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731B1 - Blind nut - Google Patents

Blind n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731B1
KR100994731B1 KR1020047016243A KR20047016243A KR100994731B1 KR 100994731 B1 KR100994731 B1 KR 100994731B1 KR 1020047016243 A KR1020047016243 A KR 1020047016243A KR 20047016243 A KR20047016243 A KR 20047016243A KR 100994731 B1 KR100994731 B1 KR 100994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nut
screw
hollow
workpiece
tubul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06156A (en
Inventor
마키노다카노리
Original Assignee
뉴프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프리 엘엘씨 filed Critical 뉴프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5000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1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7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2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 F16B37/06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b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nut
    • F16B37/067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b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nut the material of the nut being deformed by a threaded member generating axial movement of the threaded part of the nut, e.g. blind rive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과 같은 소성변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단일체 부품으로서 형성된 블라인드너트(1)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 너트(1)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중공 관형부(3), 및 관형부(3)의 단부에 형성되고, 관형부(3)의 공동과 통해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플랜지(5)를 포함한다.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는, 관형부(3)를 작업물의 장착구멍(13)에 삽입하고 관형부(2)의 일부분에 좌굴 변형을 초래하여 변형부(17)와 플랜지(5) 사이에서 작업물을 죄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업물에 고정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ind nut (1) formed as a one-piece part made of p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uch as metal. The blind nut 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hollow portion 2 with the screw formed therein, the hollow tubular portion 3 continuously extending from the hollow portion 2 with the screw formed therein, and the tubular portion 3. And a flange 5 with an opening formed through the cavity of the tubular part 3. The hollow portion 2 with a screw formed therein inserts the tubular portion 3 into the mounting hole 13 of the workpiece and causes the buckling deformation in a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2 to deform the deformable portion 17 and the flange 5. By clamping the workpiece between the), it is fixed to the workpiece.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의 단부로부터 관형부(3)를 향하여 연장되는 일정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 박벽부(7)를 포함한다. 박벽부(7)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의 나머지 부분보다 내경이 크고, 내부표면에 내측 나사가 없다.The hollow portion 2 with a screw on the inside includes a thin wall portion 7 having a constant axial length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hollow portion 2 with a screw on the inside toward the tubular portion 3. The thin wall portion 7 has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2 in which the screw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re is no inner screw on the inner surface.

블라인드 너트, 버클링Blind Nuts, Buckling

Description

블라인드 너트{BLIND NUT}Blind Nuts {BLIND NUT}

본 발명은 금속과 같이 소성변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블라인드 너트(blind nut)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공 관형부(hollow tubular portion)와, 관형부의 전단에 구비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 및 플랜지를 포함하고, 관형부를 작업물의 장착구멍에 삽입하여 플랜지가 작업물과 면접촉을 하게 하고 또한 관형부에 좌굴(buckling) 변형을 초래하여 변형부와 플랜지 사이에서 작업물을 죄도록 함으로써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가 작업물에 고정되는 블라인드 너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ind nut made of a p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uch as a metal, and more particularly, a hollow tubular portion and a hollow portion with a screw provided inside the tubular portion. And a flange, the tubular portion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workpiece such that the flang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orkpiece and also causing the buckling deformation in the tubular portion to clamp the workpiece between the deformation portion and the flange. It relates to a blind nut which is screwed into the hollow part is fixed to the workpiece.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중공 관형부, 및 관형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관형부의 공동(cavity)과 통해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관형부를 작업물의 장착구멍에 삽입하여 플랜지가 작업물과 면접촉을 하게 하고 또한 관형부에 좌굴(buckling) 변형을 초래하여 변형부와 플랜지 사이에서 작업물을 죄도록 함으로써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가 작업물에 고정되는, 금속과 같은 소성변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단일체(single-piece) 부품으로서 형성된 블라인드 너트가 잘 알려져 왔다. 예를 들어, 이러한 블라인드 너트는 일본 실개소58-186208에 개시되어 있다. 블라인드 너트의 세팅 작업은 일방향 또는 일측면만으로부터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블라인드 너트는 작업자가 그 뒤쪽으로 갈 수 없게 되어 있는 패널 모양 부재와 같은 작업물에의 세팅 작업에 편리하게 사용된다. 작업물에 고정된 블라인드 너트에 볼트를 나사결합함으로써 나사결합되는 볼트를 통해 작업물에 또 다른 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A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a hollow tubular portion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and a flange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through a cavity of the tubular portion, Insert the tubular part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workpiece to bring the flange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workpiece and also cause the buckling deformation of the tubular part to clamp the workpiece between the deformable part and the flange so that the hollow part with the screw inside Blind nuts formed as single-piece parts made of p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s, such as metal, which are secured to the workpiece have been well known. For example, such a blind nut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8-186208. The setting work of the blind nut can be performed from one direction or only one side. Thus, the blind nut is conveniently used for setting work on a work piece, such as a panel-shaped member, which prevents the operator from going behind it. Another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workpiece via the bolted bolt by screwing the bolt into the blind nut secured to the workpiece.

