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449B1 -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449B1
KR100994449B1 KR1020080028406A KR20080028406A KR100994449B1 KR 100994449 B1 KR100994449 B1 KR 100994449B1 KR 1020080028406 A KR1020080028406 A KR 1020080028406A KR 20080028406 A KR20080028406 A KR 20080028406A KR 100994449 B1 KR100994449 B1 KR 10099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uct
guide member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062A (ko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080028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449B1/ko
Priority to CN2008101858955A priority patent/CN101545712B/zh
Publication of KR2009010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에 유입되는 공기를 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공기를 수거통의 상부 및 저면으로 고르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음식, 처리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bucket assembly for Garbage dryer}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에 유입되는 공기를 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음식쓰레기 건조기로서, 일본인에 의해 발명 및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75711호(98.11.11 등록)이다.
이러한 종래 음식쓰레기 건조기(10) 역시 음식쓰레기의 건조처리에 대한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지만, 음식쓰레기 수용상자(110)로 불어 들어오는 열풍이 음식쓰레기 수용상자(110)에 대해 곧바로(직풍) 불어 들어옴으로써, 실제 음식쓰레기
건조기(10)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송풍기(120)를 향해 불어올라가는 통로가 좁은 등 음식쓰레기 수용상자(110)내부에서의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음식쓰레기의 건조효율이 나쁘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812944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 건조 바구니 내부에 지지틀이 배치되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2에는 건조 바구니 저면에 근접하도록 지지틀이 배치되고 지지틀 상부에 음식물이 적층되어 상부에서 공급되는 온풍이 적층된 음식물로 인해 지지틀 하부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건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기를 수거통의 상부 및 저면으로 고르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는,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에 유입되는 공기를 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기를 수거통의 상부 및 저면으로 고르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수거통의 측벽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거통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수거통의 측벽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부로 향할수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절곡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부에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수거통에 유입되는 공기를 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공기를 수거통의 상부 및 저면으로 고르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으며, 음식물이 고르게 건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수거통의 측벽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부(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제2돌출부'라 함)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쉽게 상기 수거통에 탈착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수거통과 가이드부재의 세척이 용이해지고 사용자 편의성도 증대된다.
상기 돌출부는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홈 사이에 기밀성이 커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거통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수거통의 측벽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부로 향할수록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수거통에 삽입하기는 용이해지며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수거통의 결합이 견고해지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기밀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절곡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어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수거통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지될 수 있게 되어 공기가 저면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부에 돌기(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제1돌기'라 함)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가 수거통 내부에 배치되는 망부재의 회동축 역할을 하는 동시에 망부재가 상기 수거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상기 망부재의 하부에서 공급되더라도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망부재와 음식물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처리기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내부케이스 및 전방도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수거통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도 3의 내부케이스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3의 덕트 및 모터 및 송풍팬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3의 탈취어셈블리 분리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3의 덕트 저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3의 체크밸브 분리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처리기 덕트 설치상태 배 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2의 음식처리기 저면도이고, 도 15는 도 2의 음식처리기 배면도이며, 도 16은 도 2의 음식처리기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3의 외부케이스 전면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3의 외부케이스 배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3의 외부케이스 평면 사시도이며, 도 20은 도 2에서 외부케이스를 제외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식물처리기는, 처리공간(134)이 형성된 케이스(100), 상기 처리공간(134) 내부에 배치되는 수거통(230),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덕트(300), 상기 처리공간(134) 내부의 공기를 이송시키는 송풍팬(500), 상기 처리공간(134) 내부의 공기를 탈취시켜 내보내는 탈취어셈블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100)는 처리공간(134)이 형성된 내부케이스(130)와 내부케이스(130)를 감싸는 외부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내부케이스(130)는 전면(131)과, 전면(131)의 후방 양측에 배치되는 측면(132)과, 측면(132) 상부에 배치되는 상면(133)과, 측면(132) 및 상면(133)의 후방에 배치되는 배면과, 측면(132) 및 상기 배면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처리공간(134)은 양쪽 측면(132) 및 상면(133) 및 상기 배면을 통해 형성되어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전면(131)에는 처리공간(134) 둘레로 실링부재(S)가 설치되며, 처리공간(134) 상부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슬릿(131b)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131b)에는 전면(131)의 배면에 도어스위치브라켓(1010)을 통해 설치되는 도어 스위치(1020)가 배치된다. 또한, 전면(131)에는 처리공간(134) 측부에 배치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된다.
