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764B1 -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764B1
KR100994764B1 KR1020080051364A KR20080051364A KR100994764B1 KR 100994764 B1 KR100994764 B1 KR 100994764B1 KR 1020080051364 A KR1020080051364 A KR 1020080051364A KR 20080051364 A KR20080051364 A KR 20080051364A KR 100994764 B1 KR100994764 B1 KR 100994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name
record
domain
name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315A (ko
Inventor
윤대일
Original Assignee
윤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일 filed Critical 윤대일
Priority to KR1020080051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76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04L61/302Administrative registration, e.g. for domain names at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 [ICAN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 혹은 IPv6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도메인 네임 서버에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는 단계와; 도메인 네임이 부여된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와; 도메인 네임이 부여된 IPv6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메인네임, DNS관리시스템.

Description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Domain Name Web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도메인 네임 서비스(Domain Name Service :DNS)를 제공하기 위한 도메인 네임 및 IP 주소의 관리에 관한 것으로, 관리자가 IPv4(IP version 4) 및 IPv6(IP version 6) 주소를 갖는 관리대상 호스트에 대하여 쉽게 도메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웹을 통하여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고, 수동 편집 작업을 수행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시스템 차원에서 해소하며, 앞으로 다가올 IPv6 시대에서도 미리 준비할 수 있는 도메인 네임 웹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2년 10월 국제인터넷표준기구인 IETF에서는 인터넷이용 프로그램(브라우져, 전자우편 등)에서 한글도메인 질의를 아스키(영문, 숫자, -)로 변환한 후 네임서버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다국어 도메인 국제표준을 정하였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이러한 표준을 반영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플러그인(변환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PC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네임서버, 메일서버, 웹서버 운영자는 아스키로 변환된 문자열(Punycode)을 호스트 이름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프로그램에 표준이 반영되기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업체가 표준을 반영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배포하여야 하는데, 표준에 대한 업체의 입장은 표준의 단계(현재 Proposed Standard)가 상승한 후에(Draft Standard)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소요되는 기간은 약 2-4년 이후로 전망하고 있다.(LIFE 표준화 단계는 Proposed Standard -> Draft Standard ->Internet Standard의 세 단계를 거침)
표준이 반영되기 전까지는 NIDA가 배포하는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한글.KR을 이용할 수 있는데, 플러그인 프로그램은 윈도우즈(Windows) 기반의 특정 브라우저만 지원하므로 ftp, telnet, ping, nslookup 등에서는 아직 한글.kr을 지원하지 못하다.
다국어도메인 국제표준은 네임서버 인프라 변경 없이 애플리케이션만 바꿔 다국어도메인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현재 사용 중인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이 아직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보조 툴이 필요하다. 이것이 바로 인코딩 플러그인으로서, 플러그인은 애플리케이션에 해당 표준이 안정되게 적용될 때까지의 단기적인 방안이다.
플러그인이 설치되면 인터넷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도메인은 사용자 컴퓨터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영어, 숫자, 하이픈으로 구성된 아스키 문자열로 변환된 후 네임서버에 전송된다.
윈도우즈 IE 7.x 미만 환경에서는 한글.KR 지원 소프트웨어 중 별도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한글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Internet Explorer 7 이상의 버전 또는 Netscape Navigator 7.1 과 Mozilla 1.4, Opera 7.2 이상의 버전 등에서는 별도 플러그인 없이도 한글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다.
인터넷 도메인 관리 시스템은 인터넷 도입과 함께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차후 IPv6 주소가 도입되어 지는 시점에서 그 중요성은 계속 강조 될 것이다.
