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515B1 - 검안기의 미러 박스 - Google Patents

검안기의 미러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515B1
KR100997515B1 KR1020090030876A KR20090030876A KR100997515B1 KR 100997515 B1 KR100997515 B1 KR 100997515B1 KR 1020090030876 A KR1020090030876 A KR 1020090030876A KR 20090030876 A KR20090030876 A KR 20090030876A KR 100997515 B1 KR100997515 B1 KR 10099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ens
fixing
fixed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388A (ko
Inventor
민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치나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치나광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치나광학
Priority to KR102009003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51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안기에서 눈으로 입사되고 반사되는 빛의 초점과 수평을 맞추어주기 위한 미러박스에 관한 것으로, 수 개의 미러와 렌즈를 기판에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검안기의 미러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러박스에 있어서, 일정폭을 갖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으로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시킨 고정돌기를 전후로 각각 3개씩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으로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돌기 사이의 베이스 부재에 장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의 경사면에 구멍이 뚫린 미러 고정판을 고정시키며, 상기 미러 고정판에 밀착되게 미러를 끼우되 ㄴ자형의 판스프링으로 밀착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 사이에는 내측으로 렌즈가 끼워져 고정된 렌즈틀을 끼워 고정나사로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나사는 장홈에 끼워져 렌즈틀의 위치를 변화시키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검안기, 미러, 박스, 초점, 수평

Description

검안기의 미러 박스{Optometer mirror bo}
본 발명은 검안기에서 눈으로 입사되고 반사되는 빛의 초점과 수평을 맞추어주기 위한 미러박스에 관한 것으로, 수 개의 미러와 렌즈를 기판에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검안기의 미러박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 검안기는 피검안자의 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검안자의 눈에 일정량의 빛을 조사한 후 눈에서 반사되는 빛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안구의 직경, 각막에 대한 곡률이나 망막 및 수정체에 대한 굴절률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검안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미러박스는 검안기에서 발생시킨 빛이 피검안자의 눈에 집속되도록 하는 한편 눈에서 반사된 빛이 검안기의 각 정보입력장치에 감지되어 피검안자의 눈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미러박스는 3개의 미러와 2개의 렌즈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미러박스는 미러와 렌즈가 일정각도와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설계단계에서부터 각 미러와 렌즈의 특성을 파악한 후 설치위치를 정확히 세팅해주어야 하는 문제와 함께 일부의 렌즈와 미러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전체를 교체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 20-0314084호에 검안기 조립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제작 오차가 있더라도 미러박스 조립시에 오차의 수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수 개의 미러와 렌즈의 정렬이 용이하게 하는 검안기의 광정렬용 미러박스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된 선 등록 실용신안은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판재 형태인 베이스부재(10)의 상측으로 지그재그로 장착부(13)를 형성하는 한편 지지용 돌출턱(12)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13)에는 빛이 입사되는 순서에 따라 제1미러(20)와, 제2미러(22), 제3미러(24) 및 제1렌즈(30)와 제2렌즈(32)가 각각 결합되게 하며, 상기 제1,2렌즈(30)(3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고정틀(35)에 끼워진 후 장착부(13)에서 베이스부재(10)와 고정나사(11)로 고정되고, 상기 제1,2,3미러(20)(22)(24)는 장착부(13)의 일측에 각 미러(20)(22)(24)의 하단을 장착부(13)의 일측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 형상의 판스프링(40)이 고정나사(11)로 결합되게 하여 구성된다.
상기 된 미러박스는 각 미러(20)(22)(24)가 장착부(13)에 끼워져 판스프링(40)으로 고정되게 되나, 상기 미러박스는 장착부(13)의 깊이와 돌출턱(12)의 높이에 의해 지지되는 관계로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게 되고, 또한 렌즈(30)(32)는 고정틀(35)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나사(11)로 베이스부재(10)에 고정되게 되므로, 렌즈(30)(32)의 중심축이 빗나가는 경우 렌즈(30)(32)를 고정틀(35)에 다시 끼우지 않는 한 빛의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게 된다.
