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127B1 -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 Google Patents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127B1
KR100993127B1 KR1020070064266A KR20070064266A KR100993127B1 KR 100993127 B1 KR100993127 B1 KR 100993127B1 KR 1020070064266 A KR1020070064266 A KR 1020070064266A KR 20070064266 A KR20070064266 A KR 20070064266A KR 100993127 B1 KR100993127 B1 KR 10099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battery
medium
refrigerant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2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0302A (en
Inventor
하진웅
양희국
윤종문
강달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6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127B1/en
Publication of KR20090000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3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1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대형 전지팩으로서, 수직으로 냉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전지모듈들을 측면방향으로 상호 접하도록 배열한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배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최외각 전지모듈을 각각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들; 상기 측면 지지부재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팩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지모듈의 냉각을 위한 냉매는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쪽에 위치한 냉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 전지모듈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냉매 유입구 방향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하단쪽에 위치한 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70064266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um-large battery pack, comprising: a battery modul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in which a coolant flow path is vertically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lateral direction; A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surrounding each of the outermost battery modules in the battery module assembly to maintain the arrangement;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coupling the side support members to each other; A base plate on which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mounted; And a pack housing mounted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nd the refrigerant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is introduced through a refrigerant inlet located at an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nd proceeds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While passing through each battery module vertically, and provides a medium-large battery pack consisting of a structure that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 loc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 the refrigerant inlet direction.

Figure R1020070064266

Description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의 투시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medium-larg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팩 하우징을 제외한 구조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excluding a pack housing in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of FIG. 1;

도 3은 도 2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Y형 측면 보강부재가 장착된 부위를 확대한 모식도이다;3 is an enlarged schematic view of a portion where the Y-type side reinforcement member is mounted in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of FIG. 2;

도 4는 도 3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우측 부위를 확대한 부분 모식도이다;4 is an enlarged partial schematic view of a right portion of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유입구에 인접한 부위에 비드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를 가진 중대형 전지팩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dium-large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bead is not formed near a refrigerant inlet 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비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를 가진 중대형 전지팩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dium-large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epth of the beads sequentially decreases toward the refrigerant inle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중대형 전지팩의 냉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 직으로 냉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배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재와 연결부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팩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지모듈의 냉각을 위한 냉매는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쪽에 위치한 냉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 전지모듈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냉매 유입구 방향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하단쪽에 위치한 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중대형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ling system for a medium-large battery pack, and more particularly, a battery module assembly in which a coolant flow path is vertically formed, a side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on member mounted 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to maintain the arrangement state; And a base plate on which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mounted, and the pack housing. The refrigerant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is introduced through a refrigerant inlet located at an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nd proceeds 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While passing through each battery module vertically, and relates to a medium-large battery pack tha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 the refrigerant inlet direction.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recent years,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Secondary batteries are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EV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which are proposed as a way to solve air pollution in conventional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that use fossil fuels. .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One or two or four battery cells are used for small mobile devices, whereas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s,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used in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due to the necessity of high output capacity.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잇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Since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weight, the rectangular battery, the pouch-type battery, etc., which can be charged with high integration and have a small weight to capacity, are mainly used as battery cells of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 particular, a pouch-type battery using an aluminum laminate sheet or the like as an exterior member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due to its advantages such as low weight,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y deformation.

중대형 전지모듈이 소정의 장치 내지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 및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직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하고 외력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In order for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to provide the output and capacity required in a predetermined device or devic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and be able to maintain a stable structure against external force.

또한,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출력 대용량 이차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키는 바,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한 단위전지의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면, 열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단위전지의 열화를 촉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 또는 폭발의 위험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인 차량용 전지팩에는 그것에 내장되어 있는 전지셀들을 냉각시키는 냉각 시스템이 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is composed of a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such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secondary battery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dur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If this is not effectively removed, thermal buildup occurs and consequently accelerates the deterioration of the unit cell, and in some cases there is a risk of fire or explosion. Therefore, a vehicle battery pack that is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battery requires a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battery cells embedded therein.