현재 리눅스 및 유닉스 운영체제를 도메인 네임 서버로 사용시 도메인 네임 관리 시스템의 운영에 있어 여러 가지 애로 사항이 발생하고 있다. 리눅스 및 유닉스의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경우 도메인 네임 호스트 정보를 ZONE 이라는 파일형태로 관리되고 있으며, 관리자는 도메인 네임 혹은 호스트 정보 추가/삭제/변경시 해당 ZONE 파일을 직접 수동으로 편집하고 있으며, 잘못된 데이터 입력으로 도메인 네임 서버 작동이 중단되어, 조직의 웹서버, 이메일 서버 및 각종 서버의 도메인 네임을 찾지 못하게 함으로써 조직이 업무 마비 상태를 야기하고 있어, 관리자가 매우 꺼려하는 업무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 암기가 가능한 32비트(15글자)로 구성되어 있는 IPv4 환경에서 운영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상황인데, 앞으로 도래하는 암기가 불가능한 128비트(39글자)로 구성되어 있는 IPv6 시대에서의 도메인 네임 관리시 그 어려움은 더 증가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서버 운영체제인 경우 Active Directory 기반의 도메인 네임 관리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나,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아, 관리자가 도메인 네임 관리 업무 수행시 해당 컴퓨터에 방문하여 작업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03-65064호에는 TCP/IP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웍에서의 IP address 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적 혹은 비교적 정적으로 할당되는 IP address에 대한 도메인 네임을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비교적 정적이라 함은 동일한 IP address가 DHCP routine 에 의해서 두 번 이상 연속 할당되는 경우를 말하며,
DHCP 서버측에서 IP address-하드웨어 고유 번호의 페어 정보를 유지하며, 이 갱신이 있으면 갱신된 내용을 DNS 서버로 방송하는 과정; DHCP 클라이언트 측에서 IP address-하드웨어 고유 번호의 페어 정보를 유지하며, 이의 갱신이 있으면 갱신된 내용을 DNS 서버로 방송하는 과정; 및 DNS 서버측에서 DHCP 서버측 및 DHCP 클라이언트 측에서의 IP address-하드웨어 고유 번호의 페어 정보를 수신하고, DHCP 서버에서 수신된 정보이면 이를 메핑 엔트리에 추가하고, DHCP 클라이언트에서 수신된 정보이면 이로서 매핑 엔트리를 추가하거나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DHCP 서버 및 DHCP 클라이언트에서 IP address-하드웨어 고유 번호의 페어 정보를 DNS 서버에 방송하게 함으로써 동적 혹은 비교적 정적으로 할당된 IP 어드레스에 대한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도메인 네임관리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나, 고정주소를 필요로 하는 관리 대상 호스트 인 경우, 수동 등록을 통하여 관리되어 하나, 이에 대한 언급이 없는 상태이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2004-65643호에는 IP 주소 및 도메인명 자동등록 방법은, 호스트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 및 도메인명이 포함된 NS(Neighbor Solicitation) 메시지를 멀티캐스팅하여 DAD(Duplicate Address Detection) 과정을 수행하고. DAD의 수행 결과 호스트의 IP 주소 또는 도메인명과 중복된 IP 주소 또는 도메인명을 사용하는 호스트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IP 주소 및 도메인명을 DNS 서버 또는 복수 개의 타 호스트들의 저장 영역에 자동 등록한다. 그 결과, DNS 서버가 존재할 때는 물론, DNS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각 호스트의 IPv6 주소 및 도메인명을 중복되지 않게 자동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IPv6(IP Version 6) 프로토콜을 따르는 네트워크에서 호스트의 IP 주소 및 도메인명을 자동으로 등록해 주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 앞에서 언급한 고정주소를 필요로 하는 관리 대상 호스트에 대한 수동 등록에 대한 언급이 또한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2006-41113호에는 접속하고자 하는 인터넷 주소로 접속이 되지 않는 경우 가상 도메인 네임 시스템(Virtual DNS)에 강제로 저장되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의 질의 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인터넷 주소로 접속할 수 있는 가상 도메인 네임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으로서, 도메인 서버로 상기 특정 도메인의 어드레스 정보에 대한 질의 요청을 한 상태에서 상기 도메인 서버의 동작 유무를 체크하는 도메인 서버 체크부와, 상기 도메인 서버 체크부에 의해 상기 도메인 서버가 동작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도메인 서버로부터 강제적으로 전송된 어드레스 정보를 할당하는 어드레스 정보 할당부를 포함하는 IPv4/IPv6 단말의 가상 도메인 네임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도메인 네임 등록에 대한 수동 혹은 자동 방법에 대한 명시가 없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2006-0054661호에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네트워크와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네트워크 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IPv6 네트워크 내에 위치하는 DSTM(Dual Stack Transition Mechanism) 클라이언트, DSTM 서버 및 IPv4 네트워크과 연결되어 V4 도메인 네임 처리를 수행하는 TEP/DNSv4 간 DNS(Domain Name System)를 설정하는 단계; IPv4 네트워크의 내에 위치하는 하나의 V4 호스트가 IPv4 네트워크의 내의 DNSv4 서버에게 연결하고자 하는 DSTM 클라이언트에 대한 DNS 검색 요청을 DNSv4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NSv4 서버는 TEP/DNSv4와의 통신을 통해 DSTM 클라이언트의 IPv4 주소를 획득하고, 이를 상기 V4 호스트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V4 호스트가 상기 획득한 IPv4 주소를 이용해 상기 DSTM 클라이언트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스택 전환 메커니즘을 이용한 IPv4-IPv6 전환 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2002-0079271호에는 공인IP주소를 갖는 외부서버와 종속관계에 있는 외부호스트에서 인터넷을 통해 다른 