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929B1 - 공기순환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929B1
KR100994929B1 KR1020100056591A KR20100056591A KR100994929B1 KR 100994929 B1 KR100994929 B1 KR 100994929B1 KR 1020100056591 A KR1020100056591 A KR 1020100056591A KR 20100056591 A KR20100056591 A KR 20100056591A KR 100994929 B1 KR100994929 B1 KR 100994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ir
wing
blow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선옥
Original Assignee
오선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4098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949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선옥 filed Critical 오선옥
Priority to KR1020100056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부분의 부품을 공유하면서도 사용 환경에 따라 그 크기나 송풍용량을 쉽게 변경할 수 있고, 송풍되는 공기가 실내공간 전역으로 고르게 퍼져 공기의 순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안정적인 지지를 구현할 수 있는 공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공기순환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축과, 구동축에 결합된 송풍날개를 포함하고, 송풍날개는 구동축의 상부에 장착된 복수의 상측 수평날개와, 구동축 하부에 장착된 복수의 하측 수평날개와,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장착된 복수의 수직날개를 포함하며, 프레임은 상측안전망 및 하측안전망과, 송풍날개 주위에 링형태로 마련되며 다수의 원통형 이격부재에 의해 상호 상하로 이격되도록 지지된 복수의 송풍안내날개와, 상측 및 하측안전망, 다수의 이격부재, 다수의 송풍안내날개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이들을 연결하도록 체결되는 복수의 지지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순환장치{Air circulation device}
본 발명은 공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의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실내공간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고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에너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공기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실내체육관, 강당처럼 실내공간이 크고 층고가 높은 건물은 실내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의 온도차가 크고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해 소요되는 에너지의 손실도 크다. 따라서 이런 건물에서는 실내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실내 공간 전역의 온도차를 줄이고 에너지 손실도 줄이기 위한 공기순환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순환장치의 일예로 이탈리아 특허공보 IT1188542호에 개시된 것이다. 이 공기순환장치는 사방으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원통형의 프레임(1), 프레임(1)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 구동모터(2)로부터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구동축(3), 구동축(3)에 결합된 송풍날개(4)를 구비한다.
프레임(1)은 상부지지링(5)과 하부지지링(6), 상부 및 하부지지링(5,6)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지지바(7), 프레임(1)의 측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원형지지링들(8)을 포함한다. 송풍날개(4)는 상부로부터 그 내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상부 수평날개(4a)와, 하부로부터 그 내측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하부 수평날개(4b)와, 이들 수평날개(4a,4b)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며 그 내부의 공기를 측방으로 송풍하는 수직날개들(4c)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순환장치는 건물의 천장과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그 상부와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측방으로 송풍함으로써 실내공기를 고루 순환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순환장치는 프레임(1)이나 송풍날개(4)의 크기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 크기나 송풍용량을 변경할 수 없었다. 따라서 실내공간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공간에 비해 제품이 너무 크기 때문에 이를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고, 체육관이나 강당처럼 실내공간이 매우 클 경우에는 공간에 비해 제품이 너무 작아 충분한 공기순환을 구현하기 어려웠다. 송풍량을 늘리기 위해 구동모터(2)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할 수는 있으나, 이럴 경우 구동소음이 큰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부분의 부품을 공유하면서도 사용 환경에 따라 그 크기나 송풍용량을 쉽게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방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실내공간 전역으로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순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모터의 안정적인 지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순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는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송풍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날개는 상기 구동축의 상부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상측 수평날개와, 상기 구동축 하부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하측 수평날개와,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측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수직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면과 하면을 이루는 상측안전망 및 하측안전망과, 상기 송풍날개 주위에 링형태로 마련되며 다수의 원통형 이격부재에 의해 상호 상하로 이격되도록 지지된 복수의 송풍안내날개와, 상측 및 하측안전망, 다수의 이격부재, 다수의 송풍안내날개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이들을 연결하도록 체결하는 복수의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날개는 그 외측에 상기 상측 또는 하측 수평날개를 장착할 수 있도록 이들 수평날개의 날개각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진 