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326B1 -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이를 사용한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이를 사용한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326B1
KR100995326B1 KR1020040023308A KR20040023308A KR100995326B1 KR 100995326 B1 KR100995326 B1 KR 100995326B1 KR 1020040023308 A KR1020040023308 A KR 1020040023308A KR 20040023308 A KR20040023308 A KR 20040023308A KR 100995326 B1 KR100995326 B1 KR 100995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unit
card
interface
pcmcia
s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080A (ko
Inventor
손태용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3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7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associated to expansion card or bus, e.g. in PCMCIA, PC cards, Wireless US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65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PCMCIA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및 통신방법이 개시된다.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는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를 장착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에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의 장착여부를 판단하고,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변환카드 동작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재설정하며,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시청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를 이용하여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R1020040023308
오픈케이블 셋톱 박스,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변환카드

Description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이를 사용한 통신방법{OpenCable applying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a는 도 1에 케이블카드가 장착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b는 도 1에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가 장착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의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의 오픈케이블 동작모드에서의 사용예를 나타난 예시도, 그리고
도 4b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의 변환카드 동작모드에서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헤드 엔드 20: 외부 장치
100 :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125 :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
130 : 디멀티플렉서 135 :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140 : 제어부 155 : 멀티플렉서
200 : PCMCIA 카드
본 발명은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는 오픈케이블(OpenCable)방식을 채용한 디지털 유선 방송 수신장치로서, 케이블카드(POD 모듈, 또는 제한수신모듈이라고도 불림)의 장착 여부에 따라서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기기이다.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는 케이블카드가 장착된 경우에는 유료방송신호를 시청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지만, 케이블카드가 미장착된 경우에는 유료방송신호를 시청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지 못한다. 대표적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로는 오픈케이블 셋톱 박스(Open Cable Set-top Box)와 오픈케이블 TV를 들 수 있다.
오픈케이블(OpenCable)방식은 일반적으로는 미국의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 관한 표준규격(이하 '미국 오픈케이블 표준'이라 함)을 의미하며, 미국의 오픈케이블 방식은, 변조방식으로는 QAM, 비디오 압축방식과 다중화 방식은 MPEG2 방식, 오디 오 압축 방식은 Dolby AC-3를 적용하고, 보안 모듈 인터페이스(Security module interface)로는 피오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 있어서는 헤드 엔드인 방송국과 가입자의 디지털 터미널(즉, 셋톱 박스(Set-top Box)) 간에 방송, 문자 전송, 서비스 교신 및 인증 등 양방향 송수신을 하면서, 가입자가 디지털 케이블 방송의 오락, 정보 및 홈쇼핑 등과 같은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도 디지털 유선방송 방식에 관한 표준(디지털유선방송송수신정합표준 (TTAS.KO-07-0020, 2002. 9. 18))(이하 '대한민국 오픈케이블 표준'이라 함)을 미국 오픈케이블 방식에 기초하여 정하였다(2002. 9).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는 직렬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USB, IEEE1394)를 구비한 장치로서, 외장 하드, 외장 DVD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는 확장성을 위해서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PCMCIA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제품에는 POD 모듈을 비롯하여 플래쉬 메모리, 모뎀, 랜카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 다양한 제품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는 PCMCIA 인터페이스가 확장성을 지원함에도 불구하고, 유선 방송신호 또는 EPG(Elecronic program guide)와 같은 데이터만을 수신할 뿐 그 외의 부가적인 기능은 제공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및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에 있어서,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에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의 장착여부를 판단하고,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변환카드 동작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재설정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하에,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시청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는, 시청 가능한 신호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받아서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외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어부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에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의 OOB(Out of Band)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어드레스 라인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는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 또는 IEEE1394/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a)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를 장착시킬 수 있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를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에 마련하는 단계; b)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에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의 장착여부를 판단하고,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변환카드 동작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재설정하는 단계; 및 c)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시청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의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의 통신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의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의 통신방법은, 단계 c)의 수행결과인 시청 가능한 신호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 c)는,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단계 c)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에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의 OOB(Out of Band)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어드레스 라인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는,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 또는 IEEE1394/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명세서에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는 "오픈케이블 방식이 적용된 장치"를 의미하며,
