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434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434B1
KR100999434B1 KR1020080136946A KR20080136946A KR100999434B1 KR 100999434 B1 KR100999434 B1 KR 100999434B1 KR 1020080136946 A KR1020080136946 A KR 1020080136946A KR 20080136946 A KR20080136946 A KR 20080136946A KR 100999434 B1 KR100999434 B1 KR 10099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utton
usb
elastic memb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634A (ko
Inventor
정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원시스템
Priority to KR102008013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4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슬라이드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 버튼부 몸체부와, 상기 버튼부 몸체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날개와, 상기 제1 가이드 날개 상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버튼부 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 베이스부 몸체부와, 상기 제1 가이드 날개가 슬라이드 이동되게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와 접촉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및 일단이 상기 커넥터에,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촉하는 제1 탄성부재; 일단이 상기 버튼부에,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촉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 방식으로 커넥터를 커넥터 장치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하나의 부품(베이스부) 내부에 모두 장착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텍터 장치를 하나의 모듈로서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의 슬라이드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산업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 예컨대, MP3 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이동식 저장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등이 등장하고 있다. 이들 휴대용 전자기기는 통상적으로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데이터 통신 등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USB 커넥터를 구비한다.
종래의 USB 장치로는, USB 장치의 본체 일측에 USB 커넥터를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돌출된 USB 커넥터를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에 연결하지 않을 때에는 커버(cover)를 덮어 USB 커넥터를 보호하고, 외부 기기에 연결할 때에는 커버를 제거한 후 USB 커넥터를 외부 기기의 USB 포트에 연결하는 방식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USB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커버를 분실하여 새로이 커버를 구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외부 기기에 USB 커넥터를 연결 중일 때에는 커버를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터치 방식으로 커넥터를 커넥터 장치 내부에 삽입하거나 커넥터 장치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한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는, 커넥터; 버튼부 몸체부와, 상기 버튼부 몸체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날개와, 상기 제1 가이드 날개 상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버튼부 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 베이스부 몸체부와, 상기 제1 가이드 날개가 슬라이드 이동되게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와 접촉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및 일단이 상기 커넥터에,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촉하는 제1 탄성부재; 일단이 상기 버튼부에,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촉하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장치에서, 상기 버튼부의 내면에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인출을 방지하고, 상기 커넥터의 인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삽입을 방지하는 USB 커넥터 스토퍼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장치에서, 상기 USB 커넥터 스토퍼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의 제1 가이드 홈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커넥터의 인출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의 제1 가이드 홈의 하단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 장치에서, 상기 커넥터는 USB 커넥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터치 방식으로 커넥터를 커넥터 장치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하나의 부품(베이스부) 내부에 모두 장착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장치를 하나의 모듈로서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 예컨대, USB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는 그 내부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USB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예컨대, USB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 또는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USB 커넥터는 커넥터의 일 실시예이므로 커넥터는 USB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커넥터에 사용되는 도면부호 1을 USB 커넥터에 부여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SB 장치는 USB 커넥터(1), 버튼부(2), 베이스부(3), 제1 탄성부재(5), 제2 탄성부재(6)를 구비한다.
USB 커넥터(1)는 USB 커넥터 몸체부(12)의 양 측면에 제1 가이드 홈(1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USB 커넥터 몸체부(12)의 표면과 단차지게 빈 공간(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USB 커넥터 몸체부(12)의 하부에는 제1 지지봉(14)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지봉(14)은 빈 공간(13)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USB 커넥터(1)에는 외부 기기의 USB 포트와 결합하는 USB 단자(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2)는 버튼부 몸체부(21)와, 버튼부 몸체부(21)의 상,하측면에 버튼부 몸체부(21)의 표면과 단차지게 형성된 제1 가이드 날개(22)를 구비한다. 