공인IP주소를 갖는 내부서버에서 프록시(proxy), NAT 및 DHCP 기술을 이용하여 생성된 사설IP주소를 갖는 상기 내부서버와 물리적인 결합을 이루고 있는 종속관계의 내부호스트로 접속관리를 수행하는 사설IP주소로 포워딩된 고정도메인을 갖는 호스트 운영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내부호스트에서 내부서버의 공인IP주소를 갖는 고정도메인을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고정도메인을 내부서버로부터 부여받은 사설IP주소로 포워딩시키는 변환테이블에 등록시키는 단계; (c) 외부호스트가 외부서버에 고정도메인이름조회를 요청하여 상기 고정도메인을 갖는 해당 내부서버의 공인IP주소로 접속하는 단계; 및 (d) 상기 내부서버에 접속된 외부호스트의 정보를 내부호스트로 연결 대행하는 리버스 게이트웨이(Reverse Gateway)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IP주소로 포워딩된 고정도메인을 갖는 호스트 운영방법이 공개되어 있으나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사용하여 도메인 네임을 관리하기 위한 점에 차이가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97849호에는 IPv6(IP version 6)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네임 및 IP 주소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등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호스트가 속한 네트워크의 이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의 링크로컬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링크로컬 주소가 이미 사용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사용 중이 아니면, 상기 호스트를 구별하는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아이디를 상기 링크로컬 주소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 아이디와 상기 네트워크 이름정보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도메인 네임을 도메인 네임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메인 네임 자동 등록 방법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앞에서 언급한 고정주소를 필요로 하는 관리 대상 호스트 인 경우, 수동 등록에 대한 방법이 언급이 없는 상태이다.
종래의 기술들은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네임 및 IP 주소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등록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며, 리눅스 및 유닉스 운영체제를 도메인 네임 서버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도메인 관리 시스템의 운영에 있어 도메인 네임 및 호스트 정보를 ZONE 이라는 파일형태로 관리되고 있으며, 관리자는 도메인 네임 및 호스트 정보 추가/삭제/변경시 해당 ZONE 파일을 직접 수동 편집하고 있으며, 잘못된 데이터 입력으로 도메인 네임 서버 작동이 중단되어, 조직의 웹서버, 이메일 서버 및 각종 서버의 도메인 네임을 찾지 못하게 함으로써 조직이 업무 마비 상태를 야기하고 있어, 관리자가 수동으로 관리대상 호스트에 등록하는 단계와, 관리자가 웹상으로 원격으로 관리하는 기술구성이 없어 불편하고, IPv4와 앞으로 도래하는 IPv6 시대에서도 도메인 네임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관리자가 도메인 네임을 필요로 하는 IPv4 및 IPv6 주소를 갖는 관리대상 호스트에 대하여 쉽게 도메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웹을 통하여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고, 수동으로 작업을 수행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시스템 차원에서 해소하며, 앞으로 다가올 IPv6 시대에서도 미리 준비할 수 있는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관리자가 쉽게 도메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웹을 통하여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수동으로 작업을 수행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잘못된 데이터 입력으로 도메인 네임 서버 작동이 중단되어, 조직의 웹서버, 이메일 서버 및 각종 서버의 도메인 네임을 찾지 못하게 함으로써 조직이 업무 마비 상태를 야기)을 시스템 차원에서 해소하며, 앞으로 다가올 IPv6 시대에서도 미리 준비할 수 있는 도메인 네임 관리 방법을 준비하고자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 혹은 IPv6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기 위해서 사전에 도메인 네임 웹 관리 시스템에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 서버에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 네임, 이메일 주소, 갱신 주기 범위, 재시도 주기 범위, 해제 주기 범위, 최소값 범위, TTL범위, 리버스 DNS 사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도메인네임을 등록하는 단계(i)와; 도메인 네임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 네임이 부여된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상기 등록된 도메인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저장하는 단계(ii)와; 도메인 네임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 네임이 부여된 IPv6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상기 등록된 도메인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저장하는 단계(iii)를 포함하여 구성된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메인 네임 관리자가 인터넷 접속에 의해 도메인 네임 웹 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등록하거나, 이용하거나, 정보변경을 하면, 그러한 내용을 로직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관리자가 등록한 도메인 네임 정보를, 불특정 인터넷 접속 일반 사용자가 해당 도메인 정보를 요청할 때, DNS실행기(도메인 네임 서비스 실행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받는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IPv4 호스트 혹은 IPv6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도메인 네임 서버에 도메인네임을 도2와 같은 플로챠트와 같이 등록해야 한다.