일본 특개평2-159787은 프린트 기판에 블라인드 너트(너트서트(nutsert))를 세팅하여 버스 바(bus bar)와 회로 부품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일본 특개평2-159787에서는, 블라인드 너트를 프린트 기판에 세팅하는데 전용 블라인드 너트 세팅도구가 사용된다. 이러한 전용 블라인드 너트 세팅도구의 일례가 일본 특개소63-52974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블라인드 너트 세팅도구는 세팅도구의 부리(nose)의 전단부로부터 돌출한 나사 부재를 포함한다. 나사 부재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블라인드 너트 중공부의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블라인드 너트는, 도구의 나사 부재를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하고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를 도구의 나사 부재에 나사결합하여 플랜지가 부리(nose) 단부와 면접촉하게 하는 동시에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를 전방 쪽에 위치시킴으로써 도구의 전단부(front end)에 부착된다. 그 후, 도구의 전단부에 있는 블라인드 너트의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가 작업물의 장착구멍 안으로 삽입되어 플랜지가 작업물과 면접촉하게 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도구가 작동되어, 예컨대 도구의 나사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블라인드 너트의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부분을 플랜지 쪽으로 강하게 당겨서, 플랜지와 내측에 나사 가 형성된 중공부 사이에 형성된 관형부에 좌굴 변형을 초래한다. 그 결과, 작업물은 변형부와 플랜지 사이에서 죄어지고, 이로써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가 작업물에 고정된다. 블라인드 너트를 세팅도구에 하나씩 부착하는 데에는 이러한 세팅 방법이 필요하다. 도구의 전단부에 있는 나사 부재에 블라인드 너트를 부착하는 작업은 작업자에게 성가신 일이며, 블라인드 너트를 세팅도구에 하나씩 부착해야 한다는 것은 세팅 작업에 시간이 걸리게 한다.Japanese Patent Laid-Open No. 2-159787 discloses a structure for electrically and mechanically connecting a bus bar and a circuit component by setting a blind nut (nutsert) on a printed boar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159787, a dedicated blind nut setting tool is used to set the blind nut on the printed board. An example of such a dedicated blind nut setting tool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3-52974. The blind nut setting tool includes a screw member protru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nose of the setting tool. The screw member is adapted to engage with a thread of the blind nut hollow portion with a screw formed therein. The blind nut inserts the screw member of the tool into the hollowed portion of the tool and screwes the hollowed portion of the tool into the screw member of the tool so that the flang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nose end and the screw is screwed inside.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tool by positioning the hollow formed thereon. Thereafter, a threaded hollow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workpiece inside the blind nut at the front end of the tool to bring the flange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workpiec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tool is actuated, for example by rotating the screw member of the tool, to strongly pull the threaded portion inside the blind nut toward the flange, so that the tubular portion form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hollow portion threaded inside Results in buckling deformation. As a result, the workpiece is clamped between the deformable portion and the flange, whereby the hollowed portion inside is fixed to the workpiece. This setting method is necessary to attach the blind nuts one by one to the setting tool. Attaching the blind nut to the screw member at the front end of the tool is cumbersome for the operator, and the need to attach the blind nut to the setting tool one by one takes time to set.

본 발명자는 상기 전용 블라인드 너트 세팅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블라인드 너트를 작업물에 세팅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압축 도구(pressing tool) 또는 장치의 사용에 의한 블라인드 너트 세팅방법은, 블라인드 너트를 세팅도구에 하나씩 부착할 필요 없이, 블라인드 너트를 작업물의 장착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준비가 완료될 수 있는 유리한 세팅 작업을 달성할 수 있고, 블라인드 너트는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사용만으로 세팅될 수 있어 이어지는 세팅 작업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블라인드 너트가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사용에 의해 세팅된다면,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나사산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손상될 것이다. 블라인드 너트의 나사산의 치수가 더 작아질수록 나사산은 더욱 철저하게 손상될 것이다. 예를 들어, 널리 쓰이는 치수, 즉 M3(나사산 직경: 3㎜)에서 M6(나사산 직경: 6㎜)까지를 가지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한 블라인드 너트에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나사산은 거의 완전히 손상된다. 실험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나사산의 손상은 M12(나사산 직경: 12㎜) 이하의 내측 나사를 가지는 블라인드 너트에서 발생하였다. The inventor has conducted a study on how to set the blind nut on the workpiece without using the dedicated blind nut setting tool. The method of setting the blind nut by using a pressing tool or a devic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eparation can be completed simply by inserting the blind nut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workpiece, without having to attach the blind nuts one by one to the setting tool. The work can be achieved and the blind nut can be set only with the use of a compression tool or device to simplify subsequent setting work. However, if a conventional blind nut is set by the use of a compression tool or device, the thread of the hollowed portion of the inside will be undesirably damaged. The smaller the dimension of the thread of the blind nut, the more thoroughly the thread will be damaged. For example, in a blind nut with a threaded hollow on the inside having a widely used dimension, i.e., M3 (thread diameter: 3 mm) to M6 (thread diameter: 6 mm), the thread of the hollow part with the thread formed inside Is almost completely damaged. In the experiments, undesirable thread damage occurred in blind nuts with inner threads of M12 (thread diameter: 12 mm) or les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용의 블라인드 너트 세팅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사용에 의해 블라인드 너트를 작업물에 세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블라인드 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ind nut which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setting the blind nut to the workpiece by use of a compression tool or device, without using a dedicated blind nut setting tool.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중공 관형부, 및 관형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관형부의 공동(cavity)과 통해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관형부를 작업물의 장착구멍에 삽입하고 관형부에서 플랜지 양측에 위치된 부분에 좌굴(buckling) 변형을 초래하여 변형부와 플랜지 사이에서 작업물을 죄도록 함으로써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가 작업물에 고정되는, 소성변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단일체(single-piece) 부품으로서 형성된 블라인드 너트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a hollow tubular portion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and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And a flange form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tubula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workpiece and the buckling deformation is caused in the tubular portion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flange to clamp the workpiece between the deformation portion and the flange. Thereby, a blind nut formed as a single-piece part made of a p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is provided, wherein the hollowed portion is fixed to the workpiece.

상기 블라인드 너트에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단부로부터 관형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나머지 부분보다 내경이 크고 내부표면에 내측 나사가 없는 박벽부(薄壁部)를 포함한다. 따라서, 블라인드 너트가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사용에 의해 작업물에 세팅된다고 하더라도, 박벽부는 압축 도구 또는 장치로부터의 압축력을 완화시키거나 흡수하여 압축력이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내측 나사산 영역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써 나사산에 손상을 유발하지 않게 된다. 이는 어떤 전용 블라인드 너트 세팅도구도 사용하지 않고서 블라인드 너트를 작업물에 쉽게 세팅하 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에 구비된 박벽부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치수가 M3(나사산 직경: 3㎜)에서 M6(나사산 직경: 6㎜)까지인 블라인드 너트에서도 모든 나사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blind nut, a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extends from the end of the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toward the tubular portion, and has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and a thin wall portion having no inner screw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薄壁 部) is included. Thus, even if the blind nut is set on the workpiece by the use of a compression tool or device, the thin-walled portion relaxes or absorbs the compression force from the compression tool or device so that the compression force acts on the inner threaded region of the hollowed-in screw. To prevent damage to the threads. This makes it easy to set the blind nut on the workpiece without using any dedicated blind nut setting tool. In addition, the thin-walled part provided in the hollowed part on the inside prevents all thread damage even in the blind nut having the dimensions of the hollowed part formed in the inner part from M3 (thread diameter: 3 mm) to M6 (thread diameter: 6 mm). can do.

