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640B1 -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a detergent in an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a detergent in an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640B1
KR100992640B1 KR1020080088971A KR20080088971A KR100992640B1 KR 100992640 B1 KR100992640 B1 KR 100992640B1 KR 1020080088971 A KR1020080088971 A KR 1020080088971A KR 20080088971 A KR20080088971 A KR 20080088971A KR 100992640 B1 KR100992640 B1 KR 100992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washing machine
sensing device
sensor housing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0167A (en
Inventor
이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8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640B1/en
Priority to CNA2008101869748A priority patent/CN101418508A/en
Publication of KR2010003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1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06F2103/22Content of detergent or addit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기 터브와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실링 부재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실링 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전극의 단부가 세탁조 내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of a washing machine, the sealing member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shing machine tub; And a sensor housing coupled to the sealing member to be detachable and supporting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aling memb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실링 부재와 센서 하우징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점검 및 교체 시에 실링 부재와 세탁기 사이의 기밀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sealing member and the sensor housing to be detachable, not only to facilitate the mounting but also to easily work without damaging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washing machine during inspection and replacement. I can do it.

세탁기, 세제량 감지, 전극 센서, 실링 Washing machine, detergent level detection, electrode sensor, sealing

Description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A DETERGENT IN AN WASHING MACHINE}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A DETERGENT IN A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시에 사용되는 세탁수 내에 용존하는 세제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of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nsing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detergent dissolved in the wash water used during washing.

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최상의 세척력을 얻기 위해서는 투입된 세탁물의 종류, 중량 및 오염 정도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세탁수의 양, 세탁수의 온도 및 세제량 등의 세척력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인자들을 적절하게 조절하여야 한다.In the automatic washing machine, in order to obtain the best washing power,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type, weight and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and adjust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washing power such as the amount of washing water, the temperature of washing water and the amount of detergent accordingly. do.

여기서, 세탁물의 양은 세탁기의 드럼 내부에 담기는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하는 포량 감지센서에 의해, 세탁수의 양은 수위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이 가능하며, 세탁수의 온도 또한 다양한 형태의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Here, the amount of laundry can be measured by the quantity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aundry contained in the drum of the washing machin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can be measured by the water level sensor,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water is also used in various types of temperature sensor Can be measured relatively accurately.

그러나, 세제량 감지장치의 경우 세탁수 속에 존재하는 세제의 량을 직접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물론,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겠지만, 이는 세탁기의 단가의 상승을 야기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it is not easy to directly and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detergent present in the wash water. Of course, if expensive equipment is used, accurate measurements will be possible, but this is undesirable because it causes an increase in the cost of the washing machine.