1)먼저 본 발명의 결과물인 도메인 네임 웹 관리 시스템에 관리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접속한다.
2) 관리자는 웹 페이지에서 도메인 네임 신규 등록 버튼을 클릭한다.
3) 관리자는 해당 화면에서 입력항목 데이터를 입력한다. (입력항목 :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 네임, 관리자 이메일, 갱신 주기, 재시도 주기, 해제 주기, 최소값, TTL, 리버스 DNS 사용여부)
4) 입력이 완료된 후 저장버튼을 누른 직후, 입력값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 도메인 네임 유효성, 이메일 유효성, 갱신 주기 범위, 재시도 주기 범위, 해제 주기 범위, 최소값 범위, TTL 범위등이다.
5) 입력값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이 된 후, 이미 같은 이름을 갖는 도메인 네임이 등록이 되어 있는지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을 통하여 확인한다.
6) 확인 결과 신규 도메인 네임인 경우, 도메인 네임 테이블을 만들고, 여기에 SOA 레코드와 NS 레코드를 자동 생성하여 저장한다.
7) 관리자의 입력 항목중 리버스 DNS 사용 여부를 확인한 뒤 사용하는 경우,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을 생성한 후, SOA 레코드와 NS 레코드를 위와 같이 자동 생성하여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한다.
8) 저장이 완료된 후 도메인 네임 서버가 이를 인지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 도메인 네임 서버 구성화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메인 네임 리스트를 통하여 생성 저장한다.
9) 네임서버 구성화일이 생성되면 도메인 네임서버를 재 시작함으로써 등록과정이 완료된다.

도3은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설명한다.
IPv4 호스트에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도메인 네임 서버에 해당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1) 관리자는 해당 도메인 네임 웹 페이지에서 IPv4 호스트를 등록함에 있어 A(Address) 레코드 타입, NS(Neighbor Server) 레코드 타입, MX(Mail exchange) 레코드 타입, CNAME(Canonical Name) 레코드 타입, SPF(Sender Policy Framework) 레코드 타입들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A 레코드 타입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A 레코드 타입을 선택한 경우, 다음과 같은 입력 정보를 요구한다. IPv4 주소, 호스트 명, TTL 값, PTR(Pointer Resource) 레코드 사용여부 등이다.
2) 관리자가 입력한 값에 대한 유효성을 점검한다. 즉 호스트명의 유효성, IPv4 주소 유효성, TTL 값 범위 등이다.
3) 도메인 관리 처리 로직에서 A(Address) 레코드에 대한 레코드를 생성한다. 즉 도메인명 mydomain.com, 호스트 명 myhost, IPv4 1.2.3.4, TTL 3600 인 경우 (myhost.mydomain.com, A, 3600, 1.2.3.4 ) 레코드를 만든다.
4) 이렇게 생성된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중 저장 로직을 통하여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한다.
5) PTR(Pointer Resource)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PTR 사용을 선택한 경우 리버스 도메인 네임 생성하기 위한 단계로 들어가며, PTR 레코드를 생성한다. 즉 다음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진다. ( 4.3.2.1.in-addr.arpa, PTR, 3600, myhost.mydomain.com. ) 이다.
6) 이렇게 생성된 PTR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중 저장 로직을 통하여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한다.
도4는 IPv6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설명한다. IPv6 호스트에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도메인 네임 서버에 해당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1) 관리자는 해당 도메인 네임 웹 페이지에서 IPv6 호스트를 등록함에 있어 AAAA 레코드 타입, NS(Neighbor Server) 레코드 타입, MX(Mail exchange) 레코드 타입, CNAME(Canonical Name) 레코드 타입, SPF(Sender Policy Framework) 레코드 타입들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AAAA 레코드 타입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AAAA 레코드 타입을 선택한 경우, 다음과 같은 입력 정보를 요구한다. IPv6 주소, 호스트 명, TTL 값, PTR 레코드 사용여부 등이다.
2) 관리자가 입력한 값에 대한 유효성을 점검한다. 즉 호스트명의 유효성, IPv6 주소 유효성, TTL 값 범위 등이다.
3) 도메인 관리 처리 로직에서 AAAA 레코드에 대한 레코드를 생성한다. 즉 도메인 명 mydomain.com, 호스트 명 myhost, IPv6 2001:2b8:3fff:0:1:2:3, TTL 3600 인 경우 (myhost.mydomain.com, AAAA, 3600, 2001:2b8:3fff:0:1:2:3 ) 레코드를 만든다.