"오픈케이블 방식이 적용된 장치"는, 대한민국 오픈케이블 표준에서 "가입자 단말기로 지칭되는 장치", 및 "가입자 단말기와 외부장치가 통합된 장치"를 의미하며, 또한 미국 오픈케이블 표준 문서들 중의 하나인 OC-SP-HOST-CFR-I15-031121(2003. 11. 21)에서 "OpenCable Host Device", "Set-top Host Device", 및 "Terminal Host Device"로 지칭될 수 있는 장치들을 의미하며,
"케이블카드"는 미국 오픈케이블 표준에서 "케이블카드 또는 POD 모듈로 지칭되는 것", 및 대한민국 오픈케이블 표준에서 "제한수신 모듈로 지칭되는 것" 을 의미하며,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는 "직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후술되는 IEEE1394 장치 또는 USB 장치와 같은 것을 의미하며,
"IEEE1394 장치"는 "IEEE1394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의미하며, "USB 장치"는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의미하며,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는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에서 규격화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PCMCIA 카드"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에 장착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후술되는 케이블카드(CableCard),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 및 IEEE1394/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와 같은 것을 의미하며,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는 "PCMCIA 인터페이스를 가진 임의의 장치와 USB 장치를 접속시키는 기기"를 의미하며,
"IEEE1394/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는 "PCMCIA 인터페이스를 가진 임의의 장치와 IEEE1394 장치를 접속시키는 기기 "를 의미하며,
"방송신호"는 "케이블 방송을 위한 신호 중계기에서 송출된 방송 컨텐츠"를 의미하며,
"데이터"는 "USB 장치나 IEEE1394 장치와 같은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또는 장치로) 수신되는(또는 송신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100)는 튜너(105), 복조기(110), 대역외(Out of Band, 이하 'OOB'라 함) 수신기(115), OOB 송신기(120),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이하 'DeMUX'라 함)(130),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 제어부(140), ROM(145), RAM(150), 멀티플렉서(Multiplexer, 이하 'MUX'라 함)(155)를 포함한다.
본 장치(100)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장착되는 PCMCIA 카드(200)가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인 경우에는,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청취 또는 표시 가능한 신호(즉, 시청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할 수 있고, 또한 ROM(145)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여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장치(100)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장착되는 PCMCIA 카드(200)가 IEEE1394/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인 경우에는 IEEE1394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청취 또는 표시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할 수 있고 ROM(145)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여 IEEE1394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장착되는 PCMCIA 카드(200)가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인 경우에는 USB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청취 또는 표시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할 수 있고 ROM(145)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여 USB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장착되는 PCMCIA 카드(200)가 케이블카드인 경우에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시청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나 IEEE1394/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와 같은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는 PCMCIA 카드 제조업자들로부터 쉽게 구입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튜너(105)는 헤드 엔드(Head-end)(10)에서 송출된 방송신호 중 소정 채널을 선국한다. 헤드 엔드(10)는 케이블 방송을 위한 신호 중계기이다. 복조기(110)는 선국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복조한다.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표시가능한 신호나 청취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며, 또한 ROM(145)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 송신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 처리한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는 입력되는 MPEG-2 TS(Transport Stream)를 디코딩한다.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가 DeMUX(13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는 헤드엔드로부터 제공받은 방송신호이거나 또는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서, 방송신호 또는 데이터를 시청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여 외부 장치(20)로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은 외부 장치(20)는 음성 또는 영상을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는, 시청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된 신호를 출력부(미도시)를 통해서 외부 장치(20a, 20b)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예를 들면, RF 출력단자, 기저대역 영상/음성 신호 출력단자(들), S-Video 신호 출력단자, 디지털 음성신호 출력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출력단자들의 외부 장치(20a, 20b)와의 정합조건은 대한민국 오픈케이블 표준에 상세히 나와 있으며, HDTV의 압축스트림을 출력시키는 IEEE1394를 강제사용으로 하고 있는 미국 오픈케이블표준 문헌들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는 ROM(145)으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후술하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서 송신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여 MUX(155)로 출력한다. 이후 MUX(155)에서 먹싱된 데이터는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를 통해서 직렬신호로 바뀌어서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 송신된다.