이와 관련하여, 일부 선행기술은 냉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의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등록특허 제3355958호에는 차량 등의 한정된 공간에 다수의 전지셀들을 적층한 구조의 중대형 전지모듈에서, 냉매가 1 군의 적층 전지군을 통과하여 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다른 군의 적층 전지군을 연속하여 통과하는 경우에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매용 유로를 형성하는 돌기를 전지셀의 외면에 형성하고, 냉매가 전지군들 사이로 유입된 후 적층된 전지군을 통과하면서 전지셀들을 냉각시키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에서, 전지셀은 니켈-수소 이차전지 등과 같은 알칼리 전지로서, 그 자체로 높은 기계적 강성을 가지도록 외형을 형성해야 하므로, 다수의 전지셀들을 중첩한 상태에서 양면에 플레이트를 맞대고 이를 밴드로 고정하여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In this regard, some prior art proposes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having a structure for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For example, Japanese Patent No. 3355958 describes a medium / large battery modu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in a limited space such as a vehicle. In order to prevent the cooling efficiency from being lowered when passing through the stacked battery groups continuously, protrusions forming the coolant flow path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nd the stacked battery groups are introduced after the coolant flows between the battery groups. It proposes a structure for cooling the battery cells while passing through. In addition, in the above patent, the battery cell is an alkaline battery such as a nickel-hydrogen secondary battery and the like, so that the outer shape must be formed to have a high mechanical rigidity in itself, so that the plates are placed on both side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overlapped. The band is fixed in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따라서, 냉각 효율성을 일부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높은 기계적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외형 구성으로 인해 부피 및 중량이 매우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but due to the external configuration to give a high mechanical rigid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and weight are greatly increased.

또한, 다수의 전지셀들로 구성된 중대형 전지팩에서, 일부 전지셀의 성능 저하는 전체 전지팩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성능 불균일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는 전지셀 간의 냉각 불균일성에 의한 것이므로, 냉매의 유동시 냉각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In addition, in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composed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degradation of the performance of some battery cells will result in degrad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battery pack. Since one of the main causes of such performance nonuniformity is due to cooling nonuniformity between battery cells, a structure capable of securing cooling uniformity during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required.

따라서, 전지팩 내부에서는 냉매의 유로 구조에 따라서 냉각의 효율성이 크게 차이가 나므로, 보다 콤팩트하며 안정적인 구조와 함께 냉매를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함으로써 냉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대형 전지팩에 관한 기술의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Therefore, since the efficiency of cooling varies greatly according to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in the battery pack, a technology for a medium-large battery pack that can improve cooling efficiency by preventing the refrigerant from escaping with a more compact and stable structure is disclosed. There is a high ne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과정이 간소하고, 콤팩트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전지셀들 사이의 유로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전지셀의 충방전시에 발생한 열을 균일한 냉매의 유동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냉각 효율성이 높은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assembling process, to have a compact and stable structure, to uniformize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battery cells, and to uniform the heat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cells. It is to provide a medium-large battery pack with high cooling efficiency that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the flow of a refrigeran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은, 수직으로 냉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전지모듈들을 측면방향으로 상호 접하도록 배열한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배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최외각 전지모듈을 각각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들; 상기 측면 지지부재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팩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지모듈의 냉각을 위한 냉매는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쪽에 위치한 냉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 전지모듈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냉매 유입구 방향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하단쪽에 위치한 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Medium and large battery pa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in which the coolant flow path is formed vertically; A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surrounding each of the outermost battery modules in the battery module assembly to maintain the arrangement;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coupling the side support members to each other; A base plate on which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mounted; And a pack housing mounted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wherein the refrigerant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is introduced through a refrigerant inlet located at an upper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nd proceeds 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While passing through each battery module vertically, it is made of a structure that is discharged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 the refrigerant inlet direc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은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전지모듈 다수 개가 적층되어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이루고 있고, 이러한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탑재하고, 양 측면을 측면 지지부재들로 감싸며, 측면 지지부재들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 및 전지모듈 외면을 감싸는 팩 하우징에 의해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전체적으로 조립 과정이 간소하며, 콤팩트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진다.That is, in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re stack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battery module assembly.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mounted on a base plate, and both sides are surrounded by side support members. Since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fixed by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side support members and a pack housing surrounding the battery module outer surface,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e and has a compact and stable structure as a whole.