따라서, 종래부터 세제량을 정확히 감지하면서도 저렴하게 제조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세제량 감지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세제량 감지장치의 일 예로서 광센서를 사용한 세제량 감지장치가 있다. 상기 광센서를 사용한 세제량 감지장치는 빛을 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의 양을 감지하는 수광센서를 사용하여, 수광센서로부터 받아들인 빛의 양에 따라서 세탁수의 불투명도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세제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해내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광센서를 사용한 세제량 감지장치는 센서 보호를 위해서 표면을 수지재로 코팅하여야 하므로 세탁수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못해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세탁수의 불투명도가 세제의 양외에 다른 인자, 예를 들면 세탁물의 오염 정도에 따라서도 불투명도가 달라질 수 있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various types of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s that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while accurately detecting the amount of detergent have been proposed. As an example of the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there is a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using an optical sensor. Detergent amount detection device using the optical sensor uses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by measuring the opacity of the wash wat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ing sensor It is an apparatus which indirectly measures the amount of detergent from this. However, since the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using the optical sensor has to coat the surface with a resin material to protect the sensor, it is difficult to make accurate measurement because it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sh water, and the opacity of the wash water is different from the amount of the detergent. For example, the opacity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형태로서, 전극 센서를 이용한 세제량 감지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전극 센서는 세탁수 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며, 세제의 용해량에 따라 달라지는 세탁수의 전기 전도도를 통해서 세탁수의 경도를 파악하여 세제량을 측정한다. 아울러, 상기 전극 센서는 세탁수와 직접 접촉하므로 측정의 정확도가 높고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하게 생산이 가능하므로, 광센서를 이용한 감지장치에 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a form of improving these disadvantages, a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using an electrode sensor has been disclosed. The electrode sensor includes a pair of electrodes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wash water, and measures the amount of detergent by grasping the hardness of the wash water through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wash water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detergent dissolved.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senso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wash water, the measurement accuracy is high and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the electrode sensor can be produced inexpensively, and thus, the electrode sensor is widely used in comparison with a sensor using an optical sensor.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극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eneral electrode sensor.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 센서는 세탁기의 터브(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12) 및 상기 센서 하우징(12) 내부에 나란히 설치되는 제1 및 제2 전 극(14, 16)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4, 16)으로부터 측정된 전도도를 세탁기 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의 마이컴(미도시)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 하우징(12)의 외측에는 원주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홈(20)이 형성되어 상기 터브(1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 하우징(12)은 세탁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터브(10)에 밀착되도록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de sensors may include a sensor housing 12 installed below the tub 10 of the washing machine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4 and 16 installed side by side in the sensor housing 12. And a cable 18 for transmitting the conductivity measured from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4 and 16 to the microcomputer (not shown) side of the controller installed inside the washing machine. 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sensor housing 12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20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hape is inserted and fixed to penetrate the tub 10. Here, the sensor housing 12 is fix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ub 10 to prevent leakage of the wash water.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극 센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14, 16) 사이에서 측정된 전도도 값이 상기 마이콤에서 경도값으로 환산되어 세탁작용시 소요되는 세제량, 세탁시간 및 세탁코스가 세탁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the electrode sensor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conductivity value measur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4 and 16 is converted into a hardness value in the micom, so that the amount of detergent, washing time and washing course required for washing operation are washed. It is to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그러나, 상기 전극 센서는 누수를 방지하게 위해서 상기 터브에 밀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통상적으로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되는데, 이는 장착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장착과정에서 센서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생산 과정 또는 실사용 중에 전극 센서를 탈착하여 점검하거나 교체하는 과정에서도 센서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고, 경우에 따라서는 센서가 장착되는 터브의 변형을 야기하기도 한다.However, the electrode sensor should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ub to prevent leakage. To this end, it is usually mounted in an interference fit method, which not only makes the mounting difficult, but also may damage the sensor during the mounting process. In addition, the sensor is likely to be broken even in the process of removing or inspecting or replacing the electrode sensor during production or in actual use, and in some cases, may cause deformation of the tub on which the sensor is moun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전극 센서에 비해서 실링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장착이 용이한 세제량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without reducing the seal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lectrode sensor.

또한, 탈장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장기간의 사용 후에 용이하게 센서를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세제량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In addition, it is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removable to check or replace the sensor after a long period of us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세탁기 터브와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실링 부재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실링 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전극의 단부가 세탁조 내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shing machine tub; And a sensor housing coupled to the sealing member to be detachable and supporting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aling member.

센서 하우징이 실링 부재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링 부재를 밀착되도록 세탁기의 터브 또는 외조에 안정적으로 고정한 후 센서 하우징을 추후에 삽입하는 형태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서, 세탁기 터브 또는 외조와의 결합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센서 하우징 만을 분리하여 점검 또는 교체가 가능하다.By configuring the sensor housing to be detachable from the sealing member, the sealing member is stably fixed to the tub or the outer tub of the washing machin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and then the sensor housing is fixed in the form of a later insertion. Only the sensor housing can be removed for inspection or replacement without damage.

여기서, 상기 센서 하우징은 베이스;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이 내측에서 지지되는 전극 지지팁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 지지팁은 상기 실링 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홀 내부에 관통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전극 지지팁과 상기 실링 부재 내부의 삽입홀이 나사식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Here, the sensor housing is a base; And an electrode support tip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supported from the inside, and the electrode support tip may be inserted to penetrate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sealing member. In addition, the electrode support tip and the insertion hole inside the sealing member may be screwed.