본 발명의 블라인드 너트에서, 박벽부의 내경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내측 나사의 골 직경(root diameter)과 대략 같거나 조금 더 크다. 박벽부의 축방향 길이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축방향 길이보다,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내측 나사의 일 피치(pitch)만큼 더 크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박벽부는, 내측 나사가 없는 내부표면으로부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내측 나사 영역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는 내경을 가지는 테이퍼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blind nu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n wall portion is approximate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root diameter of the inner screw of the hollow portion with the screw formed therein. The axial length of the thin wall portion can be made larger by one pitch of the inner screw of the hollow portion with the screw formed therein than the axial length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hollow portion with the screw formed therein. Moreover, the thin wall portion may include a tapered region having an inn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ner surface without the inner screw toward the inner thread region of the hollowed portion of the hollowed portion.

상기 블라인드 너트에서, 관형부의 외부표면에는 관형부의 원주를 따라서 상호 정렬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골 홈(knurled groove)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물과 접촉하게 될 플랜지의 표면에는 작업물의 표면 안으로 물려들어갈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관형부의 외부표면은 육각형 또는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형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물이 굽은 측면을 가진 파이프 모양 부재일 때에는, 굽은 측면과 접촉하게 될 플랜지의 표면은 작업물의 측면의 곡률과 일치하는 굽은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lind nut,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knurled grooves extending longitudinally alig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portion. In this case, the surface of the flange to be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to be drawn into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More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or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tubular portion may be formed with slit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workpiece is a pipe-shaped member with a bent side, the surface of the flange that will be in contact with the bent side is preferably formed with a bent face that matches the curvature of the side of the workpiece.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를 도시하 며, 도 1a는 블라인드 너트의 평면도, 도 1b는 블라인드 너트의 정면도, 그리고 도 1c는 도 1b의 A-A 선을 따라 도시한 블라인드 너트의 단면도이다.1A to 1C show a blind nu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A is a top view of the blind nut, FIG. 1B is a front view of the blind nut, and FIG. 1C is along the AA line of FIG. 1B.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ind nut shown.

도 2는 도 1의 블라인드 너트가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사용에 의해 작업물에 세팅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다.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front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blind nut of FIG. 1 is set on the workpiece by use of a compression tool or device. FIG.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를 도시하며, 도 3a는 블라인드 너트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B-B 선을 따라 도시한 블라인드 너트의 단면도이다.3A and 3B show a blind nu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front view of the blind nut, and FIG. 3B is a sectional view of the blind nut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3A.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를 도시하며, 도 4a는 블라인드 너트의 정면도, 도 4b는 블라인드 너트의 저면도, 그리고 도 4c는 도 4a의 C-C 선을 따라 도시한 블라인드 너트의 단면도이다.4A-4C show a blind nu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4A is a front view of the blind nut, FIG. 4B is a bottom view of the blind nut, and FIG. 4C is along a CC line of FIG. 4A.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ind nut shown.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5a는 블라인드 너트의 평면도, 도 5b는 블라인드 너트의 정면도, 도 5c는 블라인드 너트의 저면도, 그리고 도 5d는 도 5a의 D-D 선을 따라 도시한 블라인드 너트의 단면도이다.5A to 5D show a blind nu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lan view of the blind nut, FIG. 5B is a front view of the blind nut, FIG. 5C is a bottom view of the blind nut, and FIG. 5d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blind nut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5A.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를 도시하며, 도 6a는 블라인드 너트의 정면도, 도 6b는 블라인드 너트의 저면도, 도 6c는 도 6a의 E-E 선을 따라 도시한 블라인드 너트의 단면도이다.6A to 6C show a blind nu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 front view of the blind nut, FIG. 6B is a bottom view of the blind nut, and FIG. 6C is shown along the EE line of FIG. 6A. Sectional view of one blind nut.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를 도시하며, 도 7a는 블라인드 너트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F-F 선을 따라 도시한 블라인드 너트의 단면도이다. 7A and 7B show a blind nu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 front view of the blind nut, and 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the blind nut taken along the F-F line of FIG. 7A.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를 도시하며, 도 8a는 블라인드 너트의 평면도, 도 8b는 블라인드 너트의 정면도, 도 8c는 블라인드 너트의 좌측면도, 그리고 도 8d는 도 8a의 G-G 선을 따라 도시한 블라인드 너트의 단면도이다.8A to 8D show a blind nut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plan view of the blind nut, FIG. 8B is a front view of the blind nut, FIG. 8C is a left side view of the blind nut, and FIG. 8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lind nut taken along the line GG of FIG. 8A.

도 9는 도 8의 블라인드 너트가 굽은 측면을 갖는 작업물에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사용에 의해 세팅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정면도이다.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front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blind nut of FIG. 8 is set by the use of a compression tool or device on a workpiece having a curved side. FIG.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1)를 도시한다. 블라인드 너트(1)는 금속과 같이 소성변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단일체 부품으로 형성된다. 블라인드 너트의 일반적인 재료는 알루미늄이나 강철과 같은 소성변형가능한 금속이지만, 플라스틱 재료와 같이 소성변형가능한 기타 다른 적합한 재료도 사용가능하다. 블라인드 너트(1)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로부터 도 1a 내지 도 1c의 도면용지에서 위쪽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중공 관형부(3), 및 단부(도 1b 및 도 1c의 상부 가장자리)에 구비된 더 큰 직경의 플랜지(5)로 이루어진다. 플랜지(5)에는 관형부(3)의 공동(cavity)과 통해 있는 개구부가 형성됨으로써, 블라인드 너트(1)가 속이 완전히 비어 있는 원통형 몸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예의 블라인드 너트(1)에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와 관형부(3)는 외측 형상이 외경이 동일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플랜지(5)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와 플랜 지(5) 사이에 형성된 관형부(3)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 중 관형부(3)에 인접한 부분의 벽보다 더 얇은 벽을 가진다. 즉, 관형부(3)는,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변형되도록, 또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와 플랜지(5)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강한 힘을 가함으로써 좌굴 변형을 유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는, 관형부(3)를 작업물의 장착구멍에 삽입하여 플랜지(5)가 작업물과 면접촉을 하게 하고 다음으로 관형부(3) 일부에 좌굴 변형을 유발하여 변형부와 플랜지(5) 사이에서 작업물을 죄도록(도 2 참조) 함으로써 작업물에 고정될 수 있다.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a to 1c show a blind nut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lind nut 1 is formed from a single piece made of p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such as metal. Common materials for the blind nut are plastically deformable metals such as aluminum or steel, but other suitable materials that can be plastically deformable, such as plastics, are also available. The blind nut 1 has a hollow tubular portion 3 which extends upwardly on the sheet of paper of FIGS. 1A to 1C from the hollow portion 2 having a screw therein and the hollow portion 2 having a screw therein. ) And a larger diameter flange 5 provided at the end (the upper edge of FIGS. 1b and 1c). The flange 5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the cavity of the tubular part 3, so that the blind nut 1 can be formed into a completely hollow cylindrical body. In the blind nut 1 of the first embodiment, the hollow portion 2 and the tubular portion 3, which are screwed on the inner side,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outer shape having the same outer diameter, and the flange 5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tubular part 3 formed between the hollow part 2 and the flange 5 with the screwing inside is thinner than the wall of the portion adjacent to the tubular part 3 of the hollow part 2 with the screwing inside. Has That is, the tubular portion 3 may be partially deformed to the outside, or to induce buckling deformation by applying a strong force that can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hollow portion 2 and the flange 5 with the screw formed therein. It is composed. Therefore, the hollow portion 2 with a screw formed therein inserts the tubular portion 3 into the mounting hole of the workpiece so that the flange 5 is brought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workpiece and then buckled into a portion of the tubular portion 3. It can be fixed to the workpiece by causing deformation to clamp the workpiece between the deformable portion and the flange 5 (see FIG. 2).

