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170B1 -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170B1
KR100992170B1 KR1020080019242A KR20080019242A KR100992170B1 KR 100992170 B1 KR100992170 B1 KR 100992170B1 KR 1020080019242 A KR1020080019242 A KR 1020080019242A KR 20080019242 A KR20080019242 A KR 20080019242A KR 100992170 B1 KR100992170 B1 KR 100992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fluid
test chamber
temperature
cell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617A (ko
Inventor
김양도
김영석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170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05Modeling, demonstration models of fuel cells, e.g. for train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664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에 관한 것으로, 연료전지에 부합되는 연료전지 운전장치를 설계시 미리 테스트하여 선택하는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장치 설계시스템은, 유체를 유입 및 유출하는 연료전지 운전장치를 수용한 테스트 챔버; 상기 테스트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의 유입 및 유출 경로를 제공하는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 상기 테스트 챔버의 연료전지 본체에서 발생하는 역압력을 모사하는 역압력계 및 니들밸브; 상기 테스트 챔버의 온도와 상기 연료전지 운전장치 전후의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 상기 연료전지 운전장치에서의 유체의 누출을 감지하는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온도, 유체의 양 및 유체의 누출이 상기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를 위해 설정된 온도, 유체의 양 및 유체의 누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19242
연료전지, 운전장치, 테스트, 신뢰성