다수의 날개연결부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된 상측 및 하측의 수평날개연결부재와, 상기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와 상기 수직날개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며 그 양단에 각 날개의 날개각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진 날개연결부가 마련된 다수의 수직날개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송풍안내날개들의 가장 상부와 가장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흡입공기의 안내를 위한 원통형의 흡입안내부 및 측방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안내를 위해 흡입안내부 하단에 플랜지형으로 마련된 송풍안내부를 각각 구비하는 상측지지링과 하측지지링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날개의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는 그 일부가 상기 흡입안내부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날개의 수직날개는 그 외측이 상기 상측 및 하측지지링의 송풍안내부 사이로 진입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지지링의 송풍안내부는 그 외주부에 하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상측 역류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지지링의 송풍안내부는 그 외주부에 상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하측 역류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날개의 상단은 상기 상측 역류방지부 끝단보다 높고, 상기 수직날개의 하단은 상기 하측 역류방지부 끝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볼트 상단에는 로프나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고리부재가 각각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안내날개는 외측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측방 하측으로 안내하도록 그 외측단에 측방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풍향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향안내부는 하측 송풍안내날개로부터 상측 송풍안내날개 쪽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하는 경사가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향안내부는 하측 송풍안내날개로부터 상측 송풍안내날개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측안전망은 그 중심부에 마련된 모터장착부와, 상기 모터장착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외측 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볼트 상단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보강부재는 외측 단부 쪽이 상기 상측지지링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측지지링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상측지지링의 흡입안내부 상단을 걸어서 결속할 수 있도록 그 내면 쪽에 마련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는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와 수직날개의 크기나 장착수량을 쉽게 변경할 수 있고, 측방의 송풍안내날개와 이격부재들의 적층수를 변경하여 프레임의 크기를 쉽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부품을 공유하면서도 사용 환경에 따라 제품의 크기나 송풍용량을 쉽게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는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와 수직날개의 형상을 길이가 긴 평판형태로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는 송풍안내날개의 풍향안내부가 하측 송풍안내날개로부터 상측 송풍안내날개 쪽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하는 경사가 점차 커지고 그 폭 또한 점차 커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측방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실내공간 전역으로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공기의 순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는 다수의 보강부재가 상측안전망 중심부의 모터지지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고 보강부재의 외측단이 복수의 지지볼트에 직접 지지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구동모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순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의 송풍날개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의 상측안전망과 상측지지링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의 송풍안내날개와 지지볼트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외형이 원통형태이고 상면과 하면 그리고 측면으로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프레임(30)과, 프레임(30)의 상측 중앙부에 장착된 구동모터(10)와, 구동모터(10)로부터 프레임(30)의 내측 중심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구동축(11)과, 구동축(11)에 결합되어 구동축(11)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날개(20)를 구비한다.
송풍날개(20)는 프레임(30) 내측의 구동축(11) 상부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상측 수평날개(23), 프레임(30) 내측의 구동축(11) 하부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하측 수평날개(24),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측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수직날개(25)를 포함한다.
이는 송풍날개(20)가 회전할 때 상측 수평날개(23)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공기를 송풍하고, 하측 수평날개(24)가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며, 수직날개들(25)이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의 동작에 의해 실내공간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프레임(30)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프레임(30)의 측방(반경방향)으로 송풍함으로써 실내공기의 고른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송풍날개(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의 장착을 위해 구동축(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된 수평날개연결부재들(21)과, 수직날개(25)의 상단과 하단을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의 외측단에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날개연결부재(22)를 구비한다.