본 실시예에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의 단부(6)로부터 관형부(3) 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특정 축방향 길이를 갖는 박벽부(7)를 포함한다. 박벽부(7)는 내측에 나사산이 없는 내부표면을 가지며, 내경이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의 나머지 부분의 내경보다 더 크다. 박벽부(7)의 내경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상기 나머지 부분, 즉 나사가 형성된 부분(9)의 내측 나사의 골 직경과 대략 같거나 조금 더 크게 설계된다. 박벽부(7)의 축방향 길이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의 단부(6)로부터 연장되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의 내측 나사의 일 피치의 축방향 길이보다 더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박벽부(7)는, 단부(도 1의 단부(6))까지 연장되는 나사가 형성된 내부표면을 가지는 종래의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단부 영역과, 단부에 형성된 소위 "모따기부" 둘 다와 명확하게 구별된다. 박벽부(7)의 길이는 임의로 설정가능하지만, 내측 나사의 약 두 피치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 이다. 더욱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박벽부(7)는 내측 나사가 없는 내부표면으로부터 나사가 형성된 부분(9)의 내측 나사를 향하여 점차 감소하는 내경을 갖는 테이퍼진 영역(10)을 포함한다. 이와 달리, 박벽부(7)의 내부표면 전체가, 단부(6)로부터 나사가 형성된 부분(9)의 내측 나사의 가장자리까지 점차 감소하는 내경을 갖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박벽부(7)는 곧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박벽부(7)와 나사가 형성된 부분(9) 사이의 경계에서 단차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readed hollow part 2 on the inside is a thin-walled part having a specific axial length extending from the end 6 of the hollow part 2 on the inside toward the tubular part 3. It includes (7). The thin wall portion 7 has an inner surface without a thread on the inside, and the inn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2 with the screw formed on the inner side.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n wall portion 7 is designed to be approximate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valley diameter of the inner portion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hollowed portion of the thin wall, ie the inner portion of the screwed portion 9. The axial length of the thin-walled part 7 is more than the axial length of one pitch of the inner screw of the hollow part 2 with a screw formed in the inner side extended from the edge part 6 of the hollow part 2 with a screw formed inside. Is set larger. Accordingly, the thin wall portion 7 has an end region of a hollow portion with a screw formed inside the conventional one having a threaded inner surface extending to an end portion (end portion 6 in FIG. 1), and a so-called "chamfer portion" formed at the end portion. I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both. Although the length of the thin wall portion 7 can be arbitrarily set, it will generally be set to about two pitches of the inner thread. Furthermore, in the embodiment shown, the thin wall portion 7 comprises a tapered region 10 having an inner diameter which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ner surface without the inner thread towards the inner thread of the threaded portion 9. Alternatively,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thin wall portion 7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with an inn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end 6 to the edge of the inner screw of the threaded portion 9. Moreover, the thin wall portion 7 is formed in a straight cylindrical shape, and a stepped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thin wall portion 7 and the threaded portion 9.

