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998B1 -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998B1
KR100999998B1 KR1020080005673A KR20080005673A KR100999998B1 KR 100999998 B1 KR100999998 B1 KR 100999998B1 KR 1020080005673 A KR1020080005673 A KR 1020080005673A KR 20080005673 A KR20080005673 A KR 20080005673A KR 100999998 B1 KR100999998 B1 KR 10099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pushing module
sliding device
guid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585A (ko
Inventor
안성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08000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9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푸싱모듈을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의 사이가 아니라 제1슬라이더 또는 제2슬라이더의 상부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장치는 제1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의 상부에 위치되며, 선형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제2슬라이더가 슬라이딩시 일정한 텐션을 가하는 푸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푸싱모듈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연결된다.
전자기기. 슬라이드 타입. 푸싱모듈.

Description

슬라이딩 장치{Sli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푸싱모듈을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의 사이가 아니라 제1슬라이더 또는 제2슬라이더의 상부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바, 예를 들어 휴대폰, PDA 등의 통신장치를 포함한 노트북,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전자사전, MP3P, 게임기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노트북과 같이 디스플레이 수단과 입력수단이 서로 절첩되게 하거나, 휴대폰의 폴더타입이나 슬라이드타입의 구조를 들 수 있다.
이 중 슬라이드타입의 휴대폰 개폐방식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 휴대폰은 키패드가 구비되는 하부부재(미도시)와 표시창이 구비되는 상부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슬라이딩 장치(100)는 상기 하부부재가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110)와, 상기 상부부재가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슬라이더(120)의 양단은 상기 제1슬라이더(110)의 양변부를 감싸도록 절곡부가 형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 장치(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힘을 가압하여 제2슬라이더를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반대로 상방으로 슬라이딩시켜 휴대폰을 개폐한다.
또한 제2슬라이더(120)가 제1슬라이더(11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할 때, 일정한 텐션을 가하기 위한 푸싱모듈(130)이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푸싱모듈(130)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푸쉬로드(131)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푸쉬로드(131)는 일측에 연결부(131a, 131b)가 구비되어 각각 제1슬라이더(110) 및 제2슬라이더(12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푸쉬로드(131)의 타측에는 마주보는 푸쉬로드를 관통하는 제1가이드(1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132)의 외주연에는 코일스프링(13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푸쉬로드(131)에는 각각 제2가이드(134) 및 상기 제2가이드(134)를 안내하는 안내홈(13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슬라이딩 장치는 푸싱모듈이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휴대폰의 개폐시 상기 푸싱모듈이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에 간섭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푸싱모듈을 유지보수를 하기 위하여는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를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유 지보수 작업이 매우 어렵다.
특히, 최근에는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제1슬라이더 또는 제2슬라이더가 소정곡률로 곡면지게 형성되는 휴대폰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 경우에 제1슬라이더 또는 제2슬라이더의 곡률에 따라 슬라이딩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더욱이, 푸싱모듈이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에 증가되는 두께는 더욱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푸싱모듈을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의 사이가 아니라 제1슬라이더 또는 제2슬라이더의 상부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장치는 제1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의 상부에 위치되며, 선형의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제2슬라이더가 슬라이딩시 일정한 텐션을 가하는 푸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푸싱모듈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방향 일부를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이드돌기를 상기 제1슬라이더에 고정하는 리벳 등의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푸싱모듈의 일단은 상기 고정수단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제2슬라이더의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슬라이더에 결합되는 1 이상의 리벳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벳의 헤드가 상기 제2슬라이더를 기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2슬라이더의 양변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따라서 가이드수단도 상기 제1슬라이더의 양변부에 각각 형성될 것이다.
특히, 상기 제1슬라이더 또는 제2슬라이더는 소정곡률로 곡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슬라이더나 제2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만 곡면지게 형성할 수도 있고, 양자 모두 곡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후자의 경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의 곡률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슬라이더 또는 제2슬라이더가 곡면지게 형성되면, 낮은 부분에 푸싱모듈을 위치시킬 수 있어 두께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 사이에는 마찰방지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장치에서 푸싱모듈을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의 사이가 아니라 제1슬라이더 또는 제2슬라이더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더 또는 제2슬라이더가 소정곡률로 곡면지게 형성된 경우, 슬라이딩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딩 장치의 고장율이 감소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 슬라이딩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1)는 휴대폰의 하부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10)와, 상부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제2슬라이더(20)가 구비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슬라이더(10)와 제2슬라이더(20)는 동일한 곡률로 곡면지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곡률에 따라 상기 상부부재(미도시)와 제2슬라이더(20) 사이에는 소정공간(갭)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더(10)는 양변부(11)에 각각 가이드수단으로서, 소정형상으로 돌출형성된 선형의 가이드돌기(1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12)는 양단이 각각 고정수단(13a, 13b)으로 상기 제1슬라이더(1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13a, 13b)은 리벳이다.
또한 상기 제2슬라이더(20)는 상기 가이드돌기(12)가 돌출되도록 선형의 가이드홀(21)이 양변부 각각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21)은 상기 가이드돌기(12)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제1슬라이더(10)에 고정된 고정수단 중 어느 하나(13b)와, 상기 제2슬라이더(20)의 소정위치에 푸싱모듈(30)의 양단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 푸싱모듈의 일단은 상기 고정수단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핀(31)에 의해 상기 제2슬라이더에 연결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히 중요한 것은 휴대폰의 상부부재와 제2슬라이더에는 소정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데, 상기 푸싱모듈(30)은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상기 소정공간에 위치함으로써 푸싱모듈(30)을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푸싱모듈(30)의 구비로 인한 별도의 두께 증가는 없다는 것 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슬라이더(10)의 소정위치에는 마찰방지필름(11)이 더 구비된다. 상기 마찰방지필름(11)은 휴대폰의 개폐시 제1슬라이더(10)와 제2슬라이더(20)가 마찰되어 스크래치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슬라이딩 장치의 경우, 제1슬라이더(110)와 제2슬라이더(120) 사이에 푸싱모듈(130)이 구비되기 때문에, 제1슬라이더(110)와 제2슬라이더(120)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푸싱모듈(30)이 제2슬라이더(20)의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1슬라이더(10)와 제2슬라이더(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데,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기 제1슬라이더(10)와 제2슬라이더(20)는 금속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마찰방지필름(11)은 금속과의 마찰시, 금속을 보호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폰을 개폐하고자 할 때, 상부부재에 힘을 가하면, 상기 상부부재에 결합된 제2슬라이더(20)는 제1슬라이더(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때, 상기 제2슬라이더(20)의 가이드홀(21)은 제1슬라이더(10)의 가이드돌기(12)에 기속되어 제2슬라이더(20)의 이동경로를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장치는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수단은 가이드돌기 대신에 상기 제2슬라이더의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1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리 벳이나 가이드핀일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돌기가 결여된 구성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휴대폰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기타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휴대폰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슬라이딩 장치의 푸싱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9)