이러한 구조의 중대형 전지팩에 장착되는 전지모듈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지셀들을 높은 밀집도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며, 충방전시에 발생한 열을 제 거할 수 있도록 인접한 전지셀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적층한다. 예를 들어, 전지셀 자체를 별도의 부재 없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기계적 강성이 낮은 전지셀의 경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카트리지 등에 내장하고 이러한 카트리지들을 다수 개 적층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적층된 전지셀들 또는 전지모듈들 사이에는 축적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냉매의 유로가 전지셀들 또는 전지모듈들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A battery module mounted in a medium-large battery pack having such a structure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with high density, and stacking adjacent battery cells at regular intervals to remove heat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do. For example, the battery cells themselves may be sequentially stacked without a separate memb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or in the case of battery cells having low mechanical rigidity, one or more combinations may be embedded in a cartridge or the like, and a plurality of such cartridges may be stacked. The battery module can be configured. A coolant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s or the battery modules so as to effectively remove heat accumulated between the stacked battery cells or the battery modules.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상단을 가압하는 1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은 냉매의 유동을 전지모듈의 상단쪽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팩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is composed of a pair of frames for pressing the upper front and rear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respectively, the frame is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 housing to induce the flow of refrigerant toward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module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즉,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 지지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1 쌍의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상단을 각각 가압함과 동시에 팩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으로 유입된 냉매를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각각의 전지모듈을 수직 하향으로 관통한 뒤 냉매가 유입된 방향의 팩 하우징 하단으로 배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the connection member consisting of a pair of frame structure for mutually coupling the side support member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pressing the upper front and rear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may be guided through the respective battery modules vertically downward and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pack housing in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이러한 구조의 연결부재는 측면 지지부재들을 상호 간에 연결하여 결합시키는 역할과, 냉매가 전지모듈의 측면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전지모듈의 수직 하부 방향으로 냉매의 흐름을 유도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더욱이, 한 개의 부재가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전지팩을 제조하는 데 소요되는 부품 수와 전지팩의 제조 공정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중대형 전지팩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of the structure serves to connect the side support members to each other to couple, and to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escaping to the side of the battery module and to guid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n the vertical lower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Furthermore, since one member performs two roles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and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of the battery pack can be reduced, thereby ultimately greatl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

상기에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면과 후면은 냉매 유입구와 냉매 배출구를 측면으로 하여 설정된 위치이다. 따라서, 그러한 위치는 설정 기준에 따라서는 좌측과 우측의 위치로 변경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전지모듈들이 연속적으로 접하면서 배열되어 있는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작용을 하는 위치를 의미한다.The front and rear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a position set with the refrigerant inlet and the refrigerant outlet as the side. Therefore, such a position may be changed to a posi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ccording to a setting criterion, and means a position acting to fix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re arranged while being in continuous contact.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매 유입구 및 냉매 배출구는 전지셀들의 충방전에 따른 열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유동 공간으로서, 팩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형성된 유동 공간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olant inlet port and the coolant outlet port are flow spaces through which coolant can be introduced and discharged to effectively cool the generation of heat due to charging and discharging of battery cells, and means a flow space form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pack housing, respectively. .

상기에서는, 냉매 유입구가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에 위치하고 냉매 배출구가 냉매 유입구의 방향으로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하단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지만, 그와 반대 구조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구조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refrigerant inlet is defined as being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one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nd the refrigerant outlet is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 th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inlet, the structure opposite to that of course, this structure 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category of.

한편, 냉매 유입구의 단면적이 냉매 배출구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으면 유량이 유입구 근처의 전지모듈 사이의 유로에 많이 유입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유입구로부터 먼 쪽의 전지모듈들 사이의 유로에는 유량이 많이 감소하여 전지모듈들 간의 균일한 냉각이 어렵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olant inle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olant outlet, the flow rate tends to flow into the flow path between the battery modules near the inlet, and the flow rate decreases much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battery modules far from the inlet. Uniform cooling between the battery modules become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은 냉매 배출구의 수직 단면적보다 작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는 종래의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이 냉매 배출구의 수직 단면적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와 비교하여, 전지셀들 사이의 유로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전지셀의 충방전시에 발생한 열을 균일한 냉매의 유동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냉각 효율성이 높아지고 전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s another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frigerant inlet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frigerant outlet. This structure can make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flowing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battery cells uniform,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nt inlet port is larger than or equal to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frigerant outlet port, Since the generated heat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the flow of the uniform refrigerant,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can be greatly improv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은 냉매 배출구의 수직 단면적을 기준으로 30 내지 90%의 크기를 가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냉매의 유동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너무 큰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냉매 유량의 전지모듈간 균일한 분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Preferably,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frigerant inlet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f 30 to 90% based o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frigerant outlet. If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refrigerant inlet is too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ergy consumption for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too large, on the contrary, if it is too large, uniform distribution between the battery modules of the refrigerant flow rate as described above may be difficult, which is not preferable. .