측면(132) 또는 전면(131) 또는 상기 바닥면에는 제2체결돌출부(131a)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다수개 형성된다. 제2체결돌출부(131a)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면(133) 전방측에는 제2관통공(135)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제2관통공(135) 둘레로 실링부재(S)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면(133) 후방측에는 제3관통공(136)이 형성되며, 제3관통공(136) 양측에 배치되도록 제4관통공(137)과 제5관통공(138)이 형성된다. 제5관통공(138)에는 처리공간(134)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정보를 감지하여 히터(900)를 제어하여 처리공간(134)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130)의 상기 배면의 외측면에는 탈취어셈블리(700)를 지지하는 돌출부(139)가 하부 양측에 형성된다. 나아가, 돌출부(139)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며, 돌출부(139) 양측과 상기 배면을 연결하는 리브가 형성되어 돌출부(139)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39)에는 절개공이나 관통공이 형성되어 탈취어셈블리(700)와 볼팅체결될 수도 있게 되어 돌출부(139)가 브라켓역할을 동시에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부케이스(130)에 돌출부(139)가 형성되어 탈취어셈블리(7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며 돌출부(139)에 탈취어셈블리(700)를 고정시킬 수도 있게 되어(브라켓역할) 탈취어셈블리(700)의 조립도 용이해진다.
나아가, 내부케이스(130)에는 처리공간(134)을 개폐하는 전방도어(110)가 전면(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도어(110)는 최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넬(111)과 전면판넬(111)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판넬(113)과 전면판넬(111)과 배면판넬(113) 사이에 배치되고 손이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손잡이부(11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전방도어(110)가 형성되어 전방도어(110)를 통해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판넬(113)에는 내부케이스(130)의 실링부재(S)를 누르는 도어돌출부(116)가 형성되어 전방도어(110)를 닫았을 때 도어돌출부(116)가 실링부재(S)를 누르게 되어 실링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배면판넬(113)에는 슬릿(131b)에 삽입되는 도어스위치누름부(114)가 반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걸림홈에 걸리는 도어후크(11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넬(111)의 배면 상부에는 전원스위치어셈블리(140)가 설치된다. 전원스위치어셈블리(140)는 스위치판넬(141)과 스위치판넬(141) 하부에 배치되는 스위치누름부(142)와 스위치누름부(142) 하부에 배치되는 스위치(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케이스(120)는 상면과 측면과 배면과 바닥면을 포함하여,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외부케이스(120)의 상면에는 스위치누름부(142) 및 스위치판넬(141)이 관통 되는 절개홈(126)이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20)의 바닥면에는 흡입관통공(123)이 다수개 형성되며, 다리(12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외부케이스(120)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리(122)가 구비되어 외부케이스(120)의 바닥면으로도 흡입관통공(123)을 통해 공기가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20)의 내벽에는 제2체결돌출부(131a)와 체결되는 제1체결돌출부(12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체결돌출부(127)가 구비되어, 내부케이스(130)는 외부케이스(120)의 내벽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내부케이스(130)와 외부케이스(120) 사이에 공기층이 배치됨으로써 단열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외부케이스(1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20)의 후방에는 탈취어셈블리(700)가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홈(125)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수용홈(125)을 개폐하는 도어(121)가 외부케이스(120)에 설치된다. 도어(121)는 전후단면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케이스(120)의 상부 및 후방을 덮으며, 하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외부케이스(120)에 설치되며, 도어(121)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배기구가 형성된다. 또한, 도어(121)는 상부의 하단에 걸림후크가 하향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후크가 걸리는 후크걸림턱(129)이 외부케이스(120)에 형성되어 도어(121)의 탈착이 용이해진다. 이에 더해, 도어(121)와 외부케이스(120)에는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도어(121)를 쉽게 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홈(125)과 도어(121)가 구비되어, 탈취어셈블리(700)가 외관상 가려지게 되어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으며, 탈취어셈블리(700)가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121)의 형상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탈취어셈블리(700)의 탈취제(710)를 상하방향으로 케이스(100)로부터 탈착시키기도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20)의 후방에는 탈취어셈블리(700)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128)이 수용홈(125)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관통공(128)으로 인해 케이스(100)가 탈취어셈블리(700)를 이중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20)의 후방에는 수용홈(125)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몰부(124)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함몰부(124)로 인해 외부케이스(120)의 내측에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탈취어셈블리(700)가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수거통 어셈블리(200)는 처리공간(134) 내부에 배치되는 수거통(230)과, 수거통(230)에 유입되는 공기를 수거통(230)의 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0)와, 수거통(230) 내부에 배치되는 망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거통(230)은 측벽 및 저면이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전방에 손삽입부(231)가 상하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수거통(230)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면(232)이 형성된다.