박벽부(7)는, 예를 들어, 내측 나사가 내부표면 전체에 형성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한 종래의 블라인드 너트를 준비하여 가장자리(6)로부터 특정 축방향 길이만큼 내측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반제품(미완성 제품)에 미리 박벽부를 형성한 후에, 반제품에 내측 나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박벽부(7)의 구멍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작업물에 고정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에 볼트를 삽입하는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 사각형, 육각형, 별모양, 타원형 등과 같은 다른 어떤 적합한 형상도 사용가능하다.The thin wall portion 7 is prepared by removing the inner screw by a specific axial length from the edge 6 by, for example, preparing a conventional blind nut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with an inner screw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thereof. It may be formed by. Alternatively, after the thin wall portion is formed in advance on the semifinished product (unfinished product), the inner screw may be formed on the semifinished produc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les of the thin wall portion 7 are circular in cross section. However, any other suitable shape such as square, hexagon, star, oval, etc. can be used as long as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bolt into the screwed hollow 2 fixed inside the workpie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가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사용에 의해 패널과 같은 작업물(11)에 세팅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다른 구성요소들은 제외하고 프레스 헤드(press head)(14)와 베드(bed)(15)만이 도시되어 있다). 세팅 작업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작업물에는, 블라인드 너트(1)의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와 관형부(3)는 삽입될 수 있지만 플랜지는 관통할 수 없게 하는 장착구멍(13)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단부(6)를 전방 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수작업으로 블라인드 너트(1)를 작업물(11)의 장착구멍(13)과 일치시키고,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 및 관형부(3)를 장착구멍(13)에 삽입하여 플랜지(5)가 작업물(11)과 면접촉을 하게 한다. 다음으로, 블라인드 너트(1)가 삽입된 작업물(11)은, 블라인드 너트(1)가 프레스 헤드(14) 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베드(15)는 프레스 헤드(14) 아래에 배치되고, 이로써 블라인드 너트(1)는 프레스 헤드(14)와 베드(15)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서, 플랜지(5)는 베드(15) 상에 배치되고,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의 박벽부(7)는 프레스 헤드(14) 근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향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의 박벽부(7)가 베드 상에 놓여지고, 플랜지(5)는 프레스 헤드(14) 근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FIG. 2 shows the state after the blind nut 1 of FIG.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been set on a workpiece 11, such as a panel, by use of a compression tool or device (except for other components, the press head ( only press head 14 and bed 15 are shown). The sett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workpiec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13 in which the hollow portion 2 and the tubular portion 3, which are threaded inside the blind nut 1, can be inserted but the flange cannot penetrate. The operator manually positions the blind nut 1 with the mounting hole 13 of the workpiece 11 by positioning the end 6 of the hollow portion with the screw formed therein on the front side, and the hollow portion 2 with the screw formed therein. And the tubular portion 3 ar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3 so that the flange 5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orkpiece 11. Next, the workpiece 11 into which the blind nut 1 is inserted is arranged so that the blind nut 1 is located directly under the press head 14. The bed 15 of the compression tool or device is arranged under the press head 14, whereby the blind nut 1 is arranged between the press head 14 and the bed 15. In FIG. 2, the flange 5 is disposed on the bed 15, and the thin wall portion 7 of the hollow portion 2 with a screw formed therein is disposed near the press head 14. This direction is not essential. Alternatively, the thin wall portion 7 of the hollow portion 2 with a screw therein may be placed on the bed, and the flange 5 may be disposed near the press head 1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너트(1)가 프레스 헤드(14)와 베드(15)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압축 도구 또는 장치가 작동개시되어 프레스 헤드(14)가 박벽부(7)의 단부(6)를 플랜지(5) 쪽을 향하여 압축함으로써,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와 플랜지(5) 사이의 거리를 줄일 수 있는 강한 힘을 관형부(3)에 가한다. 이는 관형부(3) 중 작업물(11)로부터 돌출한 부분인 변형부(17)에 외향 변형 또는 좌굴 변형을 초래하여 변형부(17)와 플랜지(5) 사이에 작업물(11)을 죄게 된다. 이러한 죔 작용 덕분에, 블라인드 너트(1)는 작업물(11)에 고정되며, 이로써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가 작업물(11)에 고정된다. 실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1)가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사용에 의해 작업물에 세팅되었을 때, 박벽부(7)는 변형되면서도 구멍 영역이 내부에 볼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한편,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의 나사가 형성된 부분(9)의 내측 나사에는 아무런 손상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박벽부(7)가 프레스 헤드(14)로부터의 강한 압축력을 받아들이는 한편 나사가 형성된 부분(9)의 내측 나사로 전달될 압축력을 흡수(또는 완화)하기 때문에 얻어진 것이었다. 게다가, 프레스 헤드(14)와 베드(15)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의 인접한 박벽부(7)와는 접촉하지만 나사가 형성된 부분(9)과는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이것 또한 나사 손상 방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1)는, 블라인드 너트 세팅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압축 기계의 사용에 의해,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가 나사산의 손상 없이 작업물(11)에 고정될 수 있게 하였다. 실험에서는, M3(나사산 직경: 3㎜)에서 M6(나사산 직경: 6㎜)까지의 치수를 갖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한 블라인드 너트조차도 전혀 나사산의 손상이 없었다.As shown in FIG. 2, with the blind nut 1 positioned between the press head 14 and the bed 15, the compression tool or device is started so that the press head 14 has a thin wall portion 7. By compressing the end 6 of the to 6 toward the flange 5, a strong force is applied to the tubular portion 3, which can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hollow portion 2 and the flange 5, on which the screw is formed inside. This causes outward deformation or buckling deformation in the deformable portion 17, which is a part of the tubular portion 3 protruding from the workpiece 11, to clamp the workpiece 11 between the deformable portion 17 and the flange 5. do. Thanks to this fastening action, the blind nut 1 is fixed to the workpiece 11, whereby the hollow part with a screw formed therein is fixed to the workpiece 11. In the experiment, when the blind nu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et to the workpiece by the use of a compression tool or device, the thin wall portion 7 deforms while ensuring that the hole area can receive the bolts therei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amage in the inner screw of the screwed part 9 of the hollow part 2 in which the screw was formed inside. This result was obtained because the thin wall portion 7 received the strong compressive force from the press head 14 while absorbing (or relieving) the compressive force to be transmitted to the inner screw of the threaded portion 9. In addition, the press head 14 and the bed 15 are in contact with the adjacent thin-walled part 7 of the hollow part 2 which is screwed inside, but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threaded part 9. This will also help to prevent screw damage. As described above, in the blind nut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low part 2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is formed by the use of a compression machine without the use of a blind nut setting tool. ) Can be fixed. In the experiments, even blind nuts with threaded hollows with dimensions from M3 (thread diameter: 3 mm) to M6 (thread diameter: 6 mm) had no thread damage at all.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18)를 도시한다. 블라인드 너트(18)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 관형부(3A), 및 플랜지(5)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는 박벽부(7)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18)에서, 관형부(3A)의 외부표면에는 관형부(3A)의 원주를 따라 상호 정렬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골 홈(knurled groove)(19)이 형성된다. 블라인드 너트(18)는 골 홈(19)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블 라인드 너트(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골 홈(19)은, 블라인드 너트가 패널 등의 작업물에 고정된 후에 볼트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에 나사결합 및 고정될 때에 블라인드 너트(18)가 작업물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관형부(3A) 또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보다 직경이 조금 더 큰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른 특징들은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3a and 3b show a blind nut 18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lind nut 18 is composed of a hollow portion 2, a tubular portion 3A, and a flange 5, with a screw formed therein, and the hollow portion 2 with a screw formed therein includes a thin wall portion 7. do. In the blind nut 18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3A has a plurality of knurled grooves 19 extending longitudinally alig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portion 3A. Is formed. The blind nut 18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lind nut 1 of FIG. 1 except for the valley groove 19. The bone groove 19 is formed by sliding the blind nut 18 against the workpiece when the bolt is screwed into and fixed to the hollow portion 2 in which the bolt is screwed inside after the blind nut is fixed to the workpiece such as a panel. To prevent them. The tubular portion 3A is also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hich is slightly larger in diameter than the hollow portion 2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Other feature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blind nut 1 of FIG. 1.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1)를 도시한다. 블라인드 너트(21)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 관형부(3A), 및 플랜지(5A)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는 박벽부(7)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1)에서, 관형부(3A)의 외부표면에는 관형부(3A)의 원주를 따라서 상호 정렬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골 홈(19)이 형성되고, 작업물과 접촉하게 될 플랜지(5A)의 면(도 4a 및 도 4b에서의 저면)에는 작업물의 표면 안으로 물려들어갈 돌출부로 사용되는 리브(rib)(22)들이 형성된다. 복수개(도시된 실시예에서는 6개)의 리브들(22)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5A)의 저면에 등간격으로 방사형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5A)는 리브들이 형성될 수 있도록 커다란 원판으로 형성된다. 골 홈(19) 및 리브(22)는, 블라인드 너트(21)가 패널 등의 작업물에 고정된 후에 볼트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에 나사결합 및 고정될 때에 블라인드 너트(21)가 작업물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블라인드 너트(21)는 골 홈(19)과 리브(22)를 제외하고는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미끄러짐이 리 브들만에 의해서 방지될 수 있다면, 블라인드 너트(21)에서 골 홈(19)을 생략할 수도 있다. 다른 특징들은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4a to 4c show a blind nut 21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lind nut 21 is composed of a hollow portion 2, a tubular portion 3A, and a flange 5A formed therein, and the hollow portion 2 formed with a screw therein includes a thin wall portion 7. do. In the blind nut 2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3A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one grooves 19 extending longitudinally alig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portion 3A, On the face of the flange 5A (bottom in FIGS. 4A and 4B) that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workpiece, ribs 22 are formed that serve as protrusions to be drawn into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ribs 22 (six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re formed in a radial pattern at equal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5A as shown in Fig. 4B. The flange 5A is formed of a large disc so that the ribs can be formed. The valley grooves 19 and the ribs 22 are blind nuts 21 when the bolts are screwed into and fixed to the hollow portions 2, which are screwed inside, after the blind nuts 21 are fixed to a workpiece such as a panel. ) To prevent slipping against the workpiece. The blind nut 21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lind nut 1 of FIG. 1 except for the groove groove 19 and the rib 22. If the slip can be prevented by only the ribs, the bone groove 19 may be omitted from the blind nut 21. Other feature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blind nut 1 of FIG. 1.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3)를 도시한다. 블라인드 너트(23)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 관형부(3B), 및 플랜지(5B)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는 박벽부(7)를 포함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3)에서, 관형부(3B)의 외부표면은 단면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도 5c 참조). 관형부(3B)의 내부표면 또한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형부(3B)의 단부에 구비된 플랜지(5B)는 관형부(3B)에 맞추어 커다란 원판(또는 다각형 판)으로 형성된다. 단면 외측 형상이 사각형인 관형부(3B)는, 블라인드 너트(23)가 패널 등의 작업물에 고정된 후에 볼트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에 나사결합 및 고정될 때에 블라인드 너트(23)가 작업물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원형 구멍 대신에, 작업물의 장착구멍은 관형부의 사각형 단면 외측 형상과 일치하도록 사각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블라인드 너트(23)는 관형부(3B)의 사각형 단면 외측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른 특징들은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5a to 5d show a blind nut 23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lind nut 23 is composed of a hollow portion 2, a tubular portion 3B, and a flange 5B formed therein, and the hollow portion 2 formed with a screw therein includes a thin wall portion 7. do. In the blind nut 23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3B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see Fig. 5C).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3B may also be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flange 5B provided at the end of the tubular portion 3B is formed of a large disc (or polygonal plate) in accordance with the tubular portion 3B. The tubular portion 3B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outer shape has a blind nut when the bolt is screwed into and fixed to the hollow portion 2 in which a screw is screwed inside after the blind nut 23 is fixed to a workpiece such as a panel. 23) to prevent slipping against the workpiece. Thus, instead of the circular hole, the mounting hole of the workpiece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hole so as to coincide with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outer shape of the tubular portion. The blind nut 23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lind nut 1 of FIG. 1 except for the rectangular cross-sectional outer shape of the tubular portion 3B. Other feature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blind nut 1 of FIG. 1.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5)를 도시한다. 블라인드 너트(25)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 관형부(3C), 및 플랜지(5C)를 포함하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는 박벽부(7)를 포함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5)에서, 관형부(3C)의 외부표면은 단면형상이 육각형으로 형성된다(도 6b 참조). 관형부(3C)의 내부표면 또한 육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형부(3C)의 단부에 구비된 플랜지(5C)는 관형부(3C)와 일치하도록 육각형 개구부를 가지는 원판(또는 다각형 판)으로 형성된다. 단면 외측 형상이 육각형인 관형부(3C)는, 블라인드 너트(25)가 패널 등의 작업물에 고정된 후에 볼트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에 나사결합 및 고정될 때에 블라인드 너트(25)가 작업물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원형 구멍 대신에, 작업물의 장착구멍은 관형부의 육각형 단면 외측 형상과 일치하도록 육각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블라인드 너트(25)는 관형부(3C)의 육각형 단면 외측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른 특징들은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6a to 6c show a blind nut 25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lind nut 25 has a hollow portion 2, a tubular portion 3C, and a flange 5C formed therein, and the hollow portion 2 with a screw formed therein includes a thin wall portion 7. do. In the blind nut 25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3C has a hexagonal cross section (see Fig. 6B). The inner surface of the tubular portion 3C may also be formed in a hexagonal cross-sectional shape. The flange 5C provided at the end of the tubular portion 3C is formed of a disc (or polygonal plate) having a hexagonal opening so as to coincide with the tubular portion 3C. The tubular portion 3C having a hexagonal cross-sectional outer shape has a blind nut when the bolt is screwed into and fixed to the hollow portion 2 in which a screw is screwed inside after the blind nut 25 is fixed to a workpiece such as a panel. 25) to prevent slipping against the workpiece. Thus, instead of the circular hole, the mounting hole of the workpiece is formed into a hexagonal hole so as to coincide with the hexagonal cross-sectional outer shape of the tubular portion. The blind nut 25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lind nut 1 of FIG. 1 except for the hexagonal cross-section outer shape of the tubular portion 3C. Other feature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blind nut 1 of FIG. 1.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6)를 도시한다. 블라인드 너트(26)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 관형부(3D), 및 플랜지(5)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는 박벽부(7)를 포함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6)에서, 관형부(3D)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27)들이 형성된다. 복수개(도시될 실시예에서는 4개)의 슬릿들(27)이 관형부의 원주를 따라 상호 정렬되도록 형성된다. 슬릿들(27)은, 작업물이 유연성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작업물의 장착구멍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블라인드 너트가 작업물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블라인드 너트(26)는 관형부(3D)의 슬릿들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른 특징들은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7a and 7b show a blind nut 26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lind nut 26 is composed of a hollow portion 2, a tubular portion 3D, and a flange 5, which are screwed on the inner side, and the hollow portion 2, which is screwed on the inner side, includes a thin wall portion 7. do. In the blind nut 26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tubular portion 3D is formed with slits 27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slits 27 (four in the embodiment to be shown) are formed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ubular portion. The slits 27 allow the blind nut to be stably fixed to the workpiece even if the workpiece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flexible plastic or the mounting hole of the workpiece is relatively large. The blind nut 26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lind nut 1 of FIG. 1 except for the slits of the tubular portion 3D. Other feature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blind nut 1 of FIG. 1.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9)를 도시한다. 블라인드 너트(29)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 관형부(3), 및 플랜지(5D)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2)는 박벽부(7)를 포함한다. 제7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9)에서, 플랜지(5D)는 특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랜지(5D)는 굽은 측면을 가지는 파이프 모양 부재인 작업물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물의 측면의 곡률과 일치하는 굽은 면이, 작업물의 굽은 측면과 접촉하게 될 플랜지(5D) 면, 즉 도 8d에서 플랜지(5D)의 저면(30)에 적용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5D)는 평면도상에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작업물의 굽은 측면과 접촉한다. 플랜지(5D)의 굽은 면(30)은, 작업물이 굽은 곡면을 가지는 파이프 모양 부재라 하더라도 블라인드 너트(29)가 건들거림 없이 작업물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블라인드 너트(29)는 플랜지(5D)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다른 특징들은 도 1의 블라인드 너트(1)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8A-8D show a blind nut 29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lind nut 29 is composed of a hollow portion 2, a tubular portion 3, and a flange 5D formed therein, and the hollow portion 2 formed with a screw therein includes a thin wall portion 7. do. In the blind nut 29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the flange 5D is formed in a specific shape. More specifically, the flange 5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orkpiece which is a pipe-shaped member having a curved side. Thus, a curved surface that matches the curvature of the side of the workpiece is applied to the face of the flange 5D which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curved side of the workpiece, ie the bottom face 30 of the flange 5D in FIG. 8D. As shown in Fig. 8A, the flange 5D is formed in a rectangular or elliptical shape in plan view to contact the curved side of the workpiece. The curved surface 30 of the flange 5D allows the blind nut 29 to be stably attached to the workpiece without touching, even if the workpiece is a pipe-shaped member having a curved surface. The blind nut 29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blind nut 1 of FIG. 1 except for the shape of the flange 5D. Other feature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blind nut 1 of FIG. 1.