버튼부 몸체부(21)의 우측면에는 버튼(23)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3)은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USB 장치의 케이스(100)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케이스(100)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2)의 내면에는 USB 커넥터(1)가 USB 장치의 케이스 내로 삽입 상태에서 USB 커넥터(1)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USB 커넥터(1)가 USB 장치의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USB 커넥터(1)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스토퍼, 이를테면 USB 커넥터 스토퍼(2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가이드 날개(22)는 버튼부 몸체부(21)를 언더 컷(under-cut)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가이드 날개(22) 상의 소정 위치에는 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튼부(2)의 하부에는 절삭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지지봉(25)은 일단이 버튼부(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절삭부(26)로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부(3)는 베이스부 몸체부(31)와, 베이스부 몸체부(31)의 양측면에 형 성된 제2 가이드 날개(3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 가이드 날개(32)는 USB 커넥터(1)의 제1 가이드 홈(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3)에 제2 가이드 날개(32)가, USB 커넥터부(1)에 제1 가이드 홈(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구성하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베이스부 몸체부(31) 상에는 버튼부(2)의 제1 가이드 날개(2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홈(33)이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부(2)가 베이스부(3)에 슬라이드 결합한 후, 버튼부(2)가 베이스부(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버튼부(2)의 돌기(24)와 접촉하는 지지부재(34)가 구비된다.  여기서, 지지부재(34)는 서로 평행하게 장착된 2쌍의 걸림턱(341,342)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의 상하 방향으로의 간격은 버튼부(2)의 폭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 몸체부(31)에는 USB 장치의 케이스(100)에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가 삽입되는 구멍(3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 몸체부(31)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제2 탄성부재(6)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부(3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재(5)는 일단이 USB 커넥터(1)에, 타단이 베이스부(3)에 접촉한다.  제1 탄성부재(5)는 예컨대 스프링으로서, USB 커넥터(1)의 제1 지지봉(14)을 감싸도록 장착된다.
제2 탄성부재(6)는 일단이 버튼부(2)에, 타단이 베이스부(3)에 접촉한다.  제2 탄성부재(6)는 예컨대 스프링으로서, 버튼부(2)의 제2 지지봉(25)을 감싸도록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장치에서 USB 커넥터(1)가 삽입된 상태(도 5(a))와, USB 커넥터(1)가 인출된 상태(도 5(b))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먼저, USB 커넥터(1), 버튼부(2), 베이스부(3)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조립된다.
베이스부(3)의 제2 가이드 날개(32)를 USB 커넥터(1)의 제1 가이드 홈(11)에 끼워 슬라이드 시킨다.  이때, USB 커넥터(1)는 베이스부(3)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 버튼부(2)의 제1 가이드 날개(22)를 베이스부(3)의 제2 가이드 홈(33)에 끼워 슬라이드 시킨다.  이때, 버튼부(2)는 베이스부(3)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USB 커넥터(1), 버튼부(2), 베이스부(3)는 조립된다.  조립이 완료되면, 버튼부(2)는 베이스부(3)의 걸림턱(341,342)에 돌기(24)가 지지되어, 버튼부(2)가 베이스부(3)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 상태로, 이들을 USB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베이스부(3)에 형 성된 체결구용 구멍(311)에 체결구를 삽입하여 USB 케이스(100)에 고정한다.
한편, 도 1(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에는, USB 커넥터(1)가 USB 장치의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한다.  이때, 제1 탄성부재(5)는 USB 커넥터(1)를 케이스(100) 밖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USB 커넥터 스토퍼(27)가 제1 가이드 홈(11)의 상단을 지지하여 USB 커넥터(1)가 케이스(100) 밖으로 인출되는 것을 막고 있는 상태이다.
만일, 외부 기기의 USB 포트에 연결하기 위하여, USB 커넥터(1)가 케이스(100) 외부로 인출되도록 사용자가 버튼(23)을 누르면, 버튼부(2)가 베이스부(3)의 제2 가이드홈(33) 내로 슬라이드 된다.  이때, USB 커넥터 스토퍼(27)와 USB 커넥터(1)의 접촉이 해제되고 제1 탄성부재(5)의 탄성력에 의하여 USB 커넥터(1)는 케이스(100)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누르고 있던 버튼(23)에서 손을 떼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커넥터 스토퍼(27)는 제1 가이드 홈(11)의 하단을 지지하여 케이스(100) 내부로 USB 커넥터(1)가 삽입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인출 상태를 만든 후에 USB 장치를 컴퓨터 등과 같은 USB 포트에 삽입할 때, USB 커넥터가 뒤(케이스 내부)로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USB 장치를 편안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다시, USB 커넥터(1)를 케이스(100) 내부로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튼(23)을 밀어주면 USB 커넥터 스토퍼(27)가 제1 가이드 홈(11)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이 해제되고, 이때 USB 커넥터(1)를 베이스부(3)로 슬라이드 결합 시킨 후, 누르고 있던 버튼(23)에서 손을 떼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는 버튼(23)과 USB 커넥터 스토퍼(27)가 서로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버튼(23)의 흔들림에 따른 영향을 USB 커넥터 스토퍼(27)가 작게 받고, 따라서 USB 커넥터(1)를 베이스부(3)에 삽입 또는 인출시 동작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SB 장치는 원터치에 의해 USB 커넥터를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SB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하나의 모듈로서 일체화할 수 있어, 조립 양산성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모든 경우를 포함한다.