특히 기존의 미러박스는 미러(20)(22)(24)의 안정적인 설치가 쉽지 않고, 또한 렌즈(30)(32)의 초점을 맞추어 정확히 설치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검안기의 미러박스에서 베이스 부재에 제1,2,3미러를 직접 고정시키지 않고 미러 고정판을 이용하여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베이스 부재의 상측으로 제1,2렌즈가 끼워진 렌즈틀이 끼워지게 가이드 돌기를 설치하되 상기 렌즈틀은 가이드 돌기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며 정확히 초점이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미러의 설치가 용이한 동시에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빛의 초점을 맞추어주기 위한 렌즈의 초점은 렌즈틀을 이동시켜 가며 정확히 맞추어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의 상측으로 3개의 미러와 2개의 렌즈가 지그재그 형태로 고정되는 검안기의 미러박스에 있어서, 일정폭을 갖는 평판 형상의 베이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으로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시킨 고정돌기를 전후로 각각 3개씩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측으로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 돌기 사이의 베이스 부재에 장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의 경사면에 구멍이 뚫린 미러 고정판을 고정시키며, 상기 미러 고정판에 밀착되게 미러를 끼우되 ㄴ자형의 판스프링으로 밀착되게 하고, 상기 가이드 돌기 사이에는 내측으로 렌즈가 끼워져 고정된 렌즈틀을 끼워 고정나사로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나사는 장홈에 끼워져 렌즈틀의 위치를 변화시키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미러 고정판은 고정돌기의 경사면에 밀착되어 나사로 고정되는 것으로, 미러 고정판이 정면을 향하여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렌즈틀은 정면을 향하여 직각이 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렌즈틀은 전후로 이동하며 렌즈의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3개의 미러를 고정시키되 고정돌기에 형성된 경사면에 밀착된 채로 미러 고정판을 고정시킨 후 상기 미러 고정판에 밀착되게 미러를 판스프링에 끼워 고정시키게 되므로, 미러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렌즈틀이 전후로 이동되며 렌즈의 초점을 맞추어 고정되게 되므로, 빛의 초점을 맞추어 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의 상측으로 3개의 미러와 두 개의 렌즈를 지그재그 형태로 고정시킴으로써 빛이 미러와 렌즈를 통하여 눈에 전달되게 하는 한편 눈에서 반사된 빛이 미러와 렌즈를 통하여 피검안자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검안기의 미러박스에 있어서, 3개의 미러를 간단히 고정시키는 한편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렌즈의 초점을 이동시키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빛의 수평과 초점을 쉽게 일치시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미러는 베이스부재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돌기에 미러 고정판을 밀착시켜 나사로 고정시킨 후 상기 미러 고정판의 배면에 미러를 밀착시키고 판스프링으로 미러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여기서 미러 고정판 에는 구멍을 뚫어주어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러 고정판이 고정된 고정돌기는 베이스 부재의 전후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돌기에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미러 고정판이 밀착되어 고정되게 하되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ㄴ자 형태의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미러 고정판을 고정돌기쪽으로 밀어 고정시키도록 한다.
렌즈가 끼워져 고정된 렌즈틀은 베이스 부재에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 돌기 사이로 끼워진 후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렌즈틀을 베이스부재에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나사는 베이스 부재의 장홈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렌즈틀이 전후로 이동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렌즈틀에는 렌즈를 끼우되 측면에서 렌즈 고정링으로 렌즈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상기 렌즈는 초점을 맞추어 끼운 후 렌즈 고정링으로 고정되게 하고, 렌즈의 초점은 렌즈를 전후로 이동시킬 경우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검안기의 일반적인 구조와 기본적인 광학계 구성요소 및 그 광학회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미러박스에 한정해서 그 설명을 하기로 한다.
사각 판재 형상을 갖는 베이스 부재(110)를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는 전후로 3개씩의 고정돌기(120-125)를 형성하는 한편 상측으로 가이드 돌기(130-133)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120-125)에는 일측으로 경사면(120a-125a)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130-133) 사이의 베이스 부재(110)에 는 장홈(111)(112)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고정돌기(120-125)에 형성된 경사면(120a-125a)에는 가운데 구멍(155-157)이 형성된 미러 고정판(151-153)을 밀착시킨 후 나사로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미러 고정판(151-153)에는 미러(161-163)를 밀착시킨 후 베이스 부재(110)에 ㄴ자형의 판스프링(171-173)을 고정나사(175)로 고정하여 미러(161-163)가 미러 고정판(151-153)에 밀착된 채로 판스프링(171-173)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돌기(120-125)에 형성된 경사면(120a-125a)은 빛이 정확히 렌즈(190)를 향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가공하여야 하며, 상기 경사면(120a-125a)에 미러 고정판(151-153)을 고정시키고 상기 미러 고정판(151-153)에 밀착되게 미러(161-163)를 판스프링(171-173)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피검안자의 눈(E)에서 반사된 빛은 정확히 측정기로 반사되고, 검안기에서 발생한 빛은 피검안자의 눈(E)으로 전달되게 된다.