가이드부재(210)와 수거통(230)의 측벽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제2돌출부(233)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2돌출부(233)가 삽입되는 홈(21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돌출부(233)는 수거통(230)의 측벽에 형성되며, 홈(212)은 가이드부재(210)에 형성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2돌출부(233)가 가이드부재(210)에 형성되고, 홈(212)이 수거통(230)의 측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수거통(230) 측벽의 후방측 내벽에 제2돌출부(233)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돌출부(233)는 끝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홈(212)에 삽입되는 절곡부(2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234)로 인해 절곡부(234)와 수거통(230)의 측벽 내벽 사이에는 이격공간(235)이 형성된다.
가이드부재(210)는 수거통(230)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판넬로 구비되며, 양측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내측에 홈(21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가이드부재(210)의 수평단면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재(210)에서 절곡부(234)와 수거통(230)의 측벽 사이인 이격공간(235)에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부로 향할수록 두껍게 형성되어, 가이드부재(210)를 하부로 삽입할수록 가이드부재(210)와 수거통(230) 측벽 사이의 공간이 점점 좁아져서, 가이드부재(210)를 수거통(230)에 처음 삽입할 때에는 쉽게 삽입되며 삽입이 완료되면 쉽게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가이드부재(210)를 삽입하는 것은 용이하고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쉽게 빠지지 않은 이점이 있다.
나아가, 가이드부재(210)에는 절곡부(234)가 걸리는 걸림턱(213)이 홈(212) 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213)으로 인해 가이드부재(210)의 위치(높이)가 고정되게 되어 가이드부재(210)가 수거통(23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유지될 수 있게 되어 공기가 저면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10)는 하부의 중심부에 제1돌기(215)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210)가 수거통(230) 내부에 배치되는 망부재(220)의 회동축 역할을 하는 동시에 망부재(220)가 수거통(2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망부재(220)의 하부에서 공급되더라도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망부재(220)와 음식물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210) 상단에는 외측으로 손잡이(211)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부재(210)를 누르거나 빼내기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거통 어셈블리(200)는 가이드부재(210)를 구비하여, 수거통(230)의 상부와 수거통(230)의 하부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어 공기를 수거통(230)의 상부 및 저면으로 고르게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음식물이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망부재(220)는 제6관통공(221)이 다수개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굴곡부(224)가 형성된다.
굴곡부(224)에도 제6관통공(221)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굴곡부(224)는 위로 볼록하게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망부재(220) 전방에는 절개부(223)가 돌출면(232)의 내벽과 마주보는 대향면(222)이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대향면(222)이 돌출면(232)으로부터 이격되어 사용자가 망부재(220)를 들어올릴 경우 사용자의 손이나 공구가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망부재(220)의 후방측에는 가이드부재(210) 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돌기(215)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225)이 형성된다. 또한, 제1삽입공(225)은 관통형성되어 걸림돌기(226)가 망부재(220)에 형성되게 된다. 걸림돌기(226)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망부재(220) 후단에는 제1삽입공(225)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제2돌출부(233)가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망부재(220)에는 아래로 볼록하도록 돌기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가 구비되어 망부재(220)는 수거통(2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수거통 어셈블리(200)는 수거통(230) 내부에 망부재(220)를 삽입한 후, 가이드부재(210)의 홈(212)에 절곡부(234)를 삽입시키고 가이드부재(210)를 하부로 눌러 제1삽입공(225)에 제1돌기(215)가 삽입되도록 하여 조립을 한다.