상기 전극 지지팁은 임의의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전극 지지팀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electrode support tip may have a shape of any polygon, for example, the electrode support team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또한, 전극 지지팁과 실링 부재 사이의 실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전극 지지팁의 외측면 또는 상기 실링 부재의 삽입홀의 내면 중 어느 일측에 링 형태의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sealing performance between the electrode support tip and the sealing member, a ring-shaped rib may be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support tip or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sealing member. A plurality of ribs may be formed.

한편,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실링 부재와 전극 지지팁 사이는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하고 있어 전극 지지팁을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보조하기 위해서, 상기 전극 지지팁을 회전시키면 실링 부재로부터 전극 지지팁이 돌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베이스와 전극 지지팁의 사이에 돌출부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실링 부재의 단부에 두 개의 안착부를 형성하며,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센서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극 지지팁을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부가 상기 돌출부의 측면을 타고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전극 지지팁이 실링 부재로부터 후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electrode support tip is coupled by interference fit may not be easy to separate the electrode support tip. In order to assist this, by rotating the electrode support tip may be adopted to the structure that the electrode support tip protrudes from the sealing member. As an example, a protrusion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electrode support tip, and two seating portions are formed at an end of the sealing member, and the sealing member and the sensor housing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rotrusion may be inserted. As a result, when the electrode support tip is rotated, the seating portion moves upwar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electrode support tip retreats from the sealing member in the process.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세탁기의 터브 또는 외조와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실링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세탁기의 터브에 형성되는 고정홀의 외주부와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may be fixed in various ways with the tub or outer tub of the washing machine.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fixing groov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and the fixing groove may be attached to the tub of the washing machine. It can be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ing hole to be formed.

여기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터브의 고정홀의 전면과 배면과 각각 접하는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측면 간의 거리는 상기 실링 부재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되, 최외측에서의 상기 두 개의 측면 간의 거리는 상기 고정홀의 두께보다 작도록 설정하여, 터브와 실링 부재 사이의 밀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Here, the fixing groove includes two side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xing hole of the tub, respectivel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s is reduced toward the outside from the center of the sealing member, the two sides at the outermos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xing hol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adhesion between the tub and the sealing member.

한편, 상기 실링 부재와 세탁기 터브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실링 부재의 선단부 외측에 테이퍼부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upling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washing machine tub, a tapered portion may be formed outside the front end of the sealing memb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링 부재와 센서 하우징을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점검 및 교체 시에 실링 부재와 세탁기 사이의 기밀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sealing member and the sensor housing to be detachable, not only the mounting is easy but also th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damaging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sealing member and the washing machine at the time of inspection and replacemen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제량 감지 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실시예는 크게 센서 하우징(100)과 실링부(20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센서 하우징(100)은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며, 한 쌍의 전극(120, 12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갖는다. 상기 센서 하우징(100)은 도 2에서 우측에 베이스(110)를 갖는데,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센서 하우징(100) 중 가장 큰 직경을 갖는 부분으로서 개방된 단부를 가지고 있어, 상기 센서 하우징(100)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전극(120, 122)에 연결되는 케이블(미도시)이 센서 하우징 외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2 to 4, an embodiment of the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and the embodiment may be classified into a sensor housing 100 and a sealing unit 200. The sensor housing 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as a role of stably supporting the pair of electrodes 120 and 122. The sensor housing 100 has a base 110 on the right side in FIG. 2, and the base 110 has an open end as a part having the largest diameter among the sensor housings 100. A cable (not shown) connected to the pair of electrodes 120 and 122 supported by 100 may extend outside the sensor housing.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돌출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면 중앙을 직선상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돌출부(112)가 계단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12)의 중앙에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전극 고정팁(116)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극 고정팁(116)은 내측에 한 쌍의 전극(120, 122)이 수용되며, 후술할 실링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홀과 결합된다. 다만, 상기 전극 고정팁(116)은 반드시 원형의 단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다각형의 단면, 예를 들어 정사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극 고정팁(116)의 외부와 상기 삽입홀의 표면에 각각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을 형성하여 양자가 나사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A protrusion 1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The protrusion 112 is formed to cross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0 in a straight line, and the base 110 and the protrusion 112 form a step shape. In addition, the electrode fixing tip 116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112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lectrode fixing tip 116 is accommodated in a pair of electrodes (120, 122), and is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sealing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However, the electrode fixing tip 116 does not necessaril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arbitrary polygonal cross section, for example, a square. In addition, by forming a female thread and a male threa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fixing tip 116 and the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respectively, both may be screwed.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전극(120, 122)은 세탁기의 터브 내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단부가 노출되도록 고정되고, 대부분은 상기 센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다.Here, the pair of electrodes (120, 122) is fixed so that the end is exposed, so as to protrude into the tub of the washing machine, most are accommodated in the sensor housing 100.

