed. Since no message is displayed, the same dialog is displayed when the communication event notification display is selected. Nex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message transmitted or received in the chat window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420), and performs the following steps S420.

도 6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고되는 도면이다.6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메신저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600)이 표시된다. 메신저 서버 접속을 위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대화목록을 포함하는 목록창(610)을 표시하는 화면(605)이 표시된다. 목록창(610)에서 1인의 대화상대가 선택되는 경우,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대화상대에 대한 대화창(620)이 목록창(610)과 투명하게 겹쳐지도록 표시된 화면(615)이 표시된다. 대화창(620)은 대화창(620)을 종료시키는 제1메뉴(625), 목록창(610)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2메뉴(630) 및 제3자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메시지 알림을 위한 메뉴(63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A, a screen 600 including a menu for inputting an ID and password and accessing a messenger server for user authentication for transmitting an instant message is displayed. If the user authentication for accessing the messenger server succeeds, as shown in FIG. 6B, a screen 605 displaying a list window 610 including a user's conversation list is displayed. When one contact is selected in the list window 610, as shown in FIG. 6C, a screen displayed such that the chat window 620 for the selected chat partner overlaps the list window 610 transparently. 615 is displayed. The chat window 620 may include a first menu 625 for terminating the chat window 620, a second menu 630 for activating the list window 610, and a menu for message notification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from a third party. 635).

화면(615)에 표시된 제2메뉴(630)를 통해 터치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록창(610)이 활성화되어 활성화된 목록창(610) 및 대화창(620)이 겹쳐지도록 표시된 화면(700)이 표시된다. 활성화된 목록창(610)을 통해 대화상대를 선택하는 터치입력이 가능하므로, 제2대화상대가 목록창(610)의 터치입력으로 선택된 경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대화상대에 대한 대화창(705)이 목록창(610)과 투명하게 겹쳐지도록 표시된 화면(710)이 표시된다. 대화창(710)은 대화창(710)을 종료시키는 제1메뉴(715), 목록창(610)을 활성화하기 위 한 제2메뉴(720) 및 제3자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메시지 알림을 위한 메뉴(725)를 포함한다.When a touch input is input through the second menu 630 displayed on the screen 615, as shown in FIG. 7A, the list window 610 is activated to activate the list window 610 and the chat window. The screen 700 displayed so that 620 overlaps is displayed. Since a touch input for selecting a chat partner is possible through the activated list window 610, when the second chat partner is selected as a touch input of the list window 610, as shown in FIG. The displayed screen 710 is displayed so that the dialog window 705 for the two conversation partners overlaps the list window 610 transparently. The chat window 710 may include a first menu 715 for terminating the chat window 710, a second menu 720 for activating the list window 610, and a menu for message notification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from a third party. 725.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대화창(805)의 대화상대 이외의 제3자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록창(610), 및 메시지 알림을 위한 메뉴(810)가 깜빡거리는 메시지 알림 표시를 포함하는 화면(800)이 표시된다. 메시지 알림을 위한 메뉴(810)가 선택되는 경우,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를 전송한 제3자에 대한 대화창(820)이 목록창(610)과 겹쳐지도록 투명하게 표시된 화면(815)이 표시된다.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from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chat partner of the chat window 805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8A, the list window 610 and a menu 810 for message notification are displayed. A screen 800 including a message notification display blinking is displayed. When the menu 810 for message notification is selected, as shown in FIG. 8B, the chat window 820 for the third party who sent the message is displayed to be transparent to overlap the list window 610. Screen 815 is displayed.

한편, 인스턴트 메시지 이외의 통신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예를 들어 음성통화가 발생한 경우,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록창(610), 대화창(905) 및 통신 이벤트 알림표시(905)가 표시된 화면(900)이 표시된다. 통신 이벤트 알림표시(905)를 통해 통신 이벤트 실행이 선택되는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통화가 실행되어, 음성통화가 실행되는 화면(915)이 표시된다. 다음, 실행된 음성통화가 종료되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이벤트 실행이 선택되던 시점에서 표시된 대화창과 동일한 대화창(905) 및 목록창(610)을 표시한 화면(920)이 표시된다.Meanwhile, when a communication event other than an instant message occurs, for example, when a voice call occurs, as illustrated in FIG. 9A, the list window 610, the chat window 905, and the communication event notification display ( A screen 900 displaying 905 is displayed. When communication event execution is sel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event notification display 905, as shown in FIG. 9B, a voice call is executed and a screen 915 on which the voice call is executed is displayed. Next, when the executed voice call ends, as shown in FIG. 9C, the screen 920 displaying the same chat window 905 and list window 610 as the displayed chat window at the time when the execution of the communication event is selected. ) Is displayed.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대화상대와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대화창(1005) 및 목록창(610)이 표시되고, 대화창(1005)에 포함된 제1메뉴(1010), 제2메뉴(1015) 및 제3메뉴(1020)이 표시된 화면(1000)이 표시된다. 대화창(1005)을 종료시키는 제1메뉴(1010)를 통해 터치입력이 입력된 경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제2대화상대와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대화창(1005)의 표시가 종료되고, 종료되지 않고 숨어있던 대화창 중 하나의 대화창(1030)이 목록창(610) 겹쳐지도록 투명하게 표시된 화면(1025)이 표시된다. 표시되는 대화창(1030)은 종료되지 않고 숨어있던 대화창들 중 마지막으로 송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대화창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0A, a chat window 1005 and a list window 6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with a second conversation partner are displayed, and the first menu 1010 and the first menu included in the chat window 1005 are displayed. The screen 1000 displaying the second menu 1015 and the third menu 1020 is displayed. When a touch input is input through the first menu 1010 for terminating the chat window 1005, as shown in FIG. 10B, the display of the chat window 1005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with the second chat partner is displayed. Is terminated, and a screen 1025 displayed transparently is displayed so that one of the dialog windows 1030 which are hidden without being terminated overlaps the list window 610. The displayed chat window 1030 may be a chat window that displays a message last transmitted among the chat windows that are not terminat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nd the mobi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re all or all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Some may be optional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processor readable codes on a processor 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station modem (MSM).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Examples of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processor-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defin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 technology that the various permuta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that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 2;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4 and 5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함께 설명하기 위해 참고되는 도면이다.6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Claims (17)