상기 팩 하우징은 전지모듈의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전지모듈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냉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매는 전지모듈들의 상면과 팩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긴 냉매 유동 공간을 흐르면서 각각의 전지모듈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냉매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The pack housing has a structure in whic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is relatively longer than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Therefore,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refrigerant inlet is formed between the top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s and the pack hous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long refrigerant flow space vertically through each battery module has a structure that is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outlet.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팩 하우징의 상단 내면에는 뒤틀림, 진동 등과 같은 외력에 대해 우수한 내구성 또는 구조적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폭 대비 길이가 큰 요철 형상의 다수의 비드들이 팩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some cases, the upper surface of the pack housing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eads having a large width-to-width concave-convex shape are formed in the pack housing to exhibit excellent durability or structural st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s such as distortion and vibration. Can be.

이러한 비드들은 팩 하우징의 내측으로 만입된 구조로 이루어진 만입형 비 드, 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형 비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Such beads may be formed in an indented bead having a structure indented into the pack housing, or a protruding bead structure protruding outward.

이 경우, 상기 만입형 비드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비드의 만입 높이는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그것의 깊이가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dented bea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depth of indentation of the bead decreases in the direction of the coolant inlet so as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coolant flow in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즉, 냉매의 유동이 비드로부터 받는 영향은 냉매 유입구 부근에서 가장 크므로, 냉매 유입구 부근의 비드의 깊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냉매 유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순차적으로 비드의 깊이를 증가시키는 구조를 사용한다. 따라서, 냉매 유입구 쪽의 비드의 깊이를 낮게 형성시키는 구조를 사용하여 비드가 냉매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influence of the flow of the refrigerant from the bead is the biggest near the refrigerant inlet, the depth of the beads near the refrigerant inlet is relatively small, and as the distance from the refrigerant inlet increases, the depth of the beads is sequentially increased. . Therefore, the effect of the beads on the flow of the refrigerant can be minimized by us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epth of the beads on the refrigerant inlet side is made low.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돌출형 비드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비드의 돌출 높이는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그것의 높이가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한 효과는 상기 만입형 비드의 경우와 대략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another example, the protruding bea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bead reduces its height toward the refrigerant inlet so as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refrigerant flow in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The effect of this structure is approximately similar to that of the indented bea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러한 구조들은, 팩 하우징의 구조적 안정성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전지모듈들 사이의 유량 분배 균일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냉매 유입구쪽 비드의 깊이 또는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고, 냉매 유입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순차적으로 비드의 깊이 또는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소정의 깊이 또는 높이까지 순차적으로 증가시킨 후 다음 특정 비드부터 원래의 비드 깊이 또는 높이를 유지하는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 경우, 깊이 또는 높이가 변하는 비드의 개수는 비드 깊이 조정에 따른 팩 하우징의 구조적 강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결 정할 수 있다.These structures,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flow distribution uniformity between the battery modules while minimiz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ack housing, reduce the depth or height of the bead toward the refrigerant inlet, and sequential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refrigerant inlet. It includes all of the structures that increase the depth or height of the beads, or sequentially increase to a predetermined depth or height, and then maintain the original bead depth or height from the next specific bead. In this case, the number of beads varying in depth or heigh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decrease in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pack housing according to the bead depth adjustment.

냉매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비드 구조와 관련한 또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냉매 유입구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드들은 전지모듈의 폭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 유입구에 인접한 부위에는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조일 수 있다.As another preferred example of the bead structur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refrigerant, the bead is not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frigerant inlet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refrigerant flow in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Can be done. Specifically, the beads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no beads are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refrigerant inlet.

즉, 냉매의 유동이 비드로부터 받는 영향은 냉매 유입구 부근에서 가장 크므로, 냉매 유입구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곳에서부터 비드를 형성하면, 비드가 냉매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influence of the flow of the refrigerant from the bead is the largest in the vicinity of the refrigerant inlet, if the beads are formed from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frigerant inle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beads on the flow of the refrigerant.