4) 이렇게 생성된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중 저장 로직을 통하여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한다.
5) PTR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며 PTR 사용을 선택한 경우, 리버스 도메인 네임 생성하기 위한 단계로 들어가며 PTR 레코드를 생성한다. 즉 다음과 같은 형태로 만들어진다. ( 3.0.0.0.2.0.0.0.1.0.0.0.0.0.0.0.f.f.f.3.8.b.2.0.1.0.0.2.ip6.arpa, PTR, 3600, myhost.mydomain.com. ) 이다.
6) 이렇게 생성된 PTR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중 저장 로직을 통하여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한다.
도5는 사용자 도메인 네임 등록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도5의 화면에 입력하여 도메인을 등록할 수 있으며, 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필요하다.
등록항목 내용
사용자 도메인명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명.
관리자 이메일 도메인을 관리하는 유저의 이메일 정보.
SERIAL NUMBER zone 파일의 버전을 의미합니다. 보통 zone 파일을 수정하거나 생성한 날짜를 숫자로 설정.
1차 네임 서버의 이 값을 확인하고 2차 네임 서버의 사본을 나타내는 일련번호보다 크면 1차 네임 서버로부터 zone 파일을 전송해서 2차 네임 서버 정보를 갱신.
REFRESH 2차 네임 서버가 1차 네임 서버의 갱신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시간.
RETRY 2차 네임 서버가 refresh값에 의해 1차 네임 서버로 접속시도 할 때 1차 네임 서버의 문제로 접속을 못한 경우 다시 접속 시도할 시간을 설정.
EXPIRE 2차 네임 서버가 1차 네임 서버의 정보를 얼마나 오랫동안 신임 할 것인가를 설정.
만약 2차 네임 서버가 1차 네임 서버에 접속할 수 없을 때 전에 백업 받아온 1차 네임 서버 정보를 이 값이 초과 할 때까지 신임.
MINIMUM TTL과 같은 부분
TTL 특정 네임 서버가 도메인을 질의하고 그 정보를 가져간 후 그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시간을 지정.
도6은 A 레코드(IPv4 도메인 네임) 등록화면으로서,
A 레코드는 host_name의 IP 주소를 지정하는 레코드이다. 다음 레코드를 해당하는 호스트명과 IP를 추가하면 해당 하위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A레코드 추가시 필요한 사항이다.
등록항목 내용
호스트명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하위도메인명.
TTL 특정 네임 서버가 도메인을 질의하고 그 정보를 가져간 후 그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시간을 지정.
데이타 해당 하위도메인의 IP를 설정.
호스트명에 값을 넣지 않으면 루트 도메인에 대한 아이피가 설정.
하나의 호스트에 여러 개의 IP주소를 지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호스트 www.test.co.kr에 대해 A 레코드를 2개의 IP로 설정했을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www.test.co.kr 로 접근 시도할 때 클라이언트는 2개의 IP주소를 랜덤으로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설정은 방문자수가 많은 웹 사이트에서 부하를 줄이기 위해 종종 사용하는 방법이다.
도7은 AAAA 레코드(IPv6 도메인 네임)등록 화면으로서, 상기 도7의 화면에서 AAAA 레코드는 IPv6 에 대한 도메인 레코드이며, AAAA 추가로 IPv6 도메인을 추가 할 수 있다.
IPv6 지원 확장 : AAAA 리소스 레코드(Resource Record)
IPv6 주소 : A 리소스 레코드 (Resource Record)
AAAA RR : host Address RR(Resource Record)
IPv6 주소의 경우, 128bit로 표현되는 주소로써 IPv4 주소와는 다른 형식을 가지고 있다. IPv6 주소를 위한 리소스레코드(Resource Record)는 AAAA RR로 신규 정의하였다.
AAAA RR : IPv6 Address RR(Resource Record)
AAAA RR은 "Quad-A RR" 이라고 읽는다.
이런 명칭이 부여된 것은 IPv6 주소는 128bit의 주소 공간을 사용하고 이는 IPv4 주소(32bit)에 비해 4배 큰 것이므로 A를 4번 사용한 명칭인 'AAAA'를 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은 AAAA 레코드 추가시 필요한 사항이다.
등록항목 내용
호스트명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하위도메인명.
TTL 특정 네임 서버가 도메인을 질의하고 그 정보를 가져간 후 그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시간을 지정.
데이타 해당 하위도메인의 IP를 설정.