ROM(145)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100)의 기능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ROM(145)에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장착되는 PCMCIA 카드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즉, 케이블카드,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 IEEE1394/PCMCIA 인 터페이스 변환카드등 종류별로 상이한 식별정보가 ROM(145)에 저장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송신받은 영상/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된 영상/음성 데이터는 후술하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서 다른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로 송신된다.
RAM(150)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로서,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로딩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의해 처리된 결과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제어부(140)는, 미리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본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이 실행되도록 처리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어부(140)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장착되는 PCMCIA 카드의 종류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PCMCIA 카드의 종류를 식별하는 데 있어서, 제어부(140)는 장착된 PCMCIA 카드로부터 식별정보(ID)를 독출하여 ROM(145)에 저장된 식별정보(ID)와 비교함으로써 PCMCIA 카드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후, 제어부(140)는 판단된 PCMCIA 카드의 종류에 따라서 하드웨어적 구성을 재설정(reset)한 후, 그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40)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의 68핀 중 기존 어드레스 핀과 기존 OOB 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어드레스 핀으로 사용되도록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를 재설정하며, 제어 신호를 통해서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 받게 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용어 "오픈케이블 동작모드"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케이블카드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어 그에 따른 하드웨 어적 구성이 설정되고 그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작 상태"를 의미하며, 용어 "USB 동작모드"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어 그에 따른 하드웨어적 구성이 재설정되고 그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작상태"를 의미하며, 용어 "IEEE1394 동작모드"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IEEE1394 인터페이스 변환카드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어 그에 따른 하드웨어적 구성이 재설정되고 그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용어 "변환카드 동작모드"는 상술한 USB 동작모드와 IEEE1394 동작모드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가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어 그에 따른 하드웨어적 구성이 재설정되고 그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적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작상태"를 의미한다.
DeMUX(130)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오픈케이블 동작모드에서는 방송신호를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로 나누어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로 출력하며, 변환카드 동작모드에서는 데이터를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로 나누어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로 출력한다.
MUX(155)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변환카드 동작모드에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로부터 송신받은 데이터를 먹싱하여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로 출력한다.
외부 장치(20)는, 영상 디스플레이장치(20a)와 스피커(20b)를 포함한다. 영상 디스플레이장치(20a)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에서 표시가능하게 처리된 신 호들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스피커(20b)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로부터 청취가능하게 처리된 신호들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하 오픈케이블 동작모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장착되는 PCMCIA 카드(200)가 케이블카드인 경우, 본 장치(100)는 오픈케이블 동작모드에서 동작하게 된다. 오픈케이블 동작모드에서, 케이블카드는 OOB 수신기(115) 및 OOB 송신기(120)를 이용하여 헤드 엔드(1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카드는 OOB 수신기(115)를 통해 헤드 엔드(10)로부터 받은 명령을 해석한 후, 제어부(140)와 통신하면서 헤드 엔드(10)가 지시한 사항을 수행한다. 즉, 케이블카드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명령을 OOB 송신기(120)를 통해 헤드 엔드(10)로 전달하며, 수신된 방송신호가 스크램블링된 신호인 경우에는 언스크램블링하는 처리를 한 후에 DeMUX(130)로 보낸다. 한편, 스크램블링되지 않은 방송신호인 경우에는 케이블카드에서 바이패스(bypass)되어 DeMUX(130)로 보내진다. DeMUX(130)로 보내진 방송신호는 음성신호나 영상 신호로 분리되어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로 입력되어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시청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되어 외부 장치(20)로 출력된다. 케이블카드와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 간의 정합 요건은, 한국 오픈케이블 표준에서 시스템구조, 확장채널 데이터 흐름, 물리계층, 링크계층, 및 응용계층으로 구분되어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또한 미국 오픈케이블 표준 문서에도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한국 오픈케이블 표준과 미국 오픈케이블 표준 문서는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서 결합된다.