도 9는 제7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29)가 굽은 곡면을 가지는 작업물(31)에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사용에 의해 세팅된 상태를 도시한다. 세팅작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세팅 작업 후의 상태 하에서, 플랜지(5D)의 굽은 면 전체는 작업물(31)의 굽은 면과 안정적으로 접촉하며, 이로써 블라 인드 너트(29)는, 관형부(3)의 변형부(33)와 플랜지(5D)에 의해, 굽은 측면을 가지는 작업물(31)에 단단히 부착된다. 이 블라인드 너트(29)는 또한, 블라인드 너트 세팅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압축 기계의 사용에 의해,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블라인드 너트(29) 중공부(2)가 나사산의 손상 없이 작업물(31)에 고정될 수 있게 하였다.9 shows a state where the blind nut 29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s set by the use of a compression tool or device on the workpiece 31 having a curved surface. Since the setting opera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t is omitted here. Under the state after the setting operation, the entire bent surface of the flange 5D is in stable contact with the bent surface of the workpiece 31, whereby the blind nut 29 is in contact with the deformable portion 33 of the tubular portion 3. By the flange 5D, it is firmly attached to the workpiece 31 having the bent side. The blind nut 29 also allows the hollow nut 2 of the blind nut 29, which is threaded inside, to the workpiece 31 without damage to the thread by the use of a compression machine without the use of a blind nut setting tool. It can be fixed.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너트에 따르면,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단부로부터 관형부 쪽을 향하여 연장되고, 내측 나사가 없는 내부표면을 갖고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나머지 부분보다 직경이 더 큰 박벽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블라인드 너트가 압축 도구 또는 장치의 사용에 의해 작업물에 세팅된다고 하더라도, 박벽부가 압축 도구 또는 장치로부터의 압축력을 완화 또는 흡수하여,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내측 나사 영역에 압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나사산의 손상이 없도록 한다. 이는 어떤 전용의 블라인드 너트 세팅 도구도 사용하지 않고서 블라인드 너트를 작업물에 쉽게 세팅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에 구비된 박벽부는, M3(나사산 직경: 3㎜)에서 M6(나사산 직경: 6㎜)까지의 작은 치수를 갖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를 구비한 블라인드 너트에서도 어떠한 나사산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lind n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therein extends from the end of the hollow portion having the screw therein toward the tubular portion, and has the inner surface without the inner screw, and the rest of the hollow portion having the screw therein. It includes a thin wall portion larger in diameter than the portion. Thus, even if the blind nut is set on the workpiece by the use of a compression tool or device, the thin wall portion relaxes or absorbs the compression force from the compression tool or device, so that the compression force acts on the inner threaded region of the hollowed-in screw. To prevent damage to the threads. This makes it easy to set the blind nut on the workpiece without using any dedicated blind nut setting tool. In addition, the thin-walled part provided in the hollow part which screwed in the inside also has a blind nut provided with the hollow part which screwed in the inner side which has a small dimension from M3 (thread diameter: 3 mm) to M6 (thread diameter: 6 mm). Any thread damage can be prevented.