  1. 소정곡률로 곡면지게 형성되는 제1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와 동일한 곡률로 곡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의 상부에 위치되며, 선형의 가이드홀이 양변부에 각각 형성된 제2슬라이더;
    상기 제1슬라이더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길이방향 일부를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제2슬라이더가 슬라이딩 시 일정한 텐션을 가하기 위해 제1,2슬라이더의 곡면진 형상에 의해 마련되는 제1,2슬라이더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가이드돌기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연결되며, 슬라이딩 시 수평으로 동작하는 푸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 사이에는 마찰방지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장치.
KR1020080005673A 2008-01-18 2008-01-18 슬라이딩 장치 KR100999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673A KR100999998B1 (ko) 2008-01-18 2008-01-18 슬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673A KR100999998B1 (ko) 2008-01-18 2008-01-18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585A KR20090079585A (ko) 2009-07-22
KR100999998B1 true KR100999998B1 (ko) 2010-12-10

Family

ID=41290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673A KR100999998B1 (ko) 2008-01-18 2008-01-18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9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773B1 (ko) * 2003-10-30 2006-06-09 (주)쉘-라인 곡면 슬라이드 폰
KR100694498B1 (ko) * 2006-03-24 2007-03-14 조필제 투웨이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773B1 (ko) * 2003-10-30 2006-06-09 (주)쉘-라인 곡면 슬라이드 폰
KR100694498B1 (ko) * 2006-03-24 2007-03-14 조필제 투웨이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585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102B2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8581B1 (ko)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딩개폐장치
US8660622B2 (en) Roller assembly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999999B1 (ko) 슬라이딩 장치
KR101733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100999998B1 (ko) 슬라이딩 장치
US8208254B2 (en) Slide mechanism for slide-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5459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672442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36862A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0856333B1 (ko) 휴대폰용 더블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100047164A (ko) 슬라이드 핸드셋 및 슬라이더
KR100957114B1 (ko) 슬라이딩 장치
US20100180712A1 (en) Dual slider assembly
KR200428611Y1 (ko)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딩개폐장치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58818B1 (ko) 휴대용 정보기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957113B1 (ko) 슬라이딩 장치
KR100970983B1 (ko) 슬라이드 장치용 스프링 모듈
KR20090079593A (ko) 슬라이딩 장치
KR20041744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0714230B1 (ko) 휴대폰용 더블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066041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865975B1 (ko) 휴대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20110064956A (ko) 양방향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