상기 냉매 배출구에는 냉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전지모듈을 관통한 후 신속하고 원활하게 냉매 배출구로 이동하여 전지팩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흡입 팬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흡입 팬에 의해 발생한 냉매의 유동 구동력에 의해, 좁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냉매는 빠른 유속으로 유입구에서 멀리 떨어진 전지모듈까지 충분히 도달하여, 냉매의 유량이 동일한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균일한 유량 분배 효과를 발휘한다. Preferably, the suction fan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fan so that the coolant introduced from the coolant inlet passes through the battery module and quickly and smoothly moves to the coolant outle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pack. In this structure, due to the flow driving force of the refrigerant generated by the suction fan, the refrigerant introduced through the narrow inlet sufficiently reaches the battery module far from the inlet at a high flow rate,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s relatively uniform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distribution effect is exerted.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양측 하단부만을 지지하도록 굴곡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과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하면 사이에 냉매 유로가 형성되고, 전지모듈들을 수직으로 관통한 냉매는 상기 냉매 유로를 따라 냉매 배출구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The base plate may have a curved structure to support only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Therefore, a coolant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t has a structure that is discharged to the refrigerant discharge port along the refrigerant passag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전지모듈"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충방전 전지셀들을 기계적으로 체결하고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출력 대용량의 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전지 시스템의 구조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므로, 그 자체로서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거나, 또는 대형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소형 전지모듈을 다수 개 연결한 대형 전지모듈의 구성도 가능하다.As used herein, the term "battery module" refers to a structure of a battery system capable of mechanically fastening two or more charge / discharge battery cell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m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electricity. This includes all of the cases in which one device or a part of a large device is configured.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a large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small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따라서, 상기 전지모듈은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판상형 전지셀들 또는 상기 판상형 전지셀 다수를 내장하고 있는 단위모듈들이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판상형'은 폭 대비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직육면체 형상을 의미한다.Accordingly, the battery modul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haped battery cell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or unit modules containing a plurality of the plate-shaped battery cells are mounted in a module case. It mean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relatively long length.

상기 전지셀은 이차전지로서, 대표적으로 니켈 수소 이차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가 높고 방전 전압이 큰 리튬 이차전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충방전 단위셀로서 형상 면에서는 각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가 바람직하며, 제조비용이 낮고 중량이 적은 파우치형 전지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battery cell is, as a secondary battery, a nickel hydride secondary batter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the like, and the like. Among them,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high energy density and a high discharge voltage is particularly preferable. As the charge / discharge unit cell constituting the battery module, a rectangular battery and a pouch-type battery are preferable in terms of shape, and a pouch-type battery having a low manufacturing cost and a low weight is more preferable.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은 고출력 대용량의 달성을 위해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함으로써, 충방전시 발생하는 고열이 안전성 측면에서 심각하게 대두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전원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적용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dium-larg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order to achieve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and thus is particularly preferably used for power sources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in which high heat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s seriously raised in terms of safety. However,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의 투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팩 하우징을 제외한 구조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um-larg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excluding a pack housing of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of FIG. 1.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중대형 전지팩(100)은 다수의 단위모듈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전지모듈(110), 전지모듈들(110)이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20),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130), 연결부재(140), 및 팩 하우징(170)으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100 includes a battery module 110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modules are mounted, a base plate 120 on which the battery modules 110 are mounted, and a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130. ), The connecting member 140, and the pack housing 170.

전지모듈들(110)은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적층되며, 그것의 상면에는 냉매가 전지모듈(110)을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는 다수의 관통구들(116)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 지지부재(130)는 최외각 전지모듈들(112, 114)의 외면과 밀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결합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측면 지지부재(130)는 별도의 판상형 구조체가 아닌 중대형 전지팩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자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는 하나의 측면 지지부재 만이 판상형 구조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battery modules 110 are stacked vertically on the base plate 12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6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o allow the refrigerant to penetrate the battery module 110 vertically. The side support member 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of the outermost battery modules 112 and 114 and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20. In some cases, the side support member 130 may be a component itself constituting a medium-large battery pack, rather than a separate plate-shaped structure. For example, in the drawings only one side support member is shown to be a plate-like structure.