특히 기존과 달리 미러(161-163)는 넓직한 미러 고정판(151-153)에 밀착되어 판스프링(171-173)으로 고정되므로,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미러 고정판(151-153)은 미리 경사면(120a-125a)을 형성시킨 고정돌기(120-125)에 지지되므로,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돌기(120-125)는 베이스부재(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110)를 검안기에 일정하게 고정시킬 경우 고정돌기(120-125)의 경사면(120a-125a)에 밀착되어 고정된 미러 고정판(151-153)의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 더라도 빛이 수평으로 정확히 반사되고 굴절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미러 고정판(151-153)은 고정돌기(120-125)의 경사면(120a-125a)에 밀착되어 나사로 고정되게 되나, 미러(161-163)는 미러 고정판(151-153)에 밀착되어 판스프링(171-173)으로 고정되므로, 미러(161-163)를 간단히 착탈시킬 수 있으며, 미러 고정판(151-153)에 밀착되어 미러(161-163)를 고정시키게 되어 빛의 수평진행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110)의 상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 돌기(130-133) 사이로 렌즈틀(180)(181)을 끼워 고정나사(186)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상기 렌즈틀(180)(181)에는 내측으로 렌즈(190)를 끼운 후 외측에서 렌즈 고정링(185)을 끼워 렌즈(19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상기 렌즈틀(180)(181)은 가이드돌기(130-133) 사이에 끼워 고정나사(186)로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나사(186)는 베이스부재(110)의 장홈(111)(112)에 끼워져 전후로 이동하며 렌즈틀(180)(181)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렌즈틀(180)(181)은 기존과 같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렌즈(190)의 초점이 전후로 틀어져 있을 경우 조립 과정에서 레이저로 이를 찾아낸 후 렌즈틀(180)(181)의 고정위치를 전후로 변화시킴으로써 쉽게 초점을 맞추어 고정시킬 수 있다.
렌즈틀(180)(181)에는 렌즈(190)를 끼운 후 렌즈 고정링(185)을 끼워 렌즈(190)의 움직임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초기에 렌즈(190)의 초점을 정확히 잡아서 렌즈틀(180)(181)에 렌즈(190)를 끼운 후 렌즈(190)를 렌즈 고정링(185)으로 고정시키는 경우는 지극히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렌즈(190)의 초점을 조정하여 렌즈틀(180)(181)에 고정시키되 전후로 렌즈(190)의 위치를 이동시킬 경우 초점을 맞추어 줄 수 있도록 렌즈(190)를 렌즈틀(180)(181)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즉, 렌즈(190)의 초점을 정확히 일치시켜 렌즈틀(180)(181)에 고정시키기가 어려우므로, 렌즈(190)를 렌즈틀(180)에 고정시키되 전후로 위치를 이동시킬 경우 초점을 맞추어줄 수 있는 상태로 렌즈(190)를 렌즈틀(180)(181)에 고정시킨 후 상기 렌즈틀(180)(181)을 베이스부재(110)에 고정시킬 때 장홈(111)(112)을 이용하여 전후로 렌즈틀(180)(181)을 이동시켜 정확히 초점이 일치하는 위치에 렌즈틀(180)(181)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렌즈틀(180)(181)을 고정시키기 전에 레이저 빛을 이용하여 렌즈(190)의 초점을 확인하여가며 렌즈틀(180)(181)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110)에 돌출되어 형성시킨 고정돌기(120-125)에 미리 미러 고정판(151-153)의 경사 각도를 맞추어 경사면(120a-125a)을 형성시킴으로써 고정돌기(120-125)의 경사면(120a-125a)에 미러 고정판(151-153)을 밀착시켜 나사로 고정시킨 후 상기 미러 고정판(151-153)에 미러(161-163)를 밀착시켜 ㄴ자형의 판스프링(171-173)으로 고정시키게 되면 미러(161-163)의 탈부착이 용이한 동시에 미러(161-163)가 미러 고정판(171-173)에 밀착되어 안정되게 고정되므로, 빛이 수평 상태로 흔들리거나 틀어지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10)에 렌즈(190)가 끼워진 렌즈틀(180)(190)을 고정시키되 상기 렌즈틀(180)(190)에 끼워진 렌즈(190)의 초점을 정확히 맞추되 전후로 렌즈틀(180)(181)을 이동시키면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렌즈틀(180)(181)을 고정시킬 때 렌즈(190)의 초점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렌즈틀(180)(181)을 전후로 이동하며 고정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렌즈틀(180)(181)은 베이스부재(110)에 고정나사(186)로 고정되게 하되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형성된 장홈(111)(112)에 고정나사(186)가 끼워져 있도록 함으로써 장홈(111)(112)을 타고 렌즈틀(180)(181)이 전후로 이동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렌즈틀(180)(181)을 고정시킬 때 렌즈틀(180)(181)을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으므로, 