도 1(a)는 커넥터가 커넥터 장치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 1(b)는 커넥터가 커넥터 장치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도이고, 도 4(b)는 주요 구성요소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를,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Claims (4)

  1. 커넥터;
    버튼부 몸체부와, 상기 버튼부 몸체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날개와, 상기 제1 가이드 날개 상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버튼부 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버튼을 구비하는 버튼부;
    베이스부 몸체부와, 상기 제1 가이드 날개가 슬라이드 이동되게 삽입되는 제2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상기 버튼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와 접촉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및
    일단이 상기 커넥터에,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촉하는 제1 탄성부재;
    일단이 상기 버튼부에,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접촉하는 제2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버튼부의 내면에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인출을 방지하고, 상기 커넥터의 인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삽입을 방지하는 커넥터 스토퍼가 형성된 커넥터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커넥터 스토퍼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의 제1 가이드 홈의 상단을 지지하고, 상기 커넥터의 인출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의 제1 가이드 홈의 하단을 지지하는 커넥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USB 커넥터인 커넥터 장치.
KR1020080136946A 2008-12-30 2008-12-30 커넥터 장치 KR10099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946A KR100999434B1 (ko) 2008-12-30 2008-12-30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946A KR100999434B1 (ko) 2008-12-30 2008-12-30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634A KR20100078634A (ko) 2010-07-08
KR100999434B1 true KR100999434B1 (ko) 2010-12-09

Family

ID=4263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946A KR100999434B1 (ko) 2008-12-30 2008-12-30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4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394B1 (ko) 2003-06-0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0735305B1 (ko) 2005-04-18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그에장착된 외장형 카드 커버 장치
KR200440659Y1 (ko) 2006-11-27 2008-06-24 박수성 슬라이딩 커버를 갖는 usb 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394B1 (ko) 2003-06-0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0735305B1 (ko) 2005-04-18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그에장착된 외장형 카드 커버 장치
KR200440659Y1 (ko) 2006-11-27 2008-06-24 박수성 슬라이딩 커버를 갖는 usb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634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7849B2 (en) Flash memory disk
US8179669B2 (en) Retractable USB memory stick
US8360485B2 (en) Hold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8322760B2 (en) Battery cover mechanism
WO2017054281A1 (zh) 卡座结构及电子设备
US9304548B2 (en) Docking station of electronic device
US20100267259A1 (en) External usb card reader
KR100724850B1 (ko) 휴대 단말기의 심카드 착탈 가이드 장치
CN103188906A (zh) 自动弹出装置
CN111262601B (zh) 电子设备
US8681490B2 (en) Data storage device
US787127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etractable connector
US7753702B2 (en) Card socket assembly
TWI583070B (zh) 電連接器介面保護結構
KR100999434B1 (ko) 커넥터 장치
TWI565166B (zh) Dual plug USB connector
US20130050910A1 (en) Flash drive
TWI545847B (zh) 電子裝置及其切換式接頭構造
KR200455633Y1 (ko) 카드 리더
CN201204759Y (zh) 快闪存储器及其壳体结构
KR102286609B1 (ko) 유에스비 커넥터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219266978U (zh) 方便推拉定位的便携优盘
US20110195594A1 (en) Rj-45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0447698Y1 (ko) 출몰형 터치펜이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변환젠더
CN210046689U (zh) 具有数据线和小刀的便携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