측면 지지부재(130)는 그것의 단부에서 돌출된 하단 연장부(135)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탑재부(122)상에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되어 있는 장방형의 체결용 홈(도시하지 않음)과 측면 지지부재(130)의 하단 연장부(135)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체결용 홈(136)을 이용하여 암나사/수나사식 체결구조로 결합한다.The side support member 130 is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135 protruding from th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portion 122 of the base plate 120, and the rectangular fastening is formed on the base plate 120 Using a circular fastening groove 136 formed in the groove (not shown) and the lower extension 135 of the side support member 130, it is coupled to the female screw / male screw fastening structure.

전지모듈들(110)의 적층체 상면에는 한 쌍의 연결부재(140)가 전지모듈 적층체, 즉,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상단 양측 모서리를 가압하면서 측면 지지부재(130)의 양측 상단부와 각각 결합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ck of battery modules 110,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140 are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side support member 130 while pressing the upper edges of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stack, that is, the battery module assembly. have.

이러한 연결부재(140)는, 구체적으로, 각각 전지모듈(110)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상단을 가압하는 1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프레임은 냉매의 유동을 전지모듈(110)의 상단쪽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팩 하우징(170)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어서, 전지모듈들(110)을 냉각시키는 냉매가 전지모듈(110) 어셈블리의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차단한다.The connection member 140, in particular, consists of a pair of frames for pressing the top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battery module 110 assembly, respectively. The fram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 housing 170 so as to guide the flow of the coolant toward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module 110, the refrigerant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s 110 is the side of the battery module 110 assembly Block it from exiting.

냉매는 전지모듈(110) 어셈블리의 전면 일측 상단(A)으로 유입된 후 전지모듈(110) 어셈블리의 길이 방향(L)으로 이동하면서 각 전지모듈을 수직 하향으로 관통한 뒤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면 일측 하단(B)으로 배출된다.Refrigerant flows into the upper side (A) of the front side of the battery module 110 assembly, and then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f the battery module 110 assembly to penetrate each battery module vertically downward and then to the front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t is discharged to the bottom (B).

팩 하우징(170)이 전지모듈들(110)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팩 하우징(170)의 연장부(도시하지 않음)를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연장부(125)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팩 하우징(170)에는 외력에 대해 우수한 내구성 또는 구조적 안정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폭 대비 길이가 큰 요철 형상의 다수의 비드들(172)이 형성되어 있다.An extension (not shown) of the pack housing 170 is mounted to the extension 125 of the base plate 120 so that the pack housing 170 may surround the outer surfaces of the battery modules 110. In addition, the pack housing 170 has a plurality of beads 172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with a large width to length to form excellent durability or structural st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

도 3에는 도 2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Y형 측면 보강부재가 장착된 부위를 확대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우측 부위를 확대한 부분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Y-shaped side reinforc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of FIG. 2, and FIG. 4 is a partial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nlarged right portion of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팩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에 밀착되는 연결부재(140) 는, 측면 지지부재들(130)을 상호간 연결함과 동시에 냉매를 전지모듈(110)들의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이는 냉매를 전지모듈들 (110)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관통구들(116)의 수직 하향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냉각 효율성을 향상시킨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onnection member 140 in close contact with the pack housing (not shown), while connecting the side support members 130 and mutually prevent the refrigerant from escaping to the side of the battery module 110 This improves the cooling efficiency by inducing the refrigerant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s 116 located between the battery modules 110.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유입구에 인접한 부위에 비드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를 가진 중대형 전지팩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dium-large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bead is not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a refrigerant inl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냉매 유입구(174)로 유입된 냉매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각각의 전지모듈들(110) 사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전지모듈들(110)을 냉각시킨 후 냉매 배출구(176)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팩 하우징(170A)에는 냉매 유입구(174)에 인접한 부위(S)를 제외하고 만입형 비드들(172)이 냉매 유입구(174)로부터 유체의 진행 방향으로 냉매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폭 대비 길이가 큰 요철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refrigerant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nt inlet 174 penetrates vertically between the respective battery modules 110 as shown by the arrow direction to cool the battery modules 110 and then to the refrigerant outlet 176.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is discharged. In the pack housing 170A, except for the portion S adjacent to the refrigerant inlet 174, the indented beads 172 do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n the direction of fluid flow from the refrigerant inlet 174. It is formed in the structure of a big uneven | corrugated shape of long length.