한편, 상기 실링부(200)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 하우징은 상기 실링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링부(200)의 일단부에는 한 쌍의 안착부(202)가 위치한다. 상기 한 쌍의 안착부(202)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데, 상기 이격거리는 상술한 돌출부(112)의 폭과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실링부(200)가 상기 센서 하우징(100)과 결합되면, 상기 안착부(202)의 사이에 상기 돌출부(112)가 삽입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portion 2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the sensor housing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hardness than the sealing portion. A pair of seating portions 202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sealing portion 200. The pair of seating portions 20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separation distance coincides with the width of the protrusion 112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sealing part 200 is coupled with the sensor housing 100, the protrusion 112 is inserted between the seating parts 202.

상기 안착부(202)와 인접하여 제1 플랜지(204) 및 제2 플랜지(206)가 각각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204, 206)의 사이에 고정홈(208)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208)은 후술할 터브에 형성되는 고정홀 주위의 벽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204, 206)가 서로 대향하는 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부(20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서로간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204, 206) 사이의 간격은 실링부의 중심부와 가까운 부분에서 최대이고, 실링부의 최외곽에서는 최소값을 갖게 된다.Adjacent to the seating portion 202 are a first flange 204 and a second flange 206, respectively. A fixing groove 208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204 and 206, and the fixing groove 208 is coupled to a wall around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tub to be described later. Here,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204 and 206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204 and 206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outside from the center of the sealing portion 200. have. In other words,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204 and 206 is maximum at the por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sealing portion, and has a minimum value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204, 206) 사이의 간격의 최소값은 터브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서, 각각의 플랜지와 터브의 표면이 더욱 밀착될 수 있으므로, 실링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inimum value of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204 and 206 is forme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ub. Due to this structure, the surface of each flange and the tub can be in close contact, thereby increasing the sealing performanc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 고정팁(116)의 외주부에는 두 개의 링 형태의 리브(124)가 형성되는데, 상기 리브(124)는 실링부(200)의 삽입홀(210)의 내벽과 더욱 밀착되므로 실링 성능을 더욱 높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가 반드시 상기 전극 고정팁(116)에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상기 리브는 상기 실링부(200)의 삽입홀(210)의 내벽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리브의 개수도 반드시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수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wo ring-shaped ribs 124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electrode fixing tip 116, and the ribs 124 are insertion holes 210 of the sealing part 200. Closer to the inner wall of the seal will further increase the sealing performance. Here, the ribs are not necessarily formed in the electrode fixing tip 116, for example, the ribs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hole 210 of the sealing portion 200.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rib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wo, but may be formed in any number.

한편, 상기 돌출부(112)의 내부에는 설치된 전극을 고정함과 동시에 센서 하 우징의 내부를 통해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118)이 충전되어 있다. 물론, 상기 실리콘(118)은 상기 센서 하우징 내부 전체에 충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112 is filled with silicon 118 in order to fix the electrode at the same time to prevent water leak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ensor housing. Of course, the silicon 118 may be filled in the entire sensor housing.