이하 변환카드 동작모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장착되는 PCMCIA 카드(200)가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인 경우, 본 장치(100)는 변환카드 동작모드에서 동작하게 된다. 본 장치(100)와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는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를 통해서 양방향 통신을 한다. USB 동작모드에서는, USB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를 통해서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가 시청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20)로 출력하는 동작이 실행되며, 또한 ROM(145)에 저장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가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를 통해서 USB 장치로 송신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들은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USB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USB 케이블(미도시)을 통해서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 카드로 입력된다.
유사하게, IEEE1394 동작모드에서는, 제어부(140)의 제어하에, IEEE1394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IEEE1394/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를 통해서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가 시청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20)로 출력하는 동작이 실행되며, 또한 ROM(145)에 저장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가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 신호를 IEEE1394/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를 통해서 IEEE1394 장치로 송신하는 동작이 실행된다.
도 2a는 도 1에 케이블카드가 장착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2b는 도 1에 USB/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가 장착된 경우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케이블카드(200a)가 장착된 경우,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는 68라인을 이용하여 제어신호(control signal), 어드레스신호(address signal), OOB 신호(Out-of-Band signal), 데이터 신호(data signal)등을 케이블카드(200a)와 송수신한다. 또한,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는, 68라인을 사용하여 장착된 케이블카드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케이블카드를 식별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가 장착된 경우,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는 68라인을 이용하여 제어신호, 어드레스신호, 데이터 신호등을 송수신한다. 즉,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가 장착되면, OOB 신호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은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의 제어를 위한 어드레스 라인으로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의 통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제어부(140)는 PCMCIA 카드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PCMCIA 카드(200)가 장착되는 경우, 제어부의 전원이 PCMCIA 카드로 인가되고, 제어부가 PCMCIA 카드(200)의 장착 여부를 검출한다. 이 단계는, 본 장치(100)의 전원이 온(ON)되거나 PCMCIA 카드(200)가 교체되는 경우에 수행된다. PCMCIA 카드(200)가 장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는, 후술하는 단계 S320의 동작이 수행된다. 장착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복조된 방송신호는 직접 DeMUX(130)로 입력되고 멀티미디어 프로세서(135)에 의해 시청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된다.
단계 S320에서, 제어부(140)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장착된 PCMCIA 카드(200)의 종류를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PCMCIA 카드(200)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식별정보를 ROM(145)에 저장된 식별정보들과 비교한다. 일치된 식별정보가 있는 경우라면, PCMCIA 카드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고, 후술하는 단계 S330의 동작을 수행한다. 일치되는 식별정보가 없다면,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단계 S320-1의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S320-1에서, 제어부(140)는 카드 에러로 판단하고 카드 에러 메세지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면서, 바람직하게는 단계 S320-2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S320-2에서는, 제어부(140)는 장착된 PCMCIA 카드가 빠졌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 만약 PCMCIA 카드가 빠졌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310의 동작을 다시 수행하도록 한다.
단계 S330에서, 제어부(140)는 장착된 카드가 케이블카드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단계 S34O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며, 케이블카드가 아닌 경우에는 후술하는 단계 S350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S340에서, 제어부(140)는 본 장치(100)가 오픈케이블 동작모드에서 동 작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적/소프트웨어적 구성을 재설정한다.
단계 S350에서, 제어부(140)는 본 장치(100)가 변환카드 동작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적/소프트웨어적 구성을 재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에 마련된 68라인의 OOB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어드레스 라인으로 사용하도록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125)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재설정한다.