아래는 IETF RFC 문서의 A RR과 AAAA RR 포맷의 예시.
Name TTL CLASS TYPE DLENGTH RDATA
www.test.co.kr 1800 IN A 4 192.168.0.1
www.test.co.kr 1800 IN AAAA 16 2001:2b8:5c0:1:0:0:0:1
도8은 메일 도메인 등록 (MX Record) 화면으로서, 상기 화면에서 메일 도메인을 등록하며,
MX 레코드는 Mail Exchange 설정을 해준다.
host_name에 해당하는 주소로 오는 메일을 다른 호스트로 exchange 하며,
실제로 이 설정만으로는 Mail Exchange를 완벽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메일이 들어오는 서버를 큐잉 서버로 만들어야 되고 MX 레코드에 의해 설정된 메일의 최종 도착지에서는 메일 수신자를 설정해야 한다.
MX레코드 추가시 필요한 사항
등록항목 내용
호스트명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하위도메인명.
TTL 특정 네임 서버가 도메인을 질의하고 그 정보를 가져간 후 그 정보를 보유하고 있을 시간을 지정.
Preference 여러 값이 존재할 시 값이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메일 도메인을 추가시키기 위해서는 하나의 MX레코드와 하나이상의 MX레코드에 대한 A레코드가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의 전체공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메인 네임 관리자가 인터넷 접속에 의해 도메인 네임 웹 관리 시스템에 접속되어, 도메인 네임 및 호스트 정보를 등록하거나, 이용하거나, 정보변경을 하면, 그러한 내용을 로직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불특정 인터넷 사용자가 해당 도메인 네임에 대한 정보 요청시, DNS실행기( 도메인 네임 서비스 실행 프로그램 )를 통해서 관리자가 입력했던 정보를 응답으로 제공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의 플로우챠트에 관한 것으로서,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 혹은 IPv6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도메인 네임 서버에 도메인 네임을 등록해야 한다.
관리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 웹 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관리자는 웹 페이지에서 도메인 신규 등록 버튼을 클릭하는 단계와;
관리자는 해당 화면에서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와; (입력항목 :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 네임, 관리자 이메일, 갱신 주기, 재시도 주기, 해제 주기, 최소값, TTL, 리버스 DNS 사용여부) 입력이 완료된 후 저장버튼을 누른 직후, 입력값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와;
(도메인 네임 유효성, 이메일 유효성, 갱신 주기 범위, 재시도 주기 범위, 해제 주기 범위, 최소값 범위, TTL 범위등)
입력값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이 된 후, 이미 같은 이름을 갖는 도메인 네임이 등록이 되어 있는지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을 통하여 확인하는 단계와;
등록된 도메인이 아닌 경우, 도메인 네임 테이블을 만들고, 여기에 SOA 레코드와 NS 레코드를 자동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관리자의 입력 항목중 리버스 DNS 사용 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하는 경우,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을 생성한 후, SOA 레코드와 NS 레코드를 위와 같이 자동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이 완료된 후 도메인 네임 서버가 이를 인지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 네임서버 구성화일을 저장된 도메인 네임 리스트를 통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네임서버 구성화일이 만들어 진 후 도메인 네임서버를 재 시작하는 단계;를 거쳐 등록과정이 완료된다.
도3은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 한 것이며,
IPv4 호스트에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도메인 네임 서버에 해당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관리자는 해당 도메인 네임 웹 페이지에서 IPv4 호스트를 등록함에 있어 A 레코드 타입, NS 레코드 타입, MX 레코드 타입, CNAME 레코드 타입, SPF 레코드 타입들을 선택하는 단계와;
(예를 들면, A 레코드 타입을 선택한 경우, IPv4 주소, 호스트 명, TTL 값, PTR 레코드 사용여부등을 기술해야 한다.)
관리자가 입력한 값(호스트명의 유효성, IPv4 주소 유효성, TTL 값 범위 등)에 대한 유효성을 점검하는 단계와;
도메인 관리 처리 로직에서 A 레코드에 대한 레코드(도메인명 mydomain.com, 호스트 명 myhost, IPv4 1.2.3.4, TTL 3600 인 경우 (myhost.mydomain.com, A, 3600, 1.2.3.4 ) 레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중 저장 로직를 통하여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와;
PTR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PTR 사용을 선택한 경우, PTR 레코드( 4.3.2.1.in-addr.arpa, PTR, 3600, myhost.mydomain.com. ) 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PTR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중 저장 로직을 통하여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로 완료된다.