냉매 유입구(174)의 수직 단면적(a)은 냉매 배출구(176)의 수직 단면적(b)과 비교하여 대략 70%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냉매 유입구(174) 부위의 냉매 유속이 냉매 배출구(176) 부위의 냉매 유속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되어, 냉매 유입구(174)로부터 먼 거리에 위치한 전지모듈(110R)까지 냉매를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Since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a) of the coolant inlet 174 has a size of about 70% compared to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b) of the coolant outlet 176, the coolant flow rate at the coolant inlet 174 is the coolant outlet 176. Relatively higher than the refrigerant flow rate of the site,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refrigerant evenly to the battery module (110R)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refrigerant inlet 174.

또한, 냉매 유입구(174)에 인접한 부위(S)를 제외한 팩 하우징(170A)의 부위에 만입형 비드들(172)이 형성되어 있어서 냉매 유입구(174)보다 먼 거리에 위치한 전지셀들(110R)까지 냉매를 보다 효율적으로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즉, 냉매 유입구(174)와 전지모듈(110, 110N, 110R) 간의 거리차에 따른 유량차의 차이를 더욱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ented beads 172 are formed in the portion of the pack housing 170A except for the portion S adjacent to the refrigerant inlet 174, so that the battery cells 110R are located farther than the refrigerant inlet 174. The refrigerant can be more evenly distributed evenly. That is, the difference in flow rat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refrigerant inlet 174 and the battery modules 110, 110N, and 110R may be further reduced.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비드의 깊이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구조를 가진 중대형 전지팩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dium-large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epth of the beads is sequentially re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inle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팩 하우징(170B)는 전지셀 적층방향(L)에 대응하는 길이가 전지셀 폭 방향(W)에 대응하는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만입형 비드들(172)은 전지셀의 폭 방향(W)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냉매 유입구(174)에 인접한 부위에서 비드들(172)의 요철 깊이는 냉매 유입구(174)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줄어드는 구조(h1<h2<h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비드(172) 구조로 인해 냉매 유량 분배의 균일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length of the pack housing 170B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cell stacking direction L 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cell width direction W, and the indented beads 172 include the battery cell. It is formed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W) of the, the concave and convex depth of the beads 172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refrigerant inlet 174 sequentially re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inlet (174) (h 1 <h 2 <h 3 ) This bead 172 structure can further increase the uniformity of the refrigerant flow rate distribution.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은 전체적으로 조립 과정이 간소하고, 콤팩트하고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전지모듈어셈블리의 양 측면을 한 쌍의 연결부재가 가압하고 있으므로, 냉매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효율적인 냉각 시스템을 제공하므로 전지의 제조 공정성 및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dium-larg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assembly process, a compact and stable structure, and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pressurize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so that the refrigerant is leaked to the outside. Outgoing can be prevented, which provides an efficient cooling system and can greatly improve the manufacturing processability and safety of the battery.

Claims (15)