Claims (9)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와, 상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중공 관형부, 및 상기 중공 관형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 관형부의 공동(cavity)과 통해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 관형부를 작업물의 장착구멍에 삽입하고 상기 중공 관형부 중 작업물로부터 돌출한 부분인 변형부에 좌굴(buckling) 변형을 초래하여 상기 변형부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서 상기 작업물을 죄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가 상기 작업물에 고정되는, 소성변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단일체(single-piece) 부품으로서 형성된 블라인드 너트로서, A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a hollow tubular portion continuously extending from the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formed at an end portion of the hollow tubular portion, and formed through a cavity of the hollow tubular portion; A flange, the hollow tubular portion being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of a workpiece and causing a buckling deformation in a deformation portion that is a portion of the hollow tubular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workpiece, such that the workpiece is between the deformation portion and the flange. A blind nut formed as a single-piece part made of a p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wherein the hollow portion, which is screwed inside thereof, is fixed to the workpiece by 상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가, 상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중공 관형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일정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 박벽부(薄壁部)를 포함하고, 상기 박벽부는 상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나머지 부분보다 내경이 크고 내부표면에 내측 나사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너트.The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includes a thin wall portion having a constant axial length extending from an end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toward the hollow tubular portion, wherein the thin wall portion has a screw portion formed therein. Blind nu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rest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there is no inner screw on the inn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벽부의 상기 내경이 상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내측 나사의 골 직경(root diameter)과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너트.2. The blind nut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in wall port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oot diameter of the inner screw of the hollow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벽부의 상기 축방향 길이가, 상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축방향 길이보다, 상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내측 나사의 일 피치(pitch)만큼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너트.The said axial length of the said thin-wall part is one pitch of the inner side screw of the hollow part screwed in the said inner side more than the axial length extended from the edge part of the hollow part which the threaded part was formed in the said inner side. Blind nut, characterized in that lo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박벽부가, 내측 나사가 없는 상기 내부표면으로부터 상기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부의 내측 나사 영역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는 내경을 가지는 테이퍼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너트.4. The blind nut of claim 3, wherein the thin wall portion includes a tapered region having an inn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ner surface without the inner screw toward the inner screw region of the hollow portion with the screw form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관형부의 외부표면에는 상기 중공 관형부의 원주를 따라서 상호 정렬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골 홈(knurled groov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너트. The blind nut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tubular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knurled grooves extending longitudinally alig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llow tubular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과 접촉하게 될 상기 플랜지의 표면에는 상기 작업물의 표면 안으로 물려들어갈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너트.6. The blind nut of claim 5, wherein a surface of the flange which is to be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to be drawn into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관형부의 외부표면이 육각형 또는 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너트.The blind nut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tubular portion is formed in a hexagonal or quadrangular cross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관형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너트.The blind nut of claim 1, wherein the hollow tubular portion has a sli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이 굽은 측면을 가진 파이프 모양 부재이고, 상기 굽은 측면과 접촉하게 될 상기 플랜지의 표면이 상기 작업물의 상기 측면의 곡률과 일치하는 굽은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너트.2. A work piece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piece is a pipe-shaped member having a bent side, wherein the surface of the flange which is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bent side is formed with a bent face that matches the curvature of the side of the workpiece. Blind Nuts.
KR1020047016243A 2002-04-11 2003-04-10 Blind nut KR10099473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08871 2002-04-11
JP2002108871A JP4115734B2 (en) 2002-04-11 2002-04-11 Blind nut
PCT/US2003/011254 WO2003086694A2 (en) 2002-04-11 2003-04-10 Blind n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156A KR20050006156A (en) 2005-01-15
KR100994731B1 true KR100994731B1 (en) 2010-11-17