이와 같이 망부재(220)가 구비되어 음식물과 공기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는 동시에 음식물의 상부 및 하부와 중심부까지도 공기가 공급되어 음식물의 건조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굴곡부(224)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수거통(230)에 삽입될 수 있는 음식물의 양은 늘리는 동시에 음식물의 건조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망부재(220)의 제1삽입공(225)으로 인해, 수거통(230)에 별도의 회동축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수거통(230)의 성형이 용이해지며 수거통(230)과 가이드부재(210)와 망부재(220)의 결합이 한번에 이루어질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덕트(300)는 상부덕트(310)와, 상부덕트(310)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덕트(330)와 상부덕트(310)와 하부덕트(330)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판(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내부케이스(130)에 설치되며, 덕트(300) 하부에는 내부케이스(130)의 제3관통공(136)을 관통하는 토출관(336)과 배기관(335)이 형성되며, 내부케이스(130)의 제2관통공(135)을 관통하는 흡입그릴(337)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덕트(310)는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상부덕트(310)의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제7관통공(316)과 제1체결공(315)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제2고정공(314)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체결공(315)과 제2고정공(314)는 덕트(300)의 상부덕트(310)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체결공(315)과 제2고정공(314)이 형성되어, 모터(400) 및 지지판(600)이 덕트(300)로부터 이격되어 열 및 진동이 덕트(300)에 전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모터(400)의 열도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부덕트(310)의 측벽 하부에는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돌기(313)가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부덕트(310) 측면 하부에는 두개의 체결돌기(313)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3돌출부(311)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제3돌출 부(311)에는 끼움공(312)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상부덕트(310) 측벽의 하단에는 끼움홈이 온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하부덕트(330)는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하면과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토출관(336)과 배기관(335)과 흡입그릴(337)은 하부덕트(330)의 하면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토출관(336)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과 내부케이스(130) 사이에 실링부재(S)가 배치되도록 한다. 배기관(335)은 토출관(336)보다 하부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토출관(336) 내부에는 일체로 형성되는 제2분할판(338)이 설치되어, 토출관(336)은 제1토출구(339a)와 제2토출구(339b)로 나누어지며, 수거통(230) 내부에 고르게 공기를 분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부덕트(330)의 하면에는 히터(900)가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이 흡입그릴(337)과 토출관(336)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하부덕트(330)의 측벽 상부에는 상부덕트(310)의 체결돌기(313)와 체결되는 체결돌기(332)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덕트(330)의 측벽 외측면에는 끼움공(312)에 끼워지는 후크(33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부덕트(330)의 측벽 상단에는 상부덕트(310)의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단차부(334)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분리판(320)은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부덕트(310)에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분리상판(323)과, 분리상판(323)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분리측판(321)과, 분리상판(323) 및 분리측판(321)의 하부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분할판(322)을 포함하 여 이루어진다.
분리상판(323)은 제1분할판(322)보다 길게 형성되어, 조립시 분리상판(323) 하부에는 히터(90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분리상판(323)이 형성되어 히터(9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모두 입구(324) 및 하부덕트(330)와 제1분할판(322) 사이로 유입되어 토출관(336)으로 토출된다.
조립시 제1분할판(322)은 제2분할판(338)의 상부에 배치되어 입구(324)로 유입된 공기를 제1토출구(339a)로 가이드한다.
또한, 분리측판(321)과 제1분할판(322) 사이에는 중간판이 설치되어 분리판(320)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덕트(300)가 구비되어, 부품 수가 줄어들어 조립공정이 단순해지며 제조비용도 감소하게 되고, 후크(331)와 제3돌출부(311)로 인해 상부덕트(310)와 하부덕트(33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3돌출부(311)가 하부덕트(330)를 지지하여 상부덕트(310)와 하부덕트(330)가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송풍팬(500)은 흡입그릴(337) 상부에 배치되도록 덕트(300) 내부에 설치되어 처리공간(134)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관(336)과 배기관(335)으로 이송시킨다.
모터(400)는 소형으로 구비되며, 상부덕트(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축(420)에 송풍팬(500)이 연결되어 송풍팬(500)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냉강팬(410)을 회전시킨다.