수평날개연결부재(21)는 그 외측에 상측 또는 하측 수평날개(23,24)를 각각 장착하기 위해 이들 날개의 날개각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비틀리게 형성된 다수의 날개연결부(21a)을 구비한다. 날개연결부들(21a)은 다수개가 방사형으로 배치되고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의 폭에 상당하는 폭을 구비한다. 이러한 수평날개연결부재(21)는 철판의 프레스가공을 통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수직날개연결부재(22)는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와 수직날개(25)를 연결할 수 있도록 철판에 의해 절곡되어 형성되며 그 양단에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와 수직날개(25)의 날개각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비틀리게 형성된 날개연결부들(22a,22b)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와 수직날개(25)는 길이가 긴 평판형태로 마련되고, 양단이 스폿용접을 통해 수평날개연결부재(21) 또는 수직날개연결부재(22)와 결합된다.
이러한 송풍날개(20)는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와 수직날개(25)의 형상을 단순화함으로써 길이가 긴 때 형태의 철판을 설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방식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송풍날개(20)의 규격을 변경하고자할 때 그 길이가 다른 수평날개(23,24) 또는 수직날개(25)를 선택하여 연결함으로써 수평날개연결부재(21)와 수직날개연결부재(22)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송풍날개(20)의 반경 또는 상하 높이를 쉽게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이러한 송풍날개(20)는 사용 환경에 따라 수평날개연결부재(21)에 장착되는 수평날개(23,24)의 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10)의 회전속도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송풍량이나 크기를 쉽게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날개(20)의 제조과정에서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를 수평날개연결부재(21)의 각 날개연결부(21a)에 모두 장착하여 8개의 수평날개를 장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일부 날개를 분리하여 4개, 또는 2의 수평날개만을 장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는 수평날개연결부재(21)에 8개의 날개연결부(21a)가 마련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날개연결부(21a)가 6개로 구성되어 6개 또는 3개의 수평날개를 선택적으로 장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도 5는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와 수직날개(25)를 스폿용접을 통해 연결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날개는 리베팅방식으로도 결합시킬 수 있다.
송풍날개(20)를 수용하여 보호하며 공기의 송풍을 안내하는 프레임(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을 이루는 상측안전망(40) 및 하측안전망(50)과, 송풍날개(20) 주위에 링형태로 마련되며 다수의 원통형 이격부재(34)에 의해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송풍안내날개(33)를 구비한다. 또 상측안전망(40)과 하측안전망(50)의 테두리 쪽에 장착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와 측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상측지지링(31) 및 하측지지링(32), 그리고 상측 및 하측안전망(40,50), 다수의 이격부재(34), 다수의 송풍안내날개(33), 상측 및 하측지지링(31,32)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이들을 연결하도록 체결하는 복수의 지지볼트(35)와, 로프나 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각 지지볼트(35)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부(36a)를 갖춘 복수의 고리부재(36)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3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부품들을 상하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볼트(35)를 체결하는 것으로 조립을 완료할 수 있기 때문에 손쉬운 제조가 가능하다. 또 그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날개(20)의 규격을 변경하고자 할 때 이격부재(34)와 송풍안내날개(33)의 적층수량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높이를 쉽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부품을 공유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그 크기를 쉽게 변경하여 제조할 수 있다.
각 송풍안내날개(33)는 필요에 따라 3개 또는 4개로 분할하여 제조한 후 결합시킬 수 있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송풍안내날개(33)는 외측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측방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그 외측단에 측방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풍향안내부(33a)를 구비한다. 이는 공기순환장치가 건물의 천장 쪽에 근접하여 설치됨을 감안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측방 하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기의 고른 순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송풍안내날개(33)의 풍향안내부(33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송풍안내날개로부터 상측 송풍안내날개 쪽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하는 경사가 점차 커지고, 그 폭 또한 점차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측방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이 점차 하측을 향하고, 더 멀리 송풍되는 직진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송풍되는 공기가 실내공간 전역으로 고르게 퍼져 실내공기의 고른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측안전망(40)은 도 3, 도 4,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판형으로 된 금속망(41)과, 구동모터(10)의 장착을 위해 금속망(41)의 중심부에 마련된 모터장착부(42)와, 구동모터(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모터장착부(42)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외측단부가 복수의 지지볼트(35) 상단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보강부재(43)를 구비한다.