대화상대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창을 표시하는 단계; Displaying a list window for displaying the contact list; 상기 대화상대 목록 중에서 선택된 제1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1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a first chat window in which at least one area display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first chat partner selected from the chat partner list is overlaid on the list window; And 상기 대화상대 목록에서 제2 대화상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2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If a second chat partner is selected in the chat partner list, displaying a second chat window in which at least one area display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second chat partner is transparent to the list window; 제3 대화상대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메시지 전송 알림을 표시하는 단계; Displaying a message transmission notification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from a third conversation partner;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대화창을 숨기고, 상기 제3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3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Hiding the second chat window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notification is selected, and displaying a third chat window overlaid on the list window, wherein the third chat window is transparent with at least one area display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third chat partner;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대화창은 상기 제1 대화상대가 최초로 선택된 시점부터 송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And the first chat window displays message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chat partner is first sel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대화창에 대한 종료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 대화창의 표시를 종료하고, 상기 제1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If an end input to the second chat window occurs, ending displaying the second chat window and displaying the first chat window overlapping the list window; Operation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대화상대가 선택되어 상기 제2 대화창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 대화창을 숨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And hiding the first chat window when the second chat partner is selected and the second chat window is display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대화상대 및 상기 제2 대화상대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chat partner and the second chat partner is selected by a touch inpu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시지는 문자, 음성,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The messag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ext, a voice, an image, and a video.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대화상대 목록은 등록된 대화상대 전부, 상기 등록된 대화상대 중 로그인된 상태의 대화상대, 및 선택된 대화상대 중 종료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대화창의 대화상대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하는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방법.The conversation partner list displays any one of all registered conversation partners, a conversation partner in a logged-in state among the registered conversation partners, and a conversation partner in a chat window in which a termination input has not occurred among the selected conversation partners. Operation control method. 대화상대 목록을 표시하는 목록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list window displaying a list of conversational partners; And 상기 대화상대 목록 중에서 선택된 제1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1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대화상대 목록에서 제2 대화상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2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At least one area display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first chat partner selected from the chat partner lis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y overlapping the transparent first chat window on the list window, and the second chat partner is selected from the chat partner lis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for superimposing a second chat window transparent to at least one area displaying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second chat partner on the list window; 상기 제어부는 제3 대화상대로부터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메시지 전송 알림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메시지 전송 알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대화창을 숨기고, 상기 제3 대화상대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적어도 일 영역이 투명한 제3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 unit displays a message transmission notific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a message is transmitted from a third conversation partner, hides the second conversation window when the message transmission notification is selected, and displays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third conversation partner. And a third chat window, wherein at least one area of the display is transparent, is overlaid on the list window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 대화창은 상기 제1 대화상대가 최초로 선택된 시점부터 송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first chat window displays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chat partner is first selected on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대화창에 대한 종료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 대화창의 표시를 종료하고, 상기 제1 대화창을 상기 목록창에 중첩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ler may end the display of the second chat window when the end input to the second chat window occurs and display the first chat window on the display unit by overlapping the first chat window.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대화상대가 선택되어 상기 제2 대화창이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1 대화창을 숨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hide the first chat window when the second chat partner is selected and the second chat window is displayed.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메시지는 문자, 음성,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messag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ext, a voice, an image, and a video.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대화상대 목록은 등록된 대화상대 전부, 상기 등록된 대화상대 중 로그인된 상태의 대화상대, 및 선택된 대화상대 중 종료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대화창의 대화상대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하는 휴대 단말기.The conversation partner list displays any one of all registered conversation partners, a conversation partner in a logged-in state among the registered conversation partners, and a conversation partner in a chat window in which a termination input has not occurred among the selected conversation partners. .
KR1020080055792A 2008-06-13 2008-06-13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00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792A KR101000060B1 (en) 2008-06-13 2008-06-13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5792A KR101000060B1 (en) 2008-06-13 2008-06-13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726A KR20090129726A (en) 2009-12-17
KR101000060B1 true KR101000060B1 (en) 2010-12-10

Family

ID=4168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5792A KR101000060B1 (en) 2008-06-13 2008-06-13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0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55B1 (en) * 2013-12-26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User interface apparatus using speaker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05B1 (en) * 2011-03-25 2013-04-23 주식회사 코스콤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nt messenger service
KR20140107738A (en) * 2013-02-26 2014-09-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messag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624616B1 (en) 2014-12-31 2016-05-2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Chat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hat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83B1 (en) * 2007-01-08 2007-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menu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83B1 (en) * 2007-01-08 2007-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A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menu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55B1 (en) * 2013-12-26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User interface apparatus using speaker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9726A (en) 200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9004B2 (en) Mobi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96974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signal in the portable terminal
KR20100005438A (en)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KR20100115899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instant messaging service thereof
KR20090107793A (en) Mobile terminal using variable menu ic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00274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76650A (en) Mobile terminal for inputting hangul
KR101000060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56209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90076094A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the state of opponent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12440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076648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01950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46574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00004396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34308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18657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g method thereof
KR101457591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12148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49552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27503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11171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128592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00120540A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block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00063836A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