덕트(300)와 모터(400) 사이에는 지지판(600)이 배치된다. 지지판(60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모터(400)의 축(420)이 관통하는 제8관통공(630)이 형성되고, 제8관통공(630)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부덕트(310)의 제1체결공(315)에 연통되도록 제2체결공(62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각 모서리에 근접하고 제2체결공(62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부덕트(310)의 제2고정공(314)에 연통되도록 제1고정공(610)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모터(400)에는 지지판(600)의 제2체결공(620)에 연통되도록 제3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판(600)이 구비되어 모터(4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덕트(3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터(400)에서 발생하는 열이 덕트(300)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덕트(3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모터(400) 및 송풍팬(500) 및 상부덕트(310)는, 상부덕트(310)의 상면의 내벽에 분리판(320)을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모터(400)와 지지판(600)과 상부덕트(310)와 송풍팬(500)을 순차적으로 배치시킨 후 상부덕트(310)의 내부에서 제1체결공(315) 및 제2체결공(620) 및 모터(400)의 제3체결공에 볼트를 체결하고, 상부덕트(310)의 외부에서 제1고정공(610) 및 제2고정공(314)에 볼트를 체결하여 조립한다. 이러한 상부덕트(310)와 하부덕트(330)는, 하부덕트(330)에 히터(900)를 설치한 후, 상부덕트(310)의 끼움홈에 하부덕트(330)의 단차부(334)를 끼워넣는 동시에 후크(331)를 끼움공(312)에 끼워넣고 상부덕트(310) 및 하부덕트(330)의 체결 돌기(313, 332)에 볼팅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이 모터(400) 및 송풍팬(500) 및 상부덕트(310)는 조립되어, 모터(400)와 덕트(300)와 지지판(600)을 한번에 체결할 수 있으며, 덕트(300)의 내부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게 되어 모터(400)가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600)과 덕트(300)가 이중으로 결합되어 지지판(600)과 덕트(300)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체크밸브(800)는 유입구(837)와 유출구가 형성되며 관형상으로 구비된 본체부(830)와 본체부(830)에 설치되는 덮개부(810)와 본체부(83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경사지게 배치되는 유로개폐부재(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부(830)는 내부케이스(130)의 제4관통공(137)을 관통하여 내부케이스(130)의 처리공간(134)에 배치되는 삽입부(833)와 삽입부(833)의 상부에 배치되어 내부케이스(130)의 외부에 배치되는 노출부(831)를 포함한다.
노출부(831)의 외경은 삽입부(833)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본체부(830)를 내부케이스(130)에 설치시 노출부(831)가 걸림턱 역할을 한다. 또한, 노출부(831)의 상부는 절곡되어 절곡부가 형성되고, 본체부(830)의 절곡부의 하부에 유입구(83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입구(837)에 유로개폐부재(82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체크밸브(800)의 형상이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노출부(831)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제2삽입홈(836)이 형성되고, 제2삽입홈(836)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1삽입홈(835)가 형성되고, 노출부(831) 상부 양측에는 체결부(834)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노출부(831) 하부 양측에는 고정부(832) 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체결부(834)와 고정부(832)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체크밸브(800)의 유출구는 삽입부(833)의 하부에 형성된다.
덮개부(810)는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양측에 체결부(8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하부에 제2삽입홈(836)에 삽입되는 단차부(811)가 온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유로개폐부재(820)는 사각의 판형상으로 구비되며, 상단 양측에 제1삽입홈(835)에 삽입되는 힌지부(821)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개폐부재(820)는 힌지부(821)가 제1삽입홈(835)에 삽입되어 걸쳐진 상태로 조립되어 유로개폐부재(820)는 회동가능해진다.
이러한 체크밸브(800)는 제1삽입홈(835)에 유로개폐부재(820)의 힌지부(821)를 삽입한 후 제2삽입홈(836)에 단차부(811)를 삽입하고 덮개부(810)와 본체부(830)의 체결부(812, 834)에 볼팅하여 조립된다.
또한, 체크밸브(800)는 삽입부(833)에 실링부재(S)를 끼운 후 내부케이스(130)의 제4관통공(137)에 삽입하여 고정부(832)와 내부케이스(130)에 볼팅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800)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체크밸브(800)는 처리공간(134)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술한 체크밸브(800)는 음식물처리기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면 유입구(837)를 닫고 있던 유로개폐부재(820)가 회동되어, 흡입관통공(123)로 흡입된 외부공기가 유입구(837)를 통해 처리공간(134)으로 유입된다. 이로써, 처리공간(134)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처리기 내부에 부압이 발생 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로개폐부재(820)가 자중에 의해 본체부(830)의 내벽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체크밸브(800) 내부에서 유출구에서 유입구(837)로 공기흐름이 형성될 경우에는 유로개폐부재(820)가 본체부(830)의 내벽에 지지되어 회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음식물처리기 내부의 공기가 탈취어셈블리(700)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800)는 구성이 단순하여 성형이 용이하고 덕트(300)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고장시 체크밸브(800)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교체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탈취어셈블리(700)는 탈취제(710)와 탈취제(710)와 덕트(300)를 연결하는 탈취덕트(740)를 포함하여, 처리공간(134) 내부의 공기를 탈취시켜 내보낸다.