이제,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Now,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중 실링부(200)를 터브(10)에 형성된 고정홀에 끼워넣어,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204, 206)의 사이에 터브(10)가 끼워지도록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제1 플랜지(204)의 전면부가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어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상기 센서 하우징 및 실링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터브에 고정될 수도 있고, 실링부를 우선적으로 결합한 후 센서 하우징을 실링부에 결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5, in the embodiment, the sealing part 200 is inserted into a fixing hole formed in the tub 10 so that the tub 1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204 and 206. Install to fit. At this time,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flange 204 is tapered to facilitate inser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be fixed to the tub in the state in which the sensor housing and the sealing unit are coupled, or may be coupled to the sealing unit after first bonding the sealing unit.

실링부를 우선적으로 결합하는 경우, 실링부의 변형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므로, 터브(10)에 실링부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sealing unit is preferentially coupled, since the deformation of the sealing unit is made easier, the sealing unit may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tub 10.

상기 실시예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실링부와 센서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터브(10)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고, 센서 하우징을 우선적으로 분리한 후 실링부를 분리할 수도 있다. 센서 하우징을 우선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에도, 실링부의 변형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므로, 터브(10)로부터 실링부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Even when the above embodiment is separated, the sealing unit and the sensor housing may be separated from the tub 10 in a coupled state, or the sensor housing may be separated first and then the sealing unit may be separated. Even when the sensor housing is preferentially coupled, the sealing portion is more easily deformed, so that the sealing portion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from the tub 10.

또한, 상기 실링부로부터 센서 하우징을 분리하는 경우에 센서 하우징을 실링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잡아당겨서 분리할 수도 있으나, 센서 하우징을 상기 전극 고정팁(116)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서 분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안착부(202)가 상기 돌출부(112)의 상부면으로 이동하므로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02)가 보다 용이하게 돌출부(112)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돌출부(112)와 상기 베이스(110) 사이를 연결하는 면(114)을 직각이 아닌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실시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부(202)가 보다 경사면을 따라서 보다 쉽게 돌출부(112)의 상부로 올라갈 수 있어 분리가 더욱 용이해 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nsor housing is separated from the sealing part, the sensor housing may be removed by pull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ling part, but the sensor housing may be removed while rotating the sensor housing around the electrode fixing tip 116. . In this case, as the sensor housing rotates, the seating portion 202 mov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2, and thus may be naturally separated. In order to allow the seating portion 202 to be mov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112 more easily, the surface 114 connecting the protrusion 112 and the base 11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rather than a right angle. Embodiments can also be considered. In this embodiment, the seating portion 202 can be more easily raised to the top of the protrusion 112 along the inclined surface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도 1은 종래의 전극 센서가 설치된 세탁기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electrode senso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제량 감지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ample shown in FIG.

도 4는 도 2 중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2.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예가 세탁기의 터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xample shown in FIG. 2 is installed in a tub of a washing machine.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센서 하우징, 110 : 베이스,100: sensor housing, 110: base,

112 : 돌출부, 116 : 전극 고정팁,112: protrusion, 116: electrode fixing tip,

118 : 실리콘, 120, 122 : 전극,118: silicon, 120, 122: electrode,

124 : 리브, 200 : 실링부,124: rib, 200: sealing portion,

202 : 안착부, 204 : 제1 플랜지,202: seating portion, 204: first flange,

206 : 제2 플랜지, 208 : 고정홈,206: second flange, 208: fixing groove,

210 : 삽입홀.210: insertion hole.