도4는 IPv6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IPv6 호스트에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도메인 네임 서버에 해당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관리자는 해당 도메인 네임 웹 페이지에서 IPv6 호스트를 등록함에 있어 AAAA 레코드 타입, NS 레코드 타입, MX 레코드 타입, CNAME 레코드 타입, SPF 레코드 타입들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 여기서 AAAA 레코드 타입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AAAA 레코드 타입을 선택한 경우, 다음과 같은 입력 정보를 요구한다. IPv6 주소, 호스트 명, TTL 값, PTR 레코드 사용여부 등이다.)
관리자가 입력한 값에 대한 유효성(호스트명의 유효성, IPv6 주소 유효성, TTL 값 범위 등)을 점검하는 단계와;
도메인 관리 처리 로직에서 AAAA 레코드에 대한 레코드(도메인 명 mydomain.com, 호스트 명 myhost, IPv6 2001:2b8:3fff:0:1:2:3, TTL 3600 인 경우 (myhost.mydomain.com, AAAA, 3600, 2001:2b8:3fff:0:1:2:3)) 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중 저장 로직를 통하여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와;
PTR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며 PTR 사용을 선택한 경우, PTR 레코드( 3.0.0.0.2.0.0.0.1.0.0.0.0.0.0.0.f.f.f.3.8.b.2.0.1.0.0.2.ip6.arpa, PTR, 3600, myhost.mydomain.com. ) 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중 저장 로직을 통하여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로 완료된다.
도1 본 발명의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의 전체공정
도2 본 발명의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의 전체도
도3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4 IPv6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5 사용자 도메인 네임 등록하기 위한 화면
도6 A 레코드(IPv4 도메인 네임) 등록화면
도7 AAAA 레코드(IPv6 도메인 네임) 등록 화면
도8 메일 도메인 등록 (MX Record) 화면

Claims (4)

  1. 삭제
  2.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도메인 네임 웹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도메인 네임 웹관리방법에 있어서,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 혹은 IPv6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기 위해서 사전에 도메인 네임 웹 관리 시스템에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 서버에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 네임, 이메일 주소, 갱신 주기 범위, 재시도 주기 범위, 해제 주기 범위, 최소값 범위, TTL범위, 리버스 DNS 사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도메인네임을 등록하는 단계(i)와;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 네임이 부여된 IPv4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상기 등록된 도메인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저장하는 단계(ii)와;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에 등록된 도메인 네임이 부여된 IPv6 주소를 갖는 호스트에 대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부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상기 등록된 도메인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저장하는 단계(iii)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에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 네임, 이메일 주소, 갱신 주기 범위, 재시도 주기 범위, 해제 주기 범위, 최소값 범위, TTL범위, 리버스 DNS 사용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도메인네임을 등록하는 단계(i)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도메인 네임 웹 관리시스템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웹 페이지에서 도메인네임 등록이 수행되는 단계(i-1)와;
    상기 웹페이지의 입력항목에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 네임’, ‘이메일주소’, ‘갱신 주기 범위’, ‘재시도 주기 범위’, ‘해제 주기 범위’, ‘최소값 범위’, ‘TTL(Time to Live) 범위’, ‘리버스 DNS (Domain Name System) 사용여부’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입력되고, 입력이 완료되면 저장버튼을 누른 직후, 입력한 값들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i-2)와;
    상기 입력한 값에 대한 유효성이 확인이 된 후, 이미 같은 이름을 갖는 도메인 네임이 등록이 되어 있는지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을 통하여 확인하는 단계(i-3)와;
    상기 단계(i-3)에서의 확인 결과 신규 도메인인 경우, 도메인 네임 테이블을 만들고, 여기에 SOA(Start of Authority) 레코드와 NS(Neighbor Server) 레코드를 자동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i-4)와;
    입력항목 중 리버스 DNS(Domain Name System) 사용 여부를 확인한 뒤 사용하는 경우,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을 생성한 후, SOA(Start of Authority) 레코드와 NS(Neighbor Server) 레코드를 자동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i-5)와;
    상기 SOA 레코드와 NS 레코드의 저장이 완료되면 도메인 네임 서버가 SOA 레코드와 NS 레코드의 저장 완료를 인지하여 서비스하기 위해서, 네임서버 구성화일을 저장된 도메인 네임 리스트를 통하여 생성하는 단계(i-6)와;
    상기 네임서버 구성화일이 생성되면 도메인 네임서버를 재 시작하는 단계(i-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등록된 도메인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저장하는 단계(ii)는,
    해당 도메인 네임 웹 페이지에서 IPv4호스트를 등록함에 있어 A(Address) 레코드 타입, NS(Neighbor Server)레코드 타입, MX(Mail exchange) 레코드 타입, CNAME(Canonical Name) 레코드 타입, SPF(Sender Policy Framework) 레코드 타입들을 선택하는 단계(ii-1)와;
    입력한 값(호스트명의 유효성, IPv4 주소 유효성, TTL 값 범위)에 대한 유효성을 점검하는 단계(ii-2)와;
    도메인 관리 처리 로직에서 A(Address) 레코드에 대한 레코드를 생성하는 단계(ii-3)와;
    생성된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 중 저장 로직을 통하여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ii-4)와;