Description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TEST SYSTEM FOR BALANCE OF PLANT IN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 운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연료전지가 사용되는 환경에 맞도록 연료전지 운전장치를 평가하는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메탄올이나 천연가스 등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공기 중의 산소를 연료로 하여 일어나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하여 화학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연료공급장치, 공기공급장치 및 스택(stack)을 포함한 연료전지 본체, 전력변환장치, 열 회수장치, 온수저장장치, 보조 버너, 연료전지의 운전장치 등을 포함한다.
연료전지의 운전장치는 연료공급장치, 공기공급장치, 냉각장치, 전력변환장치, 열 회수장치, 온수저장장치 등의 운전에 필요한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전지의 운전장치에는 송풍기, 압축기, 필터, 열교환기, 펌프, 콘덴서, 가습기 등이 있다. 특히, 이러한 연료공급장치 및 공기공급장치의 운전에 필요한 운전장치에는 블라우 어, 공기펌프, 압축기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러한 연료전지의 운전장치는 기 생산된 블라우어, 공기펌프, 압축기 등의 제품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기 생산된 블라우어, 공기펌프, 압축기 등의 제품은 미리 연료전지 스택의 압력, 유량, 온도 등의 범위가 설정된 상태로 출시된다. 이에 따라, 연료전지 스택 설계시 요구하는 압력, 유량, 온도 등의 범위를 정확히 맞추기 어렵다. 따라서, 연료전지에서 원하는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료전지의 설계시 연료전지 운전장치에서 요구되는 압력, 유량, 온도 등의 범위를 제공하는 연료전지의 운전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은, 유체를 유입 및 유출하는 연료전지 운전장치를 수용한 테스트 챔버; 상기 테스트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의 유입 및 유출 경로를 제공하는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 상기 테스트 챔버의 연료전지 본체에서 발생하는 역압력을 모사하는 역압력계 및 니들밸브; 상기 테스트 챔버의 온도와 상기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연료전지 운전장치 전후의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 상기 연료전지 운전장치에서의 유 체의 누출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온도, 유체의 양 및 유체의 누출이 상기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를 위해 설정된 온도, 유체의 양 및 역압력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챔버는, 외부판; 내부판; 및 상기 외부판과 내부판 사이에 형성된 절연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료전지의 설계시 설계하는 연료전지의 사양에 부합되는 연료전지 운전장치를 테스트를 통해 선택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연료전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1)은, 테스트 챔버(3), 제어부(4), 온도센서(12a, 12b, 12c)로 구성된 온도 감지부, 유량센서(13a, 13b)로 구성된 유량 감지부, 압력센서(14)로 구성된 압력감지부 및 역압력계 및 니들밸브(15)를 포함한다.
테스트 챔버(3)는 연료전지 운전장치(3a)의 가동 환경을 제공하는 테스트 룸이며, 내부에 X-Y 방향의 진동 측정을 위한 연료전지 운전장치(3a)의 받침대(3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 운전장치(3a)는 공기공급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 블라우어, 공기펌프, 압축기 등이고, 연료공급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 부스터 등이고, 냉각장치에 사용되는 경우에 물펌프 등일 수 있다.
테스트 챔버(3)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배관(8a, 8b, 11a, 11b)과, 물이 흐를 수 있는 배관(9a, 9b, 10a, 10b)과 연결되어 있다. 즉, 테스트 챔버(3)에는 테스트 챔버(3)의 내부에 있는 연료전지 운전장치(3a)의 종류에 따라 물 또는 공기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챔버(3)는 외부의 온도변화로부터 내부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이 구조는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도 2는 테스트 챔버(3)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챔버(3)는 내부판(33)과 외부판(31) 사이에 절연재(32)를 형성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내부판(33)과 외부판(31)은 스텐레스(stainless) 금속재질일 수 있다.
온도센서(12a, 12b, 12c)는 테스트 챔버(3)에 공기 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배관(8a, 9a, 10a, 11a)의 온도, 테스트 챔버(3)로부터 공기 또는 물이 유출되는 유출배관(8b, 9b, 10b, 11b)의 온도 및 테스트 챔버(3)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4)에 전송한다.
유량센서(13a, 13b)는 테스트 챔버(3)에 흐르는 공기 또는 물의 양(이하, "유량"이라 한다)을 감지하여 제어부(4)에 전송한다.
역압력계 및 니들밸브(15)는 테스트 챔버(3)에서 공기 또는 물이 배출되는 유출배관(8b, 9b, 10b, 11b)에 공기 또는 물이 역유입되어 발생하는 압력(이하, "역압력"이라 한다)을 발생시킨다.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자는 역압력계 및 니들밸브(15)를 조절하여 원하는 역압력을 모사할 수 있다.
압력센서(14)는 테스트 챔버(3)에서 공기 또는 물이 배출되는 유출배관(8b, 9b, 10b, 11b)에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4)에 전송한다.
제어부(4)는 온도센서(12a, 12b, 12c), 유량센서(13a, 13b) 및 압력센서(14)로부터 각각 수신된 온도, 유량 및 유체누출이 연료전지 운전장치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유량 및 유체의 누출 정보에 부합되는지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6)를 통해 출력한다. 나아가,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자는 역압력계 및 니들밸브(15)를 통해 역압력을 변경시키면서 설계하고자 하는 연료전지의 운전에 필요한 운전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자는 설계하고자 하는 연료전지에 부합되도록 연료전지 운전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연료전지 운전장치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유량 및 유체의 누출 정보는 저장부(5)에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4)는 상기 부합 여부에 대한 확인 결과를 저장부(5)에 저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1)은 필터(2), 저장부(5), 디스플레이 장치(6) 및 히터/쿨러(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터(2)는 연료전지 운전장치(3a)에 의해 테스트 챔버(3) 내로 유입되는 물 또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저장부(5)는 연료전지 운전장치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유량 및 역압력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더하여, 저장부(5)는 제어부(4)로부터 수신된 온도, 유량 및 유체누출의 부합 여부에 대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는 제어부(4)로부터 수신된 온도, 유량 및 유체누출의 부합 여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자는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가동환경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다.
히터/쿨러(7)는 테스트 챔버(3) 내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춘다. 이는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자에 의해서 직접 이루어지거나, 제어부(4)로부터 수신된 히터구동신호 또는 쿨러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테스트 챔버(3) 내의 온도를 높이거나 낮춘다. 이때, 제어부(4)는 온도센서(12c)로부터 수신된 온도와 설정된 온도의 비교결과에 따라 히터구동신호 또는 쿨러구동신호를 발생한다. 즉, 제어부(4)는 수신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히터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수신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쿨러구동신호를 발생한다.
이하에서, 연료전지 운전장치 설계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자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연료전지 운전장치(3a)를 테스트 챔버(3) 내에 설치한다. 이후,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자는 연료전지 운전장치(3a)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킨다. 이에, 연료전지 운전장치(3a)는 물 또 는 공기를 필터(2)를 통해 테스트 챔버(3)로 유입하고, 유입된 물 또는 공기를 테스트 챔버(3)로부터 배출한다. 이때, 필터(2)는 테스트 챔버(3)로 유입되는 물 또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렇게 배출된 물 또는 공기는 유출배관(8b, 9b, 10b, 11b)을 거쳐 역압력계 및 니들밸브(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일정한 압력에 다다르면, 유입밸브와 유출밸브를 잠근 상태에서 압력의 변화로 운전장치에서의 유체 누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의 변화는 압력센서(14)에 의해서 감지되어 제어부(4)로 전송된다.
한편, 온도센서(12a, 12b, 12c)는 배관 및 테스트 챔버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4)에 전송한다.
그리고, 유량센서(13a, 13b)는 테스트 챔버(3)에 흐르는 유량을 감지하여 제어부(4)에 전송한다. 즉, 유량센서(13a, 13b)는 유입배관(8a, 9a, 10a, 11a)의 유량 및 유출배관(8b, 9b, 10b, 11b)의 유량을 감지하여 제어부(4)에 전송한다.
제어부(4)는 온도센서(12a, 12b, 12c), 유량센서(13a, 13b) 및 압력센서(14)로부터 각각 수신된 온도, 유량 및 역압력이 연료전지 운전장치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 유량 및 유체의 누출 정보에 부합되는지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6)를 통해 출력한다. 또는 제어부(4)는 온도센서(12a, 12b, 12c), 유량센서(13a, 13b) 및 압력센서(14)로부터 각각 수신된 온도, 유량 및 압력변화를 디스플레이 장치(6)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자는 역압력계 및 니들밸브(15)를 통해 역압력을 변경시키면서 설계하고자 하는 연료전 지 운전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자는 설계하고자 하는 연료전지에 부합되도록 연료전지 운전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챔버의 사시도.