탈취제(710)는 원통형상의 탈취통 내부에 활성탄과 같은 탈취물질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탈취통은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통부와 토출그릴부(714)가 형성된 통부를 개폐하는 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캡부는 상기 통부에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캡부가 구비되어 상기 탈취통 내부에 배치되는 탈취물질을 교체하여 재사용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통부 외주면에는 제2돌기(712)가 다수개 형성되며, 제4돌출부(713)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돌기(712)가 형성되어 상기 탈취통이 굴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4돌출부(713)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탈취통을 용이하게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부의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산(711)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산(711)이 형성된 부분은 상부보다 외경이 작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통부에서 나사산(711)의 상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온 둘레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다수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탈취덕트(740)는 탈취상부덕트(720)와 탈취상부덕트(7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탈취하부덕트(730)를 포함한다.
탈취상부덕트(720)는 전방에 배치되어 덕트(300)의 배기관(335)가 직결되는 제1관부(721)와, 제1관부(72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관부(724)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제2관부(724)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부(723)를 포함한다.
제1관부(721) 및 제2관부(724) 및 지지부(723)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관부(724) 내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2관부(724)와 탈취제(710)는 나사결합된다.
제1관부(721)의 내측벽의 하부에는 유로가이드(722)가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탈취하부덕트(730)는 제2관부(724)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731)와, 연결부(731)의 전방 및 하부측에 배치되어 제1관부(721)에 연결되는 곡관부(732)를 포함한다.
곡관부(732) 내벽에는 유로가이드(722)가 삽입되는 체결홈(미도시)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로가이드(722)를 탈취상부덕트(720)에 형성하여 탈취하부덕트(730)를 사출성형하기에 용이해진다.
전술한 탈취어셈블리(700)는 탈취상부덕트(720)의 유로가이드(722)가 탈취하 부덕트(730)의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탈취상부덕트(720)를 탈취하부덕트(730)의 상부에 배치시켜 결합시키고, 제2관부(724)와 탈취제(710) 사이에 실링부재(S)를 배치시킨 후 탈취제(710)를 제2관부(724)에 나사결합시켜서 조립된다.
이러한 탈취어셈블리(7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관(335) 하단에 제1관부(721)이 체결되고 내부케이스(130)의 돌출부(139)에 의해 지지되어 내부케이스(130)의 배면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탈취어셈블리(700)의 탈취제(710)는 외부케이스(120)의 제1관통공(128)을 관통하여 수용홈(125) 내부에 배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수거통 어셈블리(200)의 수거통(230)에 망부재(220)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케이스(100)의 처리공간(134)에 삽입한 후 전방도어(110)를 회동시켜 도어후크(115)가 전면(131)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스위치누름부(142)를 누르게 되면, 모터(400)에 의해 송풍팬(500)이 회전되고 처리공간(134) 내부의 공기는 흡입그릴(337)을 통해 흡입되어 분리상판(323)을 통해 분리된 유로로 이송되며, 그중 상부의 유로(분리상판(323)과 상부덕트(310) 사이)로 이송되는 공기는 배기관(335)로 배출되어 탈취어셈블리(700)로 이송되고, 그중 하부의 유로(분리상판(323)과 하부덕트(330) 사이)로 이송되는 공기는 히터(900)를 통해 가열된 후 토출관(336)으로 이송된다.
배기관(335)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탈취어셈블리(700)의 제1관부(721)로 유입되어 곡관부(732)를 통과한 후 연결부(731)로 유입되어 제2관부(724)로 이송되어 양측으로 분할된 후 제2관부(724)의 각각에 설치된 탈취제(710)를 통과하여 토출그 릴부(714)로 배출된다.