송풍안내날개(33)의 가장 상부 쪽에 위치하며 상측안전망(40)의 테두리 쪽에 장착되는 상측지지링(31)은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공기의 안내를 위한 원통형의 흡입안내부(31a)와 측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안내를 위해 흡입안내부(31a)의 하단에 플랜지형으로 마련되며 지지볼트(35)의 상단에 결합되는 송풍안내부(31b)를 구비한다. 또 송풍안내부(31b)의 외주부에는 측방으로 송풍된 공기의 역류방지를 위해 소정길이 측방 하측으로 절곡 연장된 상측 역류방지부(31c)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측지지링(31)은 상측안전망(40)의 보강부재(43)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볼트(35)에 체결되는데, 이러한 결합을 위해 다수의 보강부재(43)는 외측 단부 쪽이 상측지지링(31)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지지링(31)의 외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된다. 또 보강부재(43)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지지링(31)의 흡입안내부(31a) 상단을 걸어서 결속할 수 있도록 그 내면 쪽에 결합된 걸림부(44)를 구비한다. 걸림부(44)는 흡입안내부(31a)에 걸 수 있도록 절곡된 형태이고 용접에 의해 보강부재(43)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측지지링(31)의 상단이 보강부재(43)의 걸림부(44)에 결속된 상태에서 보강부재(43)와 상측지지링(31)이 지지볼트(35)에 체결됨으로써 상측지지링(31)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구동모터(10)가 다수의 보강부재(43)를 통하여 지지볼트(35)에 직접 지지됨으로써 구동모터(10)의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고, 구동모터(10)의 하중이 금속망(41)이나 상측지지링(31)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금속망(41)과 상측지지링(31)의 변형이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안전망(50)은 원판형으로 된 금속망으로 이루어지고, 하측지지링(32)은 상측지지링(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어 하측안전망(50)의 외측에 결합된다. 즉 하측지지링(32)도 흡입공기를 안내하는 흡입안내부(32a), 측방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흡입안내부(32a)로부터 플랜지형으로 연장되며 지지볼트(35)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송풍안내부(32b), 그리고 측방으로 송풍된 공기의 역류방지를 위해 송풍안내부(32b)의 외주부에 소정길이 측방 상측으로 절곡 연장된 하측 역류방지부(32c)를 구비한다.
이러한 프레임(30)의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날개(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23,24)의 일부가 상측지지링(31) 및 하측지지링(32)의 흡입안내부(31a,32a) 내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 송풍날개(20)의 수직날개(25) 외측이 상측 및 하측지지링(31,32)의 송풍안내부들(31b,32b) 사이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상측과 하측의 수평날개(23,24)가 상측과 하측의 흡입안내부(31a,32a) 내에 위치함으로써 흡입공기의 원활한 흡입을 구현하고, 수직날개(25)가 상측과 하측의 송풍안내부들(31b,32b) 사이로 진입하여 위치함으로써 측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원활히 송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날개(25)의 상단 높이는 상측 역류방지부(31c) 끝단높이보다 t만큼 높고, 수직날개(25)의 하단 높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역류방지부(32c) 끝단 높이보다 낮게 마련된다. 즉 수직날개(25)의 상하길이가 상측 역류방지부(31c) 끝단으로부터 하측 역류방지부(32c)의 끝단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측방으로 송풍되는 공기가 수직날개(25)의 상단과 상측 송풍안내부(31b) 사이의 틈 또는 수직날개(25)의 하단과 하측 송풍안내부(32b) 사이의 틈으로 역류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송풍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순환장치를 조립할 때는 상측안전망(40)에 구동모터(10)를 장착하고, 구동모터(10)의 축에 미리 조립된 송풍날개(20)를 장착한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송풍안내날개(33), 다수의 이격부재(34), 하측안전망(50)이 장착된 하측지지링(32)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관통하도록 복수의 지지볼트(35)를 설치하고, 가장 상측 이격부재(34) 상부와 하측지지링(32) 하부를 결속하는 형태로 지지볼트(35)의 양단에 각각 고정너트들(38,39)을 체결한다. 그리고 송풍날개(20), 구동모터(10), 상측안전망(40), 상측지지링(31)이 조립된 조립체를 지지볼트(35)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고정너트(39) 상부에 상측지지링(31)과 보강부재(43)가 위치하도록 이들을 지지볼트(35)에 상부에 결합시킨 후, 최종적으로 와셔(37)를 개입시킨 상태로 지지볼트(35)의 상단에 고리부재(36)의 너트부(36a)를 체결한다.