Family

ID=29243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243A KR100994731B1 (en) 2002-04-11 2003-04-10 Blind nut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94829A4 (en)
JP (1) JP4115734B2 (en)
KR (1) KR100994731B1 (en)
CN (1) CN100360816C (en)
WO (1) WO2003086694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6819B1 (en) * 2007-05-23 2009-10-26 Hn3D Holding Aps Mounting element / mounting element for use in joining joints.
KR101162340B1 (en) * 2009-02-17 2012-07-04 주식회사 도하인더스트리 A nut and its fabricating method
BE1018963A5 (en) * 2009-10-07 2011-12-06 Arfilco LINK CONNECTION ELEMENT, METHOD FOR LINKING THE LINK CONNECTION ELEMENT, COMPOSITION OF THE LINK CONNECTION ELEMENT AND A WALL MAD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AND MAL.
AU2015287923B2 (en) * 2014-07-07 2020-01-30 Physical Systems, Inc. Hollow metalscrew and method of making
JP6785560B2 (en) 2015-02-13 2020-11-18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Samsung Display Co.,Ltd. Fastening member and method of fixing it to an object
EP3287648A4 (en) * 2015-04-21 2018-12-26 Newfrey LLC Blind nut and mounting structure for same
KR102301181B1 (en) 2021-01-26 2021-09-10 삼우엠씨피 주식회사 Pop nu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2251U (en) * 1980-09-30 1982-05-21
JPS58186208U (en) * 1982-06-04 1983-12-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blind nut
JPH11270535A (en) * 1998-03-23 1999-10-05 Pop Rivet Fastener Kk Fastening too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0525A (en) * 1971-05-03 1973-08-07 Textron Inc Collapsible threaded insert device
US3789728A (en) * 1972-07-25 1974-02-05 Goodrich Co B F Blind fastener
US5294223A (en) * 1992-12-23 1994-03-15 Penn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rp. Self-clinching fastener for electrical components
US6004087A (en) * 1995-08-18 1999-12-21 Profil-Verbindungstechnik Gmbh & Co. Kg Self-attaching fastener
ATE205920T1 (en) * 1997-06-07 2001-10-15 Emhart Inc BLIND NUT WITH THREA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2251U (en) * 1980-09-30 1982-05-21
JPS58186208U (en) * 1982-06-04 1983-12-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blind nut
JPH11270535A (en) * 1998-03-23 1999-10-05 Pop Rivet Fastener Kk Fasten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94829A2 (en) 2005-01-12
KR20050006156A (en) 2005-01-15
CN100360816C (en) 2008-01-09
CN1646816A (en) 2005-07-27
WO2003086694A2 (en) 2003-10-23
WO2003086694A3 (en) 2004-10-07
JP4115734B2 (en) 2008-07-09
JP2003301828A (en) 2003-10-24
EP1494829A4 (en)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95078A1 (en) Blind nut
US4263833A (en) Removable one-piece drive rivet
AU770215B2 (en) Insert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US5051048A (en) Blind fastener
FI79391C (en) GAENGAT FAESTELEMENT OCH FOERFARANDE FOER MONTERING DET.
EP0945631A2 (en) Securing element
JP2011231932A (en) Fasten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0994731B1 (en) Blind nut
JP2667790B2 (en) Blind fastener, method for manufacturing blind fastener, and process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lind fastener
JP2017025962A (en) Fastener, fastening structure and fastening method
KR20170077770A (en) Fastener and fastening mechanism
US5472303A (en) Blind rivet-type clamping fastener
JP2008274992A (en) Bolt with anti-loosening mechanism
JP7139183B2 (en) blind bolt
JP2004011876A (en) Blind nut
JP4657271B2 (en) Tightening structure and building member connection structure
JP2008275096A (en) Male thread part, driver and method for removing male thread part
JP2013249850A (en) Blind rivet and method of fastening the same
KR200388166Y1 (en) Screw for preventing loosening
JP2003239925A (en) Bolt assembly
JP4621117B2 (en) Fasten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astening structure
US20150047164A1 (en) Tool for Installing Swage-Type Hardware
JP2000084756A (en) Fastened member and dismantling method of the same
JP2001047159A (en) Spring plunger for die of press and wrench for plunger
EP0707156A1 (en) Fasten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