단계 S360에서, 본 장치(100)는 오픈케이블 동작모드 또는 변환카드 동작모드에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본 장치(100)는 헤드 엔드(10)로부터 송출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시청가능한 신호를 출력시키거나, 또는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의 오픈케이블 동작모드에서의 사용예를 나타난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종래의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들처럼, 방송신호를 송출받아서 출력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의 변환카드 동작모드에서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TV 시청도 가능할 뿐만아니라,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를 장착함으로써 직렬 인터페이스 규격을 채용한 제품들 예를 들면, 외장 하드, 외장 DVD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는 오픈케이블 TV에도 적용가능하며, USB 장치와 IEEE1394 장치외의 다른 직렬 인터페이스를 가진 직렬 인터페이스 저장 장치와도 통신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통신방법에 따르면, 오픈케이블 방송 뿐만 아니라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에 따르면, 케이블카드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유료 유선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직렬/PCMCIA 인터페이스 변환카드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직렬 인터페이스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2)

  1.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에 있어서,
    제한수신모듈(POD)과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인터페이스부;
    제 2 인터페이스부를 가진 장치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부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를 가진 장치와 통신하도록 상기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를 가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시청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인터페이스 변환 카드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직렬 인터페이스부이며,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 카드는 상기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직렬 인터페이스부를 접속시키는 변환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가능한 신호를 상기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받아서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를 가진 장치로 송신될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가진 장치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가 가지는 OOB(Out of Band)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어드레스 라인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
  7.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제한수신모듈(POD)과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인터페이스부에 제 2 인터페이스부를 가진 장치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를 가진 장치와 통신하도록 상기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를 가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시청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인터페이스 변환 카드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는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이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는 직렬 인터페이스부이며,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 카드는 상기 PCMCIA 카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직렬 인터페이스부를 접속시키는 변환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수행결과인 상기 시청 가능한 신호를 영상 및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부를 가진 장치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가진 장치가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가 가지는 OOB(Out of Band) 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어드레스 라인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케이블 적용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방법.
KR1020040023308A 2004-04-06 2004-04-06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이를 사용한 통신방법 KR10099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08A KR100995326B1 (ko) 2004-04-06 2004-04-06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이를 사용한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08A KR100995326B1 (ko) 2004-04-06 2004-04-06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이를 사용한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080A KR20050098080A (ko) 2005-10-11
KR100995326B1 true KR100995326B1 (ko) 2010-11-19

Family

ID=3727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308A KR100995326B1 (ko) 2004-04-06 2004-04-06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이를 사용한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3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120B1 (ko) * 2004-08-26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Osd 화면 상의 리셋 메뉴를 이용한 케이블카드 및 채널목록의 초기화방법 및 장치
KR100779214B1 (ko) * 2006-09-29 2007-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방송 융합형 홈서버 시스템의 케이블 카드 제어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080A (ko) 200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8198B2 (en) Multipurpose television module
US7146094B1 (en) Set-top box that provides video data stream to a display device based on selection between recorded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video recorder and a real-time video signal
US6751402B1 (en) Set-top box connectable to a digital video recorder via an auxiliary interface and selects between a recorded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digital video recorder and a real-time video signal to provide video data stream to a display device
JP2007520171A (ja) 信号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502896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digital set-top box in standby mode
EP2026558A1 (en) Transport stream module for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20060130110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MPEG-2 A/V data using cable modem
US8799966B2 (en) Middleware bandwidth shifting
CA2283784A1 (en) Small-format subsystem for broadband communication services
WO2001093575A1 (en) Digital video recorder connectable to a set-top box through digital interface
US20120099025A1 (en) Television Apparatus,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EP1784017A2 (en) Broadcast receiver, data structure, and method for providing diagnostic information
US8327413B2 (en) Digital cable broadcas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995326B1 (ko)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오픈케이블 적용장치와 이를 사용한 통신방법
US20160154448A1 (en) Electronic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100617876B1 (ko) 멀티룸 개인 영상저장장치
US20050259751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udio/video presentation on a sink device
KR100743538B1 (ko) 디지털 텔레비전과 연결된 주변기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방법
EP1865708A2 (en) Open cable broadcas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10092488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부가서비스 데이터 처리 장치
KR100682758B1 (ko) 단일 셋톱박스의 수신제한기능을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KR200385300Y1 (ko) 일체형 디지털 오픈 케이블 방송용 양방향 통신을 위한 내장형 dsg모듈
KR100707665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다이젝을 이용한 lnb의 능동적h/v 선택 방법
KR100392630B1 (ko) 케이블 모뎀 내장형 셋탑박스에서의 통신 방법
KR200375304Y1 (ko) 일체화된 시스템 제어 및 역다중화부를 구비하는 개인용비디오 녹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