Claims (8)

세탁기 터브와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실링 부재; 및A sealing member coupl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shing machine tub; And 상기 실링 부재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실링 부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전극의 단부가 세탁조 내부로 노출되도록 지지하는 센서 하우징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And a sensor housing coupled to the sealing member so as to be detachable, and supporting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tank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seal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 하우징은,The sensor housing, 베이스; 및Base; And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이 내측에서 지지되는 전극 지지팁을 포함하며,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clude an electrode support tip that is supported from the inside, 상기 전극 지지팁은 상기 실링 부재에 형성되는 삽입홀 내부에 관통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support tip is inserted so as to penetrate inside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seal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전극 지지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de support tip has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전극 지지팁의 외측면 또는 상기 실링 부재의 삽입홀의 내면 중 어느 일측에 링 형태의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shaped rib is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support tip or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of the sealing memb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베이스와 전극 지지팁의 사이에는 돌출부가 추가적으로 형성되고,A protrusion is additionally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electrode support tip. 상기 실링 부재의 단부에는 두 개의 안착부가 형성되어,Two seating parts are formed at the end of the sealing member, 상기 실링 부재와 상기 센서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of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between the seat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and the sensor housing are coupl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실링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The sealing member includes a fixing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상기 고정홈은 상기 세탁기의 터브에 형성되는 고정홀의 외주부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tub of the washing machin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고정홈은 상기 터브의 고정홀의 전면과 배면과 각각 접하는 두 개의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측면 간의 거리는 상기 실링 부재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되,The fixing groove includes two side surfaces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xing hole of the tub,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s decreases toward the outside from the center of the sealing member, 최외측에서의 상기 두 개의 측면 간의 거리는 상기 고정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s at the outermost side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xing 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실링 부재의 선단부 외측에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량 감지장치.Detergent amount sensing device of th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ered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sealing member.
KR1020080088971A 2008-09-09 2008-09-09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a detergent in an washing machine KR100992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971A KR100992640B1 (en) 2008-09-09 2008-09-09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a detergent in an washing machine
CNA2008101869748A CN101418508A (en) 2008-09-09 2008-12-09 Detergent amount detec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971A KR100992640B1 (en) 2008-09-09 2008-09-09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a detergent in an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167A KR20100030167A (en) 2010-03-18
KR100992640B1 true KR100992640B1 (en) 2010-11-05

Family

ID=4062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971A KR100992640B1 (en) 2008-09-09 2008-09-09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a detergent in an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92640B1 (en)
CN (1) CN101418508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9852B (en) * 2010-03-22 2015-04-29 佛山市顺德海尔电器有限公司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detergent existence state in washing machine
CN112522916B (en) * 2019-09-18 2022-04-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Electrolysis device and clothes treatment equip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196B1 (en) 2003-04-02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quality sensor for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196B1 (en) 2003-04-02 200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quality sensor for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18508A (en) 2009-04-29
KR20100030167A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51780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Quality of Water Therefor
KR20030006561A (en) Sensor for detecting water level
JP6832949B2 (en) Drum washing machine and its leak judgment method
KR100992640B1 (en) Device for sensing the amount of a detergent in an washing machine
US20150218744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20120130894A (en) Apparatus for detecting water level, water supplying hose and washer having the same
KR100457578B1 (en) conductivity sensor of washer
KR101645450B1 (en) Semiconductor chip test for connector pin
KR100452385B1 (en) A water hardness sensing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CN105177921A (en) Sensor assembly used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CN211262379U (en) Water level sensor
KR101036477B1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CN108680110B (en) Wide-range fiber grating corrosion sensor
KR20140006390U (en) Connector testing jig
KR2014006692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aphragm
KR20170138617A (en) Checking apparatus for reliability of temperature measuring wafer sensor
KR101347928B1 (en) End piont detecting port and unit for supplying solution and end point detector having the end piont detecting port
KR20160099376A (en) Apparatus for testing of water level sensor
CN212058605U (en) Rubber ring parallelism detection mechanism
KR1011242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a crack of tube
KR200383290Y1 (en) Automatic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A Dental Use
KR20040110772A (en) Conductive sensor sensing method of a washer
KR100791436B1 (en) Water hardness sensor for washing machine
KR100712901B1 (en) Water hardness sensor for washing machine
KR0121134Y1 (en) A water level sensor fixed construction of a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