Claims (2)

  1. 유체를 유입 및 유출하는 연료전지 운전장치를 수용한 테스트 챔버;
    상기 테스트 챔버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의 유입 및 유출 경로를 제공하는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
    상기 유출배관에 상기 유체가 역유입되어 발생하는 역압력을 모사하는 역압력계 및 니들밸브;
    상기 테스트 챔버의 온도와 상기 연료전지 운전장치 전후의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
    상기 연료전지 운전장치에서의 유체의 누출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온도, 유체의 양 및 유체의 누출이 상기 연료전지 운전장치의 설계를 위해 설정된 온도, 유체의 양 및 유체의 누출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챔버는,
    외부판;
    내부판; 및
    상기 외부판과 내부판 사이에 형성된 절연재로 구성된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 가시스템.
KR1020080019242A 2008-02-29 2008-02-29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 KR100992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242A KR100992170B1 (ko) 2008-02-29 2008-02-29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242A KR100992170B1 (ko) 2008-02-29 2008-02-29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17A KR20090093617A (ko) 2009-09-02
KR100992170B1 true KR100992170B1 (ko) 2010-11-05

Family

ID=4130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242A KR100992170B1 (ko) 2008-02-29 2008-02-29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775A (ko) * 2018-03-06 2019-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료전지 스택의 성능 평가 장치
CN111106370B (zh) * 2019-12-31 2021-09-24 上海神力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电堆膜电极串漏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0917A1 (ja) 2004-12-27 2006-07-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燃料電池の異常検知装置、運転装置及び運転方法
JP2006294447A (ja) 2005-04-12 2006-10-26 Toyota Motor Corp 異常判定装置
US7149641B2 (en) 2002-09-17 2006-12-12 Hydroge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el cell tes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9641B2 (en) 2002-09-17 2006-12-12 Hydroge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el cell testing device
WO2006070917A1 (ja) 2004-12-27 2006-07-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燃料電池の異常検知装置、運転装置及び運転方法
JP2006294447A (ja) 2005-04-12 2006-10-26 Toyota Motor Corp 異常判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617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9573C (zh) 空气调节器及其制冷剂量判定方法
CN104101470B (zh) 管道法兰测试系统
WO2003078955A1 (fr) Testeur d'etancheite
CN104269195B (zh) 模拟核电安全壳基准事故工况的实验系统的实现方法
US20210207830A1 (en) Gas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119273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lammable gas detection
BRPI0621236B1 (pt) "Processo para determinar a quantidade de fluido despendida para operar um dispositivo de controle de processo e sistema para medir a quantidade de um fluido de suprimento despendida no controle de um sistema de controle de processo"
CN103822765A (zh) 一种大型通风设备空气泄漏率检测装置
KR100992170B1 (ko) 연료전지 운전장치 평가시스템
JP2009522723A5 (ko)
CN216284157U (zh) 非金属密封垫片的氦气密封性检测装置
CN102706396A (zh) 毛细管流量测试装置
KR20200084530A (ko) 이차전지 가스 분석장치
JP2005291986A (ja) ガス遮断装置
US20180143170A1 (en) Testing device for testing a gas guide element
CN210603441U (zh) 一种防止盗气的气体超声流量计
CN110425745B (zh) 用于热水器的方法、装置和热水器
JP4449513B2 (ja) ガス遮断装置
CN213579975U (zh) 一种燃料电池系统气密性测试装置
CN106289372A (zh) 焊接绝热气瓶日蒸发率测量仪测试方法
CN103808474A (zh) 一种安全阀密封性能的校验方法
KR101080309B1 (ko) 연료전지 운전장치용 테스트 장치
KR20070033678A (ko) 풍압센서를 이용한 공기비례제어식 보일러에서의 풍압센서이상 감지방법
KR101353051B1 (ko) 펌프 효율 측정 시스템
CN211401967U (zh) 一种压降试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