이처럼 지지볼트(35)의 상부에 고정너트(39)를 체결하고 그 위에 상측지지링(31)과 상측안전망의 보강부재(43)를 고리부재(36)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은 고장수리 등을 위해 상측의 고리부재들(36)을 분리하여 상측안전망(40), 구동모터(10), 송풍날개(20) 등을 분리하더라도 상측의 고정너트(39)가 결속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프레임(30)의 하측이 분해되지 않고 그 형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제품의 조립이나 고장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 구동모터, 11: 구동축,
20: 송풍날개, 21: 수평날개연결부재,
22: 수직날개연결부재, 23: 상측 수평날개,
24: 하측 수평날개, 25: 수직날개,
30: 프레임, 31: 상측지지링,
32: 하측지지링, 33: 송풍안내날개,
34: 이격부재, 35: 지지볼트,
36: 고리부재, 38,39: 고정너트,
40: 상측안전망, 41: 금속망,
42: 모터장착부, 43: 보강부재,
44: 걸림부, 50: 하측안전망.

Claims (10)

  1. 공기의 유통이 가능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 중앙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송풍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날개는 상기 구동축의 상부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상측 수평날개와, 상기 구동축 하부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하측 수평날개와,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의 외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측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복수의 수직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면과 하면을 이루는 상측안전망 및 하측안전망과, 상기 송풍날개 주위에 링형태로 마련되며 다수의 원통형 이격부재에 의해 상호 상하로 이격되도록 지지된 복수의 송풍안내날개와, 상측 및 하측안전망, 다수의 이격부재, 다수의 송풍안내날개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이들을 연결하도록 체결하는 복수의 지지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날개는 그 외측에 상기 상측 또는 하측 수평날개를 장착할 수 있도록 이들 수평날개의 날개각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진 다수의 날개연결부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축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된 상측 및 하측의 수평날개연결부재와, 상기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와 상기 수직날개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며 그 양단에 각 날개의 날개각에 대응하는 경사를 가진 날개연결부가 마련된 다수의 수직날개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송풍안내날개들의 가장 상부와 가장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흡입공기의 안내를 위한 원통형의 흡입안내부 및 측방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안내를 위해 흡입안내부 하단에 플랜지형으로 마련된 송풍안내부를 각각 구비하는 상측지지링과 하측지지링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날개의 상측 및 하측 수평날개는 그 일부가 상기 흡입안내부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송풍날개의 수직날개는 그 외측이 상기 상측 및 하측지지링의 송풍안내부 사이로 진입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지지링의 송풍안내부는 그 외주부에 하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상측 역류방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지지링의 송풍안내부는 그 외주부에 상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된 하측 역류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날개의 상단은 상기 상측 역류방지부 끝단보다 높고, 상기 수직날개의 하단은 상기 하측 역류방지부 끝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볼트 상단에는 로프나 와이어의 연결을 위한 고리부재가 각각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안내날개는 외측으로 송풍되는 공기를 측방 하측으로 안내하도록 그 외측단에 측방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풍향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안내부는 하측 송풍안내날개로부터 상측 송풍안내날개 쪽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하는 경사가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안내부는 하측 송풍안내날개로부터 상측 송풍안내날개 쪽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안전망은 그 중심부에 마련된 모터장착부와, 상기 모터장착부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며 외측 단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볼트 상단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측안전망의 테두리 쪽에 장착되며, 흡입공기의 안내를 위한 원통형의 흡입안내부 및 측방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안내를 위해 흡입안내부 하단에 플랜지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볼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송풍안내부를 갖춘 상측지지링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보강부재는 외측 단부 쪽이 상기 상측지지링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측지지링의 외면에 대응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상측지지링의 흡입안내부 상단을 걸어서 결속할 수 있도록 그 내면 쪽에 마련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장치.