    PTR(PoinTer Resource)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PTR 사용을 선택한 경우, PTR 레코드( 4.3.2.1.in-addr.arpa, PTR, 3600, myhost.mydomain.com. ) 를 생성하는 단계(ii-5)와;
    생성된 PTR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중 저장 로직을 통하여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ii-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등록된 도메인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리버스 도메인 네임을 저장하는 단계(iii)는,
    해당 도메인 네임 웹 페이지에서 IPv6 호스트를 등록함에 있어 AAAA 레코드 타입, NS(Neighbor Server) 레코드 타입, MX(Mail exchange) 레코드 타입, CNAME(Canonical Name) 레코드 타입, SPF(Sender Policy Framework) 레코드 타입들을 선택하여 등록하는 단계(iii-1)와;
    입력한 값에 대한 유효성(호스트명의 유효성, IPv6 주소 유효성, TTL 값 범위)을 점검하는 단계(iii-2)와;
    도메인 관리 처리 로직에서 AAAA 레코드에 대한 레코드(도메인 명 mydomain.com, 호스트 명 myhost, IPv6 2001:2b8:3fff:0:1:2:3, TTL 3600 인 경우 (myhost.mydomain.com, AAAA, 3600, 2001:2b8:3fff:0:1:2:3) 을 생성하는 단계(iii-3)와;
    생성된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중 저장 로직을 통하여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iii-4)와;
    PTR(PoinTer Resource) 사용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이며 PTR 사용을 선택한 경우, PTR 레코드(3.0.0.0.2.0.0.0.1.0.0.0.0.0.0.0.f.f.f.3.8.b.2.0.1. 0.0.2.ip6.arpa,PTR,3600,myhost.mydomain.com.)를 생성하는 단계(iii-5)와;
    생성된 PTR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처리 로직 중 저장 로직을 통하여 리버스 도메인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iii-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
KR1020080051364A 2008-06-02 2008-06-02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 KR100994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364A KR100994764B1 (ko) 2008-06-02 2008-06-02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364A KR100994764B1 (ko) 2008-06-02 2008-06-02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15A KR20090125315A (ko) 2009-12-07
KR100994764B1 true KR100994764B1 (ko) 2010-11-17

Family

ID=4168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364A KR100994764B1 (ko) 2008-06-02 2008-06-02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7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3438A1 (en) * 2001-11-09 2003-05-15 David Miller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reverse DNS resolu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3438A1 (en) * 2001-11-09 2003-05-15 David Miller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reverse DNS resol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315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8880B2 (en) Dynamic DNS registration method, domain name solution method, DNS proxy server, and address translation device
US11606388B2 (en) Method for minimizing the risk and exposure duration of improper or hijacked DNS records
US98665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speed of domain name system resolution within a computing device
US2006021828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registering and utilizing domain names
US2021002907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very large dns zones
US7937471B2 (en) Creating a public identity for an entity on a network
US73155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on packet-switching network
US20120254386A1 (en) Transfer of DNSSEC Domains
US2002007323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ccessing network resources
US7197574B1 (en) Domain name system inquiry apparatus, domain name system inquir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itchison Pro Dns and BIND 10
Aitchison Pro DNS and Bind
KR100994764B1 (ko) 도메인 네임 웹 관리방법
WO200509399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registering and utilizing domain names
JP2002152253A (ja)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通信管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Dostálek DNS in Action A detailed and practical guide to DNS implementation, configuration, and administration
Jin et al. Secure glue: A cache and zone transfer considering automatic renumbering
US114053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currently live and test versions of DNS data
Kabelova et al. DNS in action: A detailed and practical guide to DNS implementation, configuration, and administration
Howser et al. Domain Name Service
Ali et al. DNS Using BIND and DHCP
JP4165340B2 (ja) 情報処理装置
Wenzel et al. Guide to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the Internet Infrastructure
Ji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e Prefetch Mechanism for Multi-step Name Resolution in DNS
Wenzel et al. RFC2901: Guide to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the Internet Infra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