기존과 같이 렌즈틀(180)(181)에 끼워져 렌즈 고정링(185)으로 고정시킬 때 초점을 정확히 일치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없어지게 되며, 특히 본 발명은 검안기에 베이스 부재(11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기만 하면 미러(161-163)와 렌즈(190)의 위치가 빛의 수평과 초점을 맞추어 일치되게 되므로, 미러박스의 제작이 용이하게 정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미러박스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L1)에서 나온 빛이 미러(M1)와 제1미러(161)를 관통하여 피검안자의 눈(E)에 도달하고, 망막에서 반사된 빛은 제1미러(162)를 관통한 후 미러(M1)에서 반사되어 CCD카메라(C1)에 전달됨으로써 굴절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눈(E)으로 광원(L2)에서 발생시킨 타켓을 제3미러(163)에서 반사되고 제2미러(162)에서 관통한 후 제1미러(161)에서 반사되어 눈(E)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서 눈(E)을 타켓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검안기의 광원(L3)에서 발생된 빛은 눈(E)에서 반사된 후 제1미러(161)와 제2미러(162)에서 반사된 후 CCD카메라(C2)로 전달되어 곡률반경 측정에 사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피검안자의 눈(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중요한 미러박스는 미러(161-163)에서 반사되거나 관통하는 빛의 수평을 맞추게 되는 한편 렌즈(190)에서 초점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검안기에 조립할 때 미리 설계된 위치에 정확히 고정시키기만 하면 빛의 수평과 중심 초점을 서로 다른 미러(161-163)와 렌즈(190)에서도 정확하게 맞출 수가 있어 피검안자의 눈(E)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기존의 검안기용 미러박스 사시도
도 2는 기존의 검안기용 미러박스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러박스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러박스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미러박스를 구성하는 베이스 부재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완성된 미러박스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완성된 미러박스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미러박스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완성된 미러박스에서 렌즈틀의 이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렌즈틀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미러 고정틀만 고정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미러박스 사용 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베이스 부재 111,112 : 장홈
130-133 : 가이드 돌기 151-153 : 미러 고정판
155-157 : 구멍 161-163 : 미러
171-173 : 판 스프링 180,181 : 렌즈틀
190 : 렌즈

Claims (4)

  1. 3개의 미러(161-163)가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고, 2개의 렌즈(190)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피검안자의 눈(E)으로 빛을 전달하는 한편 눈(E)에서 반사된 빛을 측정기로 전달하는 검안기의 미러박스에 있어서,
    사각 판재 형태를 갖는 베이스 부재(110)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가이드 돌기(130-133)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전후방에는 각각 3개씩의 고정돌기(120-125)를 상부로 돌출시켜 일체로 설치하되 상기 고정돌기(120-125)에는 경사면(120a-125a)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고정돌기(120-125)의 경사면(120a-125a)에는 구멍(155-157)이 형성된 미러 고정판(151-153)을 밀착시켜 나사로 고정시키고; 상기 미러 고정판(151-153)에는 미러(161-163)를 밀착시키되 상기 미러(161-163)는 베이스 부재(110)에 고정된 ㄴ 자형의 판스프링(171-173)으로 미러 고정판(151-153)에 밀착되며 고정되게 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130-133) 사이에는 렌즈(190)가 끼워진 렌즈틀(180)(181)을 끼우되 상기 렌즈틀(180)(181)은 베이스부재(110)에 형성된 장홈(111)(112)에 끼워진 고정나사(186)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의 미러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재(110)에 돌출되게 고정되는 고정돌기(120-125)에는 일측으로 미러 고정판(151-153)이 경사진 방향으로 밀착되게 경사면(120a-125a)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120a-125a)에는 미러(161-163)를 고정시키는 미러 고정 판(151-153)을 밀착시킨 후 나사로 고정하며, 상기 미러 고정판(151-153)에는 