KR1020100056591A 2010-06-15 2010-06-15 공기순환장치 KR100994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91A KR100994929B1 (ko) 2010-06-15 2010-06-15 공기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91A KR100994929B1 (ko) 2010-06-15 2010-06-15 공기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929B1 true KR100994929B1 (ko) 2010-11-19

Family

ID=4340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591A KR100994929B1 (ko) 2010-06-15 2010-06-15 공기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2789A1 (en) * 2020-05-27 2021-12-02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Manufacturing fixtures including an integrated diffuser for diffusing conditioned air and a method of dispelling ambient air containing fum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615A (ko) * 1990-01-05 1991-08-31 윤봉학 전방향 송풍 선풍기
KR940005909Y1 (ko) * 1991-08-20 1994-08-29 이점식 주거주변공간 활용 단독주차장치
KR20000000237A (ko) * 1999-10-05 2000-01-15 김홍배 선풍기
KR20040107972A (ko) * 2003-06-16 2004-12-23 김영주 공기교반을 겸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안개제거장치
KR100978454B1 (ko) * 2010-06-15 2010-08-30 서효명 공기 순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615A (ko) * 1990-01-05 1991-08-31 윤봉학 전방향 송풍 선풍기
KR940005909Y1 (ko) * 1991-08-20 1994-08-29 이점식 주거주변공간 활용 단독주차장치
KR20000000237A (ko) * 1999-10-05 2000-01-15 김홍배 선풍기
KR20040107972A (ko) * 2003-06-16 2004-12-23 김영주 공기교반을 겸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안개제거장치
KR100978454B1 (ko) * 2010-06-15 2010-08-30 서효명 공기 순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2789A1 (en) * 2020-05-27 2021-12-02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Manufacturing fixtures including an integrated diffuser for diffusing conditioned air and a method of dispelling ambient air containing fum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468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JP6141412B2 (ja) 扇風機
KR101038347B1 (ko) 송풍기
US20200191420A1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500475B1 (ko) 리프터
US20130224043A1 (en) Air mixing device for buildings
CN111373208B (zh) 空调的天花板式室内机
KR100994929B1 (ko) 공기순환장치
KR100845935B1 (ko) 회전형 하향 송풍기
US20200318648A1 (en) Fan blade mounting structures and arrangements
US6196803B1 (en) Air circulator fan
NL2014380B1 (nl) Enthalpiewisselaar.
KR100976704B1 (ko) 고정식 환기구
KR101030224B1 (ko) 공기순환장치
JP201108535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A2637807C (en) Housing for paddle fan
KR100943752B1 (ko) 회전 구동장치
KR102278249B1 (ko) 풍력 시스템
KR20140037568A (ko) 대공간 풍량조절 공조시스템
JP201105288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RU2712861C1 (ru) Сооружение башенного типа для установки ветро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ов
KR102643409B1 (ko) 공기조화기
KR101784251B1 (ko) 배열회수장치 등에 적용가능한 급배기장치
JP2011052882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TWM481998U (zh) 使空氣均勻擾動及過濾之循環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208

Effective date: 2011101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14

Effective date: 2012072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1207

Effective date: 2013121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110

Effective date: 201407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805

Effective date: 2014090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