토출관(336)으로 배출되는 가열된 공기는 제1분할판(322) 및 제2분할판(338)에 의해 분할되어 수거통(230)의 상부 및 가이드부재(210)와 수거통(230)의 측벽 사이의 유로로 공급된다. 수거통(230) 상부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는 수거통(230)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의 상부를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게 된다. 가이드부재(210)와 수거통(230)의 측벽 사이의 유로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는 가이드부재(210)와 수거통(230) 측벽을 따라 수거통(230) 저면으로 가이드되며 망부재(220)와 수거통(230) 저면 사이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망부재(220)와 수거통(230) 저면 사이로 유입된 가열된 공기는, 망부재(220)의 평탄한 부분에 형성된 제6관통공(22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하부를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게 되고, 망부재(220)의 굴곡부(224)에 형성된 제6관통공(221)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가이드되어 음식물 쓰리기의 중심부를 가열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단시간에 고르게 건조시킨다.
한편, 이와 같이 처리공간(134) 내부의 공기가 탈취어셈블리(700)를 통과하여 밖으로 배출됨으로써, 처리공간(134)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면 체크밸브(800)의 유로개폐부재(820)가 회동되어 외부의 공기가 처리공간(134) 내부로 유입된다. 처리공간(134) 내부에 부압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는 유로개폐부재(820)가 유입구(837)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처리공간(134)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바로 토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을 처리하는 중에 사용자가 장치를 중단시키고자 할 경우에 는 스위치누름부(142)를 눌러서 중단시키거나, 전방도어(110)를 열게 되면 도어스위치(1020)를 누르고 있던 도어스위치누름부(114)가 도어스위치(1020)를 누르지 않게 되어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탈취어셈블리(700)의 탈취물질을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장치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도어(121)를 후방측으로 회동시켜 열고, 탈취제(710)를 회전시켜 탈취제(710)와 탈취상부덕트(720)를 분리한 후, 탈취제(710)의 캡부를 회전시켜 통부와 캡부를 분리하여 탈취물질을 교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재를 건조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쓰레기 건조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처리기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내부케이스 및 전방도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수거통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3의 내부케이스 평면도.
도 9는 도 3의 덕트 및 모터 및 송풍팬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3의 탈취어셈블리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3의 덕트 저면 사시도.
도 12는 도 3의 체크밸브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처리기 덕트 설치상태 배면 사시도.
도 14는 도 2의 음식처리기 저면도.
도 15는 도 2의 음식처리기 배면도.
도 16은 도 2의 음식처리기 평면도.
도 17은 도 3의 외부케이스 전면 사시도.
도 18은 도 3의 외부케이스 배면 사시도.
도 19는 도 3의 외부케이스 평면 사시도.
도 20은 도 2에서 외부케이스를 제외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전방도어 111 : 전면판넬
112 : 손잡이부 113 : 배면판넬
114 : 도어스위치누름부 115 : 도어후크
116 : 도어돌출부 120 : 외부케이스
121 : 도어 122 : 다리
123 : 흡입관통공 124 : 함몰부
125 : 수용홈 126 : 절개홈
127 : 제1체결돌출부 128 : 제1관통공
129 : 후크걸림턱 130 : 내부케이스
131 : 전면 132 : 측면
133 : 상면 134 : 처리공간
135 : 제2관통공 136 : 제3관통공
137 : 제4관통공 138 : 제5관통공
139 : 제1돌출부 131a : 제2체결돌출부
200 : 수거통 어셈블리 210 : 가이드부재
211 : 손잡이 213 : 걸림턱
214 : 측면 215 : 제1돌기
220 : 망부재 221 : 제6관통공
222 : 대향면 223 : 절개부
224 : 굴곡부 225 : 제1삽입공
226 : 걸림돌기 227 : 제2삽입공
228 : 하부돌출부 230 : 수거통
231 : 손삽입부 232 : 돌출면
233 : 제2돌출부 234 : 절곡부
235 : 이격공간 300 : 덕트
310 : 상부덕트 311 : 제3돌출부
312 : 끼움공 313 : 체결돌기
314 : 제2고정공 315 : 제1체결공
316 : 제7관통공 320 : 분리판
321 : 분리측판 322 : 제1분할판
323 : 분리상판 324 : 입구
330 : 하부덕트 331 : 후크
332 : 체결돌기 333 : 고정돌기
334 : 단차부 335 : 배기관
336 : 토출관 337 : 흡입그릴
338 : 제2분할판 339a : 제1토출구
339b : 제2토출구 400 : 모터
410 : 냉각팬 420 : 축
500 : 송풍팬 600 : 지지판
610 : 제1고정공 620 : 제2체결공
630 : 제8관통공 700 : 탈취어셈블리
710 : 탈취제 711 : 나사산
712 : 제2돌기 713 : 제4돌출부
714 : 토출그릴부 720 : 탈취상부덕트
721 : 제1관부 722 : 유로가이드
723 : 지지부 724 : 제2관부
730 : 탈취하부덕트 731 : 연결부
732 : 곡관부 740 : 탈취덕트
800 : 체크밸브 810 : 덮개부
811 : 단차부 812 : 체결부
820 : 유로개폐부재 821 : 힌지부
830 : 본체부 831 : 노출부
832 : 고정부 833 : 삽입부
834 : 체결부 835 : 제1삽입홈