구멍(155-157)을 형성하되 상기 구멍(155-157)을 막아주는 미러(161-163)를 밀착시키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고정된 판스프링(171-173)으로 미러(161-163)를 미러 고정판(151-153)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의 미러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렌즈틀(180)(181)은 베이스 부재(110)의 가이드 돌기(130-133) 사이에 끼워져 고정나사(186)로 고정시키되 상기 고정나사(186)는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장홈(111)(112)에 끼워져 렌즈틀(180)(181)을 고정시켜 렌즈틀(180)(181)이 전후로 위치 이동하며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의 미러 박스.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렌즈틀(180)(181)에는 렌즈(190)를 끼워 렌즈 고정링(185)으로 고정시키되 상기 렌즈틀(180)(181)에 끼워지는 렌즈(190)의 초점은 렌즈틀(180)(181)을 전후로 이동시키면 맞출 수 있도록 끼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의 미러 박스.
KR1020090030876A 2009-04-09 2009-04-09 검안기의 미러 박스 KR100997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876A KR100997515B1 (ko) 2009-04-09 2009-04-09 검안기의 미러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876A KR100997515B1 (ko) 2009-04-09 2009-04-09 검안기의 미러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388A KR20100112388A (ko) 2010-10-19
KR100997515B1 true KR100997515B1 (ko) 2010-12-01

Family

ID=4313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876A KR100997515B1 (ko) 2009-04-09 2009-04-09 검안기의 미러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3647A1 (en) * 2021-05-21 2022-11-24 Beijing Voyager Technology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ROVED OPTICAL COMPONENT RETENTION AND ALIGNMENT IN A LiDA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740B1 (ko) 1999-05-14 2002-06-24 김현수 시력측정장치용 광학계
KR100386514B1 (ko) 2001-05-17 2003-06-09 주식회사 휴비츠 시력 측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740B1 (ko) 1999-05-14 2002-06-24 김현수 시력측정장치용 광학계
KR100386514B1 (ko) 2001-05-17 2003-06-09 주식회사 휴비츠 시력 측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388A (ko) 201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90757B (en) Defocus and astigmatism compensation in a wavefront aberration measurement system
TW201327009A (zh) 具有自動對焦功能之診斷設備
KR20020086519A (ko) 안과 측정에서의 사용을 포함하는 웨이브프론트 센서용다이내믹영역 확장 기법
CN101732030B (zh) 测量角膜曲率的装置和方法
US9417061B2 (en) Range finder with image split prism for golf course hole
US20200245864A1 (en) Ophthalmic imaging system
KR100997515B1 (ko) 검안기의 미러 박스
US7424182B2 (en) Wavelength selection switch
US6540356B1 (en) Instrument and a method for measuring aberration of human eyes
US10704903B2 (en) Binocular capable of measuring distance and prism and light transmitter module thereof
KR200314084Y1 (ko) 검안기의 광정렬용 미러박스
CN213091130U (zh) 一种棱镜度测试仪
CN216132665U (zh) 一种光学镜头温漂检测装置
JP2014002219A (ja) 照明ユニットおよび倒立顕微鏡
CN109602389B (zh) 一种模块化光学测量系统及验光装置
CN210375636U (zh) 显微球面光谱自动分析仪
JP2005532597A (ja) 表示装置
US10816399B2 (en) Transmissive sampling module and transmissive spectrometer
JP2897314B2 (ja) 双眼鏡
KR20210119278A (ko) 광시야, 공초점 및 다광자 현미경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동적 초점 및 줌 시스템
US20240118165A1 (en) Device measuring the defocus curve of a multifocal intraocular lens
KR100428476B1 (ko) 모델아이 스탠드
US20240118166A1 (en) Optical Bench Tester for Multifocal IOL
CN216317541U (zh) 一种眼科测量设备中光学延迟线的三维角度调节装置
KR101536084B1 (ko) 검안기의 굴절율 측정 광정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