수직으로 냉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전지모듈들을 측면방향으로 상호 접하도록 배열한 전지모듈 어셈블리; 상기 배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지모듈 어셈블리에서 최외각 전지모듈을 각각 감싸고 있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재들; 상기 측면 지지부재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가 탑재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팩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지모듈의 냉각을 위한 냉매는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일측 상단쪽에 위치한 냉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전지모듈의 배열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 전지모듈을 수직으로 관통한 후, 냉매 유입구 방향의 전지모듈 어셈블리 하단쪽에 위치한 냉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A battery modul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in which a coolant flow path is formed vertically ar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lateral direction; A pair of side support members surrounding each of the outermost battery modules in the battery module assembly to maintain the arrangement; At least one connection member coupling the side support members to each other; A base plate on which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s mounted; And a pack housing mounted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wherein the refrigerant for cooling the battery module is introduced through a refrigerant inlet located at an upper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nd proceeds in an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While passing through each battery module vertically,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in the refrigerant inle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각각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전면 및 후면 상단을 가압하는 1 쌍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은 냉매의 유동을 전지모듈의 상단쪽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팩 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composed of a pair of frames for pressing the top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respectively, the frame is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 housing to induce the flow of refrigerant toward the top of the battery module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ose conta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은 냉매 배출구의수직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The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of claim 1, wherein a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olant inlet is smaller than a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olant outl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입구의 수직 단면적은 냉매 배출구의 수직 단면적을 기준으로 3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The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of claim 3, wherei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olant inlet is 30 to 90% based on the vertic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olant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팩 하우징은 전지모듈 배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가 전지모듈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The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of claim 1, wherein the pack housing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a battery module arrangement direction longer than a length corresponding to a width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팩 하우징의 상단 내면에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The medium-large battery pack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beads ar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pack housing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만입형 비드 또는 돌출형 비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The medium-larg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eads consist of indented beads or protruding bead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형 비드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비드의 만입 높이는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그것의 깊이 또는 높이가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The indentation bead of claim 7, wherein the indentation height of the bead has a structure in which its depth or height decreases toward the refrigerant inlet so as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refrigerant flow in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비드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비드의 돌출 높이는 냉매 유입구 방향으로 그것의 깊이 또는 높이가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truding bead,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bead has a structure that is reduced in depth or height thereof toward the refrigerant inlet so as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refrigerant flow in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 어셈블리 내부로의 냉매 유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냉매 유입구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비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The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no bead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frigerant inlet so as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refrigerant flow into the battery modul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배출구에는 냉매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전지모듈을 관통한 후 배출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흡입 팬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The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rigerant outlet has a suction fan mounted to allow the refrigerant introduced from the refrigerant inlet to pass through the battery module to the outl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양측 하단부만을 지지하도록 굴곡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전지모듈 어셈블리 사이에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The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of claim 1, wherein the base plate has a curved structure to support only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and a coolant flow path is form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battery module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은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판상형 전지셀들 또는 상기 판상형 전지셀 다수를 내장하고 있는 단위모듈들이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The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of claim 1, wherein the battery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haped battery cell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or unit modules containing a plurality of the plate-shaped battery cells are mounted in a module cas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The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battery cell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The medium and large battery pack of claim 13, wherein the battery pack is used as a power source for an electric vehicle or a hybrid electric vehicle.
KR1020070064266A 2007-06-28 2007-06-28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KR1009931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266A KR100993127B1 (en) 2007-06-28 2007-06-28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266A KR100993127B1 (en) 2007-06-28 2007-06-28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302A KR20090000302A (en) 2009-01-07
KR100993127B1 true KR100993127B1 (en) 2010-11-09

Family

ID=4048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266A KR100993127B1 (en) 2007-06-28 2007-06-28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12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3114B2 (en) 2012-12-04 2019-01-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icity storag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4299A (en) * 2009-11-11 2012-05-30 科达汽车公司 Battery thermal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101201742B1 (en) 2010-11-05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Battery module
KR101219226B1 (en) 2010-11-23 2013-01-0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Battery Pack
KR101898292B1 (en) * 2012-04-25 2018-09-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Pack Assembly
KR101964354B1 (en) * 2012-08-10 2019-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mobile
WO2016068551A1 (en) 2014-10-29 2016-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Unit battery pack
KR102044426B1 (en) * 2015-12-04 2019-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Indirect Cooling System Capable of Equally Cooling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082385B1 (en) * 2015-12-08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Cooling Member for Battery Module Comprising Member for Providing Coolant Flow Channels
KR20210087815A (en) *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coupling structure and automobile includ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2338A (en) 2002-06-17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and holding frame of battery
JP2005011787A (en) 2000-03-31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luid cooling battery pack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1787A (en) 2000-03-31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luid cooling battery pack system
JP2004022338A (en) 2002-06-17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tery pack and holding frame of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93114B2 (en) 2012-12-04 2019-01-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icity storag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302A (en)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127B1 (en)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of Excellent Cooling Efficiency
KR100942985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in Coolant Flux
KR100938626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in Coolant Flux
KR101029838B1 (en) Middle and Large-Sized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Cooling Efficiency
KR100951324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of Coolant Flux
KR100981878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of Coolant Flux
KR101143279B1 (en) Battery Pack Having Novel Cooling Structure
KR101833526B1 (en) Battery Module Having Water-Cooled Type Cooling Structure
KR101218751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of Improved Cooling Efficiency
KR101084972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in Coolant Flux
KR101020587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in Coolant Flux
KR101475737B1 (en) Battery Pack of Novel Air Cooling Structure
KR101803958B1 (en) A Battery Pack Case Having Efficient Cooling Structure
KR101615941B1 (en)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on of Coolant and Venting Gas Mixing
EP2642585A2 (en) Battery pack having superior cooling efficiency
KR101609232B1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Cartridge Having Coolant Flow Channel
KR101535795B1 (en) Battery Pack of Air Cooling Structure
KR20130122057A (en) Battery pack cooling system
KR101233060B1 (en) Battery Pack of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