836 : 제2삽입홈 900 : 히터
1010 : 도어스위치브라켓 1020 : 도어스위치

Claims (6)

  1. 삭제
  2. 측벽 및 저면이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거통(230);
    상기 수거통(230)에 유입되는 공기를 수거통(230)의 저면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10);
    상기 수거통(230) 내부에 배치되는 망부재(220)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210)와 수거통(230)의 측벽 중 하나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부(233)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돌출부(233)가 삽입되는 홈(212)이 상하방향
    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10)에 의해 상기 공기가 상기 망부재(220)의 하부에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끝단이 절곡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수거통의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홈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수거통의 측벽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부로 향할수록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용 수거통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절곡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용 수거통 어셈블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부에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
KR1020080028406A 2008-03-27 2008-03-27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 KR10099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406A KR100994449B1 (ko) 2008-03-27 2008-03-27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
CN2008101858955A CN101545712B (zh) 2008-03-27 2008-12-17 食物处理机用垃圾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406A KR100994449B1 (ko) 2008-03-27 2008-03-27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062A KR20090103062A (ko) 2009-10-01
KR100994449B1 true KR100994449B1 (ko) 2010-11-18

Family

ID=4119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406A KR100994449B1 (ko) 2008-03-27 2008-03-27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94449B1 (ko)
CN (1) CN1015457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67141A (zh) * 2017-08-01 2017-11-21 安徽华众焊业有限公司 一种电焊条药粉烘箱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036B1 (ko) 2005-06-22 2005-09-21 송택윤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683A (ja) * 1994-08-05 1996-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処理機
KR100240229B1 (ko) * 1997-12-24 2000-01-15 김영기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JP3982271B2 (ja) * 2002-01-29 2007-09-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生ごみ処理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036B1 (ko) 2005-06-22 2005-09-21 송택윤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062A (ko) 2009-10-01
CN101545712A (zh) 2009-09-30
CN101545712B (zh)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6860B2 (en) Washing machine and dryer
RU2448209C2 (ru) Безопасная машина для сушки одежды с большой вместимостью
CN108477984B (zh) 蒸汽烹饪装置
US8176755B2 (en) Heating part and laundry tre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990519A1 (en) Laundry dryer
CN207444812U (zh) 一种带有排风罩的蒸汽烤箱
RU2397691C1 (ru) Насадк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очистки
KR101010577B1 (ko) 음식물처리기용 케이스
KR100994449B1 (ko)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 어셈블리
KR100994450B1 (ko) 음식물처리기 수거통용 망부재 및 음식물처리기용 수거통어셈블리
KR101010576B1 (ko) 음식물처리기용 덕트 설치구조
KR20090103064A (ko) 음식물처리기용 송풍팬 장착구조
CN105996949B (zh) 洗碗机及洗碗机的控制方法
WO2023098131A1 (zh) 衣物处理装置及控制方法
CN111424392A (zh) 一种壁挂式洗衣机
CN214180357U (zh) 一种洗碗机的新型烘干机构
CN217772277U (zh) 洗碗机
CN215128245U (zh) 一种烘鞋机
KR100599040B1 (ko) 의류건조기
CN220675959U (zh) 一种烘鞋机
CN116657387A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其熔敷冷凝器
KR2023008162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2023008162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